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1615B1 - 동력연결장치 - Google Patents

동력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1615B1
KR101391615B1 KR1020120109455A KR20120109455A KR101391615B1 KR 101391615 B1 KR101391615 B1 KR 101391615B1 KR 1020120109455 A KR1020120109455 A KR 1020120109455A KR 20120109455 A KR20120109455 A KR 20120109455A KR 101391615 B1 KR101391615 B1 KR 1013916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gear
power
output
connec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9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2557A (ko
Inventor
이종은
Original Assignee
이종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은 filed Critical 이종은
Priority to KR10201201094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1615B1/ko
Priority to PCT/KR2013/008627 priority patent/WO2014051350A1/ko
Publication of KR20140042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25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1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16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28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power take-of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Fluid-actuated clutches
    • F16D25/06Fluid-actuated clutches in which the fluid actuates a piston incorporated in, i.e. rotating with the clutch
    • F16D25/062Fluid-actuated clutches in which the fluid actuates a piston incorporated in, i.e. rotating with the clutch the clutch having friction surfaces
    • F16D25/063Fluid-actuated clutches in which the fluid actuates a piston incorporated in, i.e. rotating with the clutch the clutch having friction surfaces with clutch members exclusively moving axially
    • F16D25/0632Fluid-actuated clutches in which the fluid actuates a piston incorporated in, i.e. rotating with the clutch the clutch having friction surfaces with clutch members exclusively moving axially with conical friction surfaces, e.g. cone clu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K23/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ain transmission clu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5/00Auxiliary drives
    • B60K25/06Auxiliary drives from the transmission power take-of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3/00Details of mechanically-actuated clutches not specific for one distinct type
    • F16D23/02Arrangements for synchronisation, also for power-operated clutches
    • F16D23/04Arrangements for synchronisation, also for power-operated clutches with an additional friction clutc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Fluid-actuated clutches
    • F16D25/08Fluid-actuated clutches with fluid-actuated member not rotating with a clutching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Fluid-actuated clutches
    • F16D25/08Fluid-actuated clutches with fluid-actuated member not rotating with a clutching member
    • F16D25/082Fluid-actuated clutches with fluid-actuated member not rotating with a clutching member the line of action of the fluid-actuated members co-inciding with the axis of ro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1/00Clutches in which the members have interengaging parts
    • F16D2011/002Clutches in which the members have interengaging parts using an external and axially slidable sleeve for coupling the teeth of both coupling components toge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3/00Details of mechanically-actuated clutches not specific for one distinct type
    • F16D23/02Arrangements for synchronisation, also for power-operated clutches
    • F16D23/04Arrangements for synchronisation, also for power-operated clutches with an additional friction clutch
    • F16D23/06Arrangements for synchronisation, also for power-operated clutches with an additional friction clutch and a blocking mechanism preventing the engagement of the main clutch prior to synchronisation
    • F16D2023/0693Clutches with hydraulic actu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력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뿔형상의 마찰면을 통한 동력의 입력축과 출력축을 접속 및 차단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내부 공간을 갖게 양 측면에 측벽(11)이 세워지고, 이 측벽(11)을 연결하는 커버(12)가 결합된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외부에서 동력발생부의 엔진출력단과 연결되는 제1입력단(21)이 구비되고, 이 제1입력단(21)에 축 결합하는 동력 입력축(22)이 일측의 측벽(11)에 베어링(B)을 통해 결합되며, 하우징(10) 내부로 상기 입력축(22)에서 연장 성형된 몸체의 외주면에 제1전달기어(23)가 형성되고, 그 선단부에서 내부로 테이퍼진 원뿔형상의 마찰면(24)이 형성된 입력부재(20)와;
상기 하우징(10)의 외부에서 변속장치의 변속입력단과 연결되는 제1출력단(31)이 구비되고, 이 제1출력단(31)에 축 결합하는 동력 출력축(32)이 다른 일측의 측벽(11)에 베어링(B)을 통해 결합되며, 하우징(10) 내부로 상기 출력축(32)에서 연장 성형된 몸체의 선단부에서 내부로 동력입력기어(33)가 형성된 출력부재(30)와;
상기 입력부재(20)와 출력부재(30)의 수평선에 위치되며, 전방 일단부로 상기 입력부재(20)의 마찰면(24)에 끼워지도록 테이퍼진 원뿔형상의 마찰면(41)이 형성되고, 후방의 다른 일단부는 출력부재(30)의 동력입력기어(33)에 맞물리는 동력출력기어(42)가 구비되며, 전방 외주면에 상기 제1전달기어(23)와 동일한 제2전달기어(43)가 성형된 연결부재(40)와;
상기 입력부재(20)와 연결부재(40)의 외주면에 위치되어, 내부로 제1전달기어(23)와 제2전달기어(43)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기어(51)가 형성된 이동수단(50)과;
상기 입력부재(20)와 연결부재(40)의 어느 하나의 접속면에 탄성 이동되는 볼(61)이 구비되고, 이 볼(61)과 대응되는 다른 하나의 접속면에 상기 볼(61)이 끼워지는 고정홈(62)을 형성시킨 위치고정수단(60)과;
상기 이동수단(50)과 연결되며, 압력의 공급에 따라 상기 연결부재(40)의 제2전달기어(43)에 위치된 이동수단(50)을 전진 이동시켜, 입력부재(20)의 제1전달기어(23)에 상호 맞물리게 결합시키는 제1운반수단(70)과;
상기 출력부재(30)와 연결되며, 압력의 공급에 따라 상기 연결부재(40)를 전,후 이동시켜 입력부재(20)와 연결부재(40)의 마찰면(24)(41)이 접속 및 분리되게 하는 제2운반수단(71)으로 구성되어 달성한다.

Description

동력연결장치{a Power connection device}
본 발명은 동력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뿔형상의 마찰면을 통한 동력의 입력축과 출력축을 접속 및 차단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엔진 등의 기관 가동에 의해 움직이는 자동차류나, 모터 등의 기관 가동에 의해 작동하는 산업기계 기구류에 있어 필수적으로 엔진 또는 모터 등의 동력발생부와 이 동력발생부의 동력을 변속해 구동수단을 동작시키는 변속장치가 구비된다.
상기의 변속장치는 다수의 기어군이 동반되어, 입력되는 회전 구동력을 단속하여 저속에서 저속 또는 고속으로 회전시키는 것으로, 이를 위해서는 변속기 입력축에 전달된 동력이 변속장치에서 변속을 행한 후, 변속된 상태를 피동 출력축에 전달되도록 하는 동력전달과 변속기능을 수행하고 있었다.
이러한, 변속장치와 동력발생부 사이에는 클러치가 설치되며, 이 클러치(Clutch)는 기계적 접촉에 의해 동력발생부의 동력을 변속장치로 전달하거나 차단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즉, 상기 클러치는 동력발생부의 회전력을 변속장치에 전달하는 동력전달 기능과 동력발생부와 변속장치 사이의 동력 흐름을 필요할 때 마다 일치 차단하는 동력차단 기능을 수행하여 동력발생부와 변속장치를 과부하로부터 보호한다.
상기의 클러치에 대한 시스템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자동차용 클러치 장치(10')는 클러치(12')를 단속하기 위한 클러치 페달(14'), 이 클러치 페달(14')의 힘을 전달하는 마스터 실린더(16'), 마스터 실린더(16')의 유압에 의해 열린 밸브공(18a')을 통해 공기압을 공급하는 공압펌프(18'), 공압펌프(18')에서 공급된 공기압을 승압시키는 클러치 부스터(20'), 클러치 부스터(20')에 승압된 압력에 의해 클러치(12')를 작동시키는 릴리즈 실린더(22') 및 힌지 고정되어 릴리즈 실린더(22')와 클러치(12')를 연결시키는 시프트 레버(24')로 크게 구성된다.
이때, 릴리즈 실린더(22')의 푸시로드(22a')는 리턴 스프링(26')에 의해 복귀력을 가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자동차용 클러치 장치의 작동과정은, 운전자가 클러치 페달(14')을 밟으면, 그 힘에 의해 마스터 실린더(16')의 피스톤(16a')이 작동되어 유압이 발생되고, 발생된 유압은 밸브공(18a')을 개방시킴으로써 공압펌프(18')에 의해 발생된 공기압이 밸브공(18a')을 통해 클러치 부스터(20')로 유입된다.
이때, 공압펌프(18')에서 발생되어 공급되는 공기압이 공기압 유도관(18b')를 거쳐 클러치 부스터(20')로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압은 클러치 부스터 피스톤(20a')을 이동시켜 릴리즈 실린더(22')의 푸시로드(22a')를 이동시키며, 푸시로드(22a')의 이동에 의해 시프트 레버(24')가 클러치(12')의 클러치 디스크가 엔진의 구동판에서 분리되어 플라이 휠로 전달되는 동력이 차단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클러치 장치는 페달을 밟는 동작과 다수의복잡한 구성부품을 갖고 있어, 자동차가 장시간 정체나 서행이 반복되는 구간이나 시내 주행에서 페달을 반복적으로 밟아야 하기 때문에 쉽게 피곤해지고 제품의 불량률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클러치 페달의 동작을 유연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복잡한 구성부품들이 소요되어 비용이 증가되는 폐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동력발생부와 연결된 입력축과 변속장치와 연결된 출력축의 사이에서 연결부재가 전, 후 이동되는 동작으로 간단하게 동력을 전달 및 차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동력의 전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동력연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동력발생부와 연결된 입력축과 연결부재가 쐐기 형상의 원뿔형 마찰면으로 접속되게 하여, 입력축과 연결부재의 접속이 부드러우면서도 충격을 최소화한 동력연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내부 공간을 갖게 양 측면에 측벽(11)이 세워지고, 이 측벽(11)을 연결하는 커버(12)가 결합된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외부에서 동력발생부의 엔진출력단과 연결되는 제1입력단(21)이 구비되고, 이 제1입력단(21)에 축 결합하는 동력 입력축(22)이 일측의 측벽(11)에 베어링(B)을 통해 결합되며, 하우징(10) 내부로 상기 입력축(22)에서 연장 성형된 몸체의 외주면에 제1전달기어(23)가 형성되고, 그 선단부에서 내부로 테이퍼진 원뿔형상의 마찰면(24)이 형성된 입력부재(20)와;
상기 하우징(10)의 외부에서 변속장치의 변속입력단과 연결되는 제1출력단(31)이 구비되고, 이 제1출력단(31)에 축 결합하는 동력 출력축(32)이 다른 일측의 측벽(11)에 베어링(B)을 통해 결합되며, 하우징(10) 내부로 상기 출력축(32)에서 연장 성형된 몸체의 선단부에서 내부로 동력입력기어(33)가 형성된 출력부재(30)와;
상기 입력부재(20)와 출력부재(30)의 수평선에 위치되며, 전방 일단부로 상기 입력부재(20)의 마찰면(24)에 끼워지도록 테이퍼진 원뿔형상의 마찰면(41)이 형성되고, 후방의 다른 일단부는 출력부재(30)의 동력입력기어(33)에 맞물리는 동력출력기어(42)가 구비되며, 전방 외주면에 상기 제1전달기어(23)와 동일한 제2전달기어(43)가 성형된 연결부재(40)와;
상기 입력부재(20)와 연결부재(40)의 외주면에 위치되어, 내부로 제1전달기어(23)와 제2전달기어(43)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기어(51)가 형성된 이동수단(50)과;
상기 입력부재(20)와 연결부재(40)의 어느 하나의 접속면에 탄성 이동되는 볼(61)이 구비되고, 이 볼(61)과 대응되는 다른 하나의 접속면에 상기 볼(61)이 끼워지는 고정홈(62)을 형성시킨 위치고정수단(60)과;
상기 이동수단(50)과 연결되며, 압력의 공급에 따라 상기 연결부재(40)의 제2전달기어(43)에 위치된 이동수단(50)을 전진 이동시켜, 입력부재(20)의 제1전달기어(23)에 상호 맞물리게 결합시키는 제1운반수단(70)과;
상기 출력부재(30)와 연결되며, 압력의 공급에 따라 상기 연결부재(40)를 전,후 이동시켜 입력부재(20)와 연결부재(40)의 마찰면(24)(41)이 접속 및 분리되게 하는 제2운반수단(71)으로 구성되어 달성한다.
상기한 과제의 해결수단을 통해 본 발명은, 동력발생부와 변속장치의 사이에서 연결부재의 전,후 이동되는 간단한 동작으로 동력발생부에서 변속장치로의 동력을 전달 및 차단할 수 있도록 하여 동력의 전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상기 동력연결장치의 구성인 입력부재와 연결부재가 쐐기 형상의 원뿔형 마찰면으로 접속됨으로써, 접속이 부드러우면서도 충격을 최소화해 제품의 고장을 방지하고, 제품의 신뢰성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종래 클러치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인 동력연결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동력연결장치에서 동력 연결이 차단된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인 동력연결장치에서 입력부재와 연결부재가 결합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이 동력연결장치를 통해 동력이 연결된 상태의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인 동력연결장치는 원뿔형상의 마찰면을 통한 동력의 입력축과 출력축을 접속 및 차단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우선, 동력연결장치(100)는 도 2 내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하우징(10)의 내부에서 동일한 수평선상에 설치되는 입력부재(20), 연결부재(40), 출력부재(30), 이동수단(50)으로 구성되며, 상기의 연결부재(40)와 이동수단(50)을 각각 제1 및 제2운반수단(70)(71)으로 이동시켜 동력발생부의 동력을 변속장치로 전달 및 차단하게 한 것이다.
상기 하우징(10)은, 내부에 설치 공간을 갖게 양 측면에 측벽(11)이 세워지고, 이 측벽(11)을 연결하는 내부가 빈 원형의 커버(12)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의 일측면 측벽(11)에는 입력부재(20)의 동력 입력축(22)이 베어링(B)을 통해 결합되며, 상기 동력 입력축(22)에 제1입력단(21)이 축결합되어 동력발생부의 엔진출력단과 연결되도록 한다.
또, 상기 입력부재(20)는 상기 입력축(22)에서 연장 성형된 몸체가 하우징(10)내부에 위치되도록 하고, 이 몸체의 외주면에 제1전달기어(23)가 형성되게 하며, 그 선단부에서 내부로 오목하게 테이퍼진 형상의 원뿔 마찰면(2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의 다른 일측면 측벽(11)에는 출력부재(30)의 동력 출력축(32)이 베어링(B)을 통해 결합되며, 상기 동력 출력축(32)에 제1출력단(31)이 축결합되어 미션장치의 변속입력단과 연결되도록 한다.
또, 상기 출력부재(30)는 상기 출력축(32)에서 연장 성형된 몸체가 하우징(10)내부에 위치되도록 하고, 이 몸체의 선단부에서 내부로 오목한 홈 내경에 동력입력기어(33)가 형성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입력부재(20) 및 출력부재(30)와 동일한 수평선에 연결부재(40)가 위치하며, 이 연결부재(40)는 전방 일단부로 상기 입력부재(20)의 마찰면(24)에 끼워지도록 테이퍼진 형상의 원뿔 마찰면(41)이 형성되고, 후방의 다른 일단부는 출력부재(30)의 동력입력기어(33)에 맞물리는 동력출력기어(42)가 구비되도록 형성한다.
또, 상기 연결부재(40)의 전방 외주면에는, 상기 입력부재(20)의 제1전달기어(23)와 동일한 제2전달기어(43)가 성형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40)의 전방 외주면에는 제2전달기어(43)와 맞물리게 내부에 연결기어(51)가 형성된 이동수단(50)이 설치된다.
이와 같은 이동수단(50)은 내부의 연결기어(51)가 제1전달기어(23)와 제2전달기어(43)와 동일한 치형의 기어를 형성시켜, 이동수단(50)이 제2전달기어(43)에서 제1전달기어(23)로 이동되어도 간섭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입력부재(20)와 연결부재(40)는 측면부와 테이퍼진 마찰면(24)(41)이 맞닿게 되는데, 이와 같은 접속면에는 위치고정수단(60)이 구비되게 한 것으로, 상기 어느 하나의 접속면에 탄성 이동되는 볼(61)을 구비하고, 이 볼(61)과 대응되는 다른 하나의 접속면에 상기 볼(61)이 끼워지는 고정홈(62)을 형성시키게 한다.
또, 상기 위치고정수단(60)은 상기 마찰면(24)(41)의 접속면에 등간격을 갖고 배열시켜 형성하기도 하지만, 동력량에 따라 그 크기 및 개수량이 가변적으로 변화되 것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즉, 상기 위치고정수단(60)은 입력부재(20) 및 연결부재(40)에서 어느 하나의 접속면에 내부에 수납된 스프링의 탄성으로 항상 볼(61)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게 하고, 다른 하나의 접속면에는 상기 볼(61)이 끼워지는 고정홈(62)이 형성되게 한다.
상기의 실시 예로 입력부재(20)에 전방에서 마찰면(24)의 둘레부에 볼(61)이 노출되게 형성하고, 연결부재(40)의 선단부 측면에 고정홈(62)을 형성하게 되면, 상기 입력부재(20)의 회전 시 고정홈(62)의 위치로 연결부재(40)의 볼(61)이 돌출되면서 상호 결합되게 된다.
또, 상기의 위치고정수단(60)으로 이용하는 스프링 및 볼(61)의 구성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상기 입력부재(20)와 연결부재(40)가 동시에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입력부재(20)와 연결부재(40)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1전달기어(23)와 제2전달기어(43)의 치형이 동일한 위치에 놓여지게 성형한다.
그러므로, 연결부재(40)의 제2전달기어(43)에 결합되어 있는 이동수단(50)이, 내부 연결기어(51)를 통해 입력부재(20)의 제1전달기어(23) 방향으로도 이동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상기 이동수단(50)을 전, 후 이동하기 위해서 하우징(10)의 내부에서 제1운반수단(70)이 연결부재(40)에 장착되며, 이 제1운반수단(70)의 일단이 이동수단(50)과 연결되며, 압력의 공급에 따라 상기 연결부재(40)의 제2전달기어(43)에 위치된 이동수단(50)을 전진 이동시켜, 입력부재(20)의 제1전달기어(23)에 상호 맞물리게 결합시키도록 한다.
또, 상기 출력부재(30)에도 제2운반수단(71)이 연결되며 압력의 공급에 따라 상기 연결부재(40)를 전,후 이동시켜 입력부재(20)와 연결부재(40)의 마찰면(24)(41)이 접속 및 분리되게 한다.
상기의, 제1운반수단(70)과 제2운반수단(71)은, 유압, 공압의 어느하나의 압력기구에 솔레노이드밸브가 연결되며, 이 솔레노이드밸브의 신호를 통해 이동수단(50)과 연결부재(40)에 연결된 실린더로드를 전,후 이동되게 구동하는 일반적인 것으로, 상기 압력기구와 솔레노이드밸브 및 실린더로드에 대한 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력연결장치에 대한 실시예 및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도 3은 동력발생부와 미션장치 사이에서 본 발명인 동력연결장치(100)가 분리되어 동력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고 있는 상태이다.
즉, 상기 동력연결장치(100) 내부에서 연결부재(40)가 제2운반수단(71)으로 후방으로 이동되어 전방 입력부재(20)와의 마찰면(24)(41)이 서로 분리된 상태를 갖게 되어 동력발생부를 통해 입력부재(20)는 회전하지만 후측의 연결부재(40)는 회전하지 않으므로, 동력의 전달이 차단된다.
그리고, 상기 동력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도 4에서와 같이 연결부재(40)와 출력부재(30)에 설치된 제2운반수단(71)을 작동시켜, 이 제2운반수단(71)과 연결된 연결부재(40)를 전방부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입력부재(20)는 동력발생부의 구동으로 회전되는 상태이며, 상기 연결부재(40)의 전방 마찰면(41)의 입력부재(20)의 마찰면(24)에 접속되면서 동시에 연결부재(40)가 회전되게 한다.
또, 상기 연결부재(40)의 후방에 형성된 동력출력기어(42)는 출력부재(30)의 동력입력기어(33)에서 상기의 접속거리 만큼 전방으로 이동되어도 동력전달비가 손실되지 않는 거리만큼만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입력부재(20)가 비교적 고속으로 회전하는 상태에서, 연결부재(40)가 이동되어 마찰면(24)(41)의 접속으로 동시에 회전하게 되나, 상기 입력부재(20)와 연결부재(40)의 접속 시 위치고정수단(60)을 이용해 접속시의 위치를 조정하게 되고, 더 하여 입력부재(20)와 연결부재(40)의 접속상태를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위치고정수단(60)을 통해 입력부재(20)와 연결부재(40)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1전달기어(23)와 제2전달기어(43)의 치형을 일치시킬 수 있어, 제2전달기어(43)에 위치된 이동수단(50)이 제1전달기어(23)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도 5에서와 같이 입력부재(20)와 연결부재(40)가 접속된 상태에서 연결부재(40)의 다른 외경에 설치된 제1운반수단(70)을 작동시켜, 이 제1운반수단(70)과 연결된 이동수단(50)의 연결기어(51)가 제1전달기어(23)와 제2전달기어(43) 사이에 상호 기어 결합된 상태로 위치되어 입력부재(20)의 회전과 동일하게 연결부재(40)가 회전한다.
그러므로, 상기 동력발생부의 동력을 본 발명인 동력연결장치(100)를 통해 미션장치로 전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 하우징 11 - 측벽
20 - 입력부재 22 - 동력 입력축
23 - 제1전달기어 24 - 마찰면
30 - 출력부재 32 - 동력 출력축
33 - 동력입력기어 40 - 연결부재
41 - 마찰면 42 - 동력출력기어
43 - 제2전달기어 50 - 이동수단
60 - 위치고정수단 70 - 제1운반수단
71 - 제2운반수단 100 - 동력연결장치

Claims (2)

  1. 내부 공간을 갖게 양 측면에 측벽(11)이 세워지고, 이 측벽(11)을 연결하는 커버(12)가 결합된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외부에서 동력발생부의 엔진출력단과 연결되는 제1입력단(21)이 구비되고, 이 제1입력단(21)에 축 결합하는 동력 입력축(22)이 일측의 측벽(11)에 베어링(B)을 통해 결합되며, 하우징(10) 내부로 상기 입력축(22)에서 연장 성형된 몸체의 외주면에 제1전달기어(23)가 형성되고, 그 선단부에서 내부로 테이퍼진 원뿔형상의 마찰면(24)이 형성된 입력부재(20)와;
    상기 하우징(10)의 외부에서 변속장치의 변속입력단과 연결되는 제1출력단(31)이 구비되고, 이 제1출력단(31)에 축 결합하는 동력 출력축(32)이 다른 일측의 측벽(11)에 베어링(B)을 통해 결합되며, 하우징(10) 내부로 상기 출력축(32)에서 연장 성형된 몸체의 선단부에서 내부로 동력입력기어(33)가 형성된 출력부재(30)와;
    상기 입력부재(20)와 출력부재(30)의 수평선에 위치되며, 전방 일단부로 상기 입력부재(20)의 마찰면(24)에 끼워지도록 테이퍼진 원뿔형상의 마찰면(41)이 형성되고, 후방의 다른 일단부는 출력부재(30)의 동력입력기어(33)에 맞물리는 동력출력기어(42)가 구비되며, 전방 외주면에 상기 제1전달기어(23)와 동일한 제2전달기어(43)가 성형된 연결부재(40)와;
    상기 입력부재(20)와 연결부재(40)의 외주면에 위치되어, 내부로 제1전달기어(23)와 제2전달기어(43)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기어(51)가 형성된 이동수단(50)과;
    상기 입력부재(20)와 연결부재(40)의 어느 하나의 접속면에 탄성 이동되는 볼(61)이 구비되고, 이 볼(61)과 대응되는 다른 하나의 접속면에 상기 볼(61)이 끼워지는 고정홈(62)을 형성시킨 위치고정수단(60)과;
    상기 이동수단(50)과 연결되며, 압력의 공급에 따라 상기 연결부재(40)의 제2전달기어(43)에 위치된 이동수단(50)을 전진 이동시켜, 입력부재(20)의 제1전달기어(23)에 상호 맞물리게 결합시키는 제1운반수단(70)과;
    상기 출력부재(30)와 연결되며, 압력의 공급에 따라 상기 연결부재(40)를 전,후 이동시켜 입력부재(20)와 연결부재(40)의 마찰면(24)(41)이 접속 및 분리되게 하는 제2운반수단(71)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동력연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운반수단(70)과 제2운반수단(71)은, 유압, 공압의 어느하나의 압력기구에 솔레노이드밸브가 연결되며, 이 솔레노이드밸브의 신호를 통해 이동수단(50)과 연결부재(40)에 연결된 실린더로드를 전,후 이동되게 구동시킴을 특징으로 한 동력연결장치.
KR1020120109455A 2012-09-28 2012-09-28 동력연결장치 KR1013916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9455A KR101391615B1 (ko) 2012-09-28 2012-09-28 동력연결장치
PCT/KR2013/008627 WO2014051350A1 (ko) 2012-09-28 2013-09-26 동력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9455A KR101391615B1 (ko) 2012-09-28 2012-09-28 동력연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2557A KR20140042557A (ko) 2014-04-07
KR101391615B1 true KR101391615B1 (ko) 2014-05-07

Family

ID=50388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9455A KR101391615B1 (ko) 2012-09-28 2012-09-28 동력연결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91615B1 (ko)
WO (1) WO201405135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3053A (ko) * 2020-08-20 2022-03-02 한국과학기술원 토크 제한 자기강화 클러치 및 이를 이용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39993B (zh) * 2019-04-22 2020-11-20 北京航天发射技术研究所 取力机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4078A (ja) 2001-06-28 2003-01-15 Yanmar Co Ltd 油圧式無段変速装置及び動力伝達装置
KR100483152B1 (ko) 2002-07-16 2005-04-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클러치 조작기구의 릴리스 실린더 어셈블리
KR100678329B1 (ko) 2005-11-08 2007-02-05 주식회사 파워스 무단변속장치
KR100863345B1 (ko) 2007-03-29 2008-10-15 주식회사 파워스 무단 변속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10332B2 (ja) * 2001-06-28 2010-07-21 ヤンマー株式会社 油圧式無段変速装置及び動力伝達装置
JP4589574B2 (ja) * 2001-06-28 2010-12-01 ヤンマー株式会社 油圧式無段変速装置及び動力伝達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4078A (ja) 2001-06-28 2003-01-15 Yanmar Co Ltd 油圧式無段変速装置及び動力伝達装置
KR100483152B1 (ko) 2002-07-16 2005-04-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클러치 조작기구의 릴리스 실린더 어셈블리
KR100678329B1 (ko) 2005-11-08 2007-02-05 주식회사 파워스 무단변속장치
KR100863345B1 (ko) 2007-03-29 2008-10-15 주식회사 파워스 무단 변속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3053A (ko) * 2020-08-20 2022-03-02 한국과학기술원 토크 제한 자기강화 클러치 및 이를 이용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
KR102470215B1 (ko) 2020-08-20 2022-11-23 한국과학기술원 토크 제한 자기강화 클러치 및 이를 이용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51350A1 (ko) 2014-04-03
KR20140042557A (ko) 2014-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85001B2 (en) Electronic parking brake
EP2034206B1 (en) Clutch Hydraulic System for Vehicle and Hydraulic System
US20070080040A1 (en) Coupling device of a motor vehicle
CN102472338B (zh) 车辆液压离合器设备
KR100631107B1 (ko) 트랙터의 4륜구동 전환장치
CN107542811B (zh) 磨损补偿装置、包括该装置的离合器执行器单元和车辆
KR101391615B1 (ko) 동력연결장치
KR20160080634A (ko) 차량의 통합형 브레이크 장치
KR102590734B1 (ko) 차량의 통합형 브레이크 장치
US8162121B2 (en) Hydraulic clutch device actuated by electric motor and clutch lever
KR101532434B1 (ko) 유압 제어 해제 장치
CN103640564A (zh) 真空助力刹车系统
US6561331B1 (en) Transmission unit for a vehicle
KR102231972B1 (ko) 엑셀 및 브레이크 연동 동력 전달 기구
KR101738522B1 (ko) Ecm 제동장치
RU2347695C1 (ru) Привод управления сцеплением
KR20200125901A (ko) 차량 유압 브레이크 시스템용 전기 기계 구동식 제동압 발생기, 그리고 전기 기계식 제동압 발생기를 포함하는 자동차
KR200479233Y1 (ko) 4륜 구동 전기자동차용 후륜 구동장치의 디스커넥터형 클러치
JP6376659B2 (ja) 液圧発生装置
KR100774351B1 (ko) 차량용 공기압축기를 이용한 발전 시스템
KR200307455Y1 (ko) 이씨유를 이용한 공압 클러치 작동장치
KR20000010254A (ko) 자동차의 클러치조작용 보조장치
CN201105652Y (zh) 一种改变离合器分离操纵力方向的机构
KR100214715B1 (ko) 타이어 공기 보조작동식 클러치 부우스터 장치
CN110608241A (zh) 动力耦合控制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