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3062B1 - 해양구조물용 초고강도 후 강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해양구조물용 초고강도 후 강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3062B1
KR101403062B1 KR1020110145216A KR20110145216A KR101403062B1 KR 101403062 B1 KR101403062 B1 KR 101403062B1 KR 1020110145216 A KR1020110145216 A KR 1020110145216A KR 20110145216 A KR20110145216 A KR 20110145216A KR 101403062 B1 KR101403062 B1 KR 1014030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sheet
less
precipitates
vol
hot ro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5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6578A (ko
Inventor
김우겸
방기현
서인식
장성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101452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3062B1/ko
Publication of KR201300765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65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30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30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3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226Hot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47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 C21D8/0263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following hot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1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2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molybdenum or tungste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2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obium or tantal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2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titanium or zirconiu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600MPa 이상의 인장강도를 가지고 저온인성이 우수한 해양구조물용 초고강도 후 강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중량 %로, C:0.02~0.08%; Si:0.03~0.4%; Mn:0.5~2.0%; Al:0.03%이하(0은 포함하지 않음); Nb:0.005~0.05%; Ti:0.005~0.03%; Cr:0.05~0.3% 및 Mo:0.05~0.3% 중 1종 또는 2종; P:0.01%이하; S:0.005%이하; 나머지는 불가피한 불순물 및 Fe를 포함하고, 미세 조직은 60vol% 이상의 베이나이트 및 40vol% 이하의 에시큘러 페라이트를 포함하고, 미세조직에는 2~10nm의 Cr석출물, Mo 석출물 및 Cr-Mo 석출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석출물이 분산되어 있는 해양구조물용 초고강도 후 강판 및 그 제조방법을 그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해양구조물용 초고강도 후 강판 및 그 제조방법{Thick Steel Plate for Offshore Structure Having Ultra-High Strength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teel Plate}
본 발명은 원유, 가스등을 시추, 정제, 저장, 생산하는 해양구조물, 선박 등에 적용되는 해양구조물용 초고강도 후 강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600MPa 이상의 인장강도를 갖고 저온인성이 우수한 해양구조물용 초고강도 후 강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해양구조물은 원유, 가스등을 시추, 정제, 저장, 생산하는 대형 구조물로서 파도, 폭풍 등의 험한 환경에서 장시간 안정성을 유지하여야 하므로 이러한 해양구조물에 적용되는 강재로는 고강도 및 저온인성이 우수한 후 강판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구조물의 다목적화로 인한 대형화의 추세, 고정식 구조물에서 부유식 구조물로의 전환으로 인한 경량화를 위한 고강도화가 중요시되고 있다.
해양구조물에 적용되는 강재에 관한 기술로는 일본 특허 공개 2009-149950 등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일본특허 공개 2009-149950에서는 용접열 영향부 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 (인장강도: 580MPa)을 제조하기 위하여 압연종료 온도 750℃이상, 냉각정지온도 300~600℃까지 가속냉각을 행한 후 0.5℃/초 이상의 승온 속도로 570~700℃까지 재가열을 행하고, 또한 이러한 가속냉각 후 급속가열을 통해 Nb와 V, Ti의 1종 또는 2종을 함유하는 미세한 복합 탄화물의 분산석출로 고강도를 구현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일본특허 공개 2009-149950에서의 기술은 재가열 후 냉각(템퍼링)을 행하여야 하고, 또한 합금원소를 다량으로 첨가하여야 하므로,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600MPa 이상의 인장강도를 갖고 저온 충격인성 및 용접부 인성이 우수한 해양구조물용 초고강도 후 강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600MPa 이상의 인장강도를 갖고 저온 충격인성 및 용접부 인성이 우수한 해양구조물용 초고강도 후 강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중량 %로, C:0.02~0.08%; Si:0.03~0.4%; Mn:0.5~2.0%; Al:0.03%이하(0은 포함하지 않음); Nb:0.005~0.05%; Ti:0.005~0.03%; Cr:0.05~0.3% 및 Mo:0.05~0.3% 중 1종 또는 2종; P:0.01%이하; S:0.005%이하; 나머지는 불가피한 불순물 및 Fe를 포함하고, 미세 조직은 60vol% 이상의 베이나이트 및 40vol% 이하의 에시큘러 페라이트를 포함하고, 미세조직에는 2~10nm의 Cr석출물, Mo 석출물 및 Cr-Mo 석출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석출물이 분산되어 있는 해양구조물용 초고강도 후 강판이 제공된다.
상기 강판에는 Cu:0.1~0.5% 및 Ni:0.5~3.0%의 1종 또는 2종이 추가로 함유될 수 있다.
상기 강판의 미세조직에는 MA(마르텐사이트/오스테나이트 혼합조직) 및 탄화물 중 1종 이상이 5vol% 이하로 함유될 수 있다.
상기 강판은 600MPa 이상의 인장강도를 갖고, 또한 바람직하게는 500MPa이상의 항복강도 및 -60℃이하에서 100J이상의 충격흡수에너지를 갖는다.
상기 강판을 템퍼링하는 경우에는 템퍼링 후의 강판은 -80℃에서 100J이상의 충격흡수에너지를 가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중량 %로, C:0.02~0.08%; Si:0.03~0.4%; Mn:0.5~2.0%; Al:0.03%이하(0은 포함하지 않음); Nb:0.005~0.05%; Ti:0.005~0.03%; Cr:0.05~0.3% 및 Mo:0.05~0.3% 중 1종 또는 2종; P:0.01%이하; S:0.005%이하; 나머지는 불가피한 불순물 및 Fe를 포함하는 강 슬라브를 가열하여 재결정역 열간압연(조압연)한 다음, 미재결정역 열간압연(사상압연)한 후, 냉각하는 해양구조물용 초고강도 후 강판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강 슬라브에는 Cu:0.1~0.5% 및 Ni:0.5~3.0%의 1종 또는 2종이 추가로 함유될 수 있다.
상기 후 강판의 제조방법에서 재결정역 열간압연(조압연)시 마지막 2패스의 압하율은 각각 15~25%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후 강판의 제조방법에서 미재결정역 열간압연(사상압연) 후 행하는 냉각 시 냉각속도는 강판 두께 1/4지점에서 2~10℃/s로 설정하고, 냉각마침온도는 350~550℃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미재결정역 열간압연 시 누적압하율은 50~60%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보다 우수한 충격인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500~550℃에서 템퍼링을 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강판의 자체 템퍼링 효과를 이용하여 템퍼링 공정 없이 초고강도 해양구조물용 후 강판의 제조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인장강도 600MPa이상이고 -60℃에서 충격흡수에너지가 100J이상인 해양구조물용 강판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라 미재결정역 열간압연하고 냉각한 후의 강판 중심부의 온도 분포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는 석출상 생성 온도/시간과 강판의 두께 위치별 냉각 관계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은 강판 자체의 셀프 템퍼링으로 제조된 강판의 중심부 조직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본 발명에서는 강 조성과 제조조건을 적절히 제어하여 강판의 조직이 60vol% 이상의 베이나이트 및 40vol% 이하의 에시큘러 페라이트를 포함하도록 함과 함께 미세조직에 2~10nm의 Cr석출물, Mo 석출물 및 Cr-Mo 석출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석출물이 분산되도록 한다.
상기 석출물의 형성을 위해서는 강 조성, 특히, Cr 및 Mo 함량과 제조조건, 특히, 미재경정영역 열간압연 후 행하는 냉각 시, 냉각속도 및 냉각마침온도의 제어가 중요하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2~10nm의 Cr석출물, Mo 석출물 및 Cr-Mo 석출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석출물이 형성되는 강 조성 및 제조조건을 찾기 위하여 오랜 연구 및 실험을 향하였다.
상기 석출물의 분산에 의해 중심부의 고강도화를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중심부 이외의 부분에서는 미세한 석출물의 양은 줄어들지만 경한 베이나이트 조직의형성에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후강판(60mm이상)에서 적정 냉각마침온도를 이용하여 중심부에서 일어나는 셀프 템퍼링을 통해 재가열 후 냉각(템퍼링)을 생략할 수 있다.
보다 우수한 충격인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500~550℃정도의 템퍼링을 행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충격인성은 -80℃에서 100J이상의 값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강도 및 인성을 확보하기 위해 강판 자체의 복열 후 셀프 템퍼링 효과를 이용함으로써 템퍼링에 의한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소량의 Mo, Cr의 첨가로 석출 강화를 활용하기 때문에 합금원소를 다량으로 첨가할 필요가 없어 저비용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는 해양구조물용 초 고강도 후 강판에 대하여 설명한다.
C:0.02~0.08중량% (이하, '%' 라 칭함))
C은 강의 강도와 미세조직 형성에 있어 가장 중요한 성분으로서, 적절한 범위내에서 강 중에 함유되어야 한다. 그러나 C 함량이 0.08%를 초과하게 되면 저온인성을 저하시키고, MA 형성을 조장하여 용접 HAZ부 인성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반면에, 0.02% 미만이 되면 필요 최소한의 모재 강도가 얻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C 함량은 0.02~0.08%로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i:0.03~0.4%
Si는 탈산제로 유용한 원소이지만 그 함량이 0.4% 초과인 경우 인성의 저하와 용접성을 악화시킨다.
따라서, Si 함량은 0.03~0.4%로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Mn:0.5~2.0%
Mn은 고용강화에 의해 강도를 향상시키고, 결정립 미세화 및 모재 인성을 개선하는 효과를 가진다. 그러나 0.2%를 초과한 첨가는 경화능의 증가로 용접부의 인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따라서, Mn 함량은 0.5~2.0%로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0.01% 이하
P는 강도향상과 내식성에 유리한 원소이지만, 충격인성을 크게 저해하는 원소이므로 가능한 낮게 하는 것이 유리하므로 그 상한은 0.01%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0.005%이하
S는 MnS 등을 형성하여 충격인성을 크게 저해하므로 가능한 낮게 하는 것이 유리하므로 그 상한은 0.005%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l:0.03%이하(0은 포함하지 않음)
Al는 효과적으로 탈산을 할 수 있는 원소이므로 소량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적은 양의 C로도 MA 형성을 조장할 수 있으므로 그 함량은 0.03%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i:0.005~0.03%
Ti는 N과 질화물을 형성하여 HAZ부의 결정립을 미세화하여 HAZ 인성을 개선하는 효과를 가진다. 이러한 효과를 충분히 확보하기 위해서는 그 함량은 0.005~0.03%로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Nb:0.005~0.05%
Nb는 NbC, NbCN의 형태로 석출하여 모재의 강도를 크게 향상시키고 페라이트, 베이나이트의 변태를 억제하여 결정립을 미세화한다. 이러한 Nb의 첨가효과를 유효하게 발휘하기 위해서 Nb은 0.005%이상이 첨가되어야 한다. 하지만 0.05%를 초과하여 첨가되는 경우에는 HAZ 인성의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Nb 함량은 0.005~0,05%로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r:0.05~0.3%
Cr은 저탄소계에서 템퍼링을 통해 석출강화가 나타나는 원소로서 강도향상에 유효한 원소지만 0.3%를 초과하여 함유될 경우 용접성 및 인성의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Cr 함량은 0.05~0,3%로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Mo:0.05~0.3%
Mo는 Cr과 마찬가지로 저탄소계에서 템퍼링을 통해 석출강화가 나타나는 원소로서 강도향상에 유효한 원소지만 0.3%를 초과하여 함유될 경우 용접성 및 인성의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Mo 함량은 0.05~0,3%로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성분들 외에도 필요에 따라 Ni:0.5~3.0% 및 Cu:0.1~0.5% 중 1종 또는 2종을 추가로 첨가할 수 있다.
Ni:0.5~3.0%
Ni은 모재의 강도와 인성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는 원소이지만, 고가의 원소이므로 3.0%이하로 첨가하는 것이 유리하고, 다량이 첨가될 경우 용접성이 열화될 수 있다.
Cu:0.1~0.5%
Cu는 고용강화 및 석출강화에 의하여 모재의 인성 저하를 최소화하면서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원소이고, 충분한 강도향상의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0.3%정도가 함유되어야 하지만, 과도한 첨가는 표면의 불량을 야기할 수 있으므로 0.5%이하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 강판의 미세조직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강판의 미세 조직은 60vol% 이상의 베이나이트 및 40vol% 이하의 에시큘러 페라이트를 포함하고, 미세조직에는 2~10nm의 Cr석출물, Mo 석출물 및 Cr-Mo 석출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석출물이 분산되어 있다.
상기 강판의 미세조직 중 베이나이트 함량이 너무 적은 경우에는 강도가 떨어지므로, 그 함량은 60vol% 이상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의 강도 확보는 베이나이트 조직과 상기한 수 나노미터의 미세한 석출물을 통해 가능하다.
상기 강판의 미세조직에는 상기 베이나이트 및 에시큘러 페라이트 이외에 MA(마르텐사이트/오스테나이트 혼합조직) 및 탄화물 중 1종 이상이 5vol% 이하로 함유될 수 있다.
상기 MA 및 탄화물 중 1종 이상이 함유되는 경우에는 강도가 향상된다. 그러나, 그 함량이 5vol%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인성이 저하된다.
도 3에는 본 발명 강판의 일례에 대한 미세조직이 나타나 있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강판은 베이나이트 조직을 포함하고, 투과전자현미경 (TEM) 관찰 결과, 이 조직 내에 수 나노미터의 Cr, Mo, Cr-Mo 석출물이 중심부에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르는 해양구조물용 초 고강도 후 강판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와 같이 조성되는 강 슬라브를 가열하여 재결정역 열간압연(조압연)한 다음, 미재결정역 열간압연(사상압연)한 후, 냉각하여 해양구조물용 초 고강도 후 강판을 제조한다.
상기 강 슬라브의 가열온도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1050~115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열온도가 너무 높다면, 오스테나이트의 결정립이 조대화하고 인성을 떨어뜨릴 우려가 있고, 너무 낮다면, Ti, Nb 등을 충분히 고용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우려가 있으므로, 상기 강 슬라브의 가열온도는 1050~1150℃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재결정역 열간압연은 마지막 2패스의 압하율을 각각 15~25%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재결정영역에서 마지막 2패스의 압하율을 15~25%로 하는 경우에는 오스테나이트를 완전 재결정화할 수 있고 오스테나이트의 미세화 및 성장억제가 가능해 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재결정역 열간압연 종료온도는 1000~1100℃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미재결정역 열간압연은 Ar3온도 이상에서 완료하고, 누적압하율은 40~60%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재결정역 열간압연 종료온도는 750℃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750~780℃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미재결정역 열간압연 후 냉각은 두께 1/4지점에서 2~10℃/s의 냉각속도로 350℃~550℃의 냉각마침온도까지 행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강도 확보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이, 미재결정역 열간압연 후 냉각하는 경우에는 상기 냉각 마침 온도구간에서 60mm이상의 후 강판에서는, 도 1에도 나타난 바와 같이, 복열 현상이 일어나 중심부는 450~650℃의 온도에서 수분 간 유지된다.
이러한 온도에서 수분 간 유지된 후, 공냉이 되면, 즉 강판의 셀프 템퍼링이 이루어지게 되고 석출상들이 시간과 온도에 따라 석출하게 된다,
도 2에는 석출상과 냉각곡선과의 관계가 도식적으로 나타나 있다.
미재결정역 열간압연 후 냉각 시 강판의 중심부 온도가 450℃미만이거나 65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미세한 석출상이 형성되지 않고 조대한 세멘타이트로 잔류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적정 냉각 마침 온도가 필요하다.
이렇게 얻어진 강판의 충격인성은 -60℃에서 100J이상의 값을 보인다.
본 발명에서는 필요에 따라, 보다 우수한 충격인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500~550℃에서 템퍼링을 추가로 행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충격인성은 -80℃에서 100J이상의 값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라 제조된 강판은 미세조직으로 60vol% 이상의 베이나이트 및 40vol% 이하의 에시큘러 페라이트를 포함하고, 냉각 후 복열 및 셀프 템퍼링 과정을 통하여 2~10nm의 Cr석출물, Mo 석출물 및 Cr-Mo 석출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석출물이 균일하게 분산된다.
본 발명에서는 합금성분, 압연 및 냉각의 조건을 최적화하여 강판 자체의 셀프 템퍼링을 통해 중심부 강도가 매우 우수한 강판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강도 확보는 냉각을 통해 얻어진 경한 베이나이트 조직과 복열 및 셀프 템퍼링으로 얻어진 수 나노미터의 미세한 석출물을 통해 가능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다.
(실시예)
하기 표 1과 같은 조성을 갖는 용강을 마련한 후 연속주조를 이용하여 강슬라브를 제조하였다. 강종 발명강 A~H는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성분범위를 충족하는 강판을 의미한다. 비교강 I~M은 본 발명의 합금성분을 충족하지 못하는 강판으로서, 비교강 I 및 J는 Cr 및 Mo의 함량이 본 발명 범위를 벗어난 강판이고, 비교강 K~M은 Cr 및 Mo의 성분을 첨가하지 않은 강판이다.
하기 표 1의 A~M의 강 슬라브를 하기 표 2의 제조조건으로 압연, 냉각하여 후강판을 제조하였다. 하기 표 2에는 조압연(재결정역압연)에서 마지막 2패스의 압하율, 냉각마침온도, 냉각속도 및 템퍼링 온도 등이 나타나 있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후 강판에 대하여 미세조직, 석출상 유무, 및 기계적 성질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3에서 베이나이트이외의 상은 에시큘러 페라이트이다.
하기 표 3에서의 모재의 인장강도(표 3에서 TS로 표시됨) 및 항복강도(표 3에서 YS로 표시됨)는 강판의 1/4T(강판두께) 및 1/2T(강판두께) 부위로부터 압연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JIS10호 시편을 채취하여 상온에서 인장시험을 실시하여 측정한 값을 나타낸다.
또한, 하기 표 3에서의 모재의 저온인성은 강판의 1/2T(강판두께) 부위로부터 압연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시편을 채취하여 V노치 시험편을 제작 후 -60℃, 및 -80℃에서 샤르피 충격시험을 5회 실시하여 평균을 구하여 나타낸 값이다.
또한, 표 3에서의 HAZ부 저온인성은 5.0kJ/cm의 입열량으로 실용접된 강판의 용접부 용융선(fusion line)에서 샤르피 시편을 채취하여 -40℃에서 샤르피 충격시험을 각 5회씩 실시하여 그 평균값을 구하여 나타낸 것이다.
강종 C Si Mn P S Al Ni Cu Nb Ti N Cr Mo
발명강 A 0.058 0.121 1.589 0.0055 0.0011 0.012 1.07 0.246 0.012 0.010 0.0037 0.16 0.15
발강명 B 0.054 0.119 1.558 0.0058 0.0012 0.011 1.05 0.242 0.012 0.012 0.0043 0.18 0.17
발명강 C 0.063 0.124 1.562 0.0062 0.0012 0.011 1.10 0.258 0.011 0.011 0.0039 0.2 0.16
발명강 D 0.064 0.122 1.480 0.0071 0.0013 0.010 1.08 0.243 0.013 0.012 0.0052 0.17 0.16
발명강 E 0.057 0.118 1.598 0.075 0.0014 0.013 1.12 0.255 0.014 0.012 0.0048 0.18 0.21
발명강 F 0.074 0.122 1.750 0.0079 0.0015 0.009 - - 0.023 0.015 0.0047 0.24 0.25
발명강 G 0.072 0.119 1.842 0.0068 0.0013 0.012 - - 0.019 0.014 0.0052 0.22 0.26
발명강 H 0.071 0.120 1.854 0.0065 0.0011 0.010 - - 0.021 0.011 0.0048 0.26 0.25
비교강 I 0.052 0.122 1.542 0.0063 0.0014 0.011 1.12 0.238 0.009 0.009 0.0051 0.02 0.03
비교강 J 0.054 0.120 1.551 0.0064 0.0012 0.015 1.11 0.264 0.010 0.011 0.0052 0.02 0.02
비교강 K 0.061 0.122 1.560 0.0063 0.0012 0.009 1.11 0.252 0.013 0.009 0.0045 - -
비교강 L 0.057 0.121 1.521 0.0075 0.0013 0.012 1.05 0.237 0.012 0.010 0.0056 - -
비교강 M 0.066 0.119 1.545 0.0070 0.0013 0.014 1.08 0.241 0.013 0.011 0.0055 - -
시험
번호
강종 조압연
종료
온도
(℃)
마지막 2패스 압하율
(%)
사상
압연
개시온도
(℃)
사상
압연
종료온도(℃)
압하율
(%)
냉각
시작
온도
(℃)
냉각
마침
온도
(℃)
냉각
속도
(℃/초)
템퍼링 온도
(℃)
발명예1 A 1066 15.2/19.6 773 765 45 736 420 3.5 -
발명예2 B 1059 16.3/21.5 780 775 43 742 450 3.6 -
비교예3 B 1068 16.3/21.8 779 768 45 740 610 3.8 -
발명예4 C 1068 16.2/23.4 778 762 55 738 428 3.8 -
발명예5 C 1065 17.8/23.5 776 763 45 734 368 3.5 550
발명예6 D 1066 18.4/24.2 778 768 48 734 383 4.2 550
발명예7 E 1060 16.2/22.8 779 770 45 738 412 3.3 -
발명예8 F 1069 18.5/20.0 782 770 45 735 378 4.1 -
발명예9 G 1068 17.8/21.4 772 765 52 735 505 3.7 -
발명예10 G 1064 19.5/22.5 776 759 47 738 352 3.4 550
발명예11 H 1065 16.1/23.4 775 758 45 736 421 3.7 -
비교예12 I 1070 18.5/21.2 773 762 49 738 406 3.5 -
비교예13 I 1064 20.1/23.5 775 762 52 740 380 3.7 550
비교예14 J 1068 18.6/23.2 776 763 48 742 486 3.7 -
비교예15 J 1066 17.2/21.3 769 759 45 735 413 4.2 550
비교예16 K 1065 15.8/24.3 768 757 45 734 468 3.2 -
비교예17 K 1059 11.5/23.2 775 758 46 734 408 3.5 550
비교예18 L 1066 18.5/22.1 772 762 44 742 415 4.1 -
비교예19 M 1065 17.8/23.5 776 763 45 734 475 4.7 -
시험
번호
베이나이트분율
(vol%)
석출상
유무
1/4T
YS
(MPa)
1/4T
TS
(MPa)
1/2T
YS
(MPa)
1/2T
TS
(MPa)
모재인성
CVN
(-60℃)
(J)
모재인성
CVN
(-80℃)
(J)
HAZ 인성
CVN
(-40℃)
(J)
발명예1 75 524 618 518 612 208 75 156
발명예2 68 531 621 524 618 189 102 185
비교예3 25 - 489 587 475 582 152 42 158
발명예4 65 534 625 528 620 148 108 176
발명예5 70 514 618 518 622 212 184 166
발명예6 63 509 613 511 616 224 156 188
발명예7 71 523 624 516 621 189 167 155
발명예8 72 519 621 522 620 170 38 185
발명예9 68 535 628 524 629 168 42 195
발명예10 69 512 608 514 611 206 158 166
발명예11 64 522 621 517 618 204 62 183
비교예12 66 - 487 584 475 574 154 30 163
비교예13 55 - 478 594 471 579 164 120 187
비교예14 62 - 481 587 476 582 184 31 154
비교예15 53 - 484 579 485 581 132 105 162
비교예16 52 - 475 568 469 561 204 24 204
비교예17 63 - 468 559 462 564 215 162 212
비교예18 40 - 473 559 468 551 185 50 184
비교예19 41 - 468 554 471 563 184 76 153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성분범위 및 제조조건을 만족하는 발명예들은 항복강도, 인장강도, 모재 충격인성 및 HAZ 충격인성 모두 목표한 물성을 만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냉각 후, 템퍼링을 생략한 제조조건에서도 적정 냉각마침온도를 통해 강재의 자체적인 템퍼링 효과로 인해 목표한 강도를 초과하고 있으며, -60℃에서 100J이상의 충격인성을 나타내고 있고. 또한 템퍼링을 실시한 경우 강도의 약간 하락이 존재하지만 -80℃에서 100J이상의 충격인성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강 성분범위는 만족하지만, 제조조건은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 예를 들면, 냉각마침온도가 지나치게 높은 경우(비교예 3)에는 강판의 강도가 목표에 미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는 석출상이 형성되지 않은 것에 기인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본 발명의 성분범위를 충족하지 않는 경우, 예를 들면, Mo 및 Cr의 성분이 미달하거나(비교예 12~15), 첨가하지 않은 경우(비교예 16~19)에는 강도가 현저하게 감소하여 목표에 미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미세한 Mo, Cr 석출물이 형성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며, 템퍼링을 수행한 경우에도 미세 석출물이 형성되지 않아 강도는 더욱 감소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비교예 15 및 17).

Claims (9)

  1. 중량 %로, C:0.02~0.08%; Si:0.03~0.4%; Mn:0.5~2.0%; Al:0.03%이하(0은 포함하지 않음); Nb:0.005~0.05%; Ti:0.005~0.03%; Cr:0.05~0.3% 및 Mo:0.05~0.3% 중 1종 또는 2종; N: 0.0052% 이하(0%는 제외); P:0.01%이하; S:0.005%이하; 나머지는 불가피한 불순물 및 Fe를 포함하고, 미세 조직은 60vol% 이상의 베이나이트 및 40vol% 이하의 에시큘러 페라이트를 포함하고, 미세조직에는 2~10nm의 Cr석출물, Mo 석출물 및 Cr-Mo 석출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석출물이 분산되어 있고, 60mm 이상의 두께를 갖는 것인 해양구조물용 초고강도 후 강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판에는 Cu:0.1~0.5% 및 Ni:0.5~3.0%의 1종 또는 2종이 추가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구조물용 초고강도 후 강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판은 600MPa 이상의 인장강도, 500MPa이상의 항복강도 및 -60℃이하에서 100J이상의 충격흡수에너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구조물용 초고강도 후 강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조직에는 MA(마르텐사이트/오스테나이트 혼합조직) 및 탄화물 중 1종 이상이 5vol% 이하로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구조물용 초고강도 후 강판.
  5. 중량 %로, C:0.02~0.08%; Si:0.03~0.4%; Mn:0.5~2.0%; Al:0.03%이하(0은 포함하지 않음); Nb:0.005~0.05%; Ti:0.005~0.03%; Cr:0.05~0.3% 및 Mo:0.05~0.3% 중 1종 또는 2종; N: 0.0052% 이하(0%는 제외), P:0.01%이하; S:0.005%이하; 나머지는 불가피한 불순물 및 Fe를 포함하는 강 슬라브를 가열하여 재결정역 열간압연을 행한 다음, 미재결정역 열간압연을 행하여 두께 60mm 이상의 열연강판을 제조한 후, 상기 열연강판의 두께 1/4지점에서 2~4.2℃/s의 냉각속도로 350~550℃의 냉각마침온도까지 냉각하여,
    미세 조직으로 60vol% 이상의 베이나이트 및 40vol% 이하의 에시큘러 페라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미세 조직에는 2~10nm의 Cr석출물, Mo 석출물 및 Cr-Mo 석출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석출물이 분산된 해양구조물용 초고강도 후 강판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강 슬라브에는 Cu:0.1~0.5% 및 Ni:0.5~3.0%의 1종 또는 2종이 추가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구조물용 초 고강도 후 강판의 제조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재결정역 열간압연의 마지막 두패스의 압하율이 각각 15~25%이고, 그리고 상기 미재결정역 열간압연의 누적압하율이 50~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구조물용 초고강도 후 강판의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재결정역 열간압연 종료온도는 1000~1100℃이고, 그리고 상기 미재결정역 열간압연 종료온도는 750~7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구조물용 초고강도 후 강판의 제조방법.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후 상기 강판을 500~550℃에서 템퍼링하는 공정을 추가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구조물용 초고강도 후 강판의 제조방법.
KR1020110145216A 2011-12-28 2011-12-28 해양구조물용 초고강도 후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4030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5216A KR101403062B1 (ko) 2011-12-28 2011-12-28 해양구조물용 초고강도 후 강판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5216A KR101403062B1 (ko) 2011-12-28 2011-12-28 해양구조물용 초고강도 후 강판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6578A KR20130076578A (ko) 2013-07-08
KR101403062B1 true KR101403062B1 (ko) 2014-06-02

Family

ID=48990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5216A KR101403062B1 (ko) 2011-12-28 2011-12-28 해양구조물용 초고강도 후 강판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30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9235B1 (ko) * 2017-09-25 2019-06-13 현대제철 주식회사 Tmcp 강재 및 그 제조 방법
CN114164374A (zh) * 2021-11-12 2022-03-11 哈尔滨工程大学 一种5~60mm厚850MPa级高强度高韧性易焊接纳米钢及其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0230B1 (ko) 2005-12-26 2006-12-21 주식회사 포스코 두께 중심부의 강도와 인성이 우수한 용접구조용 극후물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58058A (ko) * 2007-12-04 2009-06-09 주식회사 포스코 저온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라인파이프용 강판 및 그제조방법
KR20090070484A (ko) * 2007-12-27 2009-07-01 주식회사 포스코 후물 고강도 고인성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70485A (ko) * 2007-12-27 2009-07-01 주식회사 포스코 모재 ctod특성이 우수한 고강도 고인성 후강판 및 그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0230B1 (ko) 2005-12-26 2006-12-21 주식회사 포스코 두께 중심부의 강도와 인성이 우수한 용접구조용 극후물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58058A (ko) * 2007-12-04 2009-06-09 주식회사 포스코 저온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라인파이프용 강판 및 그제조방법
KR20090070484A (ko) * 2007-12-27 2009-07-01 주식회사 포스코 후물 고강도 고인성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70485A (ko) * 2007-12-27 2009-07-01 주식회사 포스코 모재 ctod특성이 우수한 고강도 고인성 후강판 및 그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6578A (ko) 2013-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7453B1 (ko) 극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후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79082B1 (ko) 저항복비형 초고강도 강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951296B1 (ko) 저온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라인파이프용 강판 및 그제조방법
CA3121217C (en) Steel plate having excellent heat affected zone toughnes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KR102131538B1 (ko) 냉간가공성 및 ssc 저항성이 우수한 초고강도 강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585724B1 (ko) 중심부 저온 파괴전파 저항성 및 항복비 특성이 동시에 우수한 후물 라인파이프 강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255821B1 (ko) 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극후물 강재 및 이의 제조방법
JP2021509144A (ja) 疲労亀裂伝播抑制特性に優れた構造用高強度鋼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21508776A (ja) 脆性亀裂伝播抵抗性に優れた構造用鋼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070132B1 (ko) 저온 인성이 우수한 건설용 강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957961B1 (ko) 용접부 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라인파이프 강재 및 그제조방법
KR101257161B1 (ko) 열연강판,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고강도 강관 제조 방법
KR101403062B1 (ko) 해양구조물용 초고강도 후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406527B1 (ko) 대입열 용접열영향부 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극후물 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JP7265008B2 (ja) 水素誘起割れ抵抗性に優れた圧力容器用鋼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131536B1 (ko) 수소유기균열 저항성이 우수한 압력용기용 강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615029B1 (ko)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20200075964A (ko) 초고강도 고인성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185359B1 (ko) 저항복비를 갖는 고강도 api 열연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1185222B1 (ko) 고강도 api 열연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1344610B1 (ko)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0833066B1 (ko) 용접부 물성이 우수한 고강도 라인파이프용 강판 및 그제조방법
US20220243295A1 (en) High strength steel for structure with excellent corrosion resistanc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same
KR101828704B1 (ko) 해양구조물용 극후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1467030B1 (ko) 고강도 강판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