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9697B1 - 밀폐용기용 실리콘 내피 및 이를 포함하는 밀폐용기 - Google Patents

밀폐용기용 실리콘 내피 및 이를 포함하는 밀폐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9697B1
KR101389697B1 KR1020120034805A KR20120034805A KR101389697B1 KR 101389697 B1 KR101389697 B1 KR 101389697B1 KR 1020120034805 A KR1020120034805 A KR 1020120034805A KR 20120034805 A KR20120034805 A KR 20120034805A KR 101389697 B1 KR101389697 B1 KR 1013896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packing
silicone
main body
inner sh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4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2428A (ko
Inventor
신의섭
Original Assignee
(주)우전앤한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전앤한단 filed Critical (주)우전앤한단
Priority to KR10201200348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9697B1/ko
Publication of KR201301124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24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96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96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8Flexible adhesive strips adapted to seal filling or discharging apertur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2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 A47J47/08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non-granulated foodstuff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5/00Clamping or other pressure-applying devices for securing or retaining closure members
    • B65D45/02Clamping or other pressure-applying devices for securing or retaining closure members for applying axial pressure to engage closure with sealing surface
    • B65D45/16Clips, hooks, or clamps which are removable, or which remain connected either with the closure or with the container when the container is open, e.g. C-shaped
    • B65D45/20Clips, hooks, or clamps which are removable, or which remain connected either with the closure or with the container when the container is open, e.g. C-shaped pivo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20Sealing means
    • B65D2251/205Inser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953Sealing means
    • B65D2543/00962Sealing means inserted
    • B65D2543/00972Collars or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밀폐용기용 실리콘 내피 및 이를 포함하는 밀폐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밀폐용기용 실리콘 내피는 패킹부와, 이 패킹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포대 형상의 수용부로 구성되며, 수용부의 단면 두께는 0.2~0.8mm이고, 패킹부와 수용부가 전자레인지에 의한 마이크로파 살균 및 비등수(沸騰水) 중에서의 자비(煮沸) 살균이 가능한 연질 실리콘 러버로 일체로 형성되며, 본 발명에 따르면 밀폐용기 내벽에 내용물로 인한 색소 침착 문제나 냄새 배어듦이 없고, 용기 세정과 같은 번거로운 작업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자체가 패킹으로서 기능하므로 용기의 밀폐화가 가능한 동시에 패킹부에 끼이거나 묻은 내용물의 세정을 쉽고도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고, 전자레인지나 끓는 물중에서의 살균소독이 가능하여 높은 위생성을 지니며, 주방에서의 세척 및 건조에 적은 공간을 차지하므로 주부의 주방 가사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함에 도움이 되고, 내용물의 종류나 용도별로 상이한 색상을 선택 적용 가능하며, 또한 선택적으로는 높은 온도의 내용물을 넣은 후 식더라도 용기 내부 공기의 수축에 따른 음압 발생이 없어 언제나 뚜껑을 손쉽게 개방할 수가 있다.

Description

밀폐용기용 실리콘 내피 및 이를 포함하는 밀폐용기{Silicone Inner Liner for Airtight Vessels and Airtight Vessels Containing the Same}
본 발명은 밀폐용기용 실리콘 내피 및 이를 포함하는 밀폐용기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밀폐용기의 용기 입구 주연부에 장착되는 패킹부와 용기 내부 공간에 대한 수용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선택적으로는 보관 일시 및 보관 내용물의 종류를 기재하거나 또는 인식할 수 있는 라벨부를 포함하는 밀폐용기용 실리콘 내피 및 이를 포함하는 밀폐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다양한 색상으로 제조될 수 있는 상기한 밀폐용기용 실리콘 내피의 사용에 의해 용기 내부 벽면에 내용물로 인한 색소 침착 문제나 용기 세정과 같은 번거로운 작업을 피할 수 있고, 냉동 온도에서의 보관은 물론 전자레인지나 끓는 물중에서의 살균소독이 가능하므로 높은 위생성을 지니며, 자체가 패킹으로서 기능하므로 용기의 밀폐화가 가능한 동시에 패킹부에 존재하기 쉬우나 세정이 곤란하였던 내용물의 세정도 용이하고 완전하게 이루어질 수가 있고, 사용 후 물과 세제를 이용한 세정이나 식기 세척기를 이용한 세척이 가능함과 아울러 양호한 건조성을 지니므로 높은 보관 유지성을 가지며, 다양한 감각적 색상의 적용이 가능하므로 내용물의 종류나 용도별 적용이 용이하고, 본질적으로 무독성이므로 인체에 대한 유해성이 없으며, 온도가 높은 상태의 내용물을 넣은 후 차게 식더라도 용기 내부 공기의 수축에 따른 음압에 의해 뚜껑을 열기 힘들게 되는 일이 없다는 장점을 가진다.
일반적으로 가정용으로 널리 사용되는 밀폐용기는 공기 중의 수분이나 산소와의 접촉에 의해 미생물학적 또는 생화학적 반응이나 기타 화학적 반응을 초래하게 될 우려가 있는 내용물을 외기 또는 습기와 차단된 상태로 보관 가능한 용기를 일컬으며, 상기한 기밀 및 방습을 위한 밀폐 작용은 패킹을 중심으로 용기 본체에 대한 뚜껑 내지 커버의 가압 밀착에 의해 이루어지는 잠금 구조에 의해 이루어진다.
근래 들어 이러한 가정용 밀폐용기는 다양한 회사에서 다양한 종류의 우수한 밀폐기능을 나타내는 것 들이 시판되고 있어 우리에게 친숙한 구조 및 형태이며, 이러한 상기한 잠금 구조는 대부분 밀폐용기 본체 상단 주연부 외측의 돌출 테두리와 뚜껑에 힌지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는 잠금 날개편의 결합 돌기가 탄력적으로 걸려 지지되는 구조이다.
또한 이러한 밀폐용기의 재질은 본체와 뚜껑이 모두 인체에 무해하며 경제적으로 대량생산이 용이한 폴리에틸렌으로 제작됨이 통상적이나, 약간 더 고급스러운 것들은 본체를 투명하고 강성이 좋으며 내열성인 폴리카보네이트로 제작하거나 또는 유리, 세라믹, 또는 스테인리스강으로 제작되고 있으며, 이러한 밀폐용기의 형태는 일반적으로 원형 또는 정방형 또는 장방형의 몸체 및 뚜껑으로 형성됨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음식물이나 기타 내용물을 외기 중의 산소나 수분 등에 의한 영향을 차단하기 위한 종래의 밀폐용기는 패킹이 뚜껑의 외주연부에 인접한 저부에 형성되는 홈 내에 탄력적으로 끼워져 있는 관계로 용기의 사용이나 보관 중에 음식물과 같은 내용물이 그 사이에 끼거나 침투하는 일이 흔히 발생하여 패킹 주변이 지저분하게 됨은 물론 밀폐용기라는 특성상 패킹의 취출 세정이 결코 용이하지 않으며 따라서 유해 미생물의 오염 침투 경로를 형성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음과 아울러,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의 내용물을 밀폐용기에 넣은 다음 냉장고 등과 같은 찬 외기 하에 보관할 경우 밀폐용기 내부의 공기 수축에 따라 형성된 음압에 의해 뚜껑을 열기 곤란하게 되는 등의 불편함이 있었다.
더욱이, 본체가 폴리에틸렌 등과 같은 수지로 형성되는 경우, 김치나 마늘 분쇄물, 또는 고춧가루 등과 같이 다량의 천연 색소 및 특유의 냄새 성분을 포함하고 있는 내용물을 담게 되면 용기 본체의 내벽에 색소가 침착되어 변색되거나 좋지 않은 냄새가 배어 더 이상 다른 음식물을 담기 곤란하게 될 우려가 있으며, 더욱이 수지 성형품은 그 성형 과정에서 가소제의 사용이 불가피하므로 환경 호르몬과 같은 인체 유해 성분이 잔류할 우려가 있다.
또한 내열온도 90~110℃의 정도의 폴리에틸렌 수지로 된 용기 본체 및 뚜껑은 변형 및 고무패킹의 가열 열화 우려로 인하여 전자레인지를 이용한 고주파 살균 또는 멸균이나 비등수 중에서의 충분한 시간에 걸친 자비(煮沸: boiling) 살균이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는 외에, 112~120℃의 내열성 가지는 폴리에틸렌 용기에 있어서도 용기 자체의 체적이 크므로 가정에서 솥이나 냄비에 넣어 비등수 중에서 살균하기는 곤란하므로 위생성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내용물의 종류나 용도별 적용을 위한 다양한 감각적 색상을 가지도록 하기에는 용기의 크기가 크므로 경제적이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용기 자체의 체적이 커서 주방에서의 세척 및 건조에 많은 공간을 차지하게 되므로 주부의 주방 가사 작업을 번거롭게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한국특허공개 제10-2005-0058859호(2005.06.17. 공개)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질 외피(20′) 내에 연질 내피(1′)가 입구와 소정 개소(1a′)에 고정되어 있고, 경질 외피(20′)의 바닥에 형성된 공기구멍(2′)과 이를 실링테이프(3′)로 밀봉한 형태로 하되, 사용 시에는 상기한 실링테이프(3′)를 제거함으로써 공기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내피 장착 용기(10′)를 개시(開示)하고 있으나, 이는 본질적으로 음료병이나 우유팩에 대한 것으로서 반복 사용이 가능한 잠금 구조를 가지는 밀폐용기가 아니며 더욱이 패킹부를 가지는 것도 아니고 일회용 용기라는 점에서 본 발명과는 무관하다.
또한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20-0245409호(2001.08.24. 등록)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벽면에 박막 형태의 내피(1″)가 밀착된 용기(10″)를 제안하고 있으며, 용기 내부의 내용물 사용 후 잔여 찌꺼기를 간편하면서도 깔끔하게 제거할 수 있어 용기의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으나, 이는 본질적으로 페인트나 접착제 또는 그리스 등과 같은 화학용품 캔에 대한 것이며, 상기한 박막 형태의 내피(1″)를 용기(10″)로부터 박리되지 않도록 밀착시켜 둔 상태로 제조되므로 사용 후 원하는 때에 상기한 내피(1″)를 용기(10″)로부터 박리시키는 작업이 번거롭고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더욱이 반복 사용을 위한 잠금 구조를 가지는 밀폐용기에 대한 것도 아니고 패킹부를 가지는 것도 아니라는 점에서 본 발명과는 무관하다.
결과적으로 전술한 바와 같은 밀폐용기에 있어서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한 새로운 개념의 높은 사용 편의성 및 위생성을 가지는 밀폐 용기의 개발이 당업계에 요청되어 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밀폐용기 내부 벽면에 내용물로 인한 색소 침착 문제나 냄새 배어듦이 없고, 반영구적으로 사용가능하며 파손 시에는 간단히 교체 가능하며, 더욱이 용기 세정과 같은 번거로운 작업을 피할 수 있도록 해주는 밀폐용기용 실리콘 내피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자체가 패킹으로서 기능하므로 용기의 밀폐화가 가능한 동시에 패킹부에 끼이거나 묻은 내용물의 세정을 쉽고도 간단하게 수행할 수가 있는 밀폐용기용 실리콘 내피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세 번째 목적은 냉동 온도에서의 보관은 물론 전자레인지나 끓는 물중에서의 살균소독이 가능하여 높은 위생성을 지니며 인체에 대한 유해성이 없이 무독성인 밀폐용기용 실리콘 내피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네 번째 목적은 사용 후 물과 세제를 이용한 세정이나 식기 세척기를 이용한 세척이 가능함과 아울러 양호한 건조성을 지니므로 높은 보관 유지성을 가짐과 아울러, 주방에서의 세척 및 건조에 적은 공간을 차지하므로 주부의 주방 가사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함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밀폐용기용 실리콘 내피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섯 번째 목적은 내용물의 종류나 용도별로 상이한 색상을 선택 적용 가능함과 아울러, 내용물의 보관 일시나 보관 내용물의 종류를 기재하거나 또는 용이하게 인식할 수가 있는 라벨부를 포함하는 밀폐용기용 실리콘 내피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여섯 번째 목적은 상기한 첫 번째 내지 여섯 번째 목적에 따른 밀폐용기용 실리콘 내피가 적용된 밀폐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곱 번째 목적은 높은 온도의 내용물을 넣은 후 식더라도 용기 내부 공기의 수축에 따른 음압 발생이 없어 언제나 뚜껑을 손쉽게 열수 있는 밀폐용기용 실리콘 내피가 적용된 밀폐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첫 번째 내지 네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양태(樣態)에 따르면, 중공형(中空形)의 폐환(閉環)형 패킹부와; 상기한 폐환형 패킹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포대 형상의 수용부와; 상기한 폐환형 패킹부의 하부 외측에 형성되는 그립(grip)용 잉여부로 구성되며: 상기한 수용부의 단면 두께는 0.2~0.8mm이고, 상기한 패킹부와 수용부가 전자레인지에 의한 마이크로파 살균 및 비등수(沸騰水) 중에서의 자비(煮沸) 살균이 가능한 연질 실리콘 러버(soft silicone rubber)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밀폐용기용 실리콘 내피가 제공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첫 번째 내지 네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한 패킹부의 상면 및 저면에 만곡부가 형성되어 있는 밀폐용기용 실리콘 내피가 제공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첫 번째 내지 네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한 폐환형 패킹부가 원형, 타원형, 정방형, 장방형, 마름모형, 오각형, 또는 육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밀폐용기용 실리콘 내피가 제공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첫 번째 내지 네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한 그립(grip)용 잉여부에 라벨부가 형성되어 있는 밀폐용기용 실리콘 내피가 제공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첫 번째 내지 네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한 수용부에 적어도 하나의 점착부가 형성되어 있는 밀폐용기용 실리콘 내피가 제공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다섯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양태에 따르면, 상단 외주연부에 돌출테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한 첫 번째 내지 네 번째 목적에 따른 전술한 밀폐용기용 실리콘 내피와; 결합돌기가 형성된 잠금날개를 가지는 뚜껑으로 구성되며: 상기한 밀폐용기용 실리콘 내피의 패킹부는 상기한 본체와 뚜껑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한 수용부는 본체 내에 위치하며, 상기한 그립용 잉여부는 잠금 날개와 본체의 외벽 사이로 빠져나온 상태로 위치하고, 상기한 본체 상단부에 통기용 소공이 관통되어 있는 밀폐용기가 제공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다섯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한 본체 상단부에 오목 홈이 형성되고 뚜껑에는 가압용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밀폐용기용 실리콘 내피의 패킹부가 상기한 오목 홈 내에 안착되어 있는 밀폐용기가 제공된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른 밀폐용기용 실리콘 내피는 밀폐용기 내부 벽면에 내용물로 인한 색소 침착 문제나 냄새 배어듦이 없고, 반영구적으로 사용가능하며 파손 시에는 간단히 교체 가능하고, 더욱이 용기 세정과 같은 번거로운 작업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자체가 패킹으로서 기능하므로 용기의 밀폐화가 가능한 동시에 패킹부에 끼이거나 묻은 내용물의 세정을 쉽고도 간단하게 수행할 수가 있음과 아울러, 냉동 온도에서의 보관은 물론 전자레인지나 끓는 물중에서의 살균소독이 가능하여 높은 위생성을 지니며 인체에 대한 유해성이 없이 무독성이고, 사용 후 물과 세제를 이용한 세정이나 식기 세척기를 이용한 세척이 가능함과 아울러 양호한 건조성을 지니므로 높은 보관 유지성을 가짐과 아울러, 주방에서의 세척 및 건조에 적은 공간을 차지하므로 주부의 주방 가사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함에 도움이 되며, 내용물의 종류나 용도별로 상이한 색상을 선택 적용 가능함과 아울러, 내용물의 보관 일시나 보관 내용물의 종류를 기재하거나 또는 용이하게 파악할 수가 있으며, 또한 선택적으로는 높은 온도의 내용물을 넣은 후 식더라도 용기 내부 공기의 수축에 따른 음압 발생이 없어 언제나 뚜껑을 손쉽게 개방할 수가 있다.
도 1a 및 도 1b는 각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구체예에 따른 밀폐용기용 실리콘 내피에 대한 사시도 및 A부 확대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각각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구체예에 따른 밀폐용기용 실리콘 내피에 대한 사시도 및 B부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구체예에 따른 밀폐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구체예에 따른 밀폐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측단면도이다.
도 7은 종래의 내피 용기에 대한 측단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8은 종래의 다른 내피 용기에 대한 측단면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쳐 사용되는 실리콘(silicone)이라는 용어는 규소(silicon) 중합체로서 그 중합도 차이에 따라 실록산 단위체 5,000 미만의 저중합도 선상 폴리올가노실록산(polyorganosiloxane)으로 이루어지는 액상 실리콘 고무(LSR: liquid silicone rubber)와 실록산 단위체 5,000~10,000의 고중합도 선상 폴리올가노실록산으로 이루어지는 미러블(millable) 실리콘 고무의 탄성 경화체를 모두 포함하는 넓은 의미의 실리콘 고무를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되며, 윤활제, 이형제, 소포제, 발수제, 표면 활제, 접착 방지제, 절연제 등으로써 널리 사용되는 순수 실리콘 오일이나 변성 실리콘 오일과 같은 주로 노말 타입의 디메틸 실리콘 오일을 포함하는 액상 실리콘이나, 가교도가 매우 높아 경화 후 단단한 피막을 형성하거나 또는 높은 경화도를 나타내는 니스 도료나 밀폐제 또는 접착제 등에 주로 사용되는 좁은 의미의 가교성 실리콘 레진은 배제된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 및 도 1b는 각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구체예에 따른 밀폐용기용 실리콘 내피(1)에 대한 사시도 및 A부 확대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밀폐용기용 실리콘 내피(1)는 폐환(閉環)형 패킹부(2)와 상기한 폐환형 패킹부(2)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포대 형상의 수용부(3)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한 수용부(3)의 단면 두께는 본 발명에 있어 제한적인 것은 아니지만 일반적으로는 찢어짐 방지와 경제성 측면 및 충분한 유연성 고려 측면에서 0.1~1.5mm의 두께 범위의 박막으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0.2~1.0mm, 더욱 바람직하게는 0.2~0.8mm 정도의 범위일 수 있다.
또한 상기한 패킹부(2) 및 수용부(3)는 일체로 형성되며, 전자레인지에 의한 마이크로파 살균 및 비등수(沸騰水) 중에서의 자비(煮沸: boiling) 살균이 가능하며, 음식물과 같은 내용물로부터 유래하는 세균(bacteria)이나 진균(fungi)의 살균 및/또는 멸균을 위한 5~30분간의 100℃에서의 자비 또는 전자레인지 중에서의 마이크로웨이브에 의한 3~5분 가열 시 열 변형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200℃ 또는 그 이상의 내열성을 가진다.
상기한 패킹부(2)는 그 상면 및 저면(도 2b에서의 도면부호 2c 및 2a 참조)이 도시된 바와 같이 평활면으로 형성될 수 있기는 하지만, 바람직하게는 밀폐성 향상을 위하여 비록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그 상면 및 저면의 형태를 오목면 또는 볼록면과 같은 만곡면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상기한 패킹부(2)가 원형으로 된 경우를 나타내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적인 용기의 그것과 같이 폐환형으로 형성되는 상기한 패킹부(2)는 문자 그대로의 닫힌 고리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원형, 타원형, 정방형, 장방형, 마름모형, 오각형, 또는 육각형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된 닫힌 형태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으며, 상기한 패킹부(2)는 속이 비어 있는 중공형(中空形) 또는 속이 채워져 있는 중실형(中實形)의 그 어느 형태로도 형성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중공형이 밀폐성 향상에 더 효과적이라는 점에서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
아울러, 비록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자기 지지성(self-support property)과 같은 형태 유지성 부여를 위하여 상기한 패킹부(2)로부터 복수개의 하방으로 연장되는 수직 기둥(미도시)과 그에 연장되며 상기한 패킹부(2)와 동일 형상을 가지는 하단 프레임(미도시)을 실리콘 러버로 일체적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한 수직 기둥(미도시)이나 하단 프레임(미도시)의 두께는 수용부(3)의 두께 보다 더 크게 형성함은 물론이다.
상기한 그립(grip)용 잉여부(4)는 내용물을 대부분 소진한 후 밀폐용기용 실리콘 내피(1)를 세정하기 위하여 꺼내기 편리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나 본 발명에 있어 제한적인 것은 아니며, 상기한 라벨부는 내용물의 종류나 용도, 또는 내용물의 보관 일시나 유의 사항 기재를 위한 것이다.
이어서, 도 2a 및 도 2b는 각각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구체예에 따른 밀폐용기용 실리콘 내피(1a)에 대한 사시도 및 B부 확대도로서, 그 기본 구조는 전술한 도 1a 및 도 1b의 그것과 본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그 차이점에 대해서만 주로 언급하기로 한다.
도시된 예에서는, 상기한 패킹부(2)가 장방형으로 형성되고 그 하부 외측으로 그립(grip)용 잉여부(4)가 주연부를 따라 연장되는 형태로 되어 있는 예를 나타내고 있으며, 라벨부(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필요하다면, 상기한 수용부(3)의 외표면에 적어도 하나의 점착부(6)를 양면테이프 등과 같은 적절한 점착부(粘着部)(6)를 형성하여 둘 수도 있으며, 상기한 점착부(6)는 밀폐용기의 본체(20) 내벽이나 바닥에 임시로 붙여 두어 음식물과 같은 내용물을 담기 쉽도록 하기 위한 것이나 이는 본 발명에 있어서 임의 선택적 사항이다.
도시된 예에서는 상기한 패킹부(2)의 상면(2c) 및 저면(2a)이 평활면으로 형성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지만, 약간 볼록하게 형성함으로써 밀폐성 향상을 도모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패킹부(2)가 접촉하는 부분의 형태에 따라 약간 오목하게 형성하거나, 또는 상면(2c)과 저면(2a) 중 어느 일면은 볼록하게 그리고 다른 일면은 오목하게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영역 내이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밀폐용기용 실리콘 내피(1,1a)는 그 자체가 우수한 탄성력을 지녀 그 외관적 형태가 변형될 수 있는 질감을 가지며, 우수한 탄성률 및 영구 축소율을 보유한다.
비록 본 발명에 있어서는 실리콘 내피로 한정하고 있지만, 유사 특성을 가지며 인체 무독성인 다른 종류의 내열성 엘라스토머(elastomer)도 동일한 작용 및 효과를 가지므로 선택 가능함은 물론이며, 이러한 다른 엘라스코머로써는, 예컨대,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PTFE), 폴리불화비닐라덴(PVDF), 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 공중합체(PFA), 또는 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FEP)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실리콘과 동일한 기능 및 작용 효과를 가지는 등가(等價)의 균등한 구성요소라는 점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밀폐용기용 실리콘 내피(1,1a)가 적용된 본 발명의 밀폐용기(10,10a)에 대하여 언급하기로 한다.
먼저,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구체예에 따른 밀폐용기(10)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측단면도로서, 함께 언급하기로 한다.
도시된 예에서는, 상단(21) 외주연부에 돌출테(22)를 가지며 상방이 개구 형성된 본체(20)와, 전술한 패킹부(2)와 수용부(3)를 가지는 밀폐용기용 실리콘 내피(1a)와, 결합돌기(32)가 형성된 잠금날개(31)를 가지는 뚜껑(30)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한 본체(20)와 뚜껑(30)은 공지이며, 본 발명에 따른 밀폐용기용 실리콘 내피(1a)의 패킹부(2)는 상기한 본체(20)와 뚜껑(30)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한 수용부(3)는 본체(20) 내에 위치한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밀폐용기(10)에 있어서는, 상기한 밀폐용기용 실리콘 내피(1a)에 패킹부(2)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한 뚜껑(30)에는 별도의 패킹이 포함되지 않는다.
도시된 예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밀폐용기용 실리콘 내피(1a)의 패킹부(2)는 본체(20)의 상단(21)과 뚜껑(30)의 주연부에 인접한 저면에 형성된 오목부(도면부호 미부여) 사이에 끼워지며, 뚜껑(30)의 잠금날개(31)를 하방으로 회전시켜 누르면 상기한 잠금날개(31)의 내측에 형성된 결합돌기(32)가 본체(20)의 상단(21) 외주연부에 형성된 돌출테(22) 저면의 결합홈부(도면부호 미부여)에 걸려 압착 고정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밀폐용기용 실리콘 내피(1a)의 패킹부(2)는 본체(20)의 상단(21)과 뚜껑(30) 사이에 개재되어 본체(20)를 외기로부터 차단하여 밀폐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때, 본 발명에 따른 밀폐용기용 실리콘 내피(1a)의 포대 형상의 수용부(3)는 본체(20) 내에 위치하게 되며 잉여부(4)는 잠금 날개(31)와 본체(20)의 외벽 사이로 빠져 나온 상태로 위치하게 되므로 보다 강한 밀폐 상태를 유지하게 됨은 물론, 뚜껑(30) 개방 시 본체(20) 내에 위치하는 수용부(3) 내에 담겨 있는 음식물 잔류물과 같은 내용물을 들어내기 쉽도록 그립부(grip member)로서의 기능을 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경우에서와 같이 뚜껑(30)에 형성된 요홈 내에 끼워진 패킹에 액상 또는 고액 혼합의 음식물이 끼이거나 침투되기 쉽고 이 부분에 대한 세정이 용이하지 못하다는 종래의 문제점은 본 발명에 있어서 효과적으로 해소된다.
또한 비록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한 본체(20) 상단부에 오목 홈(미도시)을 형성하고 뚜껑(30)의 저면 테두리에는 가압용 볼록부(미도시)를 형성함으로써, 상기한 밀폐용기용 실리콘 내피(1a)의 패킹부(2)가 상기한 오목 홈(미도시) 내에 쉽게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할 수도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의 영역 내이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한 본체(20)의 상단부에 통기용 소공(미도시)을 형성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높은 온도의 내용물을 넣은 후 식더라도 본체(20) 내부의 공기 수축에 따른 음압 발생이 없어 언제나 뚜껑(30)을 손쉽게 개방할 수가 있게 된다.
상기한 밀폐용기용 실리콘 내피(1a)에 있어서의 잉여부(4), 라벨부(5), 점착부(6)에 대해서는 이미 전술한 바 있으므로 이에 대한 더 이상의 부연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어서,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구체예에 따른 밀폐용기(10a)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의 측단면도로서, 그 기본 구성은 전술한 도 3 및 도 4의 경우와 본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그 차이점에 대해서만 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예에서는 용기의 형태가 본질적으로 밀폐용기 형태가 아니더라도 본 발명에 따른 밀폐용기용 실리콘 내피(1)를 적용하면 밀폐용기(10a)로 될 수 있음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뚜껑(30)에 별도의 패킹 삽입홈을 가지지 않는 형태의 뚜껑(30)을 이용하더라도 본체(20)의 상단면에 밀폐용기용 실리콘 내피(1)의 패킹부(2)가 놓여지고 뚜껑(30)의 잠금날개(31)에 의해 본체(20)에 결착되면 본체(20) 내부는 외기로부터 밀폐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필요하다면 본 발명에 따른 밀폐용기용 실리콘 내피(1,1a)의 내표면 및/또는 외표면에는 미세 요철 패턴(미도시)을 형성함으로써 수용부(3)의 찢김 방지 특성을 향상시키거나 취급 시 미끄러지지 않도록 논슬립성(non-slip property)을 부여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미세 요철 패턴은 양각 또는 음각의 망상(網狀), 연속 또는 불연속의 원형, 타원형, 마름모, 사각형, 사디리꼴, 육각형, 팔각형, 또는 십자형의 도트(dot) 형태이거나, 또는 스트립(strip) 형태일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밀폐용기용 실리콘 내피(1,1a)를 냄비나 솥, 또는 전자레인지를 이용한 살균 또는 멸균 시에는 이를 밀폐용기(10,10a)로부터 들어 낸후, 남은 내용물을 폐기하고 뒤집은 다음 물 또는 세정제를 이용하여 쉽게 세정한 다음, 비등수 중에서 자비(100℃에서 5분 내지 10분 정도)하거나, 물기를 닦아 낸 후 전자레인지(3~5분 정도)를 이용하여 간단히 마이크로파 처리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한 밀폐용기용 실리콘 내피(1,1a)는 다양한 컬러 색상이나 문양을 부여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며, 예컨대, 주황색이나 핑크색은 육류용 또는 김치용으로, 녹색은 채소용으로, 미백색은 생선용으로, 황색은 이유식이나 야채, 간식용 등과 같이 용도 별로 색상을 달리 부여함으로 정리 정돈성 향상 및 장기간 방치 우려를 피할 수 있으며, 상기한 밀폐용기용 실리콘 내피(1,1a)는 본질적으로 박막 형태이므로 용기 자체를 책색시키는 경우에 비하여 훨씬 경제적임은 물론이다.
상기한 라벨부(4)에는 내용물의 종류, 보관일자, 기타 유의사항 등을 기재하여 둠으로써 정리 정돈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예증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며, 당업자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요지 및 범위를 일탈하는 일 없이도 다양한 변화 및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영역 내이다.
1,1a: 본 발명에 따른 밀폐용기용 실리콘 내피
2: 패킹부(packing member)
2a: 만곡부 2b: 중공부(中空部)
2c: 상면 2d: 저면
3: 수용부 4: (그립(grip)용) 잉여부
5: 라벨부 6: 점착부(粘着部)
10: 본 발명에 따른 밀폐용기
20: 본체
21: 상단 22: 돌출테
23: 결합홈부
30: 뚜껑
31: 잠금 날개 32: 결합돌기

Claims (9)

  1. 중공형(中空形)의 폐환(閉環)형 패킹부와;
    상기한 폐환형 패킹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포대 형상의 수용부와;
    상기한 폐환형 패킹부의 하부 외측에 형성되는 그립(grip)용 잉여부로 구성되며:
    상기한 수용부의 단면 두께는 0.2~0.8mm이고, 상기한 패킹부와 수용부가 전자레인지에 의한 마이크로파 살균 및 비등수(沸騰水) 중에서의 자비(煮沸) 살균이 가능한 연질 실리콘 러버(soft silicone rubber)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밀폐용기용 실리콘 내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폐환형 패킹부의 상면 및 저면에 만곡부가 형성되어 있는 밀폐용기용 실리콘 내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폐환형 패킹부가 원형, 타원형, 정방형, 장방형, 마름모형, 오각형, 또는 육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밀폐용기용 실리콘 내피.
  4. 제1항에 있어서, 형태 유지성 부여를 위하여 상기한 폐환형 패킹부로부터 복수개의 하방으로 연장되는 수직 기둥과 그에 연장되며 상기한 패킹부와 동일 형상을 가지는 하단 프레임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밀폐용기용 실리콘 내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그립(grip)용 잉여부에 라벨부가 형성되어 있는 밀폐용기용 실리콘 내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수용부의 외표면에 적어도 하나의 점착부가 형성되어 있는 밀폐용기용 실리콘 내피.
  7. 상단 외주연부에 돌출테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와;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패킹부와 수용부 및 그립용 잉여부를 가지는 밀폐용기용 실리콘 내피와;
    결합돌기가 형성된 잠금날개를 가지는 뚜껑으로 구성되며:
    상기한 밀폐용기용 실리콘 내피의 패킹부가 상기한 본체와 뚜껑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한 수용부는 본체 내에 위치하며, 상기한 그립용 잉여부는 잠금 날개와 본체의 외벽 사이로 빠져나온 상태로 위치하고,
    상기한 본체 상단부에 통기용 소공이 관통되어 있는
    밀폐용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한 본체 상단부에 오목 홈이 형성되고 뚜껑에는 가압용 볼록부가 형성되며, 상기한 밀폐용기용 실리콘 내피의 패킹부가 상기한 오목 홈 내에 안착되는 밀폐용기.


















  9. 삭제
KR1020120034805A 2012-04-04 2012-04-04 밀폐용기용 실리콘 내피 및 이를 포함하는 밀폐용기 KR1013896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4805A KR101389697B1 (ko) 2012-04-04 2012-04-04 밀폐용기용 실리콘 내피 및 이를 포함하는 밀폐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4805A KR101389697B1 (ko) 2012-04-04 2012-04-04 밀폐용기용 실리콘 내피 및 이를 포함하는 밀폐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2428A KR20130112428A (ko) 2013-10-14
KR101389697B1 true KR101389697B1 (ko) 2014-04-28

Family

ID=49633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4805A KR101389697B1 (ko) 2012-04-04 2012-04-04 밀폐용기용 실리콘 내피 및 이를 포함하는 밀폐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96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1267B1 (ko) * 2020-02-05 2020-12-15 주식회사 파우코 아이스 마사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3751B1 (ko) 2020-02-28 2021-08-26 배규환 알루미늄 폐집진 더스트를 이용한 시멘트용 알루미나 대체원료 제조방법 및 그로써 제조된 시멘트용 알루미나 대체원료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3880Y1 (en) * 1985-05-23 1988-10-25 Lee Sang Jun Kimchi box
KR100366683B1 (ko) 1997-05-09 2003-01-06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가요성 백
JP2008050059A (ja) 2006-08-22 2008-03-06 Dart Industries Inc 急速冷凍用容器及びシール
KR20100078484A (ko) * 2008-12-30 2010-07-08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저장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3880Y1 (en) * 1985-05-23 1988-10-25 Lee Sang Jun Kimchi box
KR100366683B1 (ko) 1997-05-09 2003-01-06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가요성 백
JP2008050059A (ja) 2006-08-22 2008-03-06 Dart Industries Inc 急速冷凍用容器及びシール
KR20100078484A (ko) * 2008-12-30 2010-07-08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저장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1267B1 (ko) * 2020-02-05 2020-12-15 주식회사 파우코 아이스 마사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2428A (ko) 2013-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0784011U (zh) 烹饪和储存一或多种食品的器皿及器皿的容器的可移除盖
EP3099592B1 (en) Resealable container with collar and lid
AU2009258230B2 (en) Container with sealing lid
US9801488B2 (en) Steamer container system
US20030116572A1 (en) Sealing cover for a container
US20110220605A1 (en) Drink bottle
AU2013330198A1 (en) Improvements in sealable containers
US2796062A (en) Apertured container cover and attachment
KR101389697B1 (ko) 밀폐용기용 실리콘 내피 및 이를 포함하는 밀폐용기
KR200465164Y1 (ko) 물김치의 건더기 침지를 위한 속뚜껑이 구비된 밀폐용기
KR101389954B1 (ko) 식품보관용기용 속뚜껑 조립체
KR101187030B1 (ko) 보관용기
KR200415545Y1 (ko) 개인용 배식판
KR200474108Y1 (ko) 식품보관용기용 속뚜껑 조립체
JP6108777B2 (ja) 乳幼児用飲料容器
US20120055116A1 (en) Germ guard label and methods for using a germ guard label
JP2003335356A (ja) ゴム製蓋
JP4370504B2 (ja) 容器
KR101374229B1 (ko) 캔의 보호기능과 오프너 기능을 겸하도록 제공되는 위생덮개
KR20110102664A (ko) 이물질의 끼이지 않도록 이중사출로 성형된 밀폐용기
KR20080005911U (ko) 밀폐용기
KR200383997Y1 (ko) 용기의 진공압축 밀폐뚜껑
UA132806U (uk) Гігієнічна насадка-заглушка отвору для пиття в кришці для одноразової ємності для напоїв
WO2016022041A1 (ru) Насадка для питья на алюминиевую банку
KR200360690Y1 (ko) 식품용기용 뚜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