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6425B1 - 광섬유 케이블망의 자동생산장치 - Google Patents

광섬유 케이블망의 자동생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6425B1
KR101396425B1 KR1020140005538A KR20140005538A KR101396425B1 KR 101396425 B1 KR101396425 B1 KR 101396425B1 KR 1020140005538 A KR1020140005538 A KR 1020140005538A KR 20140005538 A KR20140005538 A KR 20140005538A KR 101396425 B1 KR101396425 B1 KR 1013964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optical fiber
electric wire
fiber cable
sl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5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완진
김만진
Original Assignee
김만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만진 filed Critical 김만진
Priority to KR10201400055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64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6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64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27/00Making wire network, i.e. wire nets
    • B21F27/02Making wire network, i.e. wire nets without additional connecting elements or material at crossings, e.g. connected by kni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27/00Making wire network, i.e. wire nets
    • B21F27/02Making wire network, i.e. wire nets without additional connecting elements or material at crossings, e.g. connected by knitting
    • B21F27/06Manufacturing on twister-gear machin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5Preparing the ends of light guides for coupling, e.g. cut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연한 플렉시블 전선으로 6각형의 광섬유 케이블망을 자동으로 생산할 수 있는 플레시블 광섬유 케이블망의 자동생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어 다수의 보빈의 풀림을 통해 제1 전선들을 전후 간격으로 두고 공급하는 제1 전선 공급부와; 상기 프레임의 상부의 일,타측에 각각 배치되고, 하,상부에는 전후로 이동되는 제1,2 슬라이더가 구비되고, 제1,2 슬라이더의 사이에는 하부와 상부에 포개지는 한 쌍의 제1,2 반달피니언이 다수로 구비되며, 각 제2 반달피니언에는 제1 전선 통과홀이 형성되고, 타측에 위치되는 각 제1 반달피니언에는 제2 전선 통과홀이 형성되는 두 개의 전선 꼬임부와; 두 개의 상기 전선 꼬임부의 사이에 전후 간격을 두고 횡방향으로 배치되고, 각각의 양측이 상호 마주보는 양측 두 개의 제1 반달피니언에 연결되어 공회전에 의한 제2 전선의 풀음을 통해 상기 제2 전선 통과홀로 제2 전선을 공급하는 다수의 제2 전선 공급부와; 상기 제1,2 슬라이더를 전후방으로 이동시켜 제1,2 전선의 위치를 반복 변경시키는 슬라이더 이동수단과; 상기 제1,2 반달피니언들을 반복 회전시켜 제1,2 전선을 꼬아주는 피니언 회전수단과; 상기 프레임의 타측에 구비되어 6각형의 망눈을 가지는 광섬유 케이블망의 상하부를 눌러 인취하여 배출시키는 망 인취 배출부와;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광섬유 케이블망의 자동생산장치{Automatic Machine for Manufacturing Cable Nets by Using Optical Fiber Cables}
본 발명은 유연한 광섬유 케이블망의 자동생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성을 가지는 플렉시블 광섬유 케이블을 이용하여 6각형의 망눈을 가지는 광섬유 케이블망을 자동으로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플렉시블 광섬유 케이블망의 자동생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망은 길고 가는 철선이나 섬유상의 실선을 이용하여 4각 형상이나 6각 형상의 망눈을 형성하여 제조되어진다. 철선을 이용하여 6각 형상의 망눈을 가진 개비온(Gabion) 철망은 경사지 또는 절개지 등의 공사 현장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다. 개비온 철망은 특수 아연도금 철선 또는 그 위에 PVC코팅을 한 2가닥의 철선을 2가닥의 철선을 중복되게 꼬아서 육각형으로 만들고, 이것을 기본적인 망구조의 단위체로 하고 있다. 상기 2가닥의 철선을 서로 절곡시켜 사각형으로 만들 경우, 능형망이 만들어지기도 한다. 그 중에서, 6각형의 망눈을 가지는 상기 개비온 철망은 2가닥의 철선이 서로 견고하게 꼬임구조를 형성하므로, 상기 능형망에 비하여 그 강도가 높고 견고한 특징이 있다. 따라서, 오늘날에는 사각형의 망눈을 가지는 능형망 보다 6각형의 망눈을 가지는 개비온 철망이 더욱 선호되고 있는 것이다.
한편, 오늘날 특정한 시설물이나 특정한 지역을 외부의 침입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보안 펜스를 설치하고 있다. 보안 펜스는 외부의 침입자가 보안 설비 또는 보안 지역을 침투하는 것을 미리 감지하고 예방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종래의 통상적인 보안 펜스는 외부의 침입자가 보안 펜스의 경계면을 쉽게 침투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하여, 견고한 철망으로 형성함으로써, 침투자가 그 철망을 쉽게 절단하거나 절곡시키지 못하도록 하는데 주안점이 두어져 왔다. 이를 위하여 가늘면서도 강인한 철선을 이용하여 철망을 형성한 6각형 망눈을 가진 개비온 철망이 선호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상기 6각형 망눈을 가진 개비온 철망은 비록 철선이 강인한 특성을 가지고 있지만, 외부의 침투자가 소지하고 있는 절단기에 의해 쉽게 절단될 수 있고, 그 절단의 현장을 쉽게 발견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물리적인 한계를 고려하여, 광섬유 케이블을 이용한 보안 펜스의 개념이 등장하였다. 상기 광섬유 케이블을 이용한 보안 펜스는 상기 광섬유 케이블을 이용하여 소정의 망눈을 형성하여 광섬유 케이블망을 제조하고, 상기 광섬유 케이블망을 보안 펜스의 경계면으로 활용하는 것이다. 이때, 어떤 침투자가 상기 광섬유 케이블망을 절단하거나, 상기 광섬유 케이블을 일정한 정도 이상으로 절곡시킬 경우, 상기 광섬유 케이블에 내장된 광섬유를 타고 흘러가는 정보가 차단되거나 심한 왜곡현상을 일으키게 되므로, 이러한 정보의 비정상적인 현상을 검지하게 되고, 이를 통하여 특정한 지역에서 보안 펜스가 절단되거나 절곡된 현상을 즉각적으로 감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광섬유 케이블을 이용하여 보안 펜스를 제조할 경우, 외부의 침투를 즉각적으로 알아차릴 수 있으므로, 상기 광섬유 케이블을 이용하여 보안 펜스의 보안 망을 제조하는 기술들이 소개되고 있다. 상기 광섬유 케이블을 이용한 보안 망의 제조방법은 주로 4각 형상의 망눈을 가지고 있거나, 6각 형상의 망눈을 가지고 있거나, 또는 하트 형상의 망눈을 가지고 있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상기 광섬유 케이블을 이용하여, 보안 펜스용 망을 제조할 경우, 대부분 수동적인 방식으로 수행되고 있을 뿐이고, 기계장치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제조하는 방법은 아직까지 소개되고 있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오늘날, 광섬유 케이블을 이용한 보안 펜스용 케이블망의 수요를 감안할 때,광섬유 케이블을 이용하여 광섬유 케이블망을 자동으로 생산해야 할 필요성은 그 어느 때보다 강하게 요청되고 있다고 하겠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0423531호 "개비온 철망의 자동생산장치" (2004. 03. 05);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614824호 "광케이블을 이용한 감지시스템" (2006. 08. 16.);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443989호 "침입 경보 시스템용 광케이블의 망상 구조" (2009. 03. 24.);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189013호 "광케이블 망 및 그 제조방법" (2012. 09. 28.);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264029호 "광케이블 망 및 그 제조방법" (2013. 5. 07).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내부에 광섬유가 내장되어 있고 유연한 플렉시블 광섬유 케이블을 이용하여 6각형의 망눈을 가지는 광섬유 케이블망을 자동으로 생산할 수 있는 광섬유 케이블망의 자동생산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1 전선에 꼬아지는 제2 전선을 긴장되게 공급하여 제2 전선의 처짐으로 인해 발생되는 광섬유 케이블망의 불량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광섬유 케이블망의 자동생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양측에 위치된 전선 꼬임부에 제2 전선이 권취된 공회전 보빈을 용이하게 장착하거나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광섬유 케이블망의 자동생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하부 컨베이어 벨트를 통해 광섬유 케이블망의 상하부를 눌러 균일하게 끌어 당겨줌으로써, 6각형의 케이블 망눈의 형태가 변형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광섬유 케이블망의 자동생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조된 광섬유 케이블망을 망 권취보빈에 감아 보관함으로써 길이가 긴 광섬유 케이블망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광섬유 케이블망의 자동생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자동생산장치를 이용하여 6각형의 망눈을 가지는 광섬유 케이블망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어 다수의 보빈의 풀림을 통해 제1 전선들을 전후 간격으로 두고 공급하는 제1 전선 공급부와; 상기 프레임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전선 꼬임부와; 상기 한 쌍의 전선 꼬임부의 사이에 전후 간격을 두고 횡방향으로 배치되어 있고 제2 전선을 공급하는 제2 전선 공급부와; 상기 한 쌍의 전선 꼬임부를 구성하는 상부 슬라이더와 하부 슬라이더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1 전선과 상기 제2 전선의 위치를 반복적으로 그에 인접한 위치로 변경시키는 슬라이더 이동수단과; 상기 상부 슬라이더와 상기 하부 슬라이더의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제1 반달피니언과 제2 반달피니언이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결합된 피니언을 회전시켜줌으로써, 상기 제1 전선과 상기 제2 전선을 꼬아주도록 해주는 피니언 회전수단과; 상기 프레임의 타측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1 전선과 상기 제2 전선의 꼬임구조에 의해 형성된 광섬유 케이블망을 인취하여 배출시키는 망 인취 배출부와;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어 있고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선 공급부는, 양측에 마주보는 두 개의 상기 제1 반달피니언에 양단이 연결부로 연결되어 공회전이 가능하게 구비되며 외주면에는 상기 제2 전선 통과홀에 공급되는 제2 전선이 권취되는 공회전 보빈과, 일측에 위치되는 상기 연결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2 전선이 공회전 보빈에서 풀려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제2 전선을 상기 제2 전선 통과홀로 긴장되게 공급하는 풀림방지 공급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풀림방지 공급수단은, 일측에 위치되는 상기 연결부에 일단부가 고정되어 있는 탄성줄과, 상기 탄성줄의 타단부에 연결되는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에 회전되게 구비되어 상기 제2 전선이 감겨져 인출되는 공회전 풀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망 인취 배출부는, 하부 양측에 구비된 하부 회전축에 감겨져 상기 광섬유 케이블망의 하부가 밀착되는 하부 컨베이어와, 상부 양측에 구비된 상부 회전축에 감겨져 상기 광섬유 케이블망의 상부가 밀착되는 상부 컨베이어와, 상기 하나의 하부 회전축과 하나의 상부 회전축에 동력 전달수단으로 연결되어 하나의 하부 회전축과 하나의 상부 회전축을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3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타측에 위치되는 전선 꼬임부의 전선 배출 쪽에 종방향으로 수직되게 구비되고 상부에는 “브이”자형으로 다수의 전선 삽입홈이 형성되는 전선 꼬임안내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망 인취 배출부의 배출측에 구비되고, 제4 모터의 회전을 통해 상기 망 인취 배출부에서 배출되는 광섬유 케이블망을 분리 가능한 망 권취보빈에 권취시키는 망 권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내부에 광섬유를 내장시키고 매우 유연한 특성을 지닌 광 케이블을 이용하여 완전 자동 공정에 의해 6각형의 망눈을 가지는 광 케이블망을 제조할 수 있으므로, 보안 펜스 또는 방범 펜스의 용도로 사용되는 광섬유 케이블망을 대량으로 용이하게 생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2 전선을 긴장되게 공급하여 제2 전선의 처짐으로 인해 발생되는 광섬유 케이블망의 불량을 방지함으로써, 양질의 광섬유 케이블망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양측에 위치된 전선 꼬임부에 공회전 보빈을 용이하게 장착하거나 분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회전 보빈의 교체 시간을 줄여 광섬유 케이블망의 생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제1 모터로 양측에 위치되는 제1 슬라이더 및 제2 슬라이더를 연동되게 이동시킴으로써, 장치의 구성을 간단히 하여 장치의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제2 모터로 양측에 위치되는 제1,2 반달피니언들을 연동되게 회전시킴으로써, 장치의 구성을 간단히 하여 장치의 제작 비용을 좀 더 절감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하부 컨베이어를 통해 제조된 광섬유 케이블망의 상하부를 눌러 균일하게 인취함에 따라, 6각형의 망눈의 형태가 변형을 되는 불량을 방지함으로써, 망눈들의 형상이 균일한 양질의 광섬유 케이블망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선 꼬임부의 전선 배출쪽에 전선 꼬임안내판을 구비하여 전선의 꼬임부의 불량 꼬임을 방지함으로써, 전산망의 꼬임부들이 균일한 양질의 전산망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조된 광섬유 케이블망을 망 권취보빈에 감아 보관함에 따라 길이가 긴 광섬유 케이블망을 제조함으로써, 광섬유 케이블망을 펜스로 시공하는 현장에서 광섬유 케이블망의 길이를 연장시키기 위한 이음 작업을 필요없게 하여 광섬유 케이블망의 시공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케이블망의 자동생산장치를 나타낸 개략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로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케이블망의 자동생산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전선 공급부와 일측의 전선 꼬임부를 개략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전선 공급부를 나타낸 일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전선 공급부를 배열시킨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전선 공급부의 바람직한 실시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망 인취 배출부 및 망 권취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 꼬임안내판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반달피니언의 결합관계 및 그 작동 상태를 나타낸 개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반달피니언과 슬라이더의 작동 관계를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반달피니언이 그와 인접한 다른 반달피니언과 새로운 결합관계를 형성하여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미리 밝혀둔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 있어서,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기로 하며, 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것으로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창작될 수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케이블망의 자동생산장치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로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케이블망의 자동생산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전선 공급부와 일측의 전선 꼬임부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전선 공급부를 나타낸 일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전선 공급부를 배열시킨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전선 공급부의 바람직한 실시 상태를 나타낸 개략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망 인취 배출부 및 망 권취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 꼬임안내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에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케이블망의 자동생산장치는, 프레임(1)의 일측(이하, “일측”은 도면상에서 우측을 나타내고, 반대로 “타측”은 도면상에서 좌측을 나타내는 것을 의미한다.)에 구비되어 다수의 보빈(21)의 풀림을 통해 제1 전선(C1)들을 전후 간격으로 두고 공급하는 제1 전선 공급부(2)와; 상기 프레임(1)의 상부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전선 꼬임부(3)와; 상기 한 쌍의 전선 꼬임부(3)의 사이에 전후 간격을 두고 횡방향으로 배치되어 있고 제2 전선(C2)을 공급하는 제2 전선 공급부(4)와; 상기 한 쌍의 전선 꼬임부(3)를 구성하는 상부 슬라이더(31)와 하부 슬라이더(32)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1 전선(C1)과 상기 제2 전선(C2)의 위치를 반복적으로 그에 인접한 위치로 변경시키는 슬라이더 이동수단(5)과; 상기 상부 슬라이더(31)와 상기 하부 슬라이더(32)의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제1 반달피니언과 제2 반달피니언이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결합된 피니언을 회전시켜줌으로써, 상기 제1 전선(C1)과 상기 제2 전선(C2)을 꼬아주도록 해주는 피니언 회전수단(6)과; 상기 프레임(1)의 타측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1 전선(C1)과 상기 제2 전선(C2)의 꼬임구조에 의해 형성된 광섬유 케이블망(100)을 인취하여 배출시키는 망 인취 배출부(7)와;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는 제어부(C); 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선(C1)과 상기 제2 전선(C2)은 그 내부에 광섬유 또는 신호선이 내장되어 있고, 그 주위에 보호막이 감싸고 있으며, 외피로서 연질 합성수지 피복을 형성하고 있는 광섬유 케이블이 바람직하다. 오늘날 이러한 광섬유 케이블은 그 내부에 존재하는 광섬유를 통하여 각종 아날로그 정보 또는 디지털 정보를 전달하는 전달매체로서 널리 활용되고 있다. 상기 제1 전선(C1)과 상기 제2 전선(C2)은 광섬유의 특성상 과도하게 절곡되거나 단절되었을 경우, 그 절곡된 부위 또는 절단된 부위에서 정보의 왜곡현상 또는 단절현상을 일으키게 되므로,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방범 펜스의 용도로 그 적용범위를 확대해 나가고 있다. 광섬유를 이용한 케이블을 방범펜스의 용도로 사용하는 것은 이미 공지되어 있지만, 상기 광섬유를 이용한 케이블을 이용하여 6각 형상의 꼬임구조를 가진 광섬유 케이블망을 자동으로 생산하는 방법 및 그러한 방법에 사용되는 장치는 아직까지 소개된 바 없다.
본 발명은 광섬유 케이블로 구성된 제1 전선(C1)을 공급하는 제1 전선 공급부(2)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선 공급부(2)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의 일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제1 전선(C1)이 감겨지는 다수의 보빈(21)을 포함한다. 상기 보빈(21)에는 제1 전선(C1)들이 감겨져 있고, 작업이 진행되는 동안 상기 망 인취 배출부(7)에서 상기 광섬유 케이블망(100)을 끌어당길 경우, 제1 전선(C1)들이 풀려져서 공급되어진다. 상기 보빈(21)의 설치된 갯수에 따라 최종적인 광섬유 케이블망(100)의 폭이 넓게 또는 좁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1 전선(C1)과 제2 전선(C2)을 통과시키고 있고 상기 제1 전선(C1)과 상기 제2 전선(C2)을 서로 꼬아주기 위한 부품들을 내장하고 있는 한 쌍의 전선 꼬임부(3)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전선 꼬임부(3)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상기 한 쌍의 전선 꼬임부(3)는 각각 상부 슬라이더(31)와 하부 슬라이더(32)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들은 상호 마주보고 배치되어 있으며, 슬라이더 이동수단(5)에 의하여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상부 슬라이더(31)와 상기 하부 슬라이더(32)의 내부에는 각각 다수의 상부 반달피니언(33)들과 다수의 하부 반달피니언(34)들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상부 반달피니언(33)과 상기 하부 반달피니언(34)은 서로 짝을 이루어 한 쌍을 이루게 되고, 서로 짝을 이룬 상태에서는 그 자리에서 제2 래크(62)에 의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기술적 구성은 철선을 이용한 개비온 철망의 제조업계에서는 이미 잘 알려져 있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반달피니언(33)에는 제1 전선 통과홀(33a)이 형성되어 있고, 이를 통하여 상기 제1 전선(C1)이 수평으로 관통되어 이동되어진다. 상기 하부 반달피니언(34)에는 제2 전선 통과홀(34a)이 형성되어 있고, 이를 통하여 상기 제2 전선 공급부(4)에서 공급되는 제2 전선(C2)이 수평으로 관통되어 이동되어진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전선 꼬임부(3)를 구성하는 상부 슬라이더(31)의 내부에 설치된 상부 반달피니언(33)은 서로 마주보면서 그들 사이에 처짐 방지관(35)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처짐방지관(35)은 한 쌍의 상부 반달피니언(33)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제1 전선 통과홀(33a)을 서로 연결해주는 것으로서, 그 내부를 통하여 상기 제1 전선(C1)이 통과하도록 해준다. 이 경우, 상기 제1 전선(C1)이 상기 제1 전선 통과홀(33a)의 내부에 존재하게 되므로, 상기 상부 반달피니언(33)과 상기 하부 반달피니언(34)이 결합되어 회전하게 되는 상황에서도, 상기 제1 전선(C1)이 아래쪽으로 처지거나, 회전하는 도중에 원주방향으로 휘어져서 다른 부품들에 부딪히게 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것은 상기 제1 전선(C1)이 곧고 잘 휘어지지 않는 철선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유연하고 흐느적거릴 정도로 잘 휘어지는 광케이블을 사용함으로써 발생될 수 있는 부작용을 미리 방지하기 위한 조치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광섬유 케이블로 구성된 제2 전선(C2)을 안전하게 보관하고 있으면서 작업이 진행되는 동안에 상기 제2 전선(C2)을 공급하는 제2 전선 공급부(4)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선 공급부(4)는 작업이 진행되지 않고 정지하고 있는 동안에는 안전하게 보관하고 있고, 작업이 진행될 경우에는 상기 제2 전선(C2)을 작업의 진행속도에 따라 적절하게 타측에 위치한 하부 반달피니언(34)에 공급하게 된다. 상기 제2 전선 공급부(4)는 양측에 마주보는 두 개의 하부 반달피니언(34)에 장착되는 공회전 보빈(41)과, 상기 공회전 보빈의 양단에 형성된 고정 삽입축(42)과, 상기 공회전 보빈(41)의 외주면에 감겨져 있는 제2 전선(C2)이 스르르 풀려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그와 동시에 작업의 진행 속도에 맞추어 상기 제2 전선(C2)을 긴장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제2 전선 통과홀(34a)로 공급하도록 해주는 풀림방지 공급수단(46)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2 전선 공급부(4)는, 도 1과 도 4 및 도 5에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전선 꼬임부(3)의 사이에 다수가 전후 간격을 두고 횡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전선(C2)들을 각각 대응되는 상기 하부 반달피니언(34)들에 공급하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공회전 보빈(41)의 양단에 형성된 고정 삽입축(42)은 상기 하부 반달피니언(34)에 편심으로 회전하도록 결합되어 있는 편심 브래킷(43)에 결합되어지게 된다. 상기 편심 브래킷(43)에는 고정홈(4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홈(44)에 상기 공회전 보빈(41)의 고정 삽입축(42)을 삽입시키고 고정한다. 고정 방식은 상기 편심 브래킷(43)에 수직으로 관통 체결되어 있는 세트스크류(45)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트스크류(45)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고정을 해제한 다음, 상기 고정 삽입축(42)을 상기 고정홈(44)에서 분리하게 되면, 상기 공회전 보빈(41)을 상기 서로 마주보는 2개의 하부 반달피니언(34)에서 용이하게 분해하여 꺼낼 수 있다. 이와 같은 결합 및 분리작업은 상기 공회전 보빈(41)의 외주면에 감겨져 있는 제2 전선(C2)의 작업상황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풀림방지 공급수단(46)은 일측에 위치되는 상기 상기 편심 브래킷(43)에 일단부가 고정되어 있는 탄성줄(47)과, 상기 탄성줄(47)의 타단부에 연결되는 브래킷(48)과, 상기 브래킷(48)에 회전되게 구비되어 상기 제2 전선(C2)이 감겨져 인출되는 공회전 풀리(49)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풀림방지 공급수단(46)을 통해 유연한 제2 전선(C2)이 상기 공회전 보빈(41)에 권취된 상태에서 자동적으로 스르르 풀려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긴장을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제2 전선(C2)이 상기 제2 전선 통과홀(34a)에 팽팽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다. 이를 달리 표현하면, 상기 풀림방지 공급수단(46)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공회전 보빈(41)의 외주면에 감겨져 있는 제2 전선(C2)은 스르르 풀려지게 되고, 그로 인하여 작업을 더 이상 진행시킬 수 없게 됨을 의미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제1 슬라이더(31)와 상기 제2 슬라이더(32)를 상호 연동시켜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슬라이더 이동수단(5)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 이동수단(5)은 상기 제1 슬라이더(31)와 상기 제2 슬라이더(32)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서로 어긋나게 이동시켜줌으로써, 상기 제1 전선(C1)과 상기 제2 전선(C2)의 위치를 반복적으로 변경시키고, 이를 통하여 상기 제1 전선(C1)과 상기 제2 전선(C2)의 짝을 교체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슬라이더 이동수단(5)은 제어부(C)에 의해 작동 및 정지되어지고 정역 회전하게 되는 제1 모터(54)와, 상기 제1 모터(54)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 연결축(53)과, 상기 제1 연결축(53)의 양측에 결합되어 있는 제1 피니언(52)과, 상기 제1 피니언(52)에 톱니결합되어 있고 서로 상하 방향으로 마주보고 설치되어 있는 제1 래크(51)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부에 위치한 제1 래크(51)는 상부 슬라이더(31)에 결합되어 있고, 하부에 위치한 제1 래크(51)는 하부 슬라이더(32)에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더 이동수단(5)을 작동시키면, 상기 제1 피니언(52)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1 피니언(52)이 회전하게 됨에 따라, 상기 상부 슬라이더(31)와 상기 하부 슬라이더(32)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수평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하나의 제1 모터(54)를 이용하여 양측에 위치한 상기 상부 슬라이더(31)와 상기 하부 슬라이더(32)를 동시에 연동되게 이동시킴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구성을 간단히 형성할 수 있으므로, 장치의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제1 반달피니언(33)과 상기 제2 반달피니언(34)이 서로 짝을 이루어 결합된 상태에서, 결합된 피니언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공회전시키는 피니언 회전수단(6)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피니언 회전수단(6)은, 상기 제1 반달피니언(33)과 상기 제2 반달피니언(34)이 결합된 상태를 이루고, 그 결합된 피니언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1 전선(C1)과 상기 제2 전선(C2)을 서로 꼬아서 꼬임부(102)를 형성하는 것을 보조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피니언 회전수단(6)은 제어부(C)에 의해 작동 및 정지되어지고 정역 회전하게 되는 제2 모터(64)와, 상기 제2 모터(64)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2 연결축(63)과, 상기 제2 연결축(63)의 양측에 결합되어 있는 제2 피니언(62)과, 상기 제2 피니언(62)에 톱니결합되어 있고 상기 하부 슬라이더(32)의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상기 제1 반달피니언(33) 또는 상기 제2 반달피니언(34)에 맞물려 있는 제2 래크(61)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래크(61)는 상기 제1 반달피니언(33)과 상기 제2 반달피니언(34)이 짝을 이루어 결합되어 있는 피니언 결합체를 공회전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피니언 회전수단(6)은 하나의 제2 모터(64)로 양측에 위치되는 제1 반달피니언(33) 및 제2 반달피니언(34)들을 연동되게 회전시킴으로써, 장치의 구성을 간단히 하여 장치의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프레임의 타측에 구비되어 6각형의 망눈을 가지는 광섬유 케이블망(100)의 상하부를 눌러 인취하여 후방으로 배출시키는 망 인취 배출부(7)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망 인취 배출부(7)는, 도 2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의 타측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1 전선(C1) 및 상기 제2 전선(C2)들이 상호 꼬아져서 6각형의 망눈(101)을 형성한 광섬유 케이블망(100)의 상하부를 눌러서 인취하여 후방으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망 인취 배출부(7)는 제어부(C)에 의해 작동 및 정지되어지고 정역 회전하게 되는 제3 모터(75)와, 상기 제3 모터(75)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 체인(76)과, 상기 동력전달 체인(76)에 연결되어 있고 아래쪽에 위치한 하부 회전축(71)과, 상기 하부 회전축(71)에 감겨서 무한괘도로 이동하는 하부 컨베이어 벨트(72)와, 상기 동력전달 체인(76)에 연결되어 있고 위쪽에 위치한 상부 회전축(73)과, 상기 상부 회전축(73)에 감겨서 무한괘도로 이동하는 상부 컨베이어 벨트(74)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 컨베이어 벨트(74)와 상기 하부 컨베이어 벨트(72)는 서로 밀착되어 있고, 그 사이에 존재하는 광섬유 케이블망(100)을 면 대 면으로 압박하여 주게 되므로, 상기 상부 컨베이어 벨트(74)와 상기 하부 컨베이어 벨트(72)가 무한괘도로 이동하게 될 경우, 상기 광섬유 케이블망(100)을 위쪽과 아래쪽에서 적절하게 압박하면서 안전하게 후방(도면상 좌측 방향)으로 잡아 끌어주게 된다. 이는 상기 광섬유 케이블망(100)이 유연한 광섬유 케이블을 서로 꼬아서 형성된 것이므로, 완성된 광섬유 케이블망(100)의 형태가 변형을 일으키지 않고 균일한 형상을 유지하면서 안정된 상태로 이동시켜주기 위함이다. 상기 제3 모터(75)는 상기 동력전달 체인(76)을 통하여 상기 하부 회전축(71)과 상기 상부 회전축(73)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고, 그로 인하여 상기 하부 컨베이어 벨트(72)와 상기 상부 컨베이어 벨트(74)가 면 대 면으로 압박하면서 동일한 방향으로 맞물려 이동할 수 있도록 해주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C)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의 전반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제1 모터(54) 내지 제3 모터(75)와 연결됨으로써, 상기 슬라이더 이동수단(5)과 피니언 회전수단(6) 및 망 인취 배출부(7)의 작동과 정지 및 그 진행속도 등을 조절하거나 제어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케이블망의 자동생산장치는 상기 제1 전선(C1)과 상기 제2 전선(C2)이 서로 꼬아진 상태에서, 그 꼬아진 전선들이 풀려지지 않고 그 상태를 균일하게 유지하도록 안내해주는 케이블 꼬임 안내부재(8)를 더욱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꼬임 안내부재(8)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측에 위치되는 상기 전선 꼬임부(3)의 후방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케이블 꼬임 안내부재(8)는 상기 제1 전선(C1)과 상기 제2 전선(C2)이 서로 꼬아진 상태에서 그 위치를 정확하게 안내해주고 그 꼬임구조가 균일하게 후방으로 끌어당겨져 나오는 것을 보조해준다. 이를 위하여, 상기 케이블 꼬임 안내부재(8)는 상기 제1 전선(C1)과 상기 제2 전선(C2)이 서로 꼬아진 상태에서 삽입되어 안내되는 “V”자형 케이블 삽입홈(81)이 등간격으로 다수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케이블 꼬임 안내부재(8)에 의하여, 상기 제1 전선(C1)과 상기 제2 전선(C2)들의 불량 꼬임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케이블망의 자동생산장치는 상기 망 인취 배출부(7)를 통하여 배출된 광섬유 케이블망(100)을 권취하여 보관할 수 있는 망 권취부(9)를 더욱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망 권취부(9)는, 도 2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광섬유 케이블망(100)을 권취시키는 망 권취보빈(91)과, 상기 망 권취보빈(91)을 회전시키는 제4 모터(92)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망 권취부(9)는 상기 제1 전선(C1)과 상기 제2 전선(C2)이 상호간에 꼬여져서 형성된 6각 형상의 광섬유 케이블망(100)을 이론상 무한정으로 권취시킬 수 있다. 상기 광섬유 케이블망(100)은 그의 주요 사용 용도가 방범 펜스에 사용되는 것이므로, 가능한 한 도중에 이음부분이 존재하지 않고, 연속적인 상태를 이루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상기 망 권취부(9)는 이러한 광섬유 케이블망(100)의 용도를 고려한 것이며, 필요한 길이만큼 사후에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고려한 것이기도 하다. 상기 제4 모터(92)는 역시 상기 제어부(C)와 연결되어 전체적인 작동관계에 따라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케이블망(100)의 제조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반달피니언의 결합관계 및 그 작동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반달피니언과 슬라이더의 작동 관계를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반달피니언이 그와 인접한 다른 반달피니언과 새로운 결합관계를 형성하여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케이블망의 자동생산장치를 작동시키면, 제1 전선(C1)은 제1 전선 공급부(2)의 보빈(21)에서 풀려져 나와서, 일측에 위치한 전선 꼬임부(3)의 제1 반달피니언(33)의 제1 전선 통과홀(33a)을 통과하게 되고, 타측에 위치한 전선 꼬임부(3)의 제1 반달피니언(33)의 제1 전선 통과홀(33a)을 통과하여 공급되어진다.
한편, 제2 전선(C2)은 제2 전선 공급부(4)의 공회전 보빈(41)에 권취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풀림방지 공급수단(46)의 공회전 풀리(49)를 통과하여 서서히 풀려지게 되고, 타측에 위치한 전선 꼬임부(3)의 제2 반달피니언(34)의 제2 전선 통과홀(34a)을 통과하여 공급되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선(C1)과 상기 제2 전선(C2)은, 상기 제1 반달피니언(33)과 상기 제2 반달피니언(34)이 피니언 회전수단(6)에 의해 회전할 경우, 상기 제1 반달피니언(33) 및 상기 제2 반달피니언(34)과 함께 회전하게 됨으로써, 광섬유 케이블망(100)의 꼬임구조(102)를 형성하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 케이블망(100)의 꼬임구조(102)를 형성하는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초기에 상기 제1 반달피니언(33)과 상기 제2 반달피니언(34)이 서로 짝을 이룬 상태에서 시작되어진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C)는 상기 피니언 회전수단(6)을 가동시킨다. 상기 제어부(C)가 상기 피니언 회전수단(6)의 제2 모터(64)를 작동시키면, 상기 제2 모터(64)는 제2 연결축(63)에 결합된 양측의 제2 피니언(62)들을 회전시키고, 상기 제2 피니언(62)들은 그에 맞물려 있는 제2 래크(61)들을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동일한 길이만큼 각각 전진시키거나 후진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반달피니언(33)과 상기 제2 반달피니언(34)은 서로 짝을 이루어 결합되어 있고, 그 결과 완전한 피니언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결합된 피니언은 상기 제2 래크(61)에 톱니결합을 이루고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래크(61)들이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전진하게 될 경우, 상기 제1 반달피니언(33)과 상기 제2 반달피니언(34)에 의해 짝을 이루어 결합된 피니언은 시계방향으로 공회전하거나 반시계방향으로 공회전하게 된다. 이와는 반대로, 만약, 상기 제2 래크(61)들이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후진하게 될 경우에는, 상기 제1 반달피니언(33)과 상기 제2 반달피니언(34)에 의해 짝을 이루어 결합된 피니언은 반시계방향으로 공회전하거나 시계방향으로 공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2 래크(61)들이 전진하거나 후진함으로써, 상기 제1 반달피니언(33)과 상기 제2 반달피니언(34)에 의해 결합된 피니언이 공회전하게 되면, 상기 제1 반달피니언(33)의 내부에 존재하는 제1 전선(C1)과 상기 제2 반달피니언(34)의 내부에 존재하는 제1 전선(C2)은 서로 꼬여져서 광섬유 케이블(100)의 꼬임부(102)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광섬유 케이블(100)의 꼬임부(102)가 형성되는 동안에,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상부 컨베이어 벨트(74)와 상기 하부 컨베이어(72)를 무한괘도로 작동시켜 상기 광섬유 케이블망(100)을 배출방향(도면상 좌측방향)으로 끌어내게 된다.(도 2 및 도 9 참조) 이때, 상기 제1 전선(C1)은 제1 전선공급부(2)의 보빈(21)에서 풀려서 계속 공급되어지고, 상기 제2 전선(C2)은 제2 전선공급부(4)의 공회전 보빈(41)에서 풀려서 계속 공급되어진다.
상기 제1 전선(C1)과 상기 제2 전선(C2)을 이용하여 상기 꼬임부(102)를 형성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제2 모터(64)를 정지시키고, 상기 제1 반달피니언(33)과 상기 제2 반달피니언(34)들이 최초의 정위치에 위치하도록 제어한다.
그 이후,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제1 모터(54)를 가동시키고, 상기 제1 연결축(53)에 결합되어 있는 양측의 제1 피니언(52)을 회전시킨다. 이 경우, 위쪽에 톱니결합된 상부 슬라이더(31)와 아래쪽에 톱니결합된 하부 슬라이더(32)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1 참조.) 상기 상부 슬라이더(31)와 상기 하부 슬라이더(32)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상부 슬라이더(31) 측에 위치한 제1 반달피니언(33)들과 상기 하부 슬라이더(32) 측에 위치한 제2 반달피니언(34)들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수평이동하게 된다. (도 10 참조.)
상기 상부 슬라이더(31)와 상기 하부 슬라이더(32)에 의하여 수평이동이 완료되어지면, 상기 제1 반달피니언(33)들은 그에 인접한 다른 제2 반달피니언(34)들과 각각 하나의 새로운 쌍을 이루게 되고, 역시 상기 제2 반달피니언(34)들의 경우에도 그에 인접한 다른 제1 반달피니언(33)들과 각각 하나의 새로운 쌍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도 11 참조.) 이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제1 모터(54)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본 발명은 상기 제1 반달피니언(33)들과 상기 제2 반달피니언(34)들이 서로 인접한 각각의 반달피니언들과 새로운 쌍을 이루게 되면, 그 상태에서 상기 광섬유 케이블(100)의 새로운 꼬임부(102)를 형성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제2 모터(64)를 작동시켜서 상기 피니언 회전수단(6)을 가동시키게 되는데, 통상적으로 상기 제2 모터(64)의 회전방향은 그 이전의 회전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실시되어진다. 상기 피니언 회전수단(6)이 가동되어지면, 상기 제2 래크(61)가 그 이전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진하게 되고, 그로 인하여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작동관계를 형성하면서 광섬유 케이블망(100)의 새로운 꼬임부(102)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광섬유 케이블(100)의 새로운 꼬임부(102)가 형성되어지면, 상기 제1 반달피니언들과 상기 제2 반달피니언들을 최초의 위치로 환원시키고, 위에서 실시하였던 방식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또 다른 꼬임부(102)를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광섬유 케이블(100)은 2개의 광섬유 케이블이 서로 꼬여 있는 꼬임부(102)와 상기 2개의 광섬유 케이블이 각각 단독으로 존재하는 단일의 전선부(103)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꼬임부(102)와 상기 전선부(103)는 하나의 6각형 망눈(101)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며, 이러한 6각형 망눈(101)이 전후 좌우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됨으로써, 광섬유 케이블(100)의 기본적인 구조를 이루게 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적으로 실시하고, 그로 인하여 상기의 기본적인 구조를 반복적으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1 전선(C1)과 상기 제2 전선(C2)을 이용하여 6각 형상의 망눈(101)을 가진 광섬유 케이블망(100)을 자동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플렉시블 광섬유 케이블망의 자동생산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기재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그 범위가 결정되어지고 한정되어진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명세서의 기재내용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을 행할 수 있을 것이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1 : 프레임,
2 : 제1 전선 공급부, 21 : 보빈,
3 : 전선 꼬임부,
31 : 상부 슬라이더, 32 : 하부 슬라이더,
33 : 제1 반달피니언, 33a : 제1 전선 통과홀,
34 : 제2 반달피니언, 34a : 제2 전선 통과홀,
35 : 처짐 방지관,
4 : 제2 전선 공급부,
41 : 공회전 보빈, 42 : 고정 삽입축,
43 : 편심 브래킷, 44 : 고정홈,
45 : 세트스크류, 46 : 풀림방지 공급수단,
47 : 탄성줄, 48 : 브래킷,
49 : 공회전 풀리
5 : 슬라이더 이동수단
51 : 제1 래크, 52 : 제1 피니언,
53 : 제1 연결축, 54 : 제1 모터,
6 : 피니언 회전수단,
61 : 제2 래크, 62 : 제2 피니언,
63 : 제2 연결축, 64 : 제2 모터,
7 : 망 인취 배출부,
71 : 하부 회전축, 72 : 하부 컨베이어 벨트,
73 : 상부 회전축, 74 : 상부 컨베이어 벨트,
75 : 제3 모터,
8 : 케이블 안내부재, 81 : 케이블 삽입홈
9 : 망 권취부,
91 : 망 권취보빈, 92 : 제4 모터,
100 : 광섬유 케이블망
101 : 망눈, 102 : 꼬임부, 103 : 단일 전선부,
C : 제어부,
C1 : 제1 전선, C2 : 제2 전선

Claims (6)

  1. 프레임(1)의 일측에 구비되어 있고 다수의 보빈(21)에 권취된 제1 전선(C1)들을 전후 간격으로 두고 공급하는 제1 전선 공급부(2)와;
    상기 프레임(1)의 상부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고, 각각 상부 슬라이더(31)와 하부 슬라이더(32)를 포함하고 있는 한 쌍의 전선 꼬임부(3)와;
    상기 한 쌍의 전선 꼬임부(3)의 사이에 장착되어 있고 전후 간격을 두고 횡방향으로 다수의 공회전 보빈(41)에 권취되어 있는 제2 전선(C2)을 공급하는 제2 전선 공급부(4)와;
    상기 한 쌍의 전선 꼬임부(3)를 구성하는 상부 슬라이더(31)와 하부 슬라이더(32)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1 전선(C1)과 상기 제2 전선(C2)의 위치를 반복적으로 그에 인접한 위치로 변경시키는 슬라이더 이동수단(5)과;
    상기 상부 슬라이더(31)와 상기 하부 슬라이더(32)의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제1 반달피니언(33)과 제2 반달피니언(34)이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결합된 피니언을 회전시켜줌으로써, 상기 제1 전선(C1)과 상기 제2 전선(C2)을 꼬아주도록 해주는 피니언 회전수단(6)과;
    상기 프레임(1)의 타측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1 전선(C1)과 상기 제2 전선(C2)의 꼬임구조에 의해 형성된 광섬유 케이블망(100)을 인취하여 배출시키는 망 인취 배출부(7)와;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는 제어부(C); 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광섬유 케이블망의 자동생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선 공급부(4)는,
    양측에 마주보는 두 개의 하부 반달피니언(34)에 장착되는 공회전 보빈(41)과;
    상기 공회전 보빈(41)의 양단에 형성된 고정 삽입축(42)과;
    상기 공회전 보빈(41)의 외주면에 감겨져 있는 제2 전선(C2)이 스르르 풀려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그와 동시에 작업의 진행 속도에 맞추어 상기 제2 전선(C2)을 긴장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제2 전선 통과홀(34a)로 공급하도록 해주는 풀림방지 공급수단(46)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케이블망의 자동생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풀림방지 공급수단(46)은,
    일측에 위치되는 상기 상기 편심 브래킷(43)에 일단부가 고정되어 있는 탄성줄(47)과;
    상기 탄성줄(47)의 타단부에 연결되는 브래킷(48)과;
    상기 브래킷(48)에 회전되게 구비되어 상기 제2 전선(C2)이 감겨져 인출되는 공회전 풀리(49)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케이블망의 자동생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망 인취 배출부(7)는,
    제어부(C)에 의해 작동 및 정지되어지고 정역 회전하게 되는 제3 모터(75)와;
    상기 제3 모터(75)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 체인(76)과;
    상기 동력전달 체인(76)에 연결되어 있고 아래쪽에 위치한 하부 회전축(71)과, 상기 하부 회전축(71)에 감겨서 무한괘도로 이동하는 하부 컨베이어 벨트(72)와;
    상기 동력전달 체인(76)에 연결되어 있고 위쪽에 위치한 상부 회전축(73)과, 상기 상부 회전축(73)에 감겨서 무한괘도로 이동하는 상부 컨베이어 벨트(74)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케이블망의 자동생산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타측에 위치되는 전선 꼬임부(3)는,
    상기 제1 전선(C1)과 상기 제2 전선(C2)이 서로 꼬아진 상태에서, 그 꼬아진 전선들이 풀려지지 않고 그 상태를 균일하게 유지하도록 안내해주는 케이블 꼬임 안내부재(8)를 더욱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케이블망의 자동생산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망 인취 배출부(7)는 완성된 광섬유 케이블망(100)을 권취하여 보관할 수 있는 망 권취부(9)를 더욱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광섬유 케이블망의 자동생산장치.
KR1020140005538A 2014-01-16 2014-01-16 광섬유 케이블망의 자동생산장치 KR1013964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5538A KR101396425B1 (ko) 2014-01-16 2014-01-16 광섬유 케이블망의 자동생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5538A KR101396425B1 (ko) 2014-01-16 2014-01-16 광섬유 케이블망의 자동생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6425B1 true KR101396425B1 (ko) 2014-05-20

Family

ID=50894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5538A KR101396425B1 (ko) 2014-01-16 2014-01-16 광섬유 케이블망의 자동생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642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3679B1 (ko) * 2014-12-04 2015-04-22 김종관 광망제조장치
KR20170022102A (ko) 2015-08-19 2017-03-02 주식회사 시큐어닉스 비절단형 광섬유 케이블망
KR20170022101A (ko) 2015-08-19 2017-03-02 주식회사 시큐어닉스 광섬유 케이블망의 제조방법
KR102365705B1 (ko) * 2021-08-24 2022-02-23 안희진 울타리용 광섬유 케이블 네트 직조장치
KR20220156267A (ko) * 2021-05-18 2022-11-25 주식회사 케이과학화경계기술 보안펜스 감시용 광케이블 장치 및 이를 생산하는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3531B1 (ko) 2003-10-17 2004-03-19 허수영 개비온 철망의 자동생산 기계장치
KR100563974B1 (ko) 2003-01-27 2006-03-29 정기관 철망 및 철망의 제조장치
KR100619446B1 (ko) 2004-02-14 2006-09-12 티포엘 주식회사 게비온 철망 연속 제조장치
KR100973464B1 (ko) 2003-02-03 2010-08-02 주식회사 티포엘 게비온(gebion) 철망 연속 자동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3974B1 (ko) 2003-01-27 2006-03-29 정기관 철망 및 철망의 제조장치
KR100973464B1 (ko) 2003-02-03 2010-08-02 주식회사 티포엘 게비온(gebion) 철망 연속 자동 제조장치
KR100423531B1 (ko) 2003-10-17 2004-03-19 허수영 개비온 철망의 자동생산 기계장치
KR100619446B1 (ko) 2004-02-14 2006-09-12 티포엘 주식회사 게비온 철망 연속 제조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3679B1 (ko) * 2014-12-04 2015-04-22 김종관 광망제조장치
KR20170022102A (ko) 2015-08-19 2017-03-02 주식회사 시큐어닉스 비절단형 광섬유 케이블망
KR20170022101A (ko) 2015-08-19 2017-03-02 주식회사 시큐어닉스 광섬유 케이블망의 제조방법
KR101792132B1 (ko) * 2015-08-19 2017-10-31 주식회사 시큐어닉스 광섬유 케이블망의 제조방법
KR101799457B1 (ko) * 2015-08-19 2017-12-20 주식회사 에이티아이 비절단형 광섬유 케이블망
KR20220156267A (ko) * 2021-05-18 2022-11-25 주식회사 케이과학화경계기술 보안펜스 감시용 광케이블 장치 및 이를 생산하는 장치
KR102503751B1 (ko) 2021-05-18 2023-03-27 주식회사 케이과학화경계기술 보안펜스 감시용 광케이블 장치 및 이를 생산하는 장치
KR102365705B1 (ko) * 2021-08-24 2022-02-23 안희진 울타리용 광섬유 케이블 네트 직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6425B1 (ko) 광섬유 케이블망의 자동생산장치
EP0218952B1 (en) Process and line for manufacturing cables
KR101130855B1 (ko) 결속 유닛과 이를 이용한 발 제작장치
DE2818865A1 (de) Schlauch mit eingebettetem statischem erdleiter
US11623268B2 (en) Machin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reinforced net and reinforced net
RU2755917C2 (ru) Инжекторная камера для пултрузионной установки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армированных волокном пластмассовых профилей, прежде всего пластмассовых стержней
KR20100056241A (ko) 아머드 케이블의 제조장치
EP010239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heetlike forming material
DE2922986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optischer kabel
US10948679B2 (en) Method of SZ stranding flexible micromodules
KR101123930B1 (ko) 와이어 코드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CN110788257B (zh) 一种简易高效石笼网机的捻网结构及捻网方法
KR101792132B1 (ko) 광섬유 케이블망의 제조방법
EP0004295B1 (de) Vorrichtung zum SZ-Verseilen von Verseilelementen elektrischer Kabel und Leitungen sowie Verfahren zum Betrieb dieser Vorrichtung
CN101173415B (zh) 通过编织-拆线来处理线的方法以及线处理作业线
CN107326528B (zh) 编织机
DE2701652C2 (de) Vorrichtung an einer Strick-, Wirk- oder Webmaschine zum Zuführen von fadenförmigen Materialien
KR102104236B1 (ko) 이종 원사 공급이 가능한 직조 장치
KR20100056237A (ko) 아머드 케이블의 제조장치
RU2009109743A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изготовления штапельного волокна из извитой волокнистой ленты
KR20170000126A (ko) 모노사를 이용한 합성수지 필름사 제조방법
JP4675763B2 (ja) 撚線機
EP1721847A2 (de) Rollenwickeleinrichtung
KR101569873B1 (ko) 연사기의 백트위스트장치
KR101687990B1 (ko) 금속 직조물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