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1297B1 - 점착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점착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1297B1
KR101391297B1 KR1020130086097A KR20130086097A KR101391297B1 KR 101391297 B1 KR101391297 B1 KR 101391297B1 KR 1020130086097 A KR1020130086097 A KR 1020130086097A KR 20130086097 A KR20130086097 A KR 20130086097A KR 101391297 B1 KR101391297 B1 KR 1013912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sensitive adhesive
adhesive composition
composition according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6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한영
권혜림
Original Assignee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860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12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1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1297B1/ko
Priority to US14/906,673 priority patent/US9624409B2/en
Priority to PCT/KR2014/006447 priority patent/WO2015012525A1/ko
Priority to CN201480041824.1A priority patent/CN105683322B/zh
Priority to JP2016529703A priority patent/JP6317816B2/ja
Priority to EP14828782.4A priority patent/EP3026090A4/en
Priority to TW103124479A priority patent/TWI631198B/zh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62Polymers of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 C08G18/6216Polymers of alpha-beta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or of derivatives thereof
    • C08G18/625Polymers of alpha-beta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hydrolyzed polymers of esters of these acids
    • C08G18/6254Polymers of alpha-beta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and of esters of these acids containing hydroxy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80Masked polyisocyanates
    • C08G18/8003Masked polyisocyanates masked with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groups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8006Masked polyisocyanates masked with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groups containing active hydrogen with compounds of C08G18/32
    • C08G18/8009Masked polyisocyanates masked with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groups containing active hydrogen with compounds of C08G18/32 with compounds of C08G18/3203
    • C08G18/8022Masked polyisocyanates masked with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groups containing active hydrogen with compounds of C08G18/32 with compounds of C08G18/3203 with polyols having at least three hydroxy groups
    • C08G18/8029Masked aromatic polyisocya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6Haloge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25Crosslinking or vulcanising agents; including accelera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2Halogenated 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29Compounds containing one or more carbon-to-nitrogen double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4Non-macromolecular additives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062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9J133/06
    • C09J133/066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9J133/06 containing -OH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5/00Adhesive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9/00Adhesiv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e.g. glue stick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0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1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one nitrogen atom in the ring
    • C08K5/3432Six-membered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5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5/544Silico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C08K5/5455Silico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containing at least one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5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5/548Silico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sulfu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점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25㎜×100㎜ 크기의 점착제 부착 편광판을 유리기판에 0.25MPa의 압력으로 라미네이션하고 오토클레이브 처리한 시편을 만능인장시험기(UTM, Instron)를 사용하여 박리속도 300mm/분, 박리각도 180°로 점착제층을 박리하되, 23℃, 50%RH의 조건 하에서 24시간 방치한 후 박리하는 초기 점착력(A)에 대한 50℃, 50%RH의 조건 하에서 48시간 방치한 후 박리하는 가온 점착력(B)의 비(B/A)가 2.0이하로 유지함으로써, 가혹 조건(고온 또는 고온 다습)에서의 점착 내구성이 우수하면서, 고온 또는 고온 다습하에서도 점착력이 과도하게 증가하지 않아 재 박리 시 기재에 점착제가 남지 않는(리워크성) 점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점착제 조성물 {ADHESIVE COMPOSITION}
본 발명은 점착 내구성과 리워크성이 우수한 점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는 액정을 포함하고 있는 액정셀과 편광판이 구비되며, 상기 액정표시장치의 표시 품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여러 가지 광학필름(위상차판, 시야각 확대필름, 휘도 향상필름 등)이 사용된다.
이러한 편광판 및 광학필름은 점착제를 사용하여 액정셀에 접합한다. 점착제는 점착성 및 투명성이 우수한 아크릴계 중합체를 베이스로 하는 아크릴계 점착제가 많이 사용된다. 아크릴계 점착제의 가교는 가교제와 아크릴계 중합체의 관능성 단량체와의 결합을 이용한다.
점착제로는 에폭시기를 갖는 실란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점착제 조성물[일본공개특허 평4-223403호]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 점착제는 실제 사용되는 환경에서 요구되는 정도의 적절한 점착력을 유지할 수 없고, 고온·다습 조건에서 점착력이 과도하게 상승하거나, 재박리 시 점착제가 기재에 남는 문제가 있다.
또한, 시아노아세틸기를 갖는 실란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점착제 조성물[한국등록특허 제840114호] 및 아세토아세틸기를 갖는 실란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점착제 조성물[한국등록특허 제671400호] 등이 제시되어 있다. 상기 점착제는 고온 또는 고온·다습하에서 점착력이 과도하게 증가하지 않아 재박리 시 점착제가 기재에 남지 않으므로 리워크성이 우수한 이점이 있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초기 점착력이 낮고 가혹 조건(고온 또는 고온 다습)에서의 점착 내구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가혹 조건(고온 또는 고온 다습)에서의 점착 내구성이 우수하면서 동시에 상기 가혹 조건에서 점착력이 과도하게 증가하지 않아 리워크성이 우수한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25㎜×100㎜ 크기의 점착제 부착 편광판을 유리기판에 0.25MPa의 압력으로 라미네이션하고 오토클레이브 처리한 시편을 만능인장시험기(UTM, Instron)를 사용하여 박리속도 300mm/분, 박리각도 180°로 점착제층을 박리하되, 23℃, 50%RH의 조건 하에서 24시간 방치한 후 박리하는 초기 점착력(A)에 대한 50℃, 50%RH의 조건 하에서 48시간 방치한 후 박리하는 가온 점착력(B)의 비(B/A)가 2.0이하인 것인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초기 점착력(A)에 대한 가온 점착력(B)의 비(B/A)는 1.5이하일 수 있다.
상기 초기 점착력은 2 내지 10N/25㎜일 수 있다.
상기 가온 점착력은 2.5 내지 15N/25㎜일 수 있다.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아크릴계 공중합체 및 하기 화학식 1 내지 6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실란계 화합물을 함유할 수 있다.
Figure 112013065864197-pat00001
Figure 112013065864197-pat00002
Figure 112013065864197-pat00003
Figure 112013065864197-pat00004
Figure 112013065864197-pat00005
Figure 112013065864197-pat00006
상기 실란계 화합물은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5중량부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가교제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가교제는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계일 수 있다.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대전방지제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대전방지제는 불소함유 유기염 또는 무기염인 음이온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가혹 조건(고온 또는 고온 다습)에서의 점착 내구성이 우수하면서 고온 또는 고온 다습하에서도 점착력이 과도하게 증가하지 않아 재 박리 시 기재에 점착제가 남지 않는(리워크성)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점착 내구성과 리워크성이 우수한 점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25㎜×100㎜ 크기의 점착제 부착 편광판을 유리기판에 0.25MPa의 압력으로 라미네이션하고 오토클레이브 처리한 시편을 만능인장시험기(UTM, Instron)를 사용하여 박리속도 300mm/분, 박리각도 180°로 점착제층을 박리하되, 23℃, 50%RH의 조건 하에서 24시간 방치한 후 박리하는 초기 점착력(A)에 대한 50℃, 50%RH의 조건 하에서 48시간 방치한 후 박리하는 가온 점착력(B)의 비(B/A)가 2.0이하, 바람직하기로 1.5이하, 보다 바람직기로는 1.3이하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초기 점착력은 운송 중 수분에 의한 박리 안정성과 내열 및 내습열성 등의 내구성을 확보하기 위한 지표일수 있다. 또한, 가온 점착력은 패널의 제조 시 불량에 의한 박리 및 재접합을 위한 리워크성의 지표이다. 이러한 초기 및 가온 점착력의 비는 1에 가까울수록 내구성 및 리워크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점착력이 높으면 내열 또는 내습열 조건에서 편광판의 수축 팽창에 의해 점착제와 글라스층간의 기포나 박리불량을 억제하므로 내구성을 만족할 수 있다.
또한, 패널제조 시 발생하는 불량은 박리 후 재접합하는 리워크 공정을 거치게 된다. 이때, 상기 리워크 공정의 시점은 열처리 전 또는 열처리 후 일 수 있고, 상당한 시간 경시가 진행된 시점에서 진행될 수 있다. 이에 리워크 공정의 시점에 대한 인자를 고려하여, 점착제의 개발 시 가온 점착력으로 리워크성을 평가하게 된다. 그러나, 가온 점착력이 높으면 고점착력에 의한 패널 깨짐, 점착제의 잔존 및 편광판의 찢어짐 등의 불량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내구성과 리워크성을 동시에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초기 점착력은 높아야 하고, 가온 점착력(B)은 초기 점착력(A)에 비해 너무 높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은 내구성과 리워크성을 동시에 만족할 수 있도록, 상기 가온 점착력(B)과 초기 점착력(A)의 비(B/A)를 2.0이하로 유지한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 2.0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내구성은 우수하나 리워크성이 낮은 문제가 발생될 수 있어 내구성 및 리워크성의 동시 만족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초기 점착력은 2 내지 10N/25㎜, 바람직하기로는 4 내지 10N/25㎜범위일 수 있다. 상기 점착력이 2N/25㎜미만이면 운송 중에 수분 및 온도 등의 환경변화에 의한 박리 불량이 발생할 수 있고, 10N/25㎜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열처리 시 가온 점착력이 지나치게 상승하여 리워크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가온 점착력은 2.5 내지 15N/25㎜, 바람직하기로는 8 내지 15N/25㎜범위일 수 있다. 상기 점착력이 2.5N/25㎜미만이면 내열성 또는 내습열성 평가 시 박리불량이 발생할 수 있고, 15N/25㎜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점착제의 잔존, 편광판의 찢어짐, 패널의 깨짐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점착력의 비는 점착제 조성물에 함유되는 성분의 종류 및 이들 성분의 함량을 제어함으로써, 조절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점착제 조성물은 아크릴계 공중합체 및 실란계 화합물을 함유한다.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탄소수가 4 내지 12인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및 가교 가능한 관능기를 갖는 중합성 단량체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메타)아크릴레이트는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를 의미한다.
탄소수 4 내지 12의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로는 탄소수 4 내지 12의 지방족 알콜로부터 유도되는 (메타)아크릴레이트로서, 예를 들면 n-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펜틸(메타)아크릴레이트, 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노닐(메타)아크릴레이트, 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중에서 n-부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가교 가능한 관능기를 갖는 중합성 단량체는 하기 가교제와의 화학 결합에 의해 응집력 또는 점착 강도를 부여하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서, 히드록시기를 갖는 단량체, 카르복시기를 갖는 단량체, 아미드기를 갖는 단량체 및 3차 아민기를 갖는 단량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히드록시기를 갖는 단량체로는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6-히드록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알킬렌기의 탄소수가 2-4인 히드록시알킬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비닐에테르, 5-히드록시펜틸비닐에테르, 6-히드록시헥실비닐에테르, 7-히드록시헵틸비닐에테르, 8-히드록시옥틸비닐에테르, 9-히드록시노닐비닐에테르 및 10-히드록시데실비닐에테르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중에서 4-히드록시부틸비닐에테르가 바람직하다.
카르복시기를 갖는 단량체로는 (메타)아크릴산, 크로톤산 등의 1가산; 말레인산, 이타콘산, 푸마르산 등의 2가산 및 이들의 모노알킬에스테르; 3-(메타)아크릴로일프로피온산; 알킬기의 탄소수가 2-3인 2-히드록시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의 무수호박산 개환 부가체, 알킬렌기의 탄소수가 2-4인 히드록시알킬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의 무수 호박산 개환 부가체, 알킬기의 탄소수가 2-3인 2-히드록시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의 카프로락톤 부가체에 무수 호박산을 개환 부가시킨 화합물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중에서 (메타)아크릴산이 바람직하다.
아미드기를 갖는 단량체로는 (메타)아크릴아미드, N-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 N-3차부틸아크릴아미드, 3-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아미드, 4-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아미드, 6-히드록시헥실(메타)아크릴아미드, 8-히드록시옥틸(메타)아크릴아미드, 2-히드록시에틸헥실(메타)아크릴아미드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중에서 (메타)아크릴아미드가 바람직하다.
3차 아민기를 갖는 단량체로는 N,N-(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N,N-(디에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N,N-(디메틸아미노)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중합성 단량체는 탄소수가 4 내지 12인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05 내지 10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8중량부인 것이 좋다. 함량이 0.05중량부 미만인 경우 점착제의 응집력이 작아지게 되어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10중량부 초과인 경우 높은 겔분율에 의해 점착력이 떨어지고 내구성에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량체들 이외에 다른 중합성 단량체가 점착력을 저하시키지 않는 범위, 예컨대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제조에 사용되는 총 단량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40중량부 이하로 더 포함될 수 있다.
공중합체의 제조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괴상중합, 용액중합, 유화중합 또는 현탁중합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용액중합이 바람직하다. 또한, 중합 시 통상 사용되는 용매, 중합개시제, 분자량 제어를 위한 연쇄이동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실란계 화합물은 실란기가 글라스와 축합반응하고, 유기 관능기가 폴리머 또는 가교제와 반응하여 궁극적으로 글라스와 폴리머를 연결하여 점착력 및 점착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실란 커플링제의 역할을 한다.
실란 커플링제는 유기반응기의 종류에 따라 친핵성 실란커플링제, 친전자성 실란커플링제, 비반응성 실란커를링제로 구분되고, 폴리머에 함유된 가교성 단량체의 종류와 함량 또는 가교제의 가교성 관능기의 종류에 따라 실란커플링제의 유기 관능기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으로 하는 점착력의 비를 만족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지나친 초기 점착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하기 화학식 1 내지 6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실란계 화합물을 함유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3065864197-pat00007
[화학식 2]
Figure 112013065864197-pat00008
[화학식 3]
Figure 112013065864197-pat00009
[화학식 4]
Figure 112013065864197-pat00010
[화학식 5]
Figure 112013065864197-pat00011
[화학식 6]
Figure 112013065864197-pat00012
이러한 실란계 화합물은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5중량부, 바람직하기로는 0.1 내지 1.0중량부 함유할 수 있다. 상기 함량이 0.01중량부 미만이거나, 5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초기 점착력과 가온 점착력의 비율과 상관없이 내구성의 악화될 수 있다.
가교제는 밀착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고온에서의 신뢰성 및 점착제의 형상을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가교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에폭시계, 멜라민계, 과산화물계, 금속킬레이트계, 옥사졸린계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 사용할 수 있다. 이중 이소시아네이트계 또는 에폭시계가 바람직하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계는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자일렌디이소시아네이트, 2,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자일렌디이소시아네이트, 나프탈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디이소시아네이트화합물; 트리메틸올프로판 등의 다가 알콜계 화합물 1몰에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3몰을 반응시킨 부가체,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3몰을 자기 축합시킨 이소시아누레이트체,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3몰 중 2몰로부터 얻어지는 디이소시아네이트 우레아에 나머지 1몰의 디이소시아네이트가 축합된 뷰렛체, 트리페닐메탄트리이소시아네이트, 메틸렌비스트리이소시아네이트 등의 3개의 관능기를 함유하는 다관능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소시아네이트계 중, 내열성 등의 점착 내구성을 고려하면,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계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에폭시계는 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트리프로필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네오펜틸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1,6-헥산디올디글리시딜에테르,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글리세롤디글리시딜에테르, 글리세롤트리글리시딜에테르, 디글리세롤폴리글리시딜에테르, 폴리글리세롤폴리글리시딜에테르, 레졸신디글리시딜에테르, 2,2-디브로모네오펜틸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글리시딜에테르, 펜타에리트리톨폴리글리시딜에테르, 소르비톨폴리글리시딜에테르, 아디핀산디글리시딜에스테르, 프탈산디글리시딜에스테르, 트리스(글리시딜)이소시아누레이트, 트리스(글리시독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1,3-비스(N,N-글리시딜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 N,N,N',N'-테트라글리시딜-m-자일릴렌디아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멜라민계는 헥사메티롤멜라민, 헥사메톡시메틸멜라민, 헥사부톡시메틸멜라민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가교제는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2중량부, 바람직하기로는 0.3 내지 1중량부 함유될 수 있다. 함유량이 0.1중량부 미만이면 부족한 가교도로 인해 응집력이 작게 되어 점착 내구성 및 절단성의 물성을 해칠 수 있으며, 2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과다 가교반응에 의한 잔류응력 완화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대전방지제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으며, 이온성 대전방지제가 바람직하다. 이온성 대전방지제는 음이온과 양이온으로 구성된 이온성염류로 점착제에 이온 전도성을 부여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그 종류를 한정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알칼리 금속염, 암모늄염, 설포늄염 및 포스포늄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양이온과; 불소함유 무기염, 불소함유 유기염 및 요오드이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음이온으로 이루어진 이온성염류일 수 있다. 이중, 내열성, 내습열성 등의 점착 내구성을 고려하면, 불소함유 무기염 또는 불소함유 유기염의 음이온으로 이루어진 대전방지제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온성 대전방지제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5.0중량부, 바람직하기로는 1 내지 2중량부 함유할 수 있다. 함량이 0.5중량부 미만일 경우 대전방지성이 불충분할 수 있고 5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내구성 확보가 곤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성분 이외에, 점착제 조성물은 용도에 따라 요구되는 점착력, 응집력, 점성, 탄성률, 유리전이온도 등을 조절하기 위하여, 점착성 부여 수지, 산화방지제, 레벨링제, 표면윤활제, 염료, 안료, 소포제, 충전제, 광안정제 등의 첨가제를 더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는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적절히 함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내구성을 고려하면 통상의 당 분야에서 사용되는 커플링제는 함유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특히 액정셀과의 접합을 위한 편광판용 점착제, 표면보호필름용 점착제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보호필름, 반사시트, 구조용 점착시트, 사진용 점착시트, 차선표시용 점착시트, 광학용 점착제품, 전자부품용 점착제뿐만 아니라 일반 상업용 점착시트제품, 의료용 패치로도 사용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제조예 : 아크릴계 공중합체
제조예 1
질소가스가 환류되고 온도조절이 용이하도록 냉각장치를 설치한 1L의 반응기에 n-부틸아크릴레이트(BA) 86중량부, 벤질메타크릴레이트(BzMA) 8중량부, 4-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4-HBA) 1중량부, 아크릴산(AA) 5중량부로 이루어진 단량체 혼합물을 투입한 후, 용제로 에틸아세테이트(EAc) 100중량부를 투입하였다. 그 다음 산소를 제거하기 위하여 질소가스를 1시간 동안 퍼징한 후, 80℃로 유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균일하게 혼합한 후, 반응개시제로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IBN) 0.07중량부를 투입하고, 8시간 동안 반응시켜 아크릴계 공중합체(중량평균분자량 약 100만)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2
질소가스가 환류되고 온도조절이 용이하도록 냉각장치를 설치한 1L의 반응기에 n-부틸아크릴레이트(BA) 86중량부, 메틸아크릴레이트(MA) 8중량부,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1중량부, 아크릴산 5중량부로 이루어진 단량체 혼합물을 투입한 후, 용제로 에틸아세테이트(EAc) 100중량부를 투입하였다. 그 다음 산소를 제거하기 위하여 질소가스를 1 시간 동안 퍼징한 후, 62℃로 유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균일하게 혼합한 후, 반응개시제로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IBN) 0.07중량부를 투입하고, 8시간 동안 반응시켜 아크릴계 공중합체(중량평균분자량 약 100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내지 14 및 비교예 1 내지 6
상기 제조예의 아크릴계 공중합체, 가교제, 실란계 화합물 및 대전방지제를 하기 표 1의 조성으로 혼합한 후 28중량%의 농도로 희석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분
(중량부)
아크릴계 공중합체,
제조예
가교제
(A)
실란계 화합물(B) 대전방지제
(C)
1 2 3 4 5 6 7 8 9 1 2 3
실시예1 1, 100 A-1, 0.5 0.1 - - - - - - - 2 - -
실시예2 1, 100 A-1, 0.5 0.5 - - - - - - - - 2 - -
실시예3 1, 100 A-1, 0.5 0.7 - - - - - - - - 2 - -
실시예4 1, 100 A-1, 0.5 1 - - - - - - - - 2 - -
실시예5 1, 100 A-1, 0.5 2 - - - - - - - - - - -
실시예6 1, 100 A-1, 0.5 - 0.5 - - - - - - - 2 - -
실시예7 1, 100 A-1, 0.5 - - 0.5 - - - - - - 2 - -
실시예8 1, 100 A-1, 0.5 - - - 0.5 - - - - - 2 - -
실시예9 1, 100 A-2, 0.5 0.5 - - - - - - - - 2 - -
실시예10 1, 100 A-3, 0.5 0.5 - - - - - - - - 2 - -
실시예11 1, 100 A-4, 0.5 0.5 - - - - - - - - 2 - -
실시예12 1, 100 A-1, 0.5 0.5 - - - - - - - - - 2 -
실시예13 1, 100 A-1, 0.5 0.5 - - - - - - - - - - 2
실시예14 2, 100 A-1, 0.5 0.5 - - - - - - - - 2 - -
비교예1 1, 100 A-1, 0.5 - - - - 0.5 - - - - 2 - -
비교예2 1, 100 A-1, 0.5 - - - - - 0.5 - - - 2 - -
비교예3 1, 100 A-1, 0.5 - - - - - - 0.5 - - 2 - -
비교예4 1, 100 A-1, 0.5 - - - - - - - 0.5 - 2 - -
비교예5 1, 100 A-1, 0.5 - - - - - - - - 0.5 2 - -
비교예6 2, 100 A-1, 0.5 - - - - 0.5 - - - - 2 - -
A-1; 코로네이트-L (TDI의 TMP어덕트, 일본우레탄사)
A-2; 코로네이트-HXR (HDI의 이소아누레이트, 일본우레탄사)
A-3: D110N (HDI-TMP 어덕트, 미쯔이화학)
A-4: D140N (IPDI-TMP 어덕트, 미쯔이화학)
B-1:
Figure 112013065864197-pat00013

B-2:
Figure 112013065864197-pat00014

B-3:
Figure 112013065864197-pat00015

B-4:
Figure 112013065864197-pat00016

B-5:
Figure 112013065864197-pat00017

B-6:
Figure 112013065864197-pat00018

B-7:
Figure 112013065864197-pat00019

B-8:
Figure 112013065864197-pat00020

B-9:
Figure 112013065864197-pat00021

C-1: 플루오로설포닐이미드 포타슘염 (미쯔비시사 KFSI)
C-2: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이미드 리튬염 (3M사, HQ-115)
C-3: 1-옥틸-4메틸피리디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상기에서 제조된 점착제 조성물을 실리콘 이형제가 코팅된 이형필름 상에 두께가 25㎛가 되도록 도포하고 100℃에서 1분 동안 건조시켜 점착층을 형성하였다.
두께 185㎛의 요오드계 편광판에 상기 제조된 점착층을 점착 가공으로 적층하여 점착제 부착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편광판을 23℃, 60%RH의 조건 하에서 양생 기간 동안 보관하였다.
시험예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점착제 조성물, 점착제 부착 편광판의 물성을 하기의 방법으로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1. 점착력(N/25㎜)
점착제 부착 편광판을 25㎜×100㎜로 절단하고 이형필름을 박리한 후, 유리기판(#1737, 코닝사)에 0.25MPa의 압력으로 라미네이션하고 오토클레이브 처리하여 시편을 제작하였다.
초기 점착력은 23℃, 50%RH의 조건 하에서 24시간 방치한 후의 시편, 가온 점착력은 50℃, 50%RH의 조건 하에서 48시간 방치한 후의 시편을 각각 만능인장시험기(UTM, Instron)를 사용하여 박리속도 300mm/분, 박리각도 180°로 점착제층을 박리하여 측정하였다. 이때, 측정은 23℃, 50%RH의 조건 하에서 실시하였다.
2. 내구성(내열, 내습열 )
제조된 점착제 부착 편광판을 90㎜×170㎜ 크기로 절단하고 이형필름을 박리한 후 유리 기판(110㎜×190㎜×0.7㎜)의 양면에 광학 흡수축이 직교하도록 부착하여 시편을 제작하였다. 이때, 가해진 압력은 5㎏/㎠이며 기포나 이물이 생기지 않도록 크린룸 작업을 하였다. 내열 특성은 80℃의 온도에서 1000시간 동안 방치한 후에 기포나 박리의 발생 여부를 관찰하였고, 내습열 특성은 60℃의 온도 및 90%RH의 조건 하에서 1000시간 방치한 후에 기포나 박리의 발생 여부를 관찰하였다. 이때, 시편의 상태를 평가하기 직전에 상온에서 24시간 방치한 후 관찰하였다.
<평가 기준>
ⓞ: 기포나 박리 없음.
○: 기포나 박리 < 5개
△: 5개 ≤ 기포나 박리 < 10개
×: 10개 ≤ 기포나 박리
3. 리워크성
편광판을 폭 25㎜, 길이 100㎜의 크기로 잘라내고, 이형필름을 박리한 후, 코닝사 #1737 유리에 0.25MPa의 압력으로 라미네이션하고 5기압, 50℃의 조건으로 20분 동안 오토클레이브를 처리하여 평가 샘플을 제조하였다. 내열조건인 80℃ 오븐에 넣은 후 10시간 뒤에 꺼내어 120시간 동안 상온에서 방치한 후 1.3㎝/s의 속도로 박리하였다.
<평가기준>
- 유리 기판에 점착제의 남음이 없고 편광판의 찢어짐 없이 깨끗이 박리: ○
- 패널에 점착제가 남아있거나 박리과정에서 편광판이 찢어짐: ×
구분 점착력(N/25㎜) 내구성 리워크성
초기(A) 가온(B) B/A 내열성 내습열성
실시예1 9 10 1.1
실시예2 10 11 1.1
실시예3 9 11 1.2
실시예4 8 12 1.5
실시예5 8 11 1.4
실시예6 5 9 1.8
실시예7 8 13 1.6
실시예8 9 18 2.0
실시예9 7 12 1.7
실시예10 9 14 1.6
실시예11 8 13 1.6
실시예12 8 10 1.3
실시예13 4 7 1.8
실시예14 10 12 1.2
비교예1 3 26 8.7 ×
비교예2 5 28 5.6 ×
비교예3 7 29 4.1 ×
비교예4 1.8 8.5 4.7 × ×
비교예5 2 18 1.1 ×
비교예6 4 31 7.8 ×
상기 표 2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14의 점착제 조성물은 비교예 1 내지 6에 비해 내열성 및 내습열 등의 점착 내구성과 리워크성이 동시에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10)

  1. 25㎜×100㎜ 크기의 점착제 부착 편광판을 유리기판에 0.25MPa의 압력으로 라미네이션하고 오토클레이브 처리한 시편을 만능인장시험기(UTM, Instron)를 사용하여 박리속도 300mm/분, 박리각도 180°로 점착제층을 박리하되,
    23℃, 50%RH의 조건 하에서 24시간 방치한 후 박리하는 초기 점착력(A)에 대한 50℃, 50%RH의 조건 하에서 48시간 방치한 후 박리하는 가온 점착력(B)의 비(B/A)가 2.0이하인 것인 점착제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초기 점착력(A)에 대한 가온 점착력(B)의 비(B/A)는 1.5이하인 것인 점착제 조성물.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초기 점착력은 2 내지 10N/25㎜인 것인 점착제 조성물.
  4.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가온 점착력은 2.5 내지 15N/25㎜인 것인 점착제 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아크릴계 공중합체 및 하기 화학식 1 내지 6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실란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이 점착제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3065864197-pat00022

    [화학식 2]
    Figure 112013065864197-pat00023

    [화학식 3]
    Figure 112013065864197-pat00024

    [화학식 4]
    Figure 112013065864197-pat00025

    [화학식 5]
    Figure 112013065864197-pat00026

    [화학식 6]
    Figure 112013065864197-pat00027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실란계 화합물은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5중량부 함유하는 것인 점착제 조성물.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가교제를 추가로 함유하는 것인 점착제 조성물.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가교제는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계인 것인 점착제 조성물.
  9.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대전방지제를 추가로 함유하는 것인 점착제 조성물.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대전방지제는 불소함유 유기염 또는 무기염인 음이온을 함유하는 것인 점착제 조성물.
KR1020130086097A 2013-07-22 2013-07-22 점착제 조성물 KR1013912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6097A KR101391297B1 (ko) 2013-07-22 2013-07-22 점착제 조성물
US14/906,673 US9624409B2 (en) 2013-07-22 2014-07-16 Adhesive composition
PCT/KR2014/006447 WO2015012525A1 (ko) 2013-07-22 2014-07-16 점착제 조성물
CN201480041824.1A CN105683322B (zh) 2013-07-22 2014-07-16 胶粘剂组合物
JP2016529703A JP6317816B2 (ja) 2013-07-22 2014-07-16 粘着剤組成物
EP14828782.4A EP3026090A4 (en) 2013-07-22 2014-07-16 Adhesive composition
TW103124479A TWI631198B (zh) 2013-07-22 2014-07-17 黏著劑組合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6097A KR101391297B1 (ko) 2013-07-22 2013-07-22 점착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1297B1 true KR101391297B1 (ko) 2014-05-02

Family

ID=50893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6097A KR101391297B1 (ko) 2013-07-22 2013-07-22 점착제 조성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624409B2 (ko)
EP (1) EP3026090A4 (ko)
JP (1) JP6317816B2 (ko)
KR (1) KR101391297B1 (ko)
CN (1) CN105683322B (ko)
TW (1) TWI631198B (ko)
WO (1) WO201501252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062501A1 (en) * 2013-08-30 2015-03-05 Dongwoo Fine-Chem Co., Ltd. Adhesive composition and polarizing plate comprising the same
WO2015190826A1 (ko) * 2014-06-10 2015-12-17 동우화인켐 주식회사 대전 방지성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편광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12454B (zh) * 2018-10-26 2023-09-22 汉高股份有限及两合公司 可再加工粘合剂组合物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4553B1 (ko) 2008-07-01 2012-04-13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조성물,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13793A (ja) 1987-06-15 1988-12-21 Nippon Paint Co Ltd 金属キレ−ト化合物
JP2693482B2 (ja) * 1988-05-12 1997-12-24 日本ペイント株式会社 硬化性組成物
JP3022993B2 (ja) 1990-12-25 2000-03-21 日本合成化学工業株式会社 粘着剤層を有する偏光板
KR100440478B1 (ko) * 2002-02-07 2004-07-14 주식회사 엘지화학 아크릴계 점착제 수지 조성물
KR100671400B1 (ko) 2004-04-22 2007-01-18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용 아크릴계 점착제 수지 조성물
KR100784991B1 (ko) * 2005-06-10 2007-12-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KR100840114B1 (ko) 2005-10-20 2008-06-19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조성물
US20080085417A1 (en) * 2006-09-13 2008-04-10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Optical film coated with adhesive
JP5204612B2 (ja) * 2007-12-20 2013-06-05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用粘着剤組成物、粘着型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20120038633A (ko) 2010-10-14 2012-04-24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JP2012117041A (ja) 2010-11-12 2012-06-21 Nitto Denko Corp 粘着剤組成物、粘着剤層、及び、粘着テープ又はシート
JP5365609B2 (ja) * 2010-11-22 2013-12-11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粘着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KR101883518B1 (ko) * 2011-04-15 2018-07-30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점착 시트
JP2013006936A (ja) * 2011-06-23 2013-01-10 Dongwoo Fine-Chem Co Ltd 粘着剤組成物およびこれを含む偏光板
KR20140023856A (ko) * 2012-08-16 2014-02-27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4553B1 (ko) 2008-07-01 2012-04-13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조성물,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062501A1 (en) * 2013-08-30 2015-03-05 Dongwoo Fine-Chem Co., Ltd. Adhesive composition and polarizing plate comprising the same
WO2015190826A1 (ko) * 2014-06-10 2015-12-17 동우화인켐 주식회사 대전 방지성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편광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528339A (ja) 2016-09-15
TW201510138A (zh) 2015-03-16
CN105683322A (zh) 2016-06-15
JP6317816B2 (ja) 2018-04-25
EP3026090A1 (en) 2016-06-01
US20160160095A1 (en) 2016-06-09
US9624409B2 (en) 2017-04-18
EP3026090A4 (en) 2017-03-15
TWI631198B (zh) 2018-08-01
WO2015012525A1 (ko) 2015-01-29
CN105683322B (zh) 2018-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1974B1 (ko) 점착제 조성물
KR101938897B1 (ko) 아크릴계 공중합체, 이를 함유한 점착제 조성물 및 편광판
KR101911997B1 (ko)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KR101391297B1 (ko) 점착제 조성물
KR20140080998A (ko)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KR101991971B1 (ko) 아크릴계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한 편광판
KR20130052498A (ko)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KR101832702B1 (ko)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KR20150011460A (ko) 아크릴계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한 편광판
KR20150001272A (ko) 아크릴계 공중합체 및 이를 함유한 점착제 조성물
KR101881186B1 (ko) 점착제 조성물
KR20140120490A (ko) 아크릴계 공중합체, 이를 함유한 점착제 조성물 및 편광판
KR20150011160A (ko) 점착제 조성물
KR20150122507A (ko) 점착제 조성물
KR20140120063A (ko)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KR20140011042A (ko) 점착제 조성물
KR102221109B1 (ko) 점착제 조성물
KR101836366B1 (ko) 아크릴계 공중합체 및 이를 함유하는 점착제 조성물
KR20150035177A (ko)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및 실란계 화합물
KR20140140872A (ko) 아크릴계 공중합체 및 이를 함유한 점착제 조성물
KR20150001271A (ko)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KR101837057B1 (ko)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KR101784825B1 (ko)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KR20150001270A (ko)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KR20150039984A (ko) 점착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