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5034B1 - 고로슬래그를 다량 함유한 고로슬래그 시멘트 조성물 - Google Patents

고로슬래그를 다량 함유한 고로슬래그 시멘트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5034B1
KR101395034B1 KR20120085425A KR20120085425A KR101395034B1 KR 101395034 B1 KR101395034 B1 KR 101395034B1 KR 20120085425 A KR20120085425 A KR 20120085425A KR 20120085425 A KR20120085425 A KR 20120085425A KR 101395034 B1 KR101395034 B1 KR 1013950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st furnace
furnace slag
cement
weight
sl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085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8756A (ko
Inventor
조봉석
이훈하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201200854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5034B1/ko
Publication of KR20140018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87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50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50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7/00Hydraulic cements
    • C04B7/14Cements containing slag
    • C04B7/147Metallurgical slag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4Waste materials; Refuse from metallurgical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14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calcium sulfate cements
    • C04B28/16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calcium sulfate cements containing anhydrite, e.g. Keene's c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10Production of cement, e.g. improving or optimising the production methods; Cement grind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로슬래그의 함량이 높은 고로슬래그 시멘트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시멘트 또는 클링커 30~55중량% 및 고로 수재슬래그 미분말 45~70중량%의 시멘트 혼화재 100중량부, 상기 시멘트 혼화재 100중량부에 대하여 탈황슬래그 미분말 1~4중량부 및 소결 탈황 더스트 0.2~1.5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슬래그 시멘트 조성물.

Description

고로슬래그를 다량 함유한 고로슬래그 시멘트 조성물{Slag Cement Composition Containing a Large Amount of Furnace Blast Slag}
본 발명은 기존의 고로슬래그 시멘트에 비하여 고로슬래그의 함량을 높이더라도 기존 고로슬래그 시멘트와 동등 이상의 초기강도 및 장기강도 발현이 가능한 고로슬래그 시멘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고로슬래그 시멘트를 제조함에 있어서는, 시멘트 또는 클링커와 슬래그미분말을 혼합하여 제조하고 있다. 도 1은 이와 같은 종래의 고로슬래그 시멘트를 제조하는 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도 1을 참조하면, 고로 슬래그 시멘트 제조시, 석회질 원료로서 석회석 등에 실리카, 알루미나, 산화철 및 석회를 함유한 점토질 재료 등을 적당한 비율로 혼합한 후, 약 1450℃까지 시멘트 킬른로에서 소성하여 얻어진 클링커를 냉각하고 분쇄하여 제조된다. 이에 사용되는 시멘트 또는 클링커를 제조함에 있어서는 소성 공정에 의해 시멘트 원료 1톤을 제조함에 있어서 약 0.85톤의 CO2 발생을 수반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다량의 CO2 발생 문제를 수반하는 시멘트의 사용량을 줄이는 것이 환경적으로 바람직하다.
이에, 고로 공정에서 발생하는 슬래그 중 고압 살수에 의해 냉각된 고로수재슬래그를 미분말화하여 슬래그 미분말 혼화재 및 슬래그 시멘트 등으로 활용되고 있다. 관련 KS 규격으로서는, KS F 2563에 콘크리트용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규정하고 있으며, KS L 5210에 고로슬래그 시멘트를 규정하고 있다.
통상적인 국내의 고로슬래그 시멘트는 시멘트 또는 클링커를 60wt%, 슬래그 미분말을 40wt% 수준에서 제조하고 있으며(2종 슬래그 시멘트), 보다 많은 양의 고로슬래그를 시멘트 대체재로서 사용하는 것이 CO2 발생량 저감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고로슬래그는 시멘트에 비하여 저가로서,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바람직하다.
이러한 고로슬래그 미분말은 물과 접촉될 경우, 직접적으로 반응을 하지 않으나, 수산기 이온 및 황산염 등과 접촉할 때 경화하는 잠재수경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고로슬래그 미분말의 함량을 높일 경우, 고로슬래그 미분말은 조기에 수화되지 않아 기존 고로슬래그 시멘트 대비 초기 및 장기강도 저하가 수반하여 공기가 길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어, 고로 슬래그의 사용량 증가에 제한이 따르는 문제가 있다.
그러므로, 고로슬래그 미분말의 함량을 높이면서도 기존 고로슬래그 시멘트의 초기강도 및 장기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면 생산자 및 소비자의 원가절감과 더불어, 궁극적으로 시멘트산업의 CO2 발생량도 저감할 수 있어, 고로슬래그의 사용량 증대를 위한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를 고려하여, 한국공개특허 제2001-0038096에는 고로슬래그를 재료로 한 고로슬래그 시멘트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포트랜드 클링커 45~55중량%와 고로슬래그 40~55중량%, 무수석고와 이수석고 각각 중량2~3%, 소석회 0.3~1중량%, 석회석 1~5중량%, 플라이애쉬 2~5중량%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고로슬래그 시멘트 제조시 종래의 고로슬래그 시멘트에 대비하여 고로슬래그 미분말의 함량을 높이더라도 기존 고로슬래그시멘트와 동등 이상의 초기 및 장기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고로슬래그 시멘트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구현예로서, 고로 슬래그 미분말 이외에, 탈황슬래그 미분말, 탈황 더스트 등의 제철공정 부산물을 동시에 사용함으로써 그 재활용 방안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시멘트 또는 클링커와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포함하는 고로슬래그 시멘트 조성물로서, 시멘트 또는 클링커 30~55중량% 및 고로 수재슬래그 미분말 45~70중량%의 시멘트 혼화재 100중량부, 상기 시멘트 혼화재 100중량부에 대하여 탈황슬래그 미분말 1~4중량부 및 소결 탈황 더스트 0.2~1.5중량부를 포함하는 고로슬래그 시멘트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고로슬래그 시멘트 조성물은 상기 고로슬래그 시멘트 조성물은 황산나트륨 0.5~1.5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고로슬래그 시멘트 조성물은 상기 소결탈황 더스트를 0.2 내지 0.8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고로슬래그 시멘트 조성물은 석고를 시멘트 또는 클링커와 고로수재 슬래그 미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5중량부 이하(0을 제외한다)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고로시멘트 조성물은 시멘트 또는 클링커 60중량% 및 고로슬래그 미분말 40중량%를 포함하는 기존의 2종 슬래그 시멘트에 대비하여 동등 이상의 초기 및 장기강도 발현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시멘트 또는 클링커를 제조함에 있어서 CO2 발생량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어, 환경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근본적으로 철강공정의 부산물로 발생하는 고로수재슬래그, 탈황슬래그, 소결 탈황 더스트 등의 부산물을 대량 활용할 수 있어, 슬래그 시멘트 제조시 사용되는 천연자원의 고갈에 따른 문제를 해소할 수 있으며, 원가절감을 기대할 수 있다.
나아가, 철강산업의 부산물을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함으로써 친환경적인 건설산업용 소재를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고로슬래그 시멘트를 제조하는 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재된 각각의 고로슬래그 시멘트의 압축강도를 나타낸 그래프로서, 3일, 7일 및 28일 강도를 측정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시멘트 또는 클링커와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포함하되,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다량으로 포함하는 고로슬래그 시멘트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고로슬래그 시멘트 조성물은 상기 시멘트 또는 클링커 30~55중량% 및 고로 수재슬래그 미분말 45~70중량%의 시멘트 혼화재 100중량부 및 상기 시멘트 혼화재 100중량부에 대하여 탈황슬래그 미분말 1~4중량부 및 소결 탈황 더스트 0.2~0.8중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고로슬래그는 용광로 제선과정 중에서 발생하는 것으로서, 슬래그 배출시에 고온 용융 상태의 고로 슬래그를 살수 급냉함으로써 5mm 미만의 비결정질 알갱이 상태로 형성되는 수재슬래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를 분말화할 경우, 콘크리트용 혼화재, 슬래그 시멘트 원료 등으로 활용할 수 있다.
상기 고로슬래그는 통상 Ca, Si, Al 등의 이온을 포함하며, 상기 고로슬래그 미분말에 물을 투입하게 되면, 미분말 표면에 비결정질 피막이 형성되어, 내부의 Ca2+, Al2 + 등의 용출이 이루어지지 않아, 그 자체로 경화하는 성질이 약하고, 포틀랜드 시멘트와 혼합하는 경우, 수화생성물인 수산화칼슘 및 황산염이 생성된 이후에, 그에 의해 고로슬래그 미분말이 경화하는 특징이 있다.
이로 인해, 고로 슬래그 미분말의 반응은 2차적으로 시작되어 수화반응이 조기에 일어나지 않게 되고, 그 결과, 초기 압축강도가 낮아, 거푸집 탈형 시기 지연 등의 문제를 초래하여 공기 지연을 야기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와 같이 다량의 고로 슬래그 미분말을 포함하는 시멘트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초기 강도 발현을 위해 반응 자극재의 사용이 요구된다.
상기 고로슬래그 미분말의 조기 수화반응을 위해, 본 발명에서는 고로 슬래그 미분말의 반응 촉진재로서 탈황슬래그 및 소결 탈황 더스트를 포함한다.
탈황슬래그는 쇳물(제선) 중 함유하고 있는 황(S)을 제거하는 용선 예비처리 공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로서, CaO 50~70중량%, SiO2 15~20wt%, Fe2O3가 10중량% 미만, SO3가 6~8중량%를 함유하고 있다. 이러한 탈황슬래그에 다량 포함되어 있는 CaO는 이미 수화된 상태의 Ca(OH)2이며 높은 pH를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탈황슬래그는 물과 반응시, 탈황슬래그 내에 함유되어 있는 Ca(OH)2로부터 생성된 OH-와 내부의 티오황산(S2O3)이 SO4 2 - 등의 황산염으로 전환되어, 고로슬래그 미분말의 비결정질 피막을 파괴하여 고로 슬래그 내의 Ca2 +, Al2 + 등의 용출이 용이하게 하고, 이렇게 용출된 이온들이 수화를 촉진하여 CaO-SiO2-H2O계 수화물 등을 생성함으로써 경화가 시작된다. 또한, 잉여의 황산화물은 침상형의 구조를 갖는 에트링가이트(Ettringite) 수화 생성물(3CaO·Al2O3·CaSO4·12H2O)을 생성함으로써 수화체 내부의 조직을 치밀화하여 경화할 수 있다.
특히, 탈황슬래그는 상기와 같은 반응촉진재로서 뿐만 아니라, 그 자체가 서서히 포졸란 반응을 일으켜 CaO-SiO2-H2O계 수화물 등을 장시간 생성함으로써 성형체의 장기강도 발현에 기여하게 된다.
이때 상기 탈황슬래그는 시멘트와 고로슬래그 미분말의 결합재 100중량부에 대하여 1~4중량부가 바람직하다. 1중량부 미만에서는 고로슬래그 미분말의 자극 효과 및 장기 강도 발현효과가 미미하고, 4중량부 이상 혼입하게 되면 급속 응결현상에 의해 콘크리트의 유동성을 저하시켜 작업성을 악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멘트 조성물은 반응촉진재로서 소결 탈황 더스트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철광석을 고로에 투입하기 전에 소결광을 제조하게 되는데, 이때 발생하는 SOx를 포집하기 위하여 고분말의 NaHCO3를 투입함으로써 소결 탈황 더스트가 얻어지며, 최종적으로 Na2CO3 및 Na2SO4 형태로 발생한다. 이에 의해 얻어지는 상기 소결 탈황 더스트는 분말도 수준이 4,000cm2/g~6,000cm2/g 정도이다.
상기 소결 탈황 더스트는 물과 반응시 Na+ 및 SO4 2 -로 용해되어 높은 pH를 유지시킴과 더불어 황산염 자극을 유도하므로 고로슬래그 미분말의 수화반응을 촉진하게 된다. 따라서 제철 공정 중에 부산물로 발생하는 소결 탈황 더스트는 고로 슬래그의 반응 촉진재로서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소결 탈황 더스트는 시멘트와 고로슬래그 미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0.2 내지 1.5중량부의 범위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의 함량으로 소결 탈황 더스트를 사용하는 경우 고로 슬래그의 충분한 자극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결 탈황 더스트는 0.2 내지 0.8중량부의 범위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고로슬래그 시멘트는 황산나트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황산나트륨은 상기 소결 탈황 더스트와 같이 물과 반응시 Na2 + 및 SO4 2 -로 용해되어 높은 pH를 유지시킴과 더불어 황산염 자극을 유도하므로 고로슬래그 미분말의 수화반응을 촉진하게 된다.
상기 황산나트륨은 Na2SO4의 총량이 시멘트 및 고로슬래그의 결합재 100중량부에 대하여 2.5중량부 이하가 되도록 첨가될 수 있다. Na2SO4의 총량이 2.5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급속 응결로 인해 시멘트의 유동성 저하를 야기하여, 작업성을 저하시키며, 나아가 28일 강도저하를 야기하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상기 황산나트륨은 시멘트 및 고로 수재슬래그 100중량부에 대하여 0.5~1.5중량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고로슬래그 시멘트 조성물은 초기강도 향상을 위해 이때 석고를 5% 이내로 혼합하기도 한다. 이때 사용되는 석고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무수석고, 이수석고, 반수석고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멘트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고로수재 슬래그를 다량 사용하더라도 초기 수화반응을 촉진할 수 있어, 종래의 슬래그 시멘트와 동등 이상의 초기강도 및 장기강도를 발현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들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내지 8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클링커, 고로수재슬래그 미분말, 탈황슬래그, 소결 탈황 더스트, 황산나트륨을 혼합하여 얻어진 고함량 슬래그 함유 고로슬래그 시멘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얻어진 시멘트 조성물 1800g과 물 900g 및 모래 5400g를 혼합하여 시멘트 성형체를 제조하고, 얻어진 성형체의 압축강도를 양생 시간에 따라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함께 나타내었다.
이때, 상기 각 실시예에서의 성형체 제작 및 강도평가 방법은 KS L ISO 679 "시멘트의 강도시험방법"에 준하여 평가하였으며, 압축강도는 3일, 7일 및 28일에 측정하였으며, 각 측정일에 시험체를 6개씩 측정한 값의 평균값을 압축강도 값으로 나타내었다.
비교예 1 내지 3
상기 실시예와 대비하기 위해, 한국시멘트, 한라시멘트 및 쌍용시멘트사에서 제조되어 시판되고 있는 2종 슬래그시멘트를 사용하여 시멘트 몰탈 조성물을 제조하고, 얻어진 시멘트 몰탈 조성물을 사용하여 성형체를 제조하였다.
상기 시멘트 몰탈 조성물은 상기 각각의 2종 슬래그시멘트 1800g을 물 900g 및 모래 5400g과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비교예 4 내지 7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클링커, 고로수재슬래그 미분말, 탈황슬래그, 소결 탈황 더스트, 황산나트륨을 혼합하여 얻어진 고함량 슬래그 함유 고로슬래그 시멘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얻어진 시멘트 조성물 1800g과 물 900g 및 모래 5400g를 혼합하여 시멘트 성형체를 제조하고, 얻어진 성형체의 압축강도를 양생 시간에 따라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함께 나타내었다.
이때, 상기 각 비교예에서의 성형체 제작 및 강도평가 방법은 KS L ISO 679 "시멘트의 강도시험방법"에 준하여 평가하였으며, 압축강도는 3일, 28일에 측정하였으며, 각 측정일에 시험체를 6개씩 측정한 값의 평균값을 압축강도 값으로 나타내었다.
또한, 비교예 1 내지 7 및 실시예 1 내지 8의 압축강도를 그래프를 도 1에 도시하였다.
구분 슬래그
시멘트
시멘트 혼화재
100중량부의 중량비
(클링커:고로슬래그)
중량부 압축강도(N/mm2)
탈황
슬래그
소결탈황
더스트
황산
나트륨
3일 7일 28일
비교예 1 100 18-24 - 52-55
비교예 2
비교예 3
실시예 1 30 70 2 0.35 - 18.1 30.6 52.0
실시예 2 0.5 18.7 32.8 52.1
실시예 3 0.7 20.3 35.9 50.4
실시예 4 0.9 22.4 36.4 51.1
실시예 5 40 60 2 0.35 - 23.9 39.3 58.7
실시예 6 0.5 25.3 39.9 57.8
실시예 7 0.7 26.1 39.9 57.0
실시예 8 0.9 26.9 39.6 57.4
비교예 4 45 55 2 0.35 - 26.0 42.1 60.1
비교예 5 0.5 27.8 41.4 60.4
비교예 6 0.7 28.5 40.0 58.4
비교예 7 0.9 28.8 40.5 57.6
상기 탈황 슬래그, 소결탈황 더스트 및 황산나트륨의 함량 단위는 시멘트 혼화재 100중량부 기준으로 한 중량부이다.
상기 표 1 및 도 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비교예 1 내지 3은 시판 중인 고로슬래그시멘트 제품을 사용한 성형체의 압축강도 수준은 초기강도(3일)의 경우 18~24N/mm2의 수준이며, 28일 강도는 52~55N/mm2 수준이었다.
반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4의 클링커 30중량%와 고로슬래그 미분말 70중량%를 포함하는 슬래그 시멘트, 실시예 5 내지 8의 클링커 40중량%와 고로슬래그 미분말 60중량%를 포함하는 슬래그 시멘트 및 비교예 4 내지 7의 클링커 45중량%와 고로슬래그 미분말 55중량%를 포함하는 슬래그 시멘트를 사용한 성형체의 경우에는, 초기(3일) 압축강도가 각각 18.1 내지 22.4N/mm2(실시예 1 내지 4), 23.9 내지 26.9 N/mm2(실시예 5 내지 8) 및 26.0 내지 28.8N/mm2(비교예 4 내지 7)이고, 28일 압축강도는 각각 52.0 내지 52.1N/mm2(실시예 1 내지 4), 57.0 내지 58.7N/mm2(실시예 5 내지 8) 및 57.6 내지 60.4N/mm2(비교예 4 내지 7)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상기와 같은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멘트 조성물을 사용하는 경우, 고로슬래그 함량이 60% 및 70%까지 포함하는 경우에도 종래의 2종 슬래그 시멘트와 대비하여 동등하거나 높은 초기 및 장기 압축강도 값을 가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을 갖는 경우, 높은 함량으로 고로 수재 슬래그를 함유하더라도 압축강도 향상이 가능하여, 시멘트 제조시에 발생되는 CO2 발생량을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저렴한 슬래그 사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어, 경제적이다.

Claims (4)

  1. 시멘트 또는 클링커와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포함하는 고로슬래그 시멘트 조성물로서,
    시멘트 또는 클링커 30~40중량% 및 고로슬래그 미분말 60~70중량%의 시멘트 혼화재 100중량부,
    상기 시멘트 혼화재 100중량부에 대하여 탈황슬래그 미분말 1~4중량부 및
    소결 탈황 더스트 0.2~0.8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슬래그 시멘트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로슬래그 시멘트 조성물은 황산나트륨 0.5~1.5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고로슬래그 시멘트 조성물.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로슬래그 시멘트 조성물은 석고를 시멘트 또는 클링커와 고로슬래그 미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5중량부 이하(0을 제외한다)로 포함하는 고로슬래그 시멘트 조성물.
KR20120085425A 2012-08-03 2012-08-03 고로슬래그를 다량 함유한 고로슬래그 시멘트 조성물 KR1013950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85425A KR101395034B1 (ko) 2012-08-03 2012-08-03 고로슬래그를 다량 함유한 고로슬래그 시멘트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85425A KR101395034B1 (ko) 2012-08-03 2012-08-03 고로슬래그를 다량 함유한 고로슬래그 시멘트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8756A KR20140018756A (ko) 2014-02-13
KR101395034B1 true KR101395034B1 (ko) 2014-05-19

Family

ID=50266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085425A KR101395034B1 (ko) 2012-08-03 2012-08-03 고로슬래그를 다량 함유한 고로슬래그 시멘트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503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2572A (ko) 2018-08-23 2020-03-04 유한회사 우리산업 Bfs를 다량 포함하는 하이볼륨 결합재,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조성물 및 생태 융합형 콘크리트 블록
KR20220048265A (ko) 2020-10-12 2022-04-19 문경주 6가 크롬 용출이 없는 저시멘트계 무기결합재 조성물
KR102526859B1 (ko) 2022-05-16 2023-04-28 (주)자연콘이엔씨 Pc용 콘크리트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8073B1 (ko) * 2017-12-22 2019-05-13 현대제철 주식회사 친환경 슬래그 시멘트 조성물
KR102503145B1 (ko) * 2020-06-16 2023-02-24 주식회사 대웅 현장 경화 말뚝용 팽창성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현장 경화 말뚝 시공공법
CN116143442A (zh) * 2022-09-09 2023-05-23 上海宝田新型建材有限公司 脱硫灰基保水增稠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75855A (ja) * 1994-12-26 1996-07-09 Yoshitaka Masuda 高硫酸塩スラグセメント・早強スラグアッシュセメントおよびこれらの製造方法
JP2007126294A (ja) 2005-07-12 2007-05-24 Yoshitaka Masuda 高硫酸塩スラグセメント・早強スラグセメントおよびこれらの製造方法
KR100732606B1 (ko) 2006-04-04 2007-06-28 호남석회공업(주) 소결 탈황더스트를 사용한 시멘트 자극제의 제조방법 및이를 함유한 시멘트
KR20120073942A (ko) * 2010-12-27 2012-07-05 주식회사 포스코 활성도가 향상된 고로슬래그 미분말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75855A (ja) * 1994-12-26 1996-07-09 Yoshitaka Masuda 高硫酸塩スラグセメント・早強スラグアッシュセメントおよびこれらの製造方法
JP2007126294A (ja) 2005-07-12 2007-05-24 Yoshitaka Masuda 高硫酸塩スラグセメント・早強スラグセメントおよびこれらの製造方法
KR100732606B1 (ko) 2006-04-04 2007-06-28 호남석회공업(주) 소결 탈황더스트를 사용한 시멘트 자극제의 제조방법 및이를 함유한 시멘트
KR20120073942A (ko) * 2010-12-27 2012-07-05 주식회사 포스코 활성도가 향상된 고로슬래그 미분말 조성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2572A (ko) 2018-08-23 2020-03-04 유한회사 우리산업 Bfs를 다량 포함하는 하이볼륨 결합재,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조성물 및 생태 융합형 콘크리트 블록
KR20220048265A (ko) 2020-10-12 2022-04-19 문경주 6가 크롬 용출이 없는 저시멘트계 무기결합재 조성물
KR20230090308A (ko) 2020-10-12 2023-06-21 문경주 6가 크롬 용출이 없는 저시멘트계 무기결합재 조성물
KR102526859B1 (ko) 2022-05-16 2023-04-28 (주)자연콘이엔씨 Pc용 콘크리트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8756A (ko) 2014-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5034B1 (ko) 고로슬래그를 다량 함유한 고로슬래그 시멘트 조성물
KR101333084B1 (ko) 고로슬래그와 csa계 시멘트를 포함하는 조강시멘트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KR100913770B1 (ko) 환원슬래그를 이용한 혼합시멘트 제조
KR101359187B1 (ko) 수축 저감형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
JP5931317B2 (ja) 水硬性組成物および該水硬性組成物を用いたコンクリート
KR101223888B1 (ko) 활성도가 향상된 고로슬래그 미분말 조성물
EP2508496A1 (en) Magnesia based binder composition
KR101359277B1 (ko) 초기강도 발현이 우수한 고강도 저발열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로부터 얻어진 콘크리트 구조물
KR102158524B1 (ko) 연약지반용 친환경 고화재 조성물
KR20140043493A (ko) 중성화 억제형 조강 시멘트 조성물
KR102305174B1 (ko) 조강성이 향상된 콘크리트 2차제품용 결합재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2차제품 제조방법
KR101201924B1 (ko) 조강 특성을 발휘하는 이산화탄소 저감형 고기능성 결합재 조성물
KR101165694B1 (ko) 플라이애시를 포함하는 비소성 결합재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조성물
KR102181104B1 (ko) 산업부산물을 이용한 경화촉진형 콘크리트 2차 제품용 시멘트 조성물
JP4171200B2 (ja) 製鋼スラグを用いたコンクリート状固化体の製造方法
KR101440551B1 (ko)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다량 포함하는 pc 침목용 콘크리트 조성물
KR20160077387A (ko) 바닥용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KR101750011B1 (ko) 폴리실리콘 슬러지 건조 분말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결합재 조성물
KR101353626B1 (ko) 철강부산물을 이용한 비소성 슬래그 시멘트 조성물
KR101917144B1 (ko) 순환 유동층 보일러 애시를 함유한 자기치유형 인공 잔골재,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자기치유 콘크리트
KR20160012296A (ko) 유·무기 복합 무시멘트 흙 콘크리트 조성물 및 흙 콘크리트 2차제품
KR101409784B1 (ko) 고칼슘애시와 플라이애시를 포함하여 구성된 콘크리트 혼합재
KR102146455B1 (ko) 고로슬래그 기반 조성물 및 이의 경화체
KR20160072834A (ko) 흙 콘크리트 2차제품
KR102522763B1 (ko) 중금속 용출이 없고 내화학성이 향상된 콘크리트 2차제품용 결합재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2차제품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