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0127Y1 - 호스의 결합 확인구조 - Google Patents

호스의 결합 확인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0127Y1
KR200220127Y1 KR2020000032373U KR20000032373U KR200220127Y1 KR 200220127 Y1 KR200220127 Y1 KR 200220127Y1 KR 2020000032373 U KR2020000032373 U KR 2020000032373U KR 20000032373 U KR20000032373 U KR 20000032373U KR 200220127 Y1 KR200220127 Y1 KR 2002201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e
coupling
metal mesh
connector
coupling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23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승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코푸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코푸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코푸렉스
Priority to KR20200000323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01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01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0127Y1/ko

Links

Landscapes

  • Joints That Cut Off Fluids, And Hose Joints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호스의 결합 확인구조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금속망(40)이 외주면에 결합된 호스(50)의 끝단 외경에 결합관(30)을 삽입하고, 상기 호스(50)의 내경에는 다수개의 결합돌기(22)가 형성된 연결구(20)의 끼움단(24)을 끼운 후 상기 결합관(30)을 변형시켜 상기 금속망(40)과 호스(50)를 연결구(20)에 결합시키도록 된 호스와 연결구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결합관(30)의 일측에는 내부로 삽입되는 금속망(40)의 삽입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확인공(32)이 천공되는 구조를 갖는다. 본 고안에 의하면, 금속망(40)이 결합된 호스(50)를 상기 결합관(30)에 삽입시킬 때, 금속망(40)의 삽입 여부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호스(50)의 삽입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음으로써, 연결구(20)와 호스(50)의 결합시 불량율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Description

호스의 결합 확인구조{COMBINATION CONFIRMATION STRUCTURE OF HOSE}
본 고안은 호스의 결합 확인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금속망이 결합된 호스를 연결관에 결합할 경우에, 금속망이 결합관 내부로 삽입되었는지의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호스와 연결구의 결합시 불량율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호스의 결합 확인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호스는 내부호스를 보호하기 위하여 그 외주면에 보호부재가 결합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호스는 연결구에 의해 다른 호스에 연결되거나, 각종 기계장치에 연결되는 것이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망(1)이 결합된 호스(2)는 그 끝단부로 연결구(3)의 끼움단(3-1)이 삽입되고, 상기 끼움단(3-1)에 삽입된 호스(2)는 결합관(4)에 의해 상기 연결구(3)와 결합되는 것이다.
다시 설명하면, 상기 호스(2)와 결합된 금속망(1)의 끝단 외경에 결합관(4)이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끼움단(3-1)을 상기 호스(2)의 내경으로 삽입시킨 후 상기 결합관(4)을 압박하여 변형시킴으로써, 상기 금속망(1)과 호스(2)가 상기 끼움단(3-1)에 견고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한 호스(2)의 결합구조는 상기 결합관(4)의 내부로 상기 호스(2)와 금속망(1)이 완벽하게(금속망(1)의 끝단이 결합관(4)의 내부 내측면(4-1)에 접촉되는 상태) 삽입되었는지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스(2)의 끝단부는 결합관(4)의 내측면(4-1)에 접촉되나, 상기 금속망(1)은 미처 삽입되지 않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었으나, 종래기술에 의한 호스(2)의 결합구조는 이를 확인할 수 있는 수단이 제시되지 않았다.
이와 같이, 상기 금속망(1)의 끝단부가 상기 결합관(4)의 내측면(4-1)에 접촉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결합관(4)를 압박하여 변형시키게 되면, 상기 금속망(1)의 끝단 일부만 상기 결합관(4)에 의해 고정되는 결과를 가져오기 때문에 상기 금속망(1) 또는 호스(2)가 외력에 의해 연결구(3)로부터 쉽게 이탈 분리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고, 이러한 문제점은 상기 호스(2)와 연결구(3)의 결합구조가 상기 호스(2)와 금속망(1)의 삽입여부를 확인할 수 없는 구조로 되어 있었기 때문에 발생하고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금속망이 결합된 호스를 연결관에 삽입시켜 결합시킬 때, 금속망의 삽입 여부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하여 호스와 연결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호스와 연결관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호스의 결합 확인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결합 확인구조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결합 확인구조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일부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확인공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6a는 결합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6b는 결합관을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연결구 22 : 결합돌기
24 : 끼움단 30 : 결합관
32 : 확인공 34 : 장공
40 : 금속망 50 : 호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소하기 위한 본 고안은 금속망이 외주면에 결합된 호스의 끝단 외경에 결합관을 삽입하고, 상기 호스의 내경에는 다수개의 결합돌기가 형성된 연결구의 끼움단을 끼운 후 상기 결합관을 변형시켜 상기 금속망과 호스를 연결구에 결합시키도록 된 호스와 연결구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결합관의 일측에는 결합관의 내부로 삽입되는 금속망의 삽입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확인공이 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와 연결구의 결합 확인구조를 제공한다.
이때,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확인공을 장공으로 형성된 구조를 제공하고, 또 다른 실시예는 방사상으로 배열되어 형성되는 확인공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중에서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호스의 결합 확인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결합 확인구조의 결합상태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된 결합 확인구조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일부확대 단면도이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의한 호스의 결합 확인구조는 호스(50)와 금속망(40)을 연결구(30)와 결합시키도록 된 결합관(30)의 일측에 금속망(40)의 삽입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확인공(32)이 형성된 구성을 갖는다.
이때, 상기 호스(50)는 합성수지재 또는 고무재로 형성된 것이고, 그 외주면에는 가는 금속 와이어로 짜여진 금속망(40)이 피복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연결구(30)는 다른 호스 또는 기계장치와 연결되도록 형성된 것으로, 일단에는 다른 연결구와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고, 타단에는 외주면에 환형의 결합돌기(22)가 각각 형성된 끼움단(24)이 형성된다. 이러한 끼움단(24)은 상기 호스(50)의 내부로 삽입된다.
상기 결합관(30)은 일측이 개구되고 타측은 걸림단(36)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단(36)의 중앙부에는 상기 끼움단(24)이 삽입되도록 관통공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 것이다. 이러한 결합관(30)의 일측에는 확인공(32)이 천공된다.
즉, 상기 확인공(32)은 상기 걸림단(36) 측으로 치우친 부위에 형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관(30)에 호스(50)를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외경에 금속망(40)이 결합된 상기 호스(50)의 끝단을 상기 결합관(30)의 내부로 삽입하여 상기 호스(50)의 끝단부가 상기 결합관(30)의 걸림단(36) 내측면에 접촉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금속망(40)이 결합된 호스(50)가 결합관(30)에 삽입될 때, 작업자는 상기 확인공(32)을 통하여 호스(50)는 물론, 상기 금속망(40)이 삽입되는 지를 육안으로 확인한다.
즉,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관(30)의 내부로 호스(50)가 삽입될 때, 상기 호스(50)와 금속망(40)이 안전한 위치(확인공(32)이 형성된 결합관(30)의 내측)까지 삽입되는지를 육안으로 확인하는 것이다. 특히, 호스(50)와 다른 재질로 형성된 금속망(40)이 호스(50)와 이격되지 않고 완전하게 삽입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시 설명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합성수지재로 형성된 호스(50)와 금속재로 형성된 금속망(40)은 재질이 서로 상이하고, 상호 고정된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호스(50)를 결합관(30)에 삽입시킬 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금속망(40)의 끝단부가 결합관(30)의 내경에 밀착되어 내부로 완전하게 삽입되지 못하고 후방으로 밀리는 현상이 발생된다. 이때, 작업자는 상기 확인공(32)을 통하여 금속망(40)이 정상적으로 결합관(30) 내부로 삽입되는지 또는 삽입되었는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금속망(40)이 결합관(30) 내부로 완전하게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연결구(20)와 결합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결합관(30)의 내부로 금속망(40)이 결합된 호스(50)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호스(50)의 내부로 상기 연결구(20)의 끼움단(24)을 삽입시킨다.
즉, 상기 끼움단(24)을 결합관(30)에 삽입된 호스(50)의 내부로 삽입시키게 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구와 호스(50)가 결합된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결합관(30)을 가압하여 변형시키게 되면, 상기 끼움단(24)의 각 결합돌기(22)가 호스(50)의 내경에 압착되면서 호스(50)와 연결구(20)는 견고하게 연결 결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작업자가 금속망(40)이 결합된 호스(50)를 상기 결합관(30) 내부로 삽입한 후에, 상기 금속망(40)이 결합관(30)의 내측까지 삽입되었는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음으로써, 연결구(20)와 호스(50)의 조립 불량율을 현저하게 낮출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확인공(32)으로는 상기 금속망(40)의 삽입여부 뿐만 아니라, 호스(50)의 삽입여부도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 의한 확인공(32)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공(34) 형태로 형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결합관(30)에 길이방향으로 장공(34)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금속망(40)이 어느 정도 삽입되었는지를 보다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확인공(32)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확인공(32)이 상기 결합관(30)의 일측에 방사상으로 배열되어 천공된 것이다.
이와 같이 각각의 확인공(32)이 결합관(30)의 일측에 방사상으로 배열되어 형성됨으로써, 작업자는 보다 다양한 방향에서 호스(50) 또는 금속관(40)의 삽입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호스의 결합 확인구조는 금속망과 호스를 연결구에 결합시키도록 된 결합관의 일측에 호스 또는 금속관의 삽입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확인공을 천공한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하면, 금속망이 결합된 호스를 결합관에 삽입시킬 때, 금속망의 삽입 여부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호스의 삽입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음으로써, 연결구와 호스의 결합시 불량율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Claims (3)

  1. 금속망(40)이 외주면에 결합된 호스(50)의 끝단부를 결합관(30)의 내부로 삽입하고, 상기 호스(50)의 내경에는 다수개의 결합돌기(22)가 형성된 연결구(20)의 끼움단(24)을 끼운 후 상기 결합관(30)을 변형시켜 상기 금속망(40)과 호스(50)를 연결구(20)에 결합시키도록 된 호스와 연결구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결합관(30)의 일측에는 내부로 삽입되는 호스(50)와 금속망(40)의 삽입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확인공(32)이 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의 결합 확인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공(32)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장공(3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의 결합 확인구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공(32)은 방사상으로 배열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의 결합 확인구조.
KR2020000032373U 2000-11-20 2000-11-20 호스의 결합 확인구조 KR2002201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2373U KR200220127Y1 (ko) 2000-11-20 2000-11-20 호스의 결합 확인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2373U KR200220127Y1 (ko) 2000-11-20 2000-11-20 호스의 결합 확인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0127Y1 true KR200220127Y1 (ko) 2001-04-16

Family

ID=73091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2373U KR200220127Y1 (ko) 2000-11-20 2000-11-20 호스의 결합 확인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012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8441B1 (ko) 2011-04-12 2012-04-26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연결호스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95724B1 (ko) 2013-08-05 2014-05-16 승진산업 (주) 무용접 플렉시블 튜브 제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8441B1 (ko) 2011-04-12 2012-04-26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연결호스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95724B1 (ko) 2013-08-05 2014-05-16 승진산업 (주) 무용접 플렉시블 튜브 제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41553B1 (en) Connector for electrical cords and cables
US6869109B2 (en) Pipe joint
KR920000663B1 (ko) 파이프 연결용 커넥터
CA2146253C (en) Positive transition quick connect piping
US6343814B1 (en) Insertion verifier dust cap
JP3178198U (ja) ホース接続用のコネクタ
US20170152979A1 (en) Plug-in connector for fluid lines with inner adapter sleeve
US9746114B2 (en) Cartridge type quick coupling device
US4828297A (en) Fluid coupling
ITMI20010003A1 (it) Dispositivo di collegamento a innesto
JP4679240B2 (ja) 管継手
US6764106B1 (en) Cold form hex shell
US7303436B1 (en) Cable connector that prohibits the cable from rotation
RU2536461C2 (ru) Муфта с активируемым уплотнением
JP6580797B2 (ja) コンタクト素子及び導電体を有するアセンブリ、及び該アセンブリ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
US5094481A (en) Connector for small-diameter piping
SK158994A3 (en) Quick-fit union connector with indicator of connection
EP0785386B1 (en) Pipe joint
KR200220127Y1 (ko) 호스의 결합 확인구조
CA2199882A1 (en) Barbed tubular connectors
JP6614681B2 (ja) コネクタ
EP0896180A2 (en) Union for the connection of smooth pipes to threaded connections of hydraulic equipment and the like
CN100363675C (zh) 快速连接器
US4220358A (en) Pipe coupling
EP1441167B1 (en) Coupl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202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