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9748B1 - 입체 장식물의 제조방법 및 그 입체 장식물 - Google Patents

입체 장식물의 제조방법 및 그 입체 장식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9748B1
KR101389748B1 KR1020130031498A KR20130031498A KR101389748B1 KR 101389748 B1 KR101389748 B1 KR 101389748B1 KR 1020130031498 A KR1020130031498 A KR 1020130031498A KR 20130031498 A KR20130031498 A KR 20130031498A KR 101389748 B1 KR101389748 B1 KR 1013897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tituent parts
picture
dimensional decoration
constituent
lay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1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영일
Original Assignee
유영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영일 filed Critical 유영일
Priority to KR10201300314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97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97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97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FSPECIAL DESIGNS OR PICTURES
    • B44F7/00Designs imitating three-dimensional eff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2Mountings for pictures; Mountings of horns on plate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식물을 구성하는 표현물의 요소들을 입체 프레임 상에서 다층 구조로 배열 및 부착함으로써 원근감과 입체감을 부여하게 되는 입체 장식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입체 장식물은, 입체 장식물의 표현 대상을 선정하고 이 표현 대상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단계와, 프레임 내의 표현 대상을 원근도에 따라 복수 개의 구성부로 분할하되 복수 개의 구성부를 배경 구성부와 이 배경 구성부 상에 전개되는 복수 개의 부속 구성부로 구성하여 분할하는 단계와, 복수 개의 구성부 각각에 대하여 원근도에 따라 가려지는 부분을 포함하도록 사진을 촬영하는 단계와, 복수 개의 구성부들의 사진에 대해 불필요한 부분을 삭제 및 보정한 다음 각각의 그림으로 인쇄하는 단계와, 인쇄된 그림을 각 구성부의 윤곽을 따라 정밀 커팅하여 배경 구성부의 그림판과 복수 개의 부속 구성부의 그림판을 제작하는 단계와, 상기 그림판들 중 복수 개의 부속 구성부의 그림판이 각각 부착 및 지지되는 베이스 보드들을 제작하여 베이스 보드들에 부착되는 부속 구성부의 그림판들과 배경 구성부의 그림판으로 이루어진 구성부별 레이어들을 완성하는 단계와, 구성부별 레이어들을 원근도에 따라 배치하고 이들 구성부별 레이어를 적층 부착하여 입체 장식물을 완성하는 단계에 의해 제조된다.

Description

입체 장식물의 제조방법 및 그 입체 장식물{Craftwork having three-dimensional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입체 장식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장식물을 구성하는 그림(표현물)의 요소들을 입체 프레임 상에서 다층 구조로 배열 및 부착함으로써 원근감과 입체감을 부여하게 되는 입체 장식물의 제조방법과 그 입체 장식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한국을 찾는 외국인 관광객들이 천만 명에 이를 정도로 급증하고 있으나, 관광지에서 판매되는 기념품의 주제와 형태가 너무 한정적일 뿐만 아니라, 그마저도 중국산 제품들이 대량 유통되고 있는 형편이어서 이를 개선할 참신한 아이디어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는 한국 고유의 한옥 마을이나 풍경 등을 입체적으로 표현한 장식물을 기념품으로 제작하여 공급하는 방안을 숙고하면서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는데, 이와 관련한 종래의 입체 장식물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등록실용신안 제20-0260342호에는 적층으로 이루어진 장식 그림판이 알려져 있는데, 이것은 판체의 표면에 기본이 되는 그림을 표현하고, 이 기본 그림과 동일한 그림의 그림판들을 기본 그림 위의 동일한 위치에 적층함으로써 그림이 입체적으로 보이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특히, 그림판들을 적층할 때는 무색 또는 색상이 가미된 볼 또는 합성수지제 봉을 접착제로 붙이고 있다. 그러나, 이 등록실용신안에서는 기본 그림과 동일한 그림이 그려진 복수 개의 그림판들이 기본 그림 위의 동일한 위치에 그대로 적층이 되기 때문에, 정면에서 보게 되면 입체감이 전혀 드러나지 않게 된다. 또한, 그림을 측면 쪽에서 보더라도 그림의 적층된 모습만이 인식될 뿐, 그림의 각 부분들이 입체적으로 보이지는 않는다. 더욱이, 그림으로부터 원근감이 전혀 느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그림을 구성하는 부분의 구조를 미세하게 표현할 수도 없다.
한편, 등록실용신안 제20-0363508호는 입체장식 카드를 개시하고 있는데, 이것은 카드의 가장자리 부위에 다양한 무늬 모양의 조각그림들을 적층 부착하여 입체적인 장식 효과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이 등록실용신안의 경우에는 조각그림들 자체가 입체적으로 보이는 것이 아니라, 조각그림들이 적층 구조로 부착된 상태로 인해 입체적으로 배열된 모습만을 보일 뿐이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60342호(명칭 : 적층으로 이루어진 장식그림판, 실용신안권자 : 주식회사 드림아트) [특허문헌 2]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63508호(명칭 : 입체장식 카드, 실용신안권자 : 주식회사 드림아트)
전술한 장식 그림판과 같은 종래의 입체 장식물은, 표현물을 정면에서 보게 되면 입체감이나 원근감이 전혀 느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측면 쪽에서 보더라도 그림의 적층된 모습만이 인식될 뿐 그림의 각 부분들이 입체적으로 보이지는 않는다. 더욱이, 종래의 입체 장식물에서는 표현물을 구성하는 각 부분의 구조를 미세하게 표현할 수도 없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입체 장식물의 단점을 개선함과 아울러 관광 기념품 또는 실내 장식품으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입체 장식물을 제공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입체 장식물을 구성하는 표현물을 정면과 측면 쪽에서 바라볼 때 입체감과 원근감이 뚜렷하게 느껴질 뿐만 아니라 표현물의 미세한 구조까지도 나타낼 수 있는 입체 장식물의 제조방법 및 그 입체 장식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입체 장식물의 표현 대상을 선정하고 이 표현 대상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단계와, 프레임 내의 표현 대상을 원근도에 따라 복수 개의 구성부로 분할하되 복수 개의 구성부를 배경 구성부와 이 배경 구성부 상에 전개되는 복수 개의 부속 구성부로 구성하여 분할하는 단계와, 복수 개의 구성부 각각에 대하여 원근도에 따라 가려지는 부분을 포함하도록 사진을 촬영하는 단계와, 복수 개의 구성부들의 사진에 대해 장식물화할 요소들 이외의 부분을 삭제 및 보정한 다음 각각의 그림으로 인쇄하는 단계와, 인쇄된 그림을 각 구성부의 윤곽을 따라 정밀 커팅하여 배경 구성부의 그림판과 복수 개의 부속 구성부의 그림판을 제작하는 단계와, 상기 그림판들 중 복수 개의 부속 구성부의 그림판이 각각 부착 및 지지되는 베이스 보드들을 제작하여 베이스 보드들에 부착되는 부속 구성부의 그림판들과 배경 구성부의 그림판으로 이루어진 구성부별 레이어들을 완성하는 단계와, 구성부별 레이어들을 원근도에 따라 배치하고 이들 구성부별 레이어를 적층 부착하여 입체 장식물을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입체 장식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인쇄된 그림을 각 구성부의 윤곽을 따라 정밀 커팅하는 단계에서는, 인쇄된 그림의 배면부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커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위와 같이 구성된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입체 장식물을 제공한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입체 장식물을 구성하는 표현물을 정면과 측면 쪽에서 바라볼 때 입체감과 원근감이 뚜렷하게 느껴질 뿐만 아니라 표현물의 미세한 구조까지도 나타낼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입체 장식물의 제조방법에 대한 공정 순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입체 장식물의 표현 대상을 예시한 실경 사진이다.
도 3∼도 6은 도 2의 표현 대상의 입체 장식물을 구성하는 요소들에 대한 조립 과정을 차례로 예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3∼도 6의 조립 과정이 완료된 상태의 입체 장식물에 대한 사시 사진이다.
도 8은 도 6의 입체 장식물에 대한 정면 줌(zoom) 사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는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이 충분히 이해되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기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입체 장식물의 제조방법에 대한 공정 순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입체 장식물의 표현 대상을 예시한 실경 사진이며, 도 3∼도 6은 도 2의 표현 대상의 입체 장식물을 구성하는 요소들에 대한 조립 과정을 차례로 예시한 도면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입체 장식물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입체 장식물의 표현 대상을 선정하고, 그 프레임을 구성한다(S1). 여기서 '표현 대상'은, 예컨대 서울의 북촌이나 남산 한옥 마을 등에서 볼 수 있는 한옥이 조성된 장소의 풍경 또는 명승지의 한 장면일 수 있는데, 원근감을 나타낼 수 있는 대상이라면 어느 것에도 한정되지 않는다. 도 2는 이러한 '표현 대상'을 예시한 것이다. 표현 대상이 선정되고 나면, 이 표현 대상으로부터 실제 입체 장식물로 제작될 프레임을 구성한다. 즉, 도 2의 예와 같은 경우, '표현 대상'의 장면 중에서 파선으로 표시한 부분과 같은 불필요한 요소(즉, 장식물화할 요소들 이외의 부분)들을 제거하고 장식물화할 요소들만으로 이루어진 부분(이를, 본 명세서에서는 '프레임'이라 칭함)을 구성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프레임 내의 표현 대상을 멀고 가까운 정도, 즉 원근도(遠近度)에 따라 복수 개의 구성부로 분할한다(S2). 즉, 도 2의 예를 참조하면, 사진 촬영 위치로부터 가장 먼 지점에서부터 가장 가까운 지점까지 차례로 부호 ①의 구성부, 부호 ②의 구성부, 부호 ③의 구성부, 부호 ④의 구성부로 분할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 개의 구성부 중에 표현 대상의 배경이 되는 부호 ①의 구성부를 '배경 구성부'라 칭하고, 이 배경 구성부 위(즉, 배경 구성부보다 근거리)에 전개되는 부호 ②의 구성부, 부호 ③의 구성부, 부호 ④의 구성부를 모두 '부속 구성부'라 칭하기로 한다.
도 2의 사진에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부호 ②의 구성부보다 원거리에는 부호 ①의 구성부와 동일 거리 또는 원거리에 있으면서도 부호 ②의 구성부에 의해 가려진 장면 요소들이 존재할 수 있으며, 부호 ③의 구성부보다 원거리에도 부호 ②의 구성부와 동일 거리에 있으면서도 부호 ③의 구성부에 의해 가려진 장면 요소들이 존재할 수 있고, 표현 대상의 예에 따라서는 부호 ④의 구성부보다 원거리에도 부호 ③의 구성부와 동일 거리에 있으면서도 부호 ④의 구성부에 의해 가져진 장면 요소들이 존재할 수 있다. 이렇게 원근도에 따라 가려진 장면 요소들까지 포함하도록 복수 개의 구성부(배경 구성부 및 부속 구성부 모두) 각각에 대하여 사진 촬영을 한다(S3).
그리고, 이렇게 촬영된 각 구성부들의 사진에 대해 '포토샵'과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불필요한 부분(즉, 장식물화할 요소들 이외의 부분)을 삭제 및 보정한 다음 각각의 그림으로 인쇄하고(S4), 인쇄된 각각의 그림을 각 구성부의 윤곽을 따라 정밀 커팅하여 각 구성부의 그림판을 제작한다(S5). 이때, 정밀 커팅 작업은, 인쇄된 그림의 배면부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커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레이저 빔을 이용하여 커팅을 하면 통상적인 커터 날을 이용한 커팅에 비해 세밀한 부분까지 정밀한 커팅이 하게 되며, 특히 레이저 빔을 인쇄된 그림의 정면부가 아닌 배면부에 조사하면 커팅 흔적이 남지 않는 장점이 있다. 도 3은 이렇게 제작된 그림판들을 원근도에 따라 배열한 도면으로서, 부호 ①의 구성부, 부호 ②의 구성부, 부호 ③의 구성부, 부호 ④의 구성부 각각에 대응하는 제1그림판(1), 제2그림판(2), 제3그림판(3), 제4그림판(4)들이다.
다음으로, 이들 그림판(1,2,3,4) 중에서 부속 구성부의 그림판(2,3,4)이 각각 부착 및 지지되는 지지수단으로서 도 4에 보이는 것과 같은 베이스 보드(5,6,7)들을 제작한다. 이 베이스 보드(5,6,7)는 가볍고 가공이 용이한 압축발포 PVC(예컨대 상표명 '포맥스')와 같은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베이스 보드(5,6,7)의 프로파일은 부속 구성부의 그림판(2,3,4)의 윤곽 전체와 일치할 필요는 없고, 오히려 부속 구성부의 그림판(2,3,4)의 윤곽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하면서 부속 구성부의 그림판(2,3,4)에서 미세한 부분(예를 들면, 부속 구성부의 그림판 3과 4에서 기와 부분)을 제외한 부분의 윤곽과만 대체로 일치하는 프로파일을 갖도록 제작하는 것이 제작의 용이성 면에서 바람직하다. 이렇게 제작된 베이스 보드(5,6,7)들에 부착되는 부속 구성부의 그림판(2,3,4)들과 상기 배경 구성부의 그림판(1)으로 이루어진 구성부별 레이어들을 완성한다(S6). 도 4에 예시된 실시예에서 구성부별 레이어는 제1레이어∼제4레이어까지 총 4개의 레이어로 이루어지는데, 배경 구성부의 그림판(1)이 제1레이어가 되고, 배경 구성부의 그림판(1) 상에 부착될 첫 번째 베이스 보드(5)와 이 첫 번째 베이스 보드(5)에 부착될 첫 번째 부속 구성부의 그림판(2)이 제2레이어가 되며, 첫 번째 부속 구성부의 그림판(2)에 부착될 두 번째 베이스 보드(6)와 이 두 번째 베이스 보드(6)에 부착될 두 번째 부속 구성부의 그림판(3)이 제3레이어가 되고, 두 번째 부속 구성부의 그림판(3)에 부착될 세 번째 베이스 보드(7)와 이 세 번째 베이스 보드(7)에 부착될 세 번째 부속 구성부의 그림판(4)이 제4레이어가 된다.
다음으로, 위와 같이 준비된 구성부별 레이어들을 원근도에 따라 배치하여 적층 부착한다(S7). 이때 적층 부착의 방법으로는 두 가지가 있다. 첫째는, 제1레이어인 배경 구성부의 그림판(1) 상에 첫 번째 베이스 보드(5)를 먼저 부착한 다음에 이 첫 번째 베이스 보드(5) 상에 첫 번째 부속 구성부의 그림판(2)을 부착시켜서 제2레이어를 형성하고, 나머지 부속 구성부의 그림판(3,4)들과 베이스 보드(6,7)들도 동일한 순서로 부착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둘째는, 제2레이어를 형성하는 첫 번째 베이스 보드(5)와 첫 번째 부속 구성부의 그림판(2)을 서로 먼저 부착한 상태에서 이 제2레이어를 제1레이어인 배경 구성부의 그림판(1)에 부착시키고, 나머지 부속 구성부의 그림판(3,4)들과 베이스 보드(6,7)들도 동일한 순서로 부착시키는 것이다. 도 5의 예는 전자의 방법에 따라 구성부별 레이어들을 적층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각 구성부별 레이어들의 부착시에는 통상적인 종이 또는 목재용 접착제를 균일하게 도포하여 부착하면 된다. 그리고, 접착제 도포 후 밀대 등을 이용하여 롤링 작업을 함으로써 각 구성부별 레이어들이 견고하고 균일하게 밀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부별 레이어들에 대한 적층 부착을 완료함으로써 입체 장식물을 완성(S8)하게 되는데, 도 6은 이렇게 완성된 입체 장식물을 보여주고 있다. 이렇게 도 6과 같은 입체 장식물을 그대로 벽면이나 탁상에 지지 도구를 이용하여 전시해둘 수도 있고, 액자에 넣어서 전시할 수도 있다.
한편, 도 7은 도 3∼도 6의 조립 과정이 완료된 상태의 입체 장식물에 대한 사시 사진으로서, 정면에서 볼 때뿐만 아니라 측면으로 약간 빗겨서 바라볼 때 한옥의 기와라든가 처마, 담장, 나무 등과 같은 입체 장식물을 구성하는 표현물들이 입체적이고 원근감 있게 느껴질 뿐만 아니라 표현물의 미세한 구조(예를 들면, 처마끝 부분이나 정면 중앙의 나무)까지도 선명하게 느껴짐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8은 도 6의 입체 장식물에 대한 정면 줌(zoom) 사진으로서, 부호 A 및 B의 실선으로 표시된 부속 구성부의 그림판(4)이 선명하게 나타난 반면, 부호 C로 표시된 다른 부속 구성부의 그림판(3)은 흐리게 나타남으로써, 본 발명의 입체 장식물이 갖는 원근도에 따른 입체감과 원근감이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 : 배경 구성부의 그림판 2,3,4 : 부속 구성부의 그림판
5,6,7 : 베이스 보드

Claims (3)

  1. a) 입체 장식물의 표현 대상을 선정하고 이 표현 대상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의 프레임 내의 표현 대상을 원근도에 따라 복수 개의 구성부로 분할하되, 상기 복수 개의 구성부를 배경 구성부와 이 배경 구성부 상에 전개되는 복수 개의 부속 구성부로 구성하여 분할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의 복수 개의 구성부 각각에 대하여 원근도에 따라 가려지는 부분을 포함하도록 사진을 촬영하는 단계;
    d) 상기 c)단계의 복수 개의 구성부들의 사진에 대해 장식물화할 요소들 이외의 부분을 삭제 및 보정한 다음 각각의 그림으로 인쇄하는 단계;
    e) 상기 d)단계에서 인쇄된 그림을 각 구성부의 윤곽을 따라 정밀 커팅하여 배경 구성부의 그림판과 복수 개의 부속 구성부의 그림판을 제작하는 단계;
    f) 상기 e)단계의 그림판들 중 복수 개의 부속 구성부의 그림판이 각각 부착 및 지지되는 베이스 보드들을 제작하여, 상기 베이스 보드들에 부착되는 부속 구성부의 그림판들과 상기 배경 구성부의 그림판으로 이루어진 구성부별 레이어들을 완성하는 단계;
    g) 상기 구성부별 레이어들을 원근도에 따라 배치하고 이들 구성부별 레이어를 적층 부착하여 입체 장식물을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입체 장식물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쇄된 그림을 상기 각 구성부의 윤곽을 따라 정밀 커팅하는 e)단계에서는, 상기 인쇄된 그림의 배면부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커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장식물의 제조방법.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입체 장식물.
KR1020130031498A 2013-03-25 2013-03-25 입체 장식물의 제조방법 및 그 입체 장식물 KR1013897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1498A KR101389748B1 (ko) 2013-03-25 2013-03-25 입체 장식물의 제조방법 및 그 입체 장식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1498A KR101389748B1 (ko) 2013-03-25 2013-03-25 입체 장식물의 제조방법 및 그 입체 장식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9748B1 true KR101389748B1 (ko) 2014-04-28

Family

ID=50658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1498A KR101389748B1 (ko) 2013-03-25 2013-03-25 입체 장식물의 제조방법 및 그 입체 장식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974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76649A (ja) * 2017-04-20 2018-11-15 株式会社ジャパンプランツ 立体写真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7407409B1 (ja) 2023-02-09 2024-01-04 有限会社富士洋行 景観グッ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400A (ja) * 1997-06-17 1999-01-12 Ishida Junko 立体絵画キットと立体絵画の作成方法
KR100326155B1 (ko) 1999-04-19 2002-02-27 주식회사 플렉스시스템 적층 조형에 의한 부조물 제작 방법
JP2002254899A (ja) 2001-03-02 2002-09-11 Fusa Ueda 立体貼り絵
KR20030072131A (ko) * 2002-03-05 2003-09-13 김수진 레이어 기법을 이용한 기념품 및 그의 제작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400A (ja) * 1997-06-17 1999-01-12 Ishida Junko 立体絵画キットと立体絵画の作成方法
KR100326155B1 (ko) 1999-04-19 2002-02-27 주식회사 플렉스시스템 적층 조형에 의한 부조물 제작 방법
JP2002254899A (ja) 2001-03-02 2002-09-11 Fusa Ueda 立体貼り絵
KR20030072131A (ko) * 2002-03-05 2003-09-13 김수진 레이어 기법을 이용한 기념품 및 그의 제작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76649A (ja) * 2017-04-20 2018-11-15 株式会社ジャパンプランツ 立体写真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7407409B1 (ja) 2023-02-09 2024-01-04 有限会社富士洋行 景観グッ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980728A (zh) 图像显示装置及方法
KR101389748B1 (ko) 입체 장식물의 제조방법 및 그 입체 장식물
CN203157567U (zh) 一种层染叠加剪纸
US7682476B2 (en) Method to create 3-dimensional images from a 2-dimensional image
RU2010106484A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наружных слоев щитовой двери и сборных дверей (варианты) и универсальные основные плиты для них
Knoll et al. Architectural models: construction techniques
CN103115425A (zh) 一种空调弧形面板的制作工艺
JP5430836B2 (ja) 立体的画像装飾物の製作方法およびこれに用いる彫刻対象材
EP1555141B1 (en) Panel, a method of fabricating a panel and a machine for fabricating panels
JP2009226645A (ja) 化粧板の製造方法
JP3155699U (ja) 段ボールシートを用いた積層造形置物
JP5868223B2 (ja) 立体成形品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加飾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3127951U (ja) ジグソーパズル
JP2005204709A (ja) 遊技機
CN204761617U (zh) 图像显示装置
JP2006123477A (ja) 飾り用シート,装飾ケース,装飾付きカード及び飾り用シートの製作方法
JP3182983U (ja) 化粧素材付き印刷用紙
CN100397242C (zh) 模型脸部的成型方法
JP3235842U (ja) 微細掘り込み様相を呈している木製装飾板材。
JP2016194695A (ja) 模様を有する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UA66156U (uk) Спосіб виготовлення художніх, сувенірних та рекламних виробів
KR101670834B1 (ko) 가구용 장식바 및 이의 제조방법
JP5270826B2 (ja) フォトプレート
EP3517258B1 (de) Aufstellobjekt basierend auf fotografischen bilddaten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aufstellobjekts
KR100761882B1 (ko) 레이저 조각용 대상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