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4715B1 - 타이어 공기 보조작동식 클러치 부우스터 장치 - Google Patents

타이어 공기 보조작동식 클러치 부우스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4715B1
KR100214715B1 KR1019940016301A KR19940016301A KR100214715B1 KR 100214715 B1 KR100214715 B1 KR 100214715B1 KR 1019940016301 A KR1019940016301 A KR 1019940016301A KR 19940016301 A KR19940016301 A KR 19940016301A KR 100214715 B1 KR100214715 B1 KR 1002147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ipe
clutch
clutch booster
t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6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4046A (ko
Inventor
김유겸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400163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4715B1/ko
Publication of KR9600040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40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47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47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8/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 F16D48/02Control by fluid pressure
    • F16D48/04Control by fluid pressure providing power assist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8/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 F16D48/02Control by fluid pressure
    • F16D2048/0257Hydraulic circuit layouts, i.e. details of hydraulic circuit elements or the arrangement thereof
    • F16D2048/0266Actively controlled valves between pressure source and actuation cylind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ydraulic Clutches, Magnetic Clutches, Fluid Clutches, And Fluid Joints (AREA)

Abstract

경사진 길등에 주차할 경우 초기 시동시 타이어의 공기압으로 클러치 부우스터를 작동시켜 클러치의 작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대형 차량의 엔진에 설치되어 동력 전달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클러치를 공압으로 작동시키는 클러치 부우스터의 가압수단과; 상기 클러치 부우스터에 공급되는 에어탱크내의 공기가 일정 압력 이하일 때 전자제어장치에 의해 에어탱크와 연결된 제2관을 제1관으로부터 차단되도록 하면서 제1관과 제3관이 연통되게 작동하는 2방향밸브의 가변수단과; 상기 2방향밸브에 의해 제1관과 연통되는 제3관의 일단에 후륜 타이어의 공기를 용이하게 클러치 부우스터에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호오스로 연결되어 결합하도록 하는 공기공급 컨넥터의 결합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공기 보조 작동식 클러치 부우스터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Description

타이어 공기 보조작동식 클러치 부우스터 장치
도면은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 부우스터 장치의 계통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타이어 공기 보조 작동식 클러치 부우스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경사진 길등에 주차할 경우 초기 시동시 타이어의 공기압으로 클러치 부우스터를 작동시켜 클러치의 작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타이어 공기 보조 작동식 클러치 부우스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일반적으로 클러치 부우스터는 대형차량에 많이 쓰이며 기관의 부압을 이용하는것과, 압축기의 압축공기를 이용한 것이 있다.
상기한 압축공기로 작동하는 클러치 부우스터는 파워실린더, 컨트롤 밸브, 유압실린더로 구성되어 있고 일반적으로 변속기 옆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유압실린더의 앞부분에 있는 푸시로드는 클러치의 릴리이스 포오크에 연결되어 있고 컨트롤 밸브는 매스터 실린더에서 발생한 오일 압력에 의하여 부우스터로 흐르는 압축공기를 제어하는 일을 한다.
이에 따라 클러치 페달을 밟으면 클러치 매스터 실린더에서 발생한 오일의 압력이 유압피스턴에 작용하고, 유압피스턴은 클러치 레버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클러치의 연결이 끊어지게 된다.
이상과 같이 클러치 레버를 미는 힘은 매스터 실린더의 오일 압력과 압축공기에 의해 피스턴 플레이트가 밀리는 힘의 합력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클러치 페달을 놓으면 릴레이 밸브 피스턴에 유압이 작용하지 않으므로 릴레이 밸브 피스턴과 다이어프램 어셈블리는 클러치 페달을 완전히 놓으면 매스터 실린더의 오일 압력은 완전히 없어지며 릴레이 밸브 피스턴과 다이어프램 어셈블리는 스프링 장력에 의해 더욱 왼쪽으로 밀려 실린더 쳄버는 대기압으로 된다. 따라서 피스턴 플레이트는 스프링 장력에 의해 작동이전의 상태로 된다.
이에 따라 엔진의 구동으로 발생되는 크랭크 샤프트의 회전 동력은 클러치와 변속기, 그리고 추진축을 통하여 구동휘일에 전달되는데, 특히 상기한 클러치는 크랭크 샤프트와 함께 회전되는 플라이 휘일과 변속기의 입력축 사이에 설치되어 변속기로 전달되는 엔진의 동력을 필요에 따라 단속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클러치는 엔진이 시동할 때나 변속을 행할 때에는 엔진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는 플라이 휘일과의 연결을 끊고, 자동차를 발진시킬 때에는 엔진의 플라이 휘일과 서서히 접촉 연결되도록 하여 엔진의 회전동력을 변속기의 입력축에 전달하게 된다.
상기한 본 발명은 종래의 클러치 페달은 클러치 페달을 밟는 답력에 따라 회전 동력의 단속으로 변속과 동력전달을 행하게 할 수는 있지만 반클러치 상태를 조정할 수 없어 일시정지, 또는 일시진행 등과 같은 경사로 차량운행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기 때문에 운전자의 차량운행을 어렵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목적은 경사진 길등에 주차할 경우 초기 시동시 타이어의 공기압으로 클러치 부우스터를 작동시켜 클러치의 작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타이어 공기 보조 작동식 클러치 부우스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기 공압 작동식 변속장치를 구비한 대형 차량의 엔진에 있어서, 상기 대형 차량의 엔진에 설치되어 동력 전달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클러치를 공압으로 작동시키는 클러치 부우스터의 가압수단과; 상기 클러치 부우스터에 공급되는 에어탱크내의 공기가 일정 압력 이하일 때 전자제어장치에 의해 에어탱크와 연결된 제2관을 제1관으로부터 차단되도록 하면서 제1관과 제3관이 연통되게 작동하는 2방향밸브의 가변수단과; 상기 2방향밸브에 의해 제1관과 연통되는 제3관의 일단에 후륜 타이어의 공기를 용이하게 클러치 부우스터에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호오스로 연결되어 결합하도록 하는 공기 공급 컨넥터의 결합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타이어 공기 보조 작동식 클러치 부우스터 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은 전기 공압 작동식 변속기용 변속장치를 장착한 차량이 경사진 길등에서 장기간 주차했을 경우 에어탱크의 공기가 전부 누설되거나 작동에 어려운 소량의 공기만이 있을 때 초기 시동시 클러치의 단속이 쉽게 이루어지게 타이어의 공기압을 이용하여 클러치 부우스터를 작동시켜 클러치의 동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공기 보조 작동식 클러치 부우스터 장치의 계통도를 도시한 도면으로, 부호(1)은 클러치 부우스터를 지칭한다.
상기한 클러치 부우스터(1)는 대형 차량의 엔진(2)에 설치되어 동력 전달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클러치(3)를 공압으로 작동시키게 되어 있다.
상기한 클러치 부우스터(1)에 제1관(4)을 통해 공급되는 에어탱크(5)내의 공기가 일정압력 이하일 때 전자제어장치(6)에 의해 에어탱크(5)와 연결된 제2관(7)을 제1관(4)으로부터 차단되도록 하면서 제1관(4)과 제3관(8)이 연통되게 작동하는 2방향밸브(9)를 통해 공기의 공급이 복수개의 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전자제어장치(6)가 에어탱크(5)내의 공기가 빠져나가거나 또는 소정의 에어계통을 통해 누출이 발생함을 감지하도록 에어탱크(5)에 누출감지센서(1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누출감지센서(10)의 전기적인 신호를 감지한 전자제어장치(6)는 계기판의 표시계기부(11)가 점등되도록 함으로서 운전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2방향밸브(9)에 의해 제1관(4)과 연통되는 제3관(8)의 일단에 후륜 타이어(12)의 공기를 용이하게 클러치 부우스터(1)에 공급되도록 호오스(13)를 운전자가 공기 공급 컨넥터(14)에 연결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대형트럭, 버스 등이 경사진 길등에 장기간 변속기어가 변속된 상태에서 주차되어 있을 경우 에어탱크(5) 내의 공기가 에어계통을 통해 누출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에어탱크(5)의 공기가 누출되면 전자제어장치(5)는 누출감지센서(10)의 전기적인 신호를 인식하면서 표시계기부(11)를 점등시킴과 동시에 2방향밸브(9)를 작동시키게 된다.
상기한 2방향밸브(9)가 작동하여 클러치 부우스터(1)에 연결된 제1관(4)과 제2관(7)이 연통되지 못하도록 하고, 2방향밸브(9)에 제3관(8)으로 공기 공급 컨넥터(14)를 연결 설치한다.
이에 따라 공급 컨넥터(14)에 운전자가 표시계기부(11)의 점등을 확인하고나서 호오스(13)로 후륜 타이어(12)와 연결하여 후륜 타이어(12)의 공기가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한 후륜 타이어(12)의 공기가 호오스(13)를 통해 클러치 부우스터(1)에 공급됨으로서 클러치(3)의 작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한 호오스(13)를 공기 공급 컨넥터(14)에 운전자가 연결함에 따라 공기는 2방향밸브(9)가 제3관(8)과 제1관(4)이 연통되어 있기 때문에 공기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클러치(3)가 작동하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초기 시동시 클러치의 단속이 공기 누출에 의해 쉽지 않던 것을 타이어의 공기압을 클러치 부우스터에 공급되도록 함으로서 시동이 쉬워짐과 아울러 클러치의 작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전기 공압 작동식 변속장치를 구비한 대형 차량의 엔진에 있어서, 상기 대형 차량의 엔진에 설치되어 동력 전달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클러치를 공압으로 작동시키는 클러치 부우스터의 가압수단과; 상기 클러치 부우스터에 공급되는 에어탱크내의 공기가 일정 압력 이하 일 때 전자제어장치에 의해 에어탱크와 연결된 제2관을 제1관으로부터 차단되도록 하면서 제1관과 제3관이 연통되게 작동하는 2방향밸브의 가변수단과; 상기 2방향밸브에 의해 제1관과 연통되는 제3관의 일단에 후륜 타이어의 공기를 용이하게 클러치 부우스터에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호오스로 연결되어 결합하도록하는 공기 공급 컨넥터의 결합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공기 보조 작동식 클러치 부우스터 장치.
KR1019940016301A 1994-07-07 1994-07-07 타이어 공기 보조작동식 클러치 부우스터 장치 KR1002147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6301A KR100214715B1 (ko) 1994-07-07 1994-07-07 타이어 공기 보조작동식 클러치 부우스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6301A KR100214715B1 (ko) 1994-07-07 1994-07-07 타이어 공기 보조작동식 클러치 부우스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4046A KR960004046A (ko) 1996-02-23
KR100214715B1 true KR100214715B1 (ko) 1999-08-02

Family

ID=19387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6301A KR100214715B1 (ko) 1994-07-07 1994-07-07 타이어 공기 보조작동식 클러치 부우스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471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4046A (ko) 1996-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7213B1 (ko) 차량 브레이크 안전장치
KR100214715B1 (ko) 타이어 공기 보조작동식 클러치 부우스터 장치
JP2001268703A (ja) 電動車両の制動装置
CN104590226A (zh) 一种坡起辅助装置及车辆
KR100634620B1 (ko) 변속기의 액추에이터 제어 시스템
JP2602091Y2 (ja) 補助動力取り出し機構のコントロール装置
JPH0752747Y2 (ja) 差動制限装置
KR19980040181A (ko) 자동차의 클러치 작동공압 공급장치
JP4722280B2 (ja) 車両の自動クラッチ制御装置
KR100309408B1 (ko) 자동클러치
KR0124369Y1 (ko) 자동차용 출발 보조 장치
KR200294872Y1 (ko) 자동차용 클러치 시스템
KR20000010254A (ko) 자동차의 클러치조작용 보조장치
KR100303179B1 (ko) 자동차의 자동제동 잠금장치
KR200148199Y1 (ko) 파킹브레이크작동시클러치연동장치
KR100199724B1 (ko) 자동차의 수동식 클러치 장치
KR100220469B1 (ko) 클러치 장치
KR200142239Y1 (ko) 자동차용 클러치 구동 장치
KR0149362B1 (ko) 자동차의 클러치 제어 시스템
KR100309038B1 (ko) 자동차의오토클러치시스템의클러치
JPH0520594Y2 (ko)
JPH09177832A (ja) 車両用クラッチ補助装置
JP2004050866A (ja) トラクタの制動装置
KR100297793B1 (ko) 엔진의오버런방지방법및그장치
KR20010059780A (ko) 수동변속차량의 클러치 자동 이탈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52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