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5130B1 - 차량용 유리 납품 용기 조립체 - Google Patents

차량용 유리 납품 용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5130B1
KR101395130B1 KR20120094786A KR20120094786A KR101395130B1 KR 101395130 B1 KR101395130 B1 KR 101395130B1 KR 20120094786 A KR20120094786 A KR 20120094786A KR 20120094786 A KR20120094786 A KR 20120094786A KR 101395130 B1 KR101395130 B1 KR 1013951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s
bottom plate
side plates
epp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094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0436A (ko
Inventor
윤재호
허봉립
박원용
한주택
김동명
철 김
유환조
Original Assignee
한화엘앤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엘앤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엘앤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200947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5130B1/ko
Publication of KR201400304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04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51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51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4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glass shee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0Packaging reuse or recycling, e.g. of multilayer packaging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유리 납품 용기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EPP로 제조된 판상의 바닥판; 상기 바닥판 상에 안착되며, EPP로 제조된 제1,2측판; 상기 바닥판, 제1,2측판에 의해 형성된 사각박스 형상을 갖는 용기의 개방된 상부를 밀폐하도록 EPP로 제조된 상판;을 포함하되, 상기 제1,2측판의 각 양단은 서로 엇갈린 형태로 맞물리게 제1,2돌출부가 구성되고, 상기 제1,2돌출부가 맞물린 부분을 밀폐하면서 하단은 상기 바닥판에 걸려 결속되게 하는 보강대를 더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유리 납품 용기 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EPP 소재로서 수거하여 재활용이 가능하고, 구조적으로 안정적이면서 경량이어서 조립 작업이 용이하며, 제조비용이 저렴하고, 작업효율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유리 납품 용기 조립체{ASSEMBLY FOR CONTAINING GLASS VESSEL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유리 납품 용기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차량 제조에 사용되는 각종 유리를 납품할 때 이를 수납하는 용기를 개량하여 유리 제품의 보호기능을 강화하고, 조립 생산이 용이하며, 제조원가를 낮추면서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한 차량용 유리 납품 용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차량 제조시 유리가 많이 사용된다.
이를 테면, 전면유리, 후면유리, 측면 도어용 유리를 비롯한 많은 유리들이 사용되는데, 이러한 유리 제품은 납품 용기에 수납된 채 제조사로 이송된다.
이때, 상기 유리 제품을 수납 이송하기 위한 납품 용기는 보통 스틸 용기로 제작된다.
이러한 스틸 용기는 강도가 강하기 때문에 유리 제품을 안전하게 수납 보관하는 장점을 갖는다.
그런데, 종래 스틸 용기는 조립식이기 때문에 유리 제품 적재 전에 가조립 후 유리 제품 적재 후 완전 조립하는 형태로 사용되는 불편함과 작업상 번거로움이 따른다.
또한, 조립시에도 볼트와 너트를 상호 체결하는 형태이기 때문에 작업공수가 많아 작업성이 저하되는 단점도 있다.
뿐만 아니라, 유리 제품 적재 후 공구를 이용한 조립 작업시 부주의에 의한 유리 파손, 안전사고의 위험 등이 상존해 있어 작업시 상당한 주의력이 요구된다.
아울러, 수출용 용기의 경우에는 1회 사용 후 고철로 폐기되기 때문에 재활용이 불가능하여 비용이 증대되고, 친환경적이지 못하다. 이는 이송중 부식, 찌그러짐, 부자재 분실 등의 문제가 야기되기 때문이다.
나아가, 스틸 용기는 프레임 형태이기 때문에 적재 후에도 유리 제품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이기 때문에 먼지, 스크래치 등으로부터 보호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비닐과 같은 수단으로 감싸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비닐 등으로 감싸더라도 먼지가 침투하는 것만을 차단할 뿐 외부 충격에 대해서는 내충격성이 없어 운반중 유리 제품의 파손 위험이 매우 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당해 분야에서는 이를 개선할 수 있는 대안이 개시되지 못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차량용 유리 제품의 적재 보관을 안전하게 하면서 포장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이송 후 분리 수거하여 재활용이 가능하면서 구조적으로 안정적이며, 경량이면서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유리 납품 용기 조립체를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EPP로 제조된 판상의 바닥판; 상기 바닥판 상에 안착되며, EPP로 제조된 제1,2측판; 상기 바닥판, 제1,2측판에 의해 형성된 사각박스 형상을 갖는 용기의 개방된 상부를 밀폐하도록 EPP로 제조된 상판;을 포함하되, 상기 제1,2측판의 각 양단은 서로 엇갈린 형태로 맞물리게 제1,2돌출부가 구성되고, 상기 제1,2돌출부가 맞물린 부분을 밀폐하면서 하단은 상기 바닥판에 걸려 결속되게 하는 보강대를 더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유리 납품 용기 조립체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바닥판의 네 모서리에는 설치홈이 요입형성되고, 상기 제1,2측판의 하단면 양측에는 상기 설치홈에 각각 끼움되는 돌기가 돌출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제1,2돌출부는 제1,2측판의 각 양단으로부터 사각판상으로 돌출된 후 서로 엇갈려 맞물리게 배치되고, 상기 제1,2돌출부 및 상기 바닥판의 모서리부를 상하로 관통하여 결속하는 고정핀이 구비되되, 상기 고정핀은 상기 보강대에 일체로 형성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보강대의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브라켓이 구비되되, 상기 브라켓에는 홀이 형성되고, 상기 홀에는 고정볼이 끼워져 상기 고정볼의 개재하에 보강대를 상하로 적층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아울러, 상기 제1,2돌출부는 제1,2측판의 각 양단으로부터 사각판상으로 돌출되되, 상기 제1돌출부의 하단면에는 결합돌기가 하향돌출되고, 상기 제2돌출부의 상단면에는 상기 결합돌기가 끼워지는 결합요홈이 요입 형성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제1돌출부의 하단면을 기준으로 대각선방향에서 돌출되고, 상기 결합요홈은 이와 대응되게 요입형성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2돌출부는 제1,2측판의 각 양단으로부터 사각판상으로 돌출된 후 서로 엇갈려 맞물리게 배치되고, 상기 제1,2돌출부 및 상기 바닥판의 모서리부를 상하로 관통하여 결속하는 고정핀이 구비되되, 상기 고정핀의 상단에는 고정볼이 일체로 형성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나아가, 상기 제1,2돌출부는 제1,2측판의 각 양단으로부터 돌출된 후 서로 엇갈려 맞물리게 배치되되, 상기 제1,2돌출부는 굴곡형상으로 형성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1,2돌출부는 제1,2측판의 각 양단으로부터 돌출된 후 서로 엇갈려 맞물리게 배치되되, 상기 제1돌출부는 'ㅛ'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돌출부는 'ㅓ'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호 끼움 조립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제1,2돌출부는 제1,2측판의 각 양단으로부터 돌출된 후 서로 엇갈려 맞물리게 배치되되, 상기 제1돌출부는 'ㄴ'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돌출부는 'ㄱ'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호 끼움 조립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이때, 상기 제1,2돌출부가 서로 맞물려 형합된 상태에서 제1,2측판의 외측면에는 고정밴드가 결속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이 경우, 상기 고정밴드는 신축성있는 고무밴드 혹은 띠 형상의 금속밴드인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EPP(발포 폴리프로필렌) 소재로서 수거하여 재활용이 가능하고, 구조적으로 안정적이면서 경량이어서 조립 작업이 용이하며, 제조비용이 저렴하고, 작업효율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유리 납품 용기 조립체의 예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용기 조립체의 요부 결합구조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패드의 설치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립체 분리 수거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 제2실시예에 따른 용기 조립체의 결합구조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 제3실시예에 따른 용기 조립체의 결합구조를 보인 예시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 제4실시예에 따른 용기 조립체의 결합구조를 보인 예시이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 제5실시예에 따른 용기 조립체의 결합구조를 보인 예시이다.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 제6실시예에 따른 용기 조립체의 결합구조를 보인 예시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유리 납품 용기 조립체는 기존 스틸 용기와 달리 EPP(Expanded Polypropylene) 소재로 이루어지므로 재활용이 가능하고, 쿠션기능이 있어 외부충격으로부터 적재품인 유리 제품을 보호할 수 있으며, 부식이나 찌그러짐, 파손이 일어나지 않아 분리 해체 후 수거한 다음 재활용할 수 있고, 간단한 조립구조를 갖기 때문에 조립 및 해체가 쉬워 작업효율이 향상됨은 물론 부자재를 분실할 우려가 없는 등 많은 장점을 갖는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 조립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는데, 이하 설명과 같다.
[제1실시예]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용기 조립체는 도 1에서와 같이, 바닥판(100), 제1,2측판(200,300) 및 상판(400)을 포함한다.
이때, 제1,2측판(200,300)은 각각 서로 마주보고 쌍을 이루는 형태로 구비된다.
특히, 상기 바닥판(100)은 그 하면이 굴곡지게 형성되어 지게차 등 운반수단의 포크를 삽입하여 들어 올리기 쉽도록 끼움홈(110)을 갖는 팔레트 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바닥판(100)을 포함한 제1,2측판(200,300) 및 상판(40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EPP 소재로 형성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바닥판(100)의 상면 적소에는 도 2와 같은 다수의 설치홈(120)이 요입형성되는데, 상기 설치홈(120)에는 상기 제1,2측판(200,300)의 각 하단면 양측에서 돌출된 돌기(D)가 끼워진다.
그리고, 상기 제1,2측판(200,300)은 각 양단이 서로 끼워져 맞물리는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이를 위해 상기 제1측판(200)의 길이방향 양단에는 상하로 일정간격을 두고 사각형상의 제1돌출부(210)가 돌출되고, 상기 제2측판(300)의 길이방향 양단에도 상하로 일정간격을 두고 사각형상의 제2돌출부(310)가 돌출되되, 상기 제1돌출부(210)와 제2돌출부(310)는 상하방향으로 서로 엇갈린 채 맞물릴 수 있도록 적정 간격을 유지한 채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2돌출부(210,310)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구멍(H)이 형성되며, 서로 맞물렸을 때 상기 구멍(H)이 일치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2돌출부(210,310)가 맞물려 결합된 제1,2측판(200,300)의 양단, 다시 말해 사각형 박스를 이루었을 때 각 모서리부를 이루는 부분에는 강도 보강 및 외관 품위 향상을 위해 도 3과 같은 보강대(500)가 설치된다.
상기 보강대(500)는 상기 제1,2돌출부(210,310)에 형성된 구멍(H)에 끼워질 수 있는 다수의 고정핀(P)을 갖는 부재로서, 전체적인 형상은 사각형상을 갖되, 상기 제1,2측판(200,300)이 결합되었을 때 생기 모서리에 끼워질 수 있도록 끼워지는 면 쪽이 개방된 상태로 유지되어야 한다.
즉, 상기 보강대(500)는 사각형상을 갖되 대략 'ㄱ' 형상의 틀만 남아 있고, 삽입될 쪽 부분은 'ㄴ' 형상으로 개방된 상태를 갖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고정핀(P)은 도 4의 도시와 같이, 브라켓(B)에 의해 고정되며, 브라켓(B)은 상기 보강대(500)의 길이방향과 수직하게 판상으로 고정된다.
다만, 상기 보강대(500)의 상단과 하단은 각각 다른 구조를 갖는데, 이는 본 발명 조립체를 적층할 때 보강대(500) 끼리 조립되게 하여 유동을 방지하고 견실 안정적인 적층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하부보강대(500a)의 상단에 마련되는 브라켓(B1)과, 상부보강대(500b)의 하단에 마련되는 브라켓(B2)에는 동일 크기의 홀(G)이 형성되는데, 상기 홀(G)에는 고정볼(510)이 개재된다.
이 경우, 상기 고정볼(510)은 상기 홀(G)에 그냥 안착된 상태로 걸리도록 분리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상기 브라켓(B1)에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볼(510)이 상기 홀(G)을 통해 브라켓(B1,B2) 둘 사이에 끼워져 이들이 결속되게 함으로써 하부보강대(500a)와 상부보강대(500b)가 서로 적층된 상태로 결속되어 유동되지 않으면서 상호 조립되게 되므로 다수의 조립체를 상하로 적층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보강대(500)가 설치될 때 상기 바닥판(100)이 분리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바닥판(100)의 4 모서리에는 도 2와 같은 걸림홈(130)이 형성되고, 걸림홈(130)의 상부에는 구멍을 갖는 제3돌출부(140)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보강대(500)에 구비된 고정핀(P)이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뿐만 아니라, 도 5에서와 같이, 조립체의 내부에는 유리 제품을 안착지지하는 다수의 패드(520)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패드(520)는 유리 제품의 크기와 형상에 따라 서로 다른 모양을 가질 수 있고 교체 가능하므로 크기가 다른 유리 제품을 공용 적재할 수 있음은 물론, 내부에 적재된 유리 제품을 더욱 견실 안정적으로 지지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도 6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체는 유리 제품 납품 후 보강대(500)를 분리한 다음 바닥판(100), 제1,2측판(200,300) 및 상판(400)을 차례로 쌓게 되면 부피를 줄일 수 있으므로 쉽게 회수할 수 있고, 또 회수된 조립체를 다시 재활용할 수 있으므로 조립체 사용과 관련한 비용을 줄이며, 녹이 슬지 않고 찌그러짐이 없기 때문에 친환경적인 포장문화를 정착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제2실시예]
본 발명 제2실시예에 따른 조립체는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와 유사한 구조를 갖지만, 결합되는 구조가 약간 다를 뿐이다.
즉,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판(100), 제1,2측판(200,300) 및 상판(400)은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뿐만 아니라, 조립체를 결속하여 고정하는 보강대(500)의 경우도 고정핀(P)과 고정볼(510)을 구비한다는 점에서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다만, 상기 제1,2측판(200,300)의 길이방향 양단에 구비되는 제1,2돌출부(210,310)의 구조가 약간 변형되어 고정성을 더욱 높일 수 있도록 개량된 것만 다를 뿐이다.
예컨대, 개량된 구조는 제1돌출부(210)의 하면에는 대각선방향에서 하방향으로 각각 결합돌기(212)가 더 돌출되고, 상기 제2돌출부(310)의 상면에는 상기 결합돌기(212)가 끼워져 맞물릴 수 있도록 결합요홈(312)이 대응되게 요입 형성된 형태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제1,2돌출부(210,310)가 상호 맞물리게 되면 결합돌기(212)와 결합요홈(312)도 동시에 맞물리게 되고, 그 상태에서 보강대(500)의 고정핀(P)에 의해 서로 결속되어 고정되기 때문에 고정성이 그 만큼 향상되게 된다.
[제3실시예]
본 발명 제3실시예에 따른 조립체는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와 유사한 구조를 갖지만, 결합되는 구조가 약간 다를 뿐이다.
즉,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판(100), 제1,2측판(200,300) 및 상판(400)은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제1,2측판(200,300)의 길이방향 양단에 구비되는 제1,2돌출부(210,310)의 구조도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다만, 상기 제1,2돌출부(210,310)를 결속하는 보강대(500)의 구조가 약간 변형되어 고정을 쉽게 할 수 있도록 개량된 것만 다를 뿐이다.
예컨대, 개량된 구조는 고정핀(P, 도 3 참조)이 보강대(500)에 일체로 붙어 있던 제1실시예와 달리 일체형 고정핀(P1)으로 바꾸고, 이를 보강대(500)로부터 분리하여 한번에 끼워 넣을 수 있도록 구성된 점만 다를 뿐이다.
이에 따라, 고정볼(510)도 상기 일체형 고정핀(P1)의 상단에 일체로 구비되어 두 개 이상의 조립체를 상하로 적층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두 개 이상의 조립체를 상하로 적층가능한 구조는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다르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 제3실시예에서는 상기 보강대(500)가 내부에 제1실시예처럼 별도의 브라켓(B)을 갖출 필요도 없다.
그 외, 사용방법과 조립방식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제4실시예]
본 발명 제4실시예에 따른 조립체도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와 유사한 구조를 갖지만, 결합되는 구조가 약간 다를 뿐이다.
즉,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판(100), 제1,2측판(200,300) 및 상판(400)은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다만, 상기 제1,2측판(200,300)의 길이방향 양단에 구비되는 제1,2돌출부(210,310)의 구조가 약간 변형되어 고정성을 더욱 높일 수 있도록 개량된 것만 다를 뿐이다.
예컨대, 개량된 구조는 제1돌출부(210)와 제2돌출부(310)를 굴곡형으로 형성하여 서로 형합되게 함으로서 보다 견고한 조립 구조를 갖도록 구성한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형합 구조를 갖게 되면 제1실시예나 제2,3실시예처럼 고정핀(P,P1)을 끼울 수 있는 구조가 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 제4실시예에서는 보강대(500)가 앞서 실시예와 달리 커버링 및 보강 기능만 수행하고, 제1,2측판(200,300)을 묶어 주는 기능은 고정밴드(600)를 통해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밴드(600)는 신축성을 갖는 밴드일 수도 있고, 티 형태의 금속밴드일 수도 있다.
다만, 금속밴드일 경우에는 녹이 슬지 않도록 스테인레스스틸 밴드로 하여 줌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보강대(500)의 상단에는 앞서 실시예와 같이 고정볼(510)이 구비되고, 하단에는 상기 고정볼(510)이 끼워질 수 있는 홀(G)을 갖는데, 이들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브라켓(B1,B2)에 구비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변형된 또다른 조립체의 조립 구조를 갖출 수 있게 된다.
[제5실시예]
본 발명 제5실시예에 따른 조립체는 앞서 설명한 제4실시예와 유사한 구조를 갖지만, 결합되는 구조가 약간 다를 뿐이다.
즉,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판(100), 제1,2측판(200,300) 및 상판(400)은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다만, 상기 제1,2측판(200,300)의 길이방향 양단에 구비되는 제1,2돌출부(210,310)의 구조가 약간 변형되어 고정성을 더욱 높일 수 있도록 개량된 것만 다를 뿐이다.
예컨대, 개량된 구조는 제1돌출부(210)와 제2돌출부(310)가 서로 형합되게 구비되는데, 이를 테면 제1돌출부(210)의 상단 중앙에는 조립홈(216)이 'U'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돌출부(310)는 두께가 얇아 상기 조립홈(216)에 끼워지는 조립부(316)의 개재하에 상기 제2측판(300)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돌출부(210)와 엇갈려 결속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이 경우에도 제1실시예나 제2,3실시예처럼 고정핀(P,P1)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제4실시예처럼 보강대(500)가 커버링 및 보강 기능만 수행하고, 제1,2측판(200,300)을 묶어 주는 기능은 고정밴드(600)를 통해 이루어지며, 고정밴드(600)는 제4실시예와 동일하다.
[제6실시예]
본 발명 제6실시예에 따른 조립체는 앞서 설명한 제4실시예와 유사한 구조를 갖지만, 결합되는 구조가 약간 다를 뿐이다.
즉,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판(100), 제1,2측판(200,300) 및 상판(400)은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다만, 상기 제1,2측판(200,300)의 길이방향 양단에 구비되는 제1,2돌출부(210,310)의 구조가 약간 변형되어 고정성을 더욱 높일 수 있도록 개량된 것만 다를 뿐이다.
예컨대, 개량된 구조는 제1돌출부(210)와 제2돌출부(310)가 서로 형합되게 구비되는데, 이를 테면 제1돌출부(210)와 제2돌출부(310)는 대략 'ㄱ' 또는 'ㄴ' 형상으로 돌출되어 서로 맞물릴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이 경우에도 제1실시예나 제2,3실시예처럼 고정핀(P,P1)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제4실시예처럼 보강대(500)가 커버링 및 보강 기능만 수행하고, 제1,2측판(200,300)을 묶어 주는 기능은 고정밴드(600)를 통해 이루어지며, 고정밴드(600)는 제4실시예와 동일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 조립체는 다양한 변형예를 포함하면서 EPP로 제조되기 때문에 재활용이 가능하고, 가볍고 간단한 조립 방식으로 결합되어 용기를 구성하기 때문에 비용도 적게 들며, 작업성도 향상된다.
100: 바닥판 200: 제1측판
300: 제2측판 400: 상판
500: 보강대 600: 보강대

Claims (13)

  1. 삭제
  2. 삭제
  3. EPP로 제조된 판상의 바닥판(100); 상기 바닥판(100) 상에 안착되며, EPP로 제조된 제1,2측판(200,300); 상기 바닥판(100), 제1,2측판(200,300)에 의해 형성된 사각박스 형상을 갖는 용기의 개방된 상부를 밀폐하도록 EPP로 제조된 상판(400);을 포함하되,
    상기 제1,2측판(200,300)의 각 양단은 서로 엇갈린 형태로 맞물리게 제1,2돌출부(210,310)가 구성되고,
    상기 제1,2돌출부(210,310)가 맞물린 부분을 밀폐하면서 하단은 상기 바닥판(100)에 걸려 결속되게 하는 보강대(5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2돌출부(210,310)는 제1,2측판(200,300)의 각 양단으로부터 사각판상으로 돌출된 후 서로 엇갈려 맞물리게 배치되고, 상기 제1,2돌출부(210,310) 및 상기 바닥판(100)의 모서리부를 상하로 관통하여 결속하는 고정핀(P)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유리 납품 용기 조립체.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P)은 상기 보강대(500)에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유리 납품 용기 조립체.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보강대(500)의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브라켓(B1,B2)이 구비되되, 상기 브라켓(B1,B2)에는 홀(G)이 형성되고, 상기 홀(G)에는 고정볼(510)이 끼워져 상기 고정볼(510)의 개재하에 보강대(500)를 상하로 적층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유리 납품 용기 조립체.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20120094786A 2012-08-29 2012-08-29 차량용 유리 납품 용기 조립체 KR1013951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94786A KR101395130B1 (ko) 2012-08-29 2012-08-29 차량용 유리 납품 용기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94786A KR101395130B1 (ko) 2012-08-29 2012-08-29 차량용 유리 납품 용기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0436A KR20140030436A (ko) 2014-03-12
KR101395130B1 true KR101395130B1 (ko) 2014-05-30

Family

ID=50642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094786A KR101395130B1 (ko) 2012-08-29 2012-08-29 차량용 유리 납품 용기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513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6923A (ko) * 2000-04-19 2001-11-08 이진수 생선 상자
KR200367522Y1 (ko) 2004-08-11 2004-11-12 내쇼날푸라스틱주식회사 조립하여 절첩할 수가 있는 분리형상자
KR200373841Y1 (ko) 2004-11-06 2005-01-21 최진형 플라스틱제의 접철식 상자
KR100880911B1 (ko) * 2007-07-12 2009-02-06 지피에스코리아(주) 접철식 이송용 상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6923A (ko) * 2000-04-19 2001-11-08 이진수 생선 상자
KR200367522Y1 (ko) 2004-08-11 2004-11-12 내쇼날푸라스틱주식회사 조립하여 절첩할 수가 있는 분리형상자
KR200373841Y1 (ko) 2004-11-06 2005-01-21 최진형 플라스틱제의 접철식 상자
KR100880911B1 (ko) * 2007-07-12 2009-02-06 지피에스코리아(주) 접철식 이송용 상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0436A (ko) 2014-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48582B2 (en) Plastic pallet structure
KR101096120B1 (ko) 화물적재용 팔레트
KR200464149Y1 (ko) 파렛트 적재 랙
KR100985998B1 (ko) 경량 팰릿
KR101672981B1 (ko) 운송용 포장박스
KR101115606B1 (ko) 팔레트의 강도 보강구조
KR101395130B1 (ko) 차량용 유리 납품 용기 조립체
KR101214792B1 (ko) 화물적재용 조립식 팔레트
KR200469485Y1 (ko) 골판지 포장박스의 보강구조
KR20150003896U (ko) 화물운반용 조립식상자
KR200459256Y1 (ko) 파렛트 랙
KR100896870B1 (ko) 물품포장용 파레트의 전후판 조립구조
KR101693331B1 (ko) 다용도 철재 파렛트
JP2019104537A (ja) パレット
KR20110051431A (ko) 파렛트
US20110047890A1 (en) Method of Packaging a Storage Building Kit of Parts
KR200400241Y1 (ko) 안전하게 적층가능하고 강도보강된 철재 포장박스
KR101610910B1 (ko) 다목적 스틸 팔레트
JP2005138680A (ja) 物流台車
KR200421857Y1 (ko) 조립 밀폐형 박스
KR102620505B1 (ko) 컨테이너 모듈러 결합구조
KR20160000073U (ko) 화물운반용 조립식상자
KR101682698B1 (ko) 조립식 철재 파렛트
KR101298181B1 (ko) 화물적재용 팔레트
KR200461020Y1 (ko) 화물운반용 조립식 상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