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2443B1 - 전기차용 섀시 - Google Patents

전기차용 섀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2443B1
KR101392443B1 KR1020120050064A KR20120050064A KR101392443B1 KR 101392443 B1 KR101392443 B1 KR 101392443B1 KR 1020120050064 A KR1020120050064 A KR 1020120050064A KR 20120050064 A KR20120050064 A KR 20120050064A KR 101392443 B1 KR101392443 B1 KR 1013924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arc
tubes
shaped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0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4068A (ko
Inventor
피에이치 유 도날드
Original Assignee
에너지 컨트롤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너지 컨트롤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에너지 컨트롤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300040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40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2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24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1/00Superstructures for passenger vehicles
    • B62D31/003Superstructures for passenger vehicles compact cars, e.g. city 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3/00Combined superstructure and frame, i.e. monocoque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3/00Combined superstructure and frame, i.e. monocoque constructions
    • B62D23/005Combined superstructure and frame, i.e. monocoque constructions with integrated chassis in the whole shell, e.g. meshwork, tub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2001/001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ne motor mounted on a propulsion axle for rotating right and left wheels of this ax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B60K2001/0405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characterised by their position
    • B60K2001/0422Arrangement under the front sea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Abstract

전기차용 섀시는 기부 프레임, 전방 프레임, 후방 프레임, 두 개의 측면 프레임, 네 개의 현가 장치 및 네 개의 휘일을 포함한다. 전방 프레임 및 후방 프레임은 기부 프레임에 고정되는 호형 전방 튜브 및 호형 후방 튜브를 갖기 때문에, 호형 튜브가 필요한 튜브의 개수를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직선형 튜브에 비해 추력의 영역을 증가시킬 수 있다. 게다가, 호형 튜브의 호가 예각의 연결점을 피하도록 하여, 섀시의 구조적 강도를 향상시키면서 응력 집중을 방지한다. 또한, 호형 전방 튜브, 호형 후방 튜브, 전방 연결 튜브 및 후방 연결 튜브는 중공이고, 이는 섀시의 경량화에 기여한다.

Description

전기차용 섀시{CHASSIS FOR AN ELECTRIC VEHICLE}
본 발명은 섀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기차용 섀시에 관한 것이다.
차는 우리 생활에 있어 필수적인 부분이고, 모든 차는 차의 레스트 부분이 장착되는 섀시를 갖는데, 다시 말하면, 섀시는 차의 부하를 견뎌내야만 한다. 따라서, 섀시의 강도는 차의 안정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차 섀시 X는 함께 연결되는 복수의 튜브 X1을 포함하고, 연결되는 X1 사이의 각도는 직각 또는 예각이다. 섀시의 강도는 차의 안정성을 결정하고, 구조적 취약점이 튜브 X1의 연결점에 있다. 각도가 모두 직각 및 예각인 경우에, 응력 집중이 발생하고, 이는 섀시 X에 과부하가 걸리거나 충격력을 받을 때, 구조적 손상 및 안정성 문제를 야기할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된 단점들을 없애거나 그리고/또는 완화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주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고 안정성 및 구조적 강도가 향상되며 구조적으로 덜 취약한 전기차용 섀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용 섀시는 기부 프레임, 전방 프레임, 후방 프레임, 두 개의 측면 프레임, 네 개의 현가 장치 및 네 개의 휘일을 포함한다.
기부 프레임은 두 개의 측면 튜브와, 두 개의 측면 튜브의 양 단부에 연결되는 전방 튜브 및 후방 튜브에 의해 형성되는 직사각형 구조체이다.
전방 프레임은 일 단부가 기부 프레임의 전방 튜브의 양단부에 고정되고 휘일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구조로 된 두 개의 호형 전방 튜브와, 두 개의 호형 전방 튜브의 다른 단부 사이에 연결되는 전방 연결 튜브를 포함한다. 전방 프레임에는 두 개의 호형 전방 튜브에 연결되는 두 개의 4변을 갖는 전방 장착 플랫폼이 각각 추가로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전방 연결 튜브(22)의 인접 후방에 이 전방 연결 튜브(22)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그 양단부가 양측의 호형 전방 튜브(21)와 연결되는 보조전방연결튜브가 마련되어, 상기 전방 장착 플랫폼(23)은 4개의 변 중 그 전방 변부가 상기 전방 연결 튜브(22)와 연결되고, 그 외측 변부가 상기 호형 전방 튜브(21)와 연결되며, 그 후방 변부가 상기 보조전방연결튜브와 연결된다.
후방 프레임은 일 단부가 기부 프레임의 후방 튜브의 양단부에 고정되고 휘일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구조로 된 두 개의 호형 후방 튜브와, 두 개의 호형 후방 튜브의 다른 단부 사이에 연결되는 후방 연결 튜브를 포함한다.
네 개의 현가 장치 중 두 개는 각각 전방 프레임의 두 개의 전방 장착 플랫폼에 고정되는 일 단부와, 네 개의 휘일 중 두 개에 고정되는 다른 단부를 갖고, 네 개의 현가 장치 중 다른 두 개는 각각 후방 연결 튜브의 양 단부에 고정되는 일 단부를 갖고 네 개의 휘일 중 다른 두 개에 고정되는 다른 단부를 갖는다.
전방 프레임 및 후방 프레임은 기부 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대응되는 각각의 휘일과 동심원호를 갖는 호형 전방 튜브 및 호형 후방 튜브를 갖기 때문에, 호형 튜브가 필요한 튜브의 개수를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직선형 튜브에 비해 추력의 영역을 증가시킬 수 있다. 게다가, 호형 튜브의 호는 예각의 연결점을 피하도록 하여, 섀시의 구조적 강도를 향상시키면서 응력 집중을 방지한다. 또한, 호형 전방 튜브, 호형 후방 튜브, 전방 연결 튜브 및 후방 연결 튜브는 중공이고, 이는 섀시의 경량화에 기여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조가 간단하고 안정성 및 구조적 강도가 향상되고 구조적으로 덜 취약한 전기차용 섀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섀시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용 섀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용 섀시 상에 휘일 및 현가 장치가 장착되는 것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도 3의 일 부분의 정면도.
도 5는 완성된 전기차용 조립체를 도시하는 예시도.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양호한 실시예를 단지 예시를 목적으로 도시하고 있는 첨부 도면과 함께 본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용 섀시는 기부 프레임(10), 전방 프레임(20), 후방 프레임(30), 두 개의 측면 프레임(40)을 포함한다.
기부 프레임(10)은 두 개의 측면 튜브(111)와, 두 개의 측면 튜브(111)의 양 단부에 연결되는 전방 튜브(112) 및 후방 튜브(113)에 의해 형성되는 직사각형 구조체이다. 기부 프레임(10)에는 배터리를 저장하기 위한 용기(12)와, 기부 프레임(10)의 부하 용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복수의 강화 튜브(13)가 추가로 제공된다.
전방 프레임(20)은 일 단부가 기부 프레임(10)의 전방 튜브(112)의 양단부에 고정되는 두 개의 호형 전방 튜브(21)와, 두 개의 호형 전방 튜브(21)의 다른 단부 사이에 연결되는 전방 연결 튜브(22)를 포함한다. 호형 전방 튜브(21) 및 전방 연결 튜브(22)는 단면이 사각형이다. 전방 프레임(20)에는 두 개의 호형 전방 튜브(21)에 연결되는 두 개의 전방 장착 플랫폼(23)이 각각 추가로 제공된다.
후방 프레임(30)은 일 단부가 기부 프레임(10)의 후방 튜브(113)의 양단부에 고정되는 두 개의 호형 후방 튜브(31)와, 두 개의 호형 후방 튜브(31)의 다른 단부 사이에 연결되는 후방 연결 튜브(32)를 포함한다. 호형 후방 튜브(31) 및 후방 연결 튜브(32)는 단면이 사각형이다.
측면 프레임(40)의 각각은 양 단부가 전방 프레임(20) 및 후방 프레임(30)에 각각 고정되는 호형 튜브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섀시는, 네 개의 현가 장치 A 중 두 개가 각각 전방 프레임(20)의 두 개의 전방 장착 플랫폼(23)에 고정되는 일 단부와, 네 개의 휘일 B 중 두 개에 고정되는 다른 단부를 갖고, 네 개의 현가 장치 A 중 다른 두 개가 각각 후방 연결 튜브(32)의 양 단부에 고정되는 일 단부를 갖고 네 개의 휘일 B 중 다른 두 개에 고정되는 다른 단부를 갖는 방식으로, 네 개의 현가 장치 A와 네 개의 휘일 B의 장착에 사용된다. 차의 부하는 현가 장치 A를 가압하고 최종적으로는 전방 프레임(20) 및 후방 프레임(30)을 통해 휘일 B를 가압한다. 즉, 전방 프레임(20) 및 후방 프레임(30)은 차의 주요 부하를 견뎌낸다. 전방 프레임(20) 및 후방 프레임(30)은 기부 프레임(10)에 고정되는 호형 전방 튜브(21) 및 호형 후방 튜브(31)를 갖기 때문에, 호형 튜브가 필요한 튜브의 개수를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직선형 튜브에 비해 추력의 영역을 증가시킬 수 있다. 게다가, 호형 튜브의 호는 예각의 연결점을 피하도록 하여, 섀시의 구조적 강도를 향상시키면서 응력 집중을 방지한다. 또한, 호형 전방 튜브(21), 호형 후방 튜브(31), 전방 연결 튜브(22) 및 후방 연결 튜브(32)는 중공이고, 이는 섀시의 경량화에 기여한다.
이어서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섀시는 전기차용 조립체를 위해 제공된다. 따라서, 드라이브 C, 제어 장치 D 및 시트 E가 섀시에 장착된다.
드라이브 C는 모터 C1, 드라이브 샤프트 C2 및 복수의 배터리 C3를 포함한다. 드라이브 샤프트 C2는 모터 C1에 의해 구동되어 두 개의 휘일 B을 회전시키고, 모터 C1은 배터리 C3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드라이브 D는 전방 프레임(20)에서 두 개의 휘일 B에 연결되어, 전방에서 두 개의 휘일 B의 조향을 제어한다.
시트 E는 기부 프레임(10)에 장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추가의 실시예들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을 당업자라면 명확히 알 수 있을 것이다.
10 : 기부 프레임
12 : 용기
13 : 강화 튜브
20 : 전방 프레임
21 : 호형 전방 튜브
22 : 전방 연결 튜브
23 : 전방 장착 플랫폼
30 : 후방 프레임
31 : 호형 후방 튜브
32 : 후방 연결 튜브
40 : 측면 프레임
111 : 측면 튜브
112 : 전방 튜브
113 : 후방 튜브
A : 현가 장치
B : 휘일
C : 드라이브
C1 : 모터
C2 : 드라이브 샤프트
C3 : 배터리
D : 제어 장치
E : 시트

Claims (5)

  1. 전기차용 섀시이며,
    두 개의 측면 튜브(111)와, 상기 두 개의 측면 튜브(111)의 양 단부에 연결되는 전방 튜브(112) 및 후방 튜브(113)에 의해 형성되는 직사각형 구조체인 기부 프레임(10)과,
    일 단부가 상기 기부 프레임(10)의 상기 전방 튜브(112)의 양단부에 고정되고 휘일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구조로 된 두 개의 호형 전방 튜브(21)와, 상기 두 개의 호형 전방 튜브(21)의 다른 단부 사이에 연결되는 전방 연결 튜브(22)를 포함하고, 상기 두 개의 호형 전방 튜브(21)에 연결되는 두 개의 4 변을 갖는 전방 장착 플랫폼(23)이 각각 추가로 제공되는 전방 프레임(20)과,
    상기 전방 연결 튜브(22)의 인접 후방에 이 전방 연결 튜브(22)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그 양단부가 양측의 호형 전방 튜브(21)와 연결되는 보조전방연결튜브가 마련되어, 상기 전방 장착 플랫폼(23)은 4개의 변 중 그 전방 변부가 상기 전방 연결 튜브(22)와 연결되고, 그 외측 변부가 상기 호형 전방 튜브(21)와 연결되며, 그 후방 변부가 상기 보조전방연결튜브와 연결되고,
    일 단부가 상기 기부 프레임(10)의 상기 후방 튜브(113)의 양단부에 고정되고 휠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구조로 된 두 개의 호형 후방 튜브(31)와, 상기 두 개의 호형 후방 튜브(31)의 다른 단부 사이에 연결되는 후방 연결 튜브(32)를 포함하는 후방 프레임(30)과,
    네 개의 현가 장치 A 및 네 개의 휘일 B를 포함하고,
    상기 네 개의 현가 장치 A 중 두 개는 각각 상기 전방 프레임(20)의 상기 두 개의 전방 장착 플랫폼(23)에 고정되는 일 단부와, 상기 네 개의 휘일 B 중 두 개에 고정되는 다른 단부를 갖고, 상기 네 개의 현가 장치 A 중 다른 두 개는 각각 상기 후방 연결 튜브(32)의 양 단부에 고정되는 일 단부를 갖고 상기 네 개의 휘일 B 중 다른 두 개에 고정되는 다른 단부를 가지며,
    상기 호형 전방 튜브(21) 및 호형 후방 튜브(31)는 대응되는 각각의 휘일(B)과 동심원호를 갖는 전기차용 섀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 프레임(10)에는 배터리를 저장하기 위한 용기(12)가 추가로 제공되는 전기차용 섀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 프레임(10)에는 상기 기부 프레임(10)의 부하 용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복수의 강화 튜브(13)가 제공되는 전기차용 섀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형 전방 튜브(21), 상기 전방 연결 튜브(22), 상기 호형 후방 튜브(31) 및 상기 후방 연결 튜브(32)는 중공 튜브인 전기차용 섀시.
  5.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양 단부가 상기 전방 프레임(20) 및 상기 후방 프레임(30)에 각각 고정되는 호형 튜브인 두 개의 측면 프레임(40)을 더 포함하는 전기차용 섀시.
KR1020120050064A 2011-06-30 2012-05-11 전기차용 섀시 KR1013924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0123001 2011-06-30
TW100123001A TWI427010B (zh) 2011-06-30 2011-06-30 電動車樑架結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4068A KR20130004068A (ko) 2013-01-09
KR101392443B1 true KR101392443B1 (ko) 2014-05-07

Family

ID=47421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0064A KR101392443B1 (ko) 2011-06-30 2012-05-11 전기차용 섀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464618B2 (ko)
KR (1) KR101392443B1 (ko)
FR (1) FR2977223B1 (ko)
RU (1) RU2507086C2 (ko)
TW (1) TWI42701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5435A (ko) 2021-01-20 2022-07-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저상버스용 런닝베어샤시 어셈블리 및 런닝베어샤시 어셈블리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19591B2 (ja) * 2018-02-09 2021-08-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前部構造
CN108528565A (zh) * 2018-03-06 2018-09-14 上海大学 一种基于六连杆机构的山地勘探越野车
KR20210085733A (ko) 2019-12-31 2021-07-08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복합소재가 적용된 초소형 전기차 섀시 프레임
TWI785349B (zh) * 2020-07-02 2022-12-01 伍必翔 電動輪椅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42460A (ja) * 1998-11-13 2000-05-23 Honda Motor Co Ltd 自動車の車体フレーム構造
JP2005225451A (ja) * 2004-02-16 2005-08-25 Autech Japan Inc 電気自動車の車体後部構造
JP2008230360A (ja) * 2007-03-19 2008-10-02 Autech Japan Inc 電気自動車の車体前部構造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17970A (en) * 1974-01-28 1980-08-19 Chika John J Configuration and construction of four wheeled motor vehicles
RU2058243C1 (ru) * 1992-07-16 1996-04-20 Борис Михайлович Тверсков Мотоколяска
US5501289A (en) * 1993-01-22 1996-03-26 Nissan Motor Co., Ltd. Floor structure of electric vehicle
US6371767B1 (en) * 2001-02-05 2002-04-16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Government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Demonstrator for new automotive technologies
JP2006182295A (ja) * 2004-12-28 2006-07-13 Honda Motor Co Ltd 電気自動車の車体構造
US7644791B2 (en) * 2004-12-30 2010-01-12 American Off-Road Technologies Inc. Exhaust and cooling systems for implementation in reduced-size vehicle
US20070251751A1 (en) * 2006-05-01 2007-11-01 Textron Inc. Cast Aluminum Frame Component for Golf Cars and Small Utility Vehicles
CN1948039A (zh) * 2006-11-27 2007-04-18 北京清能华通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超微型电动车
CN101348130B (zh) * 2008-03-18 2010-06-23 中山大学 一种承载式新型结构电动汽车车架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42460A (ja) * 1998-11-13 2000-05-23 Honda Motor Co Ltd 自動車の車体フレーム構造
JP2005225451A (ja) * 2004-02-16 2005-08-25 Autech Japan Inc 電気自動車の車体後部構造
JP2008230360A (ja) * 2007-03-19 2008-10-02 Autech Japan Inc 電気自動車の車体前部構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5435A (ko) 2021-01-20 2022-07-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저상버스용 런닝베어샤시 어셈블리 및 런닝베어샤시 어셈블리 제조 방법
US11708118B2 (en) 2021-01-20 2023-07-25 Hyundai Motor Company Running bare chassis assembly for low-floor bu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977223B1 (fr) 2016-12-16
JP2013014314A (ja) 2013-01-24
RU2507086C2 (ru) 2014-02-20
KR20130004068A (ko) 2013-01-09
TW201300267A (zh) 2013-01-01
JP5464618B2 (ja) 2014-04-09
RU2012119079A (ru) 2013-11-20
TWI427010B (zh) 2014-02-21
FR2977223A1 (fr) 2013-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04535B2 (en) Chassis for an electric vehicle
US9758029B2 (en) Battery frame and vehicle battery mounting structure
KR101392443B1 (ko) 전기차용 섀시
US10494026B2 (en) Vehicle lower section structure
US9604672B2 (en) Vehicle body rear structure
US9505295B2 (en) Structure for front section of vehicle body
JP5880509B2 (ja) 車両後部構造
CN106488869B (zh) 车辆和底盘
US20130015012A1 (en) Chassis for an electric vehicle
EP3127784A1 (en) Electric vehicle chassis and electric vehicle using same
US20130187406A1 (en) Vehicle body structure
JP6507554B2 (ja) 車両の荷箱マウントブラケット
JP6243717B2 (ja) アンダランプロテクタの構造
CN209813701U (zh) 动力电池包的下箱体、动力电池包和车辆
CN201961389U (zh) 汽车前围板加强结构
GB2492786A (en) Chassis for electric vehicle
EP3507171A1 (fr) Véhicule utilitaire avec renforts contre chocs latéraux
JP6572589B2 (ja) 車両の前輪懸架構造
CN212890580U (zh) 车架结构及其连接支架和车辆
JP6519554B2 (ja) 車両後部構造
CN104249776A (zh) 车体横梁结构
US7370871B2 (en) Vehicle frame with shock absorbing system
JP6356959B2 (ja) アンダランプロテクタの構造
CN204641882U (zh) 一种车架结构及汽车
CN210116550U (zh) 副车架和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