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0011B1 - 폴리실리콘 슬러지 건조 분말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결합재 조성물 - Google Patents

폴리실리콘 슬러지 건조 분말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결합재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0011B1
KR101750011B1 KR1020150098385A KR20150098385A KR101750011B1 KR 101750011 B1 KR101750011 B1 KR 101750011B1 KR 1020150098385 A KR1020150098385 A KR 1020150098385A KR 20150098385 A KR20150098385 A KR 20150098385A KR 101750011 B1 KR101750011 B1 KR 1017500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polysilicon
polysilicon sludge
sludge
grap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8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7645A (ko
Inventor
박기홍
박희곤
이지환
류영석
Original Assignee
두산건설 주식회사
(주)케미우스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건설 주식회사, (주)케미우스코리아 filed Critical 두산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983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0011B1/ko
Publication of KR20170007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76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00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00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06Combustion residues, e.g. purification products of smoke, fumes or exhaust gases
    • C04B18/08Flue dust, i.e. fly ash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4Waste materials; Refuse from metallurgical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4Waste materials; Refuse from metallurgical processes
    • C04B18/141Slag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C04B28/04Portland c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통포틀랜드시멘트 60~80wt%, 고로슬래그 미분말 및 플라이애시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혼화재 15~37wt% 및 폴리실리콘 슬러지 건조 분말 3~5wt%를 포함하여 구성된 콘크리트 결합재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폴리실리콘 슬러지 건조 분말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결합재 조성물{Concrete binder composition containing polysilicon dry sludge powder}
본 발명은 콘크리트 결합재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9-n급 이상의 폴리실리콘을 제조하는 공정 가운데 오프가스(Off-gas)를 제거하는 공정에서 배출되는 침전형태의 무기성 슬러지를 건조하여 분쇄한 폴리실리콘 슬러지 건조 분말을 혼화재로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결합재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근래 지구온난화, 환경오염 등과 같은 문제의 해결을 위한 온실가스의 감축노력이 국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건설분야에서도 이산화탄소의 배출의 가장 큰 원인이 되는 시멘트의 사용량을 줄이기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그 결과 다양한 저시멘트 콘크리트 결합재 조성물들이 선보이고 있다. 이러한 저시멘트 콘크리트 결합재 조성물에서 시멘트를 대체하는 혼화재로 많이 사용되는 것은 고로슬래그 미분말과 플라이애시 등과 같은 산업부산물이다.
이와 같은 혼화재를 사용할 경우 시멘트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게 되어 탄소 배출량 저감에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고로슬래그 미분말, 플라이애시와 같은 산업부산물 속에 포함된 실리카 성분이 석회와 시멘트의 수화생성물인 수산화칼슘과 반응하여 안정된 불용성 화합물을 형성하기 때문에 콘크리트의 장기 강도를 개선해 주기도 하고, 콘크리트의 밀도를 높여줌으로써 내화학성과 염소이온침투 저항성 등의 내구성을 향상시켜 주기도 한다. 또한 낮은 비중과 적절한 유변학적 특성을 구현하여 초유동 콘크리트를 제조할 수 있게 해주기도 한다.
그러나 고로슬래그 미분말, 플라이애시와 같은 산업부산물 속에 포함된 실리카 성분은 반응성이 상대적으로 매우 느려 다량으로 사용할 경우, 콘크리트의 초기강도 발현을 저하시키는 문제를 일으키기도 한다. 또한 Ca2 + 공급원인 시멘트가 일정 수준 이하로 배합되는 경우 포졸란 물질의 반응성이 활성되지 못하여 콘크리트의 강도 및 내구성이 저하되기도 한다. 따라서 시멘트의 사용량을 줄여주어 친환경적이면서도 압축강도 등의 물성에 있어서도 우수한 성능을 발휘하는 콘크리트 결합재 조성물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등록특허 제1085044호 "증기양생 콘크리트 2차제품 제조용 무기결합재", 2011. 11. 18. 등록특허 제1410797호 "비소성 무기결합재를 활용한 바닥용 모르타르 조성물", 2014. 06. 23.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이다.
1. 산업부산물을 이용한 저시멘트 콘크리트 결합재를 제공하되 종래와 달리 초기강도의 저하가 발생하지 않는 저시멘트 콘크리트 결합재를 제공한다.
2. 태양전지 등의 소재로 쓰이는 폴리실리콘의 제조과정에서 발생하여 전량 폐기되고 있는 실정인 폴리실리콘 슬러지의 생산적인 활용처를 제시한다.
전술한 과제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은 「보통포틀랜드시멘트 60~80wt%, 고로슬래그 미분말 및 플라이애시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혼화재 15~37wt% 및 폴리실리콘 슬러지 건조 분말 3~5wt%를 포함하여 구성된 콘크리트 결합재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폴리실리콘 슬러지 건조 분말은 9-n급 이상의 폴리실리콘을 제조하는 공정 중 오프가스(Off-gas)를 제거하는 공정에서 침전형태의 무기성 슬러지를 건조하여 분쇄한 것으로서, CaO 53~58wt%, SiO2 33~38wt%, Al2O3 3~5wt%, Fe2O3 1.5~2.5wt% 및 Cl- 0.5~0.7wt%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폴리실리콘 슬러지 건조 분말은 100,000~140,000㎠/g의 분말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아래와 같은 효과가 있다.
1. 산업부산물을 이용한 저시멘트 콘크리트 결합재로서 종래와 달리 초기강도의 저하가 발생하지 않는 저시멘트 콘크리트 결합재를 제공받게 된다.
2. 태양전지 등의 소재로 쓰이는 폴리실리콘의 제조과정에서 발생하여 전량 폐기되고 있는 실정인 폴리실리콘 슬러지를 효율적으로 재활용할 수 있게 된다.
3. 폴리실시콘 제조 공정에서 발생한 폐기물의 처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되며, 시멘트 사용량을 줄여줌으로써 온실가스 감축에도 기여하게 된다.
[도 1] 내지 [도 5]는 각각 Plain 배합, 폴리실리콘 슬러지 건조 분말(P/S) 치환율 5%, 10%, 15% 및 20% 시료에 대한 재령 3일에서의 SEM 및 EDS 측정결과이다.
[도 6] 및 [도 7]은 각각 재령 7일 및 재령 28일에서 Plain 배합, 폴리실리콘 슬러지 건조 분말(P/S) 치환율 5%, 10%, 15% 및 20% 시료에 대한 SEM 및 EDS 측정결과이다.
[도 8]은 Plain 배합, 폴리실리콘 슬러지 건조 분말(P/S) 치환율 5%, 10%, 15% 및 20% 시료에 대해 X선 회절 분석을 실시한 결과이다.
[도 9] 및 [도 10]은 각각 Plain 배합, 폴리실리콘 슬러지 건조 분말(P/S) 치환율 10% 배합, 고로슬래그 미분말(SP) 10% 배합 및 플라이애시 10% 배합에 대한 재령 3일에서의 SEM 및 EDS 측정결과이다.
[도 11] 및 [도 12]은 각각 재령 7일 및 재령 28일에서 Plain 배합, 폴리실리콘 슬러지 건조 분말(P/S) 치환율 10% 배합, 고로슬래그 미분말(SP) 10% 배합 및 플라이애시(FA) 10% 배합 시료에 대한 SEM 및 EDS 측정결과이다.
[도 13]은 Plain 배합, 폴리실리콘 슬러지 건조 분말(P/S) 치환율 10%, 고로슬래그 미분말(SP) 10% 및 플라이애시(FA) 10% 시료에 대해 X선 회절 분석을 실시한 결과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결합재 조성물에 관하여 구체적인 실시예와 함께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결합재 조성물은 보통포틀랜드시멘트 60~80wt%, 고로슬래그 미분말 및 플라이애시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혼화재 15~37wt% 및 폴리실리콘 슬러지 건조 분말 3~5wt%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폴리실리콘 슬러지 건조 분말 폴리실리콘의 제조 공정 중 발생하는 슬러지를 건조시켜 분말화한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실리콘 슬러지 건조 분말은 9-n급 이상의 폴리실리콘을 제조하는 공정 중 오프가스(Off-gas)를 제거하는 공정에서 발생되는 침전형태의 무기성 슬러지를 건조하여 분쇄한 것을 의미한다. 고순도의 폴리실리콘 제조 공정에는 오프가스를 제거하는 공정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는 CaCO3, NaOH 스크러버(Scrubber)에 오프가스를 통과시키는 방식으로 수행되고 그 과정에서 침전형태의 무기성 폴리실리콘 슬러지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 폴리실리콘 슬러지 건조 분말은 이를 건조하여 분말화시킨 것이다.
상기 폴리실리콘 슬러지 건조 분말은 CaO 53~58wt%, SiO2 33~38wt%, Al2O3 3~5wt%, Fe2O3 1.5~2.5wt% 및 Cl- 0.5~0.7wt%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100,000~140,000㎠/g의 분말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폴리실리콘 슬러지 건조 분말은 등록특허 제1513897호에 개시된 페로실리콘과는 전혀 다른 물질이다. 상기 페로실리콘 역시 폴리실리콘 제조 공정에서 발생하는 물질로서 강에 Si를 첨가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Fe-Si 중간 합금에 해당한다. 상기 폴리실리콘 슬러지 건조 분말의 샘플과 페로실리콘 샘플의 성분을 분석한 결과가 아래의 [표 1]에 나타나 있는데, SO3함량 등에서 큰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표 1]
Figure 112015067001240-pat00001

[표 1]을 보면 상기 폴리실리콘 슬러지 건조 분말의 주요 성분은 CaO와 SiO2임을 알 수 있는데, 이는 종래 혼화재로 사용되는 고로슬래그 미분말이나 플라이애시와 유사한 성분이다. 따라서 상기 폴리실리콘 슬러지 건조 분말의 기본적인 메커니즘은 종래 혼화재와 유사하게 나타난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높은 염소이온(Cl-) 함량과 자체적으로 높은 분말도를 가지고 있어 공극충전, 조기강도 및 장기강도 개선 등에서 우수한 효과를 발휘한다.
1. 폴리실리콘 슬러지 건조 분말의 혼화재로서의 사용적합성 검증
상기 폴리실리콘 슬러지 건조 분말의 혼화재로서의 사용적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아래의 [표 2]와 같은 배합을 가지고 모르타르를 제조하여 양생을 진행하며 다양한 물성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굳지않은 상태에서의 유동성 평가를 위해서는 KS L 5405 "플라이애시" 규격에서 제시하고 있는 플로시험 방법에 따라 시험을 실시하였고, 휨 및 압축강도의 경우 KS L ISO 679 "시멘트의 강도 시험 방법'에 따라 시험체를 만들고 측정을 실시하였으며, 압축강도 측정 이후 남은 시료 중 일부를 채취하여 SEM 및 EDS 분석을 실시하였고, 마지막으로 초기 재령에서의 반응성 확인을 위한 X선 회절(XRD) 분석도 실시하였다. 한편, 보통포틀랜드 시멘트는 1종, 고로슬래그 미분말은 3종, 플라이애시는 2종을 사용하였고, 잔골재로는 ISO 표준사를 사용하였다.
[표 2]
Figure 112015067001240-pat00002

① Plain 배합과 폴리실리콘 슬러지 건조 분말(P/S) 배합과의 비교
플로시험 결과는 아래의 [표 3] 및 [그래프 1]과 같다.
[표 3]
Figure 112015067001240-pat00003

[그래프 1]
Figure 112015067001240-pat00004

[표 3] 및 [그래프 1]을 보면 폴리실리콘 슬러지 건조 분말의 치환율이 증가함에 따라 유동성이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는 폴리실리콘 슬러지 건조 분말의 높은 분말도로 인한 점성의 증가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다음으로 휨강도 및 압축강도를 측정한 결과를 살펴보면 아래의 [표 4], [그래프 2] 및 [그래프 3]과 같다.
[표 4]
Figure 112015067001240-pat00005

[그래프 2]
Figure 112015067001240-pat00006
[그래프 3]
Figure 112015067001240-pat00007

위의 결과를 보면 휨강도의 경우 폴리실리콘 슬러지 건조 분말의 치환율에 따른 뚜렷한 경향이 나타나지 않았지만, 압축강도의 경우 재령 3일에는 폴리실리콘 슬러지 건조 분말(P/S) 5 % 및 10 % 배합이 Plain 배합의 압축강도를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분말자체가 높은 분말도를 가지는 폴리실리콘 슬러지 건조 분말에 의해 모르타르 내부 공극이 충전되는 한편, 폴리실리콘 슬러지 건조 분말에 포함되어 있는 염소이온에 의해 수화반응이 촉진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폴리실리콘 슬러지 건조 분말(P/S) 치환율 10 % 이상 배합에서는 압축강도가 소폭 저하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재령 7일에는 폴리실리콘 슬러지 건조 분말(P/S) 5 % 배합만이 Plain 배합 이상의 압축강도를 발현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재령 28일의 경우 전반적으로 Plain 배합 이하의 압축강도 발현율을 나타내었다. 이는 폴리실리콘 슬러지 건조 분말이 혼입되어 재령 초기에 급격하게 수화반응을 촉진시킴에 따라 장기재령에서의 반응이 미미하게 나타난 결과로 사료된다.
다음으로 SEM 및 EDS 측정결과를 재령일수별로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도 1] 내지 [도 5]에는 각각 Plain 배합, 폴리실리콘 슬러지 건조 분말(P/S) 치환율 5%, 10%, 15% 및 20% 시료에 대해 재령 3일에서의 SEM 및 EDS 측정결과가 나타나 있는데, 모든 배합에서 C3A와 이수석고의 반응을 통해 수화반응 초기에 생성되는 에트린자이트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폴리실리콘 슬러지 건조 분말(P/S) 5% 배합의 경우 에트린자이트와 알루미네이트, 펠라이드가 반응해서 생성된 모노썰페이트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Plain 배합에 비해 폴리실리콘 슬러지 건조 분말(P/S) 5% 및 10% 배합이 초기에 수화반응이 촉진됨에 따라 상대적으로 치밀한 구조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초기 재령 압축강도가 Plain 배합에 비해 증가된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폴리실리콘 슬러지 건조 분말(P/S) 15% 및 20% 배합의 경우 밀실한 겔상의 칼슘 실리케이트(C-S-H) 수화물을 관찰할 수 있다. 즉, 폴리실리콘 슬러지 혼입을 통해 수화 반응은 촉진되었으나, 폴리실리콘 사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모르타르의 유동성이 저하됨으로 인해 시험체 제작시 모르타르 시험체 내·외부에 다량의 큰 공극을 형성함에 따라 압축강도가 저하된 것으로 판단된다.
[도 6] 및 [도 7]에는 각각 재령 7일 및 재령 28일에서 Plain 배합, 폴리실리콘 슬러지 건조 분말(P/S) 치환율 5%, 10%, 15% 및 20% 시료에 대해 SEM 및 EDS 측정결과가 나타나 있다. [도 6]을 보면 재령 3일과 유사하게 폴리실리콘 슬러지 건조 분말(P/S) 5% 및 10% 배합이 상대적으로 치밀한 구조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Plain 배합도 수화반응이 촉진됨에 따라 겔피막이 입자 주위에 생성되고 수산화칼슘의 모서리가 각이 진 형태를 갖는 결정이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7]을 보면 배합조건에 관계없이 재령 3일 또는 7일 보다 조금 더 치밀하고 안정적인 표면이 관찰되었으며, 폴리실리콘 슬러지 건조 분말(P/S) 5% 및 10% 배합을 제외한 나머지 배합의 경우 상대적으로 수축에 의한 균열이 도드라지게 관찰되었다.
다음으로 초기 재령에서의 반응성 확인을 위한 XRD 측정결과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도 8]에는 Plain 배합, 폴리실리콘 슬러지 건조 분말(P/S) 치환율 5%, 10%, 15% 및 20% 시료에 대해 X선 회절 분석을 실시한 결과가 나타나 있다. 구체적으로 EDS 분석을 통해 검출된 성분을 근거로 하여 분석을 실시한 결과, 폴리실리콘 슬러지를 혼입한 배합의 경우 공통적으로 CaCO3가 관찰되었다. 이는 CaOH2가 CaCO3로 변형 된 것으로 판단되며, 이로 인해 칼슘 실리케이트 수화반응에 도모하여 C-S-H 수화물을 생성함으로서 모르타르를 치밀한 조직으로 만들어준 것으로 판단된다. 본 결과를 통해 폴리실리콘 슬러지가 모르타르의 조기강도 증진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② 다른 혼화재와 폴리실리콘 슬러지 건조 분말(P/S) 배합의 비교
이하에서는 [표 2]의 배합에서 폴리실리콘 슬러지 건조 분말(P/S) 10% 배합과 고로슬래그 미분말(SP) 10% 배합 및 플라이애시(FA) 10% 배합의 물성을 비교하여 본다.
먼저 플로를 비교하여 보면 아래의 [표 5] 및 [그래프 4]와 같다.
[표 5]
Figure 112015067001240-pat00008
[그래프 4]
Figure 112015067001240-pat00009

[표 5] 및 [그래프 4]를 살펴보면 폴리실리콘 슬러지 건조 분말의 혼입 배합을 제외한 나머지 배합의 경우 190~197mm 범위로 유사한 수준의 테이블 플로 값을 나타낸 반면, 폴리실리콘 슬러지 건조 분말(P/S)혼입 배합의 경우 147mm의 테이블 플로 값을 나타내었다. 이는 폴리실리콘 슬러지 치환율에 따른 유동성 저하 원인과 동일한 원인으로서, 폴리실리콘 슬러지의 높은 분말도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다음으로 휨강도 및 압축강도를 측정한 결과를 살펴보면 아래의 [표 6], [그래프 5] 및 [그래프 6]과 같다.
[표 6]
Figure 112015067001240-pat00010
[그래프 5]
Figure 112015067001240-pat00011
[그래프 6]
Figure 112015067001240-pat00012

[표 6], [그래프 5] 및 [그래프 6]를 살펴보면, 폴리실리콘 슬러지 건조 분말(P/S) 혼입 배합이 가장 우수한 조기강도 발현 성능을 나타내며, 재령 7일 및 28일에도 Plain 배합과 유사한 수준의 압축강도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SEM 및 EDS 측정결과를 재령일수별로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도 1], [도 3], [도 9] 및 [도 10]에는 각각 Plain 배합, 폴리실리콘 슬러지 건조 분말(P/S) 치환율 10% 배합, 고로슬래그 미분말(SP) 10% 배합 및 플라이애시 10% 배합에 대해 재령 3일에서의 SEM 및 EDS 측정결과가 나타나 있는데, 모든 배합에서 에트린자이트가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폴리실리콘 슬러지 건조 분말(P/S) 10% 배합이 가장 치밀한 구조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수화반응이 더디게 진행됨에 따라 고로슬래그 미분말(SP) 10 % 배합 및 플라이애시(FA) 10% 배합의 경우 상대적으로 치밀하지 않은 구조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에는 각각 재령 7일 및 재령 28일에서 Plain 배합, 폴리실리콘 슬러지 건조 분말(P/S) 치환율 10% 배합, 고로슬래그 미분말(SP) 10% 배합 및 플라이애시(FA) 10% 배합 시료에 대해 SEM 및 EDS 측정결과가 나타나 있다. [도 11]을 보면 Plain 배합의 경우 CaOH2의 모서리가 각이 진 형태의 결정이 형성되는 수화반응 중기의 모습이 관찰된 반면, 폴리실리콘 슬러지 건조 분말(P/S) 10% 배합의 경우 수화생성물들이 결합하여 뭉개진 경화체 형태의 수화반응 후기의 모습이 관찰되었다. 한편, 고로슬래그 미분말(SP) 10% 배합 및 플라이애시(FA) 10% 배합의 경우 수화반응 초기에 생성되는 에트린자이트가 다량 관찰되었다. 이는 잠재수경성 및 포졸란 반응을 통해 강도발현을 하는 재료적 특성에 기인한 결과로 판단된다. [도 12]에서는 배합에 관계없이 재령이 증가함에 따라 전반적으로 치밀한 구조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다음으로 초기 재령에서의 반응성 확인을 위한 XRD 측정결과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도 13]에는 Plain 배합, 폴리실리콘 슬러지 건조 분말(P/S) 치환율 10%, 고로슬래그 미분말(SP) 10% 및 플라이애시(FA) 10% 시료에 대해 X선 회절 분석을 실시한 결과가 나타나 있다. [도 13]을 보면 상기 폴리실리콘 슬러지 치환율별 검토 결과와 마찬가지로 폴리실리콘 슬러지를 혼입한 배합에서만 CaCO3가 관찰되었으며, 재령 초기인 점을 감안하여 CaOH2와 CaCO3를 강도발현에 유리한 화합물로 볼 때 폴리실리콘 슬러지 건조 미분말(SP) 10% > Plain > 플라이애시(FA) 10% > 고로슬래그 미분말(SP) 10% 순으로 화합물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압축강도 측정결과와 비례하는 결과로 폴리실리콘 슬러지 혼입을 통해 조기강도 증진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결과이다.
이상의 모든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상기 폴리실시콘 슬러지 건조 분말은 혼화재로 사용되어 시멘트의 사용량을 줄여주면서도 종래 혼화재와 달리 조기강도의 발현에 있어서도 우수한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2.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결합재 조성물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결합재 조성물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한 구체적인 데이터들을 살펴본다. 아래의 [표 7]에는 다양한 배합의 콘크리트가 나타나 있는데, 이 가운데 SP 17 + PS 3, SP 15 + PS 5, FA 17 + PS 3, FA 15 + PS 5, SP 37 + PS 3, SP 35 + PS 5, FA 37 + PS 3, FA 35 + PS 5의 배합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이다.
[표 7]
Figure 112015067001240-pat00013

[표 7]과 같은 배합 각각에 대해 굳지 않은 콘크리트 성능으로서 슬럼프 및 공기량을 측정한 결과가 [표 8] 내지 [표 11]에 나타나 있고, 슬럼프 및 혼화제 첨가량, 공기량 및 공기연행제 첨가량, 염화물 함유량 을 측정한 결과가 각각 [그래프 7] 내지 [그래프 9]에 나타나 있다.
[표 8]
Figure 112015067001240-pat00014
[표 9]
Figure 112015067001240-pat00015
[표 10]
Figure 112015067001240-pat00016
[표 11]
Figure 112015067001240-pat00017

[그래프 7]
Figure 112015067001240-pat00018
[그래프 8]
Figure 112015067001240-pat00019
[그래프 9]
Figure 112015067001240-pat00020

위의 결과를 보면 슬럼프의 경우 결합재 종류에 관계없이 폴리실리콘 슬러지 혼입량이 증가함에 따라 목표 슬럼프 값인 150±25mm를 만족하기 위한 혼화제 첨가량이 소폭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폴리실리콘 슬러지를 혼입함에 따른 공기량의 변화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플라이애시를 혼입함에 따라 목표 공기량 값인 4.5±1.5%를 만족하기 위한 AE제 첨가량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플라이애시에 함유되어 있는 미연탄소 성분이 수분을 흡착함으로 인한 점성 증대로 공기포의 발생을 억제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염화물함유량의 경우 폴리실리콘 슬러지에 포함되어 있는 Cl- 성분으로 인해 폴리실리콘 슬러지 혼입량이 증가함에 따라 소폭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기준 값인 0.3kg/m3 이하에 모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경화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를 측정한 결과를 살펴보면 아래의 [표 12] 및 [그래프 10]과 같다.
[표 12]
Figure 112015067001240-pat00021

[그래프 10]
Figure 112015067001240-pat00022

[표 12] 및 [그래프 10]을 살펴보면 상기 폴리실리콘 슬러지 건조 미분말을 를 고로슬래그 미분말 및 플라이애시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기존 혼화재와 혼합 사용함에 따라 재령 1, 3, 7일 강도가 모두 개선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폴리실리콘 슬러지 혼입량이 증가함에 따라 강도발현 성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 결합재를 단독으로 사용한 배합과 비교 했을 때 조기강도 개선 폭은 재령 1일에 0.0~12.1%, 재령 3일에는 0.5~8.1%, 재령 7일에는 0.4~9.9% 개선 폭을 나타내었다.
또한 아래의 [그래프 11] 및 [그래프 12]에는 각각 염해시험결과와 건조수축률을 측정한 결과가 나타나 있다.
[그래프 11]
Figure 112015067001240-pat00023

[그래프 12]
Figure 112015067001240-pat00024

[그래프 11] 및 [그래프 12]를 살펴보면 상기 폴리실리콘 슬러지를 3~5% 배합하는 경우 염해저항성이 우수하여 지고, 건조수축균열 발생율이 감소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을 종합하여 보면 보통포틀랜드시멘트 60~80wt%, 고로슬래그 미분말 및 플라이애시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혼화재 15~37wt% 및 폴리실리콘 슬러지 건조 분말 3~5wt%로 배합하여 콘크리트 결합재를 제조할 경우 시멘트의 사용량을 절감하면서도 아울러 초기 강도, 염해저항성 및 건조수축률 등이 우수한 콘크리트를 구현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없음

Claims (3)

  1. 보통포틀랜드시멘트 60~80wt%, 고로슬래그 미분말 및 플라이애시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혼화재 15~37wt% 및 분말도가 100,000~140,000㎠/g인 폴리실리콘 슬러지 건조 분말 3~5wt%를 포함하여 구성된 콘크리트 결합재 조성물.
  2. 제1항에서,
    상기 폴리실리콘 슬러지 건조 분말은 9-n급 이상의 폴리실리콘을 제조하는 공정 중 오프가스(Off-gas)를 제거하는 공정에서 침전형태의 무기성 슬러지를 건조하여 분쇄한 것으로서, CaO 53~58wt%, SiO2 33~38wt%, Al2O3 3~5wt%, Fe2O3 1.5~2.5wt% 및 Cl- 0.5~0.7wt%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결합재 조성물.


  3. 삭제
KR1020150098385A 2015-07-10 2015-07-10 폴리실리콘 슬러지 건조 분말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결합재 조성물 KR1017500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8385A KR101750011B1 (ko) 2015-07-10 2015-07-10 폴리실리콘 슬러지 건조 분말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결합재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8385A KR101750011B1 (ko) 2015-07-10 2015-07-10 폴리실리콘 슬러지 건조 분말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결합재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7645A KR20170007645A (ko) 2017-01-19
KR101750011B1 true KR101750011B1 (ko) 2017-06-26

Family

ID=57990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8385A KR101750011B1 (ko) 2015-07-10 2015-07-10 폴리실리콘 슬러지 건조 분말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결합재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00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2964B1 (ko) * 2021-09-23 2022-11-07 (주)삼진콘크리트 슬래그 미분말을 이용한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콘크리트 구조물
KR102477116B1 (ko) * 2021-10-15 2022-12-14 (주)삼진콘크리트 바텀 애시를 이용한 친환경 콘크리트 블럭의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친환경 콘크리트 블럭
KR102565271B1 (ko) * 2023-06-14 2023-08-09 주식회사 느티나무 폴리실리콘 슬러지를 포함하는 지반 고화제용 콘크리트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0797B1 (ko) 2012-10-26 2014-06-23 대림산업 주식회사 비소성 무기결합재를 활용한 바닥용 모르타르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고은민, 폴리실리콘 산업의 동향과 제조공정, 포스코엔지니어링 기술보, 제27권, 제1호, 2011.*
이지환 외 5명, 폴리실리콘 슬러지 혼입 콘크리트의 조기강도 발현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콘크리트학회 2015 봄 학술대회 논문집, VOl.27, No.1, 2015. 0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7645A (ko) 2017-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rora et al. Ternary blends containing slag and interground/blended limestone: Hydration, strength, and pore structure
JP5091519B2 (ja) ジオポリマー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5189119B2 (ja) セメント混和材として好適に使用される高炉徐冷スラグ粉末を選択する方法
AU2010323416B2 (en) Inorganic binder system for the production of chemically resistant construction chemistry products
JP5931317B2 (ja) 水硬性組成物および該水硬性組成物を用いたコンクリート
KR101121724B1 (ko) 고로슬래그, 분말형 규산나트륨, 탈황석고를 포함하는 결합재를 이용하는 무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무시멘트 콘크리트의 제조방법
JP4677824B2 (ja) 耐酸性グラウト組成物
KR101750011B1 (ko) 폴리실리콘 슬러지 건조 분말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결합재 조성물
US11702365B2 (en) Corrosion mitigating cement compositions
KR101513897B1 (ko) 친환경 저시멘트 콘크리트용 결합재 조성물 및 콘크리트 조성물
KR20160033522A (ko) 환원슬래그를 이용한 고함수율 연약지반 토양 개량용 고화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토양 고화 방법
KR101639908B1 (ko) 바닥용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KR101869331B1 (ko) 활성슬러지를 이용한 콘크리트 제조방법
KR20190023967A (ko) 나노 실리카 졸을 이용한 친환경 시멘트 복합재료의 제조방법
JP2010155739A (ja) 超軽量モルタル
De Weerdt Blended cement with reduced CO2 emission-utilizing the fly ash-limestone synergy
JP6985177B2 (ja) 水硬性組成物及びコンクリート
Thant et al. The effect of dosage and modulus of activator on the strength of alkali activated slag and fly ash based on geopolymer mortar
KR102146455B1 (ko) 고로슬래그 기반 조성물 및 이의 경화체
KR101409784B1 (ko) 고칼슘애시와 플라이애시를 포함하여 구성된 콘크리트 혼합재
JP6734684B2 (ja) 地盤改良材、及び、改良土
KR20170044402A (ko) 균열자기치유 성능을 함유한 고내황산성 무기 결합재, 시멘트 페이스트, 모르타르 및 콘크리트 조성물
WO2023219029A1 (ja) ジオポリマー組成物、ジオポリマー硬化体及びジオポリマー硬化体の製造方法
KR102620465B1 (ko) 친환경 콘크리트 조성물
JP2007176743A (ja) 中性化抑制用モルタル又はコンクリート混和材、鉄筋モルタル又はコンクリートの防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