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3929A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3929A
KR20100093929A KR1020090013087A KR20090013087A KR20100093929A KR 20100093929 A KR20100093929 A KR 20100093929A KR 1020090013087 A KR1020090013087 A KR 1020090013087A KR 20090013087 A KR20090013087 A KR 20090013087A KR 20100093929 A KR20100093929 A KR 201000939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nnector
connector housing
jaw
barr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3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혁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13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93929A/ko
Publication of KR20100093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39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1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correct or full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183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 H01R4/184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comprising a U-shaped wire-receiving portion
    • H01R4/185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comprising a U-shaped wire-receiving portion combined with a U-shaped insulation-receiving por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contact members with insulating base, case or sleeve
    • H01R43/22Hand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커넥터하우징(10)과, 상기 커넥터하우징(10)의 수납공간(12)에 삽입되고 커넥터하우징(10)의 체결턱(13)에 대응되는 랜스부(23)가 탄성변형가능하게 구비되어 체결턱(13)에 걸어져 고정되는 터미널(20)로 구성된다. 상기 터미널(20)의 일측에는 바렐부(25)가 구비되어 와이어(W)와 연결되는데, 상기 바렐부(25)에는 일부가 절결되어 걸이돌기(28)가 구비되고, 상기 커넥터하우징(10)의 수납공간(12) 내면에는 상기 걸이돌기(28)에 대응되는 걸이턱(14)이 구비되어 서로 걸어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터미널(20)을 커넥터하우징(10)으로부터 분리하는데 필요한 힘, 즉 터미널유지력이 커지게 되어, 터미널(20)이 외력에 의해 임의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커넥터, 터미널, 터미널유지력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구비된 터미널을 이용하여 상대물과의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넥터는 커넥터하우징과 터미널로 구성되며, 세탁기, 냉장고 또는 자동차 등의 전원회로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들 전기 전자 기기에 상기 커넥터를 사용하면 복수의 부품을 개별로 조립하여 그 후 최종 제품에 끼워 넣을 수 있으므로, 기기 제조뿐 아니라, 유지보수작업을 대폭 간소화 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이와 같은 커넥터는 커넥터하우징과 그 내부에 삽입되는 터미널로 구성된다. 상기 커넥터하우징은 합성수지와 같은 절연성 재질로 만들어지고, 상기 터미널은 전기전도성이 좋은 금속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터미널은 상기 커넥터하우징 내부에 삽입되어 견고하게 고정되어야 하는데, 이는 상기 터미널이 커넥터하우징으로부터 쉽게 분리되면 커넥터의 동작신뢰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특히, 차량 내부와 같이 외부로부터 진동이 자주 전해지는 환경에서 커넥터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이러한 터미널을 분리하기 위해 들어가 는 힘이 커넥터를 평가하는 중요한 품질 중 하나이다.
따라서, 터미널이 커넥터하우징에 삽입되어 안정적으로 고정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터미널은 커넥터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된 랜스(Lance)와 같은 구조에 의해 고정되는데, 최근에는 랜스 이외에도 별도의 홀더나 스페이서를 커넥터에 조립하여 터미널의 고정을 돕기도 한다. 하지만, 상기 홀더나 스페이서는 별개물이므로, 커넥터의 전체 부품수를 증가시키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터미널이 커넥터하우징의 내부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페이서나 홀더와 같은 별도의 구조물 없이, 기존의 터미널 형상 중 일부를 변형하여 커넥터하우징의 내부에 걸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체결턱이 단차지게 형성되는 커넥터하우징과,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수납공간에 삽입되고 상기 체결턱에 대응되는 랜스부가 탄성변형가능하게 구비되어 체결턱에 걸어져 고정되며 일측에는 바렐부가 구비되어 와이어와 연결되는 터미널을 포함하고, 상기 터미널의 바렐부에는 일부가 절결되어 걸이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수납공간 내면에는 상기 걸이돌기에 대응되는 걸이턱이 구비되어 서로 걸어진다.
상기 터미널은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대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외팔보형상의 랜스가 구비되는 결합부와, 상기 몸체부의 타측에 구비되어 와이어를 감싸는 바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바렐부는 그 일부가 양측으로 절결되어 상기 걸이돌기가 쌍을 이루어 구비된다.
상기 바렐부는 와이어의 심선을 감싸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와이어바렐과, 상 기 와이어의 피복을 감싸 고정하는 인슐레이션바렐을 포함하고, 상기 걸이돌기는 상기 인슐레이션바렐에 구비된다.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수납공간 내면에는 상기 수납공간의 입구로부터 상기 걸이턱을 향해 가이드면이 연장되어 구비되는데, 상기 가이드면은 상기 걸이턱을 향할수록 상기 수납공간의 폭이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구비된다.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걸이턱의 일측에는 상기 걸이턱과 높이를 달리하여 해제턱이 구비되고, 상기 해제턱과 상기 터미널의 걸이돌기에는 서로 대응되는 굴곡면이 형성된다.
상기 터미널의 랜스는 그 선단이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수납공간의 내면에 대응되도록 절곡되어 걸림단이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체결턱에는 상기 랜스의 걸림단에 대응되는 걸림홈이 형성된다.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걸이턱은 상기 터미널의 결합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터미널의 걸이돌기를 상기 터미널의 결합부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터미널의 랜스부의 걸림단이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걸림홈에 완전히 삽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터미널의 바렐부에 걸이돌기가 구비되고, 커넥터하우징의 내부에는 이에 대응되는 걸이턱이 구비되어 서로 걸어지므로, 터미널을 커넥터하우징으로부터 분리하는데 필요한 힘, 즉 터미널유지력이 커지게 되어, 터미널이 외력에 의해 임의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고, 따라서 커넥터의 동작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스페이서나 홀더와 같은 별도의 구조물 없이, 종래의 터미널의 바렐부 형상에 걸이돌기를 추가한 것이므로, 부품수가 늘어나지 않고, 비교적 구조가 단순하여 커넥터의 제조비가 상대적으로 감소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터미널에 구비된 걸이돌기가 커넥터하우징의 내면에 밀착되어 터미널의 유동, 특히 터미널의 바렐부 측의 유동을 방지해주므로, 터미널이 커넥터하우징 내부에서 일정한 위치로 고정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대터미널과의 결합 역시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이와 함께 바렐부에 연결된 와이어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터미널 전체가 유동되는 것을 어느 정도 방지할 수 있어 커넥터의 안정성이 좋아지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터미널의 바렐부가 구비된 걸이돌기가 걸어지는 걸이턱과 인접한 위치에 해제턱이 곡면형상으로 형성되어, 작업자가 별도의 공구 없이도 걸이돌기가 걸어진 상태를 해제할 수 있어 작업성이 좋아지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터미널의 걸이돌기가 커넥터하우징의 걸이턱에 걸어지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타격음에 의해 작업자가 터미널의 삽입여부를 쉽게 알 수 있어 터미널의 오삽입이 방지되고 터미널조립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터미널이 커넥터하우징의 랜스에 걸어진 모습이 요부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커넥터에 램프가 상대물로 결합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램프(R)에 대해 먼저 설명하면, 상기 램프(R)는 아래에서 설명될 커넥터와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빛을 조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램프(R)에는 단자부(t)가 구비되는데, 상기 단자부(t)는 커넥터하우징(10)의 수납공간(12)으로 삽입되어 후술할 터미널(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다음으로, 커넥터에 대해 설명하면, 커넥터는 크게 커넥터하우징(10)과 터미널(20)로 구성되는데, 이하 차례로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커넥터하우징(10)은 하우징몸체(11)가 그 골격을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몸체(11)는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육면체형상으로 되고, 합성수지와 같은 절연성 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하우징몸체(11)의 내부에는 수납공간(12)이 형성된다. 상기 수납공간(12)은 터미널(20)이 삽입되어 안착되는 빈 공간으로, 양측으로 개구되어 형성된다. 상기 수납공간(12)의 개구된 일측으로는 터미널(20)이 삽입되고, 타측으로는 상기 램프(R)의 단자부(t)가 삽입된다.
도 2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납공간(12)에는 체결턱(13)이 구비된다. 상기 체결턱(13)은 아래에서 설명될 터미널(20)의 랜스부(23)가 걸어지는 부분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단차지게 형성된다. 참고로 도 2는 도 1의 Ⅰ-Ⅰ'선 방향 으로 절개된 단면도에 해당한다.
상기 체결턱(13)에는 걸림홈(13')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홈(13')은 터미널(20)의 랜스부(23) 선단에 구비된 걸림단(23')이 삽입되는 부분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턱(13)의 내측으로 요입되어 형성된다.
도 3에서 보듯이, 상기 수납공간(12)의 내면에는 걸이턱(14)이 구비된다. 상기 걸이턱(14)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납공간(12)의 내면 일측이 단차지게 형성된 것으로, 후술할 터미널(20)의 걸이돌기(28)가 걸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걸이턱(14)은 터미널(20)의 걸이돌기(28)를 걸어주어 터미널(20)의 이탈을 방지함과 동시에, 걸이돌기(28)를 상기 램프(R)방향으로 가압하여 터미널(20) 전체를 램프(R) 방향으로 밀어주는 역할을 한다. 이는 평소에는 터미널(20)의 랜스부(23)의 걸림단(23')이 상기 걸림홈(13')에 삽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걸이턱(14)에 의해 터미널(20)이 분리되는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만 터미널(20)의 걸림단(23')이 상기 걸림홈(13')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걸이턱(14)의 일측에는 해제턱(15)이 구비된다. 상기 해제턱(15)은 상기 걸이턱(14)과 높이를 달리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터미널(20)의 걸이돌기(28)가 탄성변형될 수 있도록 안내한다. 즉, 상기 해제턱(15)은 그 외면이 굴곡지게 형성되어, 터미널(20)의 걸이돌기(28)가 도 3의 화살표④방향으로 탄성변형될 수 있도록 안내해주는 것이다. 이는 작업자가 터미널(20)을 분리하는 과정에서 별도의 공구 없이 걸이돌기(28)가 해제턱(15)에 접하도록 유도하면 걸이돌기(28)가 변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물론, 상기 해제턱(15)의 외면(15')은 반드시 굴곡되게 형성될 필요는 없으며, 경사진 평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3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납공간(12)에는 터미널(20)이 삽입되는 상기 수납공간(12)의 입구(12')로부터 상기 걸이턱(14)을 향해 가이드면(19)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면(19)은 상기 걸이턱(14)을 향할수록 상기 수납공간(12)의 폭이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구비되어, 상기 걸이돌기(28)가 서로 좁아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되면서 삽입되도록 한다.
이는 상기 걸이돌기(28)가 걸이턱(14)에 걸어지는 순간 원형으로 복원되면서 수납공간(12)의 내면을 타격하면서 타격음을 낼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터미널(20)의 삽입과정에서 작업자에게 탄성력을 감지하도록 하여 작업자가 터미널(20)이 오삽입되고 있지 아니함을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터미널(20)에 대해 설명하면, 터미널(20)은 전기전도성이 좋은 금속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램프(R)의 단자부(t)와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외부의 전원을 램프(R)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도 1에서 보듯이, 상기 터미널(20)은 몸체부(21)와, 상기 몸체부(21)를 중심으로 일측에는 결합부(22)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바렐부(25)가 구비된다. 상기 결합부(22)는 상기 램프(R)의 단자부(t)와 실질적으로 결합되느 부분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아치형상으로 쌍을 이루어 구비된다. 물론, 상기 결합부(22)의 형상은 박스형태나 단순한 바형상으로 변경될 수도 있다.
도 2에서 보듯이, 상기 결합부(22)의 저면에는 랜스부(23)가 구비된다. 상기 랜스부(23)는 외팔보형상으로, 상기 수납공간(12)의 체결턱(13)에 걸어져 터미널(20)이 삽입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랜스부(23)의 선단에는 걸림단(23')이 구비된다. 상기 걸림단(23')은 상기 랜스부(23)의 선단 일부가 절곡되어 상기 수납공간(12)의 내면과 평행하도록 되는 부분이다. 상기 걸림단(23')은 상기 수납공간(12)의 체결턱(13)에 형성된 걸림홈(13')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터미널(20)을 보다 확실하게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평소에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걸림단(23')은 상기 걸림홈(13')으로부터 어느 정도 분리된 상태이다.
상기 바렐부(25)는 터미널(20)과 와이어(W)를 연결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바렐부(25)는 와이어(W)의 심선을 감싸 와이어(W)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와이어바렐(26)과, 상기 와이어(W)의 피복을 감싸 고정시키는 인슐레이션바렐(27)로 구성된다.
상기 인슐레이션바렐(27)에는 걸이돌기(28)가 구비된다. 상기 걸이돌기(28)는 상기 인슐레이션바렐(27)의 일부가 절개되고 벤딩되어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인슐레이션바렐(27)의 양측에 쌍을 이루어 구비된다. 상기 걸이돌기(28)는 상기 수납공간(12)의 걸이턱(14)에 걸어져 상기 랜스부(23)와 함께 상기 터미널(20)이 수납공간(12) 내부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수납공간(12)의 내면에 접하여 터미널(20)의 유동을 방지하는 역할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양측 걸이돌기(28) 사이의 거리는 상기 수납공간(12)의 폭 과 대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걸이돌기(28)의 외면(28')은 굴곡되게 형성된다. 이는 상기 걸이돌기(28)가 상기 커넥터하우징(10)의 해제턱(15)의 외면(15')과 대응되도록 하여, 상기 걸이돌기(28)가 보다 용이하게 상기 해제턱(15)에 안내되어 탄성변형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터미널(20)이 상기 커넥터하우징(10)에 조립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작업자는 상기 터미널(20)의 선단이 상기 수납공간(12)의 입구(12')를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터미널(20)을 밀어 넣어햐 한다. 이때, 상기 터미널(20)에는 와이어(W)가 연결된 상태이다.
상기 수납공간(12)의 입구(12')를 지나 터미널(20)이 삽입되면, 상기 터미널(20)의 걸이돌기(28)가 상기 수납공간(12)의 내면, 보다 정확하게는 수납공간(12)의 가이드면(19)에 접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면(19)은 수납공간(12)의 폭을 점점 좁히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작업자는 걸이돌기(28)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상기 터미널(20)을 삽입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걸이돌기(28)의 탄성력에 의해 작업자는 터미널(20)이 오삽입되지 않고 정확하게 삽입되고 있음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터미널(20)이 계속하여 수납공간(12)을 따라 삽입되면, 상기 걸이돌 기(28)는 상기 커넥터하우징(10)에 걸어짐과 동시에 원형으로 복원된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상기 걸이돌기(28)의 선단이 상기 수납공간(12) 내면을 타격하여 타격음을 내게 되고, 이에 따라 작업자는 터미널(20)이 완전히 삽입되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걸이돌기(28)가 걸이턱(14)에 걸어지면, 터미널(20)은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수납공간(12)에 밀착되어 터미널(20)의 유동, 특히 바렐부(25)측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터미널(20)의 랜스부(23)는 상기 커넥터하우징(10)의 체결턱(13)에 걸어져 상기 걸이돌기(28)와 함께 상기 터미널(20)의 분리를 방지하게 된다.
참고로, 도 2에서 보듯이, 상기 랜스부(23)의 걸림단(23')은 상기 체결턱(13)의 걸림홈(13')에 삽입되지는 않은 상태인데, 만일 외력이 와이어(W)를 당기는 방향으로 가해지게 되면 상기 걸림홈(13')에 삽입되어 보다 확실한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유도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램프(R)가 상기 커넥터에 조립되면 조립작업이 완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터미널(20)을 분리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작업자는 상기 랜스부(23)를 탄성변형시켜 상기 체결턱(13)으로부터 분리시켜야 한다. 이때는 선단이 날카로운 공구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작업자는 상기 와이어(W)를 들어올려 주어야 한다. 즉, 도 3의 화살표①방향으로 와이어(W)를 들어올리게 되면, 상기 와이어(W)에 연결된 바렐 부(25) 역시 어느 정도 화살표②방향으로 상승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걸이턱(14)에 걸어져 있던 상기 걸이돌기(28)는 상승하여 상기 걸이턱(14)에 걸어져 있던 상태가 해제됨과 동시에, 상기 걸이턱(14) 보다 상방에 구비된 해제턱(15)과 접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가 상기 와이어(W)를 화살표 ③ 방향으로 당기게 되면, 상기 해제턱(15)의 굴곡된 면과 접한 상기 걸이돌기(28)는 해제턱(15)의 굴곡된 면에 의해 안내되어 와이어(W) 방향(화살표 ④방향)으로 탄성변형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걸이돌기(28)는 상기 해제턱(15)으로부터도 분리될 수 있고, 최종적으로 상기 터미널(20)은 상기 수납공간(12)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걸이돌기(28)가 상기 인슐레이션바렐(27)에 구비되었으나, 상기 걸이돌기(28)는 상기 와이어바렐(26)에 구비되거나 또는 인슐레이션바렐(27) 및 와이어바렐(26)에 모두 구비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터미널이 커넥터하우징의 랜스에 걸어진 모습을 보인 요부단면도.
도 3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터미널의 걸이돌기가 커넥터하우징의 걸이턱에 걸어진 모습을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커넥터하우징 11: 하우징몸체
12: 수납공간 13: 체결턱
13': 걸림홈 14: 걸이턱
15: 해제턱 19: 가이드면
20: 터미널 21: 몸체부
22: 결합부 23: 랜스부
23': 걸림단 25: 바렐부
26: 와이어바렐 27: 인슐레이션바렐
28: 걸이돌기 R: 램프

Claims (8)

  1.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체결턱이 단차지게 형성되는 커넥터하우징과,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수납공간에 삽입되고 상기 체결턱에 대응되는 랜스부가 탄성변형가능하게 구비되어 체결턱에 걸어져 고정되며 일측에는 바렐부가 구비되어 와이어와 연결되는 터미널을 포함하고,
    상기 터미널의 바렐부에는 일부가 절결되어 걸이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수납공간 내면에는 상기 걸이돌기에 대응되는 걸이턱이 구비되어 서로 걸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은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대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외팔보형상의 랜스가 구비되는 결합부와,
    상기 몸체부의 타측에 구비되어 와이어를 감싸는 바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바렐부는 그 일부가 양측으로 절결되어 상기 걸이돌기가 쌍을 이루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바렐부는 와이어의 심선을 감싸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와이어바렐과, 상기 와이어의 피복을 감싸 고정하는 인슐레이션바렐을 포함하고, 상기 걸이돌기는 상기 인슐레이션바렐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수납공간 내면에는 상기 수납공간의 입구로부터 상기 걸이턱을 향해 가이드면이 연장되어 구비되는데, 상기 가이드면은 상기 걸이턱을 향할수록 상기 수납공간의 폭이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걸이턱의 일측에는 상기 걸이턱과 높이를 달리하여 해제턱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턱의 외면은 굴곡지게 형성되거나 또는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터미널이 분리되는 방향에 대해 직교한 방향으로 상기 걸이돌기를 탄성변형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의 랜스는 그 선단이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수납공간의 내면에 대응되도록 절곡되어 걸림단이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체결턱에는 상기 랜스의 걸림단에 대응되는 걸림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걸이턱은 상기 터미널의 결합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터미널의 걸이돌기를 상기 터미널의 결합부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터미널의 랜스부의 걸림단이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걸림홈에 완전히 삽입되는 것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090013087A 2009-02-17 2009-02-17 커넥터 KR201000939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3087A KR20100093929A (ko) 2009-02-17 2009-02-17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3087A KR20100093929A (ko) 2009-02-17 2009-02-17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3929A true KR20100093929A (ko) 2010-08-26

Family

ID=42758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3087A KR20100093929A (ko) 2009-02-17 2009-02-17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9392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9228B1 (ko) * 2013-01-17 2014-04-29 심윤국 전기 접속컨넥터 및 이를 구비하는 전력 분배용 전기 접속장치
KR20160042239A (ko) * 2014-10-07 2016-04-19 주식회사 콴텍코리아 와이어 터미널
KR20220071089A (ko) * 2020-11-23 2022-05-31 주식회사 에스엠알오토모티브모듈코리아 커넥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9228B1 (ko) * 2013-01-17 2014-04-29 심윤국 전기 접속컨넥터 및 이를 구비하는 전력 분배용 전기 접속장치
KR20160042239A (ko) * 2014-10-07 2016-04-19 주식회사 콴텍코리아 와이어 터미널
KR20220071089A (ko) * 2020-11-23 2022-05-31 주식회사 에스엠알오토모티브모듈코리아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72911A (ko) 조인트 커넥터
JP2009266480A (ja) 回路遮断器の端子カバー
KR20100093929A (ko) 커넥터
KR20110076582A (ko) 스페이서를 구비한 커넥터
KR200440518Y1 (ko) 커넥터
KR20100012414A (ko) 커넥터 어셈블리의 결합장치
KR200448593Y1 (ko) 커넥터
KR100948132B1 (ko) 차량용박스
KR20100006546U (ko) 커넥터
KR20120070722A (ko) 커넥터조립체
KR20100002921A (ko) 커넥터하우징
CN105588084A (zh) 一种电连接母端子及应用的led灯
KR20090006798U (ko) 커넥터하우징
KR101493987B1 (ko) 커넥터
KR100902951B1 (ko) 커넥터하우징
KR20070040705A (ko) 터미널의 단자 휨 방지구조
KR100966788B1 (ko) 커넥터 조립체에 사용되는 리어 홀더
KR20100008653A (ko) 리셉터클터미널
KR20100070891A (ko) 프론트홀더가 구비된 커넥터
KR20090128283A (ko) 커넥터
KR20100002986A (ko) 커넥터
KR200492007Y1 (ko) 벌브용 터미널
KR20080024629A (ko) 랜스 파손 방지 커넥터
JP6386796B2 (ja) コネクタ
KR200405226Y1 (ko) 터미널의 단자 휨 방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