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9228B1 - 전기 접속컨넥터 및 이를 구비하는 전력 분배용 전기 접속장치 - Google Patents

전기 접속컨넥터 및 이를 구비하는 전력 분배용 전기 접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9228B1
KR101389228B1 KR1020130005441A KR20130005441A KR101389228B1 KR 101389228 B1 KR101389228 B1 KR 101389228B1 KR 1020130005441 A KR1020130005441 A KR 1020130005441A KR 20130005441 A KR20130005441 A KR 20130005441A KR 101389228 B1 KR101389228 B1 KR 1013892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terminal
rail
hole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54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윤국
Original Assignee
심윤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윤국 filed Critical 심윤국
Priority to KR10201300054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92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92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92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01R4/4809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eaf spring to bias the conductor toward the busbar
    • H01R4/4828Spring-activating arrangements mounted on or integrally formed with the spring housing
    • H01R4/48365Spring-activating arrangements mounted on or integrally formed with the spring housing with integral release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접속컨넥터의 새로운 구조와, 새로운 압지 타입을 가지는 접속 단자부의 채용을 통해 제작 및 조립이 신속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특히 전선 측 단자와의 접속 결합 및 해제에 따른 작업이 신속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전기 접속컨넥터 및 이를 구비하는 전력 분배용 전기 접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한 조를 이루는 제1 접속공과 제1 연결공이 일면에 한 쌍으로 형성되어 있는 접속부와, 길이를 갖는 접속레일부가 일체의 구조로 연결되는 제1 하우징; 상기 접속부의 내부에 제1 접속공 및 제1 연결공과 통하도록 형성되는 수용공간; 상기 접속부의 내부와, 상기 접속부로부터 인출되는 연장 상태로 접속레일부의 양 외면에 개별 배치되며 일단부분은 제1 접속공과 제1 연결공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구조로 수용공간에 배치되고, 타단부분은 접속레일부의 일단 양측에 형성되는 끼움홈으로 결합 되는 레일 단자; 상기 수용공간으로 배치되는 레일 단자의 일단부분에 부착되는 제1 접속단자; 상기 제1 접속단자는 레일 단자의 일단부분에 일 부분이 부착 고정되는 상태에서 제1 연결공과 마주하는 방향을 향해 반원 모양으로 휘어지는 탄성대와, 상기 탄성대와 연장되는 일체의 구조로 제1 접속공 및 제1 연결공과 마주 대면 하도록 배치되는 압지단과, 상기 압지단에 레일 단자의 일단부분과 제1 전선 측 단자가 관통하는 구조로 결합 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장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기 접속컨넥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전기 접속컨넥터 및 이를 구비하는 전력 분배용 전기 접속장치{electricity connection connector and electricity connection apparatus for power distribution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기 접속컨넥터 및 이를 구비하는 전력 분배용 전기 접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에서는 전기 접속컨넥터의 새로운 구조와, 새로운 압지 타입을 가지는 접속 단자의 채용을 통해 제작 및 조립이 신속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특히 전선 측 단자와의 접속 결합 및 해제 작업이 보다 신속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 현장이나 빌딩 등에서는 송전선으로부터 고압의 전력을 받아 변압기를 통해 저압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전력을 각종 전기설비 또는 각종 전기 장치로 분배 공급하게 되는데, 이때 이러한 전력 분배 및 배전을 위해 배전반이 사용된다.
이러한 배전반에는 전력 공급용 전기 접속장치(이하, 전기 접속장치로 칭함)가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비되는 전기 접속장치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변환된 전력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기 접속컨넥터와, 각종 전기설비 또는 각종 전기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기 접속컨넥터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전기 접속컨넥터 간 접속 결합 또는 접속 분리에 따라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이 각종 전기설비 또는 각종 전기 장치로 공급되거나 차단되게 된다.
위와 같이 배전반에 채용되어 있는 전력 분배용 전기 접속장치(10)를 살펴보면,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전기 접속컨넥터(12), 전력을 공급받는 전기설비 또는 전기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전기 접속컨넥터(14)로 구성된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접속컨넥터(12, 14) 간 전기적인 접속 결합 또는 접속 분리에 따라 전력 공급과 차단이 이루어지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전기 접속컨넥터(12)의 제1 하우징(16)은 제1 전선(18) 측 단자(20)의 전기적 접속을 위해 형성되는 접속공(22), 후술하는 체결나사(24)의 조임과 해제를 위한 연결공(21)이 형성되어 있는 접속부(26)와, 상기 접속부(26)로부터 길이를 가지고 돌출되는 접속레일부(28)가 일체의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먼저, 상기 접속부(26)의 내부 공간에는 접속 단자부(30)가 접속공(22) 및 연결공(21)과 각각 통하는 상태로 수용 구비되어 있고, 접속레일부(28)에는 레일 면을 따라 레일 단자(32)가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이와 같이 배치되는 레일 단자(32)의 일단은 해당하는 접속 단자부(30)에 전기적으로 각각 결합 고정되어 있다.
상기 접속 단자부(30)는 도 2에서 보듯이 내부에 공간부(34)가 형성되어 있는 몸체(36)와, 상기 몸체(36)의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 되는 힌지핀(38)과, 상기 힌지핀(38)에 일단과 타단이 각각 대응 연결되는 구조로 공간부(34)의 일 측면과 하부 둘레를 감싸며 일부 구간이 누름턱(40)으로 굴곡 형성되는 단자판(42)과, 상기 몸체(36)에 형성되는 체결공(44)으로 체결되며 그 직하 방향에 배치된 누름턱(40)을 미는 체결나사(24)로 구성된다.
위와 같은 구조로 구성되는 접속 단자부(30)에 제1 전선(18) 측 단자(20)를 접속 연결시, 먼저 체결나사(24)의 조임을 해제하여 몸체(36)의 일측 내면과 단자판(42)의 일 측면 사이로 제1 전선(18) 측 단자(20)를 배치하게 된다. 그 상태에서 체결나사(24)를 조임 체결하게 되면, 체결나사(24)는 단자판(42)의 누름턱(40)을 형태로 밀게 된다.
그에 따라 단자판(42)은 힌지핀(38)을 중심으로 하여 제1 전선(18) 측 단자 (20)방향으로 편심 회동을 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단자판(42)이 제1 전선(18) 측 단자(20)를 몸체(36)의 내 측면에 밀착시키는 상태로 압지 하여 전기적인 접속 연결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제2 전기 접속컨넥터(14)의 제2 하우징(46) 내부에는 앞서 설명된 된 제1 전기 접속컨넥터(12)의 접속레일부(28)가 슬라이드 되는 상태로 삽입 결합 될 수 있도록 슬라이드 접속공(48)이 나열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슬라이드 접속공(48)의 내부에는 상부와 하부에 압지 단자(50)가 각각 배치되는 구조로 삽입 결합 되어 있다.
상기 압지 단자(50)는 레일 단자(32)와 접촉 되게 되는 접촉부(52)와, 제2 전선(54) 측 단자(56)를 압지 방식으로 물어줄 수 있도록 압지돌기(58)를 구비하는 압지부(60)가 일체로 이루어지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상기 압지 단자(50)에는 제2 전선(54) 측 단자(56)가 압지부(60)의 내부에 배치되는 상태에서 압지돌기(58)가 굴곡 되어 제2 전선(54) 측 단자(56)를 압지 하는 방식으로 고정하게 된다.
따라서, 제1 전선(18) 측 단자(20)와 연결되는 제1 전기 접속컨넥터(12)의 접속레일부(28)를 제2 전선(54) 측 단자(56)가 연결되는 제2 전기 접속컨넥터(14)의 슬라이드 접속공(48)으로 대응 삽입시키게 되면, 접속레일부(28)의 레일 단자(32)에 압지 단자(50)의 접촉부(52)가 대응 접촉하게 되면서 제1 및 제2 전기 접속컨넥터 (12, 14)간 전기적인 접속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런데, 제1 전기 접속컨넥터(12)의 접속단자부(30) 경우, 단자판(42)의 편심 회동을 위해 체결나사(24)가 사용되는데, 이때 체결나사(24)를 회전시키기 위한 공구(예를 들면 드라이버)와 맞추는데 번거로움이 있고, 아울러 체결나사(24)를 회전시키는데 따른 조작과 시간이 요구됨으로써, 제1 전선(18) 측 단자(20)의 접속 결합은 물론, 접속 분리시에 번거로움이 있다.
나아가, 제1 전선(18) 측 단자(20)를 접속 분리시 체결나사(24)의 체결 해제가 과도할 경우, 몸체(36)의 체결공(44)과 제1 전기 접속컨넥터(12) 제1 하우징(16)의 연결공(21)으로부터 체결나사(24)가 완전히 빠져나오면서 분리 이탈되게 된다. 이러한 이탈로 인해 체결나사(24)가 바닥이나 배전반 내에 떨어지게 되면 체결나사(24)의 크기가 매우 작아 찾기가 용이하지 못하고, 특히 꺼내기 어려운 곳으로 떨어진 경우에는 제1 전선(18) 측 단자(20)에 대한 접속 연결이 즉각적으로 이루어질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예컨대, 분리된 체결나사(24)를 몸체(36)의 체결공(44)에 재결시에도 체결나사(24)를 연결공(21)으로 삽입하는 작업과, 체결공(44)으로 체결시키기 위한 맞춤시, 연결공(21)의 내부가 협소하고 체결공(44)은 접속부(26)의 내부 공간에 위치 하고 있어 결과적으로 체결나사(24)의 삽입과 맞춤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게 된다. 그에 따라 작업의 더뎌짐과 함께 작업자의 스트레스 및 피로 도가 상승하게 된다.
또한, 앞서 설명된 접속 단자부(30)는 단자판(42)을 수용하는 구조와, 단자판(42)의 편심 회동을 부여하기 위해 힌지핀(38)의 회동 결합구조와, 상기 단자판(42)과 힌지핀(38) 간에 연동하도록 연결하는 구조와, 단자판(42)의 편심 회동을 위해 체결공(44)이 몸체(36)의 내부에 형성되는 협소한 공간부(34)로 조합 결합 되어야 함으로써, 접속 단자부(30)의 조립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단자판(42)에는, 단자판(42)을 편심 회동시키기 위하여 누름턱(40)이 굴곡 형성되어 있는데, 이때 누름턱(40)은 단자판(42)의 중심으로부터 편심 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단자판(42)의 곡면 배치 형상에 비해 직각으로 굴곡 되는 구조를 취하고 있어, 단자판(42)이 힌지핀(38)을 중심으로 편심 회동하게 될 때, 단자판(42)의 편심 누름으로 인한 전체적인 변형과 누름력이 직접 전달되는 누름턱(40)의 변형이 함께 이루어지게 되어 단자판(42) 전체가 뒤틀리거나 틀어짐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단자판(42)의 뒤틀림이나 틀어짐이 발생하게 되면 제1 전선 (18)측 단자(20)와 단자판(42) 간에 이격되는 들뜸이 형성되어 접촉 불량은 물론, 스파크가 발생하여 전력이 불안정하게 공급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한편, 제2 전기 접속컨넥터(14)의 경우, 제2 하우징(46)의 전체가 일체를 이루는 하나의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그에 따라 제1 전기 접속컨넥터(12)의 접속레일부(28)가 개별적으로 삽입되게 되는 슬라이드 접속공(48)을 제2 하우징(46)의 내부에 나열식으로 정밀하게 이웃 가공하기가 용이하지 못하다.
특히, 접속 결합 및 접속 분리에 따른 사용 과정에서 어느 하나의 슬라이드 접속공(48)에 구조적인 변형이 발생하거나 균열 혹은 깨짐이 발생하게 될 경우, 제2 전기 접속컨넥터(14)의 제2 하우징(46)은 그 구조상 접속 불량이 발생하는 해당부분만을 교체하기 어려워 제2 전기 접속컨넥터(14)의 제2 하우징(46) 전체를 교체하여야 함으로써 새것으로 교체되는 제2 하우징(46) 측 압지 단자(50)와의 접속 결합을 모두 다시 하게 되는 번거로움과 함께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 접속공(48)의 내부에 결합 되는 압지 단자(50)의 압지부(60)에 제2 전선(54) 측 단자(56)를 고정하기 위해서는 압지부(60)의 압지돌기(58)를 굴곡 시켜 압지 고정하게 되는데, 이때 압지돌기(58)의 압지 방향으로 구부리기 위한 별도의 압지 공구(예를 들면 망치, 펜치)가 필요하고, 특히 제2 전선(54) 측 단자(56)를 압지부(60)로부터 분리시에는 구부려진 압지돌기(58)를 다시 펴기 위한 별도의 공구(예를 들면 롱로즈)가 필요함으로써, 이러한 여러 공구의 사용은 물론, 압지돌기(58)를 펴는데 많은 시간의 소요와 함께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전기 접속컨넥터의 새로운 구조와, 새로운 압지 타입을 가지는 접속 단자의 채용을 통해 제작 및 조립이 신속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특히 전선 측 단자와의 접속 결합 및 접속 분리 작업이 신속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전기 접속 컨넥터 및 이를 구비하는 전력 분배용 전기 접속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서는 한 조를 이루는 제2 접속공과 제2 연결공이 일면에 한 쌍으로 형성되어 있는 접속부와, 일단에 접속진입구를 형성하고 있는 레일접속부가 일체로 연결되는 제2 하우징; 상기 접속부의 내부에 제2 접속공 및 제2 연결공과 통하도록 형성되는 수용공간; 상기 레일접속부의 내부에 접속진입구와 통하는 상태로 연결되는 접속공간; 상기 접속부의 내부와, 접속공간의 양 내측 면에 개별 배치되는 상태로 일단부분은 제2 접속공 및 제2 연결공과 마주 대면하도록 수용공간에 배치되고 타단부분은 접속진입구의 내면에 형성되는 걸림홈으로 걸림 되는 레일 단자;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는 레일 단자의 일단부분에 배치 방향으로 형성되는 장공; 상기 장공에 구비되는 제2 접속단자; 상기 제2 접속단자는 장공의 일측 내면에 전기적으로 통전 가능하게 부착 고정되는 일측 고정단과, 상기 장공의 타측 내면에 탄력 지지 되는 타측 압지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기 접속컨넥터가 제공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제1 전기 접속컨넥터의 제1 하우징은 제1 전선 측 단자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제1 접속단자를 수용하고 있는 접속부와, 상기 접속부의 일측으로부터 길이를 가지고 돌출되는 접속레일부가 일체의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접속레일부의 양 외측 면에는 제1 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레일 단자가 개별적으로 연장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접속레일부는 접속진입구를 통해 접속공간으로 분리 가능하게 슬라이드 삽입되는 구조로 접속레일부의 레일 단자와 레일접속부의 레일 단자 간에 접촉되어 전기적 통전이 이루어지는 전력 분배용 전기 접속장치가 제공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 접속컨넥터의 새로운 구조 타입과, 새로운 압지 타입을 가지는 접속 단자부를 채용함으로써, 제작 및 조립이 신속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특히 압지단이 장공에 의해 이동 방향이 장공 방향으로 구속되는 구조를 취하고 있어 다른 방향으로 위치 이동 또는 뒤틀림 변형이 발생하지 않음으로써 전선 측 단자와의 접촉 불량은 물론, 들뜸이 방지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일반적인 전력 분배용 전기 접속장치를 보여주는 분리 사시도로서, 도 1a는 전방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1b는 후방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2는 도 1a에 도시된 접속 단자부에 제1 전선 측 단자가 접속 결합 되는 모습을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접속컨넥터 및 이를 구비하는 전력 분배용 전기 접속장치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접속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a ~ 도 5c는 도 4의 A에 대한 제1 전선 측 단자의 압지 과정을 단계별로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6a ~ 도 6c는 도 4의 B에 대한 제2 전선 측 단자의 압지 과정을 단계별로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7은 도 3의 C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접속컨넥터 및 이를 구비하는 전력 분배용 전기 접속장치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서는 도 3의 접속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5a ~ 도 5c는 도 4의 A에 대한 제1 전선 측 단자의 압지 과정을 단계별로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일반적인 배전반에 채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접속컨넥터 및 이를 구비하는 전력 분배용 전기 접속장치는 도면에서 보듯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전기 접속컨넥터(70), 전력을 공급받게 되는 전기설비 또는 전기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전기 접속컨넥터(72)로 구성되며, 이러한 전기 접속장치(74)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전기 접속컨넥터(70, 72) 간 전기적인 접속 결합 또는 접속 분리를 통해 전력 공급과 차단이 이루어지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전기 접속컨넥터(70)의 제1 하우징(76)은 제1 전선(18) 측 단자(20)의 접속 삽입을 위한 제1 접속공(78)과 핀 타입 공구(T)(예를 들면 송곳)를 삽입하기 위한 제1 연결공(80)이 한 조를 이루며 일면에 한 쌍이 형성되어 있는 접속부(82)와, 상기 접속부(82)의 일측 부분으로부터 길이를 가지고 돌출되는 접속레일부(84)가 일체로 이루어지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상기 제1 접속공(78)과 제1 연결공(80)은 제1 접속단자(86)가 수용 배치되는 접속부(82)의 해당 수용공간(88)과 각각 통하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먼저, 상기 접속부(82)의 내부와, 접속레일부(84)의 양 외면에는 레일 단자(90)가 접속부(82)로부터 인출되는 연장 구조로 각각 개별 배치된다. 이때 상기 레일 단자(90)의 일단부분(92)은 제1 접속공(78)과 제1 연결공(80)과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구조로 수용공간(88)에 배치되고, 타단부분(94)은 접속레일부(84)의 일단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끼움홈(96)으로 삽입 결합 되어 있다.
상기 접속부(82)의 수용공간(88)에 배치되는 레일 단자(90)의 일단부분(92)에는 제1 접속단자(86)가 전기적으로 통전 가능하게 부착 고정되어 있는데, 이러한 상기 제1 접속단자(86)는 레일 단자(90)의 일단부분(92)에 일 부분이 부착 고정되는 상태에서 제1 연결공(80)의 방향을 향해 반원 모양으로 휘어지는 탄성대(98)와, 상기 탄성대(98)와 연장되는 일체의 구조로 제1 접속공(78) 및 제1 연결공(80)과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압지단(10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압지단(100)에는, 압지단(100)의 길이 방향으로 장공(102)이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장공(102)에는 레일 단자(90)의 일단부분(92)이 관통하는 구조로 결합 고정되어 있다.
또한, 도 7에서 보듯이 상기 제1 접속공(78) 및 제1 연결공(80)이 형성되는 접속부(82)의 일면에는 접속부(82)의 양 측면 방향으로 개방되는 결착홈(104)이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결착홈(104)의 양측 내면에는 결착리브(106)가 결착홈(104)의 중앙 방향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착홈(104)에는 네임부재(108)가 결합 되는데, 이때 네임부재(108)의 저면에는 네임부재(108)를 결착홈(104)으로 결합시, 상기 결착리브(106)를 타고 넘을 수 있도록 탄성 변형되면서 결착리브(106)의 하부 면에 걸림 배치되는 구조로 결착 될 수 있는 걸림리브(110)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네임부재(108)는 제1 접속공(78)으로 접속되는 제1 전선(18)의 배선 관계 또는 전기적 용량을 수치 혹은 색상으로 표기하여 관리자 및 작업자에게 시각적으로 배선 혹은 전력 공급 용량을 알려주는 기능을 발휘하게 된다.
따라서, 위와 같은 구조로 구성되는 제1 전기 접속컨넥터(70)의 제1 접속단자(86)에 제1 전선(18) 측 단자(20)를 접속 연결시, 도 5a ~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핀 타입의 공구(T)를 제1 연결공(80)으로 삽입하여 탄성대(98)의 외 측면이 화살표 방향으로 밀리게 되면, 반원 모양으로 휘어진 탄성대(98)는 반원 모양으로 더 휘어지는 상태로 구부려지게 되면서 압지단(100)도 전진 이동을 하게 된다(도 3 및 도 4 참조).
위와 같이 압지단(100)이 전진 이동하게 되면, 상기 장공(102)의 일측 내면과 레일 단자(90)의 일단부분(92) 간에 이격 되면서 장공(102) 내에 틈이 형성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선(18) 측 단자(20)를 제1 접속공(78)으로 인입시키고 틈을 통해 장공(102)을 통과하는 구조로 제1 전선(18) 측 단자(20)를 배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 전선(18) 측 단자(20)가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핀 타입 공구(T)를 제1 연결공(80)으로부터 이탈시키게 되면, 반원 모양으로 더 휘어져 있던 탄성대(98)가 펴지려는 방향으로 탄성 복귀하면서 압지단(100)은 후진 이동하게 된다.
그로 인해 압지단(100)이 장공(102)에 배치되어 있는 제1 전선(18) 측 단자(20)를 레일 단자(90)의 일단부분(92)에 밀착시키는 상태로 압지 고정하게 된다.
따라서, 배경기술로 설명된 제1 접속컨넥터의 접속 단자부와 같이 제1 전선측 단자를 접속 결합 및 접속 분리하기 위해 체결나사를 회전시키는 조작이나 공구(예를 들면 드라이버)를 체결나사에 맞추는 준비 작업 등에 따른 번거로움이 제거되어 제1 전선 측 단자에 대한 접속 결합 및 분리가 신속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배경기술로 설명된 접속 단자부는 구성 부품이 많고, 특히 협소한 몸체의 내부 공간에 단자판의 배치, 힌지핀의 결합, 체결공의 형성 및 체결나사의 체결 등으로 인해 조립성이 용이하지 못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제1 접속단자(86)는 가공 부품 수가 많지 않고, 아울러 단순히 반원 모양으로 휘어지는 구조와, 레일 단자(90)의 일단부분(92)을 장공(102)으로 관통시키는 단순 조립 구조이므로 조립은 물론, 가공이 신속 용이하다.
또한, 배경기술로 설명된 접속 단자부의 단자판이 힌지핀을 중심으로 편심 회동하는 구조와, 단자판의 편심 회동을 위해 체결나사가 밀기 위한 누름턱이 심하게 굴곡 형성되어 있어 단자판이 편심 회동하게 될 때, 단자판의 전체적인 변형과 누름턱이 변형되어 단자판 전체가 뒤틀리게 되고, 그로 인해 제1 전선의 단자와 단자판 간에 접촉 불량이 발생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제1 접속단자(86)는 압지단(100)의 장공(102)에 레일 단자(90)의 일단부분(92)이 관통 결합 되어 있는 구조이므로 결과적으로 압지단(100)은 장공(102) 방향 이외에 다른 방향으로 이동되거나 뒤틀림 변형이 발생하지 않는 구속된 구조를 취하고 있다. 그에 따라 제1 전선(18) 측 단자(20)와의 접촉 불량이 방지된다.
한편, 상기 제2 전기 접속컨넥터(72)의 제2 하우징(120)은 도 3, 도 4, 도 6a ~ 도 6c에서 보듯이 제2 전선(54) 측 단자(56)의 접속 삽입을 위해 형성되는 제2 접속공(122)과 핀 타입 공구(T)(예를 들면 송곳)를 삽입하기 위한 제2 연결공(124)이 한 조를 이루며 일면에 한 쌍이 형성되어 있는 접속부(126)와, 상기 접속부(126)로부터 길이를 가지고 돌출되는 레일접속부(128)가 일체를 이루는 연결 구조를 취하고 있다.
상기 제2 접속공(122)와 제2 연결공(124)은 제2 접속단자(130)가 수용 배치되게 되는 접속부(126)의 해당 수용공간(132)과 각각 통하는 연결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레일접속부(128)에는 앞서 설명된 접속레일부(84)의 전기적인 접속시 레일접속부(128)가 슬라이드 삽입될 수 있도록 일단에 형성되는 접속진입구(134)와 통하는 접속공간(136)이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접속부(126)의 내부와, 접속공간(136)의 양 내측 면에는 레일 단자(138)가 각각 개별적으로 연장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레일 단자(138)의 일단부분(140)은 제2 접속공(122) 및 제2 연결공(124)과 마주 대면할 수 있는 배치 구조로 해당하는 수용공간(132)에 각각 수용되어 있고, 타단부분(142)은 접속진입구(134)에서 내측 면에 형성되는 걸림홈(144)에 걸림 결합되어 있다.
특히, 레일접속부(128)의 양 내 측면에 각각 배치되는 레일 단자(138)는 일정 지점(P)에서 굴곡 되어 접속진입구(134) 방향으로 갈수록 양측 레일 단자(138) 간에 폭이 점차 좁아지는 경사구조로 배치되어 있다. 아울러 접속진입구(134)에 위치하는 레일 단자(138)의 타단부분(142)에는 접속레일부(84)의 접속 결합시 레일 단자(90)와 대응 접촉이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테션을 주기 위하여 곡면으로 형성되는 접촉단(14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접속부(126)의 수용공간(132)에 배치되는 레일 단자(138)의 일단부분(140)에는 수평 방향 즉, 배치 방향으로 장공(148)이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장공(148)에는 제2 접속단자(130)가 구비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접속단자(130)는 일단과 타단이 연결되며 U형 모양으로 구부려져 있다. 이러한 제2 접속단자(130)의 일측 고정단(150)은 장공(148)의 일측 내면에 전기적으로 통전 가능하게 부착 고정되어 있고, 타측 압지단(152)은 장공(148)의 타측 내면에 탄력 지지 되어 있다.
또한, 도 7에서 보듯이 상기 제2 접속공(122) 및 제2 연결공(124)이 형성되는 접속부(126)의 일면에는 접속부(126)의 양 측면 방향으로 개방되는 결착홈(154)이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결착홈(154)의 양측 내면에는 결착리브(156)가 결착홈의 (154)중앙 방향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착홈(154)에는 네임부재(158)가 결합 되는데, 이때 네임부재(158)의 저면에는 네임부재(158)를 결착홈(154)으로 결합시, 상기 결착리브(156)를 타고 넘을 수 있도록 탄성 변형되면서 결착리브(156)의 하부 면에 걸림 배치되는 구조로 결착 될 수 있는 걸림리브(160)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네임부재(158)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2 접속공(122)으로 접속되는 제2 전선(54)의 배선 관계 또는 전기적 용량이 수치 혹은 색상으로 표기하여 관리자 및 작업자에게 시각적으로 배선 혹은 전력 공급 용량을 알려주는 기능을 발휘하게 된다.
따라서, 위와 같은 구조로 구성되는 제2 전기 접속컨넥터(72)의 제2 접속단자(130)에 제2 전선(54) 측 단자(56)를 접속 연결시, 먼저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 타입의 공구(T)를 제2 연결공(124)으로 삽입하여 압지단(152)의 외 측면을 장공(148)의 방향으로 밀게 되면 제2 접속단자(130)는 더 휘어지는 상태로 구부려지게 되면서 압지단(152)이 장공(148)을 따라 고정단(150)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압지단(152)이 이동하게 되면 상기 장공(148)의 일측 내면과 압지단(152) 간에 이격 되면서 장공(148) 내에 틈이 형성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6c에서 보듯이 제2 전선(54) 측 단자(56)를 제2 접속공(122)으로 인입시키고 위와 같이 형성되는 틈을 통해 장공(148)을 통과하는 구조로 제2 전선(54) 측 단자(56)를 배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2 전선(54) 측 단자(56)를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핀 타입의 공구(T)를 제2 연결공(124)으로부터 이탈시키게 되면, 더 휘어져 있던 제2 접속단자(130)가 펴지려는 방향으로 탄성 복귀하면서 압지단(152)이 고정단(15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로 인해 압지단(152)이 제2 전선(54) 측 단자(56)를 장공(148)의 일측 내면에 밀착시키는 상태로 압지 고정하게 된다.
따라서, 배경기술로 설명된 제2 접속컨넥터의 제2 하우징과 같이 접속 불량이 발생하는 해당 부분만을 교체하기 어려워 제2 접속컨넥터의 제2 하우징 전체를 교체하여야 함으로써 새것으로 교체되는 제2 접속컨넥터의 제2 하우징 측 압지 단자와의 접속 결합을 모두 다시 하게 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나, 본 발명은, 제2 전기 접속컨넥터(72)의 제2 하우징(120)은 도면에서 보듯이 배경기술로 설명된 슬라이드 접속공을 나열식으로 맞추어 가공하는 어려움이 없고, 아울러 한 쌍의 제2 접속단자(130)를 구비하는 제2 전기 접속컨넥터(72)가 개별적으로 제작되어 접속되는 구조이므로 예컨대, 불량이 발생하더라도 배경기술로 설명된 제2 전기 접속컨넥터 전체를 교체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에서는 불량이 발생 된 해당 제2 전기 접속 컨넥터(72) 만을 교체하는 타입이어서 교체에 따른 제2 전선(54) 측 단자(56)와의 접속 결합 및 해제 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배경기술로 설명된 제2 접속컨넥터의 경우 압지 단자의 압지부에 제2 전선 측 단자를 물리기 위하여 압지부의 압지돌기를 굴곡 시키게 되는데, 이때 압지돌기를 압지 방향으로 구부리기 위한 별도의 압지 공구의 사용과 함께 일일이 구부려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특히 제2 전선 측 단자를 접속 분리시에는 압지를 위해 구부려져 있는 압지돌기를 다시 펴기 위한 어려움도 있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제2 접속단자(130)는 단순히 핀 타입 공구(T)(예를 들면 송곳)를 삽입하여 압지단(152)을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접속 결합과 분리가 이루지는 구조이므로 제2 전선 (54)측 단자(56)에 대한 접속 결합 및 분리가 신속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나아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74 : 전기 접속장치 12, 70 : 제1 전기 접속컨넥터
14, 72 : 제2 전기 접속컨넥터 16, 76 : 제1 하우징
18 : 제1 전선 20, 56 : 단자
22 : 접속공 21 : 연결공
24 : 체결나사 26, 82, 126 : 접속부
28, 84 : 접속레일부 30 : 접속단자부
32, 90, 138 : 레일 단자 34 : 공간부
36 : 몸체 38 : 힌지편
40 : 누름턱 44 : 체결공
46, 120 : 제2 하우징 48 : 슬라이드 접속공
50 : 압지 단자 52 : 접촉부
54 : 제2 전선 58 : 압지돌기
60 : 압지부 78 : 제1 접속공
80 : 제1 연결공 86 : 제1 접속단자
88, 132 : 수용공간 92, 140 : 일단부분
94, 142 : 타단부분 96 : 끼움홈
98 : 탄성대 100, 152 : 압지단
102, 148 : 장공 122 : 제2 접속공
124 : 제2 연결공 128 : 레일접속부
130 : 제2 접속단자 134 : 접속진입구
136 : 접속공간 144 : 걸림홈
146 : 접촉단 150 : 고정단

Claims (3)

  1. 한 조를 이루는 제1 접속공(78)과 제1 연결공(80)이 일면에 한 쌍으로 형성되어 있는 접속부(82)와, 길이를 갖는 접속레일부(84)가 일체의 구조로 연결되는 제1 하우징(76);
    상기 접속부(82)의 내부에 제1 접속공(78) 및 제1 연결공(80)과 통하도록 형성되는 수용공간(88);
    상기 접속부(82)의 내부와, 상기 접속부(82)로부터 인출되는 연장 상태로 접속레일부(84)의 양 외면에 개별 배치되며 일단부분(92)은 제1 접속공(78)과 제1 연결공(80)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구조로 수용공간(88)에 배치되고, 타단부분(94)은 접속레일부(84)의 일단 양측에 형성되는 끼움홈(96)으로 결합 되는 레일 단자(90);
    상기 수용공간(88)으로 배치되는 레일 단자(90)의 일단부분(92)에 부착되는 제1 접속단자(86);
    상기 제1 접속단자(86)는 레일 단자(90)의 일단부분(92)에 일 부분이 부착 고정되는 상태에서 제1 연결공(80)과 마주하는 방향을 향해 반원 모양으로 휘어지는 탄성대(98)와, 상기 탄성대(98)와 연장되는 일체의 구조로 제1 접속공(78) 및 제1 연결공(80)과 마주 대면 하도록 배치되는 압지단(100)과, 상기 압지단(100)에 레일 단자의 일단부분과 제1 전선 측 단자가 관통하는 구조로 결합 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장공(10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컨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공(78) 및 제1 연결공(80)이 형성되는 접속부(82)의 일면에 결착홈(10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착홈(104)의 양측 내면에는 결착리브(106)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착홈(104)에 분리가능하게 결합 되는 네임부재(108) 및 상기 네임부재(108)에는 결착리브(106)에 걸림되는 상태로 결착 될 수 있도록 걸림리브(11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컨넥터.
  3. 제2 전기 접속컨넥터(72)의 제2 하우징(120)은 제2 전선(54) 측 단자(56)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제2 접속단자(130)를 수용하고 있는 접속부(126)와, 상기 접속부(126)의 일측으로부터 길이를 가지고 돌출되는 레일접속부(128)가 일체의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레일접속부(128)에는 접속진입구(134)와 통하도록 연결되는 접속공간(136)이 내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접속공간(136)의 양 내측 면에는 제2 접속단자(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레일 단자(138)가 개별적으로 연장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접속공간(136)에는 접속진입구(134)를 통해 진입하는 청구항 1의 전기 접속컨넥터의 접속레일부(84)가 분리 가능하게 슬라이드 삽입되면서 접속레일부(84)의 레일 단자(90)와 레일접속부(128)의 레일 단자(138) 간에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접속 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분배용 전기 접속장치.
KR1020130005441A 2013-01-17 2013-01-17 전기 접속컨넥터 및 이를 구비하는 전력 분배용 전기 접속장치 KR1013892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5441A KR101389228B1 (ko) 2013-01-17 2013-01-17 전기 접속컨넥터 및 이를 구비하는 전력 분배용 전기 접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5441A KR101389228B1 (ko) 2013-01-17 2013-01-17 전기 접속컨넥터 및 이를 구비하는 전력 분배용 전기 접속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9228B1 true KR101389228B1 (ko) 2014-04-29

Family

ID=50658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5441A KR101389228B1 (ko) 2013-01-17 2013-01-17 전기 접속컨넥터 및 이를 구비하는 전력 분배용 전기 접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922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3548B1 (ko) * 2015-04-16 2016-01-08 윤여관 수납유닛의 위치 확인이 용이한 mcc용 전기접속 커넥터
KR20210098693A (ko) * 2020-02-03 2021-08-11 이덕환 전기 접속 커넥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0331A (ko) * 2008-07-22 2010-02-0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전기 컨넥터
JP2010103049A (ja) 2008-10-27 2010-05-06 Hirose Electric Co Ltd 電気コネクタ
KR20100093929A (ko) * 2009-02-17 2010-08-2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KR100988794B1 (ko) 2008-06-30 2010-10-20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8794B1 (ko) 2008-06-30 2010-10-20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KR20100010331A (ko) * 2008-07-22 2010-02-0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전기 컨넥터
JP2010103049A (ja) 2008-10-27 2010-05-06 Hirose Electric Co Ltd 電気コネクタ
KR20100093929A (ko) * 2009-02-17 2010-08-2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3548B1 (ko) * 2015-04-16 2016-01-08 윤여관 수납유닛의 위치 확인이 용이한 mcc용 전기접속 커넥터
KR20210098693A (ko) * 2020-02-03 2021-08-11 이덕환 전기 접속 커넥터
KR102362811B1 (ko) * 2020-02-03 2022-02-14 이덕환 전기 접속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76297B2 (ja) バネ接続部材と小型のアクチュエータとを備える電気的な接続デバイス、および複数の当該バネのコンタクトを備える多極プラグコネクタ
KR101448143B1 (ko) 지중배전라인 설치를 위한 지중배전선 연결장치
DE102008030373B4 (de) Elektrisches Steckverbindungssystem mit benachbarten Kabelsteckbuchsenfassungen
KR20150011771A (ko) 빠른 연결형 파워 커넥터
JP2002124344A (ja) 電気的な直列端子
JP2014103115A (ja) バネ接点を備えた改良型多極電気コネクタ
US20150249295A1 (en) Disconnect with enhanced electrical contact
JP2007531967A (ja) 簡易着脱型コネクタアセンブリ
KR20160081065A (ko) 커넥터 미결합 검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조립체
US8647131B1 (en) Electrical cord with replaceable plugs
KR101389228B1 (ko) 전기 접속컨넥터 및 이를 구비하는 전력 분배용 전기 접속장치
KR20120006307A (ko) 커넥터조립체
EP2240983B1 (en) Locking electrical receptacle
US9385486B2 (en) Socket module, electrosurgical device, and set with a socket module
JP2015046245A (ja) 中継端子および中継コネクタ
CN2857290Y (zh) 快速接线盒
KR101389217B1 (ko) 전기 접속컨넥터 및 이를 구비하는 전력 분배용 전기 접속장치
US7976331B1 (en) Electric power connector and power cable retainer arrangement
KR101446531B1 (ko) 커넥터
KR20100022841A (ko) 커넥터
EP3477779B1 (en) System comprising a ferrule terminal and a connection terminal block and electrical equipment comprising such system
JP2010073351A (ja) 配線装置
KR100989669B1 (ko) 다중 접속 커넥터
JP2021170454A (ja) 計器の端子接続構造
EP1427064A1 (en) Socket used to house female plugs and microrelay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