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8693A - 전기 접속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기 접속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8693A
KR20210098693A KR1020200012537A KR20200012537A KR20210098693A KR 20210098693 A KR20210098693 A KR 20210098693A KR 1020200012537 A KR1020200012537 A KR 1020200012537A KR 20200012537 A KR20200012537 A KR 20200012537A KR 20210098693 A KR20210098693 A KR 202100986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al connection
connection terminal
support
connector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2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2811B1 (ko
Inventor
이덕환
Original Assignee
이덕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덕환 filed Critical 이덕환
Priority to KR10202000125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2811B1/ko
Publication of KR20210098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86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28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28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1Bolt, set screw or screw clamp

Landscapes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선의 접속 및 분리가 용이하고 사이즈를 크게 하지 않으면서 전선의 접속수를 증대시킬 수 있는 전기 접속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기가 공급되는 복수의 전선과 접속되도록 제1 접속 단자부가 마련되는 제1 전기 접속 커넥터; 상기 제1 전기 접속 커넥터가 삽입되고, 전기가 공급되는 복수의 전선이 접속되도록 제2 접속 단자부가 마련되는 제2 전기 접속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속 단자부와 제2 접속 단자부는, 상기 제1 전기 접속 커넥터에 마련되는 제1 접속 도체와 상기 제2 전기 접속 커넥터에 마련되는 제2 접속 도체의 단부로부터 완전히 분리하지 않고 전선의 접속 및 교체가 가능한 전기 접속 커넥터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 접속 커넥터{Electrical Ccnnection Connector of MCC}
본 발명은 전선의 접속 및 분리가 용이하고 사이즈를 크게 하지 않으면서 전선의 접속수를 증대시킬 수 있는 전기 접속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배전반 또는 MCC(Motor Control Center) 등 에는 전력 공급용 전기 접속장치(이하, '전기 접속장치'로 칭함)가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비되는 전기 접속장치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변환된 전력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기 접속 커넥터와, 각종 전기 설비 또는 각종 전기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기 접속 커넥터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전기 접속 커넥터간 접속 결합 또는 접속 분리에 따라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이 각종 전기설비 또는 각종 전기 장치로 공급되거나 차단되게 된다.
등록특허공보 제10-0776713호(등록일 : 2007.11.08)
본 발명의 해결 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선의 접속 및 분리가 용이하고, 사이즈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전선의 접속수를 증대시킬 수 있는 전기 접속 커넥터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 수단은 전기가 공급되는 복수의 전선과 접속되도록 제1 접속 단자부가 마련되는 제1 전기 접속 커넥터; 상기 제1 전기 접속 커넥터가 삽입되고, 전기가 공급되는 복수의 전선이 접속되도록 제2 접속 단자부가 마련되는 제2 전기 접속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속 단자부와 제2 접속 단자부는, 상기 제1 전기 접속 커넥터에 마련되는 제1 접속 도체와 상기 제2 전기 접속 커넥터에 마련되는 제2 접속 도체의 단부로부터 완전히 분리하지 않고 전선의 접속 및 교체가 가능한 전기 접속 커넥터가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지지대는 제1 지지편과 제2 지지편으로 이루어져 있고, 제1 지지편에 체결 부재가 관통 결합된 상태로 마련되고, 제2 지지편은 제1 접속 도체의 일측 단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관통 결합되어 있으므로, 체결 부재를 고정하기 위해 너트로 이동시키면 지지대도 동시에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제2 지지편에는 탄성 부재가 결합되어 있으므로, 지지대의 이동시 탄성 부재는 압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체결 부재를 너트로부터 분리하거나 또는 전선의 교체시, 압축된 탄성 부재의 반발력에 의해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제1 접속 단자부와 제2 접속 단자부는 복수로 마련되고, 단차를 두고 배치된 구조이기 때문에, 전선의 접속시 겹치지 않고 연결할 수 있고, 그에 따라 공간을 적게 차지할 수 있으므로, 동일 전력 용량의 전기 접속 커넥터 사이즈를 소형화할 수 있다.
제2 전기 접속 커넥터에 마련되는 제2 접속 도체당 2개의 제2 접속 단자부가 접속되므로, 제2 전기 접속 커넥터의 사이즈를 줄일 수 있다.
제1 접속 도체와 제2 접속 도체의 일측 단부는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각각 제1 접속 단자부와 제2 접속 단자부의 체결 부재가 결합되므로, 체결 부재의 결합 및 분리시 드라이버 등을 경사진 방향으로 조작할 수 있고, 그에 따라 편리하게 체결 부재의 결합 및 분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접속 커넥터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접속 커넥터에서 커버부를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접속 커넥터의 접속 단자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대의 다른 예를 나타낸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대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대가 접속 도체의 단부측에 결합된 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접속 커넥터의 전기 접속 과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기 접속 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접속 커넥터에서 커버부를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배전반 또는 MCC(도시되지 않음)에 마련되어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전기 접속 커넥터(10)는 외부로부터 전기 공급을 받는 제1 전기 접속 커넥터(100), 제1 전기 접속 커넥터(100)를 통해 공급된 외부 전원이 분기되어 각 부품에 공급되도록 제1 전기 접속 커넥터(100)와 접속하는 제2 전기 접속 커넥터(20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전기 접속 커넥터는 별도의 외부 보조 전원으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서 배전반 또는 MCC의 수납 유니트 내부의 각종 표시등에 전원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전기 접속 커넥터는 제1 하우징(110), 제1 하우징(110)에 마련되는 제1 접속 도체(120), 제1 접속 도체(120)에 접속되는 제1 접속 단자부(13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하우징(110)은 제1 베이스부(111), 제1 베이스부(111)의 양측에 마련되는 제1 커버부(11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베이스부(111)에는 복수의 제1 접속 도체(120)가 마련될 수 있고, 복수의 제1 접속 도체(120)의 일측 단부(121)에는 각각 제1 접속 단자부(130)가 결합될 수 있다.
제1 베이스부(111)는 일측 방향으로 돌출되고 제2 접속 커넥터에 접속되는 삽입편(113)이 형성될 수 있다.
삽입편(113)은 제1 베이스부(111)에서 방향을 달리하여 형성될 수 있고, 예를 들어 90도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베이스부(111)의 일측면에는 모델명 등을 기재한 네임 플레이트(도시되지 않음)가 결합될 수 있는 삽입홈(114)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베이스부(111)에 마련되는 복수의 제1 접속 도체(120)는, 제1 베이스부(111)의 삽입편(113)까지 구비되도록 절곡된 형태, 예를 들어 "ㄱ"자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접속 도체(120)는 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접속 단자부(130)는 제1 접속 도체(120)의 일측 단부(12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관통 결합되는 제1 지지대(131), 제1 지지대(131)에 결합되는 체결 부재(132), 제1 접속 도체(120)의 일측 단부(121) 일면에 고정되는 제1 너트(1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대(131)는 절곡된 형태로서, 제1 지지편(131a)과, 제1 지지편(131a)과 방향을 달리하여 형성되는 제2 지지편(131b)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베이스부(111)의 내측면에는 제1 접속 단자부(130)를 이루는 제1 지지대(131)의 제1 지지편(131a)의 상승 동작시 소정의 높이에서 걸림이 이루어져서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스토퍼(111a)가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베이스부(211)의 내측면에는 제2 전기 접속 커넥터(200)에 복수로 마련되는 제2 접속 단자부(230)의 제2 지지편(231a)의 상승 동작시 소정의 높이에서 걸림이 이루어져서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스토퍼(211a)가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제1 지지편(131a)은 수평 상태이고 제2 지지편(131b)은 수직 상태로 배열될 수 있으며, 제1 지지편(131a)에는 제1 체결 부재(132)가 관통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제1 체결 부재(132)는 나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지지편(131b)에는 제1 탄성 부재(134)가 탄지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 접속 도체(120)의 일측 단부(121)는 제1 전기 접속 커넥터(100) 설치 방향으로부터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접속 도체(120)에 마련되는 각 제1 접속 단자부(130)는 서로 단차를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제2 전기 접속 커넥터(200)는 제2 하우징(210), 제2 하우징(210)에 마련되는 제2 접속 도체(220), 제2 접속 도체(220)와 접속되는 제2 접속 단자부(23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하우징(210)은 제2 베이스부(211), 제2 베이스부(211)의 양측에 마련되는 제2 커버부(21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베이스부(211)에는 복수의 제2 접속 도체(220)가 마련될 수 있고, 복수의 제2 접속 도체(220)의 일측 단부(221)에는 각각 제2 접속 단자부(230)가 결합될 수 있다.
제2 베이스부(211)는 일측 방향으로 돌출되고 제1 접속 커넥터(100)가 접속되는 접속편(213)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접속 도체(220)에는 제1 접속 도체(120)이 삽입되어 접촉되는 절곡된 접점부(222)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접속 도체(220)는 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보는 2개의 부재로 구비될 수 있고, 이러한 제2 접속 도체(220) 각각에 절곡된 접점부(222)가 형성될 수 있다.
접점부(222)의 바깥면과 접속편(213)의 내측 가장자리 사이에는 탄지 부재(240)가 탄지될 수 있다.
탄지 부재(240)는 예를 들어, 코일 스프링 또는 판 스프링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탄지 부재(240)는 제1 접속 도체(120)가 제2 접속 도체(220)의 사이에 삽입되어 접속시, 탄지력으로 인해 접속 상태가 확실하게 유지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1 접속 도체(120)와 제2 접속 도체(220)의 접속 상태가 확실하게 유지될 수 있으므로, 접촉 불량에 따른 발열 또는 통전 상태의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접속편(213)은 제2 베이스부(211)에서 방향을 달리하여 형성될 수 있고, 예를 들어 90도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베이스부(211)의 일측면에는 네임 플레이트(도시되지 않음)가 결합될 수 있는 삽입홈(214)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베이스부(211)에 마련되는 복수의 제2 접속 도체(220)는, 제2 베이스부(211)의 접속편(213)까지 구비되도록 절곡된 형태, 예를 들어 "ㄱ"자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접속 도체(220)는 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접속 단자부(230)는 제2 접속 도체(220)의 일측 단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관통 결합되는 제2 지지대(231), 제2 지지대(231)에 결합되는 제2 체결 부재(232), 제2 접속 도체(220)의 일측 단부(221)의 일면에 고정되는 제2 너트(2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지지대(231)는 절곡된 형태로서, 제1 지지편(231a)과, 제1 지지편(231a)과 방향을 달리하여 형성되는 제2 지지편(231b)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제2 접속 단자부(230)를 이루는 제1 지지편(231a)은 수평 상태이고, 제2 지지편(231b)은 수직 상태로 배열될 수 있으며, 제1 지지편(231a)에는 제2 체결 부재(232)가 관통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제2 체결 부재(232)는 나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접속 단자부(230)를 이루는 제2 지지편(231b)에는 제2 탄성 부재(234)가 탄지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 접속 도체(220)의 일측 단부(221)는 제2 전기 접속 커넥터(200)의 설치 방향으로부터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접속 도체(220) 각각에는 한쌍의 제2 접속 단자부(230)가 마련될 수 있고, 서로 단차를 두고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기 접속 커넥터(10)는 배전반 또는 MCC의 각 수납 유니트 일측면에 제1 전기 접속 커넥터(100)가 결합되고, 배전반 또는 MCC 본체의 내부 일측면에 제2 전기 접속 커넥터(200)가 결합될 수 있으며, 수납 유니트를 배전반 본체에 삽입시 제1 전기 접속 커넥터(100)가 제2 전기 접속 커넥터(200)와 접속되어서 통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전기 접속 커넥터(100)와 제2 전기 접속 커넥터(200)에 각각 마련되는 제1 접속 단자부(130)와 제2 접속 단자부(230)에는 전선(E)이 결합될 수 있다.
제1 접속 단자부(130)와 제2 접속 단자부(230)는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전선(E)의 결합 과정을 제1 접속 단자부(130)로 설명한다.
제1 접속 단자부(130)를 이루는 제1 체결 부재(132)에 전선(E)의 단자를 끼우고, 제1 체결 부재(132)를 제1 접속 도체(120)의 일측 단부(121)에 결합하면, 일측 단부(121) 일면에 고정된 제1 너트(133)와 결합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전선(E)의 접속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제1 체결 부재(132)는 제1 지지대(131)에 결합되어 있고, 제1 체결 부재(132)를 제1 너트(133)에 결합하기 위해 접근시키면, 제1 지지대(131)는 단부에서 이동될 수 있다.
제1 지지대(131)는 제1 지지편(131a)과 제2 지지편(131a)으로 이루어져 있고, 제1 지지편(131a)에 제1 체결 부재(132)가 관통 결합된 상태로 마련되고, 제2 지지편(131a)은 제1 접속 도체(120)의 일측 단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관통 결합되어 있으므로, 제1 체결 부재(132)를 고정하기 위해 제1 너트(133)로 이동시키면 제1 지지대(131)도 동시에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제2 지지편(131b)에는 제1 탄성 부재(134)가 결합되어 있으므로, 제1 지지대(131)의 이동시 제1 탄성 부재(134)는 압축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체결 부재(132)를 제1 너트(133)로부터 분리하는 경우에는 압축된 제1 탄성 부재(134)의 반발력에 의해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제1 접속 단자부(130)와 제2 접속 단자부(230)는 복수로 마련되고, 단차를 두고 배치된 구조 즉, 계단식 구조이기 때문에, 전선(E)의 접속시 겹치지 않고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제1 접속 단자부(130)와 제2 접속 단자부(230)는 경사진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접속 단자부(130)와 제2 접속 단자부(230)가 경사진 방향으로 배치되면, 드라이버 등과 같은 공구로 전선(E)의 접속 및 분리 등의 작업시, 다른 부위에 간섭 받지 않기 때문에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제1 접속 도체(120)와 제2 접속 도체(220)의 일측 단부(221)는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각각 제1 접속 단자부(130)와 제2 접속 단자부(230)의 제2 체결 부재(232)가 결합되므로, 제2 체결 부재(232)의 결합 및 분리시 드라이버 등을 경사진 방향으로 조작할 수 있고, 그에 따라 편리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접속 도체(120)의 단부(121) 또는 제2 접속 도체(220)의 단부(221)에는 각각 제1 지지대(131)의 제2 지지편(131b) 또는 제2 지지대(231)의 제2 지지편(231b)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슬라이드공(122)(222)이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드공(122)(222)은 한쪽 방향이 다른쪽 방향보다 길게 형성되는 직사각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 지지대(131) 또는 제2 지지대(231)의 제2 지지편(131b)(231b)은 슬라이드공(122)(222)의 길이 방향으로 삽입한 다음, 직교 방향이 되도록 방향 전환을 함으로써, 상부 방향으로의 분리가 쉽게 되지 않게 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5의 슬라이드공(122)(222)과 다른 구조로서, 십자형 슬라이드공(124)(224)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십자형 슬라이드공(124)(224)은 각각 폭을 달리하는 제1 슬라이드공(124a)(224a)과 제2 슬라이드공(124b)(224b)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제1 슬라이드공(124a)(224a)의 폭이 제2 슬라이드공(124b)(224b)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지지대(131)의 제2 지지편(131b)과 제2 지지대(231)의 제2 지지편(231b)의 단부는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홈(136)이 형성되고, 그 아래로 단부가 걸리는 구조, 또는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 방향으로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지지대(131)와 제2 지지대(231)는 각각 제1 접속 도체(120)의 단부(121)와 제2 접속 도체(220)의 단부(221)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제1 지지대(131) 또는 제2 지지대(231) 구조의 삽입 방향과 걸림 방향은 일 례로 도시된 것이고, 제1 지지대(131) 또는 제2 지지대(231)의 설치 방향이 동일하게 되도록 할 수 있으며,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구조와 반대 방향으로 걸림 방향을 형성할 수 있다.
전선(E)은 제1 지지대(131) 또는 제2 지지대(231)의 제1 지지편(131a)(231a)의 하부에 접속하기 때문에, 전선(E)의 교체시 제1 접속 도체(120)와 제2 접속 도체(220)의 단부(121)(221)에서 슬라이딩 이동시, 완전히 분리하지 않고 전선(E)의 끝단부에 형성되는 단자만 제1 체결 부재(132) 또는 제2 체결 부재(232)로부터 분리하고, 새로운 전선(E)으로 접속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 접속 단자부(130)와 제2 접속 단자부(230)는 전선(E)의 교체시 완전히 분리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교체 작업이 용이하고, 제1 체결 부재(132) 또는 제2 체결 부재(232)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지지대(131)와 제2 지지대(231)는 도전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전체로서, 예를 들어 동(copper)으로 구성될 수 있다.
만일, 제1 지지대(131)와 제2 지지대(231)를 도전체로 구성하지 않는 경우에는, 전선(E)은 오로지 제1 지지대(131)와 제2 지지대(231)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 요소, 즉, 제1 체결 부재(132) 또는 제2 체결 부재(232)와 제1 접속 도체(120) 또는 제2 접속 도체(120)의 단부(121)(221)에만 접촉되므로,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이 존재하는 경우, 접촉 불량 또는 전기 용량에 따라 저항이 커져서 발열이 심해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지지대(131)와 제2 지지대(231)를 도전체로 구성함으로써, 전선(E)의 접촉 면적이 확장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접촉 불량 등이 발생할 가능성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제1 지지대(131)와 제2 지지대(231)의 수평면을 이루는 제1 지지편(131a)(231a)는 소정의 면적을 가지고 그 하부에 전선(E)을 제1 체결 부재(132)또는 제2 체결 부재(232)로 압지한 상태이므로, 전기적 접속 상태가 양호해지고, 보다 확실한 접속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접속 커넥터의 전기 접속 과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전기 접속 커넥터(100)와 제 2전기 접속 커넥터(200)의 접속시, 제2 전기 접속 커넥터(200)의 제2 접속 단자부(230) 2개당 1개의 제2 접속 도체(220)에 접속될 수 있고,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접속 커넥터(10)는 컴팩트한 사이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제1 접속 단자부(130)와 제2 접속 단자부(230)는 외부에 노출되는 구조로 되어 있으나, 제1 접속 단자부(130)와 제2 접속 단자부(230)노출된 부분을 가릴 수 있는 보호 커버(도시되지 않음)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보호 커버가 결합됨으로써,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CC의 수리시, 부품이나 작업 공구 등이 낙하되어서 제1 접속 단자부(130) 또는 제2 접속 단자부(230)에 충돌되어 손상 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0 : 전기 접속 커넥터
100 : 제1 전기 접속 커넥터 110 : 제1 하우징
111 : 제1 베이스부 111a,211a : 스토퍼
112 : 제1 커버부 113 : 삽입편
114 : 삽입홈
120 : 제1 접속 도체 121,221 : 단부
122,222 : 슬라이드공 124,224 : 십자형 슬라이드공
124a,224a : 제1 슬라이드공 124b,224b : 제2 슬라이드공
130 : 제1 접속 단자부 131 : 제1 지지대
131a : 제1 지지편 131b : 제2 지지편
132 : 제1 체결 부재 133 : 제1 너트
134 : 제1 탄성 부재 135 : 제1 스토퍼
136 : 걸림홈
200 : 제2 전기 접속 커넥터 210 : 제2 하우징
211 : 제2 베이스부 212 : 제2 커버부
213 : 접속편 220 : 제2 접속 도체
221 : 단부 222 : 접점부
230 : 제2 접속 단자부 231 : 제2 지지대
231a : 제1 지지편 231b : 제2 지지편
232 : 제2 체결 부재 233 : 제2 너트
234 : 제2 탄성 부재 235 : 제2 스토퍼
240 : 탄지 부재
E : 전선

Claims (7)

  1. 전기가 공급되는 복수의 전선과 접속되도록 제1 접속 단자부가 마련되는 제1 전기 접속 커넥터;
    상기 제1 전기 접속 커넥터가 삽입되고, 전기가 공급되는 복수의 전선이 접속되도록 제2 접속 단자부가 마련되는 제2 전기 접속 커넥터;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속 단자부와 제2 접속 단자부는,
    상기 제1 전기 접속 커넥터에 마련되는 제1 접속 도체와 상기 제2 전기 접속 커넥터에 마련되는 제2 접속 도체의 단부로부터 완전히 분리하지 않고 전선의 접속 및 교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 커넥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 단자부와 제2 접속 단자부는,
    상기 제1 접속 도체와 제2 접속 도체의 단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지지대와 제2 지지대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대와 제2 지지대는 각각 서로 방향을 달리하는 제1 지지편과 제2 지지편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지지편에는 체결 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 커넥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편의 저면에는 상기 체결 부재와 나사결합되는 너트가 고정되고, 상기 제2 지지편에는 탄성 부재가 탄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 커넥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 단자부와 제2 접속 단자부는 각각 상기 제1 전기 접속 커넥터와 제2 전기 접속 커넥터에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 커넥터.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 단자부와 제2 접속 단자부는 각각 단차를 두고 복수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 커넥터.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기 접속 커넥터에 마련되는 제2 접속 도체에는,
    2개의 제2 접속 단자부가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 커넥터.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기 접속 커넥터와 제2 전기 접속 커넥터는 각각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이 포함되고,
    상기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은 상기 제1 접속 단자부와 제2 접속 단자부가 마련되는 제1 베이스부와 제2 베이스부가 각각 포함되며,
    상기 제1 베이스부와 제2 베이스부의 내측면에는 제1 접속 단자부의 제1 지지대와 제2 접속 단자부의 제2 지지대가 이탈되지 않도록 스토퍼가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 커넥터.
KR1020200012537A 2020-02-03 2020-02-03 전기 접속 커넥터 KR1023628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2537A KR102362811B1 (ko) 2020-02-03 2020-02-03 전기 접속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2537A KR102362811B1 (ko) 2020-02-03 2020-02-03 전기 접속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8693A true KR20210098693A (ko) 2021-08-11
KR102362811B1 KR102362811B1 (ko) 2022-02-14

Family

ID=77314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2537A KR102362811B1 (ko) 2020-02-03 2020-02-03 전기 접속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28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2507A (ko) * 2021-08-31 2023-03-07 이덕환 멀티 커넥터 모듈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mcc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6713B1 (ko) 2007-05-18 2007-11-19 (주)서전기전 멀티 커넥터형 절연패널이 구비된 모터 컨트롤 센터
JP2013045736A (ja) * 2011-08-26 2013-03-04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端子台
KR101389228B1 (ko) * 2013-01-17 2014-04-29 심윤국 전기 접속컨넥터 및 이를 구비하는 전력 분배용 전기 접속장치
KR20150008580A (ko) * 2013-07-15 2015-01-23 남기태 취부 브라켓을 구비한 전력 분배용 조립식 전기 접속장치
KR20170034666A (ko) * 2015-09-21 2017-03-29 주식회사 피닉스 리시브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6713B1 (ko) 2007-05-18 2007-11-19 (주)서전기전 멀티 커넥터형 절연패널이 구비된 모터 컨트롤 센터
JP2013045736A (ja) * 2011-08-26 2013-03-04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端子台
KR101389228B1 (ko) * 2013-01-17 2014-04-29 심윤국 전기 접속컨넥터 및 이를 구비하는 전력 분배용 전기 접속장치
KR20150008580A (ko) * 2013-07-15 2015-01-23 남기태 취부 브라켓을 구비한 전력 분배용 조립식 전기 접속장치
KR20170034666A (ko) * 2015-09-21 2017-03-29 주식회사 피닉스 리시브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2507A (ko) * 2021-08-31 2023-03-07 이덕환 멀티 커넥터 모듈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mcc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2811B1 (ko) 2022-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27636B2 (en) Terminal and disconnection link
US9537123B2 (en) Electrical storage device
CN101316009B (zh) 用于与汇流条配合的电源接线器
CN102957034A (zh) 插座组合
US5249978A (en) High power connector
CN103384942A (zh) 电气串联端子和串联端子块
CN108432053A (zh) 高速板连接器
ZA200106167B (en) Electric switch appliance and quick-assembly.
CN101540247A (zh) 用于低压开关设备的适配器装置
EA034283B1 (ru) Электрическая рядовая клемма
KR101744511B1 (ko) 터미널블록을 위한 인디케이터 장치
EP2538501B1 (en) Connector
KR102362811B1 (ko) 전기 접속 커넥터
RU2388120C2 (ru) Компонент соединительной коробки и безвинтовой соединитель
US6317312B1 (en) Power-supply breaker apparatus
US10177496B2 (en) Plug connection for coupling high-voltage terminals and a system with such a plug connection
CN106684629B (zh) 一种模块化的电源分配单元
CN203839303U (zh) 便拆装式漏电断路器
CN109586121B (zh) 插头装置以及配电系统
EP3349318A1 (en) Surge protection device base
US20050136719A1 (en) Device for connection of busbars to equipment of an electrical switchboard
CN110168819B (zh) 接头连接器
KR101135150B1 (ko) 적층형 무정전 활선 교체 모듈 킷
CN220306615U (zh) 一种便捷检修的pdu排插结构
CN221150340U (zh) 用于将端子连接器联接到电路板布置的联接布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