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9312B1 - 마린 모바일 리프트 - Google Patents

마린 모바일 리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9312B1
KR101399312B1 KR1020140029540A KR20140029540A KR101399312B1 KR 101399312 B1 KR101399312 B1 KR 101399312B1 KR 1020140029540 A KR1020140029540 A KR 1020140029540A KR 20140029540 A KR20140029540 A KR 20140029540A KR 101399312 B1 KR101399312 B1 KR 1013993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steering
trolley
girder
wire r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9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종택
고광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엘엔지니어링
(주)카네비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엘엔지니어링, (주)카네비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엘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400295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93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9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93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3/00Launching or hauling-out by landborne slipways; Slipways
    • B63C3/06Launching or hauling-out by landborne slipways; Slipways by vertical movement of vessel, i.e. by cran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CSHIP-LIFTING DEVICES OR MECHANISMS
    • E02C5/00Mechanisms for lifting ships vertic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rriers, Traveling Bodies, And Overhead Traveling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린 모바일 리프트에 관한 것으로, 일단이 한쌍의 하부빔에 실린더힌지축으로 각각 연결되고 타단의 실린더로드가 조향바퀴에 각각 연결되며 실린더로드의 전후진으로 조향바퀴들의 조향 각도를 조절하는 제1조향실린더 및 제2조향실린더와, 조향밸브에 연결되고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3펌프의 유압을 제1조향실린더 또는 제2조향실린더로 공급하는 조향밸브를 제어하는 수동핸들이 구비된다.
따라서, 수동핸들을 회전시키면 제1조향실린더 또는 제2조향실린더에 유압이 공급되어서 작동되고, 이에 따라 서로 연결된 제2조향실린더 또는 제1조향실린더가 연동되며, 결국 조향바퀴에 연결된 한쌍의 링크부가 연동되면서 한쌍의 조향바퀴를 서로 다른 각도로 회전시킨다. 그러므로 양측의 조향바퀴를 연결하는 타이로드가 구비되지 않아도 수동핸들을 회전시키는 작업만으로도 독립된 2개의 조향바퀴를 조향시킬 수 있고, 안쪽의 조향바퀴의 조향각이 바깥쪽 조향바퀴의 조향각보다 항상 일정한 비율로 더 꺽이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마린 모바일 리프트{Marine mobile lift}
본 발명은 마린 모바일 리프트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양측의 조향바퀴를 연결하는 타이로드없이 유압식 수동핸들을 회전시키는 작업만으로도 독립된 2개의 조향바퀴를 조향시킬 수 있고, 거더 상의 트롤리구동실린더, 트롤리의 배치공간을 최소화시키면서도 트롤리구동실린더의 스트로크와 같은 횡행 거리를 얻을 수 있으며, 거더에 변위가 발생되어도 트롤리의 횡행 동작이 가능할 뿐 아니라, 후크블록에 과부하가 인가되면 호이스트윈치의 권상 동작이 정지되고, 와이어로프의 꼬임이 방지되는 마린 모바일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요트 인양장치는 어촌의 부두나 해안가, 도크(Dock,선거) 등(이하 '도크'라 통칭함)에 설치되어서, 선박을 바다로 인양하거나 또는 바다의 선박을 방파제나 육상으로 운반하여 어선의 수리 및 보수하게 되며, 악천후 시에도 선박을 안전지대로 대피시켜 파손 및 침몰을 방지하는 등에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요트 인양장치에 관한 종래의 선행기술로는 국내등록특허 제10-0503918호의 '고정식 어선인양기' 및 국내등록특허 제10-0853291호의 '크레인' 등으로 게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의 선행기술은 외팔보 방식으로 작고 가벼운 소형선박의 인양작업에 제한됨으로 중소형급이상의 선박의 경우 인양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구조가 복잡한 고급선박이나 요트 등을 인양하기는 난해하며, 이동이 불안정하고 진동이나 흔들림으로 인해 선박의 손상 및 파손 위험성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국내등록특허 제10-1068012호가 개발되었는데, 구조체의 수직부재의 상부에 수평부재가 결합되고 저부에 바퀴가 구비되며, 상부의 호이스트(Hoist)에 연결된 밴드에 선박이 안착한 상태로 이동 및 인양하게 됨으로, 선박이 흔들리거나 위빙(Weaving)현상을 유발하게 되면서 불안정하게 흔들리고 측방으로 기울여지는 등, 충돌하거나 중심을 잃고 전도될 위험성이 높다. 또한, 태풍이나 강한 바람으로 인해 선박이 심하게 손상 및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선박은 저면이 유선형(곡선)이기 때문에 상기 밴드가 선체에 이탈될 우려가 크고 안정성이 취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국내등록특허 제10-1304038호(요트 인양장치)가 개발된 바 있다.
이러한 종래의 요트 인양장치는, 선박의 양측으로 직립하면서 하중을 지지하고 저면에 바퀴를 가지는 본체프레임과, 상기 본체프레임의 상부에서 선박에 감기는 밴드를 승강시키는 인양수단과,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선박을 일정한 장소에 운반 및 인양하도록 구비된다.
이 요트 인양장치의 본체프레임의 하부에는 선박의 선체를 지지하기 위한 선체 고정수단이 구비되며, 이 선체 고정수단은 제1실린더, 제2실린더, 밀착구로 이루어지는 바, 선박의 선체를 향해 제1실린더가 구비되고, 제1실린더의 선단에는 선체에 접촉하도록 밀착구가 구비되며, 본체프레임과 제1실린더 사이에는 제2실린더가 설치되어서 제1실린더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요트 인양장치에 의해 인양되는 선박의 저부를 선체 고정수단에 의해 지지함에 따라, 인양수단의 밴드에 안착하고 있는 선박이 흔들림을 방지하고 안정감을 제공하며 안전하게 운반 및 인양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요트 인양장치는, 선박을 인양하기 위한 수단 외에 선박의 흔들림을 방지시키기 위해 본체의 하부 양측에 고가의 다수 부품들로 이루어진 선체 고정수단이 한쌍 구비되어야 하므로 조립 공수 및 제조단가가 크게 상승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종래 요트 인양장치의 다른 문제점은, 수동 운전 장비로 선박을 인양시, 운전자의 감각에 의해 조작되므로 인양장비에 과부가가 걸리는지 정확히 확인하기가 불가능하며, 이에 따라 안전사고가 발생될 염려가 상존하게 된다.
한편, 수동핸들을 회전시켜서 요트 인양장치의 주행 방향을 바꾸려면 한쌍의 조향바퀴 사이에 타이로드가 연결되어야 한다. 통상적으로 타이로드는 한쌍의 조향바퀴에 연결되어서 핸들을 회전시키게 되면 안쪽 조향바퀴는 각도가 더 꺽이게 하고 바깥쪽 조향바퀴는 각도가 덜 꺽이게 하므로 안쪽 조향바퀴는 작은 원호를 그리면서 회전되고 바깥쪽 조향바퀴는 큰 원호를 그리면서 회전되도록 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요트 인양장치는 한쌍의 조향바퀴가 타이로드로 연결될 수 없는 구조인데, 선박이 인양장치의 수직 하부에서 상측으로 인양되는 구조이기 때문이다.
즉, 종래의 요트 인양장치는 한쌍의 조향바퀴 사이에 선박의 인양 통로가 확보되어야 하기 때문에 타이로드로 한쌍의 조향바퀴를 연결할 수 없는 구조이며, 이에 따라 하나의 수동핸들로 한쌍의 조향바퀴를 동시에 조향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술한 종래의 요트 인양장치에는 선박을 인양하기 위해 한쌍의 선박 인양용 밴드가 구비된다. 이러한 한쌍의 인양용 밴드는 선박의 이물과 고물 부분에 유선형을 따라 밀착되어서 선박의 하부 전후방을 지지한다.
그런데, 한쌍의 인양용 밴드는 선박의 크기에 따라 인양용 밴드의 간격을 벌리거나 좁혀야 하는데, 종래의 요트 인양장치에는 인양용 밴드의 간격을 조절할 별도의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선박을 인양하는데 적합하지 못하였다.
그리고, 종래의 요트 인양장치는 선박을 인양시킬 때에 밴드가 선박의 하부에 유선형을 따라 밀착되면서 밴드에 연결된 와이어로프를 경사지게 당기게 되며, 이에 따라 와이어로프가 비틀리면서 꼬임이 발생된다. 이와 같이 와이어로프가 꼬인 상태로 중량의 선박을 반복적으로 인양할 경우, 와이어로프에 피로가 가중되며 이에 따라 와이어로프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국내등록특허 제10-0503918호 국내등록특허 제10-0853291호 국내등록특허 제10-1059011호 국내등록특허 제10-1068012호 국내등록특허 제10-1304038호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양측의 조향바퀴를 연결하는 타이로드가 구비되지 않아도 수동핸들을 회전시키는 작업만으로도 독립된 2개의 조향바퀴를 조향시킬 수 있고, 안쪽의 조향바퀴의 조향각이 바깥쪽 조향바퀴의 조향각보다 항상 일정한 비율로 더 꺽이게 할 수 있도록 한 마린 모바일 리프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환밸브를 전환시키는 간편한 작업만으로 조향바퀴를 정렬시키거나 조향바퀴를 주행 대기 상태로 바꿀 수 있도록 한 마린 모바일 리프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거더 상의 트롤리구동실린더, 트롤리의 배치공간을 최소화시키면서도 트롤리구동실린더의 스트로크와 같은 횡행 거리를 얻을 수 있도록 한 마린 모바일 리프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거더에 변위가 발생되어도 트롤리의 횡행 동작이 가능하도록 한 마린 모바일 리프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후크블록에 과부하가 인가되면 호이스트윈치의 권상 동작이 정지되도록 한 마린 모바일 리프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슬링벨트가 요트의 저부에 밀착되면서 후크블록을 회전시키면 회전블록이 후크블록과 함께 회전되고 와이어꼬임방지부가 공회전되면서 와이어로프의 꼬임이 방지되도록 한 마린 모바일 리프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가의 모터, 로터리 엔코더 없이 스윙실린더에 공급되는 유압량을 제어하여서 지브크레인의 포스트 회전각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 마린 모바일 리프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마린 모바일 리프트는, 서로 평행하게 이격된 한쌍의 하부빔과, 한쌍의 하부빔 양단 상부에 설치되는 수직빔들과, 수직빔들의 상단에 설치되는 거더로 이루어진 메인프레임; 하부빔들의 일단 하부에 설치되는 조향축에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조향바퀴들; 하부빔들의 타단 하부에 설치되는 주행바퀴들; 메인프레임 및 조향바퀴에 연결되어서 조향바퀴의 회전방향을 제어하는 조향부; 평행하게 배열된 거더의 상부에 각각 한쌍씩 구비되고 한쌍의 거더가 동시에 거더의 중앙측 및 거더의 양단부 측으로 이송되도록 설치되는 트롤리; 트롤리에 연결되어서 트롤리와 함께 이송되는 후크블록; 양단이 후크블록에 연결되고 보트의 하부를 지지하는 한쌍의 슬링벨트; 평행하게 배열된 거더의 상부에 각각 설치되고 인접한 두 트롤리가 안착되며 한쌍의 거더가 동시에 거더의 중앙측 및 거더의 양단부 측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트롤리횡행구동부; 메인프레임에 설치되고 후크블록들에 연결되어서 후크블록들을 승강시키는 호이스트윈치들; 일단이 호이스트윈치들에 권취되고 후크블록, 트롤리를 경유하며 타단이 거더에 고정되어서 호이스트윈치들이 회전되면 권취되거나 풀리면서 후크블록을 승강시키는 와이어로프; 거더에 설치되고 와이어로프에 연결되어서 호이스트윈치의 구동시 과부하가 검출되면 호이스트윈치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과부하방지부; 거더 및 트롤리에 설치되고 와이어로프가 연결되며, 슬링벨트가 보트의 저면에 밀착되면서 후크블록을 회전시키므로 와이어로프에 뒤틀림을 발생시킬 시, 뒤틀림이 발생된 와이어로프 부분을 공회전시켜서 꼬임이 풀리도록 하는 와이어꼬임방지부; 메인프레임에 설치되고 조향부, 트롤리횡행구동부, 호이스트윈치들, 과부하방지부에 연결되어서 이들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마린 모바일 리프트의 다른 특징은, 조향부는, 일단이 한쌍의 하부빔에 실린더힌지축으로 각각 연결되고 타단의 실린더로드가 조향바퀴에 각각 연결되며 실린더로드의 전후진으로 조향바퀴들의 조향 각도를 조절하는 제1조향실린더 및 제2조향실린더와, 제1조향실린더 및 제2조향실린더에 연결되고 제3펌프에 연결되어서 제3펌프에서 공급되는 유압을 제1조향실린더 또는 제2조향실린더로 유도하는 조향밸브와, 조향밸브에 연결되고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3펌프의 유압을 제1조향실린더 또는 제2조향실린더로 공급하는 조향밸브를 제어하는 수동핸들과, 제1조향실린더 및 제2조향실린더의 실린더로드에 각각 연결되고 조향축에 설치된 바퀴지지브라켓에 각각 연결되어서 실린더로드의 전진 및 후진시 조향바퀴의 각도를 조절하는 한쌍의 링크부와, 제1조향실린더 및 제2조향실린더와 제3펌프에 연결되고 제3펌프 내의 유압을 제1조향실린더 및 제2조향실린더로 공급하거나 제1조향실린더 및 제2조향실린더 내의 유압을 제3펌프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유압라인부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마린 모바일 리프트의 또 다른 특징은, 링크부는, 일단이 하부빔에 링크고정축으로 회동되도록 결합되고 타단이 실린더로드에 유동축으로 연결되어서 실린더로드의 전후진시 링크고정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회동링크와, 일단이 바퀴지지브라켓의 일측에 브라켓회동축으로 결합되어 있고 타단이 회동링크의 타단에 유동축으로 결합되어서 회동링크가 링크고정축을 중심으로 회동될 시 연동되면서 바퀴지지브라켓을 조향축을 중심으로 회동시키는 연동링크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마린 모바일 리프트의 또 다른 특징은, 유압라인부는, 제1조향실린더 및 제2조향실린더의 타측에 연결되어 있는 실린더연결라인과, 제3펌프와 제2조향실린더 일측에 연결되어 있는 제1유압출입라인과, 제3펌프와 제1조향실린더 일측에 연결되어 있는 제2유압출입라인과, 제2유압출입라인 및 실린더연결라인에 연결되어서 제2유압출입라인으로 공급된 유압을 실린더연결라인으로 유도하는 정렬라인과, 제2유압출입라인 및 정렬라인에 연결되어서 제2유압출입라인으로 공급된 유압을 정렬라인을 통해 실린더연결라인으로 유도하거나 제1조향실린더 일측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전환밸브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마린 모바일 리프트의 또 다른 특징은, 전환밸브는, 휠 얼라이먼트 정렬시, 제3펌프에서 제1조향실린더 일측으로 공급되는 유압을 차단하고 제3펌프와 정렬라인을 연결하도록 전환되어서 유압이 정렬라인, 실린더연결라인을 통해 제1조향실린더 및 제2조향실린더 타측으로 공급되도록 하며; 주행대기 및 주행시, 제3펌프의 유압이 정렬라인으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고 제3펌프와 제1조향실린더의 일측을 연결하도록 전환되어서 유압이 제2유압출입라인을 통해 제1조향실린더의 일측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마린 모바일 리프트의 또 다른 특징은, 트롤리횡행구동부는, 트롤리가 안착되도록 거더의 상부면에 설치되고 트롤리가 거더를 따라 이송되는 것을 안내하는 트롤리전용레일과, 일단이 거더에 힌지로 결합되고 타단의 실린더로드가 트롤리에 연결되어서 트롤리가 트롤리전용레일을 따라 이송되도록 하는 트롤리구동실린더와, 거더의 상부면에 설치되고 트롤리전용레일과 평행하도록 배열되어 있는 실린더전용레일과, 트롤리구동실린더의 실린더로드에 연결되고 실린더전용레일에 안착되어서 트롤리구동실린더의 구동시 실린더전용레일을 따라 이송되는 실린더보기와, 거더의 상부면에 설치되고 트롤리의 행정거리보다 더 큰 폭을 유지하도록 배치되는 제1방향전환시브 및 제2방향전환시브와, 일단이 실린더보기에 연결되고 제1방향전환시브를 경유하며 타단이 트롤리에 연결되는 제1트롤리구동와이어와, 일단이 트롤리에 연결되고 제2방향전환시브를 경유하며 타단이 실린더보기에 연결되는 제2트롤리구동와이어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마린 보빌 리프트의 또 다른 특징은, 트롤리 및 실린더보기가 제1트롤리구동와이어 및 제2트롤리구동와이어로 연결되어서 트롤리 및 실린더보기 사이의 수직 변위를 제1트롤리구동와이어 및 제2트롤리구동와이어가 흡수하도록 구비되며, 트롤리구동실린더는 일단이 거더의 상부면에 힌지로 결합되고 타단의 실린더로드가 실린더보기에 연결되어서 거더에 처짐이 발생되어도 거더의 처진 수직 변위만큼 트롤리구동실린더가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그 변위를 흡수하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의 마린 모바일 리프트의 또 다른 특징은, 과부하방지부는, 거더에 설치되는 가이드롤러브라켓과, 가이드롤러브라켓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와이어로프가 경유하는 가이드롤러와, 가이드롤러브라켓에 가이드롤러가 공회전되도록 조립되어 와이어로프에 과하중이 전달되면 이를 감지하여 컨트롤러에 전달하여 호이스트윈치에 과부하가 인가되지 않도록 하는 핀타입로드셀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마린 모바일 리프트의 또 다른 특징은, 와이어꼬임방지부는, 거더 상부면의 트롤리전용레일에 안착되는 트롤리브라켓과, 트롤리브라켓의 일측에 결합되고 복수의 수직시브가 결합되는 회전블록 사이에 결합되어서, 슬링벨트에 요트가 안착되면 회전블록이 후크블록과 함께 회전되도록 안내하는 블록힌지축; 일측이 거더에 결합되고 타측이 와이어로프의 단부에 연결되어서 와이어로프에 뒤틀림이 발생되면 뒤틀림이 발생된 와이어로프 부분을 공회전시켜서 꼬임이 풀리도록 하는 꼬임방지구로 이루어지며; 꼬임방지구는, 거더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와이어로프의 단부에 연결되는 연결부와, 고정부 및 연결부 사이에 결합되며 연결부가 공회전되도록 안내하는 공회전부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마린 모바일 리프트의 또 다른 특징은, 거더의 상부에는 지상과 거더 사이에 물품을 이송시키도록 지브크레인이 더 설치되되, 지브크레인은, 시팅포스트의 상부에 설치되는 스윙프레임과, 스윙프레임에 설치되는 스윙링과, 스윙링에 안착되어서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는 포스트와, 포스트의 상단에 지브힌지로 결합되어서 상하로 회동되는 지브와, 포스트 및 지브에 연결되어서 지브가 지브힌지를 중심으로 상하로 회동되도록 하는 러핑실린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스윙프레임 및 스윙링에는 스윙링을 회전시키도록 스윙링회전수단이 설치되며; 스윙링회전수단은, 양단이 스윙프레임에 고정되는 실린더로드 및 실린더로드의 둘레에 결합되고 유압이 공급되면 실린더로드를 따라 왕복 이송되는 실린더바디로 이루어진 스윙실린더와, 실린더바디의 일측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서 실린더바디와 함께 실린더로드를 따라 왕복 이송되는 실린더바디에 부착된 래크와, 스윙링의 둘레에 설치되고 래크에 치합되어서 래크가 실린더로드를 따라 왕복 이송되면 스윙링과 함께 회전되는 피니언으로 이루어진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조향부는, 일단이 한쌍의 하부빔에 실린더힌지축으로 각각 연결되고 타단의 실린더로드가 조향바퀴에 각각 연결되며 실린더로드의 전후진으로 조향바퀴들의 조향 각도를 조절하는 제1조향실린더 및 제2조향실린더와, 제1조향실린더 및 제2조향실린더에 연결되고 제3펌프에 연결되어서 제3펌프에서 공급되는 유압을 제1조향실린더 또는 제2조향실린더로 유도하는 조향밸브와, 조향밸브에 연결되고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3펌프의 유압을 제1조향실린더 또는 제2조향실린더로 공급하는 조향밸브를 제어하는 수동핸들이 구비된다. 따라서, 수동핸들을 회전시키면 제1조향실린더 또는 제2조향실린더에 유압이 공급되어서 작동되고, 이에 따라 서로 연결된 제2조향실린더 또는 제1조향실린더가 연동되며, 결국 조향바퀴에 연결된 한쌍의 링크부가 연동되면서 한쌍의 조향바퀴를 서로 다른 각도로 회전시킨다. 그러므로 양측의 조향바퀴를 연결하는 타이로드가 구비되지 않아도 수동핸들을 회전시키는 작업만으로도 독립된 2개의 조향바퀴를 조향시킬 수 있고, 안쪽의 조향바퀴의 조향각이 바깥쪽 조향바퀴의 조향각보다 항상 일정한 비율로 더 꺽이게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한쌍의 조향바퀴 사이에 요트의 인양 통로가 확보되어야 하기 때문에 타이로드를 설치할 수 없는 장비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의 전환밸브는, 휠 얼라이먼트 정렬시, 제3펌프에서 제1조향실린더 일측으로 공급되는 유압을 차단하고 제3펌프와 정렬라인을 연결하도록 전환되어서 유압이 정렬라인, 실린더연결라인을 통해 제1조향실린더 및 제2조향실린더 타측으로 공급되도록 하며, 주행대기 및 주행시, 제3펌프의 유압이 정렬라인으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고 제3펌프와 제1조향실린더의 일측을 연결하도록 전환되어서 유압이 제2유압출입라인을 통해 제1조향실린더의 일측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따라서 전환밸브를 전환시키는 간편한 작업만으로 조향바퀴를 정렬시키거나 주행 대기 및 주행 상태로 바꿀 수 있다.
본 발명의 트롤리횡행구동부는, 일단이 거더에 힌지로 결합되고 타단의 실린더로드가 트롤리에 연결되어서 트롤리가 트롤리전용레일을 따라 이송되도록 하는 트롤리구동실린더와, 거더의 상부면에 설치되고 트롤리의 행정거리보다 더 큰 폭을 유지하도록 배치되는 제1방향전환시브 및 제2방향전환시브와, 일단이 실린더보기에 연결되고 제1방향전환시브를 경유하며 타단이 트롤리에 연결되는 제1트롤리구동와이어와, 일단이 트롤리에 연결되고 제2방향전환시브를 경유하며 타단이 실린더보기에 연결되는 제2트롤리구동와이어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트롤리가 트롤리구동실린더의 실린더로드에 직접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제1방향전환시브 및 제2방향전환시브와 제1트롤리구동와이어 및 제2트롤리구동와이어에 의해 연결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트롤리구동실린더의 실린더로드가 인출되면 트롤리가 트롤리구동실린더 측으로 이송되고 실린더로드가 인입되면 트롤리가 트롤리구동실린더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송된다. 그러므로 거더 상의 트롤리구동실린더, 트롤리의 배치공간을 최소화시키면서도 트롤리구동실린더의 스트로크와 같은 횡행 거리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트롤리 및 실린더보기가 제1트롤리구동와이어 및 제2트롤리구동와이어로 연결되고, 트롤리구동실린더는 일단이 거더의 상부면에 힌지로 결합되고 타단의 실린더로드가 실린더보기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거더에 처짐이 발생될 시 거더의 처진 수직 변위만큼 트롤리구동실린더가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그 변위를 흡수하며, 트롤리 및 실린더보기 사이의 수직 변위를 제1트롤리구동와이어 및 제2트롤리구동와이어가 흡수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트롤리가 실린더보기 및 제1트롤리구동와이어, 제2트롤리구동와이어에 의해 구동되고 트롤리구동실린더가 처진 거더의 변위에 따라 회동되는 구조이므로 거더에 변위가 발생되어도 트롤리의 횡행 동작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과부하방지부는, 가이드롤러브라켓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와이어로프가 경유하는 가이드롤러와, 가이드롤러브라켓에 설치되고 가이드롤러가 공회전되도록 결합되며 와이어로프에 과하중이 전달되어서 호이스트윈치에 과부하가 인가되면 이를 감지하여서 컨트롤러에 전달하는 핀타입로드셀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후크블록에 과부하가 걸리면 핀타입로드셀이 이를 감지하여 컨트롤러에 전달하고 컨트롤러에 의해 호이스트윈치의 권상 동작이 정지되며 과부하를 해제할 수 있도록 후크블록은 하강된다. 그러므로 네개의 후크블록 중 특정 부분에 과부하가 인가되면 호이스트윈치의 권상 동작이 정지되므로 호이스트윈치의 파손 및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와이어꼬임방지부는, 슬링벨트에 요트가 안착되면 회전블록이 후크블록과 함께 회전되도록 안내하는 블록힌지축과, 일측이 거더에 결합되고 타측이 와이어로프의 단부에 연결되어서 와이어로프에 뒤틀림이 발생되면 뒤틀림이 발생된 와이어로프 부분을 공회전시켜서 꼬임이 풀리도록 하는 꼬임방지구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슬링벨트가 요트에 밀착되면서 요트의 유선형을 따라 후크블록이 회전되면 수직시브가 설치된 회전블록이 후크블록의 회전량만큼 블록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므로 후크블록 및 회전블록 사이의 와이어로프 뒤틀림이 방지되며, 수직시브 및 꼬임방지구 사이의 와이어로프에 발생되는 뒤틀림은 꼬임방지구의 연결부가 공회전되면서 풀리게 된다. 그러므로 슬링벨트가 요트의 저부에 밀착되면서 후크블록을 회전시켜도 회전블록이 후크블록과 함께 회전되고 와이어꼬임방지부가 공회전되므로 와이어로프의 꼬임이 방지되며, 이에 따라 와이어로프의 손상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스윙링회전수단은, 양단이 스윙프레임에 고정되는 실린더로드 및 실린더로드의 둘레에 결합되고 유압이 공급되면 실린더로드를 따라 왕복 이송되는 실린더바디로 이루어진 스윙실린더와, 실린더바디의 일측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서 실린더바디와 함께 실린더로드를 따라 왕복 이송되는 래크와, 스윙링의 둘레에 설치되고 래크에 치합되어서 래크가 실린더로드를 따라 왕복 이송되면 스윙링과 함께 회전되는 피니언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발명은 스윙실린더에 공급되는 유압량을 제어하여서 지브크레인의 포스트 회전각도를 제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포스트의 회전각도를 제어하기 위해 고가의 모터, 로터리 엔코더가 구비되었던 종래에 비해 제조단가가 크게 절감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마린 모바일 리프트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회로도
도 3은 조향부의 유압라인부를 보인 개략도
도 4는 휠 얼라이먼트 정렬 상태를 보인 개략적 평면도
도 5는 조향바퀴가 정렬된 상태를 보인 부분 확대 평면도 및 그 측면도
도 6은 조향바퀴들이 회전된 상태를 보인 개략적 평면도
도 7은 조향바퀴가 회전된 상태를 보인 부분 확대 평면도 및 그 측면도
도 8은 트롤리횡행구동부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
도 9는 트롤리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부분 확대 사시도
도 10은 트롤리횡행구동부에 의해 트롤리가 이송되는 상태를 순차적으로 보인 개략적 평면도들
도 11은 와이어로프의 경로와 과부하방지부, 와이어꼬임방지부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
도 12는 와이어꼬임방지부를 발췌한 확대 사시도
도 13은 지브크레인을 보인 발췌 정면도
도 14는 스윙링회전수단을 보인 발췌 정면도 및 그 평면도
본 발명의 구체적인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마린 모바일 리프트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회로도이며, 도 3은 조향부의 유압라인부를 보인 개략도이다. 도 4는 휠 얼라이먼트 정렬 상태를 보인 개략적 평면도이고, 도 5는 조향바퀴가 정렬된 상태를 보인 부분 확대 평면도 및 그 측면도이며, 도 6은 조향바퀴들이 회전된 상태를 보인 개략적 평면도이다. 도 7은 조향바퀴가 회전된 상태를 보인 부분 확대 평면도 및 그 측면도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마린 모바일 리프트는, 메인프레임(10), 조향바퀴(20)들, 주행바퀴(30)들, 조향부(40), 트롤리(70), 후크블록(80), 슬링벨트(90), 트롤리횡행구동부(100), 호이스트윈치(120), 와이어로프(130), 과부하방지부(140), 와이어꼬임방지부(150), 지브크레인(170), 컨트롤러(1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메인프레임(10)은, 서로 평행하게 이격된 한쌍의 하부빔(11)과, 한쌍의 하부빔(11) 양단 상부에 설치되는 수직빔(12)들과, 수직빔(12)들의 상단에 설치되는 거더(13)로 이루어진다.
거더(13)의 상부면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트롤리전용레일(101)이 설치되어 있고, 이 트롤리전용레일(101)에는 후술할 트롤리(70)가 안착되며 트롤리(70)의 이송을 안내한다.
또한, 거더(13)의 상부면에는 트롤리전용레일(101)과 평행하도록 실린더전용레일(105)이 설치되어 있고, 이 실린더전용레일(105)에는 후술할 실린더보기(106)가 안착되며, 실린더보기(106)의 이송을 안내한다.
조향바퀴(20)는, 하부빔(11)들의 일단 하부에 설치되는 조향축(22)에 회전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한쌍의 조향바퀴(20)들은 두개의 조향바퀴(20)가 독립되어서 구비되며, 타이로드가 구비되지 않는다.
일반적인 조향기구(에커먼 기구)는 한쌍의 조향바퀴가 타이로드로 연결되어 있으며, 핸들을 회전시킬 시 타이로드에 의해 한쌍의 조향바퀴 중 바깥쪽의 조향바퀴보다 안쪽의 조향바퀴가 더 크게 회전된다.
본 발명의 마린 모바일 리프트는 한쌍의 조향바퀴(20) 사이에 보트 인양 공간이 확보되어야 하며, 이에 따라 2개의 조향바퀴(20)에 타이로드가 연결되지 못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수동핸들(41)을 회전시키면 후술할 조향부(40)에 의해 한쌍의 조향바퀴(20)들이 회전되며, 안쪽의 조향바퀴(20)가 바깥쪽의 조향바퀴(20)보다 더 회전되는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은 발전기(1) 및 엔진(2)이 구동되면 이에 연결된 제1펌프(3), 제2펌프(4), 제3펌프(5)가 구동되는 바, 조향바퀴(20)은 제3펌프(5)에 연결되어 있다. 제3펌프(5)가 구동되면 유압이 조향부(40)로 공급되며 조향부(40)에 의해 한쌍의 조향바퀴(20)가 각각 회전된다.
이러한 조향바퀴(20)의 바퀴축에는 주행모터(23)가 연결되며, 이 주행모터(23)는 제1펌프(3)에 연결되어서 제1펌프(3)의 동력을 조향바퀴(20)에 전달한다.
주행바퀴(30)는 하부빔(11)들의 타단 하부에 설치된다. 이러한 주행바퀴(30)는 피동바퀴이며, 조향바퀴(20)의 조향 방향 또는 주행 방향에 따라 이동되면서 회전된다.
조향부(40)는, 메인프레임(10) 및 조향바퀴(20)에 연결되어서 조향바퀴(20)의 회전방향을 제어한다. 이러한 조향부(40)는, 제1조향실린더(42) 및 제2조향실린더(43), 조향밸브(46), 수동핸들(41), 링크부(50), 유압라인부(60)로 이루어진다.
제1조향실린더(42) 및 제2조향실린더(43)는, 일단이 한쌍의 하부빔(11)에 실린더힌지축(45)으로 각각 연결되고 타단의 실린더로드(44)가 조향바퀴(20)에 각각 연결되며 실린더로드(44)의 전후진으로 조향바퀴(20)들의 조향 각도를 조절한다.
조향밸브(46)는, 제1조향실린더(42) 및 제2조향실린더(43)에 연결되고 제3펌프(5)에 연결되어서 제3펌프(5)에서 공급되는 유압을 제1조향실린더(42) 또는 제2조향실린더(43)로 유도한다.
수동핸들(41)은, 조향밸브(46)에 연결되고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3펌프(5)의 유압을 제1조향실린더(42) 또는 제2조향실린더(43)로 공급하는 조향밸브(46)를 제어한다.
한쌍의 링크부(50)는, 제1조향실린더(42) 및 제2조향실린더(43)의 실린더로드(44)에 각각 연결되고 조향축(22)에 설치된 바퀴지지브라켓(21)에 각각 연결되어서 실린더로드(44)의 전진 및 후진시 조향바퀴(20)의 각도를 조절한다.
이러한 링크부(50)는, 회동링크(51)와 연동링크(54)로 이루어진다.
회동링크(51)는 일단이 하부빔(11)에 링크고정축(52)으로 회동되도록 결합되고 타단이 실린더로드(44)에 유동축으로 연결되어서 실린더로드(44)의 전후진시 링크고정축(52)을 중심으로 회동된다.
연동링크(54)는 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연동링크(54)는, 일단이 바퀴지지브라켓(21)의 일측에 브라켓회동축(55)으로 결합되어 있고 타단이 회동링크(51)의 타단에 유동축(53)으로 결합되어서 회동링크(51)가 링크고정축(52)을 중심으로 회동될 시 연동되면서 바퀴지지브라켓(21)을 조향축(22)을 중심으로 회동시킨다.
이와 같은 구성의 링크부(50)는 제1조향실린더(42) 및 이와 인접한 바퀴지지브라켓(21)과 제2조향실린더(43) 및 이와 인접한 바퀴지지브라켓(21)에 각각 설치되며, 이와 같이 설치된 한쌍의 링크부(50)는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된다.
유압라인부(60)는, 제1조향실린더(42) 및 제2조향실린더(43)와 제3펌프(5)에 연결되고 제3펌프(5) 내의 유압을 제1조향실린더(42) 및 제2조향실린더(43)로 공급하거나 제1조향실린더(42) 및 제2조향실린더(43) 내의 유압을 제3펌프(5)로 유입되도록 안내한다.
이러한 유압라인부(60)는, 제1조향실린더(42) 및 제2조향실린더(43)의 타측에 연결되어 있는 실린더연결라인(61)과, 제3펌프(5)와 제2조향실린더(43) 일측에 연결되어 있는 제1유압출입라인(62)과, 제3펌프(5)와 제1조향실린더(42) 일측에 연결되어 있는 제2유압출입라인(63)과, 제2유압출입라인(63) 및 실린더연결라인(61)에 연결되어서 제2유압출입라인(63)으로 공급된 유압을 실린더연결라인(61)으로 유도하는 정렬라인(64)과, 제2유압출입라인(63) 및 정렬라인(64)에 연결되어서 제2유압출입라인(63)으로 공급된 유압을 정렬라인(64)을 통해 실린더연결라인(61)으로 유도하거나 제1조향실린더(42) 일측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전환밸브(65)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발명의 조향부(40)는, 수동핸들(41)을 회전시키면 제1조향실린더(42) 또는 제2조향실린더(43)에 유압이 공급되어서 작동되고, 이에 따라 서로 연결된 제2조향실린더(43) 또는 제1조향실린더(42)가 연동되며, 결국 조향바퀴(20)에 연결된 한쌍의 링크부(50)가 연동되면서 한쌍의 조향바퀴(20)를 서로 다른 각도로 회전시킨다.
따라서, 양측의 조향바퀴(20)를 연결하는 타이로드가 구비되지 않아도 수동핸들(41)을 회전시키는 작업만으로도 독립된 2개의 조향바퀴(20)를 조향시킬 수 있고, 안쪽의 조향바퀴(20)의 조향각이 바깥쪽 조향바퀴(20)의 조향각보다 항상 일정한 비율로 더 꺽이게 할 수 있다.
전환밸브(65)는, 휠 얼라이먼트 정렬시, 제3펌프(5)에서 제1조향실린더(42) 일측으로 공급되는 유압을 차단하고 제3펌프(5)와 정렬라인(64)을 연결하도록 전환되어서 유압이 정렬라인(64), 실린더연결라인(61)을 통해 제1조향실린더(42) 및 제2조향실린더(43) 타측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따라서, 주행대기 및 주행시, 제3펌프(5)의 유압이 정렬라인(64)으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고 제3펌프(5)와 제1조향실린더(42)의 일측을 연결하도록 전환되어서 유압이 제2유압출입라인(63)을 통해 제1조향실린더(42)의 일측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전환밸브(65)를 전환시키는 간편한 작업만으로 조향바퀴(20)를 정렬시키거나 주행 대기 및 주행 상태로 바꿀 수 있다.
트롤리(70)는, 평행하게 배열된 거더(13)의 상부에 각각 한쌍씩 구비되고 한쌍의 거더(13)가 동시에 거더(13)의 중앙측 및 거더(13)의 양단부 측으로 이송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트롤리(70)는 트롤리전용레일(101)에 안착되어서 이를 따라 왕복 이송되는 트롤리브라켓(71)과, 트롤리브라켓(71)의 일측에 회동되도록 설치되는 회전블록(72)과, 회전블록(72)에 설치되고 와이어로프(130)가 경유하는 복수의 수직시브(73)가 구비된다.
회전블록(72)은 상부가 트롤리브라켓(71)에 블록힌지축(151)으로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슬링벨트(90)가 보트의 하부에 밀착되면서 유선형을 따라 당겨질 때에 슬링벨트(90)의 기울어진 각도만큼 블록힌지축(151)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즉, 슬링벨트(90)가 보트의 유선형을 따라 기울어지게 당겨지면 후크블록(80)이 함께 당겨지게 되며 이에 따라 후크블록(80)에 연결된 와이어로프(130)가 슬링벨트(90)의 기울어진 경사각도로 당겨진다. 이때 회전블록(72)도 와이어로프(130)의 당겨지는 힘에 의해 블록힌지축(151)을 중심으로 회동되며 이에 따라 회전블록(72)에 설치된 수직시브(73)들이 와이어로프(130)의 경사각도에 맞게 기울어지게 된다.
그러므로 슬링벨트(90)가 보트에 밀착되면서 기울어지면 회전블록(72) 및 수직시브(73)도 동일한 각도로 기울어지므로 그 부분의 와이어로프(130)의 휨 변형 및 시브의 이상 마모를 방지한다.
후크블록(80)은, 트롤리(70)에 연결되어서 트롤리(70)와 함께 이송된다. 이러한 후크블록(80)에는 후크블록시브(81)가 설치되어 있으며, 트롤리(70)의 수직시브(73)를 경유한 와이어로프(130)가 후크블록시브(81)를 경유하게 된다.
슬링벨트(90)는, 양단이 후크블록(80)에 연결되어 있고, U자 형태를 이루며, 하부가 바닷물 속에 잠겨 있다가 요트가 도크에 진입하면 그 양단이 상측으로 당겨지면서 슬링벨트(90)가 요트 하부의 유선부에 밀착된다.
트롤리횡행구동부(100)는, 평행하게 배열된 거더(13)의 상부에 각각 설치되고 인접한 두 트롤리(70)가 안착되며 한쌍의 거더(13)가 동시에 거더(13)의 중앙측 및 거더(13)의 양단부 측으로 이송되도록 한다.
이러한 트롤리횡행구동부(100)는, 트롤리전용레일(101), 트롤리구동실린더(102), 실린더전용레일(105), 실린더보기(106), 제1방향전환시브(107) 및 제2방향전환시브(108), 제1트롤리구동와이어(109), 제2트롤리구동와이어(110)로 이루어진다.
트롤리전용레일(101)은, 트롤리(70)가 안착되도록 거더(13)의 상부면에 설치되고 트롤리(70)가 거더(13)를 따라 이송되는 것을 안내한다. 트롤리구동실린더(102)는, 일단이 거더(13)에 힌지(104)로 결합되고 타단의 실린더로드(103)가 트롤리(70)에 연결되어서 트롤리(70)가 트롤리전용레일(101)을 따라 이송되도록 한다. 실린더전용레일(105)은, 거더(13)의 상부면에 설치되고 트롤리전용레일(101)과 평행하도록 배열되어 있다.
실린더보기(106)는, 트롤리구동실린더(102)의 실린더로드(103)에 연결되고 실린더전용레일(105)에 안착되어서 트롤리구동실린더(102)의 구동시 실린더전용레일(105)을 따라 이송된다. 제1방향전환시브(107) 및 제2방향전환시브(108)는, 거더(13)의 상부면에 설치되고 트롤리(70)의 행정거리보다 더 큰 폭을 유지하도록 배치된다. 제1트롤리구동와이어(109)는, 일단이 실린더보기(106)에 연결되고 제1방향전환시브(107)를 경유하며 타단이 트롤리(70)에 연결된다. 제2트롤리구동와이어(110)는, 일단이 트롤리(70)에 연결되고 제2방향전환시브(108)를 경유하며 타단이 실린더보기(106)에 연결된다.
이러한 트롤리횡행구동부(100)는, 트롤리(70) 및 실린더보기(106)가 제1트롤리구동와이어(109) 및 제2트롤리구동와이어(110)로 연결되어서 트롤리(70) 및 실린더보기(106) 사이의 수직 변위를 제1트롤리구동와이어(109) 및 제2트롤리구동와이어(110)가 흡수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트롤리구동실린더(102)는 일단이 거더(13)의 상부면에 힌지(104)로 결합되고 타단의 실린더로드(103)가 실린더보기(106)에 연결되어서 거더(13)에 처짐이 발생되어도 거더(13)의 처진 수직 변위만큼 트롤리구동실린더(102)가 힌지(104)를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그 변위를 흡수하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트롤리횡행구동부(100)는, 트롤리(70)가 트롤리구동실린더(102)의 실린더로드(103)에 직접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제1방향전환시브(107) 및 제2방향전환시브(108)와 제1트롤리구동와이어(109) 및 제2트롤리구동와이어(110)에 의해 연결된다.
따라서 트롤리구동실린더(102)의 실린더로드(103)가 인출되면 트롤리(70)가 트롤리구동실린더(102) 측으로 이송되고 실린더로드(103)가 인입되면 트롤리(70)가 트롤리구동실린더(10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송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트롤리횡행구동부(100)는 거더(13) 상의 트롤리구동실린더(102), 트롤리(70)의 배치공간을 최소화시키면서도 트롤리구동실린더(102)의 스트로크와 같은 횡행 거리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트롤리횡행구동부(100)는, 거더(13)에 처짐이 발생될 시 거더(13)의 처진 수직 변위만큼 트롤리구동실린더(102)가 힌지(104)를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그 변위를 흡수하며, 트롤리(70) 및 실린더보기(106) 사이의 수직 변위를 제1트롤리구동와이어(109) 및 제2트롤리구동와이어(110)가 흡수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트롤리(70)가 실린더보기(106) 및 제1트롤리구동와이어(109), 제2트롤리구동와이어(110)에 의해 구동되고 트롤리구동실린더(102)가 처진 거더(13)의 변위에 따라 회동되는 구조이므로 거더(13)에 변위가 발생되어도 트롤리(70)의 횡행 동작이 가능하다.
호이스트윈치(120)들은, 메인프레임(10)에 설치되고 후크블록(80)들에 연결되어서 후크블록(80)들을 승강시킨다. 이러한 호이스트윈치(120)들은 메인프레임(10)의 하부빔(11)에 4대가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호이스트윈치(120)의 내부에는 와이어로프(130)에 걸리는 장력을 감지하도록 압력센서(미도시)가 설치되어 있다. 이 압력센서는 호이스트윈치(120)의 내부에 설치되어서 와이어로프(130)의 인장력이 호이스트윈치(120)에 전달되면 이를 감지한다. 측정된 와이어로프(130)의 인장력이 세팅값보다 더 클 경우, 컨트롤러(160)에 전달하여서 호이스트윈치(120)의 권상동작을 정지시킨다.
이러한 압력센서는 후술할 핀타입로드셀(143)과 함께 이중으로 안전장치를 이룬다.
와이어로프(130)는, 일단이 호이스트윈치(120)들에 권취되고 후크블록(80), 트롤리(70)를 경유하며 타단이 거더(13)에 고정되어서 호이스트윈치(120)들이 회전되면 권취되거나 풀리면서 후크블록(80)을 승강시킨다. 이러한 와이어로프(130)는 4줄로 이루어진다.
4줄의 와이어로프(130) 중 좌측의 첫번째 와이어로프(130)는 일단이 4대의 호이스트윈치(120) 중 전방 좌측의 첫번째 호이스트윈치(120)에 권취되고 거더(13) 상부의 롤러(14) 및 가이드롤러(142)를 경유하며, 거더(13) 상부면의 전방 좌측에 배치된 트롤리(70)의 수직시브(73) 및 후크블록(80)의 후크블록시브(81)를 경유한 후 거더(13)의 상부면에 고정된다.
4줄의 와이어로프(130) 중 두번째 와이어로프(130)는 일단이 4대의 호이스트윈치(120) 중 좌측으로부터 두번째 호이스트윈치(120)에 권취되고, 거더(13) 상부의 롤러(14) 및 가이드롤러(142)를 경유하며, 거더(13) 상부면의 전방 우측에 배치된 트롤리(70)의 수직시브(73) 및 후크블록(80)의 후크블록시브(81)를 경유한 후 거더(13)의 상부면에 고정된다.
4줄의 와이어로프(130) 중 세번째 와이어로프(130)는 일단이 4대의 호이스트윈치(120) 중 좌측으로부터 세번째 호이스트윈치(120)에 권취되고, 거더(13) 상부의 롤러(14) 및 가이드롤러(142)를 경유하며, 거더(13) 상부면의 후방 우측에 배치된 트롤리(70)의 수직시브(73) 및 후크블록(80)의 후크블록시브(81)를 경유한 후 거더(13)의 상부면에 고정된다.
4줄의 와이어로프(130) 중 네번째 와이어로프(130)는 일단이 4대의 호이스트윈치(120) 중 좌측으로부터 네번째 호이스트윈치(120)에 권취되고, 거더(13) 상부의 롤러(14) 및 가이드롤러(142)를 경유하며, 거더(13) 상부면의 후방 좌측에 배치된 트롤리(70)의 수직시브(73) 및 후크블록(80)의 후크블록시브(81)를 경유한 후 거더(13)의 상부면에 고정된다.
과부하방지부(140)는, 거더(13)에 설치되고 와이어로프(130)에 연결되어서 호이스트윈치(120)의 구동시 과부하가 검출되면 호이스트윈치(120)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이 과부하방지부(140)는, 거더(13)에 설치되는 가이드롤러브라켓(141)과, 가이드롤러브라켓(141)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와이어로프(130)가 경유하는 가이드롤러(142)와, 가이드롤러브라켓(141)에 설치되고 가이드롤러(142)가 공회전되도록 결합되며 와이어로프(130)에 과하중이 전달되어서 호이스트윈치(120)에 과부하가 인가되면 이를 감지하여서 컨트롤러(160)에 전달하는 핀타입로드셀(143)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과부하방지부(140)는 거더(13)의 상부면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바, 4줄의 와이어로프(130) 중 첫번째 와이어로프(130)와 네번째 와이어로프(130)는 좌측의 과부하방지부(140)의 가이드롤러(142)를 경유하여서 그 핀타입로드셀(143)에 인장력을 인가하며, 두번째 와이어로프(130)와 세번째 와이어로프(130)는 우측의 과부하방지부(140)의 가이드롤러(142)를 경유하여서 그 핀타입로드셀(143)에 인장력을 인가하도록 구비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과부하방지부(140)는, 후크블록(80)에 과부하가 걸리면 핀타입로드셀(143)이 이를 감지하여 컨트롤러(160)에 전달하고 컨트롤러(160)에 의해 호이스트윈치(120)의 권상 동작이 정지되며 과부하를 해제할 수 있도록 후크블록(80)은 하강된다.
따라서 네개의 후크블록(80) 중 특정 부분에 과부하가 인가되면 호이스트윈치(120)의 권상 동작이 정지되므로 호이스트윈치(120)의 파손 및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시킬 수 있다.
와이어꼬임방지부(150)는, 거더(13) 및 트롤리(70)에 설치되고 와이어로프(130)가 연결되며, 슬링벨트(90)가 보트의 저면에 밀착되면서 후크블록(80)을 회전시키므로 와이어로프(130)에 뒤틀림을 발생시킬 시, 뒤틀림이 발생된 와이어로프(130) 부분을 공회전시켜서 꼬임이 풀리도록 한다.
이 와이어꼬임방지부(150)는, 블록힌지축(151), 꼬임방지구(152)로 이루어진다.
블록힌지축(151)은, 거더(13) 상부면의 트롤리전용레일(101)에 안착되는 트롤리브라켓(71)과, 트롤리브라켓(71)의 일측에 결합되고 복수의 수직시브(73)가 결합되는 회전블록(72) 사이에 결합되어서, 슬링벨트(90)에 요트가 안착되면 회전블록(72)이 후크블록(80)과 함께 회전되도록 안내한다.
꼬임방지구(152)는, 일측이 거더(13)에 결합되고 타측이 와이어로프(130)의 단부에 연결되어서 와이어로프(130)에 뒤틀림이 발생되면 뒤틀림이 발생된 와이어로프(130) 부분을 공회전시켜서 꼬임이 풀리도록 하는 꼬임방지구(152)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꼬임방지구(152)는, 거더(13)에 고정되는 고정부(153)와, 와이어로프(130)의 단부에 연결되는 연결부(154)와, 고정부(153) 및 연결부(154) 사이에 결합되며 연결부(154)가 공회전되도록 안내하는 공회전부(155)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와이어꼬임방지부(150)는, 슬링벨트(90)가 요트에 밀착되면서 요트의 유선형을 따라 후크블록(80)이 회전되면 수직시브(73)가 설치된 회전블록(72)이 후크블록(80)의 회전량만큼 블록힌지축(151)을 중심으로 회전되므로 후크블록(80) 및 회전블록(72) 사이의 와이어로프(130) 뒤틀림이 방지된다. 또한, 수직시브(73) 및 꼬임방지구(152) 사이의 와이어로프(130)에 발생되는 뒤틀림은 꼬임방지구(152)의 연결부(154)가 공회전되면서 풀리게 된다.
한편, 거더(13)의 상부에는 지상과 거더(13) 사이에 물품을 이송시키도록 지브크레인(170)이 설치된다.
이 지브크레인(170)은, 시팅포스트(171)의 상부에 아답터(172)가 설치되는 아답터(172)와, 아답터(172)의 상부에 설치되는 스윙프레임(173)과, 스윙프레임(173)에 설치되는 스윙링(174)과, 스윙링(174)에 안착되어서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는 포스트(175)와, 포스트(175)의 상단에 지브힌지(177)로 결합되어서 상하로 회동되는 지브(176)와, 포스트(175) 및 지브(176)에 연결되어서 지브(176)가 지브힌지(177)를 중심으로 상하로 회동되도록 하는 러핑실린더(178)가 구비된다. 지브(176)에는 크레인윈치(181)가 설치되고 크레인윈치(181)에는 크레인로프(179)의 일단이 권취되며 크레인로프(179)는 지브(176)의 타단을 경유한 후 후크(180)에 연결된다.
스윙프레임(173) 및 스윙링(174)에는 스윙링(174)을 회전시키도록 스윙링회전수단(190)이 설치된다.
이 스윙링회전수단(190)은, 양단이 스윙프레임(173)에 고정되는 실린더로드(192) 및 실린더로드(192)의 둘레에 결합되고 유압이 공급되면 실린더로드(192)를 따라 왕복 이송되는 실린더바디(193)로 이루어진 스윙실린더(191)와, 실린더바디(193)의 일측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서 실린더바디(193)와 함께 실린더로드(192)를 따라 왕복 이송되는 래크(194)와, 스윙링(174)의 둘레에 설치되고 래크(194)에 치합되어서 래크(194)가 실린더로드(192)를 따라 왕복 이송되면 스윙링(174)과 함께 회전되는 피니언(195)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발명의 스윙링회전수단(190)은, 스윙실린더(191)에 공급되는 유압량을 제어하여서 지브크레인(170)의 포스트(175) 회전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포스트(175)의 회전각도를 제어하기 위해 고가의 모터 및 로터리 엔코더를 구비할 필요가 없다
컨트롤러(160)는, 메인프레임(10)에 설치되고 조향부(40), 트롤리횡행구동부(100), 호이스트윈치(120)들, 과부하방지부(140), 크레인윈치(181), 스윙링회전수단(190)에 연결되어서 이들을 제어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의 마린 모바일 리프트는 다음과 같이 동작된다.
조향바퀴의 정렬시
컨트롤러(160)를 조작하여서 전환밸브(65)를 휠 얼라이먼트 정렬상태로 회전시키면 제2유압출입라인(63)으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이 정렬라인(64)을 통해 실린더연결라인(61)으로 유도되며, 실린더연결라인(61)으로 공급된 유압은 제1조향실린더(42) 및 제2조향실린더(43)에 분배되면서 각각의 실린더로드(44)를 제1조향실린더(42) 및 제2조향실린더(43) 내부로 인입시킨다.
제1조향실린더(42)의 실린더로드(44) 및 제2조향실린더(43)의 실린더로드(44)가 동시에 당겨지면 회동링크(51)가 링크고정축(52)을 중심으로 연동되면서 연동링크(54)를 당기게 되며 이에 따라 바퀴지지브라켓(21)이 조향축(22)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조향바퀴(20)를 정렬시키게 된다.
조향바퀴의 조향시
컨트롤러(160)를 조작하여서 전환밸브(65)를 주행 대기 상태로 회전시키면 제2유압출입라인(63)과 정렬라인(64)은 차단되며 제2유압출입라인(63)과 제1조향실린더(42)가 연결된다. 따라서 제2유압출입라인(63)으로 공급되는 유압은 전환밸브(65)를 통해 제1조향실린더(42)로 공급되어서 실린더로드(44)를 인출시킨다.
제1조향실린더(42)에 유압이 공급되는 동안 실린더로드(44)의 헤드(미도시)는 공급되는 유압에 의해 제1조향실린더(42)의 내부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되는데, 제2유압출입라인(63)의 유압이 헤드 일측의 제1조향실린더(42)의 내부로 유입되는 만큼 헤드 타측의 제1조향실린더(42) 내부의 유압은 실린더연결라인(61)을 통해 제2조향실린더(43)의 타측으로 공급된다. 따라서 제2조향실린더(43)의 실린더로드(44)는 내측으로 인입된다.
그러므로 제1조향실린더(42)의 실린더로드(44)가 인출되면서 회동링크(51)를 회전시키면 연동링크(54)가 밀리면서 바퀴지지브라켓(21) 및 이에 설치된 안쪽 조향바퀴(20)를 크게 회전시킨다. 반면에, 제2조향실린더(43)의 실린더로드(44)는 인입되면서 회동링크(51)를 회전시키면 연동링크(54)가 당겨지면서 바깥쪽 조향바퀴(20)를 안쪽 조향바퀴(20)보다 작은 각도로 회전시킨다.
본 출원인의 실험 결과, 안쪽 조향바퀴(20)가 90°회전되는 동안 바깥쪽 조향바퀴(20)는 46.1°회전되었다.
슬링벨트 하강시
요트를 인양시키려면 요트가 도크로 진입하기 전에 슬링벨트(90)의 하부가 바닷물에 잠기도록 충분히 하강시켜야 한다.
따라서 컨트롤러(160)를 조작하여서 제2펌프(4)의 유압을 호이스트윈치(120)로 공급하면 호이스트윈치(120)가 회전되면서 와이어로프(130)를 이완시키며 이에 따라 슬링벨트(90)들 및 후크블록(80)들의 자중에 의해 슬링벨트(90)가 하강된다.
슬링벨트 상승시
요트가 도크로 진입되면 하강된 슬링벨트(90)를 상승시킨다.
즉, 컨트롤러(160)를 조작하여서 제2펌프(4)의 유압을 호이스트윈치(120)들로 공급하면 호이스트윈치(120)가 회전되면서 와이어로프(130)를 감게 되며, 이에 따라 후크블록(80) 및 슬링벨트(90)가 상승된다.
슬링벨트(90)가 상승되면 슬링벨트(90)의 하부가 요트의 하부에 밀착되는데, 이때 슬링벨트(90)가 요트의 하부의 유선을 따라 밀착되면서 팽팽하게 경사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경사지게 당겨진 슬링벨트(90)에 의해 후크블록(80)도 경사지게 당겨지며, 후크블록(80)을 경유하는 와이어로프(130)도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게 당겨진다.
한편, 회전블록(72)은 블록힌지축(151)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후크블록(80) 및 이를 경유하는 와이어로프(130)가 경사지게 당겨지게 되면 와이어로프(130)의 인장력에 의해 회전블록(72)도 블록힌지축(151)을 중심으로 경사지게 회전되며, 이에 따라 슬링벨트(90), 후크블록(80), 회전블록(72)이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게 위치된다.
후크블록(80)의 후크블록시브(81)는 경사지게 위치되고 회전블록(72)의 수직시브(73)를 수직상태를 유지한다면 와이어로프(130)가 이들을 경유하는 동안 꺽임이나 뒤틀림이 발생되는데, 본 발명은 요트가 인양되는 동안 후크블록(80)의 후크블록시브(81)와 회전블록(72)의 수직시브(73)가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게 위치되므로 후크블록(80)의 후크블록시브(81)와 회전블록(72)의 수직시브(73)를 경유하는 와이어로프(130) 사이에는 꺽임이나 뒤틀림이 발생되지 않는다.
회전블록(72)의 수직시브(73)와 꼬임방지구(152) 사이의 와이어로프(130)는 꼬임방지구(152)에 의해 뒤틀림이 방지된다. 꼬임방지구(152)의 공회전부(155)는 고정부(153) 및 연결부(154) 사이에서 공회전되도록 구비되어 있으므로, 와이어로프(130)에 꼬임이 발생되면 연결부(154)가 뒤틀리는 힘에 의해 공회전되면서 꼬임이 풀리게 된다.
4줄의 와이어로프(130)는 모두 핀타입로드셀(143)에 설치된 가이드롤러(142)를 경유하고 있다. 따라서 4줄의 와이어로프(130) 중 어느 한줄 이상의 와이어로프(130)에 과부하가 걸리게 되어서 해당 가이드롤러(142)에 더 큰 압력이 작용하게 되면 핀타입로드셀(143)이 이를 감지한 후 컨트롤러(160)에 전달하며, 컨트롤러(160)는 제2펌프(4)를 제어하여서 호이스트윈치(120)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슬링벨트 간격 조절시
슬링벨트(90)의 간격은 요트의 크기에 따라 조절된다. 요트의 크기가 비교적 작아서 슬링벨트(90)의 간격을 좁혀야 할 경우, 컨트롤러(160)를 조작하여서 제3펌프(5)의 유압이 트롤리구동실린더(102)로 공급되도록 한다. 트롤리구동실린더(102)의 실린더로드(103)가 인입되도록 작동되면 실린더보기(106)가 당겨지면서 이에 연결된 제1트롤리구동와이어(109)를 당기게 되고, 이에 따라 트롤리(70) 및 이에 연결된 후크블록(80), 슬링벨트(90)가 거더(13)의 중앙 측으로 모이게 된다.
요트의 크기가 커거 슬링벨트(90)의 간격을 벌려야 할 경우, 컨트롤러(160)를 조작하여서 제3펌프(5)의 유압이 트롤리구동실린더(102)로 공급되도록 한다.
트롤리구동실린더(102)의 실린더로드(103)가 인출되도록 작동되면 제2트롤리구동와이어(110)가 실린더로드(103)의 인출방향으로 당겨지게 되고, 이에 따라 트롤리(70) 및 이에 연결된 후크블록(80), 슬링벨트(90)가 거더의 전후방 측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마린 모바일 리프트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의 조향부(40)는 일단이 한쌍의 하부빔(11)에 실린더힌지축(45)으로 각각 연결되고 타단의 실린더로드(44)가 조향바퀴(20)에 각각 연결되며 실린더로드(44)의 전후진으로 조향바퀴(20)들의 조향 각도를 조절하는 제1조향실린더(42) 및 제2조향실린더(43)와, 제1조향실린더(42) 및 제2조향실린더(43)에 연결되고 제3펌프(5)에 연결되어서 제3펌프(5)에서 공급되는 유압을 제1조향실린더(42) 또는 제2조향실린더(43)로 유도하는 조향밸브(46)와, 조향밸브(46)에 연결되고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3펌프(5)의 유압을 제1조향실린더(42) 또는 제2조향실린더(43)로 공급하는 조향밸브(46)를 제어하는 수동핸들(41)이 구비된다.
따라서, 수동핸들(41)을 회전시키면 제1조향실린더(42) 또는 제2조향실린더(43)에 유압이 공급되어서 작동되고, 이에 따라 서로 연결된 제2조향실린더(43) 또는 제1조향실린더(42)가 연동되며, 결국 조향바퀴(20)에 연결된 한쌍의 링크부(50)가 연동되면서 한쌍의 조향바퀴(20)를 서로 다른 각도로 회전시킨다.
그러므로 양측의 조향바퀴(20)를 연결하는 타이로드가 구비되지 않아도 수동핸들(41)을 회전시키는 작업만으로도 독립된 2개의 조향바퀴(20)를 조향시킬 수 있고, 안쪽의 조향바퀴(20)의 조향각이 바깥쪽 조향바퀴(20)의 조향각보다 항상 일정한 비율로 더 꺽이게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한쌍의 조향바퀴(20) 사이에 요트의 인양 통로가 확보되어야 하기 때문에 타이로드를 설치할 수 없는 장비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된다.
둘째, 본 발명의 전환밸브(65)는 휠 얼라이먼트 정렬시, 제3펌프(5)에서 제1조향실린더(42) 일측으로 공급되는 유압을 차단하고 제3펌프(5)와 정렬라인을 연결하도록 전환되어서 유압이 정렬라인(64), 실린더연결라인(61)을 통해 제1조향실린더(42) 및 제2조향실린더(43) 타측으로 공급되도록 하며, 주행대기 및 주행시, 제3펌프(5)의 유압이 정렬라인(64)으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고 제3펌프(5)와 제1조향실린더(42)의 일측을 연결하도록 전환되어서 유압이 제2유압출입라인(63)을 통해 제1조향실린더(42)의 일측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따라서 전환밸브(65)를 전환시키는 간편한 작업만으로 조향바퀴(20)를 정렬시키거나 주행 대기 및 주행 상태로 바꿀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의 트롤리횡행구동부(100)는 일단이 거더(13)에 힌지(104)로 결합되고 타단의 실린더로드(103)가 트롤리(70)에 연결되어서 트롤리(70)가 트롤리전용레일(101)을 따라 이송되도록 하는 트롤리구동실린더(102)와, 거더(13)의 상부면에 설치되고 트롤리(70)의 행정거리보다 더 큰 폭을 유지하도록 배치되는 제1방향전환시브(107) 및 제2방향전환시브(108)와, 일단이 실린더보기(106)에 연결되고 제1방향전환시브(107)를 경유하며 타단이 트롤리(70)에 연결되는 제1트롤리구동와이어(109)와, 일단이 트롤리(70)에 연결되고 제2방향전환시브(108)를 경유하며 타단이 실린더보기(106)에 연결되는 제2트롤리구동와이어(110)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트롤리(70)가 트롤리구동실린더(102)의 실린더로드(103)에 직접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제1방향전환시브(107) 및 제2방향전환시브(108)와 제1트롤리구동와이어(109) 및 제2트롤리구동와이어(110)에 의해 연결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트롤리구동실린더(102)의 실린더로드(103)가 인출되면 트롤리(70)가 트롤리구동실린더(102) 측으로 이송되고 실린더로드(103)가 인입되면 트롤리(70)가 트롤리구동실린더(10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송된다.
그러므로 거더(13) 상의 트롤리구동실린더(102), 트롤리(70)의 배치공간을 최소화시키면서도 트롤리구동실린더(102)의 스트로크와 같은 횡행 거리를 얻을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의 트롤리(70) 및 실린더보기(106)가 제1트롤리구동와이어(109) 및 제2트롤리구동와이어(110)로 연결되고, 트롤리구동실린더(102)는 일단이 거더(13)의 상부면에 힌지(104)로 결합되고 타단의 실린더로드(103)가 실린더보기(106)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거더(13)에 처짐이 발생될 시 거더(13)의 처진 수직 변위만큼 트롤리구동실린더(102)가 힌지(104)를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그 변위를 흡수하며, 트롤리(70) 및 실린더보기(106) 사이의 수직 변위를 제1트롤리구동와이어(109) 및 제2트롤리구동와이어(110)가 흡수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트롤리(70)가 실린더보기(106) 및 제1트롤리구동와이어(109), 제2트롤리구동와이어(110)에 의해 구동되고 트롤리구동실린더(102)가 처진 거더(13)의 변위에 따라 회동되는 구조이므로 거더(13)에 변위가 발생되어도 트롤리(70)의 횡행 동작이 가능하다.
다섯째, 본 발명의 과부하방지부(140)는 가이드롤러브라켓(141)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와이어로프(130)가 경유하는 가이드롤러(142)와, 가이드롤러브라켓(141)에 설치되고 가이드롤러(142)가 공회전되도록 결합되며 와이어로프(130)에 과하중이 전달되어서 호이스트윈치(120)에 과부하가 인가되면 이를 감지하여서 컨트롤러(160)에 전달하는 핀타입로드셀(143)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후크블록(80)에 과부하가 걸리면 핀타입로드셀(143)이 이를 감지하여 컨트롤러(160)에 전달하고 컨트롤러(160)에 의해 호이스트윈치(120)의 권상 동작이 정지되며 과부하를 해제할 수 있도록 후크블록(80)은 하강된다.
그러므로 네개의 후크블록(80) 중 특정 부분에 과부하가 인가되면 호이스트윈치(120)의 권상 동작이 정지되므로 호이스트윈치(120)의 파손 및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시킬 수 있다.
여섯째, 본 발명의 와이어꼬임방지부(150)는 슬링벨트(90)에 요트가 안착되면 회전블록(72)이 후크블록(80)과 함께 회전되도록 안내하는 블록힌지축(151)과, 일측이 거더(13)에 결합되고 타측이 와이어로프(130)의 단부에 연결되어서 와이어로프(130)에 뒤틀림이 발생되면 뒤틀림이 발생된 와이어로프(130) 부분을 공회전시켜서 꼬임이 풀리도록 하는 꼬임방지구(152)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슬링벨트(90)가 요트에 밀착되면서 요트의 유선형을 따라 후크블록(80)이 회전되면 수직시브(73)가 설치된 회전블록(72)이 후크블록(80)의 회전량만큼 블록힌지축(151)을 중심으로 회전되므로 후크블록(80) 및 회전블록(72) 사이의 와이어로프(130) 뒤틀림이 방지되며, 수직시브(73) 및 꼬임방지구(152) 사이의 와이어로프(130)에 발생되는 뒤틀림은 꼬임방지구(152)의 연결부가 공회전되면서 풀리게 된다.
그러므로 슬링벨트(90)가 요트의 저부에 밀착되면서 후크블록(80)을 회전시켜도 회전블록(72)이 후크블록(80)과 함께 회전되고 와이어꼬임방지부(150)가 공회전되므로 와이어로프(130)의 꼬임이 방지되며, 이에 따라 와이어로프(130)의 손상이 방지된다.
일곱째, 본 발명의 스윙링회전수단(190)은 양단이 스윙프레임(173)에 고정되는 실린더로드(192) 및 실린더로드(192)의 둘레에 결합되고 유압이 공급되면 실린더로드(44)를 따라 왕복 이송되는 실린더바디(193)로 이루어진 스윙실린더(191)와, 실린더바디(193)의 일측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서 실린더바디(193)와 함께 실린더로드(192)를 따라 왕복 이송되는 래크(194)와, 스윙링(174)의 둘레에 설치되고 래크(194)에 치합되어서 래크(194)가 실린더로드(192)를 따라 왕복 이송되면 스윙링(174)과 함께 회전되는 피니언(195)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발명은 스윙실린더(191)에 공급되는 유압량을 제어하여서 지브크레인(170)의 포스트(175) 회전각도를 제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포스트(175)의 회전각도를 제어하기 위해 고가의 모터, 로터리 엔코더가 구비되었던 종래에 비해 제조단가가 크게 절감된다.
1 : 발전기 2 : 엔진
3 : 제1펌프 4 : 제2펌프
5 : 제3펌프
10 : 메인프레임 11 : 하부빔
12 : 수직빔 13 : 거더
14 : 롤러
20 : 조향바퀴 21 : 바퀴지지브라켓
22 : 조향축 23 : 주행모터
30 : 주행바퀴
40 : 조향부 41 : 수동핸들
42 : 제1조향실린더 43 : 제2조향실린더
44 : 실린더로드 45 : 실린더힌지축
46 : 조향밸브 50 : 링크부
51 : 회동링크 52 : 링크고정축
53 : 유동축 54 : 연동링크
55 : 브라켓회동축 60 : 유압라인부
61 : 실린더연결라인 62 : 제1유압출입라인
63 : 제2유압출입라인 64 : 정렬라인
65 : 전환밸브
70 : 트롤리 71 : 트롤리브라켓
72 : 회전블록 73 : 수직시브
80 : 후크블록 81 : 후크블록시브
90 : 슬링벨트
100 : 트롤리횡행구동부 101 : 트롤리전용레일
102 : 트롤리구동실린더 103 : 실린더로드
104 : 힌지 105 : 실린더전용레일
106 : 실린더보기 107 : 제1방향전환시브
108 : 제2방향전환시브 109 : 제1트롤리구동와이어
110 : 제2트롤리구동와이어
120 : 호이스트윈치
130 : 와이어로프
140 : 과부하방지부 141 : 가이드롤러브라켓
142 : 가이드롤러 143 : 핀타입로드셀
150 : 와이어꼬임방지부 151 : 블록힌지축
152 : 꼬임방지구 153 : 고정부
154 : 연결부 155 : 공회전부
160 : 컨트롤러
170 : 지브크레인 171 : 시팅포스트
172 : 아답터 173 : 스윙프레임
174 : 스윙링 175 : 포스트
176 : 지브 177 : 지브힌지
178 : 러핑실린더 179 : 크레인로프
180 : 후크 181 : 크레인윈치
190 : 스윙링회전수단 191 : 스윙실린더
192 : 실린더로드 193 : 실린더바디
194 : 래크 195 : 피니언

Claims (10)

  1. 서로 평행하게 이격된 한쌍의 하부빔(11)과, 한쌍의 하부빔(11) 양단 상부에 설치되는 수직빔(12)들과, 수직빔(12)들의 상단에 설치되는 거더(13)로 이루어진 메인프레임(10);
    하부빔(11)들의 일단 하부에 설치되는 조향축(22)에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조향바퀴(20)들;
    하부빔(11)들의 타단 하부에 설치되는 주행바퀴(30)들;
    메인프레임(10) 및 조향바퀴(20)에 연결되어서 조향바퀴(20)의 회전방향을 제어하는 조향부(40);
    평행하게 배열된 거더(13)의 상부에 각각 한쌍씩 구비되고 한쌍의 거더(13)가 동시에 거더(13)의 중앙측 및 거더(13)의 양단부 측으로 이송되도록 설치되는 트롤리(70);
    트롤리(70)에 연결되어서 트롤리(70)와 함께 이송되는 후크블록(80);
    양단이 후크블록(80)에 연결되고 보트의 하부를 지지하는 한쌍의 슬링벨트(90);
    평행하게 배열된 거더(13)의 상부에 각각 설치되고 인접한 두 트롤리(70)가 안착되며 한쌍의 거더(13)가 동시에 거더(13)의 중앙측 및 거더(13)의 양단부 측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트롤리횡행구동부(100);
    메인프레임(10)에 설치되고 후크블록(80)들에 연결되어서 후크블록(80)들을 승강시키는 호이스트윈치(120)들;
    일단이 호이스트윈치(120)들에 권취되고 후크블록(80), 트롤리(70)를 경유하며 타단이 거더(13)에 고정되어서 호이스트윈치(120)들이 회전되면 권취되거나 풀리면서 후크블록(80)을 승강시키는 와이어로프(130);
    거더(13)에 설치되고 와이어로프(130)에 연결되어서 호이스트윈치(120)의 구동시 과부하가 검출되면 호이스트윈치(120)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과부하방지부(140);
    거더(13) 및 트롤리(70)에 설치되고 와이어로프(130)가 연결되며, 슬링벨트(90)가 보트의 저면에 밀착되면서 후크블록(80)을 회전시키므로 와이어로프(130)에 뒤틀림을 발생시킬 시, 뒤틀림이 발생된 와이어로프(130) 부분을 공회전시켜서 꼬임이 풀리도록 하는 와이어꼬임방지부(150);
    메인프레임(10)에 설치되고 조향부(40), 트롤리횡행구동부(100), 호이스트윈치(120)들, 과부하방지부(140)에 연결되어서 이들을 제어하는 컨트롤러(1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린 모바일 리프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조향부(40)는,
    일단이 한쌍의 하부빔(11)에 실린더힌지축(45)으로 각각 연결되고 타단의 실린더로드(44)가 조향바퀴(20)에 각각 연결되며 실린더로드(44)의 전후진으로 조향바퀴(20)들의 조향 각도를 조절하는 제1조향실린더(42) 및 제2조향실린더(43)와,
    제1조향실린더(42) 및 제2조향실린더(43)에 연결되고 제3펌프(5)에 연결되어서 제3펌프(5)에서 공급되는 유압을 제1조향실린더(42) 또는 제2조향실린더(43)로 유도하는 조향밸브(46)와,
    조향밸브(46)에 연결되고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3펌프(5)의 유압을 제1조향실린더(42) 또는 제2조향실린더(43)로 공급하는 조향밸브(46)를 제어하는 수동핸들(41)과,
    제1조향실린더(42) 및 제2조향실린더(43)의 실린더로드(44)에 각각 연결되고 조향축(22)에 설치된 바퀴지지브라켓(21)에 각각 연결되어서 실린더로드(44)의 전진 및 후진시 조향바퀴(20)의 각도를 조절하는 한쌍의 링크부(50)와,
    제1조향실린더(42) 및 제2조향실린더(43)와 제3펌프(5)에 연결되고 제3펌프(5) 내의 유압을 제1조향실린더(42) 및 제2조향실린더(43)로 공급하거나 제1조향실린더(42) 및 제2조향실린더(43) 내의 유압을 제3펌프(5)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유압라인부(6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린 모바일 리프트.
  3. 청구항 2에 있어서, 링크부(50)는,
    일단이 하부빔(11)에 링크고정축(52)으로 회동되도록 결합되고 타단이 실린더로드(44)에 유동축으로 연결되어서 실린더로드(44)의 전후진시 링크고정축(52)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회동링크(51)와,
    일단이 바퀴지지브라켓(21)의 일측에 브라켓회동축(55)으로 결합되어 있고 타단이 회동링크(51)의 타단에 유동축(53)으로 결합되어서 회동링크(51)가 링크고정축(52)을 중심으로 회동될 시 연동되면서 바퀴지지브라켓(21)을 조향축(22)을 중심으로 회동시키는 연동링크(5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린 모바일 리프트.
  4. 청구항 2에 있어서, 유압라인부(60)는,
    제1조향실린더(42) 및 제2조향실린더(43)의 타측에 연결되어 있는 실린더연결라인(61)과,
    제3펌프(5)와 제2조향실린더(43) 일측에 연결되어 있는 제1유압출입라인(62)과,
    제3펌프(5)와 제1조향실린더(42) 일측에 연결되어 있는 제2유압출입라인(63)과,
    제2유압출입라인(63) 및 실린더연결라인(61)에 연결되어서 제2유압출입라인(63)으로 공급된 유압을 실린더연결라인(61)으로 유도하는 정렬라인(64)과,
    제2유압출입라인(63) 및 정렬라인(64)에 연결되어서 제2유압출입라인(63)으로 공급된 유압을 정렬라인(64)을 통해 실린더연결라인(61)으로 유도하거나 제1조향실린더(42) 일측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전환밸브(65)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린 모바일 리프트.
  5. 청구항 4에 있어서, 전환밸브(65)는,
    휠 얼라이먼트 정렬시, 제3펌프(5)에서 제1조향실린더(42) 일측으로 공급되는 유압을 차단하고 제3펌프(5)와 정렬라인(64)을 연결하도록 전환되어서 유압이 정렬라인(64), 실린더연결라인(61)을 통해 제1조향실린더(42) 및 제2조향실린더(43) 타측으로 공급되도록 하며;
    주행대기 및 주행시, 제3펌프(5)의 유압이 정렬라인(64)으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고 제3펌프(5)와 제1조향실린더(42)의 일측을 연결하도록 전환되어서 유압이 제2유압출입라인(63)을 통해 제1조향실린더(42)의 일측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린 모바일 리프트.
  6. 청구항 1에 있어서, 트롤리횡행구동부(100)는,
    트롤리(70)가 안착되도록 거더(13)의 상부면에 설치되고 트롤리(70)가 거더(13)를 따라 이송되는 것을 안내하는 트롤리전용레일(101)과,
    일단이 거더(13)에 힌지(104)로 결합되고 타단의 실린더로드(103)가 트롤리(70)에 연결되어서 트롤리(70)가 트롤리전용레일(101)을 따라 이송되도록 하는 트롤리구동실린더(102)와,
    거더(13)의 상부면에 설치되고 트롤리전용레일(101)과 평행하도록 배열되어 있는 실린더전용레일(105)과,
    트롤리구동실린더(102)의 실린더로드(103)에 연결되고 실린더전용레일(105)에 안착되어서 트롤리구동실린더(102)의 구동시 실린더전용레일(105)을 따라 이송되는 실린더보기(106)와,
    거더(13)의 상부면에 설치되고 트롤리(70)의 행정거리보다 더 큰 폭을 유지하도록 배치되는 제1방향전환시브(107) 및 제2방향전환시브(108)와,
    일단이 실린더보기(106)에 연결되고 제1방향전환시브(107)를 경유하며 타단이 트롤리(70)에 연결되는 제1트롤리구동와이어(109)와,
    일단이 트롤리(70)에 연결되고 제2방향전환시브(108)를 경유하며 타단이 실린더보기(106)에 연결되는 제2트롤리구동와이어(11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린 보빌 리프트.
  7. 청구항 6에 있어서,
    트롤리(70) 및 실린더보기(106)가 제1트롤리구동와이어(109) 및 제2트롤리구동와이어(110)로 연결되어서 트롤리(70) 및 실린더보기(106) 사이의 수직 변위를 제1트롤리구동와이어(109) 및 제2트롤리구동와이어(110)가 흡수하도록 구비되며,
    트롤리구동실린더(102)는 일단이 거더(13)의 상부면에 힌지(104)로 결합되고 타단의 실린더로드(103)가 실린더보기(106)에 연결되어서 거더(13)에 처짐이 발생되어도 거더(13)의 처진 수직 변위만큼 트롤리구동실린더(102)가 힌지(104)를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그 변위를 흡수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린 모바일 리프트.
  8. 청구항 1에 있어서, 과부하방지부(140)는,
    거더(13)에 설치되는 가이드롤러브라켓(141)과,
    가이드롤러브라켓(141)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와이어로프(130)가 경유하는 가이드롤러(142)와,
    가이드롤러브라켓(141)에 가이드롤러(142)가 공회전되도록 조립되어 와이어로프(130)에 과하중이 전달되면 이를 감지하여 컨트롤러(160)에 전달하므로 호이스트윈치(120)에 과부하가 인가되지 않도록 하는 핀타입로드셀(14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린 모바일 리프트.
  9. 청구항 1에 있어서, 와이어꼬임방지부(150)는,
    거더(13) 상부면의 트롤리전용레일(101)에 안착되는 트롤리브라켓(71)과, 트롤리브라켓(71)의 일측에 결합되고 복수의 수직시브(73)가 결합되는 회전블록(72) 사이에 결합되어서, 슬링벨트(90)에 요트가 안착되면 회전블록(72)이 후크블록(80)과 함께 회전되도록 안내하는 블록힌지축(151);
    일측이 거더(13)에 결합되고 타측이 와이어로프(130)의 단부에 연결되어서 와이어로프(130)에 뒤틀림이 발생되면 뒤틀림이 발생된 와이어로프(130) 부분을 공회전시켜서 꼬임이 풀리도록 하는 꼬임방지구(152)로 이루어지며;
    꼬임방지구(152)는,
    거더(13)에 고정되는 고정부(153)와, 와이어로프(130)의 단부에 연결되는 연결부(154)와, 고정부(153) 및 연결부(154) 사이에 결합되며 연결부(154)가 공회전되도록 안내하는 공회전부(155)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린 모바일 리프트.
  10. 청구항 1에 있어서,
    거더(13)의 상부에는 지상과 거더(13) 사이에 물품을 이송시키도록 지브크레인(170)이 더 설치되되,
    지브크레인(170)은,
    시팅포스트(171)의 상부에 설치되는 스윙프레임(173)과, 스윙프레임(173)에 설치되는 스윙링(174)과, 스윙링(174)에 안착되어서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는 포스트(175)와, 포스트(175)의 상단에 지브힌지(177)로 결합되어서 상하로 회동되는 지브(176)와, 포스트(175) 및 지브(176)에 연결되어서 지브(176)가 지브힌지(177)를 중심으로 상하로 회동되도록 하는 러핑실린더(178)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스윙프레임(173) 및 스윙링(174)에는 스윙링(174)을 회전시키도록 스윙링회전수단(190)이 설치되며;
    스윙링회전수단(190)은,
    양단이 스윙프레임(173)에 고정되는 실린더로드(192) 및 실린더로드(192)의 둘레에 결합되고 유압이 공급되면 실린더로드(192)를 따라 왕복 이송되는 실린더바디(193)로 이루어진 스윙실린더(191)와, 실린더바디(193)의 일측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서 실린더바디(193)와 함께 실린더로드(192)를 따라 왕복 이송되는 실린더바디(193)에 부착된 래크(194)와, 스윙링(174)의 둘레에 설치되고 래크(194)에 치합되어서 래크(194)가 실린더로드(192)를 따라 왕복 이송되면 스윙링(174)과 함께 회전되는 피니언(195)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린 모바일 리프트.
KR1020140029540A 2014-03-13 2014-03-13 마린 모바일 리프트 KR1013993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9540A KR101399312B1 (ko) 2014-03-13 2014-03-13 마린 모바일 리프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9540A KR101399312B1 (ko) 2014-03-13 2014-03-13 마린 모바일 리프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9312B1 true KR101399312B1 (ko) 2014-05-28

Family

ID=50895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9540A KR101399312B1 (ko) 2014-03-13 2014-03-13 마린 모바일 리프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9312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5324B1 (ko) * 2016-02-05 2016-12-09 (주)카네비컴 마린 모바일 리프트
CN108568913A (zh) * 2018-07-05 2018-09-25 江苏美科硅能源有限公司 多晶硅晶棒翻转架
KR101976529B1 (ko) * 2018-01-12 2019-05-09 신우산업 주식회사 이동식 선박 리프팅장치
CN109877909A (zh) * 2019-04-08 2019-06-14 晏椿勇 一种自动移动取吊牌装置
CN111648334A (zh) * 2020-04-24 2020-09-11 河海大学 一种具有调谐减震作用的垂直升船机平衡重装置
CN113562602A (zh) * 2021-08-02 2021-10-29 德清泰鑫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具备规整功能的废旧钢铁型材回收用吊装装置
KR20230120828A (ko) * 2022-02-10 2023-08-17 (주)카네비모빌리티 폭의 가변이 가능한 친환경 마린 모바일 리프트 및 이의 구동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9828A (ko) * 2007-12-07 2009-06-1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횡방향 진수시 이동 조절 시스템
KR20100006817U (ko) * 2008-12-26 2010-07-06 박윤남 선박견인용 리프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9828A (ko) * 2007-12-07 2009-06-1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횡방향 진수시 이동 조절 시스템
KR20100006817U (ko) * 2008-12-26 2010-07-06 박윤남 선박견인용 리프트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5324B1 (ko) * 2016-02-05 2016-12-09 (주)카네비컴 마린 모바일 리프트
CN107042878A (zh) * 2016-02-05 2017-08-15 卡纳维克姆有限公司 海洋移动起重机
KR101976529B1 (ko) * 2018-01-12 2019-05-09 신우산업 주식회사 이동식 선박 리프팅장치
CN108568913A (zh) * 2018-07-05 2018-09-25 江苏美科硅能源有限公司 多晶硅晶棒翻转架
CN109877909A (zh) * 2019-04-08 2019-06-14 晏椿勇 一种自动移动取吊牌装置
CN111648334A (zh) * 2020-04-24 2020-09-11 河海大学 一种具有调谐减震作用的垂直升船机平衡重装置
CN111648334B (zh) * 2020-04-24 2021-09-17 河海大学 一种具有调谐减震作用的垂直升船机平衡重装置
CN113562602A (zh) * 2021-08-02 2021-10-29 德清泰鑫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具备规整功能的废旧钢铁型材回收用吊装装置
CN113562602B (zh) * 2021-08-02 2024-04-30 德清泰鑫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具备规整功能的废旧钢铁型材回收用吊装装置
KR20230120828A (ko) * 2022-02-10 2023-08-17 (주)카네비모빌리티 폭의 가변이 가능한 친환경 마린 모바일 리프트 및 이의 구동 방법
KR102644357B1 (ko) * 2022-02-10 2024-03-07 (주)카네비모빌리티 폭의 가변이 가능한 친환경 마린 모바일 리프트 및 이의 구동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9312B1 (ko) 마린 모바일 리프트
KR101685324B1 (ko) 마린 모바일 리프트
KR101304038B1 (ko) 요트 인양장치
CN108946516B (zh) 一种拖吊合一装置
US10787327B2 (en) Multi-bar linkage mechanism based conveyor
EP3962851B1 (en) Self-hoisting crane system and method of hoisting a self-hoisting crane
CN105752271B (zh) 收放式活动吊运平台及包括其的船舶
KR20140116386A (ko) 심층수 너클 붐 크레인
US20200010289A1 (en) Method for operating multi-bar linkage mechanism based conveyor
KR101800147B1 (ko) 안전수단이 마련된 타워 크레인
KR20060133882A (ko) 카고 컨테이너 처리 갠트리 크레인들을 위한 와이어 로프권취 지지 시스템
KR101856988B1 (ko) 요트 인양장치
CN213738237U (zh) 一种应用于a型架上的止荡装置
KR101399310B1 (ko) 마린 모바일 리프트용 조향장치
CN106219167A (zh) 一种自适应的整体翻转式输送机
KR101593609B1 (ko) 타워크레인
KR101016638B1 (ko) 소형 선박 인양장치
CN114156788B (zh) 用于回转式退扭架的多用途海缆托架
KR101635374B1 (ko) 다목적 크레인
CN210973657U (zh) 一种带固定装置的船用起重机
CN216762080U (zh) 一种止荡装置
CN112479032A (zh) 一种龙门吊起重机
US3861534A (en) Davit, particularly for marine use
JP3148744U (ja) 係船装置
CN212609161U (zh) 一种新型多功能海底电缆输送施工装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