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3548B1 - 수납유닛의 위치 확인이 용이한 mcc용 전기접속 커넥터 - Google Patents

수납유닛의 위치 확인이 용이한 mcc용 전기접속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3548B1
KR101583548B1 KR1020150053562A KR20150053562A KR101583548B1 KR 101583548 B1 KR101583548 B1 KR 101583548B1 KR 1020150053562 A KR1020150053562 A KR 1020150053562A KR 20150053562 A KR20150053562 A KR 20150053562A KR 101583548 B1 KR101583548 B1 KR 1015835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housing
mcc
male connector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3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여관
Original Assignee
윤여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여관 filed Critical 윤여관
Priority to KR10201500535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35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35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35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1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correct or full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2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MCC에 인출 및 삽입되는 수납유닛의 각 위치(초기 삽입위치/테스트 위치/완전 삽입위치)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한 수납유닛의 위치 확인이 용이한 MCC용 전기접속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우징(61)과, 상기 하우징(61)으로부터 일측방향으로 돌출되면서 제 1,2접속도체(62a)(62b)가 마련되는 접속부재(62)를 포함하는 숫 커넥터(60)와; 하우징(71)과, 하우징(71)에 형성된 접속공(72)안에 구비되는 제 1,2접속편(73)(74)을 포함하는 암 커넥터(70)를 포함하여 숫 커넥터(60)와 암 커넥터(70)가 복수로 결합되어 하나의 셋트로 구성되어 MCC의 수납실에 입출되는 수납유닛의 전기적 접속 및 차단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전기 접속 커넥터로서,
상기 복수 결합되는 숫 커넥터(60)는, 수납유닛의 초기 삽입위치만을 알려주도록 상기 제 2접속도체(62b)의 선단부(62b-1)만 외부에 노출된 접속부재(62)를 가지는 숫 커넥터와; 수납유닛의 테스트 위치만을 알려주도록 상기 제 2접속도체(62b)의 중간부(62b-2)만 외부에 노출된 접속부재(62)를 가지는 숫 커넥터와; 수납유닛의 완전 삽입위치만을 알려주도록 상기 제 2접속도체(62b)의 후단부(62b-3)만 외부에 노출된 접속부재(62)를 가지는 숫 커넥터를 각각 포함하고, 암 커넥터(70)의 제 2접속편(74)에는 상기 제 2접속도체(62b)의 외부면에 노출된 일부만이 접속되어 MCC의 내부에 구비되는 수납유닛의 위치 상태를 알려주도록 하는 절곡부(74a)가 형성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수납유닛의 위치 확인이 용이한 MCC용 전기접속 커넥터{Electrical Connecting Connector of MCC for Easily Detecting Position Receiving Unit}
본 발명은 수납유닛의 위치 확인이 용이한 MCC용 전기접속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MCC에 인출 및 삽입되는 수납유닛의 각 위치(초기 삽입위치/테스트 위치/완전 삽입위치)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MCC(Motor Control Center)는 모터를 운전함에 있어서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모터 제어장치이다.
이러한 MCC의 주요 구성을 살펴보면, 차단기, 복수의 커넥터(1차 내지 3차 커넥터), 릴레이, CT(current transformer) 등이 구비되고, 이러한 구조의 기능은 보수관리의 난이도 및 안전성을 좌우한다.
이러한 MCC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MCC(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수납유닛(10)들이 인출가능하도록 서랍식으로 구비되어 있다.
다시 말해서, 수납유닛(10)들을 인출함에 따라 차단기 및 커넥터의 분리가 이루어져서 전기적 접속상태가 해제된다.
이러한 종래의 수납유닛(10)은 전면도어(11)에 차단기를 조작하는 조작핸들(12)과, 유닛 수용실에 수납유닛(10)을 꺼내거나 넣을 수 있는 인출핸들(13)이 갖추어져 있다.
여기서, 수납유닛(10) 및 MCC(1)의 내부에는 수납유닛(10)과의 전기접속을 위한 커넥터가 마련되어 있는데, 외부로부터 전기공급을 받는 1차 커넥터와, 이러한 1차 커넥터를 통해 공급된 외부 전원이 분기되어 각 부품에 공급되도록 하는 2차 커넥터와, 별도의 외부 보조전원으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서 수납유닛 내부의 각종 표시등에 전원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MCC(1)는 수납유닛(10)의 삽입 및 인출하는 과정에서 각 위치(초기 삽입위치/테스트 위치/완전 삽입위치)를 인지하기 위해서, 별도의 마이크로 스위치를 구비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마이크로 스위치를 별도 제작하여 마련해야 하므로, 그 만큼 구조가 복잡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도 2는 종래의 MCC에 설치되는 3차용 전기접속 커넥터의 일례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3차용 전기접속 커넥터(20)는 숫 커넥터(30)와, 이 숫 커넥터(30)가 삽입되어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암 커넥터(40)로 이루어진다.
상기 숫 커넥터(30)는 복수개로 마련되어서 암 커넥터(40)의 하우징(41)에 형성되는 복수의 접속공(42)안으로 각각 삽입되어 접속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숫 커넥터(30)는, 하우징(31)과, 상기 하우징(31)으로부터 상기 암 커넥터(41)의 접속공(41)안에 삽입,접속되도록 돌출,형성되는 접속부재(32)로 이루어진다.
상기 접속부재(32)는 양측 방향으로 각각 제 1,2접속도체(32a)(32b)가 구비되는데, 제 1접속도체(32a)(32b)는 전원이 공급되어 분배되도록 하는 제 1,2전선(E1)(E2)가 접속되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하우징(31)에는 상기 제 1전선(E1)이 접속되는 제 1접속단자부(33)와, 제 2전선(E2)이 접속되는 제 2접속단자부(34)가 마련된다.
암 커넥터(40)는 복수의 접속공(42)에 상기 제 1,2접속도체(32a)(32b)가 압지,접속되도록 하는 압지단자(42a)(42b)가 삽입,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종래의 3차용 커넥터(20)는, MCC의 각 수납실에 숫 커넥터(30)가 설치되고, 수납유닛에는 암 커넥터(40)가 설치되어서 수납유닛의 삽입 및 인출동작에 따라 전기접속이 이루어지거나 또는 분리되는데, 단지 전기적 접속및 해제를 위한 기능만을 수행하므로, 수납유닛의 완전 삽입에 따른 커넥터의 접속상태와, 수납유닛의 인출에 따른 커넥터의 완전 분리 상태만을 알 수 있을 뿐이고, 수납유닛의 현재위치 즉, 초기 삽입 위치, 또는 테스트 위치(MCC의 시험,점검을 위해 보조전원이 공급되는 상태), 완전 삽입 위치 등을 쉽게 인식할 수 없는 불편이 있었다.
또한, 수납유닛의 위치를 알 수 있도록 마이크로 스위치를 구비하는 경우, 마이크로 스위치를 별도 마련해야 하므로, 그 만큼 구조가 복잡해지고, 비용 상승의 요인이 되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커넥터의 일측면에 접속단자를 마련하여 수납유닛의 각 위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한 수납유닛의 위치 확인이 용이한 MCC용 전기접속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은,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일측방향으로 돌출되면서 제 1,2접속도체가 마련되는 접속부재를 포함하는 숫 커넥터와; 하우징과, 하우징에 형성된 접속공안에 구비되는 제 1,2접속편을 포함하는 암 커넥터를 포함하여 숫 커넥터와 암 커넥터가 하나의 유닛이 되도록 복수로 결합되어 MCC의 수납실에 입출되는 수납유닛의 전기적 접속 및 차단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전기 접속 커넥터로서,
상기 복수의 숫 커넥터중 어느 하나의 숫 커넥터의 접속부재에 구비되는 제 2접속도체의 일부는 접속부재의 외부면에 노출되게 배치되고, 암 커넥터의 제 2접속편에는 상기 제 2접속도체의 외부면에 노출된 일부만이 접속되어 MCC의 내부에 구비되는 수납유닛의 위치 상태를 알려주도록 하는 절곡부가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2접속도체는 수납유닛의 초기 삽입위치만을 알려주도록 선단부가 접속부재의 외부면에 노출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2접속도체는 수납유닛의 테스트 위치만을 알려주도록 중간부가 접속부재의 외부면에 노출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2접속도체는 수납유닛의 완전 삽입위치만을 알려주도록 후단부가 접속부재의 외부면에 노출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일측방향으로 돌출되면서 제 1,2접속도체가 마련되는 접속부재를 포함하는 숫 커넥터와; 하우징과, 하우징에 형성된 접속공안에 구비되는 제 1,2접속편을 포함하는 암 커넥터를 포함하여 숫 커넥터와 암 커넥터가 하나의 유닛이 되도록 복수로 결합되어 MCC의 수납실에 입출되는 수납유닛의 전기적 접속 및 차단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전기 접속 커넥터로서, 제 2접속도체의 선단부, 중간부, 후단부만 노출된 접속부재를 가지는 3개의 숫 커넥터를 모두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암 커넥터의 접속공안에 배치되는 제 1,2접속편은 접속공안으로 들어갈 수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의 마이크로 스위치를 별도 마련하지 않더라도 커넥터의 접속도체의 배치구조를 간단히 개선하여 수납유닛의 각 위치상태를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종래에 비해 구조가 단순화되면서 비용 절감 및 MCC의 관리를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형적인 MCC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전기접속 커넥터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의 숫커넥터의 접속편 일측에 구비되는 접속 도체의 배치구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3차용 전기 접속 커넥터(50)는, 숫 커넥터(60)와, 이 숫 커넥터(60)가 접속가능하도록 갖추어지는 암 커넥터(70)가 복수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숫 커넥터(60)는, 하우징(61)과, 상기 하우징(61)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암 커넥터(70)에 삽입되어 접속되는 접속부재(62)를 포함한다.
상기 접속부재(62)에는 제 1,2접속도체(62a)(62b)가 구비되는데, 제 1전선(E1)과 제 2전선(E2)이 각각 접속되도록 제 1,2접속단자부(63)(64)가 갖추어진다.
또한, 암 커넥터(70)는, 하우징(71)과, 상기 하우징(71)의 내부에 상기 숫 커넥터(60)의 접속부재(62)가 삽입되어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접속공(72)이 형성되고, 상기 접속공(72)의 내부에는 각각 상기 제 1,2접속도체(62a)(62b)가 삽입되면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 1,2접속편(73)(74)이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상기 제 1,2접속편(73)(74)은 숫 커넥터(60)의 접속부재(62)에 마련된 제 1,2접속도체(62a)(62b)가 접촉되어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절곡부(73a)(74a)가 접속공(72)의 안쪽방향으로 절곡되어 돌출,형성되고, 상기 절곡부(73a)(74a)는 접속공(72)의 입구 바로 안쪽에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2접속도체(62a)(62b)는 접속공(72)의 내부에 배치시, 접속공(72)의 안쪽으로 들어갈 수록 경사지게 배치되는 구조이다.
또한, 암 커넥터(70)의 제 1,2접속편(73)(74)은 각각 제 1,2분배전선(75)(76)이 삽입되어 압지되면서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숫 커넥터(60)의 접속부재(62)에 형성되는 제 1,2접속도체(62a)(62b)는, 각각 제 1,2전선(E1)(E2)에 연결되어서 전기(보조전원)를 공급하도록 한다.
도 3에서는 하나의 숫 커넥터(60)와 암 커넥터(70)만을 도시하였으나, 이러한 숫 커넥터(60)와 암 커넥터(70)는 복수로 마련되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하나의 셋트를 형성하여 서로 복수의 접속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 접속 커넥터(50)에 있어서, 상기 숫 커넥터(60)의 하우징(61)으로부터 돌출된 접속부재(62)에 마련되는 제 2 접속도체(62b)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가지 타입의 숫 커넥터(60)로 배치될 수 있다.
즉, 도 5의 (a) 도면을 보면, 접속부재(62)는 3가지 영역으로 나뉠 수 있는데, 수납유닛의 초기 삽입 위치를 알려주는 제 1영역(A1)과, 테스트 위치를 알려주는 제 2영역(A2), 완전 삽입위치를 알려주는 제 3영역(A3)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3가지 영역(A1)(A3)(A3)에 해당하는 접속부재(62)의 제 2접속도체(62b) 부분은 암 커넥터(70)의 접속공(72)안에 삽입하여 제 2접속편(74)과 접속이 되면, MCC의 외부면에 수납유닛의 현재 위치(초기 삽입위치/테스트 위치/완전 삽입위치)를 알려주도록 하는 램프가 켜지고, 접속이 해제되면, 꺼지도록 연결된다. 이러한 램프와의 접속관계는 일반적인 기술내용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의 (a)에 있어서, 제 2접속도체(62b)는 수납유닛의 초기 삽입위치를 알려주는 제 1영역(A1) 부분에 위치하는 선단부(62b-1)만이 접속부재(62)의 외부에 노출되도록 하고, 나머지 제 2,3영역(A2)(A3)에 위치하는 중간부(62b-2)와 후단부(62b-3)는 접속부재(62)의 내부에 매립된 상태로 배치된다.
도 5의 (b)는 수납유닛의 테스트 위치를 알려주도록 하는 구조로서, 접속부재(62)의 제 2영역(A2) 부분에 위치하는 제 2접속도체(62b)의 중간부(62b-2)가 접속부재(62)의 외부에 노출되고, 제 3영역(A3) 부분에 위치하는 후단부(62b-3)는 매립된 상태로 배치된다. 여기서, 도 5의 (b)에서는 제 2접속도체(62b)이 선단부(62b-1)는 제거된 상태로 배치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선단부(62b-1)를 제거할 필요 없이 접속부재(62)의 내부에 매립해도 무방하다.
도 5의 (c)는 수납유닛의 완전 삽입 위치를 알려주도록 하는 구조로서, 접속부재(62)의 제 3영역(A3)부분에 위치하는 제 2접속도체(62b)의 후단부(62b-3)가 접속부재(62)의 외부에 노출된 구조를 가진다.
제 2접속도체(62b)의 선단부(62b-1)와 중간부(62b-2)는 제거된 구조로 배치되지만, 반드시 이러한 구조만으로 한정하지 않고, 선단부(62b-1)와 중간부(62b-2)를 제거하지 않고, 접속부재(62)의 내부에 매립된 구조로 배치해도 무방하다.
도 5의 (a)(b)(c)에 도시된 숫 커넥터(60)의 접속부재(62)에 서로 다르게 배치되는 3가지의 제 2접속도체(62b)는, 숫 커넥터(60)가 하나의 단위체가 되어서 복수로 결합되어 하나의 셋트로 형성할 때, 3가지 배치구조의 제 2접속도체(62b)중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3가지 타입의 제 2접속도체(62b)를 모두 구비할 수 있다.
숫 커넥터(60)와 암 커넥터(70)를 복수로 결합하는 것은 한쪽 숫 커넥터(60)와 암 커넥터(70)의 각 하우징(61)(71)의 한쪽면에는 끼움돌기를 형성하고, 반대쪽면에는 끼움홈을 형성하여, 이에 결합되는 다른 숫 커넥터(60)와 암 커넥터(70)를 착탈가능하게 결합하여 하나의 유닛으로 형성하고, 이러한 유닛의 양쪽 단부에 위치하는 단위체를 이루는 숫 커넥터(60)와 암 커넥터(70)의 외측면은 끼움돌기 또는 끼움홈을 형성하지 않고, 하우징면으로만 형성된다.
복수 결합된 숫커넥터 유닛을 마련할 때, 3가지 배치구조의 제 2접속도체(62b)중 어느 하나의 제 2접속도체(62b)가 구비되는 숫 커넥터(60) 하나를 결합하고, 나머지는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숫 커넥터(30)의 제 1,2접속도체(32a)(32b)와 같이 접속부재의 외부면에 모두 노출된 상태의 배치구조로 구비할 수 있다.
또는 다른 배치구조를 가지는 2가지 타입의 제 2접속도체(62b)를 가지는 2개의 숫 커넥터(60)를 결합하고, 나머지는 종래의 숫 커넥터(30)의 제 1,2 접속도체(32a)(32b)와 같은 배치구조로 구비할 수 있다.
또는 다른 배치구조를 가지는 3가지 타입의 제 2접속도체(62b)를 가지는 3개의 숫 커넥터(60)를 결합하고, 나머지는 종래의 숫 커넥터(30)의 제 1,2 접속도체(32a)(32b)와 같은 배치구조로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숫 커넥터(60)와 암 커넥터(70)에서 전기 접속하는 부분 즉, 숫 커넥터(60)에 구비된 2개의 제 1,2접속도체(62a)(62b)와, 암 커넥터(70)이 접속공(72)안에 구비되는 제 1,2접속편(73)(74)의 고유번호를 부여할 수 있도록, 각각의 숫 커넥터(60)와 암 커넥터(70)의 외면(도 3에서 숫 커넥터(60)의 하우징(61) 둘레면, 암 커넥터(70)의 하우징(71) 전방의 둘레면에 고유번호(순번)가 형성된 테이프를 부착하거나 또는 상기 둘레면에 홈을 형성하고, 고유번호를 형성한 넘버판을 삽입하고, 투시창(예를 들어 투명 아크릴판)을 결합하여 전기 접속부위의 각 고유 위치의 확인 및 관리가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숫 커넥터(60)가 암 커넥터(70)에 삽입되어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는데, 숫 커넥터(60)의 돌출된 접속부재(62)가 암 커넥터(70)의 접속공(72)에 삽입되면서 접속부재(62)의 제 1,2접속도체(62a)(62b)가 암 커넥터(70)의 접속공(72)안에 구비된 제 1,2접속편(73)(74)의 절곡부(73a)(74a)에 접촉하면서 전기적 접속상태가 이루어진다.
여기서, 본 발명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MCC에 서랍식으로 입출가능하게 구비되는 복수의 수납유닛의 수납된 위치를 바로 확인할 수 있는데, 수납유닛에는 암 커넥터(70)를 결합하고, 수납유닛이 입출되는 MCC의 수납실내에는 숫 커넥터(60)를 결합한 상태에서, 수납유닛의 초기 삽입위치, 테스트 위치, 완전 삽입위치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숫 커넥터(60)의 접속부재(62)에 구비되는 제 2접속도체(62b)를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부(62b-1)만을 접속부재(62)에 노출시키고, 나머지 중간부(62b-2)와 후단부(62b-3)는 접속부재(62)의 내부에 매립된 구조를 가지는 1개의 숫 커넥터(60)를 결합한 경우에는, 암 커넥터(70)의 해당 접속공(72)에 삽입하면, 수납유닛의 초기 삽입위치일때, 상기 선단부(62b-1)와 암 커넥터(70)의 접속공(72) 내부에 구비된 제 2접속편(74)의 절곡부(74a)와 접속이 이루어지므로, 이때, MCC의 외함 외부면에 구비된 램프를 통해 수납유닛이 초기 삽입된 상태임을 알려주게 된다.
만일, 계속해서 수납유닛을 MCC의 수납실 안으로 삽입하는 경우, 숫 커넥터(60)에 구비된 제 2접속도체(62b)의 노출된 선단부(62b-1)가 암 커넥터(70)의 접속공(72) 내부에 있는 제 2접속편(74)의 절곡부(74a)를 지나게 되면서 절곡부(74a)와의 접속이 해제되는데, 제 2접속편(74)은 접속공(72)의 안쪽으로 들어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어, 상기 선단부(62b-1)가 절곡부(74a)를 지나게 되면, 제 2접속편(74)과의 접촉이 되지 않게 되고, 그에 따라 수납유닛의 초기 삽입상태임을 알려주는 램프는 꺼지게 된다.
즉, 수납유닛의 초기 삽입위치만을 알려주고, 다른 위치일때에는 숫 커넥터(60)의 제 2접속도체(62b)와 암 커넥터(70)의 제 2접속편(74)과의 접속상태가 해제되므로, 사용자(또는 관리자)는 수납유닛의 초기 삽입위치만을 쉽게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숫 커넥터(60)의 접속부재(62)에 마련된 제 1접속도체(62a)는, 접속부재(62)의 길이방향을 따라 외부면에 노출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고, 더욱이, 숫 커넥터(60)를 하나만 구비하는 것이 아니라, 복수의 숫 커넥터(60)가 결합된 하나의 유닛형태로 구비되므로, 나머지 숫 커넥터의 제 1,2접속도체는 접속부재(62)에 노출된 상태로 있어, 종래와 마찬가지로 기본적인 전기공급은 이루어지는 상태가 된다.
한편,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접속도체(62b)의 중간부(62b-2)만이 접속부재(62)의 외부면에 노출되고, 후단부(62b-3)는 매립된 상태이며, 선단부(62b-1)는 제거되어 배치된 경우에는, 수납유닛이 MCC의 수납실 내부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인출되면, 숫 커넥터(60)의 제 2접속도체(62b)의 중간부(62b-2)가 암 커넥터(70)의 접속공(72)안에 삽입되면서 제 2접속편(74)의 절곡부(74a)에 접속이 이루어져 수납유닛의 테스트 위치임을 램프를 통해 알려주게 된다.
상기 테스트 위치에서, 수납유닛을 완전히 인출하면, 숫 커넥터(60)의 제 2접속도체(62b)의 중간부(62b-2)는 제 2접속편(74)의 절곡부(74a)를 지나면서 접속상태가 해제되고,그에 따라 제 2접속편(74)과 숫 커넥터(60)의 중간부(62b-2)의 접촉상태가 이루어지지 않아 전기적 접속상태가 차단되어 테스트 위치임을 알려준 램프는 꺼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 마찬가지로,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접속도체(62b)의 후단부(62b-3)만이 접속부재(62)의 외부면에 노출되는 경우에는, 수납유닛이 MCC의 수납실 내부에 완전히 삽입되면, 상기 후단부(62b-3)가 암 커넥터(70)의 접속공(72)안에 구비된 제 2접속편(74)의 절곡부(74a)와 접속이 이루어져서 수납유닛의 완전 삽입위치를 램프를 통해 알려준다.
만일, 수납유닛이 MCC의 수납실 내부에서 완전 삽입되지 않은 위치이면, 숫 커넥터(60)의 제 2접속도체(62b)의 후단부(62b-3)와 암 커넥터(70)의 접속공(72)안에 구비된 제 2접속편(74)의 절곡부(74a)와 접속이 이루어지지 않게되면서 후단부(62b-3)와 제 2접속편(74)과의 접속상태가 해제되는 상태가 되므로, 램프는 켜지지 않게 되어서 사용자는 쉽게 수납유닛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첨부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대한 예시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가 가능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A1 : 제 1영역
A2 : 제 2영역
A3 : 제 3영역
E1 : 제 1전선
E2 : 제 2전선
1 : MCC
10 : 수납유닛
11 : 전면도어
12 : 조작핸들
13 : 인출핸들
20 : 커넥터
30 : 숫커넥터
31 : 하우징
32 : 접속부재
32a : 제 1접속도체
32b : 제 2접속도체
33 : 제 1접속단자부
34 : 제 2접속단자부
40 : 암 커넥터
41 : 하우징
42 : 접속공
50 : 전기접속 커넥터
60 : 숫 커넥터
61 : 하우징
62 : 접속부재
62a : 제 1접속도체
62b : 제 2접속도체
62b-1 : 선단부
62b-2 : 중간부
62b-3 : 후단부
63 : 제 1접속단자부
64 : 제 2접속단자부
70 : 암 커넥터
71 : 하우징
72 : 접속공
73 : 제 1접속편
74 : 제 2접속편
73a,74a : 절곡부
75 : 제 1분배전선
76 : 제 2분배전선

Claims (6)

  1. 하우징(61)과,
    상기 하우징(61)으로부터 일측방향으로 돌출되면서 제 1,2접속도체(62a)(62b)가 마련되는 접속부재(62)를 포함하는 숫 커넥터(60)와;
    하우징(71)과,
    하우징(71)에 형성된 접속공(72)안에 구비되는 제 1,2접속편(73)(74)을 포함하는 암 커넥터(70);
    를 포함하여 숫 커넥터(60)와 암 커넥터(70)가 복수로 결합되어 하나의 셋트로 구성되어 MCC의 수납실에 입출되는 수납유닛의 전기적 접속 및 차단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전기 접속 커넥터로서,
    상기 복수 결합되는 숫 커넥터(60)는,
    수납유닛의 초기 삽입위치만을 알려주도록 상기 제 2접속도체(62b)의 선단부(62b-1)만 외부에 노출된 접속부재(62)를 가지는 숫 커넥터와;
    수납유닛의 테스트 위치만을 알려주도록 상기 제 2접속도체(62b)의 중간부(62b-2)만 외부에 노출된 접속부재(62)를 가지는 숫 커넥터와;
    수납유닛의 완전 삽입위치만을 알려주도록 상기 제 2접속도체(62b)의 후단부(62b-3)만 외부에 노출된 접속부재(62)를 가지는 숫 커넥터를 각각 포함하고,
    암 커넥터(70)의 제 2접속편(74)에는 상기 제 2접속도체(62b)의 외부면에 노출된 일부만이 접속되어 MCC의 내부에 구비되는 수납유닛의 위치 상태를 알려주도록 하는 절곡부(74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유닛의 위치 확인이 용이한 MCC용 전기접속 커넥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50053562A 2015-04-16 2015-04-16 수납유닛의 위치 확인이 용이한 mcc용 전기접속 커넥터 KR1015835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3562A KR101583548B1 (ko) 2015-04-16 2015-04-16 수납유닛의 위치 확인이 용이한 mcc용 전기접속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3562A KR101583548B1 (ko) 2015-04-16 2015-04-16 수납유닛의 위치 확인이 용이한 mcc용 전기접속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3548B1 true KR101583548B1 (ko) 2016-01-08

Family

ID=55170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3562A KR101583548B1 (ko) 2015-04-16 2015-04-16 수납유닛의 위치 확인이 용이한 mcc용 전기접속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354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30928A (ja) * 1995-10-30 1997-05-16 Terasaki Denki Sangyo Kk 引出型回路遮断器の位置表示スイッチ装置
KR101389228B1 (ko) * 2013-01-17 2014-04-29 심윤국 전기 접속컨넥터 및 이를 구비하는 전력 분배용 전기 접속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30928A (ja) * 1995-10-30 1997-05-16 Terasaki Denki Sangyo Kk 引出型回路遮断器の位置表示スイッチ装置
KR101389228B1 (ko) * 2013-01-17 2014-04-29 심윤국 전기 접속컨넥터 및 이를 구비하는 전력 분배용 전기 접속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79495B2 (en) Electrical outlet provided with identification means, and associated electrical plug and electrical assembly
EP2629379B1 (en) Power strip with latching system
US10389205B2 (en) Motor programming tool
US8128434B1 (en) Electrical adapter with fuse
CN101540247A (zh) 用于低压开关设备的适配器装置
CN103155302A (zh) 高电压用连接器
TWI412189B (zh) 插頭
KR101583548B1 (ko) 수납유닛의 위치 확인이 용이한 mcc용 전기접속 커넥터
WO2008125813A1 (en) Electrical connectors for power supply
CN110198861B (zh) 电连接设备、电气架构以及电动车辆或混合动力电动车辆
CN106129735B (zh) 一种具有辅助接点的接插装置
JP2011070956A (ja) 差込プラグ
CN211088684U (zh) 插头装置
CN209962993U (zh) 插入式断路器
KR101435154B1 (ko) 전원연결장치
CN215070541U (zh) 分线器及取电装置
CN112952489B (zh) 墙壁电源插座
JP5250789B2 (ja) 2極回路遮断器
CN219436295U (zh) 一种排插
KR102484153B1 (ko) 공동주택 전기의 자동 통합 관리 시스템
CN216750539U (zh) 插座
CN210404234U (zh) 航空插头及无人设备
CN220066293U (zh) 一种增加端子保持力的连接器组件结构
JP5330196B2 (ja) コネクタ装置、及び雄コネクタ
CN210182721U (zh) 一种两芯弯头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