KR101403224B1 - 저항복비 특성 및 저온인성이 우수한 후 강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저항복비 특성 및 저온인성이 우수한 후 강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3224B1
KR101403224B1 KR1020110145215A KR20110145215A KR101403224B1 KR 101403224 B1 KR101403224 B1 KR 101403224B1 KR 1020110145215 A KR1020110145215 A KR 1020110145215A KR 20110145215 A KR20110145215 A KR 20110145215A KR 101403224 B1 KR101403224 B1 KR 1014032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sheet
less
hot rolling
toughness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5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6577A (ko
Inventor
김우겸
방기현
서인식
장성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101452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3224B1/ko
Publication of KR201300765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65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32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32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opper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226Hot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47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 C21D8/0263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following hot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46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sheet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ickel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ungsten, tantalum, molybdenum, vanadium, or niob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itanium or zirconium

Abstract

본 발명은 저항복비 특성 및 극저온에서의 모재 인성이 우수한 후 강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중량%로, C:0.02~0.08%, Si:0.05~0.3%, Mn:1.0~1.8%, Al:0.03%이하("0"은 포함하지 않음), Ni:1.97~2.5%, Cu:0.1~0.7%, Ti:0.003~0.015%, Nb: 0~0.03%, P:0.01%이하, S:0.005%이하, 나머지는 불가피한 불순물 및 Fe를 포함하고, 미세조직은 2~10vol%의 MA(마르텐사이트/오스테나이트 혼합조직)와 90vol% 이상의 에시큘러 페라이트를 포함하는 저항복비 특성 및 저온인성이 우수한 후 강판 및 그 제조방법을 그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저항복비 특성 및 저온인성이 우수한 후 강판 및 그 제조방법{THICK STEEL PLATE HAVING EXCELLENT LOW YIELD RATIO PROPERTY AND LOW TEMPERATURE TOUGHNES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TEEL PLATE}
본 발명은 선박, 해양 구조물 등의 구조 및 이산화탄소, 암모니아, LNG 등의 다종 액화가스를 혼재하는 다목적 탱크 등에 사용되는 후 강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저항복비 특성 및 극저온에서의 모재 인성이 우수한 후 강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해양구조물이나 선박 등에 적용되는 후 강판은 높은 강도뿐만 아니라 구조물의 적용 부분에 따라서 곡면 가공이 용이하여야 한다.
이러한 곡면 가공이 용이하기 위해서는 항복비가 0.85이하 이어야 한다.
또한 해양구조물의 경우 점차 부유식화 되고, 온난 지역에서 한랭지역(사할린, 북극)으로 이동되고 있다. 즉, 고유가가 지속되고, 온난지역에서의 자원 고갈로 인해 해상석유가스 자원이 풍부한 북극 등으로 옮겨가고 있다.
이러한 한랭지역에서의 해양구조물의 경우에는 험한 환경에서 견딜 수 있는 저항복비 및 고인성화를 동시에 요구하고 있으며, 낮은 온도 (-40℃이하)에서 CTOD보증을 요구하고 있다.
더욱이, 해상수송의 경우도 지구 온난화로 인한 빙하감소로 북극 신항로가 개척되어지고 있다. 북극을 통한 해상수송은 선박의 대형화가 가능하고 운송시간의 단축을 이룰 수 있어 계속적으로 북극항로는 개발되고 있는 추세이며, 여기에 소요되는 조선용 강재는 -60℃ 이하의 저온인성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저항복비 특성 및 저온에서 모재 인성이 우수한 490MPa 이상의 인장강도를 갖는 후 강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저항복비 특성 및 저온에서 모재 인성이 우수한 490MPa 이상의 인장강도를 갖는 후 강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중량%로, C:0.02~0.08%, Si:0.05~0.3%, Mn:1.0~1.8%, Al:0.03%이하("0"은 포함하지 않음), Ni:1.97~2.5%, Cu:0.1~0.7%, Ti:0.003~0.015%, Nb: 0~0.03%, P:0.01%이하, S:0.005%이하, 나머지는 불가피한 불순물 및 Fe를 포함하고, 미세조직은 2~10vol%의 MA(마르텐사이트/오스테나이트 혼합조직)와 90vol% 이상의 에시큘러 페라이트를 포함하는 저항복비 특성 및 저온인성이 우수한 후 강판을 제공한다.
상기 강판의 에시큘러 페라이트의 유효 결정립(15도 이상의 결정립 방위를 갖는 것) 함량은 70vol% 이상이고, 이 유효 결정립의 평균 크기는 3~25 마이크론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강판은 바람직하게는 0.85이하의 저항복비, 490MPa이상의 인장강도, -60℃에서 200J이상의 충격흡수에너지 및 -80℃이하의 연성-취성 천이온도(DBTT)를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중량%로, C:0.02~0.08%, Si:0.05~0.3%, Mn:1.0~1.8%, Al:0.03%이하("0"은 포함하지 않음), Ni:1.97~2.5%, Cu:0.1~0.7%, Ti:0.003~0.015%, Nb:0~0.03%, P:0.01%이하, S:0.005%이하, 나머지는 불가피한 불순물 및 Fe를 포함하는 강 슬라브를 가열하여 재결정역 열간압연(조압연)한 다음, 미재결정역 열간압연(사상압연)한 후, 냉각하는 저항복비 특성 및 저온인성이 우수한 후 강판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후 강판의 제조방법에서 재결정역 열간압연(조압연)시 마지막 2패스의 압하율은 각각 15~25%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후 강판의 제조방법에서 미재결정역 열간압연 후 행하는 냉각 시 냉각속도는 강판 두께 1/4지점에서 5~15℃/s로 설정하고, 냉각마침온도는 300~550℃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미재결정역 열간압연 시 누적압하율은 50~60%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저항복비 특성이 우수하고 인장강도 490MPa이상, 연성-취성 천이온도(DBTT)가 약 -80℃이하이고, -60℃에서 충격흡수에너지가 200J이상인 후 강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르는 강판의 냉각속도 및 냉각마침온도에 따른 MA 분율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르는 강판의 미세조직사진이다.
본 발명에서는 강 조성과 제조조건을 적절히 제어하여 강판이 2~10vol%의 MA등의 제2상과 미세한 에시큘라 페라이트를 포함하는 미세조직을 갖도록 한다.
상기한 강판의 미세 조직을 얻기 위해서는 강 조성 및 제조조건,특히, 미재결정영역 열간압연후 행하는 냉각 시, 냉각속도 및 냉각마침온도의 제어가 중요하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미세조직을 갖는 강판을 제조하기 위한 강 조성 및 제조조건,특히, 압연 및 냉각 조건을 찾기 위하여 오랜 연구 및 실험을 향하였다.
본 발명에서 강판의 강도확보는 결정립 미세화 효과 등을 통해, 저항복비와 인성의 확보는 합금성분의 함량과 MA 함량 제어 및 결정립 미세화 효과 등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는 저 항복비 특성 및 저온인성이 우수한 후 강판에 대하여 설명한다.
C:0.02~0.08중량%(이하, '%' 라 칭함)
C은 강의 강도와 미세조직 형성에 있어 가장 중요한 성분이므로 적절한 범위내에서 강 중에 함유되어야 한다. 그러나, C의 함량이 0.08%를 초과하게 되면 저온인성을 저하시키며, MA 형성을 지나치게 조장하고 조대한 MA 형성이 이루어져 용접 HAZ부 인성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반면에, C의 함량이 0.02% 미만이 되면 필요 최소한의 모재 강도가 얻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C의 함량은 0.02~0.08%로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i:0.05~0.3%
Si는 탈산제로 유용한 원소이지만, 그 함량이 0.3%를 초과하는 경우 인성의 저하와 용접성을 악화시킨다.
따라서, 상기 Si함량은 0.05~0.3%로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Mn:1.0~1.8%
Mn은 고용강화에 의해 강도를 향상시키고, 결정립 미세화 및 모재 인성을 개선하는 효과를 가진다. Mn 함량이 1.0% 미만인 경우에는 MA 조직의 면적분율이 현저히 줄어들게 되고, 이는 곧 항복비의 증가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최소 1.0% 이상 첨가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1.8%를 초과하여 첨가하는 경우에는 경화능의 증가로 용접부의 인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Mn 함량은 1.0~1.8%로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l:0.03%이하
Al는 효과적으로 탈산을 할 수 있는 원소이므로 소량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적은 양의 C로도 MA 형성을 조장할 수 있으므로, 그 함량은 0.03%이하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Ni:1.97~2.5%
Ni은 모재의 강도와 인성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는 원소로서, 이러한 첨가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1.97%이상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고가의 원소이고, 다량이 첨가될 경우 용접성이 열화될 수 있으므로, 상기 Ni함량의 상한은 2.5%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u:0.1~0.7%
Cu는 고용강화 및 석출강화에 의하여 모재의 인성 저하를 최소화하면서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원소로서, 충분한 강도향상의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0.1%이상 함유되어야 하지만, 과도한 첨가는 표면의 불량을 야기할 수 있으므로, Cu함량의 상한은 0.7%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한 Cu의 함량은 0.3~0.7%이다.
Ti:0.003~0.015%
Ti는 N과 질화물을 형성하여 HAZ부의 결정립을 미세화하여 HAZ 인성을 개선하는 효과를 가진다. 이러한 효과를 충분히 확보하기 위해서는 0.003~0.015% 함유가 바람직하다.
Nb:0~0.03%
Nb는 NbC, NbCN의 형태로 석출하여 모재의 강도를 크게 향상시키고 결정립을 미세화시킨다. 그러나, 베이나이트 형성을 촉진하여 저항복비 특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Nb 함량은 0.03%이하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Nb 함량이 0.03%를 초과하여 첨가되는 경우에는 HAZ 인성의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한편, 강도 확보를 위해서는 상기 Nb 함량은 0.01~0.03%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0.01% 이하
P는 강도향상과 내식성에 유리한 원소이지만, 충격인성을 크게 저해하는 원소이므로 가능한 낮게 하는 것이 유리하므로, P함량의 상한은 0.01%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0.005%이하
S는 MnS 등을 형성하여 충격인성을 크게 저해하므로 가능한 낮게 하는 것이 유리하므로, S함량의 상한은 0.005%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 강판의 미세조직은 2~10vol%의 MA(마르텐사이트/오스테나이트 혼합조직)와 90vol% 이상의 에시큘러 페라이트를 포함한다.
상기 강판의 에시큘러 페라이트의 유효 결정립 함량은 70vol% 이상이고, 이 유효 결정립의 평균 크기는 3~25마이크론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유효 결정립이란 15도 이상의 결정립 방위를 갖는 결정립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강판의 미세조직의 일례가 도 2에 나타나 있다.
도 2의 미세조직은 FE-SEM-EBSD(전해방출주사현미경)을 통해 관찰한 것이고,측정영역은 200마이크론으로 하였고, 측정 방위의 신뢰성을 나타내는 컨피던스 인덱스 0.1이하의 측정점은 해석에서 삭제하였다.
상기 MA 함량(분포량)은 저온 인성과 저 항복비를 확보하기 위하여 가장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기 때문에 이들의 제어는 중요하다.
MA 함량이 10vol%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저온인성의 특성이 저하되고, 2vol% 미만인 경우에는 저항복비의 구현이 어렵다.
또한, 우수한 저온 인성과 저 항복비 확보를 위하여 에시큘러 페라이트의 유효 결정립의 크기를 3~25 마이크론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는 후 강판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와 같이 조성되는 강 슬라브를 가열하여 재결정역 열간압연한 다음, 미재결정역 열간압연한 후, 냉각하여 저항복비 특성을 갖는 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후 강판을 제조한다.
상기 강 슬라브의 가열온도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1050~115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열온도가 너무 높다면, 오스테나이트의 결정립이 조대화하고 인성을 떨어뜨릴 우려가 있고, 너무 낮다면, Ti, Nb 등을 충분히 고용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우려가 있으므로, 상기 강 슬라브의 가열온도는 1050~1150℃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재결정역 열간압연은 마지막 2패스의 압하율을 각각 15~25%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재결정영역에서 마지막 2패스의 압하율을 15~25%로 하는 경우에는 오스테나이트를 완전 재결정화할 수 있고 오스테나이트의 미세화 및 성장억제가 가능해 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재결정역 열간압연 종료온도는 1000~1100℃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미재결정역 열간압연은 Ar3온도 이상에서 완료하여야 하며, 50~60% 이상의 누적압하율을 가져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재결정역 열간압연 종료온도는 740℃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740~780℃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미재결정역 열간압연 후 냉각은 두께 1/4지점에서 5~15℃/s의 냉각속도로 300℃~550℃의 냉각마침온도까지 행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강도 및 인성 확보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냉각속도와 냉각마침온도는 MA(마르텐사이트/오스테나이트 혼합조직)형성에 중요한 요소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MA 분율을 최적화 하기 위하여 미재결정역 열간압연 후 행하는 냉각 시, 냉각속도는 강판 두께 1/4지점에서 5~15℃/s(초)로 설정하고, 그리고 냉각마침온도는 300~550℃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냉각속도가 느린 경우에는 비교적 높은 냉각마침온도에서 MA의 형성이 최소화되고, 냉각속도가 빠른 경우에는 낮은 냉각마침온도에서 MA 형성이 최소화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강도확보와 MA 형성을 위해서 빠른 냉각속도와 높은 냉각마침온도, 느린 냉각속도와 낮은 냉각마침온도가 조합되어야 하는데, 적정 MA 분율을 얻기 위해서는 냉각속도는 강판 두께 1/4지점에서 5~15℃/s로, 그리고 냉각마침온도는 300~550℃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냉각속도와 냉각마침온도에 따른 MA 분율 변화의 일례가 도 1에 나타나 있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강판의 미세조직은 2~10vol%의 MA(마르텐사이트/오스테나이트 혼합조직)와 90vol% 이상의 에시큘러 페라이트를 포함한다.
상기 강판의 에시큘러 페라이트의 유효 결정립 함량은 70vol% 이상이고, 이 유효 결정립의 평균 크기는 3~25 마이크론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MA의 크기를 작게 하여 우수한 저온인성 특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냉각속도를 빠르게 하고, 상기 냉각마침온도를 높게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냉각속도를 10~15℃/초로, 그리고 냉각마침온도를 450~550℃로 설정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합금성분, 압연 및 냉각의 조건을 최적화하여 저온 충격인성이 매우 우수하고, 우수한 저 항복비 특성을 나타내는 강판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강판의 강도확보는 압연과 냉각을 통한 결정립 미세화 효과 등에 의해, 그리고 저 항복비와 인성의 확보는 합금성분의 함량과 냉각을 통한 MA 함량 제어 및 결정립 미세화 효과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하기 표1과 같은 조성을 갖는 용강을 마련한 후 연속주조를 이용하여 강슬라브를 제조하였다. 강종 발명강 A, B, C, D 및 E는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성분범위를 충족하는 강판을 의미한다. 비교강 F~I은 본 발명의 합금성분을 충족하지 못하는 강판으로서, 비교강F는 탄소, 비교강G는 Mn, 비교강H는 Ni, 비교강I는 Cu의 성분이 각각 본 발명의 합금성분을 충족하지 못하는 강판이다.
하기 표 1의 A~I의 강 슬라브를 하기 표 2의 제조조건으로 압연, 냉각하여 후강판을 제조하였다. 하기 표 2에는 조압연(재결정역압연)에서 마지막 2패스의 압하율, 냉각마침온도 및 냉각속도 등이 나타나 있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후 강판에 대하여 기계적 성질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3에서의 모재의 인장강도(표 3에서 TS로 표시됨) 및 항복강도(표 3에서 YS로 표시됨)는 강판의 전 두께로부터 압연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JIS1B호 시편을 채취하여 상온에서 인장시험을 실시하여 측정한 값을 나타낸다.
또한, 하기 표 3에서의 모재의 저온인성은 강판의 1/2T(강판두께) 부위로부터 압연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시편을 채취하여 V노치 시험편을 제작 후 -20℃로부터 -120℃까지 20℃ 간격으로 샤르피 충격시험을 5회 실시하여 평균을 구하여 나타낸 값이다.
강종 C Si Mn P S Al Ni Cu Nb Ti N
발명강 A 0.042 0.086 1.201 0.0055 0.0015 0.011 1.97 0.274 0.015 0.010 0.0037
발명강 B 0.053 0.118 1.556 0.0058 0.0013 0.012 2.3 0.248 0.021 0.012 0.0043
발명강 C 0.043 0.123 1.563 0.0061 0.0013 0.012 1.99 0.255 0.018 0.011 0.0040
발명강 D 0.065 0.121 1.572 0.0073 0.0012 0.011 2.21 0.248 - 0.012 0.0051
발명강 E 0.058 0.112 1.597 0.0071 0.0013 0.012 2.24 0.256 - 0.012 0.0049
비교강 F 0.105 0.121 1.541 0.0062 0.0013 0.010 1.13 0.239 0.021 0.010 0.0052
비교강 G 0.052 0.120 0.745 0.0065 0.0011 0.016 1.11 0.261 0.025 0.011 0.0055
비교강 H 0.056 0.122 1.522 0.0076 0.0014 0.013 0.84 0.238 0.018 0.010 0.0056
비교강 I 0.065 0.118 1.546 0.0071 0.0012 0.015 1.57 0.092 0.015 0.012 0.0054
시험
번호
강종 조압연
종료온도
(℃)
마지막 2패스 압하율
(%)
사상
압연
개시온도
(℃)
사상
압연
종료온도
(℃)
압하율
(%)
냉각
시작온도
(℃)
냉각
마침온도
(℃)
냉각
속도
(℃/초)
발명예1 A 1066 15.3/19.7 763 755 55 706 425 8.7
비교예2 A 1059 11.3/10.5 755 745 53 695 485 9.0
비교예3 B 1068 16.3/21.8 769 758 58 695 611 3.5
발명예4 B 1068 16.2/23.3 757 748 54 689 428 6.7
발명예5 C 1065 18.8/23.7 766 753 56 702 384 10.4
발명예6 D 1067 17.5/21.2 756 745 58 695 435 9.5
비교예7 D 1068 18.4/24.1 765 758 58 701 383 2.4
발명예8 E 1060 16.3/22.7 769 758 58 694 413 5.8
비교예9 E 1068 18.5/20.7 765 751 57 703 623 6.8
비교예10 F 1067 17.9/21.5 770 757 55 701 505 6.7
비교예11 G 1065 19.6/22.4 776 758 57 702 520 8.7
비교예12 H 1064 18.2/23.6 764 751 55 698 427 9.2
비교예13 I 1071 18.4/21.3 758 748 59 695 406 6.8
시험
번호
결정립크기
(㎛)
MA분율
(vol%)
YS
(MPa)
TS
(MPa)
모재인성
CVN(-60℃)
(J)
모재인성
CVN(-80℃)
(J)
DBTT
(℃)
항복비
발명예1 15 4.6 435 529 208 75 -84 0.82
비교예2 46 4.8 428 534 75 24 -64 0.80
비교예3 32 1.2 407 504 152 42 -72 0.80
발명예4 12 5.5 441 527 256 108 -92 0.83
발명예5 14 6.0 433 533 246 84 -86 0.81
발명예6 16 6.2 431 540 226 76 -85 0.79
비교예7 34 0.8 412 498 224 45 -68 0.83
발명예8 11 3.4 452 558 231 167 -94 0.81
비교예9 20 0.5 408 476 170 38 -65 0.86
비교예10 18 1.2 468 562 86 34 -58 0.83
비교예11 20 1.8 394 456 206 58 -65 0.86
비교예12 21 1.5 403 487 168 62 -64 0.83
비교예13 22 1.8 407 498 154 30 -62 0.82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성분범위 및 제조조건을 만족하는 발명예(1, 4, 5, 6, 및 8)들은 항복강도(YS), 인장강도(TS), 충격인성, 연성취성천이온도(DBTT) 및 항복비 모두 목표한 물성을 만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발명예(1, 4, 5, 6, 및 8)들은 항복강도 420MPa이상, 인장강도 520MPa 이상, -60℃에서 충격인성 200J이상, DBTT -80℃이하, 항복비 0.85이하의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강 성분범위는 만족하지만, 제조조건은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 예를 들면, 조압연 마지막 2패스의 압하율이 미달한 경우 (비교예 2), 냉각마침온도가 지나치게 높은 경우(비교예 3 및 9) 및 냉각속도가 현저하게 느린 경우(비교예 7)에는 인장강도, 모재의 -60℃에서의 충격인성 및 연성취성천이온도(DBTT) 중 적어도 하나의 값이 저하됨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성분범위를 충족하지 않는 경우, 예를 들면, C 함량이 초과된 경우(비교예 10)에는 강도는 목표 수준을 크게 상향하고 있으나, 충격인성이 현저하게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고, Mn, Ni 및 Cu 함량이 각각 미달하는 경우(비교예 11~13)에는 강도가 현저하게 감소하여 목표에 미달하거나 충격인성도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조조건을 충족하지 않는 경우 및 성분 범위을 충족하지 않는 경우 물성이 목표치에 미달하는 원인은 미세조직의 유효 결정립 사이즈, MA 등의 제2상의 분율 등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Claims (7)

  1. 중량%로, C:0.02~0.08%, Si:0.05~0.3%, Mn:1.0~1.8%, Al:0.03%이하("0"은 포함하지 않음), Ni:1.97~2.5%, Cu:0.1~0.7%, Ti:0.003~0.015%, Nb: 0~0.03%, P:0.01%이하, S:0.005%이하, 나머지는 불가피한 불순물 및 Fe를 포함하고, 미세조직은 2~10vol%의 MA(마르텐사이트/오스테나이트 혼합조직)와 90vol% 이상의 에시큘러 페라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에시큘러 페라이트의 유효 결정립의 평균 크기는 3~25 마이크론인 저항복비 특성 및 저온인성이 우수한 후 강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판의 에시큘러 페라이트의 유효 결정립 함량은 70vol%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복비 특성 및 저온인성이 우수한 후 강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판은 0.85이하의 항복비, 490MPa이상의 인장강도, -60℃에서 200J이상의 충격흡수에너지 및 -80℃이하의 연성-취성 천이온도(DBTT)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복비 특성 및 저온인성이 우수한 후 강판.
  4. 중량%로, C:0.02~0.08%, Si:0.05~0.3%, Mn:1.0~1.8%, Al:0.03%이하("0"은 포함하지 않음), Ni:1.97~2.5%, Cu:0.1~0.7%, Ti:0.003~0.015%, Nb:0~0.03%, P:0.01%이하, S:0.005%이하, 나머지는 불가피한 불순물 및 Fe를 포함하는 강 슬라브를 가열하여 재결정역 열간압연을 행한 다음, 미재결정역 열간압연을 행한 후, 강판 두께 1/4지점에서 5~15℃/s의 냉각속도로 300~550℃의 냉각마침온도까지 냉각하는 저항복비 특성 및 저온인성이 우수한 후 강판의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속도는 10~15℃/초이고, 그리고 상기 냉각마침온도는 450~5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복비 특성 및 저온인성이 우수한 후 강판의 제조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재결정역 열간압연의 마지막 두패스의 압하율이 각각 15~25%이고, 그리고 상기 미재결정역 열간압연의 누적압하율이 50~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복비 특성 및 저온인성이 우수한 후 강판의 제조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재결정역 열간압연 종료온도는 1000~1100℃이고, 그리고 상기 미재결정역 열간압연 종료온도는 740~7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복비 특성 및 저온인성이 우수한 후 강판의 제조방법.
KR1020110145215A 2011-12-28 2011-12-28 저항복비 특성 및 저온인성이 우수한 후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4032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5215A KR101403224B1 (ko) 2011-12-28 2011-12-28 저항복비 특성 및 저온인성이 우수한 후 강판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5215A KR101403224B1 (ko) 2011-12-28 2011-12-28 저항복비 특성 및 저온인성이 우수한 후 강판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6577A KR20130076577A (ko) 2013-07-08
KR101403224B1 true KR101403224B1 (ko) 2014-06-02

Family

ID=48990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5215A KR101403224B1 (ko) 2011-12-28 2011-12-28 저항복비 특성 및 저온인성이 우수한 후 강판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32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32148A (zh) * 2014-12-10 2015-04-22 南京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800MPa级低焊接裂纹敏感性调质型水电用钢板
KR101799202B1 (ko) 2016-07-01 2017-11-20 주식회사 포스코 저항복비 특성 및 저온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917451B1 (ko) 2016-12-21 2018-11-09 주식회사 포스코 저온인성이 우수한 저항복비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899694B1 (ko) * 2016-12-23 2018-09-17 주식회사 포스코 저온 충격인성 및 ctod 특성이 우수한 후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999018B1 (ko) * 2017-12-24 2019-07-10 주식회사 포스코 저온인성이 우수한 후강판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0230B1 (ko) 2005-12-26 2006-12-21 주식회사 포스코 두께 중심부의 강도와 인성이 우수한 용접구조용 극후물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58058A (ko) * 2007-12-04 2009-06-09 주식회사 포스코 저온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라인파이프용 강판 및 그제조방법
KR20090070485A (ko) * 2007-12-27 2009-07-01 주식회사 포스코 모재 ctod특성이 우수한 고강도 고인성 후강판 및 그제조방법
KR20090070484A (ko) * 2007-12-27 2009-07-01 주식회사 포스코 후물 고강도 고인성 강판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0230B1 (ko) 2005-12-26 2006-12-21 주식회사 포스코 두께 중심부의 강도와 인성이 우수한 용접구조용 극후물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58058A (ko) * 2007-12-04 2009-06-09 주식회사 포스코 저온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라인파이프용 강판 및 그제조방법
KR20090070485A (ko) * 2007-12-27 2009-07-01 주식회사 포스코 모재 ctod특성이 우수한 고강도 고인성 후강판 및 그제조방법
KR20090070484A (ko) * 2007-12-27 2009-07-01 주식회사 포스코 후물 고강도 고인성 강판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6577A (ko) 2013-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40486B2 (ja) 極低温靭性に優れた高強度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CN104854252B (zh) 极低温韧性优异的厚钢板
JP5487892B2 (ja) 低温靭性の優れた低降伏比高張力鋼板の製造方法
JP7147960B2 (ja) 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403224B1 (ko) 저항복비 특성 및 저온인성이 우수한 후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2045641B1 (ko) 저온에서의 내파괴 특성이 우수한 극지 환경용 고강도 강재 및 그 제조방법
CN105579602A (zh) 多层焊接接头ctod特性优良的厚钢板及其制造方法
CN108026618A (zh) 结构用高强度厚钢板及其制造方法
JP5612532B2 (ja) 低温靭性および溶接継手破壊靭性に優れた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891836B2 (ja) 大入熱溶接における溶接熱影響部の靭性に優れた鋼板
KR102164116B1 (ko) 수소유기균열 저항성이 우수한 강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465088B1 (ko) 저온 인성이 우수한 저탄소 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방법
JP7372325B2 (ja) 低温破壊靭性及び伸びに優れた高強度鋼板、並びにその製造方法
KR101758481B1 (ko) 내식성 및 저온인성이 우수한 파이프용 강재 및 그 제조방법
WO2013175745A1 (ja) 脆性き裂伝播停止特性に優れた構造用高強度厚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406527B1 (ko) 대입열 용접열영향부 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극후물 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092292A (ko) 내수소 취성이 우수한 Cr계 스테인리스 강판
KR20170086102A (ko) 고강도 극후 강판 및 그의 제조 방법
JP2020537714A (ja) 表面品質に優れた低温用高マンガン鋼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4284258B2 (ja) 低降伏比で靭性および溶接継手部靭性に優れた鋼板とその製法
KR101403062B1 (ko) 해양구조물용 초고강도 후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2239631B1 (ko) 고강도 후강판 및 그의 제조 방법
JP6504131B2 (ja) 高強度厚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22505582A (ja) 耐腐食性に優れた極低温用オーステナイト系高マンガン鋼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7468814B1 (ja) 高強度極厚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