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2712B1 - 유압 브레이크 배력장치 - Google Patents

유압 브레이크 배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2712B1
KR101402712B1 KR1020100044252A KR20100044252A KR101402712B1 KR 101402712 B1 KR101402712 B1 KR 101402712B1 KR 1020100044252 A KR1020100044252 A KR 1020100044252A KR 20100044252 A KR20100044252 A KR 20100044252A KR 101402712 B1 KR101402712 B1 KR 1014027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shaft
control plunger
housing
hydraulic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4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4840A (ko
Inventor
김철수
이규만
김유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000442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2712B1/ko
Priority to DE102011100782.6A priority patent/DE102011100782B4/de
Priority to CN2011101223056A priority patent/CN102267448B/zh
Priority to US13/106,624 priority patent/US8931270B2/en
Publication of KR201101248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48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27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27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12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liquid
    • B60T13/1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liquid using accumulators or reservoirs fed by pumps
    • B60T13/142Systems with master cylinder
    • B60T13/143Master cylinder mechanically coupled with booster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콘트롤플런저 내에서 출력축이 작동할 수 있도록 콘트롤플런저와 출력축의 상대운동 구조를 변형하여 전장의 길이를 줄임으로써 제조비용을 절감하며, 콘트롤플런저 가이드의 내주면과 출력축의 외주면이 접촉하지 않게 하여 접촉에 의한 진동과 충격이 전달되지 않게 함으로써 브레이크 페달감을 향상시키는 유압 브레이크 배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개시된 본 발명에 본 발명에 따른 유압 브레이크 배력장치는 콘트롤플런저의 일측에 홈이 파여 있는 가이드를 마련하며, 가이드의 내경을 출력축의 외경보다 크게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콘트롤플런저와 출력축이 중첩되어 상대운동하기 때문에 전장이 축소되어 제조비용이 절감되고, 콘트롤플런저 가이드의 내주면과 출력축의 외주면이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충격과 진동이 전달되지 않아서 브레이크 페달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유압 브레이크 배력장치{HYDRAULIC BRAKE BOOSTER}
본 발명은 유압 브레이크 배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압 브레이크 배력장치의 전장길이를 축소할 수 있고 브레이크 페달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압 브레이크 배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브레이크 배력장치(Brake booster)는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을 때 가해진 힘보다 훨씬 큰 출력을 발생시키는 장치이다.
종래 유압 브레이크 배력장치는 하우징과 결합된 마스터실린더와, 마스터실린더와 결합되어 작동유를 공급하도록 마련된 작동유저장소와,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어 브레이크 페달의 반력을 내주도록 마련된 시뮬레이터와, 운전자의 페달답력(Pedal Pressure) 및 유압을 전달하는 여러 축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유압 브레이크 배력장치는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면 페달변위센서로부터 브레이크 페달의 변위를 감지하여 차단밸브를 닫아 페달 시뮬레이터의 마스터 실린더와 휠과의 유로를 분리시키고, 압력센서의 압력신호에 따라 전자제어유닛(ECU,Electronic control unit)에서 휠 압력을 계산하여 각 휠의 압력을 독립적인 피드백 제어를 통하여 조절한다.
이때, 유압 브레이크 배력장치의 고장 시에는 차단밸브가 NO(Normally Open) 상태이므로 운전자에 의해서 발생한 마스터실린더의 액압이 그대로 휠 실린더로 유입하여 시스템 고장 시 최소한의 제동이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전술한 유압 브레이크 배력장치는 운전자의 페달답력 및 유압을 전달하는 여러 축을 포함하여 구성되기 때문에 전장이 길어지는 문제가 있었고, 출력축과 콘트롤플런저의 접촉에 의한 충격과 진동이 브레이크 페달에 전달되어 브레이크 페달감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콘트롤플런저 내에서 출력축이 작동할 수 있도록 콘트롤플런저와 출력축의 상대운동 구조를 변형하여 전장의 길이를 줄임으로써 제조비용을 절감하는 유압 브레이크 배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콘트롤플런저와 출력축이 상대운동할 경우 콘트롤플런저와 출력축이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콘트롤플런저의 가이드의 내경을 출력축의 외경보다 크게 함으로써 브레이크 페달감을 향상시키는 유압 브레이크 배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압 브레이크 배력장치는, 오일포트를 갖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과 결합된 마스터실린더와, 상기 마스터실린더와 결합되어 작동유를 공급하도록 마련된 작동유저장소를 포함하고, 상기 브레이크 페달과 연계되어 진퇴 운동하도록 상기 하우징 내에 마련된 입력축과, 상기 입력축과 함께 슬라이딩 진퇴 운동하도록 상기 하우징 내에 마련된 콘트롤플런저와, 상기 콘트롤플런저와 함께 진퇴 운동하도록 상기 하우징 내에 마련된 출력축과, 상기 출력축과 함께 진퇴 운동하도록 상기 제1피스톤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 내부의 상기 콘트롤플런저는 상기 출력축이 삽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의 내경은 상기 콘트롤플런저와 상기 출력축이 상대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출력축의 외경보다 더 큰 것을 특징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콘트롤플런저와 출력축은 왕복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에는 단차에 의해 형성된 제1단차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단차면에는 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콘트롤플런저는 상기 수용홈에 마련되어 급제동시에 상기 콘트롤플런저와 출력축의 접촉에 의한 충격을 흡수하도록 완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용홈에는 상기 완충부재를 고정할 수 있도록 제1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제1고정홈에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 내에는 상기 콘트롤플런저와 출력축을 수용하여 상대운동할 수 있도록 제1수용부가 마련되며, 상기 제1수용부에는 단차에 의해 형성된 제2단차면이 형성되며, 상기 제2단차면에는 상기 콘트롤플런저의 이동범위를 한정하고 충격이 흡입될 수 있도록 탄성부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유압 브레이크 배력장치는 마스터실린더에서 발생한 압력변화가 페달에 전달되지 않아 페달의 진동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급제동시에 콘트롤플런저와 출력축이 접촉할 경우,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완충부재를 마련하여 마스터실린더에서 발생한 진동을 흡수할 수 있어 페달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압 브레이크 배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정상 제동시에 페달을 밟았을 때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정상 제동시에 페달을 뗐을 때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도 2의 일부분을 발췌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급제동시에 일부분을 발췌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압 브레이크 배력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오일포트(55)와 제2오일포트(57)를 갖춘 하우징(11)과, 하우징(11)의 일단과 체결되며 제1피스톤(26)과 제2피스톤(28)을 수용하는 마스터실린더(13)와, 마스터실린더(13)의 상부에 결합되어 작동유를 저장하기 위한 작동유저장소(15)와, 하우징(11)의 하부에 결합되어 페달의 반력을 내주기 위한 시뮬레이터(16)와, 작동유저장소(15)와 연결되어 유압을 발생하기 위한 유압발생장치(80)와, 입력축(20)의 변위를 측정하기 위한 페달변위센서(9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우징(11)은 내부에 장착된 각종 부품을 지지한다. 하우징(11)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축(20), 콘트롤플런저(22), 출력축(24), 제1피스톤(26)을 수용한다. 하우징(11)에는 유압발생장치(80)에서 발생된 작동유를 공급하기 위한 제1오일포트(55)와 제2오일포트(57)가 마련된다.
하우징(11)에서는 브레이크 페달답력 및 유압을 전달할 수 있도록 여러 축(20,24)과 콘트롤플런저(22) 및 피스톤(26,28)이 수용되어 유기적으로 운동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레이크 페달과 연계되어 진퇴 운동하도록 하우징(11) 내에 마련되고 페달변위센서(99)를 구비한 입력축(20)과, 입력축(20)과 함께 슬라이딩 진퇴 운동하도록 하우징(11) 내에 마련된 콘트롤플런저(22)와, 콘트롤플런저(22)와 함께 진퇴 운동하도록 하우징(11) 내에 마련된 출력축(24)과, 출력축(24)과 함께 진퇴 운동하도록 마스터실린더(13) 내에 마련된 제1피스톤(26)과 제2피스톤(2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페달변위센서(99)는 입력축(20)에 연결되어 입력축(20)의 변위를 감지한다. 이렇게 감지된 신호는 전자제어유닛(미도시)에 전달된다. 전자제어유닛은 입력축(20)의 변위를 계측하고 유압발생장치(80)에 마련된 전자밸브(82,84,87)를 제어한다.
작동유저장소(15)는 마스터실린더(13)와 유압발생장치(80)에 작동유를 공급한다. 작동유저장소(15)에는 작동유가 유출되는 유출구(미도시)가 마련되어 마스터실린더(13)에 작동유가 공급된다.
유압발생장치(80)는 작동유저장소(15)에서 공급된 작동유를 압축하여 제1오일포트(55)통하여 부스트챔버(43)에 공급한다. 유압발생장치(80)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동유저장소(15)에서 공급된 작동유를 고압으로 압축하기 위한 유압펌프(83)가 마련되어 있다. 이 유압펌프(83)에서 압축된 고압의 작동유는 축압기(81)에 저장된다. 또 유압발생장치(80)에는 릴리프밸브(86)가 마련된다. 릴리프밸브(86)는 회로의 압력이 밸브의 설정 압력에 도달하면 유체의 일부 또는 전량을 배출시켜 회로 내의 압력을 설정값 이하로 유지되도록 압력을 제어한다.
부스트챔버(43)는 제1오일포트(55)를 통해서 고압의 작동유를 받기 위한 공간이다. 부스트챔버(43)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수용부(35)의 일단과 출력축(24)의 일단 사이에 형성된 공간이다. 이 공간으로 유압발생장치(80)에서 생성된 고압의 작동유가 제1오일포트(55)를 통해서 공급된다. 이렇게 유입된 고압의 작동유는 출력축(24)을 이동시켜 제동력을 발생시킨다.
또 부스트챔버(43)에 공급된 작동유가 유출되지 않도록 출력축(24)의 외주면과 하우징 내면에는 제3실링부재(53)가 설치된다. 출력축(24)의 일측에는 홈이 형성되어 있고 이 홈에 제4실링부재(54)가 설치됨으로써 부스트챔버(43)에 공급된 오일이 유출되지 않고 압축될 수 있다.
시뮬레이터챔버(45)에 공급된 작동유는 시뮬레이터(16)에 공급된다. 즉 콘트롤플런저(22)가 시뮬레이터챔버(45)를 압축하면 시뮬레이터챔버(45)에 있던 작동유는 오일유로(93)를 통하여 시뮬레이터(16)에 공급된다.
한편 유압발생장치(8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동유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해서 제1전자밸브(82), 제2전자밸브(84) 및 제3전자밸브(87)를 마련한다. 정상 제동시에 밸브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제1전자밸브(82)는 정상상태에서는 밸브가 닫혀있다가 제동시 전자제어유닛에서 개방신호를 받으면 밸브가 열리도록 작동한다. 또 제2전자밸브(84)는 정상상태에서는 밸브가 열려 있다가 제동시 전자제어유닛에서 폐쇄신호를 받으면 밸브가 닫히도록 작동한다. 제3전자밸브(87)는 제동시 시뮬레이터챔버(45)에서 압축된 작동유가 작동유저장소(15)로 역류하지 않도록 마련된다. 이 제3전자밸브(87)는 평소에는 개방되어 있다가 제동시 전자제어유닛에서 폐쇄신호를 받으면 닫히게 된다.
시뮬레이터(16)는 브레이크 페달의 반력을 내주기 위한 것이다. 시뮬레이터(16)에는 시뮬레이터챔버(45)에서 오일이 공급되는 오일유로(93)가 구비된다. 오일유로(93)를 통해 공급된 작동유는 시뮬레이터 피스톤(69)을 하강시킨다. 또 시뮬레이터(16) 내에는 제4스프링(67)이 구비되어 있다. 제4스프링(67)은 복원력에 의해 시뮬레이터 피스톤(69)을 상승시킨다.
마스터실린더(13)에서는 작동유저장소(15)에서 공급된 작동유가 제1피스톤(26)과 제2피스톤(28)의 이동에 의해서 유압이 생성된다. 발생된 유압은 제동을 위해 자동차의 휠브레이크로 전달된다. 제1피스톤(26)과 제2피스톤(28)에는 스프링(61,63)이 구비되어 있어 제1피스톤(26)과 제2피스톤(28)이 원상복귀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격챔버(41)는 콘트롤플런저(22)의 일단과 출력축(24)의 일단 사이에 형성되어 출력축(24)에서 발생한 진동과 압력을 흡수한다. 따라서 제동과정에서 출력축(24)에서 발생한 진동과 압력은 이격챔버(41)에서 흡수되어 브레이크 페달로 전달되지 않는다.
콘트롤플런저(22)는 하우징(11) 내에서 입력축(20)과 함께 슬라이딩 진퇴 운동한다.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면 입력축(20)이 전진하고 이와 연계하여 콘트롤플런저(22)가 전진하게 된다. 콘트롤플런저(22)는 제3스프링(65)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전진한 콘트롤플런저(22)는 제3스프링(65)의 복원력에 의해서 원상복귀한다.
세부적으로 콘트롤플런저(22) 일측의 외주면에는 하우징(11)의 내면과 밀착되어 시뮬레이터챔버(45)의 작동유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1실링부재(51)가 설치된다. 또 콘트롤플런저(22)의 타측의 외주면에는 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 홈에는 제2실링부재(52)가 설치되어 시뮬레이터챔버(45) 내의 작동유가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콘트롤플런저(22)에는 출력축(24)이 삽입되어 상대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70)가 형성된다. 이 가이드(70)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출력축(24)이 삽입될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된다. 가이드(70)의 내경은 출력축(24)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또 콘트롤플런저(22)와 출력축(24)은 각각 진퇴운동한다. 따라서 콘트롤플런저(22)와 출력축(24)은 상대운동할 수 있고, 콘트롤플런저(22)와 출력축(24)이 서로 겹쳐질 수 있으므로 유압 브레이크 배력장치의 전장이 축소되어 제조비용이 감소하게 된다. 또 가이드(70)의 내주면과 출력축(24)의 외주면이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브레이크 페달로 진동과 충격이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브레이크 페달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콘트롤플런저(22)에는 수용홈(76)에 고정되어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완충부재(77)가 설치된다. 가이드(70)에는 단차에 의해 형성된 제1단차면(72)이 형성되어 있다. 제1단차면(72)에는 완충부재(77)가 삽입될 수 있도록 수용홈(76)이 형성되어 있다.
수용홈(76)의 내주면에는 완충부재(77)가 고정될 수 있도록 제1고정홈(78)이 형성되어 있다. 제1고정홈(78)은 수용홈(76)의 내주면의 둘레에 홈이 파져 형성된다. 제1고정홈(78)은 ‘C’형태의 단면으로 형성된다.
완충부재(77)의 외주면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고정홈(78)에 대응하여 완충부재(77)가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돌기(74)가 형성된다. 고정돌기(74)는 완충부재(77)에 일체로 형성되며 완충부재(77)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다. 또 고정돌기(74)는 완충부재(77)의 외주면의 둘레에 ‘C’형태로 형성된다. 완충부재(77)는 수용홈(76)에 가압하여 고정돌기(74)와 제1고정홈(78)은 밀착됨으로써 설치된다. 따라서 완충부재(77)는 수용홈(76)에 삽입고정될 수 있다.
완충부재(77)는 진동을 감소시키고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서 탄성을 가진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완충부재(77)의 고정돌기(74)와 제1고정홈(78)의 단면은 ‘C’형태로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 콘트롤플런저(22)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고정홈(92)에 설치되어 콘트롤플런저(22)의 이동범위를 제한할 수 있도록 탄성부재(90)가 설치된다. 급제동시나 브레이크 시스템의 고장 시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트롤플런저(22)가 출력축(24)을 직접 밀게 된다. 이 콘트롤플런저(22)의 이동범위는 탄성부재(90)가 설치됨으로써 한정된다.
세부적으로 탄성부재(90)는 제1수용부(31)에서 단차에 의해 형성된 제2단차면(94)에 밀착되어 설치된다. 또 탄성부재(90)는 제2단차면(94)과 연결된 제2고정홈(92)에 밀착되어 설치된다. 따라서 콘트롤플런저(22)는 탄성부재(90)가 설치됨으로써 이동범위가 한정됨은 물론이고 충격이 흡수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유압 브레이크 배력장치의 작동과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첫째로 유압 브레이크 배력장치가 정상 제동되는 경우에 브레이크 페달을 밟았을 때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가압하면 이 브레이크 페달과 연결된 입력축(20)은 축방향으로 좌측으로 전진하고, 이와 동시에 콘트롤플런저(22)도 제2수용부(33) 내에서 좌측으로 전진하게 된다.
이때, 입력축(20)의 이동은 페달변위센서(99)에 의해 감지되고, 감지된 신호는 전자제어유닛으로 전달된다. 전자제어유닛은 제동유압을 생성하기 위하여 유압펌프(83)를 동작시킨다. 이러한 펌프의 동작으로 고압의 작동유가 축압기(81)에 저장된다. 이 고압의 작동유는 하우징(11)에 마련된 제1오일포트(55)를 통하여 부스트챔버(43)로 공급되어 출력축(24)을 밀게 된다. 이 출력축(24)은 제1피스톤(26)을 밀고, 제1피스톤(26)은 제2피스톤(28)을 밀어서 마스터실린더(13)에 고여 있던 작동유를 압축하여 고압의 작동유를 생성한다. 이렇게 생성된 고압의 작동유는 휠브레이크로 전달됨으로써 제동력이 발생된다.
유압 브레이크 배력장치의 정상 제동시 브레이크 페달을 뗐을 때에는, 전자제어유닛이 입력축(20)의 후진에 의한 페달변위센서(99)에서 감지된 신호를 계측한다. 계측 후에 전자제어유닛은 제1전자밸브(82)를 닫게 하는 신호를 제1전자밸브(82)에 보낸다. 이와 같이 제1전자밸브(82)가 닫히면 휠브레이크로 고압의 작동유가 전달되지 않는다. 한편, 브레이크 페달을 밟는 힘에 의해서 전진한 콘트롤플런저(22)는 제2수용부(33)와 콘트롤플런저(22)에 연결된 제3스프링(65)의 탄성력에 의해서 후진하게 된다. 이 콘트롤플런저(22)는 입력축(20)을 후진시켜 브레이크 페달을 원상태로 복귀시킨다.
다음으로 유압 브레이크 배력장치가 급제동되는 경우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트롤플런저(22)가 출력축(24)과의 이격량 이상을 전진하여 출력축(24)을 직접 밀어 준다. 전진한 출력축(24)은 제1피스톤(26)을 밀어주고 제1피스톤(26)은 제2피스톤(28)을 밀어주게 되어 마스터실린더(13) 내에 있던 작동유를 압축하여 제동유압을 형성한다. 이렇게 형성된 제동유압은 휠브레이크로 전달되어 제동력을 발생시킨다.
끝으로 유압 브레이크 시스템이 고장이 났을 경우에는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면 입력축(20)이 콘트롤플런저(22)를 전진시킨다. 이렇게 전진된 콘트롤플런저(22)는 출력축(24)과의 이격량 이상을 전진하여 출력축(24)을 직접 밀어 준다. 밀린 출력축(24)은 제1피스톤(26)을 밀고, 제1피스톤(26)이 제2피스톤(28)과 연계하여 밀리면서 마스터실린더(13) 내에 있던 작동유를 압축시킨다. 이렇게 압축된 작동유는 휠브레이크로 전달되어 제동력을 발생시킨다.
11 : 하우징 13 : 마스터실린더
15 : 작동유저장소 16 : 시뮬레이터
20 : 입력축 22 : 콘트롤플런저
24 : 출력축 31 : 제1수용부
41 : 이격챔버 43 : 부스트 챔버
45 : 시뮬레이터 챔버 51 : 제1실링부재
52 : 제2실링부재 53 : 제3실링부재
54 : 제4실링부재 55,57 : 오일포트
70 : 가이드 72 : 제1단차면
74 : 고정돌기 76 : 수용홈
77 : 완충부재 78 : 제1고정홈
80 : 유압발생장치 90 : 탄성부재
92 : 제2고정홈 94 : 제2단차면
99 : 페달변위센서

Claims (5)

  1. 오일포트를 갖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과 결합된 마스터실린더와, 상기 마스터실린더와 결합되어 작동유를 공급하도록 마련된 작동유저장소를 포함하고,
    브레이크 페달과 연계되어 진퇴 운동하도록 상기 하우징 내에 마련된 입력축과, 상기 입력축과 함께 슬라이딩 진퇴 운동하도록 상기 하우징 내에 마련된 콘트롤플런저와, 상기 콘트롤플런저와 함께 진퇴 운동하도록 상기 하우징 내에 마련된 출력축과, 상기 출력축과 함께 진퇴 운동하도록 제1피스톤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 내부의 상기 콘트롤플런저는 상기 출력축이 삽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의 내경은 상기 콘트롤플런저와 상기 출력축이 상대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출력축의 외경보다 더 크게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 내에는 상기 콘트롤플런저와 출력축을 수용하여 상대운동할 수 있도록 제1수용부가 마련되며,
    상기 제1수용부에는 단차에 의해 형성된 제2단차면이 형성되며,
    상기 제2단차면에는 상기 콘트롤플런저의 이동범위를 한정하고 충격이 흡수될 수 있도록 탄성부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브레이크 배력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플런저와 출력축은 왕복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브레이크 배력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에는 단차에 의해 형성된 제1단차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단차면에는 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콘트롤플런저는 상기 수용홈에 마련되어 급제동시에 상기 콘트롤플런저와 출력축의 접촉에 의한 충격을 흡수하도록 완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브레이크 배력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에는 상기 완충부재를 고정할 수 있도록 제1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제1고정홈에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브레이크 배력장치.
  5. 삭제
KR1020100044252A 2010-05-12 2010-05-12 유압 브레이크 배력장치 KR1014027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4252A KR101402712B1 (ko) 2010-05-12 2010-05-12 유압 브레이크 배력장치
DE102011100782.6A DE102011100782B4 (de) 2010-05-12 2011-05-06 Hydraulischer Bremskraftverstärker
CN2011101223056A CN102267448B (zh) 2010-05-12 2011-05-12 液压式制动助力器
US13/106,624 US8931270B2 (en) 2010-05-12 2011-05-12 Hydraulic brake boos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4252A KR101402712B1 (ko) 2010-05-12 2010-05-12 유압 브레이크 배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4840A KR20110124840A (ko) 2011-11-18
KR101402712B1 true KR101402712B1 (ko) 2014-06-11

Family

ID=44859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4252A KR101402712B1 (ko) 2010-05-12 2010-05-12 유압 브레이크 배력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931270B2 (ko)
KR (1) KR101402712B1 (ko)
CN (1) CN102267448B (ko)
DE (1) DE102011100782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7874A (ko) * 2011-10-07 2013-04-17 주식회사 만도 차량용 전자제어 유압 브레이크시스템의 제동장치
KR101301906B1 (ko) * 2011-11-01 2013-09-02 주식회사 만도 유압 제동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952096B1 (ko) * 2012-06-13 2019-02-2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전자식 유압 브레이크 장치
JP5831427B2 (ja) * 2012-11-08 2015-12-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マスタシリンダ装置
DE102013201574A1 (de) * 2013-01-31 2014-07-31 Robert Bosch Gmbh Mechanisch-hydraulischer Bremskraftverstärker mit Erweiterung für autonome Bremsungen
KR101708195B1 (ko) * 2013-12-12 2017-02-20 주식회사 만도 브레이크 액추에이터 유닛
KR102362154B1 (ko) * 2017-05-24 2022-02-14 주식회사 만도 브레이크 시스템용 리저버 조립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7305B1 (ko) * 2006-04-19 2007-10-18 한국델파이주식회사 자동차용 브레이크의 부스터
KR20090079354A (ko) * 2008-01-17 2009-07-22 한국델파이주식회사 자동차용 패닉부스터
KR20090121925A (ko) * 2008-05-23 2009-11-26 주식회사 만도 전자유압브레이크시스템의 제동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432350A (en) * 1972-06-09 1976-04-14 Automotives Products Ltd Brake application control devices and to liquid pressure braking systems for vehicles which include such devices
US3899889A (en) 1974-04-15 1975-08-19 Midland Ross Corp Pedal ratio control for hydraulic booster
DE2837884C3 (de) * 1977-09-01 1994-02-24 Girling Ltd Hydraulischer Kraftverstärker für eine Fahrzeug-Bremsanlage
DE3163046D1 (en) * 1980-04-23 1984-05-17 Lucas Ind Plc Improvements in power-operated boosters
DE19543698C1 (de) 1995-11-23 1997-03-20 Daimler Benz Ag Bremsgestänge und Hauptbremszylinder
DE19929877A1 (de) * 1999-06-29 2001-01-04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Betätigungseinheit für eine elektrohydraulische Bremsanlage
DE10045021B4 (de) 2000-09-12 2005-11-17 Lucas Varity Gmbh Hauptzylinder für eine hydraulische Fahrzeugbremsanlage
FR2817221B1 (fr) * 2000-11-24 2003-01-10 Bosch Gmbh Robert Dispositif de freinage assiste, a fonctionnement ameliore, pour vehicule a moteur
JP4810761B2 (ja) * 2001-03-26 2011-11-09 株式会社アドヴィックス 車両用ブレーキ液圧発生装置
US6729132B2 (en) 2002-07-19 2004-05-04 Meritor Heavy Vehicle Braking Systems (Uk) Ltd Remotely and directly pedal operated hydraulic compact booster for bi-directional braking
DE10306058B4 (de) 2003-02-13 2013-10-10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Bremssystem
DE102006015905A1 (de) 2005-09-15 2007-04-19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Bremssystem für Kraftfahrzeuge
FR2926768B1 (fr) 2008-01-25 2010-02-19 Bosch Gmbh Robert Servomoteur d'assistance au freinage d'actionnement rapid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7305B1 (ko) * 2006-04-19 2007-10-18 한국델파이주식회사 자동차용 브레이크의 부스터
KR20090079354A (ko) * 2008-01-17 2009-07-22 한국델파이주식회사 자동차용 패닉부스터
KR20090121925A (ko) * 2008-05-23 2009-11-26 주식회사 만도 전자유압브레이크시스템의 제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267448B (zh) 2013-12-18
US20110277465A1 (en) 2011-11-17
DE102011100782A1 (de) 2011-11-17
DE102011100782B4 (de) 2020-06-04
US8931270B2 (en) 2015-01-13
CN102267448A (zh) 2011-12-07
KR20110124840A (ko) 2011-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2712B1 (ko) 유압 브레이크 배력장치
US6672685B2 (en) Brake stroke simulator and a vehicle hydraulic brake apparatus provided with the same
EP2436568B1 (en) Braking control apparatus
KR101134901B1 (ko) 브레이크 액츄에이터 유닛
CN107399308B (zh) 包括踏板模拟器的制动系统
KR101492382B1 (ko) 차량용 액압 브레이크 장치
JP2004276666A (ja) ストロークシミュレータ
KR101536246B1 (ko) 차량용 브레이크장치
WO2011027386A1 (ja) ストロークシミュレータおよびブレーキ制御装置
KR101359337B1 (ko) 브레이크 액추에이터 유닛
JP4544256B2 (ja) ストロークシミュレータ
JP2007203927A (ja) ブレーキストロークシミュレータ
KR101157796B1 (ko) 능동형 유압제어 부스터
KR101337233B1 (ko) 유압 브레이크 부스터
KR101179104B1 (ko) 유압 브레이크 부스터
KR101243834B1 (ko) 브레이크 액츄에이터 유닛
KR20110125109A (ko) 유압 브레이크 부스터
CN111186426B (zh) 电动制动助力器
KR101402714B1 (ko) 유압 브레이크 배력장치
KR20120005969A (ko) 급속 충전 탠덤 마스터 실린더
CN108944872B (zh) 电子制动系统
KR102372396B1 (ko)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
JP7438241B2 (ja) ペダルストロークシミュレータ、およびペダルストロークシミュレータを有する液圧ブロック
JP5606862B2 (ja) 車両用ブレーキ装置
KR101285550B1 (ko) 차량용 브레이크의 배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