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5724B1 - 무용접 플렉시블 튜브 제품 - Google Patents

무용접 플렉시블 튜브 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5724B1
KR101395724B1 KR1020130092511A KR20130092511A KR101395724B1 KR 101395724 B1 KR101395724 B1 KR 101395724B1 KR 1020130092511 A KR1020130092511 A KR 1020130092511A KR 20130092511 A KR20130092511 A KR 20130092511A KR 101395724 B1 KR101395724 B1 KR 1013957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exible tube
connector
flange
woven fabric
adap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2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호진
박형선
Original Assignee
승진산업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승진산업 (주) filed Critical 승진산업 (주)
Priority to KR10201300925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57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57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57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20Undivided rings, sleeves or like members contracted on the hose or expanded in the hose by means of tools; Arrangements using such members
    • F16L33/207Undivided rings, sleeves or like members contracted on the hose or expanded in the hose by means of tools; Arrangements using such members only a sleeve being contracted on the ho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01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adapted for hoses having a multi-layer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 용접방식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프레스를 이용한 무용접 압착방식에 의해, 금속직조물로 감싼 플렉시블 튜브와 커넥터를 일체화시킨 무용접 플렉시블 튜브 제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용접 플렉시블 튜브 제품은, 벨로우즈 타입 또는 인터록 타입의 플렉시블 튜브와, 플렉시블 튜브의 외면 전부 또는 일부를 감싸는 금속직조물과, 다른 배관과의 연결접속에 사용하는 플랜지붙이 커넥터로서 금속직조물로 감싼 플렉시블 튜브의 단부 내측으로 끼워넣는 삽입부를 갖는 커넥터와, 플렉시블 튜브를 감싼 금속직조물이 플렉시블 튜브에 대해 고정되도록 금속직조물의 단부 외측으로 끼워 압착변형시키는 결합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용접 플렉시블 튜브 제품{Nonwelding flexible tube product}
본 발명은 플렉시블 튜브 제품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는, 플렉시블 튜브를 감싼 금속직조물(braid)의 단부(端部)에 결합링을 끼워 프레스로 압착하는 무용접 압착방식으로 제조됨에 따라, 용접방식의 기존 제품보다 외관이 미려하고, 제품 생산성과 고온에서의 사용 안전성이 더 향상된, 무용접 플렉시블 튜브 제품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동일자 다른 특허출원 명세서에 개시된 전선보호용 내압 방폭 플렉시블 케이블 그랜드가 단부에 조립된 플렉시블 튜브 제품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전선보호용이나 유체수송용으로 사용되는 플렉시블 튜브 제품은, 통상, 플렉시블 튜브와, 플렉시블 튜브의 겉을 감싸는 금속직조물과, 다른 배관과의 연결접속에 사용되는 커넥터로 이루어져 있다.
금속직조물로 감싼 플렉시블 튜브의 단부는 커넥터의 내부로 삽입되거나 커넥터의 한쪽 단면(端面)에 형성된 그루브 안으로 삽입되어 용접되는데, 이러한 용접방식은 아래와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플렉시블 튜브 제품이 고온 환경에서 사용되는 경우에, 납땜부위가 물러져 커넥터가 분리될 수 있다는 점(고온 안전성 문제).
둘째, 용접부위는 표면이 거칠고 광택이 나지 않아 보기에 나쁘다는 점(외관성 문제).
셋째, 용접작업은 비교적 높은 숙련도를 요구하므로, 제조비용 증가나 불량률 증가 중 어느 하나를 야기한다는 점(생산성 문제).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198331
본 발명은 종래 용접방식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프레스를 이용한 무용접 압착방식에 의해, 금속직조물로 감싼 플렉시블 튜브와 커넥터를 일체화시킴으로써, 종래 방식에 따른 제품보다 외관이 미려하고 생산성과 고온 안전성이 향상된 무용접 플렉시블 튜브 제품을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또한, 동일자 다른 특허출원 명세서에 개시된 내압 방폭 플렉시블 케이블 그랜드가 단부에 조립된 무용접 플렉시블 튜브 제품을 제공하는 데에도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용접 플렉시블 튜브 제품의 구성상 특징은 다음과 같다.
[1] 벨로우즈(bellows) 타입 또는 인터록(interlock) 타입의 플렉시블 튜브와, 플렉시블 튜브의 외면 전부 또는 일부를 감싸는 금속직조물(braid)과, 다른 배관과의 연결접속에 사용하는 플랜지붙이 커넥터로서 금속직조물로 감싼 플렉시블 튜브의 단부 내측으로 끼워넣는 삽입부를 갖는 커넥터와, 플렉시블 튜브를 감싼 금속직조물이 플렉시블 튜브에 대해 고정되도록 금속직조물의 단부 외측으로 끼워 압착변형시키는 결합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용접 플렉시블 튜브 제품.
[2] 상기 [1]에서, 커넥터는 플렉시블 튜브의 단부 내측으로 끼워넣는 삽입부와, 삽입부의 삽입깊이를 규제함과 아울러 금속직조물로 감싸인 플렉시블 튜브의 한쪽 단면과 결합링의 한쪽 단면이 동시에 지지될 수 있도록 삽입부의 전단(前端) 둘레에 돌출형성된 플랜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용접 플렉시블 튜브 제품.
[3] 상기 [2]에서, 커넥터는 다른 배관과의 연결접속에 사용하는 나사결합부가 플랜지의 전면(前面)에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용접 플렉시블 튜브 제품.
[4] 상기 [2] 및 [3]에서, 커넥터는 플랜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보호림을 더 구비하며, 보호림은 결합링의 외측에 위치되어 결합링과 일부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용접 플렉시블 튜브 제품.
[5] 상기 [1] 내지 [4]에 기재된 무용접 플렉시블 튜브 제품의 커넥터에 케이블 그랜드가 조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용접 플렉시블 튜브 제품.
[6] 상기 [5]에서, 케이블 그랜드는, 플렉시블 튜브의 겉을 금속직조물로 감싼 플렉시블 튜브 조립체의 삽입방향을 전후방향으로 하여 후단측 내주면에는 커넥터의 플랜지에 걸리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전단측 내주면에는 나사가공이 행해진 그랜드 너트와, 커넥터 전방에 위치되도록 그랜드 너트의 전단측 내에 배치되는 어댑터와, 무용접 압착방식으로 플렉시블 튜브 조립체의 단부에 결합시킨 커넥터의 플랜지를 향해 어댑터를 가압할 수 있도록 어댑터 전방에 배치되며 내부로 지나가는 전선의 위치고정이 가능하고 전단측 외주면에 나사가공이 행해진 그랜드와, 그랜드 너트 및 그랜드와 동시에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후단측 내주면과 외주면에 나사가공이 각각 행해진 연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그 중, 그랜드는, 전선구멍이 천공된 판(板) 형태로서 케이블 그랜드의 조립시에 플랜지를 향해 어댑터를 가압하는 누름판과, 전선구멍의 일부분을 둘러싸는 형태로 누름판으로부터 돌출되어 전단측에 이어진 설치자리와, 전선구멍을 통과한 전선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도록 설치자리에 결합되는 규제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용접 플렉시블 튜브 제품.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ⅰ) 납땜방식 대신, 무용접 압착방식으로 플렉시블 튜브 조립체의 단부에 커넥터를 장착하므로, 고온환경에서 장시간 사용해도 커넥터가 분리되는 경우가 없어, 고온에서의 사용안전성이 향상된다.
(ⅱ) 또, 납땜부위가 없으므로, 제품 외관이 미려한 장점이 있다.
(ⅲ) 또, 납땜작업보다 수월한 프레스작업으로 제품을 생산하므로, 생산성이 향상되고 제조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게다가 프레스 제품은 용접 제품보다 품질이 우수하고, 불량률이 낮다.
(ⅳ) 또, 그랜드에 형성되어 있는 설치자리에 전선 압박용 규제판이 분해 가능하게 조립되므로, 플렉시블 튜브 제품 내에서 전선이 흔들거리는 일이 없고, 플렉시블 튜브 제품의 전후방향으로 전선이 잡아 당겨져도 힘이 가해지는 쪽으로 전선이 끌려나가지 않는다.
(ⅴ) 또, 동일자 다른 출원명세서에 개시된 내압 방폭 플렉시블 케이블 그랜드가 조립된 무용접 플렉시블 튜브 제품은, 플렉시블 튜브 제품 속의 가스 압력이 주변 기압보다 높을 경우, 그 차압(差壓)에 해당하는 양만큼 가스가 자연스럽게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므로, 플렉시블 튜브 제품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한편, 앞에서 설명되지 아니한 그 외의 작용효과는 후술하는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용접 플렉시블 튜브 제품의 한쪽 단부가 압착되기 전의 모양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용접 플렉시블 튜브 제품의 한쪽 단부가 압착된 후의 모양을 나타낸 사시도.
도 3 (a)와 (b)는 벨로우즈 타입의 플렉시블 튜브가 채용된 무용접 플렉시블 튜브 제품의 한쪽 단부에 대해 프레스 압착작업이 행해지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 (a)와 (b)는 인터록 타입의 플렉시블 튜브가 채용된 무용접 플렉시블 튜브 제품의 한쪽 단부에 대해 프레스 압착작업이 행해지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 (a) 내지 (c)는 압착작업의 실행 전후로 달라진 무용접 플렉시블 튜브 제품의 단부 모양의 변화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용접 플렉시블 튜브 제품의 단부에, 동일자 다른 출원 명세서에 개시된 내압 방폭 플렉시블 케이블 그랜드가 조립된 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무용접 플렉시블 튜브 제품의 실시예가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실시예 1≫
도 1, 2, 3 (a)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무용접 플렉시블 튜브 제품은, 벨로우즈 타입의 플렉시블 튜브(110) 및 이 플렉시블 튜브(110)의 외면 전부를 둘러싸는 금속직조물(120)로 구성된 플렉시블 튜브 조립체(100)와, 이 조립체(100)의 단부 내측에 끼워넣는 삽입부(210)를 가진 플랜지붙이 커넥터(200)와, 커넥터(200)의 삽입부(210)가 끼워진 플렉시블 튜브 조립체(100)의 단부 외측으로 끼우는 결합링(300)으로 이루어져 있다.
프레스를 사용한 압착작업은, 커넥터(200)가 임시로 조립되어 있는 플렉시블 튜브 조립체(100)의 단부 내측으로, 예를 들면 원형 단면의 내압봉(400)을 끼운 상태에서, 결합링(300)에 압력(P)을 가해 변형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결합링(300)과 플렉시블 튜브 조립체(100) 사이의 클리어런스가 클수록 프레스로 결합링(300)을 압착했을 때 생기는 압착변형부(310)의 사이즈(높이, 두께 등)는 커진다. 이 압착변형부(310)가 제품의 외관과 성능에 해를 주지 않는다면, 그대로 두어도 무방하지만, 제거해야 할 이유가 있다면, 그라인딩으로 갈아내면 된다.
≪실시예 2≫
도 3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과 달리, 본 실시예의 커넥터(200)에는 플랜지(220)의 둘레를 따라 보호림(230)이 구비되어 있는데, 이 보호림(230)은, 예를 들면 결합링(300)의 압착변형 후, 결합링(300)과 일부분이 중첩되도록 프레스로 플랜지(220)를 압착함으로써 형성된다.
≪실시예 3≫
도 4 (a)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무용접 플렉시블 튜브 제품은, 플렉시블 튜브(110)로서 인터록(interlock) 타입의 것이 사용된 점을 제외하면,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이미, 실시예 1에서 각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이 충분히 이루어졌으므로, 여기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4≫
도 4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실시예 2의 변형에 해당하는바, 그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 5≫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링(300)을 사용한 무용접 압착방식에 의해, 플렉시블 튜브 조립체(100)의 한쪽 단부에 커넥터(200)가 장착된 무용접 플렉시블 튜브 제품은, 커넥터(200) 측에 내압 방폭형 케이블 그랜드(500)가 더 조립되어 있다.
플렉시블 튜브 조립체(100)의 길이방향을 전후방향으로 정의했을 때, 그랜드 너트(510)의 후단측 내주면에는 커넥터(200)의 플랜지(220)에 걸리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고, 전단측 내주면에는 나사가공이 행해져 있다.
또, 커넥터(200) 앞쪽에 배치되는 형태로, 링 형상의 어댑터(520)가 그랜드 너트(510)의 전단측 내부에 위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어댑터(520)의 전방(前方)에는 케이블 그랜드(500)의 주요 부품인 그랜드(530)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그랜드(530)는, 전선구멍이 천공된 누름판(533)과, 전선구멍의 일부분을 둘러싼 원호 형태로 누름판(533)의 전면(前面)에 돌출형성되는 설치자리(532)와, 이 설치자리(532)에 대해 분해 가능한 형태로 조립되는 규제판(531)과, 설치자리(532)와 일체로 연결된 형태로 설치자리의 전면(前面)으로부터 돌출형성된 전단측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전단측의 외주면에는 나사가공이 행해져 있다.
따라서 케이블 그랜드(500)를 커넥터(200) 측에 조립하면, 어댑터(520)가 그랜드(530)의 누름판(533)에 의해 후방으로 밀려 커넥터(200)의 플랜지(220)에 밀착된다. 또한, 그랜드(530)의 내부로 삽입된 전선은, 설치자리(532)가 있는 위치에서 규제판(531)에 의해 압박되어 위치고정된다.
또한, 케이블 그랜드(500)를 커넥터(200) 측에 조립하면, 그랜드 너트(510)의 내주면과 어댑터(520)의 외주면과 그랜드(530)의 설치자리(532)가 가스배출경로를 형성한다.
또, 그랜드(530) 앞에는 그랜드 너트(510)의 전단측 내주면과 그랜드(530)의 전단측 외주면에 동시에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후단측 내주면과 외주면에 나사가공이 행해진 연결구(560)가 배치됨과 아울러, 연결구(560)의 후단측 내부에는 고무제 패킹(550)과 금속제 와셔(540)가 각각 삽입되어 있는데, 이 패킹(550)은 전선을 관통시키는 벽면 두께가 가장 얇게 되어 있다.
한편, 상기 패킹(550)과 와셔(540)는 둘 다 생략되는 경우도 있고, 둘 중 어느 하나만 생략되는 경우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벨로우즈 타입 플렉시블 튜브(110)가 사용되었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인터록(interlock) 타입의 것이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100...플렉시블 튜브 조립체
110...플렉시블 튜브 120...금속직조물
200...커넥터
210...삽입부 220...플랜지
230...보호림(protecting rim)
300...결합링
310...압착변형부
400...내압봉(billet)
500...케이블 그랜드
510...그랜드 너트 520...어댑터
530...그랜드 531...규제판
532...설치자리 533...누름판
540...와셔 550...패킹
560...연결구

Claims (6)

  1. 벨로우즈(bellows) 타입 또는 인터록(interlock) 타입의 플렉시블 튜브와;
    플렉시블 튜브의 외면 전부 또는 일부를 감싸는 금속직조물(braid)과;
    다른 배관과의 연결접속에 사용하는 플랜지붙이 커넥터로서, 금속직조물로 감싼 플렉시블 튜브의 단부 내측으로 끼워넣는 삽입부를 갖는 커넥터와;
    플렉시블 튜브를 감싼 금속직조물이 플렉시블 튜브에 대해 고정되도록, 금속직조물의 단부 외측으로 끼워 압착변형시키는 결합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커넥터는,
    플렉시블 튜브의 단부 내측으로 끼워넣는 삽입부와,
    삽입부의 삽입깊이를 규제함과 아울러, 금속직조물로 감싸인 플렉시블 튜브의 한쪽 단면과 결합링의 한쪽 단면이 동시에 지지될 수 있도록, 삽입부의 전단(前端) 둘레에 돌출형성된 플랜지와,
    결합링의 외측에 위치되어 결합링과 일부 중첩되도록 플랜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보호림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용접 플렉시블 튜브 제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다른 배관과의 연결접속에 사용하는 나사결합부가 플랜지의 전면(前面)에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용접 플렉시블 튜브 제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무용접 플렉시블 튜브 제품의 커넥터에 케이블 그랜드가 조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용접 플렉시블 튜브 제품.
  4. 제3항에 있어서,
    케이블 그랜드는,
    플렉시블 튜브의 겉을 금속직조물로 감싼 플렉시블 튜브 조립체의 삽입방향을 전후방향으로 하여, 후단측 내주면에는 커넥터의 플랜지에 걸리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전단측 내주면에는 나사가공이 행해진 그랜드 너트와;
    커넥터 전방에 위치되도록 그랜드 너트의 전단측 내에 배치되는 어댑터와;
    무용접 압착방식으로 플렉시블 튜브 조립체의 단부에 결합시킨 커넥터의 플랜지를 향해 어댑터를 가압할 수 있도록 어댑터 전방에 배치되며, 내부로 지나가는 전선의 위치고정이 가능하고, 전단측 외주면에 나사가공이 행해진 그랜드와;
    그랜드 너트 및 그랜드와 동시에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후단측 내주면과 외주면에 나사가공이 각각 행해진 연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그랜드는,
    전선구멍이 천공된 판(板) 형태로서 케이블 그랜드의 조립시에 플랜지를 향해 어댑터를 가압하는 누름판과,
    전선구멍의 일부분을 둘러싸는 형태로 누름판으로부터 돌출되어 전단측에 이어진 설치자리와,
    전선구멍을 통과한 전선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도록 설치자리에 결합되는 규제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용접 플렉시블 튜브 제품.
  5. 삭제
  6. 삭제
KR1020130092511A 2013-08-05 2013-08-05 무용접 플렉시블 튜브 제품 KR1013957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2511A KR101395724B1 (ko) 2013-08-05 2013-08-05 무용접 플렉시블 튜브 제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2511A KR101395724B1 (ko) 2013-08-05 2013-08-05 무용접 플렉시블 튜브 제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5724B1 true KR101395724B1 (ko) 2014-05-16

Family

ID=50894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2511A KR101395724B1 (ko) 2013-08-05 2013-08-05 무용접 플렉시블 튜브 제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572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5997B1 (ko) * 2015-09-25 2016-04-01 곽동수 무용접 플렉시블 튜브 모듈
KR101615560B1 (ko) 2016-01-11 2016-04-27 최덕용 플렉서블 튜브와 강관의 용접 방법
KR101690088B1 (ko) 2016-06-02 2016-12-27 주식회사 준성 테프론코팅 가스이송관 제조방법
KR20200002644U (ko) 2020-11-17 2020-12-07 명은전기 주식회사 방폭 플렉시블 튜브용 단말 부싱
KR102292190B1 (ko) * 2020-11-18 2021-08-20 박득재 합성수지제 가요전선관과 금속제 가요전선관 체결용 이종 커플링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0127Y1 (ko) 2000-11-20 2001-04-16 주식회사코푸렉스 호스의 결합 확인구조
KR20070092900A (ko) * 2006-03-09 2007-09-14 강철 충격흡수장치를 가진 후렉시블연결관
KR20110115120A (ko) * 2011-10-10 2011-10-20 이상경 관 결합구조
KR20120034274A (ko) * 2010-10-01 2012-04-12 (주)아진상사 금속관 연결 구조 및 이에 적합한 연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0127Y1 (ko) 2000-11-20 2001-04-16 주식회사코푸렉스 호스의 결합 확인구조
KR20070092900A (ko) * 2006-03-09 2007-09-14 강철 충격흡수장치를 가진 후렉시블연결관
KR20120034274A (ko) * 2010-10-01 2012-04-12 (주)아진상사 금속관 연결 구조 및 이에 적합한 연결 방법
KR20110115120A (ko) * 2011-10-10 2011-10-20 이상경 관 결합구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5997B1 (ko) * 2015-09-25 2016-04-01 곽동수 무용접 플렉시블 튜브 모듈
KR101615560B1 (ko) 2016-01-11 2016-04-27 최덕용 플렉서블 튜브와 강관의 용접 방법
KR101690088B1 (ko) 2016-06-02 2016-12-27 주식회사 준성 테프론코팅 가스이송관 제조방법
KR20200002644U (ko) 2020-11-17 2020-12-07 명은전기 주식회사 방폭 플렉시블 튜브용 단말 부싱
KR102292190B1 (ko) * 2020-11-18 2021-08-20 박득재 합성수지제 가요전선관과 금속제 가요전선관 체결용 이종 커플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6180B1 (ko) 무용접 방폭용 케이블 그랜드 조립체
KR101395724B1 (ko) 무용접 플렉시블 튜브 제품
US20180372251A1 (en) Fluid fitting
KR101318238B1 (ko) 전선보호용 내압 방폭 플렉시블 케이블 그랜드
US20230313919A1 (en) Fitting device for making connection tube
JP2011256997A5 (ko)
CN101752660A (zh) 电气装置的机壳及天线装置
KR102117915B1 (ko) 신축배관과의 연결이 용이한 멀티관 구조
KR101723205B1 (ko) 냉매관 연결구
KR101636798B1 (ko) 파이프 연결 조인트
CN209991036U (zh) 一种管路连接结构及管路系统
CN202674559U (zh) 电热管与盖板部件的密封连接结构
CN105977073A (zh) 喷口连接结构及使用该结构的灭弧室和断路器
KR20160119559A (ko) 유압용 호스의 연결구
US20140265323A1 (en) Joint device for corrugated pipe
KR200486985Y1 (ko) 이경관 연결용 조인트 및 이를 이용한 확관형 배관
KR20200124917A (ko) 샤워기용 호스
JP2002048275A (ja) 配管継手
KR200469245Y1 (ko) 압착링을 이용한 호스연결장치
CN218326643U (zh) 金属燃气管
JP2014149071A (ja) ホース用継手及びホース用継手の製造方法
CN208619915U (zh) 一种快速连接燃气管
FR2567241A3 (fr) Raccord de liaison pour tuyauteries avec corps d'etancheite unique
KR20240052383A (ko) 무용접 플렉시블 조인트 장치
CN204269136U (zh) 一种传感器导线的固定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