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9791B1 - 건물의 수직형 케이블 트레이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건물의 수직형 케이블 트레이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9791B1
KR101389791B1 KR1020130103689A KR20130103689A KR101389791B1 KR 101389791 B1 KR101389791 B1 KR 101389791B1 KR 1020130103689 A KR1020130103689 A KR 1020130103689A KR 20130103689 A KR20130103689 A KR 20130103689A KR 101389791 B1 KR101389791 B1 KR 1013897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tray
buried
connection device
vertical
buried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3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승국
Original Assignee
강승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승국 filed Critical 강승국
Priority to KR10201301036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97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97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97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6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8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the cables or lines being installed in preestablished conduits or ducts
    • H02G3/386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the cables or lines being installed in preestablished conduits or ducts in wa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56Ladders or other suppo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0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surface mounting on a wal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providing line outl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using mounting cl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수직형 케이블 트레이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거푸집 설치 및 해체작업이 별도로 필요하지 않고 상층과 하층에 각각 배치되는 케이블 트레이가 서로 용이하게 접속되도록 하는 수직형 케이블 트레이 연결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수직형 케이블 트레이 연결장치는 바닥 슬라브에 매립되어 수직방향의 케이블 관통로를 형성하는 관상의 매립본체와, 케이블 트레이와 이음결합 가능하도록 상기 매립본체의 적어도 일부 벽면에 길이방향으로 연장 결합되는 복수의 연장결합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건물의 수직형 케이블 트레이 연결장치{Connector for vertical type cable tray}
본 발명은 건물의 수직형 케이블 트레이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물에는 전력공급용 전선이나 통신용 약전선 등 많은 선들이 배선된다. 이러한 배선들이 고층 건물의 각 층별로 배선되기 위해서는 각 층의 바닥 슬라브에 케이블 트레이가 통과할 수 있는 통과공이 형성되어야 한다.
케이블 트레이 통과공은 일반적으로 별도의 거푸집을 설치하여야 형성되며, 콘크리트 양생이 끝나면 거푸집을 제거해야하고 거푸집의 해체에 따라 울퉁불퉁해진 표면을 다듬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렇게 해서 케이블 트레이 통과공이 형성되고 나면 케이블 트레이를 벽에 고정시키기 위해서 고정 브라켓을 이용하여 케이블 트레이를 벽면에 앵커링하는 작업을 해야 한다. 이 작업은 무거운 드릴링 공구를 각 층마다 가지고 다니면서 콘크리트 벽을 드릴링해야 하기 때문에 비효율적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케이블 트레이 통과공을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거푸집 설치 및 해체작업이 필요하지 않고, 상층과 하층에 각각 배치되는 케이블 트레이를 벽면에 앵커링하는 번거로운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는 수직형 케이블 트레이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슬라브 시공 등 다른 작업에 미치는 방해를 최소화하고 공간 활용성을 최대한 허용할 수 있는 수직형 케이블 트레이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수직형 케이블 트레이 연결장치는 바닥 슬라브에 매립되어 수직방향의 케이블 관통로를 형성하는 관상의 매립본체와, 케이블 트레이와 이음결합 가능하도록 상기 매립본체의 적어도 일부 벽면에 길이방향으로 연장 결합되는 복수의 연장결합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연장결합부재를 상기 매립본체의 측벽에 절첩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경첩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장결합부재를 상기 매립본체의 내벽면에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매립본체는 외벽면으로부터 외향 돌출하여 상기 바닥 슬라브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날개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매립본체의 하부에는 상기 바닥 슬라브를 형성하기 위해 설치된 거푸집에 고정되도록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연장결합부재는 높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체결용 장공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수직형 케이블 트레이 연결장치는 케이블 트레이 통과공을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거푸집 설치 및 해체작업이 필요하지 않고, 바닥 슬라브에 견고하게 고정되기 때문에 상층과 하층에 각각 배치되는 케이블 트레이를 벽면에 앵커링하는 등의 번거로운 보강작업을 추가적으로 실시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슬라브 시공 등 다른 작업에 미치는 방해를 최소화하고 공간 활용성을 최대한 허용할 수 있으며 통과공 주변이 깔끔해진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수직형 케이블 트레이 연결장치를 펼친 상태와 절첩된 상태로 각각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수직형 케이블 트레이 연결장치가 매설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수직형 케이블 트레이 연결장치에 케이블 트레이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물의 수직형 케이블 트레이 연결장치를 나타낸 부분 파단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물의 수직형 케이블 트레이 연결장치를 펼친 상태와 절첩된 상태로 각각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연결장치는 케이블이 통과될 수 있는 케이블 관통로(11)를 갖는 매립본체(10)와, 매립본체(10) 내부에 결합되어 높이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상측 및 하측으로 돌출된 두 쌍의 연장결합부재(30)를 갖는다.
매립본체(10)는 직육면체 형상이며 높이방향을 따라 관통된 케이블 관통로(11)를 갖는다. 매립본체(10)의 양측 하단부에는 바닥 슬라브(91)를 형성하기 위해 설치된 거푸집에 고정될 수 있도록 돌출 형성된 위치고정부(70)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바닥 슬라브 거푸집에는 위치고정부(70)가 바닥 슬라브 거푸집에 삽입될 수 있도록 위치고정부(70)에 대응하는 홈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위치고정부(70)가 바닥 슬라브 거푸집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면 매립본체(10)는 바닥 슬라브 형성을 위한 콘크리트가 거푸집에 타설될 때 지정된 위치에서 벗어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매립본체(10)의 양측 외면에는 ‘ㄴ’자 형상의 고정날개부(50)가 외향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다. 고정날개부(50)는 매립본체(10)와 볼트 및 너트로써 결합되며, 두 개의 관통공(51)이 형성되어 있다. 이 두 개의 관통공(51)은 바닥 슬라브(91)가 양생되면서 고정날개부(50)와 바닥슬라브(91)가 서로 일체화되어 더욱 견고히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매립본체(10)가 바닥슬라브(91)와 견고하게 결합되기 때문에, 상층과 하층에 각각 배치되는 케이블 트레이(80)를 벽면에 앵커링하는 번거로운 작업을 추가적으로 실시하지 않아도 케이블 트레이(80)는 충분히 지지된다. 한편, 고정날개부(50)는 매립본체(10)에 용접될 수도 있다.
매립본체(10)의 상부 및 하부 측 내면에는 케이블 트레이(80)와 이음결합되는 연장결합부재(30)가 볼트 및 리벳에 의해 탈착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연장결합부재(30)는 매립본체(10)의 적어도 일부 벽면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연장결합부재(30)는 매립본체(10)의 내면에 볼트로써 고정 결합되는 고정부(31)와, 매립본체(10)의 적어도 일부 벽면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33)를 포함한다. 고정부(31)와 연장부(33)는 서로 경첩(35)에 의해 연결되며, 이에 따라 연장부(33)는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경첩(35)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다.
연장부(33)에는 케이블 트레이(80)와 볼트 결합될 수 있도록 높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체결용 장공(37) 한 쌍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연장결합부재(30)는 매립본체(10)의 상측에 한 쌍, 하측에 한 쌍씩 총 두 쌍이 설치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형 케이블 트레이 연결장치가 매설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매립본체(10)는 바닥 슬라브(91)에 매설된다. 이때, 매립본체(10)의 높이는 바닥 슬라브(91)의 높이와 같거나 조금 더 높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수직형 케이블 트레이 연결장치는 연장결합부재(30)를 본체(10)로부터 이탈시키거나 경첩(35) 회동시켜 접을 수 있기 때문에 벽 슬라브(92)와의 사이에 이격되어야 하는 공간이 불필요하다.
이는 매립본체(10)가 바닥 슬라브(91)에 매설된 후 연장부(33)가 매립본체(10)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연장부(33)를 힌지 회동시켜 접거나 이탈시켜서 매립본체(10) 바로 위에 벽 슬라브(92) 형성을 위한 거푸집을 설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만약, 연장부(33)가 접혀지지 않거나 이탈되지 않는다면 매립본체(10)와 벽 슬라브(92) 사이에는 적어도 벽 슬라브(92) 형성을 위한 거푸집만큼의 이격 거리가 필요하게 된다.
또한, 연장부(33)가 매립본체(10)로부터 돌출되지 않기 때문에 건축 공사 인부가 다른 작업을 하는데 있어서 거치적거리지 않는다. 연장부(33)가 매립본체(10)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고정된다면 공사 작업 진행 중 여러 충격 가능성으로 인해 연장부(33)가 충격을 받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연장부(33)가 변형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형 케이블 트레이 연결장치에 케이블 트레이(80)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트레이(80)는 한 쌍의 레일이 높이방향을 따라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으며, 연결봉(81)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케이블 트레이(80)는 매립본체(10)로부터 높이방향으로 연장된 연장결합부재(30)와 체결용 장공(37)을 통해 체결볼트(83) 및 너트로써 결합된다. 도면 상에서 바닥 슬라브(91)에 의해 가려진 하층의 케이블 트레이(80)도 상층의 케이블 트레이(80)와 마찬가지로 연장결합부재(30)와 체결용 장공(37)을 통해 체결볼트(83) 및 너트로써 결합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직형 케이블 트레이 연결장치를 나타낸 부분 파단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연장결합부재(60)는 매립본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판재로 이루어져 있다. 이 연장결합부재(60)는 절첩되지 않고, 고정부재인 체결볼트(39) 및 너트(미도시)에 의해 매립본체(10)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에 따라, 벽 슬라브(92) 거푸집 설치 시에는 연장결합부재(60)를 매립본체(10)로부터 이탈시켜 놓았다가 벽 슬라브(92)의 양생이 완료되면 연장결합부재(60)를 매립본체(10)에 결합시켜 상층 및 하층의 케이블 트레이(80)와 결합될 수 있게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매립본체(10)에는 고정된 체결볼트(39)가 미리 설치되며, 연장결합부재(60)에는 이 체결볼트(39)와 대응하는 볼트삽입공(40)이 형성된다. 그래서 매립본체(10)가 바닥 슬라브(91)에 매설되면 연장결합부재(60)를 케이블 관통로(11)로 삽입하고 고정된 체결볼트(39)에 볼트삽입공(40)을 끼워넣은 후 체결볼트(39)에 대응하는 너트(미도시)를 체결하여 결합할 수 있다. 매립본체(10)에 연장결합부재(60)를 고정하는 방법으로는 상술한 볼트 및 너트 결합이외에 고정편, 걸림돌기 및 걸림홈 등의 다른 결합수단으로 대체될 수 있다.
한편, 연장결합부재(60)에는 부분적으로 절취되어 외측으로 돌출된 절취부(38)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절취부(38)는 연장결합부재(60)가 매립본체(10)에 결합되는 위치를 지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10: 매립본체 11: 케이블 관통로
30: 연장결합부재 31: 고정부
33: 연장부 35: 경첩
37: 체결용 장공 38: 절취부
39: 체결볼트 40: 볼트삽입공
50: 고정날개부 51: 관통공
60: 연장결합부재 70: 위치고정부
80: 케이블 트레이 81: 연결봉
83: 체결볼트 91: 바닥 슬라브
92: 벽 슬라브

Claims (6)

  1. 건물의 수직형 케이블 트레이 연결장치에 있어서,
    바닥 슬라브에 매립되어 수직방향의 케이블 관통로를 형성하는 관상의 매립본체와;
    케이블 트레이와 이음결합 가능하도록 상기 매립본체의 적어도 일부 벽면에 길이방향으로 연장 결합되는 복수의 연장결합부재와;
    상기 연장결합부재를 상기 매립본체의 측벽에 절첩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경첩과;
    상기 바닥 슬라브를 형성하기 위해 설치된 바닥 거푸집에 고정되도록 상기 매립본체의 하부로부터 하방을 향해 돌출된 위치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수직형 케이블 트레이 연결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결합부재를 상기 매립본체의 내벽면에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수직형 케이블 트레이 연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립본체는 외벽면으로부터 외향 돌출하여 상기 바닥 슬라브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날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수직형 케이블 트레이 연결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결합부재는 높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체결용 장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수직형 케이블 트레이 연결장치.
KR1020130103689A 2013-08-30 2013-08-30 건물의 수직형 케이블 트레이 연결장치 KR1013897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3689A KR101389791B1 (ko) 2013-08-30 2013-08-30 건물의 수직형 케이블 트레이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3689A KR101389791B1 (ko) 2013-08-30 2013-08-30 건물의 수직형 케이블 트레이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9791B1 true KR101389791B1 (ko) 2014-04-29

Family

ID=50658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3689A KR101389791B1 (ko) 2013-08-30 2013-08-30 건물의 수직형 케이블 트레이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9791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7492B1 (ko) * 2015-09-24 2016-03-07 주식회사 성실엔지니어링 수직형 케이블 트레이용 연결 박스
KR20160074096A (ko) * 2014-12-18 2016-06-28 강승국 케이블 트레이 연결장치
KR20170002676U (ko) * 2017-07-17 2017-07-26 강승국 케이블 트레이 연결장치
KR20190005024A (ko) * 2017-07-05 2019-01-15 아인텍(주) 케이블 트레이 슬리브용 조립체 및 이의 시공방법
CN109707160A (zh) * 2019-02-14 2019-05-03 广东腾安机电安装工程有限公司 桥架预埋套及利用该桥架预埋套安装桥架的方法
KR20190121029A (ko) 2018-04-17 2019-10-25 조태진 수직형 케이블 트레이 연결장치
KR20190121634A (ko) 2018-04-18 2019-10-28 주식회사 동아실업월드엔지니어링 케이블 트레이 연결장치
JP2020005362A (ja) * 2018-06-26 2020-01-09 株式会社竹中工務店 ケーブルラック設置構造、ケーブルラックの施工方法、及び支持架台
CN111555215A (zh) * 2020-06-18 2020-08-18 屈克礼 一种具有张紧结构的线缆桥架装置
KR20230017486A (ko) 2021-07-28 2023-02-06 주식회사 아이엠테크 케이블 트레이용 연결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555Y1 (ko) * 2013-08-20 2013-10-18 박재원 케이블 배선용 입상트레이 슬리브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555Y1 (ko) * 2013-08-20 2013-10-18 박재원 케이블 배선용 입상트레이 슬리브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4096A (ko) * 2014-12-18 2016-06-28 강승국 케이블 트레이 연결장치
KR101669916B1 (ko) 2014-12-18 2016-10-27 강승국 케이블 트레이 연결장치
KR101597492B1 (ko) * 2015-09-24 2016-03-07 주식회사 성실엔지니어링 수직형 케이블 트레이용 연결 박스
KR20190005024A (ko) * 2017-07-05 2019-01-15 아인텍(주) 케이블 트레이 슬리브용 조립체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984860B1 (ko) * 2017-07-05 2019-05-31 아인텍(주) 케이블 트레이 슬리브용 조립체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70002676U (ko) * 2017-07-17 2017-07-26 강승국 케이블 트레이 연결장치
KR200485476Y1 (ko) * 2017-07-17 2018-02-21 강승국 케이블 트레이 연결장치
KR20190121029A (ko) 2018-04-17 2019-10-25 조태진 수직형 케이블 트레이 연결장치
KR20190121634A (ko) 2018-04-18 2019-10-28 주식회사 동아실업월드엔지니어링 케이블 트레이 연결장치
JP2020005362A (ja) * 2018-06-26 2020-01-09 株式会社竹中工務店 ケーブルラック設置構造、ケーブルラックの施工方法、及び支持架台
JP7212825B2 (ja) 2018-06-26 2023-01-26 株式会社竹中工務店 ケーブルラック設置構造、ケーブルラックの施工方法、及び支持架台
CN109707160A (zh) * 2019-02-14 2019-05-03 广东腾安机电安装工程有限公司 桥架预埋套及利用该桥架预埋套安装桥架的方法
CN111555215A (zh) * 2020-06-18 2020-08-18 屈克礼 一种具有张紧结构的线缆桥架装置
CN111555215B (zh) * 2020-06-18 2021-12-28 镇江市电器设备厂有限公司 一种具有张紧结构的线缆桥架装置
KR20230017486A (ko) 2021-07-28 2023-02-06 주식회사 아이엠테크 케이블 트레이용 연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9791B1 (ko) 건물의 수직형 케이블 트레이 연결장치
RU2553813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силения и облегчения несущих конструкций пола и крыши
KR101182536B1 (ko) 용도와 기능에 맞는 표면재와 구조용 철근을 적용하고 조립식 구조를 갖는 더블월 피씨패널
KR101681022B1 (ko) 데크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US9180323B2 (en) Fall protection tie-off anchor point and method
CN204112525U (zh) 高强度混凝土预制框架内嵌带竖缝预制剪力墙结构
KR20130007502U (ko) 합벽 지지 장치 및 합벽 지지 장치의 발판 지지용 브라켓
KR101178168B1 (ko) 건축물의 장스팬 고하중용 아이엠티 슬래브
KR101054450B1 (ko) 프리캐스트 구조물
KR101072185B1 (ko) 배선 설비가 매립된 경량 콘크리트 패널, 이를 설치하기 위한 런너부재 및 이를 이용한 벽체설치구조
KR200367583Y1 (ko) 콘크리트 벽면 타설용 갱폼
KR101111234B1 (ko) 엘리베이터 구조물 설치용 가설 작업대
KR102062451B1 (ko) 건물 시공용 전기박스 고정대
KR102096833B1 (ko) 재사용이 가능한 지지용 알루미늄 폼을 이용한 시공 및 조립이 용이한 공동건물의 케이블 배선용 배전 슬리브 설치방법
KR20150003251U (ko) 건물의 수직형 케이블 트레이 연결장치
JP2011080276A (ja) 吊り階段の設置方法
CN207847078U (zh) 核心筒剪力墙无墙无梁处爬模机位转换梁装置
KR101033530B1 (ko) 천장 거푸집 지지용 써포트의 안전키트
KR100848081B1 (ko) 조립형 갱폼의 지지부 연장 설치 구조
KR101300982B1 (ko) 인양 레일용 레일 스톱퍼
KR100653226B1 (ko) 슬래브 거푸집용 가설빔
JP6656832B2 (ja) 基礎の施工方法
JP6564623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補強方法および補強構造
KR20130004588U (ko) 건축용 가설구조물
KR101251308B1 (ko) 초고층 엘리베이터 피트용 임베드 브라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