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6222B1 - 편광판 부착장치 - Google Patents

편광판 부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6222B1
KR101396222B1 KR1020120096103A KR20120096103A KR101396222B1 KR 101396222 B1 KR101396222 B1 KR 101396222B1 KR 1020120096103 A KR1020120096103 A KR 1020120096103A KR 20120096103 A KR20120096103 A KR 20120096103A KR 101396222 B1 KR101396222 B1 KR 1013962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el
supply
adhesive tape
roller
recov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6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9896A (ko
Inventor
김수연
조원일
오창익
이용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Priority to KR10201200961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6222B1/ko
Publication of KR201400298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98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6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62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634Production of filters
    • B29D11/00644Production of filters polariz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편광판 부착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편광판 부착장치는, 편광판으로부터 보호필름을 박리하기 위해 점착성 테이프를 공급하며, 원주면을 따라 점착성 테이프가 감겨있는 공급 릴(reel)과, 보호필름의 박리에 사용 완료된 점착성 테이프를 회수하는 회수 릴과, 공급 릴과 회수 릴 사이에 마련되고, 공급 릴에서 점착성 테이프를 공급받아 보호필름의 표면으로 점착성 테이프를 접촉 가압하는 접촉롤러와, 점착성 테이프의 이동궤도에 마련되며, 점착성 테이프의 이동궤도를 가변시켜 상기 접촉롤러에 감긴 점착성 테이프를 공급 릴 측에서 회수 릴 측으로 이동시키는 테이프 이동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편광판 부착장치{Device for attaching polarizing plate}
본 발명은, 편광판 부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편광판에서 보호필름을 박리 시 점착성 테이프와 보호필름의 접촉 면적을 확대하기 위해 공급 릴과 회수 릴 사이에 복잡한 동기제어를 수행할 필요 없는 편광판 부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반도체 산업 중 전자 디스플레이 산업이 급속도로 발전하면서 평면디스플레이(Flat Panel Display, FPD)가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평면디스플레이(FPD)는, 종전에 TV나 컴퓨터 모니터 등에 디스플레이(Display)로 주로 사용된 음극선관(CRT, Cathode Ray Tube)보다 두께가 얇고 가벼운 영상표시장치로서, 이에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Plasma Display Panel),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이 있다.
이러한 평면디스플레이(FPD) 중 하나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OLED)는 애노드와 캐소드 그리고, 애노드와 캐소드 사이에 개재된 유기막들을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유기막들은 최소한 발광층을 포함하며, 발광층 이외에도 정공 주입층, 정공 수송층, 전자 수송층, 전자 주입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OLED)는 유기물의 자체 발광에 의해 컬러 화상을 구현하는 초경박형 표시장치로서, 그 구조가 간단하면서 광효율이 높다는 점에서 차세대의 유망 평면디스플레이로서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OLED) 기판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기판 상에 TFT(Thin Film Transistor)를 형성하기 위한 무기물 증착 공정과 패터닝 공정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고, 이후 발광 Cell을 구성하기 위한 유기물 증착이 이루어 진다.
TFT 공정은 반도체 제조 공정과 매우 유사한데, 증착(Deposition), 사진식각(Photo lithography), 식각(Etching)을 반복하여 유리기판 위에 박막 트랜지스터를 배열하는 공정이다.
Cell을 구성하기 위한 공정은 TFT 공정에 의해 제조된 TFT 하판과 칼라 필터(Color Filter)인 상판에 액정이 잘 정렬될 수 있도록 배향막을 형성하고, 스페이서(Spacer)를 산포(Splaying)하고 실(Seal) 인쇄를 하여 상하판을 합착하는 공정이다.
이후, 모듈(Module)공정이 계속되는데, 이러한 모듈(Module)공정은 완성된 OLED패널에 편광판을 부착하고 집적 회로(Drive-IC)를 실장한 후, PCB(Printed Circuit Board)와 조립한 다음, 그 배면으로 백라이트 유닛(Back-light Unit)과 기구물을 조립하는 일련의 단계를 가리킨다.
이러한 모듈 공정에서 사용되는 편광판은, OLED패널에 부착되어 액정을 투과한 빛 중 특정 방향으로 강하게 진동하는 빛만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편광판이 OLED패널 조립공장으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편광판의 표면에 스크래치가 발생하거나 이물질이 묻으면 곤란하다. 따라서 편광판이 제조되고 나면 편광판에 별도의 보호필름(Protecting Film)이 부착된다. 물론, 실질적으로 편광판 부착공정이 진행될 때는 보호필름이 박리된 상태에서 진행된다.
초기에는 작업자가 수작업에 의해 보호필름을 제거하고, 보호필름이 제거된 편광판을 기판에 부착 하여 왔으나, 수작업의 한계로 인해 생산 효율이 낮아질 수밖에 없게 되는 바, 근자에 들어서는 소위, 편광판 부착장치를 이용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편광판 부착장치는 보호필름의 박리 공정을 진행한 후에 OLED패널에 편광판을 부착하는 일련의 공정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종래기술에 따른 편광판 부착장치는, 이동 가능한 편광판 흡착판이 마련된 편광판 공급부와, 편광판 흡착판에 흡착된 편광판에서 보호필름을 박리하는 박리헤드와, 보호필름이 박리된 편광판을 OLED패널의 일측면에 부착하는 편광판 부착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종래기술에 따른 편광판 부착장치의 박리헤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광판(P)으로부터 보호필름(F)을 박리하기 위해 점착성 테이프(T)를 공급하며, 원주면을 따라 점착성 테이프(T)가 감겨있는 공급 릴(reel, 10)과, 보호필름(F)의 박리에 사용 완료된 점착성 테이프(T)를 회수하는 회수 릴(20)과, 공급 릴(10)과 회수 릴(20) 사이에 마련되고, 공급 릴(10)에서 점착성 테이프(T)를 공급받아 보호필름(F)의 표면으로 점착성 테이프(T)를 접촉 가압하는 접촉롤러(30)와, 공급 릴(10)과 회수 릴(20)을 회전시키는 릴 구동부(41,42)를 포함한다.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편광판 부착장치는, 편광판(P)에서 보호필름(F)의 박리 시 점착성 테이프(T)와 보호필름(F)과의 접촉 면적을 넓히기 위해, 릴 구동부(41,42)가 공급 릴(10)과 회수 릴(20)을 회전시킨다.
그런데 종래기술에 따른 편광판 부착장치는, 공급 릴(10)에서 점착성 테이프(T)의 풀림 속도와 회수 릴(20)에서 점착성 테이프(T)의 감김 속도를 동기 제어하기 어려워, 편광판(P)에서 보호필름(F)의 박리 시 다양한 불량이 발생할 소지가 높다.
즉 공급 릴(10)과 회수 릴(20)의 회전 동기제어가 제대로 수행되지 못할 경우 점착성 테이프(T)가 느슨한 상태로 풀려 있을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점착성 테이프(T)에 적절한 장력이 유지될 수 없어 접촉롤러(30)에 새로운 점착성 테이프(T)가 원활히 공급되지 못하며, 보호필름(F)의 박리에 사용 완료된 폐 점착성 테이프(T)가 회수 릴(20)에 제대로 회수되지 못한다.
따라서 편광판(P)에서 보호필름(F)의 박리 시 공급 릴(10)과 회수 릴(20)의 회전을 동기화하는 복잡한 제어를 생략하더라도, 점착성 테이프(T)와 보호필름(F)과의 접촉 면적을 확대할 수 있는 편광판 부착장치가 고려되어야 한다.
특허공개번호 KR 10-2000-0038517 (삼성전자 주식회사), 2000.07.05
따라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편광판에서 보호필름의 박리 시 공급 릴과 회수 릴의 회전과 무관하게 점착성 테이프와 보호필름과의 접촉 면적을 확대함으로써, 공급 릴과 회수 릴의 회전을 동기화하는 복잡한 제어를 생략할 수 있어 보호필름의 박리 불량을 줄일 수 있는 편광판 부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편광판으로부터 보호필름을 박리하기 위해 점착성 테이프를 공급하며, 원주면을 따라 상기 점착성 테이프가 감겨있는 공급 릴(reel)와, 상기 보호필름의 박리에 사용 완료된 상기 점착성 테이프를 회수하는 회수 릴과, 상기 공급 릴과 상기 회수 릴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공급 릴에서 상기 점착성 테이프를 공급받아 상기 보호필름의 표면으로 상기 점착성 테이프를 접촉 가압하는 접촉롤러와, 상기 점착성 테이프의 이동궤도에 마련되며, 상기 점착성 테이프의 이동궤도를 가변시켜 상기 접촉롤러에 감긴 상기 점착성 테이프를 상기 공급 릴 측에서 상기 회수 릴 측으로 이동시키는 테이프 이동유닛을 포함하는 편광판 부착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테이프 이동유닛은, 상기 공급 릴과 상기 접촉롤러 사이의 상기 점착성 테이프의 이동궤도인 공급궤도의 길이와, 상기 회수 릴과 상기 접촉롤러 사이의 상기 점착성 테이프의 이동궤도인 회수궤도의 길이를 서로 반대로 신축시키는 궤도길이 신축성 테이프 이동유닛일 수 있다.
상기 궤도길이 신축성 테이프 이동유닛은, 상기 공급 릴과 상기 접촉롤러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접촉롤러에 대하여 상기 공급궤도의 길이를 신축시키는 방향으로 상대이동 가능한 공급 궤도 가변롤러와, 상기 회수 릴과 상기 접촉롤러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접촉롤러에 대하여 상기 회수궤도의 길이를 신축시키는 방향으로 상대이동 가능한 회수 궤도 가변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급궤도 가변롤러 및 상기 회수궤도 가변롤러에 각각 결합되어 해당 롤러들을 독립적으로 이동시키는 공급궤도 가변롤러 이동부 및 회수궤도 가변롤러 이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급궤도 가변롤러 이동부 및 상기 회수궤도 가변롤러 이동부는, 상기 공급궤도 가변롤러 및 상기 회수궤도 가변롤러가 각각 결합된 이동블록와, 상기 이동블록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가이드와, 상기 이동블록을 이동시키는 에어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수 궤도 가변롤러와 상기 회수 릴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점착성 테이프의 장력을 감지하여 감지된 값을 기초로 상기 점착성 테이프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 조절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력 조절유닛은, 상기 회수 궤도 가변롤러와 상기 회수 릴 사이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점착성 테이프를 가압하는 가압롤러와, 상기 가압롤러와 연결되어 상기 점착성 테이프의 장력을 감지하는 장력 감지부와, 상기 가압롤러를 이동시키는 가압롤러 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급 릴 및 상기 회수 릴과 연결되며, 상기 점착성 테이프가 공급 및 회수되도록 상기 공급 릴과 상기 회수 릴을 회전시키는 릴 회전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릴 회전유닛은, 상기 공급 릴이 결합된 제1 회전축과 연결되는 공급 기어와, 상기 회수 릴이 결합된 제2 회전축과 연결되는 회수 기어와, 상기 공급 기어와 상기 회수 기어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공급 기어 및 상기 회수 기어에 치합되는 연결 기어와, 상기 제1 회전축과 연결되어 상기 제1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릴 회전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릴 회전 구동부는, 상기 제1 회전축에 대하여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가압 플레이트와, 일측부가 상기 제1 회전축에 연결되고 타측부가 상기 가압 플레이트에 연결되어 상기 가압 플레이트의 이동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레버와, 상기 제1 회전축에 마련되며, 상기 회전레버의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 회전 중 어느 한 방향에 대해서만 상기 회전레버의 회전력을 상기 제1 회전축에 전달하고 다른 방향에 대해서는 회전력을 전달하지 않는 일방향 클러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수 기어는, 상기 회수 릴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점착성 테이프에 장력이 발생되도록, 상기 공급 기어보다 기어치의 개수가 적을 수 있다.은
상기 제2 회전축에는, 상기 점착성 테이프에 미리 결정된 장력 이상의 장력이 발생된 경우 상기 회수 기어를 상기 제2 회전축에 대하여 슬립(slip)시키는 과부하 방지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공급 릴과 상기 회수 릴 각각에 인접하게 마련되며, 상기 공급 릴과 상기 회수 릴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구속 및 구속 해제하는 릴 구속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촉롤러에 인접하게 마련되어 상기 점착성 테이프에 상기 보호필름의 점착여부를 감지하는 테이프 점착 감지부와, 상기 공급 릴에 인접하게 마련되어 상기 공급 릴에 감긴 상기 점착성 테이프의 잔량을 감지하는 테이프 잔량 감지부를 더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편광판은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패널용 편광판이며, 상기 공급 릴, 상기 회수 릴, 상기 박리 롤러 및 상기 테이프 이동유닛을 지지하는 박리헤드와, 상기 박리헤드를 상기 보호필름의 판면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편광판에 대해 상기 보호필름을 박리하는 박리헤드 이동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박리 헤드는 한 쌍으로 마련되며, 상기 박리헤드 이동유닛은 상기 한 쌍의 박리헤드를 상기 보호필름의 모서리부에서 대각방향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테이프 이동유닛이 점착성 테이프의 이동궤도를 가변시켜 공급 릴과 회수 릴의 회전과 무관하게 접촉롤러에 감긴 점착성 테이프를 공급 릴 측에서 상기 회수 릴 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보호필름의 박리 시 점착성 테이프와 보호필름의 접촉 면적을 확대하기 위해 공급 릴과 회수 릴을 회전이 필요치 않아 보호필름의 박리 불량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편광판 부착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 부착장치의 박리헤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따른 편광판 부착장치의 박리헤드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따른 편광판 부착장치의 박리헤드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따른 편광판 부착장치의 박리헤드의 후면도이다.
도 6는 도 5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는 도 5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은 편광판에 대해 보호필름이 박리되는 각도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9와 도 10은 보호필름의 초기 박리과정이 도시된 동작상태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 부착장치의 박리헤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따른 편광판 부착장치의 박리헤드의 정면도이며, 도 4는 도 2에 따른 편광판 부착장치의 박리헤드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2에 따른 편광판 부착장치의 박리헤드의 후면도이며, 도 6는 도 5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7는 도 5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7은 편광판에 대해 보호필름이 박리되는 각도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9와 도 10은 보호필름의 초기 박리과정이 도시된 동작상태도이다.
도 2 내지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 부착장치는, 이동 가능한 편광판 흡착판(미도시)이 마련된 편광판 공급부(미도시)와, 편광판 흡착판(미도시)에 흡착된 편광판(P)에서 보호필름(F)을 박리하는 박리헤드(H)와, 보호필름(F)이 박리된 편광판(P)을 OLED패널(미도시)의 일측면에 부착하는 편광판 부착부(미도시)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편광판(P)은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패널용 편광판(P)이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평면디스플레이 패널용 편광판(P)으로부터 보호필름(F)을 박리하고자 할 때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편광판(P)의 일면에 붙어 있는 보호필름(F)을 박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박리헤드(H)의 구성과 그에 따른 동작에 그 핵심이 맞춰져 있으므로, 편광판 공급부(미도시)와 편광판 부착부(미도시)에 대한 구체적인 구조와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 부착장치의 박리헤드(H)는, 편광판(P)으로부터 보호필름(F)을 박리하기 위해 점착성 테이프(T)를 공급하며, 원주면을 따라 점착성 테이프(T)가 감겨있는 공급 릴(reel, 110)과, 보호필름(F)의 박리에 사용 완료된 점착성 테이프(T)를 회수하는 회수 릴(120)과, 공급 릴(110)과 회수 릴(120) 사이에 마련되고, 공급 릴(110)에서 점착성 테이프(T)를 공급받아 보호필름(F)의 표면으로 점착성 테이프(T)를 접촉 가압하는 접촉롤러(130)와, 점착성 테이프(T)의 이동궤도에 마련되며, 점착성 테이프(T)의 이동궤도를 가변시켜 접촉롤러(130)에 감긴 점착성 테이프(T)를 상기 공급 릴(110) 측에서 상기 회수 릴(120) 측으로 이동시키는 테이프 이동유닛(141,142)을 포함한다.
박리헤드(H)는, 공급 릴(110), 회수 릴(120), 접촉롤러(130) 및 테이프 이동유닛(141,142)을 지지하며, 접촉롤러(130)를 통해 보호필름(F)의 초기 박리를 수행한다. 여기서 초기 박리란, 편광판(P)의 모서리에서 소정 길이(본 실시예에서 약 15mm)만큼 보호필름(F)이 박리되는 것을 말한다.
공급 릴(110)은, 원주면을 따라 점착성 테이프(T)가 감겨있으며, 편광판(P)으로부터 보호필름(F)을 박리하기 위해 접촉롤러(130)에 새로운 점착성 테이프(T)를 공급한다.
회수 릴(120)은, 보호필름(F)의 박리에 사용 완료되어 점착성이 낮아진 폐 점착성 테이프(T)를 회수되도록, 원주면에 폐 점착성 테이프(T)를 감는다.
접촉롤러(130)는, 공급 릴(110)과 회수 릴(120) 사이에 마련되고, 공급 릴(110)에서 점착성 테이프(T)를 공급받아 보호필름(F)의 표면으로 점착성 테이프(T)를 접촉 가압한다.
테이프 이동유닛(141,142)은, 점착성 테이프(T)의 이동궤도에 마련되며, 보호필름(F)의 박리 시 점착성 테이프(T)의 이동궤도를 가변시켜 공급 릴(110)과 회수 릴(120)의 회전과 무관하게 접촉롤러(130)에 감긴 점착성 테이프(T)를 상기 공급 릴(110) 측에서 상기 회수 릴(120) 측으로 이동시킨다.
즉, 보호필름(F)의 박리 시 접촉롤러(130)에 감긴 점착성 테이프(T)와 보호필름(F)의 접촉 면적을 넓히기 위해 접촉롤러(130)에 감긴 점착성 테이프(T)가 접촉롤러(130)에서 상기 공급 릴(110) 측에서 상기 회수 릴(120) 측으로 이동되어야 하는데, 본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이동유닛(141,142)은 공급 릴(110)과 회수 릴(120)이 고정된 상태(회전이 구속된 상태)에서 접촉롤러(130)에 감긴 점착성 테이프(T)를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테이프 이동유닛(141,142)은, 공급 릴(110)과 접촉롤러(130) 사이의 점착성 테이프(T)의 이동궤도인 공급궤도(G1)의 길이와, 회수 릴(120)과 접촉롤러(130) 사이의 점착성 테이프(T)의 이동궤도인 회수궤도(G2)의 길이를 서로 반대로 신축시키는 궤도길이 신축성 테이프 이동유닛(141,142)이다.
공급궤도(G1)는 공급 릴(110)에서 풀린 새로운 점착성 테이프(T)가 접촉롤러(130)로 공급되는 가상의 이동궤도이고, 회수궤도(G2)는 폐 점착성 테이프(T)가 접촉롤러(130)에서 이탈하여 회수 릴(120)에 감기는 가상의 이동궤도이다.
결국 궤도길이 신축성 테이프 이동유닛(141,142)은, 공급 릴(110)과 회수 릴(120)이 고정된 상태에서 공급궤도(G1)의 길이를 줄이고 회수궤도(G2)의 길이를 늘려 접촉롤러(130)에서 점착성 테이프(T)를 공급 릴(110) 측에서 상기 회수 릴(120) 측으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궤도길이 신축성 테이프 이동유닛(141,142)은, 공급 릴(110)과 접촉롤러(130) 사이에 마련되며, 접촉롤러(130)에 대하여 공급궤도(G1)의 길이를 신축시키는 방향으로 상대이동 가능한 공급궤도 가변롤러(141)와, 회수 릴(120)과 접촉롤러(130) 사이에 마련되며, 접촉롤러(130)에 대하여 회수궤도(G2)의 길이를 신축시키는 방향으로 상대이동 가능한 회수궤도 가변롤러(142)를 포함한다.
공급궤도 가변롤러(141)는, 접촉롤러(130)에 대하여 공급궤도(G1)의 길이를 신축시키는 방향으로 상대이동 가능하며, 공급 릴(110)과 접촉롤러(130) 사이에 마련된다.
회수궤도 가변롤러(142)는, 접촉롤러(130)에 대하여 회수궤도(G2)의 길이를 신축시키는 방향으로 상대이동 가능하며, 회수 릴(120)과 접촉롤러(130) 사이에 마련된다.
이러한 공급궤도 가변롤러(141)와 회수궤도 가변롤러(142)의 이동을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 부착장치는, 공급궤도 가변롤러(141) 및 회수궤도 가변롤러(142)에 각각 결합되어 해당 롤러들을 독립적으로 이동시키는 공급궤도 가변롤러 이동부(150) 및 회수궤도 가변롤러 이동부(160)를 포함한다.
공급궤도 가변롤러 이동부(150)와 회수궤도 가변롤러 이동부(160)는, 공급궤도 가변롤러(141) 및 회수궤도 가변롤러(142)를 공급궤도(G1)의 길이를 신축시키는 방향 및 회수궤도(G2)의 길이를 신축시키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박리헤드(H)에 마련된다.
공급궤도 가변롤러 이동부(150) 및 회수궤도 가변롤러 이동부(160)는, 공급궤도 가변롤러(141) 및 회수궤도 가변롤러(142)가 각각 결합된 이동블록(151,161)과, 이동블록(151,161)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가이드(152,162)와, 이동블록(151,161)을 이동시키는 에어실린더(153,163)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공급궤도 가변롤러 이동부(150) 및 회수궤도 가변롤러 이동부(160)는 독립적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이동블록(151,161), 이동가이드(152,162) 및 에어실린더(153,163)는 각각 별개로 박리헤드(H)에 마련된다.
또한 공급궤도 가변롤러 이동부(150)의 이동블록(151)에는 공급궤도 가변롤러(141)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회수궤도 가변롤러 이동부(160)의 이동블록(161)에는 회수궤도 가변롤러(142)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각각의 이동블록(151,161)은 이동가이드(152,162)를 따라 이동되어 공급궤도 가변롤러(141)와 회수궤도 가변롤러(142)를 이동시키고, 이러한 공급궤도 가변롤러(141)와 회수궤도 가변롤러(142)의 이동에 의해 결국 공급궤도(G1) 및 회수궤도(G2)의 길이가 도 9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축된다.
이러한 공급 궤도 및 회수궤도(G2)의 길이의 신축에 의해 공급 릴(110)과 회수 릴(120)이 고정된 상태에서도 점착성 테이프(T)가 접촉롤러(130)에서 공급 릴(110) 측에서 상기 회수 릴(120) 측으로 이동되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착성 테이프(T)와 보호필름(F)의 접촉 면적이 넓어진다.
한편, 보호필름(F)의 박리 과정에서 공급 릴(110)과 회수 릴(120)의 고정(회전 구속)을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 부착장치의 박리헤드(H)에는, 공급 릴(110)과 회수 릴(120)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구속 및 구속 해제하는 릴 구속부(171,172)가 마련된다.
릴 구속부(171,172)는, 공급 릴(110)과 회수 릴(120) 각각에 인접하게 마련되며, 독립적으로 공급 릴(110)과 회수 릴(120)을 구속 및 구속 해제하는 한 쌍의 락킹 실린더(171,172)이다.
이러한 락킹 실린더(171,172)에는, 공급 릴(110)과 회수 릴(120) 각각에 접촉 및 접촉 해제되어 공급 릴(110)과 회수 릴(120)을 구속 및 구속 해제하는 전자석 홀더(E)가 마련된다. 따라서, 보호필름(F)의 박리 시에는 전자석 홀더(E)가 공급 릴(110) 및 회수 릴(120)에 각각 접촉되어 공급 릴(110)과 회수 릴(120)의 회전을 구속하고, 보호필름(F)의 박리가 완료된 후에는 전자석 홀더(E)가 공급 릴(110) 및 회수 릴(120)에서 접촉 해제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 부착장치는, 회수궤도 가변롤러(142)와 회수 릴(120) 사이에 마련되며, 점착성 테이프(T)의 장력을 감지하여 감지된 값을 기초로 점착성 테이프(T)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 조절유닛(181,182)을 포함한다.
장력 조절유닛(181,182)은 점착성 테이프(T)의 장력을 감지 및 조절하기 위해 박리헤드(H)에 마련된다.
이러한 장력 조절유닛(181,182)은, 회수궤도 가변롤러(142)와 회수 릴(120) 사이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점착성 테이프(T)를 가압하는 가압롤러(181)와, 가압롤러(181)와 연결되어 점착성 테이프(T)의 장력을 감지하는 장력 감지부(미도시)와, 가압롤러(181)를 이동시키는 가압롤러 이동부(182)를 포함한다.
가압롤러(181)는 점착성 테이프(T)를 접촉 가압하며, 가압롤러(181)의 상대이동에 의해 점착성 테이프(T)의 장력이 조절된다.
장력 감지부(미도시)는, 가압롤러(181)와 연결되어 점착성 테이프(T)의 장력을 감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장력 감지부는 로드 셀(load cell)을 사용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점착성 테이프(T)의 장력을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다.
가압롤러 이동부(182)는, 가압롤러(181)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LM 블록(182a)과, LM 블록의 이동을 안내하는 LM 가이드(182b)와, LM 블록을 이동시키는 서보모터(미도시)를 포함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 부착장치는, 공급 릴(110) 및 회수 릴(120)과 연결되며, 점착성 테이프(T)가 공급 및 회수되도록 공급 릴(110)과 회수 릴(120)을 회전시키는 릴 회전유닛(191,192,193,194)을 더 포함한다.
릴 회전유닛(191,192,193,194)은, 보호필름(F)의 박리가 완료된 후 새로운 편광판(P)의 보호필름(F)의 박리를 준비하기 위해 공급 릴(110)과 회수 릴(120)을 회전시켜 폐 점착성 테이프(T)를 회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락킹 실린더(171,172)의 전자석 홀더(E)는 공급 릴(110)과 회수 릴(120)에서 접촉 해제되며, 따라서 공급 릴(110)과 회수 릴(120)은 회전 가능한 상태이다.
이러한 릴 회전유닛(191,192,193,194)은, 공급 릴(110)이 결합된 제1 회전축(S1)과 연결되는 공급 기어(191)와, 회수 릴(120)이 결합된 제2 회전축(S2)과 연결되는 회수 기어(192)와, 공급 기어(191)와 회수 기어(192) 사이에 마련되며, 공급 기어(191) 및 회수 기어(192)에 치합되는 연결 기어(193)와, 제1 회전축(S1)과 연결되어 제1 회전축(S1)을 회전시키는 릴 회전 구동부(194)를 포함한다.
제1 회전축(S1)에는 공급 릴(110)과 공급 기어(191)가 결합되며, 공급 릴(110)과 공급 기어(191)는 제1 회전축(S1)과 함께 회전된다.
회수 기어(192)는, 연결 기어(193)를 통해 공급 기어(191)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제2 회전축(S2)을 회전시킨다. 이때 제2 회전축(S2)에 결합된 회수 릴(120)은 제2 회전축(S2)과 함께 회전된다.
릴 회전 구동부(194)는, 제1 회전축(S1)에 대하여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가압 플레이트(194a)와, 일측부가 제1 회전축(S1)에 연결되고 타측부가 가압 플레이트(194a)에 연결되어 가압 플레이트(194a)의 이동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레버(194b)와, 제1 회전축(S1)에 마련되며, 회전레버(194b)의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 회전 중 어느 한 방향에 대해서만 회전레버(194b)의 회전력을 제1 회전축(S1)에 전달하고 다른 방향에 대해서는 회전력을 전달하지 않는 일방향 클러치(194c)를 포함한다.
가압 플레이트(194a)는, 박리헤드(H)에 마련된 가압 실린더(미도시)와 연결되며, 가압 실린더(미도시)의 작동에 의해 제1 회전축(S1)에 대하여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다.
회전레버(194b)는, 회전레버(194b)의 타측부와 연결된 가압 플레이트(194a)의 슬라이딩 이동에 의해 제1 회전축(S1)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회전레버(194b)의 회전 시, 회전레버(194b)의 타측부는 가압 플레이트(194a)의 외벽부를 따라 업/다운(up/down)된다.
이러한 회전레버(194b)의 타측부의 업/다운(up/down) 시 회전레버(194b)의 타측부와 가압 플레이트(194a)의 외벽부와의 마찰을 줄이기 위해, 회전레버(194b)의 타측부에는 가이드 롤러(R)가 마련된다.
일방향 클러치(194c)는, 제1 회전축(S1)에 마련되어 회전레버(194b)의 일측부와 연결된다. 본 실예에서 일방향 클러치(194c)는, 가압 플레이트(194a)가 제1 회전축(S1)으로 접근되어 회전레버(194b)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시에만 회전레버(194b)의 회전력을 제1 회전축(S1)에 전달하고, 가압 플레이트(194a)가 제1 회전축(S1)에서 이격되어 회전레버(194b)가 시계방향으로 회전 시에는 회전레버(194b)의 회전력을 제1 회전축(S1)에 전달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1 회전축(S1)에 결합된 공급 기어(191)와 공급 릴(110)은, 가압 플레이트(194a)의 왕복이동과 관계없이 반시계방향으로만 회전된다. 또한 연결 기어(193)를 통해 공급 기어(191)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회수 기어(192) 역시 반시계방향으로만 회전하게 되어 공급 릴(110)과 회수 릴(120)이 동일한 방향으로만 회전된다.
한편 회수 기어(192)는, 회수 릴(120)의 회전에 의해 점착성 테이프(T)에 장력이 발생되도록, 공급 기어(191)보다 기어치의 개수가 적다.
이와 같이, 회수 기어(192)의 기어치 개수가 공급 기어(191)의 기어치 개수보다 작은 경우, 회수 기어(192)의 회전량이 공급 기어(191)의 회전량보다 많아 결국 회수 릴(120)의 회전량이 공급 릴(110)의 회전량보다 많아진다. 이러한 구성은 공급 릴(110)과 회수 릴(120)에 감긴 점착성 테이프(T)의 권취 직경의 차이를 보상하기 위함이다.
즉 점착성 테이프(T)의 초기 사용 시와 같이 공급 릴(110)에 감긴 점착성 테이프(T)의 권취 직경이 회수 릴(120)의 경우보다 큰 경우, 회수 릴(120)이 공급 릴(110)보다 더 많이 회전됨으로써, 점착성 테이프(T)는 느슨해지지 않고 일정 수준의 장력을 유지하며 회수 릴(120)에 감긴다.
한편, 폐 점착성 테이프(T)의 회수가 많이 진행된 경우 수 릴(120)에 감긴 점착성 테이프(T)의 권취 직경이 공급 릴(110)에 감긴 점착성 테이프(T)의 권취 직경 보다 커질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회수 릴(120)의 회전량이 공급 릴(110)의 회전량보다 많으면 점착성 테이프(T)에 과도한 장력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회전축(S2)에는, 점착성 테이프(T)에 미리 결정된 장력 이상의 장력이 발생된 경우 회수 기어(192)를 제2 회전축(S2)에 대하여 슬립(slip)시키는 과부하 방지부(210)가 마련된다.
과부하 방지부(210)는, 회수 기어(192)와 제2 회전축(S2) 사이에 마련되어 회수 기어(192)와 제2 회전축(S2)을 연결하며, 점착성 테이프(T)에 발생된 장력이 미리 결정된 장력보다 작은 경우에는 회수 기어(192)의 회전력을 제2 회전축(S2)에 전달한다.
반면에, 점착성 테이프(T)에 발생된 장력이 미리 결정된 장력 이상인 경우에는 회수 기어(192)의 회전력을 제2 회전축(S2)에 전달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과부하 방지부(210)는 토크 키퍼(torque keeper)가 사용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토크 리미트(torque limit), 토크 가드(torque guard) 등 회전축에 일정 수준 이하의 부하만을 전달하는 다양한 구성의 과부하 방지부(210)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 부착장치는, 접촉롤러(130)에 인접하게 마련되어 점착성 테이프(T)에 보호필름(F)의 점착여부를 감지하는 테이프 점착 감지부(220)와, 공급 릴(110)에 인접하게 마련되어 공급 릴(110)에 감긴 점착성 테이프(T)의 잔량을 감지하는 테이프 잔량 감지부(230)를 더 포함한다.
테이프 점착 감지부(220)와 테이프 잔량 감지부(230)는, 각각의 브라켓(B1, B2)을 통해 박리헤드(H)에 거치된다. 테이프 점착 감지부(220)와 테이프 잔량 감지부(230)에 의해 감지된 정보는 후술할 제어부(제어부)에 전달된다.
이러한 테이프 점착 감지부(220)의 감지 정보에 의해 박리 불량을 줄일 수 있으며, 테이프 잔량 감지부(230)의 감지 정보에 의해 점착성 테이프(T)의 교체시기를 알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 부착장치는, 박리헤드(H)를 보호필름(F)의 판면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편광판(P)에 대해 보호필름(F)을 박리하는 박리헤드 이동유닛(미도시)과, 박리헤드(H)와 박리헤드 이동유닛(미도시)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박리헤드 이동유닛(미도시)에는 박리헤드(H)가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며, 박리헤드 이동유닛(미도시)은 리니어 모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박리헤드 이동유닛(미도시)은, 초기 박리된 보호필름(F)이 편광판(P)에서 완전히 박리되도록 박리헤드(H)를 이동시킨다.
박리헤드(H)의 이동 시 편광판(P)이 박리헤드(H)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박리헤드(H)에는 보호필름(F)의 박리된 부분을 파지하는 그립퍼(gripper, 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박리헤드(H)는 한 쌍으로 마련되며, 박리헤드 이동유닛(미도시)은 한 쌍의 박리헤드(H)를 보호필름(F)의 모서리부에서 대각방향을 따라 이동시킨다.
제어부는, 박리헤드(H)에 마련된 공급궤도 가변롤러 이동부(150), 회수궤도 가변롤러 이동부(160), 릴 회전 구동부(194) 및 가압롤러 이동부(182) 등을 제어하며, 박리헤드(H)의 이동을 위해 박리헤드 이동부를 제어한다.
이하에서 이러한 구성을 갖는 편광판 부착장치의 동작을 보호필름(F)의 박리과정을 위주로 설명한다.
먼저 편광판 공급부(미도시)가 편광판(P)을 공급하면, 박리헤드 이동유닛(미도시)이 박리헤드(H)를 편광판(P)의 모서리 영역에 접근시킨다. 이러한 박리헤드(H)의 이동에 의해 박리헤드(H)의 접촉롤러(130)가 보호필름(F)에 접촉된다. 이때 공급 릴(110)과 회수 릴(120)은 릴 구속부(171,172)에 의해 회전이 구속된 상태이다.
이후 보호필름(F)을 초기 박리시키기 위해 공급궤도 가변롤러(141)와 회수궤도 가변롤러(142)가 도 9에 도시된 위치에서 도 10에 도시된 위치로 이동한다.
이와 같은 공급궤도 가변롤러(141)와 회수궤도 가변롤러(142)의 이동에 의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궤도(G1)의 길이는 짧아지고 회수궤도(G2)의 길이는 길어져 점착성 테이프(T)가 접촉롤러(130)에서 공급 릴(110) 측에서 상기 회수 릴(120) 측으로 이동된다.
즉, 점착성 테이프(T)가 접촉롤러(130)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됨으로써, 공급 릴(110)과 회수 릴(120)이 고정된 상태에서도 보호필름(F)과 점착성 테이프(T)와의 접촉 면적을 확장시킬 수 있다.
공급궤도 가변롤러(141)와 회수궤도 가변롤러(142)의 이동에 의한 초기 박리의 완료 후, 보호필름(F)을 편광판(P)에서 완전히 박리시키기 위해 박리헤드 이동유닛(미도시)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리헤드(H)를 보호필름(F)의 모서리부에서 대각방향을 따라 이동시킨다.
편광판(P)에서 완전히 박리된 보호필름(F)은 박리헤드(H)에서 이탈되어 별도의 보호필름 회수부(미도시)에 수거된다.
한편, 보호필름(F)의 박리가 완료된 후 공급궤도 가변롤러(141)와 회수궤도 가변롤러(142)는, 새로운 편광판(P)에서 보호필름(F)을 박리하기 위해 도 10의 위치에서 도 9의 위치로 이동된다.
또한, 릴 구속부(171,172)가 공급 릴(110)과 회수 릴(120)의 구속을 해제하여 점착성이 상실된 폐 점착성 테이프(T)의 회수를 준비한다.
공급 릴(110)과 회수 릴(120)의 구속이 해제된 후, 가압 플레이트(194a)는 회전레버(194b)를 밀어 회전레버(194b)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러한 회전레버(194b)의 회전에 의해 제1 회전축(S1)이 회전되고, 제1 회전축(S1)의 회전에 의해 공급 릴(110)과 공급 기어(191)가 회전된다.
공급 기어(191)의 회전력은 연결 기어(193)를 통해 회수 기어(192)에 전달되며, 회수 기어(192)의 회전에 의해 제 2 회전축이 회전되고, 제2 회전축(S2)의 회전에 의해 회수 릴(120)이 회전된다.
이러한 공급 릴(110)과 회수 릴(120)의 회전에 의해 점착성이 상실된 폐 점착성 테이프(T)는 접촉롤러(130)에서 회수 릴(120)로 회수되고, 새로운 점착성 테이프(T)가 공급 릴(110)에서 접촉롤러(130)로 공급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 부착장치는, 테이프 이동유닛(141,142)이 점착성 테이프(T)의 이동궤도를 가변시켜 공급 릴(110)과 회수 릴(120)의 회전과 무관하게 접촉롤러(130)에 감긴 점착성 테이프(T)를 공급 릴(110) 측에서 상기 회수 릴(120) 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보호필름(F)의 박리 시 점착성 테이프(T)와 보호필름(F)의 접촉 면적을 확대하기 위해 공급 릴(110)과 회수 릴(120)을 회전시킬 필요가 없고, 그에 따라 공급 릴(110)과 회수 릴(120)의 회전을 동기화하는 복잡한 제어를 생략할 수 있어 공급 릴(110)과 회수 릴(120)의 회전동기가 어긋나 발생되는 보호필름(F)의 박리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가 전술한 도면 및 설명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10: 공급 릴 120: 회수 릴
130 :접촉롤러 141: 공급궤도 가변롤러
142: 회수궤도 가변롤러 150: 공급궤도 가변롤러 이동부
151,161: 이동블록 152,162: 이동가이드
153,163: 에어실린더 171,172: 릴 구속부
181: 가압롤러 182: 가압롤러 이동부
191: 공급 기어 192: 회수 기어
193: 연결 기어 194: 릴 회전 구동부
194a: 가압 플레이트 194b: 회전레버
194c: 일방향 클러치 210: 과부하 방지부
220: 테이프 점착 감지부 230: 테이프 잔량 감지부
T: 점착성 테이프 F: 보호필름
P: 편광판 H: 박리헤드
G1: 공급궤도 G2: 회수궤도
S1: 제1 회전축 S2: 제2 회전축
I: 아이들 롤러

Claims (16)

  1. 편광판으로부터 보호필름을 박리하기 위해 점착성 테이프를 공급하며, 원주면을 따라 상기 점착성 테이프가 감겨있는 공급 릴;
    상기 보호필름의 박리에 사용 완료된 상기 점착성 테이프를 회수하는 회수 릴;
    상기 공급 릴과 상기 회수 릴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공급 릴에서 상기 점착성 테이프를 공급받아 상기 보호필름의 표면으로 상기 점착성 테이프를 접촉 가압하는 접촉롤러; 및
    상기 점착성 테이프의 이동궤도에 마련되며, 상기 점착성 테이프의 이동궤도를 가변시켜 상기 접촉롤러에 감긴 상기 점착성 테이프를 상기 공급 릴 측에서 상기 회수 릴 측으로 이동시키는 테이프 이동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테이프 이동유닛은,
    상기 공급 릴과 상기 접촉롤러 사이의 상기 점착성 테이프의 이동궤도인 공급궤도의 길이와, 상기 회수 릴과 상기 접촉롤러 사이의 상기 점착성 테이프의 이동궤도인 회수궤도의 길이를 서로 반대로 신축시키는 궤도길이 신축성 테이프 이동유닛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부착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궤도길이 신축성 테이프 이동유닛은,
    상기 공급 릴과 상기 접촉롤러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접촉롤러에 대하여 상기 공급궤도의 길이를 신축시키는 방향으로 상대이동 가능한 공급 궤도 가변롤러; 및
    상기 회수 릴과 상기 접촉롤러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접촉롤러에 대하여 상기 회수궤도의 길이를 신축시키는 방향으로 상대이동 가능한 회수 궤도 가변롤러를 포함하는 편광판 부착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궤도 가변롤러 및 상기 회수궤도 가변롤러에 각각 결합되어 해당 롤러들을 독립적으로 이동시키는 공급궤도 가변롤러 이동부 및 회수궤도 가변롤러 이동부를 더 포함하는 편광판 부착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궤도 가변롤러 이동부 및 상기 회수궤도 가변롤러 이동부는,
    상기 공급궤도 가변롤러 및 상기 회수궤도 가변롤러가 각각 결합된 이동블록;
    상기 이동블록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가이드; 및
    상기 이동블록을 이동시키는 에어실린더를 포함하는 편광판 부착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 궤도 가변롤러와 상기 회수 릴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점착성 테이프의 장력을 감지하여 감지된 값을 기초로 상기 점착성 테이프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 조절유닛을 더 포함하는 편광판 부착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 조절유닛은,
    상기 회수 궤도 가변롤러와 상기 회수 릴 사이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점착성 테이프를 가압하는 가압롤러;
    상기 가압롤러와 연결되어 상기 점착성 테이프의 장력을 감지하는 장력 감지부; 및
    상기 가압롤러를 이동시키는 가압롤러 이동부를 포함하는 편광판 부착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릴 및 상기 회수 릴과 연결되며, 상기 점착성 테이프가 공급 및 회수되도록 상기 공급 릴과 상기 회수 릴을 회전시키는 릴 회전유닛을 더 포함하는 편광판 부착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릴 회전유닛은,
    상기 공급 릴이 결합된 제1 회전축과 연결되는 공급 기어;
    상기 회수 릴이 결합된 제2 회전축과 연결되는 회수 기어;
    상기 공급 기어와 상기 회수 기어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공급 기어 및 상기 회수 기어에 치합되는 연결 기어; 및
    상기 제1 회전축과 연결되어 상기 제1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릴 회전 구동부를 포함하는 편광판 부착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릴 회전 구동부는,
    상기 제1 회전축에 대하여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가압 플레이트;
    일측부가 상기 제1 회전축에 연결되고 타측부가 상기 가압 플레이트에 연결되어 상기 가압 플레이트의 이동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레버; 및
    상기 제1 회전축에 마련되며, 상기 회전레버의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 회전 중 어느 한 방향에 대해서만 상기 회전레버의 회전력을 상기 제1 회전축에 전달하고 다른 방향에 대해서는 회전력을 전달하지 않는 일방향 클러치를 포함하는 편광판 부착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 기어는, 상기 회수 릴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점착성 테이프에 장력이 발생되도록, 상기 공급 기어보다 기어치의 개수가 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부착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전축에는,
    상기 점착성 테이프에 미리 결정된 장력 이상의 장력이 발생된 경우 상기 회수 기어를 상기 제2 회전축에 대하여 슬립(slip)시키는 과부하 방지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부착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릴과 상기 회수 릴 각각에 인접하게 마련되며, 상기 공급 릴과 상기 회수 릴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구속 및 구속 해제하는 릴 구속부를 더 포함하는 편광판 부착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롤러에 인접하게 마련되어 상기 점착성 테이프에 상기 보호필름의 점착여부를 감지하는 테이프 점착 감지부; 및
    상기 공급 릴에 인접하게 마련되어 상기 공급 릴에 감긴 상기 점착성 테이프의 잔량을 감지하는 테이프 잔량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편광판 부착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은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패널용 편광판이며,
    상기 공급 릴, 상기 회수 릴, 상기 박리 롤러 및 상기 테이프 이동유닛을 지지하는 박리헤드; 및
    상기 박리헤드를 상기 보호필름의 판면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편광판에 대해 상기 보호필름을 박리하는 박리헤드 이동유닛을 더 포함하는 편광판 부착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헤드는 한 쌍으로 마련되며,
    상기 박리헤드 이동유닛은 상기 한 쌍의 박리헤드를 상기 보호필름의 모서리부에서 대각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부착장치.
KR1020120096103A 2012-08-31 2012-08-31 편광판 부착장치 KR1013962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6103A KR101396222B1 (ko) 2012-08-31 2012-08-31 편광판 부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6103A KR101396222B1 (ko) 2012-08-31 2012-08-31 편광판 부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9896A KR20140029896A (ko) 2014-03-11
KR101396222B1 true KR101396222B1 (ko) 2014-05-19

Family

ID=50642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6103A KR101396222B1 (ko) 2012-08-31 2012-08-31 편광판 부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62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93587A (zh) * 2015-08-24 2015-11-25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偏光片贴附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945627A (zh) * 2023-09-20 2023-10-27 陕西延长石油集团橡胶有限公司 一种降低轮胎冠带条粘性的方法及其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59044A (ja) 2003-11-26 2005-06-16 Takatori Corp リングフレームへの粘着テープ貼り付け方法とその装置及びリングフレームへの基板マウント装置
KR20060069075A (ko) * 2004-12-17 2006-06-21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시스템 및 제조 방법
KR20080022803A (ko) * 2006-09-07 2008-03-12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보호필름 박리헤드 유닛 및 그를 구비한 편광판 부착장치
KR101113737B1 (ko) * 2011-11-17 2012-02-27 주식회사 아이.엠.텍 표면 보호필름 박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59044A (ja) 2003-11-26 2005-06-16 Takatori Corp リングフレームへの粘着テープ貼り付け方法とその装置及びリングフレームへの基板マウント装置
KR20060069075A (ko) * 2004-12-17 2006-06-21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시스템 및 제조 방법
KR20080022803A (ko) * 2006-09-07 2008-03-12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보호필름 박리헤드 유닛 및 그를 구비한 편광판 부착장치
KR101113737B1 (ko) * 2011-11-17 2012-02-27 주식회사 아이.엠.텍 표면 보호필름 박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93587A (zh) * 2015-08-24 2015-11-25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偏光片贴附设备
CN105093587B (zh) * 2015-08-24 2018-11-23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偏光片贴附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9896A (ko) 2014-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71709B2 (ja) 光学フィルム貼付装置及び方法
JP2004149293A (ja) 剥離方法、剥離装置、剥離・貼付方法および剥離・貼付装置
KR101396222B1 (ko) 편광판 부착장치
KR20080088433A (ko) 장척상 웹의 부착 방법
JP4620433B2 (ja) 光学フイルム貼着装置及び方法
JP2007261188A (ja) ラミネート装置
KR20140104113A (ko) 기능성 필름 부착 시스템
KR100863242B1 (ko) 편광판 부착장치
TWI638753B (zh) 貼合裝置、光學顯示設備的生產系統、貼合方法及光學顯示設備的生產方法
KR101554276B1 (ko) 불량영역을 자동으로 배출하는 필름 라미네이트 장치
JP2007320678A (ja) 外層体の剥離方法及び剥離装置
KR101419353B1 (ko)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
JP2014186287A (ja) 光学表示デバイスの生産システム及び生産方法
KR20190053373A (ko) 기능성 필름 부착시스템
KR100880554B1 (ko) 편광판 부착장치
KR100832774B1 (ko) 보호필름 박리헤드 유닛 및 그를 구비한 편광판 부착장치
KR101557478B1 (ko) 불량영역을 자동으로 배출하는 필름 라미네이트 장치
KR101972781B1 (ko) 기능성 필름 부착시스템
KR101972341B1 (ko) 기능성 필름 부착시스템
KR102310537B1 (ko) 보호필름 박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제조 방법
TWI386704B (zh) 用以將偏光片貼合在液晶顯示面板的設備
JP5498301B2 (ja) シート貼付装置および貼付方法
KR101467239B1 (ko) 테이프 부착장치
KR100915201B1 (ko) 편광판 부착장치
KR101419349B1 (ko)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