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0331A - 전기 컨넥터 - Google Patents

전기 컨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0331A
KR20100010331A KR1020080071257A KR20080071257A KR20100010331A KR 20100010331 A KR20100010331 A KR 20100010331A KR 1020080071257 A KR1020080071257 A KR 1020080071257A KR 20080071257 A KR20080071257 A KR 20080071257A KR 20100010331 A KR20100010331 A KR 201000103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housing
coupling piece
elastic arm
releas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1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점석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712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10331A/ko
Publication of KR201000103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03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 H01R13/63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by mechanical pressure, e.g. spring for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2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 H01R13/4223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comprising integral flexible contact retaining fing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3Coupling part wherein contact is comprised of a wire or brush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워크가 용이한 전기 컨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전기 컨넥터는, 내부에 단자수납부를 구비하고, 상기 단자수납부와 일측면에서 연통하는 해제공을 구비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해제공에 착탈되는 결합편이 일측면에 형성되고, 그 반대측면에는 외측으로 연장되어 탄성을 가지는 탄성아암을 구비하는 단자로 구성된다. 그리고 해제공은 하우징의 상부벽에 형성되고, 상기 상부벽의 저면에는 단자의 후방에서 상기 해제공까지 성형되어 상기 결합편이 통과할 수 있는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결합편은 해제공에 걸려서 단자의 이탈을 방지함과 동시에 가이드홈과의 관계에 의하여, 단자가 정확한 방향으로만 하우징에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전기컨넥터, 단자, 하우징, 랜스, 스테빌라이저

Description

전기 컨넥터{Electrical connector}
본 발명은 전기 컨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우징의 내부에 결합되는 단자의 리워크가 용이하면서도 안정된 방향으로 단자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컨넥터에 관한 것이다.
전기 컨넥터는 일반적으로 전도성 재질로 만들어져서 상대물인 대응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단자(terminal)와, 상기 단자를 수납하는 하우징으로 구성된다. 단자는 금속판에서 소정의 형상을 가지도록 가공되고, 하우징은 합성수지재로 사출성형된다.
그리고 단자가 하우징 내부에 결합되면, 단자에 구비된 랜스에 의하여 하우징의 내부에서 고정된다. 그리고 하우징에 결합된 단자는 하우징에서 분리해야 하는 경우도 발생하는 바, 이를 위하여 하우징에서 단자를 분리하거나 재결합하는 리워크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전기 컨넥터는 상대물과 결합되는 것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통전상태로 되는데, 예를 들면 피메일단자를 내부에 구비하는 하우징은, 메일단자를 내부에 구비하는 다른 하우징과 결합하게 된다. 이 때 피메일단자는 메일단자와 접촉하여 전기 적으로 통전상태로 되고, 하우징은 각각 구조적으로 결합하여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이 상대물과의 결합을 위하여, 각각의 단자가 하우징 내부에 삽입되어 결합될 때 몇 가지 기능이 요구된다. 먼저, 단자가 정확한 방향으로 하우징 내부에 삽입되어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 있어야 하는데, 일반적으로 단자에 스테빌라이저라는 부분을 형성하고, 하우징에는 이러한 스테빌라이저가 들어갈 수 있는 홈이 형성함으로써 정확한 방향으로만 단자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단자가 하우징 내부에 정위치에 위치하게 되면, 단자가 하우징에서 임의로 분리되거나 위치를 이탈하지 않아야 하는데, 일반적으로 단자의 일측면에 랜스(lance)를 형성하고 이러한 랜스가 하우징 내부의 일측에 걸려서 임의의 유동이 방지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하우징의 내부에 결합된 단자를 분리해야 하는 경우를 위하여, 분해 및 장착이 용이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랜스를 단자의 내측으로 탄성 변형시켜서, 단자를 하우징에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종래의 단자 및 하우징이 결합된 컨넥터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요구되는 기능이 수행될 수 있도록 각각 별도의 구조에 의존하고 있다. 따라서 종래의 단자 및 하우징은 그 구조가 복잡해지는 단점이 지적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단자가 용이하게 하우징 내부에 결합될 수 있음과 동시에 견고하게 위치를 유지할 수 있고, 더욱이 분해 및 재결합이 우수한 전기 전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전기컨넥터는, 내부에 단자수납부를 구비하고, 상기 단자수납부와 일측면에서 연통하는 해제공을 구비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해제공에 착탈되는 결합편이 일측면에 형성되고, 그 반대측면에는 외측으로 연장되어 탄성을 가지는 탄성아암을 구비하는 단자로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실시예에 의하면, 해제공은 하우징의 상부벽에 형성되고, 상기 상부벽의 저면에는 단자의 후방에서 상기 해제공까지 성형되어 상기 결합편이 통과할 수 있는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편의 전방 상단부는 라운딩부로 형성되어, 단자의 삽입을 원활하게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아암은 단자의 저면을 일부 절개하고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성형시키되, 그 단부가 후방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탄성아암의 단부는 곡률을 가지는 형상으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 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단자의 결합편과 해제공과의 결합관계에 의하여, 단자를 하우징에서 분리하는 것이 용이하게 되어, 리워크가 손쉬운 장점이 기대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편은 하우징의 가이드홈을 따라 하우징 내부로 들어가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스테빌라이저로써의 기능도 같이 구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가장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단자가 하우징 내부의 일정한 위치에 걸리도록 하는 랜스로써의 기능과, 단자가 정해진 방향으로만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스테빌라이저로써의 두가지 기능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단자(10)의 부분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단자를 저면에서 본 부분 사시도이다. 도시된 단자(10)는 피메일단자(female terminal)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10)는 상대물인 메일단자가 내부로 삽입되어 전기적 연결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전면이 개방된 박스상의 단자이고, 이는 금속판을 소정의 형상으로 절단한 후 절곡하는 과정에 의하여 만들어진다.
본 발명의 단자(10)은 상면(12)과 저면(14), 그리고 상기 상면과 저면의 양측면에서 서로를 연결하는 양 측면(16)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상면(12)과 저면(14), 그리고 양 측면(16)에 의하여 구성됨으로써 단자(10)는 전체적으로 사각 박스형상으로 형성되고 있다. 그리고 상면(12) 및 양 측면(16)의 일부는 단자에서 필요로 하는 형상적 요구에 의하여 부분적으로 커팅되거나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단자(10)의 일측면에는 상방으로 연장된 결합편(20)이 성형되어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결합편(20)은 하나의 측면(16)에서 상면(12)을 넘어서는 위치까지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결합편(20)은, 단자가 하우징에 정확한 방향으로 삽입되도록 하는 스테빌라이저로써의 기능과, 하우징에 삽입된 후 임의로 빠지지 않도록 하는 랜스로써의 기능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
상기 결합편(20)의 전방 상단에는 라운딩 처리된 라운딩부(2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라운딩부(22)는 단자가 하우징의 내부로 삽입될 때보다 부드럽게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부분이다. 참고로 도 1에서 좌측부분이 실질적으로 단자 및 하우징의 전방(F), 즉 대응하는 컨넥터가 삽입되는 방향이다. 그리고 상기 결합편(20)의 후방 상단은 직각상태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랜스로써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자(10)의 저면(14)에는 탄성아암(3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탄성아암(30)은 저면(14)의 일부를 절개하여 하방으로 탄성 변형시킨 것이다. 즉 상기 탄성아암(30)은 저면의 일부를 절개하여 하방으로 변형시켜서 형성되고, 이 때 상기 탄성아암(30)의 하단부(34)는 상기 저면(14) 보다 하방에 위치하게 된다. 도시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탄성아암(30)의 단부(32)는 실질적으로 단자의 후방을 향하도록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탄성아암(30)의 하단부(32)는 실질적으로 일정한 곡률을 가지는 형상으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는 도 3 및 도 4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의한 하우징(40)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합성수지재로 성형되는 하우징(40)은, 상술한 단자(10)가 수납될 수 있도록 개구된 단자수납부(42)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단자수납부(42)을 중심으로 상부로는 상부벽(41)이 되고, 하부로는 하부벽(43)이 된다 상기 상부벽(41) 및 하부벽(43)은 동일한 높이의 단자수납부(42)을 형성하도록 수평으로 형성되어 전방 또는 후방이 동일한 높이의 단자수납부(42)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벽(41)의 저면에는 가이드홈(4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홈(44)은 단자의 결합편(20)에 대응하는 위치의 상부벽(41) 저면에 전후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단자(10)가 하우징(40)에 결합될 때, 단자의 결합편(20)은 상기 가이드홈(44)을 따라서 들어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만일 단자(10)의 삽입 방향이 틀리게 되면, 실질적으로 상기 결합편(20)과 가이드홈(44)의 위치가 어긋나기 때문에 상기 단자(10)는 하우징(40)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는 상기 결합편(20)이 스테빌라이저로써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상기 상부벽(41)의 일측에는 외부와 단자수납부(42)을 연통시키는 해제공(4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해제공(46)은, 단자(10)가 하우징(40) 내부의 정해진 위치에 완전하게 결합되었을 때, 단자(10)의 결합편(20)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술한 가이드홈(44)은 하우징의 상부벽(41)의 후단부(단자가 삽입되기 시작하는 부분)에서 상기 해제공(46)의 앞 부분까지만 형성되 어 있다.
다음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의 단자(10)를 하우징(40)의 내부에 장착하거나 해체하는 과정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단자(10)를 하우징(40)에 결합하기 위해서는, 하우징(40)의 후방에서 전방을 향하여 단자(10)를 단자수납부(42) 내부로 밀어 넣게 된다. 이 때 단자(10)의 결합편(20)은 하우징(40)의 가이드홈(44)을 따라서 들어가게 된다. 만일 단자(10)의 삽입 방향이 잘못되면, 상기 결합편(20)이 가이드홈(44)으로 진입할 수 없다. 그리고 단자(20)의 삽입 과정에서 상기 결합편(20)의 라운딩부(22)는 단자(10)의 원활한 진입을 유도할 수 있고, 동시에 상기 탄성아암(30)도 그 단부가 후방을 향하고 있기 때문에 단자의 삽입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삽입과정에서 상기 탄성아암(30)은 상방으로 탄성변형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단자(10)가 단자수납부(42)의 내부로 일정한 간격 만큼 들어가게 되면, 상기 결합편(20)이 하우징(40)의 해제공(46)으로 들어갈 수 있게 되는데, 이 때 상기 탄성아암(30)은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하방으로 복귀하면서 상기 결합편(20)이 해제공(46) 속으로 들어갈 수 있게 한다. 상기 결합편(20)이 해제공(46) 속에 들어가면 결합편(20)의 상부후단부가 해제공(46)의 후단부에 걸려서 단자(20)가 후방으로 이탈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단자(20)를 하우징(40)에서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공구를 이용하여 상기 해제공(46)을 통하여 상기 결합편(20)을 하방으로 눌러 내린다. 상기 결합편(20)이 하방으로 눌리게 되면, 실질적으로 상기 단자 전체가 하방 으로 내려오게 되는데, 이 때 저면에 구비된 탄성아암(30)은 압축된다. 이렇게 하여 상기 결합편(20)이 하방으로 내려오게 되면 상기 해제공(46)과의 체결상태가 해제되고, 상기 단자(20)를 후방으로 분리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결합편(20)과 탄성아암(30)에 의하여, 단자를 하우징의 내부로 정확한 방향으로 삽입할 수 있음과 동시에 리워크가 용이하도록 구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여러 가지 다른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임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단자의 상부에서 본 부분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단자의 하부에서 본 부분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컨넥터의 부분 절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컨넥터의 단면도.

Claims (5)

  1. 내부에 단자수납부를 구비하고, 상기 단자수납부와 일측면에서 연통하는 해제공을 구비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해제공에 착탈되는 결합편이 일측면에 형성되고, 그 반대측면에는 외측으로 연장되어 탄성을 가지는 탄성아암을 구비하는 단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컨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해제공은 하우징의 상부벽에 형성되고, 상기 상부벽의 저면에는 단자의 후방에서 상기 해제공까지 성형되어 상기 결합편이 통과할 수 있는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컨넥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편의 전방 상단부는 라운딩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컨넥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아암은 단자의 저면을 일부 절개하고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성형시키되, 그 단부가 후방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컨넥터.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아암의 단부는 곡률을 가지는 형 상으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컨넥터.
KR1020080071257A 2008-07-22 2008-07-22 전기 컨넥터 KR201000103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1257A KR20100010331A (ko) 2008-07-22 2008-07-22 전기 컨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1257A KR20100010331A (ko) 2008-07-22 2008-07-22 전기 컨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0331A true KR20100010331A (ko) 2010-02-01

Family

ID=42085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1257A KR20100010331A (ko) 2008-07-22 2008-07-22 전기 컨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1033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9228B1 (ko) * 2013-01-17 2014-04-29 심윤국 전기 접속컨넥터 및 이를 구비하는 전력 분배용 전기 접속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9228B1 (ko) * 2013-01-17 2014-04-29 심윤국 전기 접속컨넥터 및 이를 구비하는 전력 분배용 전기 접속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81779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a guide shell
US10608381B2 (en)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an assisting member for guiding
JP4550470B2 (ja) コネクタ
CN107017498B (zh) 连接器和连接器组件
WO2013069337A1 (ja) コネクタ
KR20160009491A (ko)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KR101337546B1 (ko) 커넥터 터미널
US20100285683A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latching means
EP2827459B1 (en) Connector
US7963777B2 (en) First connector, second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ing device
KR20140147039A (ko) 전기 커넥터
TWI523346B (zh) Electrical connector for circuit board and connector for electrical connector
US8834206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grounging plate
JP5064933B2 (ja) 電気コネクタ
KR101578125B1 (ko) 커넥터
KR102224186B1 (ko) 전기 커넥터
KR20100010331A (ko) 전기 컨넥터
CN217306798U (zh) 电连接器
US20170170599A1 (en) Connector
US10998668B2 (en) Connector assembly with a case that has a connection stopping portion that prevents stopping contact between first and second connectors
CN210723504U (zh) 电连接器组件
JP2018120798A (ja) コネクタ構造
KR102373471B1 (ko) 확장형 커넥터 조립체
KR101462661B1 (ko) 커넥터 어셈블리
CN112652901A (zh) 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