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2781B1 - 기능성 필름 부착시스템 - Google Patents

기능성 필름 부착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2781B1
KR101972781B1 KR1020170149158A KR20170149158A KR101972781B1 KR 101972781 B1 KR101972781 B1 KR 101972781B1 KR 1020170149158 A KR1020170149158 A KR 1020170149158A KR 20170149158 A KR20170149158 A KR 20170149158A KR 101972781 B1 KR101972781 B1 KR 1019727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panel
functional film
roller
func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9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영철
최교원
정문구
오창익
성주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Priority to KR10201701491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27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2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27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1/00Machines for separating superposed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29C65/7802Position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aligning, indexing or cent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29C65/785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feeding movement of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5/7888Means for handling of moving sheets or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4Specific machine types or machines suitable for specific applications
    • B29C66/863Robotised, e.g. mounted on a robot arm

Abstract

기능성 필름 부착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필름 부착시스템은, 패널에 기능성 필름을 부착시키는 필름 부착위치로 패널을 이동시키는 패널 슬라이더와, 필름 부착위치로 기능성 필름을 이동시키는 필름 슬라이더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슬라이더 이동 경로부; 및 슬라이더 이동 경로부 상에 마련되며, 패널과 기능성 필름의 표면에서 보호 필름을 박리하기 위해 보호 필름의 표면에 점착되는 필름 박리용 점착식 회전롤러가 일측에 마련되는 다관절 로봇을 구비하는 보호 필름 박리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기능성 필름 부착시스템{System for attaching film to panel}
본 발명은, 기능성 필름 부착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콤팩트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풋 프린트(foot print)를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속도 제어, 위치 제어, 곡선운동 제어 등의 제어가 간편해서 박리 에러(Error)의 발생률과 탈막 현상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으며, 박리된 보호 필름의 2차 박리 또는 수거를 위한 별도의 추가 장비 적용이 필요치 않거나 최소로 간소화될 수 있는 기능성 필름 부착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반도체 산업 중 전자 디스플레이 산업이 급속도로 발전하면서 평판디스플레이(Flat Panel Display, FPD) 역시 발전을 계속하고 있다. 평판디스플레이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이 있다.
평판디스플레이 중에서도 특히, OLED는 구동방식에 따라 수동형인 PMOLED와, 능동형인 AMOLED로 나뉜다.
AMOLED는 자발광형 디스플레이로서 기존의 디스플레이보다 응답속도가 빠르며, 색감도 자연스럽고 전력 소모가 적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AMOLED는 글라스 패널(glass panel)이 아닌 얇고 쉽게 휘어질 수 있는 플렉시블 패널(flexible panel) 등에 적용하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의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OLED 제조 시 여러 종류의 기능성 필름, 예컨대 편광필름(polarizer film)과 같은 기능성 필름이 사용될 수 있다. 편광필름과 같은 기능성 필름은 대상체인 패널(panel)에 부착되어 빛을 편광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종전에는 편광필름과 같은 기능성 필름을 대상체인 패널에 부착시키기 위한 기술로서 세트 테이블(Set Table)을 적용한 롤 투 스테이지(Roll to Stage) 방식 또는 드럼(Drum)을 적용한 드럼 투 스테이지(Drum to Stage) 방식이 일반적이었다.
전자의 롤 투 스테이지 방식은 세트 테이블 상에 대상체인 패널이 배치되고, 어태치 롤러부(Attach Roller)가 회전하면서 패널에 기능성 필름을 부착시키는 방식인데, 이러한 방식은 필름의 오버행(Overhang) 현상으로 인한 오차로 고(高)부착 정도 구현에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참고로, 롤 투 스테이지 방식 방식은 그 특성상 어태치 롤러부에 기능성 필름이 제대로 흡착되지 못하고 처지는 현상이 발생될 소지가 높고, 이로 인해 패널과의 얼라인(Align)이 틀어질 수밖에 없어 부착에 오차가 발생되는데, 이를 오버행 현상이라 한다.
이에 반해, 후자의 드럼 투 스테이지 방식은 드럼의 표면에 기능성 필름을 흡착시켜 드럼의 회전 동작에 따라 패널에 기능성 필름을 부착시키는 방식인데, 최초 기능성 필름과 패널의 컨택 시 넓은 압축 면적으로 패널의 일측 패드(Pad)에 접촉에 의한 손상을 일으킬 수 있고, 또한 드럼의 진공 영역(Vacuum Area) 제한으로 인해 다양한 패널 사이즈(Panel Size) 변경에 제약이 다른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현재까지는 패널에 기능성 필름을 부착시키는 방식으로서 롤 투 스테이지 방식과 드럼 투 스테이지 방식이 주류를 이루었으나 각 방식들은 전술한 것처럼 여러 문제점을 발생시키고 있다는 점에서 점착 시트(sheet)를 사용하는 방식이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으며, 현재 여러 업체에서 개발을 진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 방식은 약한 점성을 갖는 점착 시트에 편광필름과 같은 기능성 필름을 미리 점착시킨 후, 패널에 기능성 필름을 배치한 다음, 점착 시트를 가압해서 기능성 필름이 패널에 부착되도록 하는 것이다. 기능성 필름이 패널에 부착되고 나면 점착 시트가 기능성 필름에서 박리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기능성 필름을 부착시키고자 할 경우, 패널 또는 기능성 필름의 표면에 점착되어 패널 또는 기능성 필름의 표면을 보호하는 보호 필름을 미리 박리시켜야 한다.
패널 또는 기능성 필름의 표면에서 보호 필름을 박리하는 장치로서 단축 직교로봇의 적용을 고려해볼 수 있다. 즉 여러 대의 단축 직교로봇을 X축, Y축, Z축으로 조합해서 패널 또는 기능성 필름의 표면에서 보호 필름을 박리하는 데 적용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방식을 적용하는 것이 일반적일 수 있다.
하지만, 이처럼 여러 대의 단축 직교로봇을 X축, Y축, Z축으로 조합한 후, 패널 또는 기능성 필름의 표면에서 보호 필름을 박리하는 장치를 적용할 경우에는 아래와 같은 문제점을 발생시킬 수 있다.
첫째, 여러 대의 단축 직교로봇을 X축, Y축, Z축으로 조합해서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넒은 설치공간을 필요로 하며, 이로 인해 풋 프린트(foot print)가 증가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보호 필름의 박리 시 여러 대의 단축 직교로봇에 대한 X축, Y축, Z축 구동을 소위, 보간 제어기술로 운영해야 하는데, 이 경우 부드러운 속도 제어, 위치 제어, 곡선운동 제어 등의 제어가 어려워 박리 에러(Error)가 빈번히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플렉시블 패널(Flexible Panel)에서 보호 필름을 박리하고자 할 때는 패널의 특성 상 탈막 현상이 발생되어 박리 에러(Error)가 더더욱 많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참고로, 탈막 현상이란 OLED 소자에 증착된 수 마이크론(micron)의 고체 금속막이 보호 필름 박리 시 함께 벗겨져서 제품을 손상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패널 또는 기능성 필름의 표면에서 보호 필름을 박리한 이후에는 박리된 보호 필름을 폐기시키기 위해 필름 수거위치로 이송시켜 버려야 하는데, 이때, 박리된 보호 필름이 너무 얇고 플렉시블해서 보호 필름이 접히거나 박리 테이프에 붙거나 필름 수거위치로 이송 시 장비의 아래로 떨어지는 등의 추가적인 문제를 발생시킬 소지가 높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2차 박리 장치를 더 적용해야 하기 때문에 시스템의 구조가 상대적으로 더 복잡해질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넷째, 여러 대의 단축 직교로봇을 X축, Y축, Z축으로 조합해서 사용하더라도 박리된 보호 필름의 필름 수거위치까지 이송시키거나 혹은 로딩시키기 위한 추가적인 장비가 더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5-0063468호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콤팩트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풋 프린트(foot print)를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속도 제어, 위치 제어, 곡선운동 제어 등의 제어가 간편해서 박리 에러(Error)의 발생률과 탈막 현상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으며, 박리된 보호 필름의 2차 박리 또는 수거를 위한 별도의 추가 장비 적용이 필요치 않거나 최소로 간소화될 수 있는 기능성 필름 부착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패널에 기능성 필름을 부착시키는 필름 부착위치로 상기 패널을 이동시키는 패널 슬라이더와, 상기 필름 부착위치로 상기 기능성 필름을 이동시키는 필름 슬라이더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슬라이더 이동 경로부; 및 상기 슬라이더 이동 경로부 상에 마련되며, 상기 패널과 상기 기능성 필름의 표면에서 보호 필름을 박리하기 위해 상기 보호 필름의 표면에 점착되는 필름 박리용 점착식 회전롤러가 일측에 마련되는 다관절 로봇을 구비하는 보호 필름 박리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필름 부착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다관절 로봇은, 설치면에 지지되는 로봇 바디; 상기 로봇 바디에 연결되되 적어도 서로 다른 3축을 갖는 다관절 아암; 및 상기 다관절 아암의 말단부에 연결되되 상기 필름 박리용 점착식 회전롤러가 탑재되는 로봇 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관절 로봇은, 상기 로봇 헤드에서 상기 필름 박리용 점착식 회전롤러에 이웃하게 배치되며, 상기 필름 박리용 점착식 회전롤러와 함께 상기 보호 필름을 클램핑하는 필름 클램프; 및 상기 필름 클램프를 상기 필름 박리용 점착식 회전롤러에 접근 또는 이격 구동시키는 클램프 액추에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름 클램프의 단부에는 상기 필름 박리용 점착식 회전롤러의 외주면 곡면과 동일한 곡률을 갖는 곡면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관절 로봇은, 상기 로봇 헤드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보호 필름이 상기 필름 클램프에 클램핑되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제1 필름 감지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관절 로봇은, 상기 로봇 헤드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패널 또는 상기 기능성 필름을 진공으로 흡착하는 다수의 흡착 패드를 구비하는 흡착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 필름 박리장치는, 상기 다관절 로봇에 이웃하게 배치되며, 박리된 보호 필름이 수거되는 필름 수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름 수거부는, 상기 패널 또는 상기 기능성 필름에서 박리된 보호 필름이 수거되는 필름 수거통; 및 상기 필름 수거통의 입구 영역에 마련되며, 상기 다관절 로봇의 작용으로 상기 필름 수거통에 수거되는 보호 필름을 흡착(vacuum) 또는 블로잉(blowing)하는 흡착겸용 블로잉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착겸용 블로잉 유닛에 마련되며, 상기 흡착겸용 블로잉 유닛에 상기 다관절 로봇으로부터의 보호 필름이 배치되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제2 필름 감지센서; 및 상기 제2 필름 감지센서의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필름 클램프 및 상기 흡착겸용 블로잉 유닛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 이동 경로부는, 상기 공용 카메라의 일측에 배치되되 상기 패널이 이동되는 패널 이동 경로라인; 상기 공용 카메라의 타측에서 상기 필름 부착위치와 연결 배치되되 상기 패널과 상기 기능성 필름이 공용으로 이동되는 공용 이동 경로라인; 및 상기 공용 이동 경로라인과 연결되며, 상기 기능성 필름이 이동되는 필름 이동 경로라인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보호 필름 박리장치는 상기 패널 이동 경로라인과 상기 공용 이동 경로라인 상에 각각 개별적으로 배치되며, 해당 위치에서 상기 패널 상의 보호 필름과 상기 기능성 필름 상의 보호 필름을 박리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 이동 경로부 상에서 상기 보호 필름 박리장치의 후공정에 배치되며, 상기 보호 필름이 박리된 상기 패널의 표면을 향해 플라즈마 이온을 분사해서 상기 기능성 필름에 대한 점착력을 향상시키는 점착력 향상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름 부착위치에 마련되며, 상기 패널에 상기 기능성 필름을 부착시키는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는, 장치 본체; 상기 장치 본체에 마련되며, 소정의 점착 시트에 상기 기능성 필름이 펼쳐진 상태로 점착되도록 한 후, 상기 점착 시트를 이용해서 상기 패널에 상기 기능성 필름을 부착시키는 기능성 필름 부착부; 및 상기 장치 본체에 마련되며, 상기 점착 시트가 탑재되는 시트 탑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필름 부착부는, 상기 점착 시트에 상기 기능성 필름이 점착되도록 하거나 상기 패널에 상기 기능성 필름이 부착되도록 상기 점착 시트 상에서 가압 이동되는 부착 롤러; 상기 부착 롤러에 이웃하게 배치되며, 상기 패널에 상기 기능성 필름의 부착이 완료된 때 상기 기능성 필름에서 상기 점착 시트가 이탈되도록 하되 상기 부착 롤러보다 높은 위치에서 상기 점착 시트의 하부에 배치되는 시트 이탈 롤러; 및 상기 부착 롤러에 외접되며, 상기 부착 롤러의 회전을 지지하는 백업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필름 부착부는, 상기 부착 롤러, 상기 백업 롤러 및 상기 시트 이탈 롤러를 하나의 몸체로 지지하는 롤러 지지모듈; 저마찰 실린더와, 상기 부착 롤러가 상기 점착 시트에 가압되는 가압력을 감지하는 로드 셀을 구비하며, 상기 장치 본체에 마련되되 상기 롤러 지지모듈을 업/다운(up/down) 구동시키는 모듈 업/다운 구동부; 및 상기 장치 본체에 마련되되 상기 롤러 지지모듈 및 상기 모듈 업/다운 구동부와 연결되며, 상기 롤러 지지모듈이 상기 패널 슬라이더 상에서 왕복 구동되도록 주행시키는 모듈 주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착 시트의 양단부에는 상기 점착 시트의 양단부를 지지하는 제1 및 제2 시트 클램프가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시트 탑재부는, 상기 장치 본체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제1 시트 클램프가 탑재되게 지지하는 제1 클램프 탑재용 지지대; 및 상기 장치 본체의 타측에 마련되며, 상기 제2 시트 클램프가 탑재되게 지지하는 제2 클램프 탑재용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클램프 탑재용 지지대와 상기 제2 클램프 탑재용 지지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며, 상기 점착 시트의 장력을 유지시키는 시트 장력 유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시트 장력 유지부는, 상기 장치 본체의 일측에 결합되는 슬라이딩 레일; 상기 슬라이딩 레일에 레일 맞물림되는 레일 블록을 구비하며, 상기 제1 클램프 탑재용 지지대에 결합되는 지지대 서포트; 및 상기 지지대 서포트에 연결되어 동작되는 장력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널 슬라이더에 연결되며, 상기 패널과 상기 기능성 필름 간의 상대 위치 얼라인(align)을 위해 상기 패널 슬라이더의 위치를 X축, Y축, θ축으로 얼라인시키는 슬라이더 얼라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설치면에 지지되는 로봇 바디와, 상기 로봇 바디에 연결되되 적어도 서로 다른 3축을 갖는 다관절 아암과, 패널 또는 기능성 필름의 표면에서 보호 필름을 박리하기 위해 상기 보호 필름의 표면에 점착되는 필름 박리용 점착식 회전롤러를 구비하는 다관절 로봇을 포함하며, 상기 다관절 아암의 말단부에 연결되는 로봇 헤드 상에 상기 필름 박리용 점착식 회전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탑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관절 로봇을 구비하는 보호 필름 박리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다관절 로봇은, 상기 로봇 헤드에서 상기 필름 박리용 점착식 회전롤러에 이웃하게 배치되며, 상기 필름 박리용 점착식 회전롤러와 함께 상기 보호 필름을 클램핑하는 필름 클램프; 및 상기 필름 클램프를 상기 필름 박리용 점착식 회전롤러에 접근 또는 이격 구동시키는 클램프 액추에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필름 클램프의 단부에는 상기 필름 박리용 점착식 회전롤러의 외주면 곡면과 동일한 곡률을 갖는 곡면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관절 로봇은, 상기 로봇 헤드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보호 필름이 상기 필름 클램프에 클램핑되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제1 필름 감지센서; 및 상기 로봇 헤드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패널 또는 상기 기능성 필름을 진공으로 흡착하는 다수의 흡착 패드를 구비하는 흡착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관절 로봇에 이웃하게 배치되며, 박리된 보호 필름이 수거되는 필름 수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름 수거부는, 상기 패널 또는 상기 기능성 필름에서 박리된 보호 필름이 수거되는 필름 수거통; 및 상기 필름 수거통의 입구 영역에 마련되며, 상기 다관절 로봇의 작용으로 상기 필름 수거통에 수거되는 보호 필름을 흡착(vacuum) 또는 블로잉(blowing)하는 흡착겸용 블로잉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착겸용 블로잉 유닛에 마련되며, 상기 흡착겸용 블로잉 유닛에 상기 다관절 로봇으로부터의 보호 필름이 배치되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제2 필름 감지센서; 및 상기 제2 필름 감지센서의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필름 클램프 및 상기 흡착겸용 블로잉 유닛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콤팩트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풋 프린트(foot print)를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속도 제어, 위치 제어, 곡선운동 제어 등의 제어가 간편해서 박리 에러(Error)의 발생률과 탈막 현상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으며, 박리된 보호 필름의 2차 박리 또는 수거를 위한 별도의 추가 장비 적용이 필요치 않거나 최소로 간소화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필름 부착시스템의 구조도로서 패널의 이동 경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서 기능성 필름의 이동 경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보호 필름 박리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다관절 로봇의 로봇 헤드 영역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보호 필름이 박리되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1은 도 1의 시스템에 적용되는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측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A-A선에 따른 부분 단면도이다.
도 14는 점착 시트와 제1 및 제2 시트 클램프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B-B선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6 내지 도 19는 패널에 기능성 필름이 부착되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필름 부착시스템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21 및 도 22는 각각 기능성 필름 부착시스템의 변형 실시예들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도면 및 첨부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면 대비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될 기능성 필름이란 빛을 최적의 조건으로 투과, 편광시키기 위해,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및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한 평판디스플레이에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광학 필름(혹은 시트(sheet)), 예컨대 EMI 필름, 프리즘 필름, 보호 필름, 확산 필름, 반사 필름, DBEF, PVA, TAC, OCA, 이형 필름, 보상 필름, 반사 방지 필름, 편광필름(polarizer film) 등이 될 수 있고, 패널은 터치패널을 비롯하여 TSP, 윈도우(Window) 등이 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이들을 구별하지 않고 기능성 필름과 패널이라는 용어를 사용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필름 부착시스템의 구조도로서 패널의 이동 경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서 기능성 필름의 이동 경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보호 필름 박리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4는 다관절 로봇의 로봇 헤드 영역의 확대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요부 확대도이며, 도 7 내지 도 10은 보호 필름이 박리되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고, 도 11은 도 1의 시스템에 적용되는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12는 도 11의 측면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A-A선에 따른 부분 단면도이며, 도 14는 점착 시트와 제1 및 제2 시트 클램프의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B-B선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16 내지 도 19는 패널에 기능성 필름이 부착되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필름 부착시스템은 콤팩트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풋 프린트(foot print)를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속도 제어, 위치 제어, 곡선운동 제어 등의 제어가 간편해서 박리 에러(Error)의 발생률과 탈막 현상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으며, 박리된 보호 필름의 2차 박리 또는 수거를 위한 별도의 추가 장비 적용이 필요치 않거나 최소로 간소화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예컨대 도 1 및 도 2와 같은 구조의 레이아웃을 가질 수 있다. 물론, 도 1 및 도 2의 시스템 레이아웃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서 도 21 및 도 22, 혹은 기타의 레이아웃으로 변경될 수 있다는 점에서 도면의 형상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도 1 및 도 2를 먼저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필름 부착시스템은 패널 슬라이더(190) 및 필름 슬라이더(195)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슬라이더 이동 경로부(500)와, 슬라이더 이동 경로부(500) 상에 이웃하게 배치되는 장치들, 즉 보호 필름 박리장치(200), 점착력 향상장치(300), 공용 카메라(400),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100) 등의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구성들을 순차적으로 살펴보면, 우선 슬라이더 이동 경로부(500)는 패널 슬라이더(190) 및 필름 슬라이더(195)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일종의 레일(rail)이다.
패널 슬라이더(190)는 패널에 기능성 필름을 부착시키는 필름 부착위치, 즉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100)가 위치되는 필름 부착위치로 패널을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필름 슬라이더(195)는 필름 부착위치로 기능성 필름을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패널 슬라이더(190)와 필름 슬라이더(195)는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별도의 동력장치를 통해 슬라이더 이동 경로부(500) 상의 해당 경로를 통해 이동되면서 패널과 기능성 필름을 원하는 위치로 공급할 수 있다.
도 16 내지 도 19에 도시된 것처럼 패널 슬라이더(190)에는 슬라이더 얼라인부(191)가 결합된다. 슬라이더 얼라인부(191)는 패널과 기능성 필름 간의 상대 위치 얼라인(align)을 위해 패널 슬라이더(190)의 위치를 X축, Y축, θ축으로 얼라인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기능성 필름을 기준으로 기능성 필름에 대한 패널의 상대 위치를 얼라인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면에는 슬라이더 얼라인부(191)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나 슬라이더 얼라인부(191)는 실린더, 모터 및 볼 스크루의 조합에 의해 적용될 수 있으며, 패널 슬라이더(190)의 위치를 얼라인시킴으로써 패널과 기능성 필름 간의 상대 위치가 얼라인될 수 있게끔 한다. 물론, 필름 슬라이더(195)에도 동일한 형태의 얼라인부가 마련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본다.
패널 슬라이더(190)와 필름 슬라이더(195)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슬라이더 이동 경로부(500)는 공용 카메라(400)의 일측에 배치되되 패널이 이동되는 패널 이동 경로라인(510)과, 공용 카메라(400)의 타측에서 필름 부착위치와 연결 배치되되 패널과 기능성 필름이 공용으로 이동되는 공용 이동 경로라인(520)과, 공용 이동 경로라인(520)과 연결되며, 기능성 필름이 이동되는 필름 이동 경로라인(530)을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더 이동 경로부(500) 상에서의 패널의 이동 궤적을 알아본다. 패널은 도 1의 ①번에서 ③번의 순서대로 이동되면서 최종적으로 ④번의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100)에 공급될 수 있다. 이때, 패널은 ①번 위치에 도달되어 표면에 점착된 보호 필름이 박리되고, ②번 위치에 도달되어 플라즈마 이온 처리된 다음, ③번 위치에 도달되어 공용 카메라(400)에 의해 얼라인 마크(align mark)가 촬영된다. 촬영된 얼라인 마크 영상정보는 컨트롤러(180)로 전송된다.
그리고 기능성 필름은 도 2의 ①번에서 ④번의 순서대로 이동되면서 최종적으로 ⑤번의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100)에 공급된다. 이때, 기능성 필름은 ③번 위치에 도달되어 표면에 점착된 보호 필름이 박리되고, ④번 위치에 도달되어 공용 카메라(400)에 의해 에지(edge)가 촬영된다. 촬영된 에지 영상정보 역시 컨트롤러(180)로 전송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필름 슬라이더(195)에 의해 기능성 필름이 먼저 이동되어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100)에 공급된 후, 도 17처럼 점착 시트(110)에 먼저 점착되어 대기한다. 이어, 패널 슬라이더(190)에 의해 패널이 이동되어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100)에 공급되며, 이후에 도 18 및 도 19처럼 패널에 기능성 필름이 부착되는 공정이 진행되고, 부착이 완료되면 제품이 언로딩(unloading, 도 1 및 도 2 참조)된다.
이때, 패널이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100)로 이동되는 중에 패널에 대한 얼라인 작업이 진행될 수 있다. 즉 기능성 필름은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100)에 미리 도달되어 대기하고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기능성 필름의 에지 정보를 토대로 슬라이더 얼라인부(191)가 필름 슬라이더(195)의 위치를 X축, Y축, θ축으로 얼라인시켜 상대 위치를 맞춘 후, 패널이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100)에 도달되도록 한다. 이처럼 패널이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100)로 이동하는 도중에 패널의 상대 위치가 얼라인될 경우, 얼라인을 위한 별도의 시간을 할애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택트 타임(tact time)을 단축시키는 데에 상당한 도움이 된다.
다음으로, 보호 필름 박리장치(200)는 슬라이더 이동 경로부(500) 상에 마련되며, 패널과 기능성 필름의 표면에서 보호 필름을 박리하는 역할을 한다.
패널에 기능성 필름을 부착시키기 위해서는 패널과 기능성 필름의 표면에 점착된 보호 필름을 박리해야 하는데, 이의 역할을 보호 필름 박리장치(200)가 담당한다.
보호 필름 박리장치(200)는 도 1 및 도 2에서 패널 이동 경로라인(510)과 공용 이동 경로라인(520)에 개별적으로 마련되며, 해당 위치에서 패널의 보호 필름과 기능성 필름의 보호 필름을 박리(제거)한다.
패널 이동 경로라인(510)과 공용 이동 경로라인(520)에 마련되는 보호 필름 박리장치(200)의 구조와 기능은 모두 동일하다.
다만, 시스템의 레이아웃 상 패널의 보호 필름은 다관절 로봇(210)이 패널의 상면에서 동작되면서 박리하는데 반해, 기능성 필름의 보호 필름은 다관절 로봇(210)이 기능성 필름의 하면에서 동작되면서 박리한다. 하지만, 이러한 사항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보호 필름 박리장치(200)는 도 3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 또는 기능성 필름의 표면에서 보호 필름을 박리하기 위해 보호 필름의 표면에 점착되는 필름 박리용 점착식 회전롤러(241)를 구비하는 다관절 로봇(210)과, 다관절 로봇(210)에 이웃하게 배치되며, 박리된 보호 필름이 수거되는 필름 수거부(260)를 포함한다.
다관절 로봇(210)은 설치면에 지지되는 로봇 바디(220)와, 로봇 바디(220)에 연결되되 적어도 서로 다른 3축을 갖는 다관절 아암(230)과, 다관절 아암(230)의 말단부에 연결되되 필름 박리용 점착식 회전롤러(241)가 탑재되는 로봇 헤드(24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6축 다관절 로봇(210)이 적용된다. 즉 로봇 헤드(240)는 다관절 아암(230)의 서로 다른 6축 동작에 의해 패널 또는 기능성 필름의 표면에서 보호 필름을 박리한 후, 필름 수거부(260)에 폐기한다.
이와 같은 다관절 로봇(210)이 적용되면 여러 대의 단축 직교로봇을 X축, Y축, Z축으로 조합해서 사용해 왔던 종래와 달리 콤팩트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풋 프린트를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속도 제어, 위치 제어, 곡선운동 제어 등의 제어가 간편해서 박리 에러의 발생률과 탈막 현상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박리된 보호 필름의 2차 박리 또는 수거를 위한 별도의 추가 장비 적용이 필요치 않거나 최소로 간소화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본 실시예의 경우, 6축 다관절 로봇(210)이 적용되고 있으나 3축 이상이면 그것으로 충분하다.
필름 박리용 점착식 회전롤러(241)는 로봇 헤드(240)의 일측에 마련되는 롤러로서 도 7에서 도 8처럼 보호 필름의 제이 끝단을 패널(혹은 기능성 필름)에서 일부 벗겨내는 역할을 한다. 필름 박리용 점착식 회전롤러(241)의 표면에는 점착성 물질이 도포되어 있기 때문에 필름 박리용 점착식 회전롤러(241)가 보호 필름의 끝단에 접촉된 후, 회전되면 도 7에서 도 8처럼 보호 필름의 일부분이 약간 말리면서 필름 박리용 점착식 회전롤러(241)에 붙어 박리될 수 있다.
로봇 헤드(240)에는 필름 박리용 점착식 회전롤러(241)와의 상호작용을 위해 필름 클램프(242)와 클램프 액추에이터(244)가 마련된다.
필름 클램프(242)는 로봇 헤드(240)에서 필름 박리용 점착식 회전롤러(241)에 이웃하게 배치되며, 필름 박리용 점착식 회전롤러(241)와 함께 상기 보호 필름을 클램핑하는 역할을 한다. 필름 클램프(242)의 단부에는 필름 박리용 점착식 회전롤러(241)의 외주면 곡면과 동일한 곡률을 갖는 곡면부(243)가 형성된다. 따라서 박리되는 보호 필름은 필름 박리용 점착식 회전롤러(241)와 필름 클램프(242)의 곡면부(243) 사이에서 에러 없이 클램핑될 수 있다.
클램프 액추에이터(244)는 필름 클램프(242)를 필름 박리용 점착식 회전롤러(241)에 접근 또는 이격 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클램프 액추에이터(244)는 모터 또는 실린더 구조일 수 있다.
이에, 도 7에서 도 8처럼 보호 필름의 일부분이 약간 말리면서 필름 박리용 점착식 회전롤러(241)에 붙어 박리되고 나면 도 9처럼 클램프 액추에이터(244)가 동작되어 필름 클램프(242)의 곡면부(243)가 필름 박리용 점착식 회전롤러(241)의 외면에 접촉 가압되도록 한다. 그러면 일부 박리된 보호 필름이 필름 박리용 점착식 회전롤러(241)와 필름 클램프(242)의 곡면부(243) 사이에서 클램핑될 수 있으며, 이 상태에서 도 10처럼 6축 다관절 로봇(210)이 동작됨으로써 보호 필름이 패널 혹은 기능성 필름에서 완전히 박리될 수 있다.
로봇 헤드(240)에는 보호 필름이 필름 클램프(242)에 클램핑되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제1 필름 감지센서(245)가 마련된다. 제1 필름 감지센서(245)가 보호 필름이 있다고 감지한 이후에 도 10처럼 다관절 로봇(210)이 동작되어 보호 필름을 패널(또는 기능성 필름)에서 완전히 박리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필름 박리용 점착식 회전롤러(241)와 필름 클램프(242) 사이에 보호 필름이 클램핑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도 10처럼 다관절 로봇(210)이 동작되는 에러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들, 즉 보호 필름을 박리해서 클램핑하기 위한 구성들 외에도 로봇 헤드(240)에는 흡착 유닛(246)이 더 갖춰진다. 흡착 유닛(246)은 로봇 헤드(240)의 일측에 마련되며, 패널 또는 상기 기능성 필름을 진공으로 흡착하는 다수의 흡착 패드(247)를 포함한다. 흡착 유닛(246)은 패널이나 기능성 필름, 혹은 기타의 부자재를 흡착시켜 위치 이동시키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필름 수거부(260)는 패널 또는 기능성 필름에서 박리된 보호 필름이 수거되는 필름 수거통(261)과, 필름 수거통(261)의 입구 영역에 마련되는 흡착겸용 블로잉 유닛(262)을 포함한다.
흡착겸용 블로잉 유닛(262)은 필름 수거통(261)의 입구 영역에 마련되며, 다관절 로봇(210)의 작용으로 필름 수거통(261)에 수거되는 보호 필름을 흡착(vacuum) 또는 블로잉(blowing)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보호 필름 박리장치(200)에는 제2 필름 감지센서(263)와 컨트롤러(180, 도 20 참조)가 더 갖춰진다. 제2 필름 감지센서(263)는 흡착겸용 블로잉 유닛(262)에 마련되며, 흡착겸용 블로잉 유닛(262)에 다관절 로봇(210)으로부터의 보호 필름이 배치되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컨트롤러(180)는 제2 필름 감지센서(263)의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필름 클램프(242) 및 흡착겸용 블로잉 유닛(262)의 동작을 컨트롤한다.
이에, 다관절 로봇(210)이 박리된 보호 필름을 필름 수거통(261) 쪽으로 집어넣을 때 제2 필름 감지센서(263)가 보호 필름이 있는지의 여부를 감지해서 그 정보를 컨트롤러로 전송한다. 보호 필름이 있는 경우, 컨트롤러(180)에 의한 흡착겸용 블로잉 유닛(262)의 흡착(vacuum) 작용으로 보호 필름이 흡착겸용 블로잉 유닛(262)에 흡착될 수 있다. 그러면 다관절 로봇(210)은 컨트롤러(180)의 컨트롤에 의해 보호 필름을 클램핑을 해제하고 원위치로 복귀된다. 다관절 로봇(210)이 원위치 복귀되면 다시 컨트롤러(180)에 의한 흡착겸용 블로잉 유닛(262)의 블로잉(blowing) 작용으로 보호 필름이 필름 수거통(261) 내의 바닥으로 떨어지면서 수거될 수 있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컨트롤러(180)는 중앙처리장치(181, CPU), 메모리(182, MEMORY), 그리고 서포트 회로(183, SUPPORT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처리장치(181)는 본 실시예에서 제2 필름 감지센서(263)의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필름 클램프(242) 및 흡착겸용 블로잉 유닛(262)의 동작을 컨트롤하기 위해서 산업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컴퓨터 프로세서들 중 하나일 수 있다.
메모리(182, MEMORY)는 중앙처리장치(181)와 연결된다. 메모리(182)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로컬 또는 원격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또는 임의의 디지털 저장 형태와 같이 쉽게 이용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일 수 있다.
서포트 회로(183, SUPPORT CIRCUIT)는 중앙처리장치(181)와 결합되어 프로세서의 전형적인 동작을 지원한다. 이러한 서포트 회로(183)는 캐시, 파워 서플라이, 클록 회로, 입/출력 회로, 서브시스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컨트롤러(180)는 제2 필름 감지센서(263)의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필름 클램프(242) 및 흡착겸용 블로잉 유닛(262)의 동작을 컨트롤하는데, 이러한 일련의 프로세스 등은 메모리(182)에 저장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소프트웨어 루틴이 메모리(182)에 저장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루틴은 또한 다른 중앙처리장치(미도시)에 의해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는 소프트웨어 루틴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 중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은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수행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점착력 향상장치(300)는 도 1 및 도 2에서 보호 필름 박리장치(200)에 이웃하게 배치되며, 보호 필름이 박리된 패널의 박리 표면을 향해 플라즈마 이온을 분사하는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해, 점착력 향상장치(300)는 슬라이더 이동 경로부(500) 상에서 보호 필름 박리장치(200)의 후공정에 배치되며, 보호 필름이 박리된 패널의 표면을 향해 플라즈마 이온을 분사해서 기능성 필름에 대한 점착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기능성 필름이 부착될 면에 대해 플라즈마 이온처리가 되기 때문에 기능성 필름이 보다 잘 부착될 수 있다.
다음으로, 공용 카메라(4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능성 필름에 대한 패널의 상대 위치 얼라인(align)을 위해 패널과 기능성 필름에 대한 얼라인 영상을 공용으로 촬영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공용 카메라(400)는 슬라이더 이동 경로부(500) 상에 위치 고정되게 마련된다. 즉 공용 카메라(400)는 패널 이동 경로라인(510)과 공용 이동 경로라인(520)이 만나는 지점에 고정 배치된다. 패널과 기능성 필름은 패널 슬라이더(190) 및 필름 슬라이더(195)의 동작으로 공용 카메라(400)로 이동된 후, 위치 고정된 공용 카메라(400)에 의해 얼라인 마크(align mark)와 에지(edge)가 촬영된다.
본 실시예처럼 여러 대가 아닌 원(one) 카메라로서의 공용 카메라(400)를 슬라이더 이동 경로부(500) 상에 위치 고정시킨 후, 패널과 기능성 필름이 위치 고정된 공용 카메라(400)로 이동되어 얼라인 마크와 에지가 촬영되도록 함으로써 정밀도 제품에 대응이 가능해질 수 있다.
이에 대해 부연하면, 앞서 기술한 것처럼 개별적인 카메라로 패널과 기능성 필름의 얼라인 마크와 에지를 촬영해서 그 영상 정보를 사용할 경우에는 각각의 얼라인 촬영 영상 인식 후의 차이로 인해 카메라 동기화에 편차량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고정밀도 제품에 대응이 실질적으로 불가능할 수밖에 없었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공용 카메라(400)의 적용은 고정밀도 제품의 생산에 적합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100)는 시스템 공정의 제일 후방의 필름 부착위치에 마련되며, 실질적으로 패널에 기능성 필름을 부착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100)는 장치 본체(120)와, 장치 본체(120)에 마련되되 점착 시트(110)를 이용해서 패널에 기능성 필름을 부착시키는 기능성 필름 부착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100)는 점착 시트(110)를 장치 본체(120)에 탑재시키는 시트 탑재부(130)와, 장치 본체(120)와는 별개로 마련되되 패널에 기능성 필름이 부착되는 장소를 형성하는 패널 슬라이더(190)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 본체(120)는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100)의 외관 구조를 이룬다. 이러한 장치 본체(120)에는 점착 시트(110)를 비롯해서 시트 탑재부(130), 기능성 필름 부착부(150) 등의 구조들이 위치별로 탑재된다.
장치 본체(120)의 일측에는 본체 구동부(121)가 마련된다. 본체 구동부(121)는 장치 본체(120) 전체를 승하강 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장치 본체(120)는 패널 슬라이더(190)의 상부로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의 간격 조절을 위해 본체 구동부(121)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패널에 기능성 필름을 그대로 부착시키는 것이 아니라 점착 시트(110)를 사용해서 패널에 기능성 필름을 부착시킨다. 따라서 기능성 필름 부착부(150)의 설명에 앞서 점착 시트(110)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해 먼저 알아본다.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점착 시트(110)는 패널에 기능성 필름을 부착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매개체이다. 즉 본 실시예의 경우, 기능성 필름을 패널에 그대로 부착시키는 것이 아니라 도 16내지 도 19처럼 기능성 필름을 점착 시트(110)에 먼저 점착시킨 후, 기능성 필름과 패널을 상호 얼라인시킨 다음, 점착 시트(110)를 가압함으로써 패널에 기능성 필름이 부착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처럼 점착 시트(110)를 매개로 해서 패널에 기능성 필름을 부착시킬 경우, 종전의 세트 테이블(Set Table)을 적용한 롤 투 스테이지(Roll to Stage) 방식 또는 드럼(Drum)을 적용한 드럼 투 스테이지(Drum to Stage) 방식과 달리 부착 효율과 품질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다만, 점착 시트(110)를 적용함에 있어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Engineering Plastic) 계열의 점착 시트, 공기 흡착층(Air Pocket) 시트, 기공(Porous) 시트 등을 단순히 적용하는 경우에는 높은 연신율로 인해 고(高)부착 정도의 제품 대응이 불가하고, 수명이 짧으며, 높은 러닝 코스트(Running Cost)와, 잦은 교체 주기로 인해 다운 타임(Down Time)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아래와 같은 혁신적인 구조의 점착 시트(110)를 제시함으로써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있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100)에 적용되는 점착 시트(110)는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착층(111), 보강층(114), 그리고 이들 사이에 배치되는 쿠션층(112) 및 접착층(11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5처럼 점착층(111), 쿠션층(112), 접착층(113) 및 보강층(114)이 순차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점착층(111)은 반데르발스 힘(van der Waals force)에 기초한 점착력을 통해 패널에 부착될 기능성 필름과 점착되는 부분이다.
참고로, 반데르발스 힘이란 부대(不對) 전자를 갖지 않은 전기적으로 중성인 분자 간에 작용하는 힘을 가리킨다. 특히 비교적 원거리에서 작용하는 인력을 말한다. 반데르발스 힘은 분산력의 결과로 생기며, 희가스 원자 간에 작용하는 힘, 벤젠 등 탄화수소의 분자결정이 형성되는 요인 등을 반데르발스 힘에 의해 설명할 수 있다. 또한 반데르발스 힘은 액체의 응집, 접착을 비롯해서 본 실시예와 같은 물리흡착 등의 현상을 설명하는 데 필요한 본질적인 힘을 의미한다.
다시 요약하면, 반데르발스 힘은 전기적으로 중성인 분자 사이에서 극히 근거리에서만 작용하는 극히 약한 정전기적 인력이며, 공유 결합성 분자들 사이에서 작용하는 전기적인 힘을 통칭한다.
특히, 이온의 힘을 통해 별도의 전력 없이도 물리적인 점착이 가능하게 하는데, 점착층(111)이 이러한 반데르발스 힘에 근간해서 제작되기 때문에 기능성 필름이 용이하게 점착될 수 있고, 또한 박리될 수 있다. 즉 점착층(111)에 약한 점성이 형성되기 때문에 점착층(111)에 기능성 필름에 점착될 수 있으며, 기능성 필름이 패널에 부착되고 나면 점착층(111)에서 기능성 필름이 용이하게 박리, 즉 이탈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점착층(111)을 적용함에 있어서 단지 점착층(111)만을 시트로 적용하게 되면 초기에는 원하는 공정을 잘 수행할 수 있으나 반복 사용 시 높은 부착 압력으로 인해 점착층(111)이 늘어날 수 있는데, 점착층(111)이 늘어나게 되면 고(高)부착 정도의 제품 대응이 불가해질 수밖에 없다.
이에, 이러한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100)에 적용되는 점착 시트(110)에는 보강층(114)이 마련된다. 보강층(114)은 점착층(111)과 연결되되 점착층(111)의 연신율이 증가되지 않게 점착층(111)을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보강층(114)은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 박판으로 적용되며, 도 14처럼 점착층(111)보다 넓은 면적으로 점착층(111)을 지지하면서 보강한다. 보강층(114)이 스테인리스 스틸 박판으로 적용되기 때문에 연신율을 맞추기에 유리하다.
이처럼 보강층(114)이 더 적용되어 점착 시트(110)로 적용되는 경우, 연신율을 거의 제로(zero)에 가깝게 최대한 낮출 수 있어 고(高)부착 정도의 제품 대응이 가능해질 수 있으며, 내구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수명이 연장될 수 있어 러닝 코스트(Running Cost)를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교체 주기가 길어 다운 타임(Down Time)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쿠션층(112)은 점착층(111)과 접착층(113) 사이에 개재되는 층이다. 이러한 쿠션층(112)은 패널에 기능성 필름이 부착될 때, 완충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후술할 부착 롤러(151)로 점착 시트(110)를 가압하면서 패널에 기능성 필름이 부착되는 중에 패널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접착층(113)은 쿠션층(112)과 보강층(114)을 접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실제, 점착층(111)에는 약한 점성이 있어서 쿠션층(112)과의 잘 붙을 수 있기 때문에 접착층(113)은 쿠션층(112)과 보강층(114)에만 개재시키면 된다. 물론, 필요에 따라 점착층(111)과 쿠션층(112) 사이에도 접착층(113)을 재재시킬 수도 있을 것인데, 이러한 사항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점착 시트(110)는 점착층(111), 보강층(114), 그리고 이들 사이에 배치되는 쿠션층(112) 및 접착층(113)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때 접착층(113)과 쿠션층(112)의 두께와 보강층(114)의 두께가 동일할 수 있으며, 점착층(111)의 두께가 보강층(114)의 두께보다 2배 이상 클 수 있다. 예컨대, 점착층(111)의 두께가 300㎛인 경우라면 보강층(114)의 두께는 50㎛일 수 있고, 쿠션층(112)의 두께와 보강층(114)의 두께의 합이 50㎛일 수 있다. 이는 실질적으로 기능성 필름이 점착되는 부분이 점착층(111)이기 때문에 두꺼운 것이 유리하고, 보강층(114)은 얇아야만 플렉시블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의 수치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100)에 전술한 반데르발스 힘(van der Waals force)에 근거한 점착 시트(110)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다. 즉 일반적인 통상의 점착성 물질이 도포된 점착 시트(미도시)를 사용하더라도 관계는 없다. 따라서 이러한 사항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점착 시트(110)가 장치 본체(120)의 해당 위치에 탑재될 수 있도록 점착 시트(110)의 양단부에는 점착 시트(110)의 양단부를 지지하는 제1 및 제2 시트 클램프(116,117)가 결합된다. 그리고 이러한 제1 및 제2 시트 클램프(116,117)를 매개로 해서 시트 탑재부(130)에 점착 시트(110)가 탑재될 수 있다.
시트 탑재부(130)는 장치 본체(120)의 일측에 마련되는 구성으로서 점착 시트(110)가 탑재되는 장소를 이룬다. 전술한 것처럼 점착 시트(110)의 양단부에 제1 및 제2 시트 클램프(116,117)가 결합되는데, 이러한 제1 및 제2 시트 클램프(116,117)가 시트 탑재부(130)에 탑재되는 방식으로 점착 시트(110)가 설치될 수 있다.
시트 탑재부(130)는 장치 본체(120)의 일측에 마련되며, 제1 시트 클램프(116)가 탑재되게 지지하는 제1 클램프 탑재용 지지대(131)와, 장치 본체(120)의 타측에 마련되며, 제2 시트 클램프(117)가 탑재되게 지지하는 제2 클램프 탑재용 지지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점착 시트(110)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제1 시트 클램프(116)가 제1 클램프 탑재용 지지대(131)에 탑재되고, 점착 시트(110)의 타단부를 지지하는 제2 시트 클램프(117)가 제2 클램프 탑재용 지지대(132)에 탑재되는 형태로 점착 시트(110)가 설치될 수 있는데, 제1 클램프 탑재용 지지대(131)와 제2 클램프 탑재용 지지대(132) 사이에서 늘어지는 점착 시트(110)를 가이드하기 위해 다수의 시트 아이들 롤러(134)가 마련된다.
다수의 시트 아이들 롤러(134)는 제1 클램프 탑재용 지지대(131)와 제2 클램프 탑재용 지지대(132) 사이에 배치되며, 점착 시트(110)를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다수의 시트 아이들 롤러(134)는 제1 클램프 탑재용 지지대(131)와 제2 클램프 탑재용 지지대(132) 측에 각각 하나씩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모두가 무동력 자유 회전롤러로 적용된다.
이와 같은 시트 아이들 롤러(134)들의 작용으로 점착 시트(110)가 가이드되기는 하지만 기능성 필름의 부착 시 점착 시트(110)가 패널 측으로 가압되기 때문에 이러한 동작이 반복적으로 진행되다 보면 점착 시트(110)의 초기 장력이 틀어질 우려가 있다. 이에, 시트 장력 유지부(140)가 마련된다.
시트 장력 유지부(140)는 제1 클램프 탑재용 지지대(131)와 제2 클램프 탑재용 지지대(13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며, 점착 시트(110)의 장력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시트 장력 유지부(140)가 제1 클램프 탑재용 지지대(131) 측에 마련된다. 하지만,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다. 즉 시트 장력 유지부(140)는 제2 클램프 탑재용 지지대(132) 측에 마련될 수도 있고, 아니면 제1 클램프 탑재용 지지대(131)와 제2 클램프 탑재용 지지대(132) 모두에 마련될 수도 있을 것이다.
시트 장력 유지부(140)는 장치 본체(120)의 일측에 결합되는 슬라이딩 레일(141)과, 슬라이딩 레일(141)에 레일 맞물림되는 레일 블록(143)을 구비하며, 제1 클램프 탑재용 지지대(131)에 결합되는 지지대 서포트(142)와, 지지대 서포트(142)에 연결되어 동작되는 장력 실린더(144)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장력 실린더(144)가 정해진 가압력으로 지지대 서포트(142)를 가압하거나 당기기 때문에 초기 세팅된 값의 장력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100)에는 앞서 기술한 것처럼 기능성 필름 부착부(150)가 갖춰진다. 기능성 필름 부착부(150)는 시트 탑재부(130)에 이웃되게 장치 본체(120)에 마련되며, 점착 시트(110)에 기능성 필름이 펼쳐진 상태로 점착되도록 한 후, 점착 시트(110)를 이용해서 패널에 기능성 필름을 부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해, 기능성 필름 부착부(150)는 도 16 내지 도 19처럼 기능성 필름을 점착 시트(110)에 먼저 점착시킨 후, 기능성 필름을 기준으로 기능성 필름에 대한 패널의 상대 위치를 얼라인시킨 다음, 점착 시트(110)를 가압함으로써 패널에 기능성 필름이 부착될 수 있도록 한다. 기능성 필름이 패널에 부착되고 나면 점착 시트(110)가 기능성 필름에서 박리, 즉 이탈된다.
이러한 역할을 담당하는 기능성 필름 부착부(150)는 롤러 지지모듈(155)에 의해 한 몸체로 연결되는 부착 롤러(151), 백업 롤러(152) 및 시트 이탈 롤러(153)와, 롤러 지지모듈(155)을 업/다운(up/down) 구동시키는 모듈 업/다운 구동부(160)와, 롤러 지지모듈(155)을 주행시키는 모듈 주행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부착 롤러(151)는 도 16에서 도 17처럼 점착 시트(110)의 점착층(111)에 기능성 필름이 점착되도록 하거나 도 18에서 도 19처럼 패널에 기능성 필름이 부착되도록 점착 시트(110) 상에서 가압 이동되는 롤러이다.
다시 말해, 부착 롤러(151)는 점착 시트(110) 상의 보강층(114)에서 회전 이동되면서 점착 시트(110)를 일측에서 타측으로 가압한다. 따라서 도 16에서 도 17처럼 점착 시트(110)의 점착층(111)에 기능성 필름이 점착되는 공정이 진행될 수 있고, 또한 도 18에서 도 19처럼 패널에 기능성 필름이 부착되는 공정이 진행될 수 있다.
백업 롤러(152)는 부착 롤러(151)에 외접되며, 부착 롤러(151)의 회전을 지지하는 롤러이다. 백업 롤러(152)는 부착 롤러(151)보다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는데, 이러한 백업 롤러(152)의 작용으로 인해 부착 롤러(151)가 도 16에서 도 17처럼 점착 시트(110)의 점착층(111)에 기능성 필름이 점착되도록 하거나 도 18에서 도 19처럼 패널에 기능성 필름이 부착되도록 하는 공정이 잘 진행될 수 있게끔 한다.
시트 이탈 롤러(153)는 도 19처럼 패널에 기능성 필름의 부착이 완료된 때 기능성 필름에서 점착 시트(110)가 이탈되도록 하는 기능의 롤러이다. 이러한 시트 이탈 롤러(153)는 부착 롤러(151)보다 높은 위치에서 점착 시트(110)의 하부에 배치된다. 이처럼 시트 이탈 롤러(153)가 점착 시트(110)의 하부에 배치되기 때문에 시트 이탈 롤러(153)를 업(up)시키면 점착 시트(110)가 기능성 필름에서 박리, 즉 이탈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부착 롤러(151), 백업 롤러(152) 및 시트 이탈 롤러(153)는 롤러 지지모듈(155)에 의해 한 몸체로 지지된다. 따라서 롤러 지지모듈(155)을 업(up)시키면 부착 롤러(151), 백업 롤러(152) 및 시트 이탈 롤러(153) 역시 함께 업(up)될 수 있고, 롤러 지지모듈(155)을 다운(down)시키면 부착 롤러(151), 백업 롤러(152) 및 시트 이탈 롤러(153) 역시 함께 다운(down)될 수 있다.
모듈 업/다운 구동부(160)는 장치 본체(120)에 마련되며, 롤러 지지모듈(155)을 업/다운(up/down) 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모듈 업/다운 구동부(160)는 저마찰 실린더(161)를 포함한다. 그리고 저마찰 실린더(161)에는 부착 롤러(151)가 점착 시트(110)에 가압되는 가압력을 감지하는 로드 셀(162)이 마련된다. 로드 셀(162)의 정보에 의해 컨트롤러(180)가 저마찰 실린더(161)의 힘을 컨트롤함으로써 일정한 압력으로 점착 시트(110)를 가압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점착 시트(110)에 기능성 필름이 점착되도록 하거나 패널에 기능성 필름이 부착되도록 할 수 있다.
모듈 주행부(170)는 장치 본체(120)에 마련되되 롤러 지지모듈(155) 및 모듈 업/다운 구동부(160)와 연결되며, 도 17 및 도 19처럼 롤러 지지모듈(155)이 패널 슬라이더(190) 상에서 왕복 구동되도록 주행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13에 도시된 것처럼 모듈 주행부(170)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171)와, 모터(171)에 의해 정역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볼 스크루(172)와, 볼 스크루(172)에 나사 방식으로 결합되고 일측에서 모듈 업/다운 구동부(160)와 연결되는 스크루 너트(173)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모터(171)가 구동되어 볼 스크루(172)가 회전되면 볼 스크루(172) 상에서 이동되는 스크루 너트(173)의 작용으로 인해 모듈 업/다운 구동부(160)를 비롯해서 롤러 지지모듈(155) 전체가 패널 슬라이더(190) 상에서 왕복 구동될 수 있다. 앞서 기술한 컨트롤러(180, 도 15 참조)는 점착 시트(110)에 기능성 필름이 점착되도록 하거나 패널에 상기 기능성 필름이 부착되도록 하는 공정조건에 기초하여 모듈 업/다운 구동부(160)와 모듈 주행부(170)의 동작을 컨트롤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필름 부착시스템의 작용을 설명한다.
필름 슬라이더(195)에 로딩된 기능성 필름은 도 2의 ①번에서 ④번의 순서대로 이동되면서 최종적으로 ⑤번의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100)에 공급된다. 이때, 기능성 필름은 ③번 위치에 도달되어 표면에 점착된 보호 필름이 보호 필름 박리장치(200)에 의해 박리되고, ④번 위치에 도달되어 공용 카메라(400)에 의해 에지(edge)가 촬영된다. 촬영된 영상 정보는 컨트롤러(180)로 전송된다.
에지가 촬영된 기능성 필름은 ⑤번의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100)에 공급된 후, 점착 시트(110)에 점착된다. 이에 대해 살펴본다. 즉 도 16처럼 패널 슬라이더(190) 상에 기능성 필름이 로딩되면, 모듈 업/다운 구동부(160)에 의해 롤러 지지모듈(155)이 다운(down)된다. 이어 도 17처럼 모듈 주행부(170)의 작용으로 롤러 지지모듈(155)이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됨으로써 점착 시트(110)의 점착층(111)에 기능성 필름이 반데르발스 힘에 기초한 점착력을 통해 점착된다. 점착 시트(110)에 기능성 필름이 점착되고 나면 모듈 업/다운 구동부(160)에 의해 롤러 지지모듈(155)이 업(up)된다.
이와 같이 기능성 필름이 점착 시트(110)에 점착되는 중에 다른 한편에서 패널은 도 1의 ①번에서 ③번의 순서대로 이동되면서 최종적으로 ④번의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100)에 공급된다.
패널은 ①번 위치에 도달되어 표면에 점착된 보호 필름이 보호 필름 박리장치(200)에 의해 도 7 내지 도 10의 과정으로 박리되고, ②번 위치에 도달되어 점착력 향상장치(300)에 의해 플라즈마 이온 처리된 다음, ③번 위치에 도달되어 공용 카메라(400)에 의해 얼라인 마크(align mark)가 촬영된다. 촬영된 영상 정보 역시, 컨트롤러(180)로 전송된다.
그리고 ④번의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100)에 공급된다. 이때, 기능성 필름은 이미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100)의 점착 시트(110)에 점착되어 있기 때문에 기능성 필름을 기준으로 해서 패널의 상대 위치를 얼라인하기 위해 패널에 대한 얼라인 작업이 진행된다.
패널에 대한 얼라인 작업은 패널이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100)로 이동되는 중에 진행된다. 다시 말해, 기능성 필름이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100)에서 미리 대기하고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기능성 필름의 에지 정보를 토대로 슬라이더 얼라인부(191)가 필름 슬라이더(195)의 위치를 X축, Y축, θ축으로 얼라인시켜 상대 위치를 맞춘 후, 패널이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100)에 도달되도록 한다. 이처럼 패널이 이동되는 중에 패널의 상대 위치가 얼라인될 경우, 얼라인을 위한 별도의 시간을 할애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택트 타임을 단축시키는 데에 상당한 도움이 된다.
얼라인 완료된 패널이 부착위치에 도달되면 모듈 업/다운 구동부(160)에 의해 롤러 지지모듈(155)이 다시 다운(down)된다. 이어, 도 18처럼 모듈 업/다운 구동부(160)에 의해 롤러 지지모듈(155)이 더 다운(down)되어 부착 롤러(151)의 작용으로 기능성 필름이 패널에 접촉되도록 한다.
그런 다음, 도 19처럼 모듈 주행부(170)의 작용으로 롤러 지지모듈(155)이 타측에서 일측으로 이동됨으로써 부착 롤러(151)가 점착 시트(110)를 가압하는 힘으로 인해 패널에 기능성 필름이 부착될 수 있게끔 한다. 패널에 기능성 필름이 부착되고 나면 모듈 업/다운 구동부(160)에 의해 롤러 지지모듈(155)이 다시 업(up)되며, 이의 작용으로 인해 점착 시트가 기능성 필름에서 이탈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콤팩트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풋 프린트를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속도 제어, 위치 제어, 곡선운동 제어 등의 제어가 간편해서 박리 에러의 발생률과 탈막 현상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으며, 박리된 보호 필름의 2차 박리 또는 수거를 위한 별도의 추가 장비 적용이 필요치 않거나 최소로 간소화될 수 있게 된다.
도 21 및 도 22는 각각 기능성 필름 부착시스템의 변형 실시예들이다.
전술한 도 1 및 도 2의 경우에는 단열의 슬라이더 이동 경로부(500) 상에 보호 필름 박리장치(200), 점착력 향상장치(300) 등의 일측에만 배치되는 구조를 제시한 반면, 도 21의 경우에는 듀얼(dual) 공정라인을 형성하고, 도 22의 경우에는 듀얼(dual) 공정라인이 쌍으로 배치되는 구조를 제시하고 있다.
도 21 및 도 22의 경우, 슬라이더 이동 경로부(500a,500b)가 여러 라인으로 형성되는 한편 공용 카메라(400a,400b)의 사이즈가 커지고, 보호 필름 박리장치(200), 점착력 향상장치(300) 등의 장치가 양측에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는 점을 제외하고 구조와 기능, 그리고 역할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다만, 도 21 및 도 22와 같은 레이아웃을 가질 경우, 생산성이 월등이 향상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 110 : 점착 시트
120 : 장치 본체 130 : 시트 탑재부
140 : 시트 장력 유지부 150 : 기능성 필름 부착부
160 : 모듈 업/다운 구동부 170 : 모듈 주행부
180 : 컨트롤러 190 : 패널 슬라이더
191 : 슬라이더 얼라인부 195 : 필름 슬라이더
200 : 보호 필름 박리장치 210 : 다관절 로봇
220 : 로봇 바디 230 : 다관절 아암
240 : 로봇 헤드 241 : 필름 박리용 점착식 회전롤러
242 : 필름 클램프 243 : 곡면부
244 : 클램프 액추에이터 245 : 제1 필름 감지센서
246 : 흡착 유닛 247 : 흡착 패드
260 : 필름 수거부 261 : 필름 수거통
262 : 흡착겸용 블로잉 유닛 263 : 제2 필름 감지센서
300 : 점착력 향상장치 400 : 공용 카메라
500 : 슬라이더 이동 경로부 510 : 패널 이동 경로라인
520 : 공용 이동 경로라인 530 : 필름 이동 경로라인

Claims (24)

  1. 패널에 기능성 필름을 부착시키는 필름 부착위치로 상기 패널을 이동시키는 패널 슬라이더와, 상기 필름 부착위치로 상기 기능성 필름을 이동시키는 필름 슬라이더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슬라이더 이동 경로부;
    상기 슬라이더 이동 경로부 상에 마련되며, 상기 패널과 상기 기능성 필름의 표면에서 보호 필름을 박리하기 위해 상기 보호 필름의 표면에 점착되는 필름 박리용 점착식 회전롤러가 일측에 마련되는 다관절 로봇을 구비하는 보호 필름 박리장치; 및
    상기 패널 슬라이더에 연결되며, 상기 패널과 상기 기능성 필름 간의 상대 위치 얼라인(align)을 위해 상기 패널 슬라이더의 위치를 X축, Y축, θ축으로 얼라인시키는 슬라이더 얼라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필름 부착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관절 로봇은,
    설치면에 지지되는 로봇 바디;
    상기 로봇 바디에 연결되되 적어도 서로 다른 3축을 갖는 다관절 아암; 및
    상기 다관절 아암의 말단부에 연결되되 상기 필름 박리용 점착식 회전롤러가 탑재되는 로봇 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필름 부착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관절 로봇은,
    상기 로봇 헤드에서 상기 필름 박리용 점착식 회전롤러에 이웃하게 배치되며, 상기 필름 박리용 점착식 회전롤러와 함께 상기 보호 필름을 클램핑하는 필름 클램프; 및
    상기 필름 클램프를 상기 필름 박리용 점착식 회전롤러에 접근 또는 이격 구동시키는 클램프 액추에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필름 부착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클램프의 단부에는 상기 필름 박리용 점착식 회전롤러의 외주면 곡면과 동일한 곡률을 갖는 곡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필름 부착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다관절 로봇은,
    상기 로봇 헤드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보호 필름이 상기 필름 클램프에 클램핑되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제1 필름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필름 부착시스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관절 로봇은,
    상기 로봇 헤드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패널 또는 상기 기능성 필름을 진공으로 흡착하는 다수의 흡착 패드를 구비하는 흡착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필름 부착시스템.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필름 박리장치는,
    상기 다관절 로봇에 이웃하게 배치되며, 박리된 보호 필름이 수거되는 필름 수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필름 부착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수거부는,
    상기 패널 또는 상기 기능성 필름에서 박리된 보호 필름이 수거되는 필름 수거통; 및
    상기 필름 수거통의 입구 영역에 마련되며, 상기 다관절 로봇의 작용으로 상기 필름 수거통에 수거되는 보호 필름을 흡착(vacuum) 또는 블로잉(blowing)하는 흡착겸용 블로잉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필름 부착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겸용 블로잉 유닛에 마련되며, 상기 흡착겸용 블로잉 유닛에 상기 다관절 로봇으로부터의 보호 필름이 배치되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제2 필름 감지센서; 및
    상기 제2 필름 감지센서의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필름 클램프 및 상기 흡착겸용 블로잉 유닛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필름 부착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 이동 경로부는,
    상기 패널이 이동되는 패널 이동 경로라인;
    상기 필름 부착위치와 연결 배치되되 상기 패널과 상기 기능성 필름이 공용으로 이동되는 공용 이동 경로라인; 및
    상기 공용 이동 경로라인과 연결되며, 상기 기능성 필름이 이동되는 필름 이동 경로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보호 필름 박리장치는 상기 패널 이동 경로라인과 상기 공용 이동 경로라인 상에 각각 개별적으로 배치되며, 해당 위치에서 상기 패널 상의 보호 필름과 상기 기능성 필름 상의 보호 필름을 박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필름 부착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 이동 경로부 상에서 상기 보호 필름 박리장치의 후공정에 배치되며, 상기 보호 필름이 박리된 상기 패널의 표면을 향해 플라즈마 이온을 분사해서 상기 기능성 필름에 대한 점착력을 향상시키는 점착력 향상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필름 부착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부착위치에 마련되며, 상기 패널에 상기 기능성 필름을 부착시키는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필름 부착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는,
    장치 본체;
    상기 장치 본체에 마련되며, 소정의 점착 시트에 상기 기능성 필름이 펼쳐진 상태로 점착되도록 한 후, 상기 점착 시트를 이용해서 상기 패널에 상기 기능성 필름을 부착시키는 기능성 필름 부착부; 및
    상기 장치 본체에 마련되며, 상기 점착 시트가 탑재되는 시트 탑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필름 부착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필름 부착부는,
    상기 점착 시트에 상기 기능성 필름이 점착되도록 하거나 상기 패널에 상기 기능성 필름이 부착되도록 상기 점착 시트 상에서 가압 이동되는 부착 롤러;
    상기 부착 롤러에 이웃하게 배치되며, 상기 패널에 상기 기능성 필름의 부착이 완료된 때 상기 기능성 필름에서 상기 점착 시트가 이탈되도록 하되 상기 부착 롤러보다 높은 위치에서 상기 점착 시트의 하부에 배치되는 시트 이탈 롤러; 및
    상기 부착 롤러에 외접되며, 상기 부착 롤러의 회전을 지지하는 백업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필름 부착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필름 부착부는,
    상기 부착 롤러, 상기 백업 롤러 및 상기 시트 이탈 롤러를 하나의 몸체로 지지하는 롤러 지지모듈;
    저마찰 실린더와, 상기 부착 롤러가 상기 점착 시트에 가압되는 가압력을 감지하는 로드 셀을 구비하며, 상기 장치 본체에 마련되되 상기 롤러 지지모듈을 업/다운(up/down) 구동시키는 모듈 업/다운 구동부; 및
    상기 장치 본체에 마련되되 상기 롤러 지지모듈 및 상기 모듈 업/다운 구동부와 연결되며, 상기 롤러 지지모듈이 상기 패널 슬라이더 상에서 왕복 구동되도록 주행시키는 모듈 주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필름 부착시스템.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 시트의 양단부에는 상기 점착 시트의 양단부를 지지하는 제1 및 제2 시트 클램프가 결합되며,
    상기 시트 탑재부는,
    상기 장치 본체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제1 시트 클램프가 탑재되게 지지하는 제1 클램프 탑재용 지지대; 및
    상기 장치 본체의 타측에 마련되며, 상기 제2 시트 클램프가 탑재되게 지지하는 제2 클램프 탑재용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필름 부착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램프 탑재용 지지대와 상기 제2 클램프 탑재용 지지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며, 상기 점착 시트의 장력을 유지시키는 시트 장력 유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시트 장력 유지부는,
    상기 장치 본체의 일측에 결합되는 슬라이딩 레일;
    상기 슬라이딩 레일에 레일 맞물림되는 레일 블록을 구비하며, 상기 제1 클램프 탑재용 지지대에 결합되는 지지대 서포트; 및
    상기 지지대 서포트에 연결되어 동작되는 장력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필름 부착시스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KR1020170149158A 2017-11-10 2017-11-10 기능성 필름 부착시스템 KR1019727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9158A KR101972781B1 (ko) 2017-11-10 2017-11-10 기능성 필름 부착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9158A KR101972781B1 (ko) 2017-11-10 2017-11-10 기능성 필름 부착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2781B1 true KR101972781B1 (ko) 2019-04-26

Family

ID=66281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9158A KR101972781B1 (ko) 2017-11-10 2017-11-10 기능성 필름 부착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278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8572A (ko) * 2020-03-23 2021-10-01 (주)에스티아이 보호필름 박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제조 방법
KR20220093505A (ko) * 2020-12-28 2022-07-05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플렉시블 자재의 비접촉 로딩시스템 및 로딩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3468A (ko) 2003-12-22 2005-06-28 주식회사한맥아이피에스 주차유도 시스템
KR20100006418A (ko) * 2008-07-09 2010-01-19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기능성 필름 부착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084111A (ko) * 2012-01-16 2013-07-24 주식회사대지정밀 디에프에스알용 필름제거방법
KR20160144202A (ko) * 2015-06-08 2016-12-16 주식회사 로보스타 워크 테이핑 로봇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72154A (ko) * 2015-12-16 2017-06-26 가부시키가이샤 다카토리 접착 시트 첩부 장치 및 첩부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3468A (ko) 2003-12-22 2005-06-28 주식회사한맥아이피에스 주차유도 시스템
KR20100006418A (ko) * 2008-07-09 2010-01-19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기능성 필름 부착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084111A (ko) * 2012-01-16 2013-07-24 주식회사대지정밀 디에프에스알용 필름제거방법
KR20160144202A (ko) * 2015-06-08 2016-12-16 주식회사 로보스타 워크 테이핑 로봇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72154A (ko) * 2015-12-16 2017-06-26 가부시키가이샤 다카토리 접착 시트 첩부 장치 및 첩부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8572A (ko) * 2020-03-23 2021-10-01 (주)에스티아이 보호필름 박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제조 방법
KR102310537B1 (ko) * 2020-03-23 2021-10-08 (주)에스티아이 보호필름 박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제조 방법
KR20220093505A (ko) * 2020-12-28 2022-07-05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플렉시블 자재의 비접촉 로딩시스템 및 로딩방법
KR102470516B1 (ko) * 2020-12-28 2022-11-25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플렉시블 자재의 비접촉 로딩시스템 및 로딩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85028B (zh) 剝離裝置及剝離方法
KR20190053373A (ko) 기능성 필름 부착시스템
KR102149193B1 (ko) 기능성 필름 부착시스템
KR101972781B1 (ko) 기능성 필름 부착시스템
KR102092017B1 (ko) 기능성 필름 부착시스템
KR20140104113A (ko) 기능성 필름 부착 시스템
KR20190078799A (ko) 보호 필름 박리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기능성 필름 부착시스템
KR102206345B1 (ko) 다관절 로봇식 보호 필름 박리장치
KR101911691B1 (ko) 플라즈마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기능성 필름 부착시스템
KR101972341B1 (ko) 기능성 필름 부착시스템
KR101972342B1 (ko) 기능성 필름 부착시스템
KR101419353B1 (ko)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
KR20190053371A (ko)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
KR101731262B1 (ko) 평면 디스플레이용 필름 부착장치
KR102064192B1 (ko) 기능성 필름 부착시스템
KR102252623B1 (ko) 다관절 로봇식 보호 필름 박리장치
JP2012001291A (ja) フィルム剥離装置およびフィルム剥離方法
KR102092016B1 (ko)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기능성 필름 부착시스템
KR101430667B1 (ko)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
KR102102136B1 (ko) 기능성 필름 부착시스템
JP2001220057A (ja) キャリアテープの剥離機構及びこれを用いた供給材の貼付装置
KR100659117B1 (ko) 플렉시블 기판 정렬 인식 시스템
KR102093654B1 (ko) 기능성 필름 부착시스템
WO2010061885A1 (ja) フィルム剥離装置および剥離方法
KR101467239B1 (ko) 테이프 부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