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1400B1 - 편광판용 아크릴계 점착제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편광판용 아크릴계 점착제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1400B1
KR100671400B1 KR1020040027754A KR20040027754A KR100671400B1 KR 100671400 B1 KR100671400 B1 KR 100671400B1 KR 1020040027754 A KR1020040027754 A KR 1020040027754A KR 20040027754 A KR20040027754 A KR 20040027754A KR 100671400 B1 KR100671400 B1 KR 1006714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h
acrylate
acrylic
group
sensitive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7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2403A (ko
Inventor
성혜란
김세라
한인천
장석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0400277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1400B1/ko
Publication of KR20050102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24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14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14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062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9J133/06
    • C09J133/066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9J133/06 containing -OH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크릴계 점착제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아세토아세테이트기를 갖는 실란 커플링제, 탄소수 1 내지 12의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 및 수산기를 갖는 비닐계 단량체의 공중합으로 얻어진 아크릴계 공중합체 및 다관능성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를 포함하여, 유리에 부착 시 초기 접착력이 낮아 재박리성이 우수하고, 부착 후 고온 또는 고온 고습 조건 하에서 유리와의 접착력이 증가하여 장기적으로 내구성이 우수한 편광판용 아크릴계 점착제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편광판용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아크릴계 수지, 아세토아세테이트기, 수산기, 실란 커플링제, 재박리성, 초기접착력, 내구성

Description

편광판용 아크릴계 점착제 수지 조성물{ACRYLIC PRESSURE SENSITIVE ADHESIVE FOR THE POLARIZING FILM}
본 발명은 아크릴계 점착제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리에 부착 시 초기 접착력이 낮아 재박리성이 우수하고, 부착 후 고온 또는 고온 고습 조건 하에서 유리와의 접착력이 증가하여 장기적으로 내구성이 우수한 편광판용 아크릴계 점착제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타입의 컴퓨터의 보급이나 휴대전화의 다기능화에 의한 시장의 확대 등, LCD의 수요는 현저한 성장을 보이고 있다. 또한, 고밀도 실장기술이 진행되어 박막형ㆍ소형화를 실현하면서도, LCD 화면은 대형화 와이드화가 진행되고 있다. LCD의 경우 20인치 이상의 대형화가 어려울 것이라고 생각했던 당초의 예상을 뒤엎고 빠른 속도로 대형화가 진전되고 있다. 주요 LCD 메이커들은 지금까지 20인치 이하 소형 패널 생산에 주력해왔지만 최근 신기술을 적극 활용, 제품 범위를 20인치 이상의 대형 사이즈로 급격히 확대해 나가고 있다.
이렇듯 제반 광학용 필름에 있어서 액정 표시 판 제조시 사용되는 유리가 대형화되는 추세이므로, 초기 부착 시 불량제품이 발생하여 액정 셀에서 광학용 필름 을 제거하고 액정 셀을 세척한 후 재사용할 경우, 종래기술에 의한 고점착력을 지닌 점착제를 사용한다면 광학필름 재박리 시 점착력이 높아 광학 필름을 제거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고가인 액정 셀이 파괴될 수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평8-104855호는 기판의 표면에 편광판을 양호한 접착 강도로 접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기판에 손상을 주거나 점착제를 잔존시키지 않고 기판의 표면으로부터 편광판을 박리하기 위해서, 아크릴계 폴리머에 β-케토 에스테르기와 알콕시기를 가지는 실란 화합물이 함유된 점착제 조성물을 이용하고 있다. 이 실란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에 의해, 기판과 편광판은 실제 사용되는 환경에서 요구되는 정도의 적절한 접착 강도를 유지할 수 있으며 접착 강도는 가열 등에 의해 과도히 높아지지 않아서 액정 소자에 손상 주는 일없이 용이하게 편광판을 박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고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앞서 언급했듯이 LCD 화면이 20인치 이상으로 빠른 속도로 대형화되고 있고, 특히 상기 특허의 경우 카르복실기 (-COOH)를 함유한 점착제에 실란 화합물을 사용하여 고온 조건에서의 접착력 상승을 억제하려는 목적이지만, 점착제가 카르복실기(-COOH)를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초기 접착력이 이미 높은 상태이므로 20인치 이상의 대형 사이즈에서는 재박리성이 좋지 않아 액정 셀이 파괴되거나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점착제가 LCD 화면의 대형화 추세를 뒷받침하기 위해서는 유리에 부착 시 초기 점착력이 낮아 재박리성이 우수하고 시간,열 및 습도에 의해서 점착력이 증가하여 기포나 박리현상이 없을 뿐만 아니라 내구신뢰성이 우수한 점착제 조성물이 개발되어야 한다.
또한, 일본공개특허공보 평9-199144호는 고온 또는 고온 고습 하에서도 응집력 및 접착력의 경시변화가 작고 곡면 접착력에도 뛰어난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하여, 실란계 화합물의 존재 하에서 아크릴계 모노머를 중합하여 얻은 아크릴계 수지에 경화제를 배합시키었다. 이 때 아크릴계 수지의 구성 성분은 유리전이온도가 낮고 부드러운 모노머 성분, 유리전이온도가 높고 딱딱한 모노머 성분, 그리고 소량의 관능기 함유 모노머인데 특히 관능기 함유 모노머 성분으로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가 바람직하다고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앞서 언급했듯이 카르복실기 관능기 모노머를 사용할 경우 초기 접착력을 낮추기가 어려우므로 20인치 이상의 대형 사이즈에서는 재박리성 측면에서 문제점이 있다. 더구나 실용적인 측면을 고려했을 때, 고온 또는 고온 고습 하에서 응집력 및 접착력의 경시변화가 작은 것보다는 접착력이 증가하여 기포나 박리현상이 없고 내구신뢰성이 우수한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즉 유리에 부착한 초기에는 재박리가 가능할 정도의 적정한 초기 접착력을 나타내다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박리 될 필요성이 없어지므로 강화되고 안정화된 접착력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할 수 있겠다. 이를 위해서는 수지와 실란 커플링제와의 결합력이 보다 강한 것이 유리하다.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의 목적은 유리에 부착 시 초기 접착력이 낮아 재박리성이 우수하고, 부착 후 고온 또는 고온 고습 조건 하에서 유리와의 접착력이 증가하여 장기적으로 내구성이 우수한 편광판용 아크릴계 점착제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재박리성이 우수하고, 부착 후 고온 또는 고온 고습 조건 하에서 유리와의 접착력이 증가하여 장기적으로 내구성이 우수한 상기의 아크릴계 점착제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편광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아세토아세테이트기를 갖는 실란 커플링제 0.01 내지 10 중량부;
탄소수 1∼12인 알킬기를 가지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모노머 80 내지 99.4 중량부; 및
수산기를 갖는 비닐계 모노머 0.1 내지 10 중량부
를 공중합하여 얻어진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 중량부; 및
b) 다관능성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0.01 내지 10 중량부
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아크릴계 점착제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편광판을 제공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자들은 유리에 부착 시 초기 접착력이 낮아 재박리성이 우수하고, 부착 후 고온 또는 고온 고습 조건 하에서 유리와의 접착력이 증가하여 장기적으로 내구성이 우수한 편광판용 아크릴계 점착제 수지 조성물에 대하여 연구하던 중, 실란 커플링제의 존재 하에서 수산기 관능기를 포함한 아크릴계 모노머를 공중합하여 얻어진 중량 평균분자량이 80만 ~ 200만인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사용한 결과, 유리 에 부착 시 초기에 점착력이 낮아 재박리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시간, 온도 및 습도에 의해 점착력이 증가하여도 기포나 박리현상이 없으며, 유리와의 접착력도 우수하고, 내구성 실험결과 상 분리 현상과 유리로의 전사문제도 발생하지 않음을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아크릴계 점착제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각각의 모노머 중 수산기(-OH)를 가지는 모노머를 사용하여 공중합체를 제조함으로써 점착제의 초기 접착력을 낮추어 재박리성이 우수하며, 또한 공중합체 제조공정인 중합공정에서 아세토아세테이트기를 포함하는 실란 커플링제와 각각의 모노머를 동시에 투입하여 공중합체를 제조함으로써 점착제의 수산기(-OH)와 실란 커플링제의 아세토아세테이트기와의 결합력을 강화시켜 유리에 부착한 후 에이징(aging)됨에 따라 유리와의 접착력이 증가하여 고온 및 고온 고습 하에서도 내구성이 우수한 편광판용 아크릴계 점착제 수지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아크릴계 점착제 수지 조성물은 a) 아세토아세테이트기를 포함하는 실란 커플링제, 탄소수 1∼12인 알킬기를 가지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모노머, 및 수산기를 포함하는 비닐계 모노머를 공중합하여 얻어진 아크릴계 공중합체, 및 b) 다관능성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각 성분들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a) 아크릴계 공중합체
본 발명에서 아크릴계 공중합체 제조시 사용되는 아세토아세테이트기를 갖는 실란 커플링제는 수지의 수산기와 결합하여 고온 혹은 고온 고습에서 유리와의 접 착력을 증가시켜 점착제 조성물이 장기적으로 우수한 내구성을 지니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즉 시간, 온도 및 습도에 의해 접착력을 증가시켜 고온 혹은 고온고습 상태에서의 기포나 박리를 예방하여 내구신뢰성을 증가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아세토아세테이트기를 함유하는 실란 커플링제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 중량부 중 0.01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함량이 0.01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에이징(aging)됨에 따라 유리와의 접착력이 증가하는 효과가 미미하며, 1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과량 사용으로 인해 기포나 박리가 발생하여 내구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아세토아세테이트기를 함유하는 실란 커플링제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3-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아세토아세테이트 및 화학식 2로 표시되는 3-트리에톡시실릴프로필아세토아세테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04016578713-pat00001
[화학식 2]
Figure 112004016578713-pat00002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탄소수 1∼12인 알킬기를 가지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모노머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 중량부 중 80 내지 99.4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85 내지 97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다. 이때, 그 함량이 80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초기접착력이 저하되고 가격이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탄소수 1 내지 12의 알킬기를 가지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모노머는 아크릴산(또는 메타크릴산)의 탄소수가 1 내지 12인 알킬 에스테르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탄소수가 2 내지 8인 알킬 에스테르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즉, 상기 알킬(메타) 아크릴레이트는 알킬기가 장쇄 형태로 되면 점착제의 응집력이 낮아지기 때문에 고온 하에서 응집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알킬기의 탄소수 2 내지 8의 범위에서 선택하는 것이 좋다. 상기 탄소수 1 내지 12의 알킬기를 가지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로는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n-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펜틸(메타)아크릴레이트, n-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이소노닐(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이 있으며,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 사용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아크릴계 공중합체 제조시 점착제의 유리전이온도를 조절하거나 또는 기타 기능특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공중합 모노머를 추가로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한 모노머는 아크릴로니트릴, 스티렌,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비닐아세테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수산기를 포함하는 비닐계 모노머는 다관능성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의 이소시아네이트 그룹과 반응하여 부분가교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수산기를 포함하는 비닐계 모노머는 단독으로 또는 b)의 다관능성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와 반응하여 승온시 점착제의 응집파괴가 일어나지 않도록 화학결합에 의한 응집력을 부여하는 성분이다. 특히 수산기는 실란 커플링제의 아세토아세테이트기와 결합하여, 유리에 부착 시 초기 점착력이 낮아 재박리성이 우수하고, 유리에 부착한 후 고온 혹은 고온 고습에서 유리와의 접착력을 증가시켜 기포나 박리를 예방하여 내구신뢰성을 향상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수산기를 갖는 비닐계 모노머의 함량은 공중합하여 얻어진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수산기를 포함하는 비닐계 단량체의 함량이 0.1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승온 시 응집파괴가 일어나기 쉬우며, 1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승온 유동특성을 감소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수산기를 포함하는 비닐계 모노머는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2-히드록시프로필렌글리콜(메타) 아크릴레이트 등이 있다.
점착제는 내부에 휘발성분, 반응잔류물 등의 기포를 유발시키는 성분은 충분히 제거한 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교밀도나 분자량이 너무 낮아 점착제의 탄성율이 너무 낮은 경우, 고온상태에서 유리판과 점착층 사이에 존재하는 작은 기포들이 커져 점착층 내부에 산란체를 형성하게 되며, 탄성율이 너무 큰 점착제를 장기간 사용할 경우, 과도한 가교반응으로 인해 점착 시트 끝단 부위에 박리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점착제의 점탄성 특성은 주로 고분자 사슬의 분자량, 분자량 분포, 또는 분자구조의 존재량에 의존하고, 특히 분자량에 의하여 결정되므로, 본 발명에 사용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분자량은 80 만 내지 200 만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통상의 라디칼 공중합 과정을 거쳐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경우, 아크릴계 점착제를 제조하기 위한 중합 공정에서 실란 커플링제를 각각의 모노머와 동시에 투입하여 점착제를 제조함으로써, 수지 중합 후 실란 커플링제를 배합하여 이용하는 경우보다 수지의 수산기(-OH)와 실란 커플링제의 아세토아세테이트기 사이의 결합력이 강화된다는 장점을 지닌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중합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며, 용액중합법, 광중합법, 벌크중합법, 서스펜션중합법, 에멀젼중합법 등의 중합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특히 용액 중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중합온도는 50 ∼ 140 ℃이고, 단량체가 균일하게 혼합된 상태에서 개시제를 첨가하는 것이 좋다.
b) 다관능성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본 발명에 사용되는 다관능성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는 가교구조의 형성을 통하여 승온 시 점착제의 응집력을 유지시켜 부착신뢰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다관능성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는 점착층 형성시 이소시아네이트 작용기의 가교반응이 일어나지 않아 균일한 코팅작업을 할 수 있다. 또한 코팅작업이 끝나고 건조 및 숙성과정을 거치면 가교구조가 형성되어 응집력이 향상된 점착층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때 점착제의 강한 응집력에 의하여 점착제품의 점착물성 및 절단 작업성(cuttability)이 향상되게 된다. 상기 다관능성 이소시아네이트 계 단량체는 톨리렌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톨리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트리메틸올프로판 부가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다관능성 이소시아네이트계 단량체의 함량은 상기에서 공중합하여 얻어진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10 중량부로 사용할 수 있으며, 그 함량이 0.01 중량부 미만이면 가교가 덜되어 내구성에 문제가 있고,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과도하게 가교되어 접착력이 현저히 감소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아크릴계 점착제 수지 조성물은 상기한 아크릴계 공중합체 및 다관능성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를 이용하고여 통상의 방법으로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잘 알려진 적절한 광개시제의 선정에 의하여 광중합 경화방법에 의하여 제조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점착제의 초기 접착력을 낮추기 위해, 상기 조성물 중에 가소제, 아크릴계 올리고머, 유화제, 복굴절성 저분자량체 등을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에폭시레진, 경화제, 자외선 안정제, 산화 방지제, 조색제, 보강제, 충진제 등을 추가로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아크릴계 점착제 수지의 가교밀도는 1∼95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아크릴계 점착제 수지 조성물은 고기능성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광 특성 조절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편광판, 광기능 부가필름, 광조절필름 등의 합판에 사용할 수 있으며, 산업용시트, 특히 반사시트, 구조용 점 착시트, 사진용 점착시트, 차선표시용 점착시트 광학용 점착제품, 전자부품용 점착제 등 용도에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다층구조의 라미네이트 제품, 즉 일반 상업용 점착시트제품, 의료용패치, 가열활성 점착제(heat activated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등 작용개념이 동일한 응용분야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아크릴계 공중합체 제조)
질소가스가 환류되고 온도조절이 용이하도록 냉각장치를 설치한 1000 cc 반응기에, n-부틸아크릴레이트(BA) 98 중량부, 2-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2-HEMA) 1.5 중량부로 구성되는 단량체 혼합물(A)을 투입하고, 여기에 실란 커플링제(B)인 3-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아세토아세테이트 0.5 중량부를 투입한 후, 용제로 에틸아세테이트(EAc) 100 중량부를 투입하였다. 그 다음, 산소를 제거하기 위하여 질소가스를 1 시간 퍼징한 후, 62 ℃로 유지하였다. 이를 균일하게 한 후, 반응개시제로 에틸아세테이트에 50 %의 농도로 희석시킨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IBN) 0.03 중량부를 투입하였다. 이를 8 시간 동안 반응시켜 분자량(폴리스티렌 표준샘플을 이용하여 측정)이 150만인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아크릴계 점착제 제조)
상기 제조한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다관능성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로 트리메틸올프로판의 톨리렌디이소시아네이트 부가물(TDI-1) 1.5 중량부를 에틸아세테이트 용액에 10 중량%로 희석하여 첨가하였다. 이를 코팅성을 고려하여 적정의 농도로 희석하여 균일하게 혼합한 후, 38 ㎛ 두께의 이형필름에 코팅하여 건조한 후, 25 ㎛의 균일한 점착층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 있어서, 2-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2-HEMA) 1.5 중량부 대신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2-HEA) 1.5 중량부를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 있어서, 실란 커플링제(B)인 3-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아세토아세테이트의 양을 0.01 중량부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에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1에 있어서, 실란 커플링제(B)인 3-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아세토아세테이트의 양을 10 중량부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에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5
상기 실시예 1에서 실란 커플링제(B)를 3-트리에톡시실릴프로필아세토아세테 이트로 대신하여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 있어서, (A)를 n-부틸아크릴레이트(BA) 94.5 중량부, 아크릴산 5 중량부로 대신한 것 이외에는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1에 있어서, 실란 커플링제(B)인 3-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아세토아세테이트를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비교예 3
실시예 1에 있어서, 실란 커플링제(B)인 3-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아세토아세테이트의 양을 15 중량부 첨가한 것 이외에는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비교예 4
실시예 1에 있어서, 2-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2-HEMA) 1.5 중량부 대신 15 중량부를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험예
상기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4에서 제조한 아크릴계 점착제 수지를 라미네이트를 사용하여 두께 185㎛의 요오드계 편광판에 점착 가공하였다. 상기와 같이 점착 가공한 편광판의 유리 접착력, 내구신뢰성, 및 재박리성을 하기 i), ii), 및 iii)의 방법으로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ⅰ) 유리 접착력(180°박리강도) -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점착제 수지가 부착된 편광판을 상온(23 ℃, 60% R.H)에서 7 일간 숙성을 시킨 후, 각각의 편광판을 1 인치 × 6 인치로 절단하여 2 ㎏의 고무 롤러를 사용하여 0.7 ㎜ 두께의 무알칼리 유리에 부착하고, 상온에서 보관한 다음 1 시간 후 측정하고, 부착 후 50 ℃에서 4 시간 에이징 시킨 후 상온에서 1 시간 보관 후 측정하였다.
이때, 인장시험기를 이용하여 300 ㎜/min의 속도, 180° 각도로 박리강도를 측정하였다.
ⅱ) 내구신뢰성 - 상기의 편광판(90 ㎜ × 170 ㎜)을 유리기판(110 ㎜ × 190 ㎜ × 0.7 ㎜)에 양면으로 광축이 크로스된 상태로 부착시켰다. 이때 가해진 압력은 약 5 ㎏/㎠으로 기포나 이물이 생기지 않도록 크린룸 작업을 하였다. 이 시편들을 내습열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60 ℃, 90 % 상대 습도 조건하에서 1000 시간 방치한 후 기포나 박리가 발생하였는지 관찰하였다. 내열특성은 80 ℃, 1000 시간 방치한 후 기포나 박리 여부를 관찰하였다. 시편의 상태를 평가하기 직전에 상온에서 24 시간 방치한 후 실시하였다. 또한 내구신뢰성에 대한 평가기준은 하기와 같이 하였다.
○: 기포나 박리현상 없음
△: 기포나 박리현상 다소 있음
×: 기포나 박리현상 있음
ⅲ) 재박리성 - 상기의 편광판(90 ㎜ ×170 ㎜)을 유리기판 (110 ㎜ ×190 ㎜×0.7 ㎜)에 부착 후 1 시간 경과, 및 50 ℃, 4 시간 동안 가열하고 상온에서 1 시간 방치 후, 편광판을 유리에서 박리하였다. 또한 재박리성에 대한 평가기준은 하기와 같이 하였다.
○: 무난하게 재박리가 됨
△: 재박리가 약간 어려움
×: 유리가 파괴되거나 파괴될 정도로 박리가 어려움
구분 접착력 (g/25mm) 내구신뢰성 재박리성
초기접착력 50 ℃에서 4시간, 상온 1시간 경과 후 80 ℃, 1000 시간 60 ℃, 90% R.H., 1000 시간
실시예 1 450 650
실시예 2 430 630
실시예 3 400 550
실시예 4 490 680
실시예 5 450 600
비교예 1 1100 1835 ×
비교예 2 390 450 × ×
비교예 3 700 1100 × × ×
비교예 4 330 390 × ×
내열 (60℃)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초기 450 430 400 490 450 1100 390 700 330
1시간 510 490 460 550 490 1190 400 830 350
4시간 530 510 480 590 510 1810 410 910 360
8시간 600 580 550 640 580 2350 440 1040 370
1일 770 760 700 820 720 2910 450 1240 400
3일 1370 1350 1140 1400 1310 3550 570 1650 420
6일 1850 1830 1570 1880 1790 3920 610 2120 460
10일 2250 2200 1900 2300 2100 4270 730 2560 500
14일 2250 2200 2010 2350 2150 4310 750 2670 550
20일 2300 2200 2050 2390 2180 4590 800 2730 600
내습열 (60℃,90%R.H)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초기 450 430 400 490 450 1100 390 700 330
1시간 520 490 480 580 510 1220 440 860 350
4시간 560 510 510 610 520 1860 370 920 360
8시간 650 580 560 650 590 2370 270 1070 370
1일 790 760 710 840 740 2940 200 1280 400
3일 1530 1350 1170 1410 1340 3570 180 1660 420
6일 2000 1830 1590 1900 1820 3940 210 2170 460
10일 2080 2200 1710 1930 1830 3960 320 2190 500
14일 2160 2200 1730 1940 1840 4000 390 2210 550
20일 2160 2200 1740 1940 1850 4010 270 2210 600
상기 표 1 내지 3의 결과에서 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5는 비교예 1 내지 4와 비교하여, 접착력, 내구신뢰성이 우수하고, 고온 및 고습 조건하에서도 유리와의 접착력이 우수하였다.
본 발명의 아크릴계 점착제 수지 조성물은 유리에 부착 시 초기 접착력이 낮아 재박리성이 우수하고, 유리에 부착한 후 고온 혹은 고온 고습 조건에서 유리와의 접착력이 증가하여 장기적으로 내구성이 우수한 특성을 지니고 있다.

Claims (6)

  1. a) 아세토아세테이트기를 갖는 실란 커플링제 0.01 내지 10 중량부;
    탄소수 1∼12인 알킬기를 가지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모노머 80 내지 99.4 중량부; 및
    수산기를 갖는 비닐계 모노머 0.1 내지 10 중량부
    를 공중합하여 얻어진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 중량부; 및
    b) 다관능성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0.01 내지 10 중량부
    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수지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세토아세테이트기를 갖는 실란 커플링제가 3-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아세토아세테이트, 및 3-트리에톡시실릴프로필아세토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것인 아크릴계 점착제 수지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수 1∼12인 알킬기를 가지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모노머가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n-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펜틸(메타)아크릴레이트, n-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이소노닐(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것인 아크릴계 점착제 수지 조성 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산기를 갖는 비닐계 모노머가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및 2-히드록시프로필렌글리콜(메타) 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것인 아크릴계 점착제 수지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관능성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가 톨리렌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및 톨리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트리메틸올프로판 부가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아크릴계 점착제 수지 조성물.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의 아크릴계 점착제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편광판.
KR1020040027754A 2004-04-22 2004-04-22 편광판용 아크릴계 점착제 수지 조성물 KR1006714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7754A KR100671400B1 (ko) 2004-04-22 2004-04-22 편광판용 아크릴계 점착제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7754A KR100671400B1 (ko) 2004-04-22 2004-04-22 편광판용 아크릴계 점착제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2403A KR20050102403A (ko) 2005-10-26
KR100671400B1 true KR100671400B1 (ko) 2007-01-18

Family

ID=37280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7754A KR100671400B1 (ko) 2004-04-22 2004-04-22 편광판용 아크릴계 점착제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14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12525A1 (ko) 2013-07-22 2015-01-29 동우화인켐 주식회사 점착제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1558B1 (ko) * 2005-11-18 2008-05-21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용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US8664326B2 (en) * 2005-11-24 2014-03-04 Lg Chem, Ltd.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JP4953717B2 (ja) * 2006-05-19 2012-06-13 リンテック株式会社 光学機能性フィルム貼合用粘着剤、光学機能性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47468A (ja) * 2000-08-02 2002-02-12 Saiden Chemical Industry Co Ltd 粘着塗布型偏光板及びそれに用いる粘着剤組成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47468A (ja) * 2000-08-02 2002-02-12 Saiden Chemical Industry Co Ltd 粘着塗布型偏光板及びそれに用いる粘着剤組成物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12525A1 (ko) 2013-07-22 2015-01-29 동우화인켐 주식회사 점착제 조성물
EP3026090A4 (en) * 2013-07-22 2017-03-15 Dongwoo Fine-Chem Co., Ltd. Adhesive composition
US9624409B2 (en) 2013-07-22 2017-04-18 Dongwoo Fine-Chem Co., Ltd. Adhesive compos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2403A (ko) 2005-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27773B2 (ja) アクリル系粘着剤組成物
KR100668943B1 (ko) 편광판용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JP3997270B2 (ja) 光学フィルム用粘着剤組成物および粘着シート、ならびにこれを用いた光学部材
KR101023839B1 (ko) 점착제 조성물, 상기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KR100840114B1 (ko) 점착제 조성물
KR102207421B1 (ko) 점착제 조성물, 점착 편광판 및 액정 표시 장치
JP2009544765A (ja) 光学補償されたアクリル系粘着剤組成物、これを含む偏光板及び液晶表示素子
KR20080070756A (ko) 광학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 시트, 및 이것을이용한 광학 부재
KR20080039740A (ko) 광 개시제기를 함유하는 편광판용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JP2008280375A (ja) 表面保護フィルム用粘着剤組成物
US20100285244A1 (en) Acrylic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s
JP2008101168A (ja) 粘着剤組成物および光学機能性フィルム
JP6015990B2 (ja) 光学フィルム用感圧粘着剤組成物
KR100426228B1 (ko) 아크릴계 점착제를 이용한 편광판 점착제품의 제조방법
JP2009191149A (ja) 偏光板用粘着剤組成物およびこれを利用した偏光板
CN113383052A (zh) 光学膜粘合剂、粘合层、光学元件和图像显示装置
KR100383092B1 (ko) 잔류응력 완화효과가 우수한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KR100955334B1 (ko) 빛샘 현상이 개선된 점착층을 가지는 편광판
KR101047922B1 (ko) 편광판용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KR100405311B1 (ko) 편광판용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KR100440478B1 (ko) 아크릴계 점착제 수지 조성물
KR20180031330A (ko) 광학 투명 점착제 조성물, 그를 포함하는 광학 투명 점착 필름 및 평판표시장치
KR100405309B1 (ko) 편광판용 아크릴계 점착제 수지 조성물
KR100671400B1 (ko) 편광판용 아크릴계 점착제 수지 조성물
KR100477938B1 (ko) 아크릴계 점착제 수지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