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1296B1 - 저온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라인파이프용 강판 및 그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저온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라인파이프용 강판 및 그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1296B1
KR100951296B1 KR1020070124672A KR20070124672A KR100951296B1 KR 100951296 B1 KR100951296 B1 KR 100951296B1 KR 1020070124672 A KR1020070124672 A KR 1020070124672A KR 20070124672 A KR20070124672 A KR 20070124672A KR 100951296 B1 KR100951296 B1 KR 1009512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sheet
weight
less
steel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4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8058A (ko
Inventor
안성수
유장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701246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1296B1/ko
Priority to US12/746,073 priority patent/US8647564B2/en
Priority to EP08857369A priority patent/EP2240618B1/en
Priority to ES08857369T priority patent/ES2402548T3/es
Priority to PCT/KR2008/006666 priority patent/WO2009072753A1/en
Priority to CN2008801187677A priority patent/CN101883875B/zh
Publication of KR200900580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80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12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12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ungsten, tantalum, molybdenum, vanadium, or niob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226Hot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08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tubular bodies or pipe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In, Mg, or other elements not provided for in one single group C22C38/001 - C22C38/60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ickel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itanium or zirconiu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온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라인파이프용 강판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강도와 저온인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강의 성분과 조직을 정밀히 제어하여 550MPa 이상의 강도를 가지면서도 저온인성이 우수한 강판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강판은 중량%로 C : 0.03 ~ 0.1%, Si : 0.05 ~ 0.4%, Ni : 1.0%이하, Ti : 0.005 ~ 0.03%, Nb : 0.02 ~ 0.10%, P : 0.02%이하, S : 0.005%이하,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내부조직으로 침상형 페라이트와 베이나이트 조직을 합하여 면적분율 기분으로 75%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라인파이프, 고강도, 저온인성, 침상형 페라이트, 베이나이트

Description

저온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라인파이프용 강판 및 그 제조방법{STEEL PLATE FOR LINEPIPE HAVING HIGH STRENGTH AND EXCELLENT LOW TEMPERATURE TOUGHNES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저온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라인파이프용 강판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강도와 저온인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강의 성분과 조직을 정밀히 제어하여 550MPa 이상의 강도를 가지면서도 저온인성이 우수한 강판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라인파이프라 함은 주로 원유나 천연가스의 수송 등을 위하여 지중에 매설되는 강관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상기 라인파이프 내에는 고압의 가스 또는 원유가 흐르기 때문에 높은 압력이 라인파이프에 작용하는 것이 보통이다.
또한, 라인파이프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단위시간당 수송할 수 있는 원유 또는 가스(이하 간단히, '원유 등'이라 칭함)의 양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는데, 이를 위해서는 필연적으로 라인파이프의 구경을 대구경으로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
라인파이프의 구경을 증가시킬 경우에는 그 내부를 흐르는 원유 등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원유 등에 의해 라인파이프에 작용하는 압력도 같이 증가되게 된다. 이러할 경우 라인파이프용 재료는 보다 고강도로 개발될 필요가 있는데, 현재까지는 통상 라인파이프의 강도규격으로 볼 때 X70 등급의 강판을 주로 사용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상기 X70 등급의 강판은 70ksi, 즉 약 480MPa 정도의 강도를 가지는 것으로서, 이러한 강도 등급의 강판을 사용하여 라인파이프를 대구경화시키는 것은 필연적으로 강판 두께의 증가를 요구하게 되어 경제적이지 않다.
따라서, 현재까지 통상 사용되고 있는 라인파이프용 강판에 비하여 그 강도가 향상된 강판에 대한 개발요구는 점점 더 증대되고 있다. 더욱이, 상기 강판이 저온에서 사용될 경우 용접부 및 모재의 인성이 취약하면 급격한 취성파괴로 연결되어 대형사고가 발생될 위험이 있으므로, 인성에 대한 요구도 점점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재료의 강도를 증가시키면 반대로 인성이 감소되는 것이 일반적인 경향이다. 상기의 경향은 통상 첨가되는 합금원소가 강도에는 유리한 영향을 미치더라도 인성을 저해하는 모순된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성분원소의 조정을 가능한한 억제하면서 강의 강도와 인성을 향상시키는 방법, 소위 TMCP(Thermo Mechanical Controlling Process)라 불리는 방법인 내부의 결정립을 작게 하여 인 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경질 조직을 형성시켜서 강도를 향상시키는 방법이 많이 사용되었다.
상기 TMCP 법은 강판에 대하여 기계적 가공과 동시에 열이력을 부여하여 강판의 물성을 원하는 물성으로 변화시키는 가공법을 총칭하는 의미로서, 굉장히 많은 형태로 변경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주로 정해진 온도에서 엄격한 조건하에서 압연하는 제어압연 공정과 적절한 범위의 냉각속도로 강판을 냉각하는 가속냉각 공정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TMCP법을 이용할 경우 강판내부에 미세한 결정립을 형성시키고 조직을 적절히 원하는 형태로 제어함으로써 이론상으로는 원하는 물성을 어느 정도까지는 원할하게 제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TMCP의 가속냉각을 통하여 원하는 강도를 가진 강판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종래기술과 마찬가지로 경질 조직을 형성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TMCP 법에 의해 제조된 강판이라 하더라도 강도가 증가하면 인성이 감소되는 추세에 있는 것은 종래기술상으로는 불가피한 실정이었다.
따라서, 고강도 강재 분야에서는 강재의 강도 수준을 높이기 위하여 지속적으로 연구개발을 실시하는 동시에 저온인성을 확보하기 위한 수단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이 지속적으로 실시되어 왔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여러 가지 방안이 제시되었는데, 제조된 강판에 템퍼링(Tempering)처리 하는 것이 그 중에서도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이다.
예를 들면, 미국 특허 2006-0219332, 5545269, 5755895, 5798004, 5900075, 6045630, 6183573, 6245290, 6532995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연 및 냉각을 완료하는 TMCP 처리를 실시한 후 Ac1 변태온도(가열시 페라이트가 오스테나이트로 변태하는 온도)이하에서 템퍼링을 추가적으로 수행하는 공정이 포함되어 있는 제조방법이 기재되어 있는데, 강판을 냉각한 후에 다시 냉각 후 템퍼링을 실시하기 위하여 재가열을 하여야 하기 때문에 에너지 사용량이 크고, 또한 템퍼링 공정을 별도로 추가하여야 하기 때문에 원가 상승이 유발되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기술들은 제조공정이 모두 저온인성의 관점에서는 균열개시 저항성만을 다루고 있어, API-X80강 이상의 고강도 강에 대하여 저온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은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강재의 성분계, 조직 및 압연방법을 정밀하게 제어하여 항복강도가 높고 저온인성이 우수한 강판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강판은 중량%로 C : 0.03 ~ 0.1%, Si : 0.05 ~ 0.4%, Ni : 1.0%이하, Ti : 0.005 ~ 0.03%, Nb : 0.02 ~ 0.10%, P : 0.02%이하, S : 0.005%이하,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내부조직으로 침상형 페라이트와 베이나이트 조직을 합하여 면적분율 기분으로 75%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강판은 Cu : 1.0 중량% 이하, Cr : 1.0 중량%이하, Mo : 0.2~0.5 중량% 및 Mn : 1.0~2.0 중량%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강판은 Al : 0.005 ~ 0.07중량% 또는 Ca : 0.006중량% 이하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내부조직 중 도상 마르텐사이트(MA)의 함량이 면적 분율 기준으로 10% 이하인 것이 유리하다.
또한, 초기 오스테나이트 결정립도가 2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측면인 라인파이프용 강판의 제조방법은 중량%로 C : 0.03 ~ 0.1%, Si : 0.05 ~ 0.4%, Ni : 1.0%이하, Ti : 0.005 ~ 0.03%, Nb : 0.02 ~ 0.10%, P : 0.02%이하, S : 0.005%이하,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강 슬라브를 1050 ~ 1180℃의 온도로 가열하는 단계; 상기 가열된 슬라브를 오스테나이트 재결정온도 이상의 온도구간에서 20~80%의 압하율로 압연하는 단계; 상기 압연된 슬라브를 오스테나이트 재결정온도 미만, Ar3 이상의 온도 구간에서 40~80%의 압하율로 압연하여 강판으로 제조하는 단계; 상기 압연된 강판을 냉각속도 10 ~ 60℃/sec의 범위로 냉각하는 단계; 상기 강판의 냉각을 300 ~ 600℃의 온도범위에서 냉각 정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Cu : 1.0 중량% 이하, Cr : 1.0 중량%이하, Mo : 0.2~0.5 중량% 및 Mn : 1.0~2.0 중량%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강판은 Al : 0.005 ~ 0.07중량% 또는 Ca : 0.006중량% 이하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오스테나이트 재결정 영역에서의 압연 각 단계의 압하율이 5%이상이며, 평균 압하율이 10%이상, 각 압하 단계 사이의 유지시간을 20초 이내로 하는 것이 유리하다.
또한, 상기 강판의 냉각 정지 후에는 강판을 공냉 또는 방냉시키는 것이 효과적이다.
본 발명에 의할 경우에는 강의 조성을 적절히 제어하고, 오스테나이트 재결정 영역에서의 압연을 제어하여 미세한 초기 오스테나이트를 형성함으로써 충격인성을 확보하기 위한 기초를 마련하고 냉각조건을 최적화하여 침상형 페라이트 및 베이나이트 혼합조직을 효과적으로 생성시키므로써 고강도 고인성의 라인파이프용 강판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에 대하여 깊이 연구한 결과, 강판의 성분계를 적절히 제어하고 압연시 초기 오스테나이트 결정립 크기를 미세하게 조정하여 최종 조직의 결정립을 미세하게 할 뿐만 아니라 그 조직의 종류를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독특한 조직으로 할 경우 강도 및 저온인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
즉, 본 발명은 미세한 결정립을 가진 침상형 페라이트(Acicular Ferrite)와 베이나이트를 형성하여 뛰어난 저온인성을 가지도록 한 고강도 라인파이프 강판과, 상기 강판을 제조하는 특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조건을 강판의 강판의 조성, 내부조직 및 제조방법의 순서대로 상세히 설명한다.
(강판의 조성)
본 발명에서는 그 대상으로 하고 있는 강판의 조성을 충분한 강도와 저온인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이 선정하였다.
C : 0.03 ~ 0.10 중량%
C는 고용강화를 통하여 금속 및 용접부의 기지를 강화하는 가장 효과적인 원소이며, 작은 크기의 세멘타이트, V 및 Nb 탄질화물 및 Mo 탄화물의 형성에 의한 석출경화에 의한 강화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에 더하여, Nb 탄질화물은 열간압연시 오스테나이트 재결정을 억제하고 결정립성장을 막음으로써 결정립 미세화를 통하여 강도 및 저온인성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다. C는 냉각중 강판 내부에 강한 미세조직을 형성시키는 능력인, 경화능을 향상시키는 역할도 한다. 일반적으로 0.03 중량% 미만이 되면 이러한 강화효과를 얻을 수 없으며, 0.1 중량%를 초과하여 첨가하면 현장용접 후 저온균열을 포함하여 기지금속 및 용접 열영향부의 인성을 저하시키게 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04~0.08 중량%를 첨가하는 것이 좋다.
Si : 0.05 ~ 0.4 중량%
Si는 Al을 보조하여 용강을 탈산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고용강화 원소로도 효과를 나타낸다. Si을 0.4중량% 이상으로 과다하게 첨가하면 현장 용접성 및 용접 열영향부의 인성을 매우 저하시킨다. Al 혹은 Ti가 탈산하는 역할을 수행하므로 탈산을 위하여 Si를 반드시 첨가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다.
Ni : 1.0 중량% 이하
Ni은 저탄소강에서 현장용접성 및 저온인성을 해지지 않고 물성을 향상시키는 원소이다. Mn 및 Mo에 비하여, Ni은 저온인성을 저하시키는 도상 마르텐사이트 등의 경질상을 적게 형성시키고, 용접열영향부의 인성을 향상시킨다. 아울러 연속주조 및 열간압연시 Cu 첨가강에서 발생하는 표면균열발생을 억제시킨다. 그러나, Ni은 고가원소이고 과다한 Ni의 첨가는 용접열영향부의 인성을 오히려 저하시킨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2~0.8 중량%를 첨가하는 것이 좋다.
Ti : 0.005~0.03 중량%
Ti은 미세한 Ti 질화물(TiN)을 형성하여 슬라브 가열시 오스테나이트 결정립 조대화를 억제함으로써 결정립 미세화에 기여한다. 이에 더하여, TiN은 용접 열영향부의 결정립 조대화를 막음은 물론 용강중에 있는 N을 제거하여 줌으로써 인성을 향상시켜 주게 된다. N을 충분히 제거하기 위하여 Ti는 N첨가량의 3.4배 이상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Ti는 기지금속 및 용접 열영향부의 강도 및 결정립을 미세화시키는데 아주 유용한 원소로써 강 중에 TiN으로 존재하여 압연을 위한 가열 과정에서 결정립의 성장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질소와 반응하고 남은 Ti가 강 중에 고용되어 탄소와 결합하여 TiC의 석출물이 형성되고 TiC의 형성은 매우 미세하여 강의 강도를 대폭적으로 향상시킨다. Al의 첨가량이 매우 작을 경우에는 Ti 산화물을 형성시켜 용접 열영향부에 입내 침상형 페라이트(intragranular acicular ferrite)의 핵생성 사이트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TiN 석출에 의한 오스테나이트 결정립 성장 억제 효과 및 TiC 형성에 의한 강도 증가를 얻기 위해서는 적어도 0.005 중량%이상의 첨가할 필요가 있다. 한편, 0.03 중량%이상이 첨가되면 Ti 질화물의 조대화 및 Ti 탄화물에 의한 경화가 과도하여 저온인성에 매우 해로우며, 강판을 용접하여 강관으로 제조시 용융점까지 급열됨에 의해서 TiN이 재고용됨에 따라 용접 열영향부의 인성이 열화되기 때문에 Ti 첨가의 상한은 0.03 중량%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0.02 중량%를 첨가하는 것이 좋다.
Nb : 0.02~0.10 중량%
Nb는 결정립 미세화를 통하여 강도와 인성을 동시에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열간압연 중 생성되는 Nb 탄질화물은 오스테나이트 재결정을 억제하고 결정립 성장을 막아서 오스테나이트 결정립을 미세하게 한다. Mo와 함께 첨가될 때, 오스테나이트 재결정을 억제하여 결정립 미세화 효과가 증대되고, 석출강화 및 경화능 향상을 통한 강화효과가 보다 두드러진다. 이러한 효과를 얻기 위하여 0.02 중량%이상 함유되어야 한다. 오스테나이트 미재결정 온도(Tnr)을 상승시키므로써 마무리 압연온도를 높이고 그에 따라 압연을 빨리 종료하여 제조원가를 낮추기 위해서는 0.035%이상 함유하는 것이 더욱 좋다. 그러나, 0.10 중량%를 초과하여 첨가할 경우에는 더 이상 효과상승을 기대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과도한 Nb 탄질화물의 석출에 기인되어 오스테나이트 미재결정 온도를 지나치게 높이기 때문에 재질이방성이 증가하고 고가의 합금원소이며 용접성 및 용접열영향부 인성에 나쁜 영향을 주게 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035~0.08 중량%를 첨가하는 것이 좋다.
P : 0.02 중량%이하
P는 Mn 등과 결합하여 비금속개재물을 형성하여 강을 취화시키는 문제를 발생시키므로 적극 저감하여야 할 필요가 있으나, P을 극한까지 저감하기 위해서는 제강 공정부하가 심화되고 0.02 중량%이하에서는 상기 문제점이 크게 발생하지는 않으므로 그 상한을 0.02 중량%로 한다.
S : 0.005 중량%이하
S는 Mn 등과 결합하여 비금속개재물을 형성하여 강을 취화시키고, 적열취성을 일으키는 원소로서, 상기 P와 마찬가지로 제강 공정 부하를 고려하여 그 상한을 0.005 중량%로 한정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2 중량% 이하를 첨가하는 것이 좋다.
상기 기본 성분외 소정량의 Cu, Cr, Mo, Mn의 어느 한 종류 또는 2종 이상으로 선택되는 원소를 단독으로 또는 복합적으로 첨가할 수 있다. 부가적인 합금 첨가 원소에 대한 함량기준을 아래와 같이 한다.
Cu : 1.0 중량% 이하
Cu는 기지금속 및 용접열영향부를 강화시키는 원소이다. 그러나, Cu를 과다하게 첨가하면 용접열영향부의 인성 및 현장 용접성을 저하시키게 된다.
Cr : 1.0 중량%이하
Cr은 경화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과도한 Cr의 첨가는 현장에서 용접 후 저온균열을 발생시켜 기지금속 및 용접부 열영향부의 인성을 저하시키므로 1.0 중량 %이하를 유지하여야 한다.
Mo : 0.2~0.5 중량%
Mo는 경화능을 향상시키는데, Nb와 함께 첨가할 경우 오스테나이트 재결정을 억제하여 결정립 미세화에 기여한다. 그러나, 과도한 Mo의 첨가는 현장용접시 용접 열영향부의 인성에 저하시키므로 0.5 중량 %이하를 유지하여야 한다.
Mn : 1.0~2.0 중량%
Mn은 강을 고용강화시키는데 효과적인 원소로서 경화능 증가효과와 더불어 고강도를 발휘할 수 있다. 경화능 증가효과를 보기 위하여는 1.0 중량% 이상을 첨가하여야 한다. 한편, 2.0 중량%을 초과하여 첨가시키면 제강공정에서 슬라브를 주조시 중심 편석을 조장하고 인성을 저하시키게 된다. 아울러, 과다한 Mn의 첨가는 경화능을 과도하게 향상시켜 현장용접성을 나쁘게 하여 용접 열영향부의 인성을 저하시키게 된다.
또한, 강의 탈산정도와 S계 개재물 구상화를 고려하여 Al과 Ca 중 1종 이상을 다음과 같은 함량범위로 더 포함할 수도 있다.
Al : 0.005~0.07 중량%
Al은 일반적으로 강의 탈산을 목적으로 첨가한다. 또한, 미세조직을 미세하게 할 뿐 아니라, 용접 열영향부의 조대결정립 영역에서 N을 제거함으로써 열영향부의 인성을 향상시킨다. 그러나 0.07 중량%를 초과하여 함유될 경우에는 Al산화 물(Al2O3)을 형성하여 기지금속 및 열영향부의 인성을 저하시킨다. Ti 및 Si첨가를 통하여 탈산을 할 수 있으므로, Al은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임의적인 원소로서 Al을 반드시 첨가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다.
Ca : 0.006 중량% 이하
Ca는 주로 MnS 개재물의 형상을 제어하고 저온인성을 향상시키는 원소로 필요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과도한 Ca첨가는 다량의 CaO-CaS가 형성 및 결합하여 조대한 개재물을 형성하므로 인하여 강의 청정도 저하는 물론 현장 용접성을 해친다.
(내부조직)
상술한 성분계를 가지는 강판으로서 강도가 우수하고 인성이 뛰어난 강판이 되기 위한 바람직한 조건으로 내부조직의 종류와 형상에 대하여 추가적으로 한정할 필요가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강판 내부의 미세조직은 침상형 페라이트와 베이나이트 합하여 면적분율 기준으로 75%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들 조직은 강판의 강도 향상에 기여하고, 또한 인성이 우수하여 상술한 성분계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서 의도하는 저온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라인파이프를 제조하는데 적 합하다.
또한, 도상 마르텐사이트(MA)는 강재의 인성에 해롭기 때문에 가급적 포함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도상 마르텐사이트(austenite martensite constituent, MA)의 함량이 면적 분율 기준으로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온에서 강판에 존재하는 미세조직은 오스테나이트로부터 변태된 조직이므로 초기 오스테나이트 결정립의 크기가 미세할수록 상온에서 존재하는 미세조직의 크기 역시 미세해 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의도하는 바와 같이 적절한 저온인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그리고, 초기 오스테나이트 결정립계는 균열 생성 및 성장의 장애물로 작용하게 되어 우수한 저온인성을 얻기 위해서는 오스테나이트 결정립 크기를 작게 하여 결정립계의 분율을 높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의도하는 바와 같이 적절한 저온인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초기 오스테나이트 결정립 크기가 20㎛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한 상기 초기 오스테나이트 결정립 크기는 15㎛ 이하이다.
상술한, 성분계를 가지며 내부조직 조건을 충족하는 강판은 항복강도 550MPa 이상, -40℃에서의 충격인성이 300 J 이상의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목적하는 성질을 모두 충족하는 강판인 것이다.
(제조방법)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충족하는 강을 제조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에 의해 도출된 가장 바람직한 방법에 대하여 아래에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개략적으로는 슬라브를 가열한 후, 상기 가열된 슬라브를 오스테나이트 재결정영역에서 압연한 후, 상기 오스테나이트 재결정온도보다 낮고 오스테나이트가 페라이트로 변태하는 온도(Ar3) 보다는 높은 온도에서 마무리 압연을 실시한 후 10 ~ 60℃/sec의 속도로 상기 강판을 냉각하여 300 ~ 600℃에서 냉각을 종료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냉각 종료 온도 이하에서는 강판을 공냉 또는 방냉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각 단계별 상세한 조건에 대하여 설명한다.
슬라브 가열 : 1050 ~ 1180℃
슬라브의 가열공정은 후속되는 압연공정을 원할히 수행하고 목표하는 강판의 물성을 충분히 얻을 수 있도록 강을 가열하는 공정이므로 목적에 맞게 적절한 온도범위내에서 가열공정이 수행되어야 한다. 상기 가열공정에서 중요한 것은 강판 내부의 석출형 원소들이 충분히 고용될 수 있을 정도로 균일하게 가열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너무 높은 가열온도로 인하여 결정립이 과다하게 조대화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만일, 강의 가열온도가 상기 1080℃ 미만으로 될 경우에는 Nb가 강중에 재고용되지 못하여 강판의 고강도화를 이루기 어려울 뿐 아니라 부분 재결정이 발생하여 오스테나이트 결정립이 균일하지 않게 형성되어 고인성화가 어려우며, 상기 1150℃를 초과할 경우에는 오스테나이트 결정립이 지나치게 조대화 되어 결국 강판의 결정립 크기가 증가하는 원인을 제공하게 되며 그 결과 강판의 인성이 극히 열화된다. 따라서, 적절한 가열온도 범위는 1050 ~ 1180℃인 것이 바람직하다.
압연 조건
강판이 저온인성을 갖추기 위해서는 오스테나이트 결정립이 미세한 크기로 존재하여야 하는데, 이는 압연온도 및 압하율을 제어함으로써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압연은 두 가지 온도영역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두 온도영역에서 재결정 거동이 상이하므로 그 조건도 각각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먼저, 오스테나이트 재결정 영역에서 초기 슬라브 두께의 20~80%를 압연한다. 상기와 같은 오스테나이트 재결정 영역에서의 압연은 오스테나이트 재결정을 통하여 결정립을 작게 하는 효과를 가지는데, 만일 압연을 다단계로 실시할 경우에는 오스테나이트 재결정 후 결정립 성장이 발생하지 않도록 각 단계의 압하율 및 시간을 잘 제어하여야 한다. 오스테나이트 재결정의 정도는 오스테나이트 재결정 영역에서의 압하율 및 온도에 의하여 지배를 받게 된다. 이때, 각 단계의 압하율이 너무 낮으면 재결정이 부분적으로만 발생하여 오스테나이트 결정립이 균일하지 않게 되어 만족스 러운 저온인성을 얻을 수 없으므로, 각 단계의 압하율을 5%이상으로 제한한다. 아울러 압연이 진행되어 온도가 감소할수록 압하율을 증가시켜야 하며, 오스테나이트 재결정 영역에서의 평균 압하율(각 단계 압하율의 총합을 압하 단계수로 나눈 값)은 10%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한편, 각 압하 단계 사이의 유지시간이 과도하게 길 경우엔 결정립 성장이 발생하여 오스테나이트 결정립 크기의 균일화 및 미세화를 얻을 수 없게 되어 우수한 저온인성을 얻을 수 없으므로, 오스테나이트 재결정 후 결정립 성장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각 압하 단계 사이의 유지시간을 20초 이내로 하여야 한다. 상술한 과정에 의해 형성된 미세한 오스테나이트 결정립은 최종 판재의 저온인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 후 Tnr(오스테나이트 재결정이 일어나지 않는 온도)와 Ar3온도(오스테나이트에서 페라이트로 변태하는 온도) 사이인 오스테나이트 미재결정 영역에서 압연을 실시한다. 이때, 재결정 온도영역에서 압연을 마친 슬라브 두께의 40~80%를 압연을 실시한다. 이러한 Tnr(오스테나이트 재결정이 일어나지 않는 온도)와 Ar3온도(오스테나이트에서 페라이트로 변태하는 온도) 사이에서의 압연은 결정립을 찌그러뜨리고 결정립 내부에 변형에 의한 전위를 발달시켜 압연후 냉각시에 침상형 페라이트 및 베이나이트를 형성하는 핵생성 사이트로 작용하게 된다
냉각속도 : 10~60℃/sec
냉각속도는 강판의 인성과 강도를 향상시키는 중요한 요소이다. 냉각속도가 빠를수록 강판의 내부조직의 결정립이 미세화되어 인성을 향상시키고, 내부에 경질조직이 발달하여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초기 냉각속도가 10℃/sec 이하일 경우 다각형 페라이트가 다량 생성될 수 있어 강도 및 저온인성을 확보할 수 없게 된다. 그러나, 냉각속도 60℃/sec 이상일 경우 냉각종료온도를 제어하기가 쉽지 않을 뿐 아니라 M/A등 저온변태상이 너무 많이 생성되어 저온인성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친다. 또한, 60 ℃/sec 이상의 냉각속도로 냉각할 경우에는 본 발명에서 대상으로 하고 있는 강판의 특성상 과다한 냉각수량으로 인하여 강판의 뒤틀림 현상이 발생하여 형상제어가 불량하게 된다.
냉각종료 : 300 ~ 600℃
강판의 내부조직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냉각속도의 효과가 충분히 발현되는 온도까지 냉각하여 줄 필요가 있다. 만일 냉각을 정지하는 온도인 냉각정지온도가 600℃ 이상일 경우에는 강판 내부에 미세한 결정립을 가진 침상형 페라이트 및 베이나이트를 충분히 형성하기 어렵게 되어 인장강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미흡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냉각정지온도의 상한은 600℃로 한정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냉각정지 온도가 300℃ 이하가 될 경우에는 그 효과가 포화될 뿐만 아니라 과다 냉각으로 인하여 마르텐사이트 조직이 형성되어 저온인성성이 나빠지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실시예)
하기 표 1에 기재된 조성의 슬라브(두께:250mm)를 표 2에 나타난 제조조건으로 가열-압연-냉각하여 두께 25mm의 강판을 제조하였다.
구분 C Si Ni Ti Nb Al P* S*
발명강 A 0.052 0.21 0.32 0.025 0.048 0.033 60 32
B 0.043 0.24 0.24 0.023 0.045 0.032 84 23
C 0.056 0.11 0.52 0.027 0.059 0.041 70 29
D 0.063 0.18 0.66 0.025 0.047 0.028 92 37
비교강 E 0.023 0.19 0.33 0.026 0.043 0.026 74 31
F 0.112 0.24 0.53 0.025 0.038 0.041 83 23
G 0.063 0.22 0.63 0.023 0.016 0.036 73 10
단, 상기 표에서 *표시된 원소의 함량단위는 ppm이며, 나머지 원소의 함량 단위는 중량%임.
상기 표 1에서 알 수 있듯이 발명강 A 내지 발명강 D의 경우는 본 발명의 조건을 모두 만족시키는 경우이며, 비교강 E 내지 발명강 I의 경우는 본 발명의 조건을 벗어나는 경우이다. 비교강 E는 C이 너무 낮은 경우에 해당되고 비교강 F는 C이 과도하게 높은 경우에 해당되는 것이다. 또한 비교강 G는 Nb가 너무 낮은 경우이다.
구분 슬라브 가열온도 (℃) 재결정역압연 미재결정역 압하율 (%) 2단계 냉각속도 (℃/sec) 냉각 정지온도 (℃)
최소 압하율 (%) 평균 압하율 (%) 최대 유지시간 (초) 총 압하율 (%)
발명강 A 1 1122 7.3 14 14 57 77 20 436
B 1 1163 9.1 13 13 62 74 35 483
C 1 1158 9.8 12 13 60 75 47 376
D 1 1155 8.3 14 10 58 76 23 379
비교강 A 2 1196 7.5 12 14 60 75 58 450
A 3 1036 8.2 13 12 58 76 26 432
A 4 1125 3.8 15 9 57 77 42 553
A 5 1123 7.8 8 13 62 74 37 523
A 6 1145 9.9 15 25 58 76 25 487
A 7 1133 8.9 14 13 84 37 27 545
A 8 1145 7.4 16 14 58 76 66 328
A 9 1127 7.6 12 15 60 75 6 368
A 10 1123 8.3 14 17 58 76 28 652
A 11 1148 6.2 15 14 60 75 27 261
E 1 1127 7.6 16 16 62 74 39 423
F 1 1130 7.3 17 13 57 77 24 397
G 1 1168 8.8 17 16 58 76 27 545
단, 상기 표에서 유지시간은 압연단계 사이에 공냉되어지는 시간이다.
상기 표 1의 조성을 가진 슬라브를 이용하여 표 2의 제조조건으로 제조한 강판의 일부분을 채취하여 인장시험 및 DWTT 시험을 수행하여 인장강도 및 충격인성을 측정한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표 2의 발명강 A1 내지 D1은 본 발명의 합금조성 및 제조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경우이며, A2 내지 A11은 본 발명의 합금조성을 만족하는 조성인 표1의 발명강 A의 합금조성을 가지나 본 발명의 제조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이다. 비교강 E1 내지 H1은 표 1의 비교강 E 내지 H의 합금조성을 가지는 슬라브에 대하여 본 발명의 제조조건을 적용한 경우이다.
구분 초기 오스테나이트 결정립 크기 (㎛) AF+B 분율 (%) 항복강도 (MPa) vE-40℃ (J)
발명강 A 1 13.6 84 582 396
B 1 10.4 87 578 487
C 1 11.3 78 603 496
D 1 12.2 89 612 389
비교강 A 2 26.5 88 605 264
A 3 20.5 87 462 155
A 4 28.6 76 565 266
A 5 30.5 75 575 252
A 6 28.3 76 557 288
A 7 13.5 57 495 262
A 8 14.5 63 580 259
A 9 16.5 67 503 272
A 10 18.2 85 515 256
A 11 17.5 86 625 262
E 1 13.2 64 485 398
F 1 14.7 85 645 269
G 1 25.5 86 525 163
단, 여기서 충격인성은 -40℃에서의 결과이며, AF는 침상형 페라이트를 B는 베이나이트를 의미한다.
상기 표 3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서 제한하고 있는 조성 및 제조조건을 가지는 발명강의 경우에는 모두 항복강도 550MPa 이상, -40℃에서의 샤르피 충격인성이 300J 이상으로서 양호한 값을 나타내고 있다.
비교강 A2 내지 A10는 본 발명의 조건을 만족하는 조성을 가지고 있으나, 제조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조건이다. A2는 슬라브의 가열온도가 과도하게 높은 경우로서, 가열로에서 추출되었을 때의 오스테나이트의 결정립 크기가 조대하여 오스테나이트 재결정 영역에서의 압연 후에도 오스테나이트 결정립의 크기가 미세하지 않아 충격인성이 너무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A3는 슬라브의 가열온도가 너무 낮은 경우로서, Nb가 강중에 재고용되지 못하여 낮은 강도를 나타낼 뿐 아니라 부분 재결정이 발생하여 오스테나이트 결정립이 균일하지 않게 형성되어 낮은 충격인성을 나타내었다. A4는 오스테나이트 재결정 영역에서의 최소 압하율이 너무 낮고, A5는 오스테나이트 재결정 영역에서의 평균 압하율이 너무 낮은 경우로서, 두 가지 경우 모두 미세한 오스테나이트 결정립을 형성하지 못하여 충격인성이 너무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A6은 압연 단계간의 유지시간이 너무 길어 오스테나이트 결정립 성장이 발생된 경우로서, 이 또한 오스테나이트 결정립 크기가 조대하여 충격인성이 너무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A7은 오스테나이트 미재결정 영역에서의 총 압하율이 너무 낮은 경우로서, 오스테나이트 결정립이 제대로 연신되지 못함은 물론 결정립 내부에 전위를 축적시키지 못하여 저온변태상을 제대로 형성되지 않아 강도 및 충격인성이 매우 낮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A8은 냉각속도가 너무 높은 경우로써 본 발명에서 의도하는 조직을 제대로 형성하지 못하고 강도는 높으나 충격인성이 매우 낮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A9는 냉각속도가 너무 낮은 경우로써 본 발명에서 의도하는 조직을 제대로 형성하지 못하고 침상형 페라이트 및 베이나이트의 분율은 낮고 M&A의 분율이 높아 충격인성이 모두 낮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A10는 냉각종료온도가 너무 높은 경우로써 미세한 저온상들이 제대로 형성되지 못할 뿐 아니라 M&A의 분율이 높아 강도 및 충격인성이 낮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A11는 냉각종료온도가 너무 낮은 경우로써 마르텐사이트 조직이 형성되어 강도는 높으나 충격인성이 낮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E1 ~ H1들은 본 발명의 조건을 만족하는 제조조건을 가지나 조성이 본 발명의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이다. C 함량이 낮은 E1의 경우에는 충격인성은 양호하나 항복강도가 너무 낮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C 함량이 과도하게 높았던 F1의 경우는 항복강도는 600MPa 이상으로서 고강도를 나타내었으며 충격인성이 매우 낮게 나타났다. 또한, Mn이 과다하게 첨가된 G1의 경우도 F1과 유사한 거동을 나타낸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H1은 Nb의 첨가량이 너무 낮아 조대한 오스테나이트 결정립을 형성하여 낮은 충격인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합금조성 및 제조방법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도 1은 압연과 냉각을 거쳐 생산된 강재에 대하여 인성확보를 위하여 템퍼링을 실시하는 방법과 템퍼링을 실시하지 않고 인성을 확보하는 방법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Claims (10)

  1. 중량%로 C : 0.03 ~ 0.1%, Si : 0.05 ~ 0.4%, Ni : 1.0%이하(0%는 제외), Ti : 0.005 ~ 0.03%, Nb : 0.02 ~ 0.10%, P : 0.02%이하, S : 0.005%이하,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내부조직으로 침상형 페라이트와 베이나이트 조직을 합하여 면적분율 기준으로 75~100% 포함하며, 상기 내부조직의 초기 오스테나이트 결정립도가 2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파이프용 강판.
  2. 제 1 항에 있어서, Cu : 1.0 중량% 이하(0%는 제외), Cr : 1.0 중량%이하(0%는 제외), Mo : 0.2~0.5 중량% 및 Mn : 1.0~2.0 중량%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파이프용 강판.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Al : 0.005 ~ 0.07중량% 또는 Ca : 0.006중량% 이하(0%는 제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파이프용 강판.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내부조직 중 도상 마르텐사이트(MA)의 함량이 면적 분율 기준으로 1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파이프용 강판.
  5. 삭제
  6. 중량%로 C : 0.03 ~ 0.1%, Si : 0.05 ~ 0.4%, Ni : 1.0%이하(0%는 제외), Ti : 0.005 ~ 0.03%, Nb : 0.02 ~ 0.10%, Al : 0.005 ~ 0.07%, P : 0.02%이하, S : 0.005%이하,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강 슬라브를 1050 ~ 1180℃의 온도로 가열하는 단계;
    상기 가열된 슬라브를 오스테나이트 재결정온도 이상의 온도구간에서 20~80%의 압하율로 압연하는 단계;
    상기 압연된 슬라브를 오스테나이트 재결정온도 미만, Ar3 이상의 온도 구간에서 40~80%의 압하율로 압연하여 강판으로 제조하는 단계;
    상기 압연된 강판을 냉각속도 10 ~ 60℃/sec의 범위로 냉각하는 단계;
    상기 강판의 냉각을 300 ~ 600℃의 온도범위에서 냉각 정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파이프용 강판의 제조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Cu : 1.0 중량% 이하(0%는 제외), Cr : 1.0 중량%이하(0%는 제외), Mo : 0.2~0.5 중량% 및 Mn : 1.0~2.0 중량%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파이프용 강판의 제조방법.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Al : 0.005 ~ 0.07중량% 또는 Ca : 0.006중량% 이하(0%는 제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파이프용 강판의 제조방법.
  9.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오스테나이트 재결정 영역에서의 압연 각 단계의 압하율이 5%이상이며, 평균 압하율이 10%이상, 각 압하 단계 사이의 유지시간을 20초 이내(0초는 제외)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파이프용 강판의 제조방법.
  10.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강판의 냉각 정지 후에는 강판을 공냉 또는 방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파이프용 강판의 제조방법.
KR1020070124672A 2007-12-04 2007-12-04 저온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라인파이프용 강판 및 그제조방법 KR1009512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4672A KR100951296B1 (ko) 2007-12-04 2007-12-04 저온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라인파이프용 강판 및 그제조방법
US12/746,073 US8647564B2 (en) 2007-12-04 2008-11-12 High-strength steel sheet with excellent low temperature toughness and manufacturing thereof
EP08857369A EP2240618B1 (en) 2007-12-04 2008-11-12 High-strength steel sheet with excellent low temperature toughnes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ES08857369T ES2402548T3 (es) 2007-12-04 2008-11-12 Lámina de acero con alta resistencia y excelente dureza a baja temperatura y método de fabricación de la misma
PCT/KR2008/006666 WO2009072753A1 (en) 2007-12-04 2008-11-12 High-strength steel sheet with excellent low temperature toughnes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2008801187677A CN101883875B (zh) 2007-12-04 2008-11-12 具有出色低温韧性的高强度钢板及其制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4672A KR100951296B1 (ko) 2007-12-04 2007-12-04 저온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라인파이프용 강판 및 그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8058A KR20090058058A (ko) 2009-06-09
KR100951296B1 true KR100951296B1 (ko) 2010-04-02

Family

ID=40988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4672A KR100951296B1 (ko) 2007-12-04 2007-12-04 저온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라인파이프용 강판 및 그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129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6272B1 (ko) 2011-01-28 2013-03-21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저온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400516B1 (ko) 2012-08-30 2014-05-28 현대제철 주식회사 라인파이프용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20200032377A (ko) * 2018-09-18 2020-03-26 현대제철 주식회사 후판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5274A (ko) * 2010-12-28 2012-07-06 주식회사 포스코 극저온 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531361B1 (ko) * 2011-04-12 2015-06-24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변형 성능 및 저온 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 및 고강도 강관 및 이들의 제조 방법
KR101403062B1 (ko) * 2011-12-28 2014-06-02 주식회사 포스코 해양구조물용 초고강도 후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403224B1 (ko) * 2011-12-28 2014-06-02 주식회사 포스코 저항복비 특성 및 저온인성이 우수한 후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2142774B1 (ko) * 2018-11-08 2020-08-07 주식회사 포스코 내해수 특성이 우수한 고강도 구조용강 및 그 제조방법
KR102164107B1 (ko) * 2018-11-30 2020-10-13 주식회사 포스코 저온파괴인성 및 연신율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방법
CN115478134A (zh) * 2022-09-27 2022-12-16 首钢集团有限公司 一种钢板轧后直接淬火的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3524A (ja) * 1989-06-10 1991-01-22 Kobe Steel Ltd 鋼板表面及び板厚中央部の靭性の優れた厚肉高靭性高張力鋼板の製造方法
JPH0860292A (ja) * 1994-08-23 1996-03-05 Sumitomo Metal Ind Ltd 溶接熱影響部靱性の優れた高張力鋼
KR20030081050A (ko) * 2002-04-09 2003-10-17 신닛뽄세이테쯔 카부시키카이샤 변형 성능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 고강도 강관 및 제조 방법
KR20060130700A (ko) * 2004-04-07 2006-12-19 신닛뽄세이테쯔 카부시키카이샤 대입열 용접에 의한 용접 열영향부의 저온 인성이 우수한두꺼운 고강도 강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3524A (ja) * 1989-06-10 1991-01-22 Kobe Steel Ltd 鋼板表面及び板厚中央部の靭性の優れた厚肉高靭性高張力鋼板の製造方法
JPH0860292A (ja) * 1994-08-23 1996-03-05 Sumitomo Metal Ind Ltd 溶接熱影響部靱性の優れた高張力鋼
KR20030081050A (ko) * 2002-04-09 2003-10-17 신닛뽄세이테쯔 카부시키카이샤 변형 성능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 고강도 강관 및 제조 방법
KR20060130700A (ko) * 2004-04-07 2006-12-19 신닛뽄세이테쯔 카부시키카이샤 대입열 용접에 의한 용접 열영향부의 저온 인성이 우수한두꺼운 고강도 강판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6272B1 (ko) 2011-01-28 2013-03-21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저온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400516B1 (ko) 2012-08-30 2014-05-28 현대제철 주식회사 라인파이프용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20200032377A (ko) * 2018-09-18 2020-03-26 현대제철 주식회사 후판 및 그 제조방법
KR102100050B1 (ko) 2018-09-18 2020-04-10 현대제철 주식회사 후판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8058A (ko) 2009-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1189B1 (ko) 저온인성이 우수한 초고강도 라인파이프용 강판 및 그제조방법
KR100951296B1 (ko) 저온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라인파이프용 강판 및 그제조방법
KR100957970B1 (ko) 후물 고강도 고인성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018131B1 (ko) 저온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저항복비 건설용 강재 및 그제조방법
EP2006407B9 (en) High-strength steel plate with superior crack arrestability
KR100868423B1 (ko) 조관후 강도변화가 작은 스파이럴 강관용 후물 열연 고강도api-x80 급 강재 및 제조방법
KR101304859B1 (ko) 표면균열 저항성이 우수한 초고강도 라인파이프용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0843844B1 (ko) 균열성장 저항성이 우수한 초고강도 라인파이프용 강판 및그 제조방법
KR20090066639A (ko) 고강도 고인성 건설용 강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833076B1 (ko) 저온인성과 취성균열전파정지특성이 우수한 고강도저항복비 구조용 강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676143B1 (ko) 저온충격인성이 우수한 저항복비형 고강도 강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799202B1 (ko) 저항복비 특성 및 저온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방법
JP7244718B2 (ja) 低温靭性と延伸率に優れ降伏比が小さい厚物高強度ラインパイプ用鋼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979007B1 (ko) 극저온 인성이 우수한 초고강도 라인파이프용 강판 및 그제조방법
KR102209581B1 (ko) 용접열영향부 인성이 우수한 강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833035B1 (ko) 변형능이 우수한 고강도 고인성 라인파이프용 강판 및 그제조방법
KR101585724B1 (ko) 중심부 저온 파괴전파 저항성 및 항복비 특성이 동시에 우수한 후물 라인파이프 강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778406B1 (ko) 극저온인성이 우수한 후물 고강도 라인파이프 강재 및 제조방법
KR100711371B1 (ko) 극저온 인성이 우수한 라인파이프용 후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917451B1 (ko) 저온인성이 우수한 저항복비 강판 및 그 제조방법
JP5701483B2 (ja) 厚さ中心部の強度及び靭性に優れて材質偏差の少ない溶接構造用極厚物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833033B1 (ko) 변형능이 우수한 초고강도 라인파이프용 강판 및 그제조방법
KR100723156B1 (ko) 변형능 및 취성파괴 정지 특성이 우수한 항복강도552MPa 급 라인파이프용 후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091510B1 (ko) 저온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018159B1 (ko) 저온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