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8999B1 - 봉제장치 및 봉제방법 - Google Patents

봉제장치 및 봉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8999B1
KR101388999B1 KR1020120003599A KR20120003599A KR101388999B1 KR 101388999 B1 KR101388999 B1 KR 101388999B1 KR 1020120003599 A KR1020120003599 A KR 1020120003599A KR 20120003599 A KR20120003599 A KR 20120003599A KR 101388999 B1 KR101388999 B1 KR 1013889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ge
fabric
sewing
plate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3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2402A (ko
Inventor
정광목
서진호
유만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일심글로발
한국로봇융합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일심글로발, 한국로봇융합연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일심글로발
Priority to KR1020120003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8999B1/ko
Publication of KR201300824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24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8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89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5/00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5B35/02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cilitating seaming; Hem-turning elements; Hemmer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1/00Sewing machines with device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movement of work-carrier relative to stitch-forming mechanism in order to obtain particular configuration of seam, e.g. programme-controlled for sewing collars, for attaching pocket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3/00Devices incorporated in sewing machines for supplying or removing the work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7/00Devices incorporated in sewing machines for slitting, grooving, or cutting
    • D05B37/04Cutt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9/00Workpiece carrier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9/00Driving-gear; Control devices
    • D05B69/30Detail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75/00Frames, stands, tables, or other furniture adapted to carry sewing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원단의 4변에 대한 자동 봉제 처리가 가능한 봉제장치 및 봉제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봉제장치는 스테이지, 상기 스테이지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스테이지 상으로 원단을 공급하는 공급유닛, 상기 스테이지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원단이 공급되는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원단을 재단하는 재단유닛, 상기 스테이지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원단을 상기 스테이지의 타측으로 이송하는 이송유닛, 상기 스테이지의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원단의 단부를 봉제하는 봉제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봉제장치 및 봉제방법{SEWING APPARATUS AND SEWING METHOD}
본 발명은 봉제장치 및 봉제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단의 4변에 봉제 처리를 수행하는 봉제장치 및 봉제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직물, 종이 등과 같은 재료를 원단으로 걸레, 행주, 수건, 포대(包袋) 등과 같은 제품이 생산되는 생산 라인에서는 제품의 대량 생산을 위해, 롤(roll) 형태의 원단을 사용하며, 원단 롤로부터 풀려나오는 원단을 재단하여 제품을 생산한다. 이때, 원단의 단부를 마감 처리하기 위해서는 원단 롤로부터 풀려나오는 원단의 변(邊)에 오버록(overlock)과 같은 봉제 처리를 한다.
이러한 원단의 단부에 봉제 처리를 수행하는 봉제장치에 대해서는 이미 "대한민국 공개특허 2010-0106094;네트형 컨베이어 벨트의 변부 마감용 봉제장치"에 개시된 바 있다.
상기 공개특허는 네트형 컨베이어 벨트의 양측 변부를 마감 처리하기 위한 것으로, 벨트원단을 공급하는 벨트원단 공급수단, 벨트원단을 이송하는 이송수단, 변부원단을 공급하는 변부원단 공급수단, 변부원단이 벨트원단의 변부를 감싸도록 안내하는 변부원단 가이드, 변부원단이 벨트원단의 변부를 감싸는 상태로 재봉하는 재봉기를 포함한다. 상기 공개특허는 롤 형태로 제공되는 벨트원단으로부터 벨트원단이 공급되고, 벨트원단이 재봉기를 통과하면서 제봉기에 의해 벨트의 양측 변부가 봉제되어 벨트의 양측 변부에 마감 처리된다.
이와 같이 상기 공개특허는 벨트원단의 양측 변부, 즉, 벨트원단의 좌단 및 우단에 대한 마감 처리에 사용하기는 용이하나, 4변을 가지는 제품의 제조에 있어서 원단의 전단 및 후단에 대한 봉제가 불가능하여 그 사용 범위가 제한적인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2010-0106094 (2010. 10. 01.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원단의 4변에 대한 자동 봉제 처리가 가능한 봉제장치 및 봉제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봉제장치는 스테이지, 상기 스테이지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스테이지 상으로 원단을 공급하는 공급유닛, 상기 스테이지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원단이 공급되는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원단을 재단하는 재단유닛, 상기 스테이지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원단을 상기 스테이지의 타측으로 이송하는 이송유닛, 상기 스테이지의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원단의 단부를 봉제하는 봉제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스테이지는 상기 원단이 공급되는 방향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스테이지의 일측 상부에 배치되는 제 1가압판, 상기 제 1가압판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 1지지판, 상기 제 1지지판에 지지되어 상기 제 1지지판을 승강시키는 제 1판승강기, 상기 제 1지지판을 지지하고 상기 제 1지지판을 90도로 회전시키는 회전기, 상기 회전기를 지지하고 상기 회전기를 이송하는 제 1판이송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테이지는 상기 원단이 공급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원단이 상기 스테이지의 타측으로 이송되는 동안에 90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스테이지의 일측 상부에 배치되는 제 1가압판, 상기 제 1가압판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 1지지판, 상기 제 1지지판에 지지되어 상기 제 1지지판을 승강시키는 제 1판승강기, 상기 제 1지지판을 지지하고 상기 제 1지지판을 90도로 회전시키는 회전기, 상기 회전기를 지지하고 상기 회전기를 이송하는 제 1판이송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테이지 상에는 상기 스테이지로 공급된 상기 원단이 재단되는 재단구간, 상기 재단구간으로부터 이탈된 상기 원단이 대기하는 전달구간, 상기 전달구간으로부터 상기 스테이지의 타측으로 이송되는 상기 원단에 봉제가 수행되는 봉제구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 1가압판은 상기 재단구간으로부터 상기 전달구간으로 상기 원단을 이송할 수 있다.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제 1가압판의 타측방으로 배치되는 제 2가압판, 상기 제 2가압판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 2지지판, 상기 제 2지지판에 지지되어 상기 제 2가압판을 승강시키는 제 2판승강기, 상기 제 2지지판을 지지하고 상기 제 2판승강기를 상기 전달구간으로부터 상기 봉제구간으로 이송하는 제 2판이송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테이지는 상기 재단구간으로부터 상기 봉제구간으로 연장되는 미끄럼판을 포함하며, 상기 미끄럼판은 상기 제 1가압판 및 상기 제 2가압판보다 마찰계수가 낮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미끄럼판은 상기 원단과의 마찰에 따른 정전기가 방지되도록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접지될 수 있다.
상기 공급유닛은 상기 스테이지의 일단부에 배치되어 회전되는 구동풀리, 상기 구동풀리로부터 이격되는 종동풀리, 상기 구동풀리와 상기 종동풀리에 연결되어 상기 스테이지 상에 위치하는 상기 원단에 면 접촉되어 회전되는 공급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봉제장치는 상기 공급유닛을 승강시켜 상기 공급벨트와 상기 스테이지의 사이를 개폐시키는 개폐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폐유닛은 상기 구동풀리의 회전축, 상기 종동풀리의 회전축을 지지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을 지지하고 상기 브라켓을 상기 스테이지에 대해 승강시키는 개폐승강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테이지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스테이지 상으로 공급되는 상기 원단을 가이드하는 공급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급가이드는 상기 스테이지 상으로 공급되는 원단이 상기 스테이지의 모서리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는 만곡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급가이드는 상기 스테이지 상으로 공급되는 상기 원단의 좌단 및 우단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재단유닛은 상기 공급유닛과 상기 이송유닛의 사이에 배치되는 커팅휠, 상기 커팅휠을 지지하고 상기 커팅휠을 승강시키는 휠승강기, 상기 휠승강기를 지지하고 상기 휠승강기를 상기 원단이 공급되는 방향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이송하는 휠이송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재단유닛은 상기 공급유닛과 상기 이송유닛의 사이에 배치되는 그립바, 상기 그립바를 지지하고 상기 그립바를 상기 스테이지에 대해 승강시키는 바승강기, 상기 바승강기를 지지하고 상기 바승강기를 이송하는 바이송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봉제방법은 스테이지의 일측으로 원단이 공급되는 공급단계, 상기 원단이 공급되는 방향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상기 원단이 재단되는 재단단계, 상기 스테이지의 타측으로 이송되는 이송단계, 상기 스테이지의 타측에 배치되는 봉제유닛에 의해 상기 원단의 단부가 봉제되는 봉재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스테이지는 상기 원단이 공급되는 방향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이송단계에서 상기 원단은 상기 원단이 공급되는 방향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다.
상기 스테이지는 상기 원단이 공급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이송단계에서 상기 원단은 상기 스테이지의 타측으로 이송되는 동안에 상기 원단을 90도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스테이지 상에는 상기 스테이지로 공급된 상기 원단이 재단되는 재단구간, 상기 재단구간으로부터 이탈된 상기 원단이 대기하는 전달구간, 상기 전달구간으로부터 상기 스테이지의 타측으로 이송되는 상기 원단에 봉제가 수행되는 봉제구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테이지의 상부면에는 도전성 재질의 미끄럼판이 설치되며, 상기 미끄럼판과 상기 원단과의 마찰에 의한 정전기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미끄럼판은 접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봉제장치 및 봉제방법은 원단의 4변에 대한 자동 봉제 처리가 가능하므로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봉제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봉제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제 1스테이지, 제 1공급유닛, 제 1개폐유닛 및 제 1공급가이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봉제장치 중 제 2봉제부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제 2스테이지, 제 2공급유닛, 제 2개폐유닛 및 제 2공급가이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봉제장치의 재단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봉제장치 중 제 2스테이지의 저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봉제장치의 제 1이송유닛 및 제 2이송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봉제장치의 제 1이송유닛 및 제 2이송유닛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봉제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봉제장치의 동작을 간략하게 나타낸 동작도이다.
도 1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봉제장치를 간략하게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봉제장치를 간략하게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봉제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봉제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봉제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봉제장치(400)는 원단지지부(100), 제 1봉제부(200) 및 제 2봉제부(300)를 포함한다. 원단지지부(100), 제 1봉제부(200) 및 제 2봉제부(300)는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인라인 방식으로 원단(10)을 처리한다. 즉, 제 1봉제부(200)는 원단지지부(100)의 전방에 배치되며, 제 2봉제부(300)는 제 1봉제부(200)의 전방에 배치된다. 원단(10)은 원단지지부(100)로부터 제 1봉제부(200)로 공급되고, 제 1봉제부(200)로부터 제 2봉제부(300)로 공급된다.
원단지지부(100)는 롤(roll) 형태로 제공되는 원단(10)을 지지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원단지지부(100)는 원단 롤의 중공에 삽입되어 원단 롤을 지지하는 회전축과, 회전축을 회전시켜 공급되는 원단(10)이 원활하게 풀려나오도록 하는 회전모터, 풀리, 벨트 등을 포함하는 구동부가 설치될 수 있다.
제 1봉제부(200)는 원단(10)의 좌단(11) 및 우단(12)에 오버록과 같은 봉제 처리를 수행한다. 제 1봉제부(200)는 제 1스테이지(210), 제 1공급유닛(220), 제 1개폐유닛(230), 제 1공급가이드(240) 및 한쌍의 제 1봉제유닛(250)을 포함한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제 1스테이지, 제 1공급유닛, 제 1개폐유닛 및 제 1공급가이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 1공급유닛(220)은 제 1구동풀리(221), 제 1종동풀리(222), 제 1공급벨트(223) 및 제 1공급모터(224)를 포함한다. 제 1구동풀리(221)는 제 1스테이지(210)의 상부에 배치된다. 제 1종동풀리(222)는 제 1스테이지(210)의 상부에 배치되고, 제 1구동풀리(221)로부터 이격된다. 제 1공급벨트(223)는 제 1구동풀리(221)와 제 1종동풀리(222)에 연결된다. 제 1공급모터(224)는 제 1구동풀리(221)를 회전시켜 제 1공급벨트(223)가 회전되도록 한다. 제 1공급모터(224)가 제 1구동풀리(221)를 회전시킴에 따라 제 1공급벨트(223)는 제 1스테이지(210)의 전방을 향해 회전된다. 제 1스테이지(210) 상에 위치하는 원단(10)은 제 1공급벨트(223)에 접촉되어 제 1스테이지(210)를 통과할 수 있다. 이때, 원단(10)은 제 1공급벨트(223)에 면 접촉되므로, 뒤틀림, 쏠림 등이 방지되고 평탄한 상태로 이송될 수 있다.
제 1개폐유닛(230)은 제 1브라켓(231), 제 1개폐승강기(232) 및 제 1개폐가이드(233)를 포함한다. 제 1브라켓(231)은 제 1스테이지(210)의 상측에 배치되어 제 1구동풀리(221)의 회전축, 제 1종동풀리(222)의 회전축 및 제 1공급모터(224)를 지지한다. 제 1개폐승강기(232)는 제 1브라켓(231)을 지지하고, 제 1브라켓(231)을 제 1스테이지(210)에 대해 승강시킨다. 제 1개폐승강기(232)로는 유/공압 승강실린더를 사용할 수 있다. 제 1개폐가이드(233)는 제 1브라켓(231)의 승강을 가이드한다.
제 1공급가이드(240)는 제 1스테이지(210)의 일단에 설치될 수 있다. 제 1공급가이드(240)는 상부에 완만하게 절곡되는 제 1만곡면(241) 및 제 1만곡면(241)의 양단으로부터 돌출되는 제 1이탈방지턱(242)을 포함한다. 제 1만곡면(241)은 제 1스테이지(210) 상으로 공급되는 원단(10)이 제 1스테이지(210)의 모서리에 간섭되어 원단(10)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 1이탈방지턱(242)은 원단(10)의 좌단(11) 및 우단(12)을 가이드하여 원단(10)이 공급경로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한쌍의 제 1봉제유닛(250)은 제 1스테이지(210)의 좌, 우측에 각각 설치된다. 한쌍의 제 1봉제유닛(250)은 원단(10)의 좌단(11) 및 우단(12)에 오버록과 같은 봉제 처리를 수행하는 재봉기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한쌍의 제 1봉제유닛(250)은 이미 이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락한다.
이와 같이 제 1봉제부(200)에 의해 좌단(11) 및 우단(12)에 오버록 처리된 원단(10)은 제 2봉제부(300)로 공급된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봉제장치 중 제 2봉제부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제 2스테이지, 제 2공급유닛, 제 2개폐유닛 및 제 2공급가이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 2봉제부(300)는 제 2스테이지(310), 제 2공급유닛(320), 제 2개폐유닛(330), 제 2공급가이드(340), 재단유닛(350), 제 1이송유닛(360), 제 2이송유닛(370) 및 한쌍의 제 2봉제유닛(380)(도 2 참조.)을 포함한다.
제 2공급유닛(320)은 제 2구동풀리(321), 제 2종동풀리(322), 제 2공급벨트(323) 및 제 2공급모터(324)를 포함한다. 제 2구동풀리(321)는 제 2스테이지(310)의 상부에 배치된다. 제 2종동풀리(322)는 제 2스테이지(310)의 상부에 배치되고, 제 2구동풀리(321)로부터 이격된다. 제 2공급벨트(323)는 제 2구동풀리(321)와 제 2종동풀리(322)에 연결된다. 제 2공급모터(324)는 제 2구동풀리(321)를 회전시켜 제 2공급벨트(323)가 회전되도록 한다. 제 2공급모터(324)가 제 2구동풀리(321)를 회전시킴에 따라 제 2공급벨트(323)는 제 2스테이지(310)의 전방을 향해 회전된다. 제 2스테이지(310) 상에 위치하는 원단(10)은 제 2공급벨트(323)에 접촉되어 제 2스테이지(310)로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원단(10)은 제 2공급벨트(323)에 면 접촉되므로, 뒤틀림, 쏠림 등이 방지되고 평탄한 상태로 이송될 수 있다.
제 2개폐유닛(330)은 제 2브라켓(331), 제 2개폐승강기(332) 및 제 2개폐가이드(333)를 포함한다. 제 2브라켓(331)은 제 2스테이지(310)의 상측에 배치되어 제 2구동풀리(321)의 회전축, 제 2종동풀리(322)의 회전축 및 제 2공급모터(324)를 지지한다. 제 2개폐승강기(332)는 제 2브라켓(331)을 지지하고, 제 2브라켓(331)을 제 2스테이지(310)에 대해 승강시킨다. 제 2개폐승강기(332)로는 유/공압 승강실린더를 사용할 수 있다. 제 2개폐가이드(333)는 제 2브라켓(331)의 승강을 가이드한다.
제 2공급가이드(340)는 제 2스테이지(310)의 일단에 설치될 수 있다. 제 2공급가이드(340)는 상부에 완만하게 절곡되는 제 2만곡면(341) 및 제 2만곡면(341)의 양단으로부터 돌출되는 제 2이탈방지턱(342)을 포함한다. 제 2만곡면(341)은 제 2스테이지(310) 상으로 공급되는 원단(10)이 제 2스테이지(310)의 모서리에 간섭되어 원단(10)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 2이탈방지턱(342)은 원단(10)의 좌단(11) 및 우단(12)을 가이드하여 원단(10)이 공급경로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제 2스테이지(310) 상에는 재단구간(D1), 전달구간(D2) 및 봉제구간(D3)이 형성될 수 있다. 재단구간(D1)은 제 2스테이지(310) 상으로 공급된 원단(10)이 재단되는 동안 원단(10)이 머무르는 구간이다. 전달구간(D2)은 재단구간(D1)의 원단(10)이 제 1이송유닛(360)에 의해 이송되어 제 2이송유닛(370)으로 전달되기 위해 원단(10)이 머무르는 공간이다. 봉제구간(D3)은 제 2이송유닛(370)에 의해 원단(10)이 한쌍의 제 2봉제유닛(380)으로 이송되어 한쌍의 제 2봉제유닛(380)에 의해 원단(10)의 전단(13) 및 후단(14)이 오버록과 같은 봉제 처리되는 구간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봉제장치의 재단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봉제장치 중 제 2스테이지의 저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재단유닛(350)은 재단구간(D1)에 배치된다. 재단유닛(350)은 그립바(351), 바승강기(352) 및 바이송기(353), 커팅휠(354), 휠승강기(355) 및 휠이송기(356)를 포함한다.
그립바(351)는 제 2스테이지(310)의 상측에 배치된다. 바승강기(352)는 제 2스테이지(310)의 하부에 배치되어 그립바(351)를 제 2스테이지(310)에 대하여 승강시킨다. 바승강기(352)로는 유/공압 승강실린더가 사용될 수 있다. 바이송기(353)는 제 2스테이지(310)의 하부에 배치된다. 바이송기(353)는 바승강기(352)를 지지하고, 원단(10)이 재단될 길이만큼 바승강기(352)를 이송한다. 바이송기(353)로는 유/공압실린더를 사용하는 리니어 액츄에이터, 리니어 모터와 리니어 모터 가이드를 사용한 리니어 액츄에이터, 회전식 모터와 랙 앤 피니언을 사용한 리니어 액츄에이터, 전자석과 솔레노이드를 사용한 리니어 액츄에이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커팅휠(354)은 제 2스테이지(310)의 상측에 배치된다. 휠승강기(355)는 커팅휠(354)을 지지하고 커팅휠(354)을 승강시킨다. 휠승강기(355)로는 유/공압 승강실린더가 사용될 수 있다. 휠이송기(356)는 휠승강기(355)를 지지하고 휠승강기(355)를 제 2스테이지(310)의 좌, 우로 선형이송한다. 휠이송기(356)로는 유/공압실린더를 사용하는 리니어 액츄에이터, 리니어 모터와 리니어 모터 가이드를 사용한 리니어 액츄에이터, 회전식 모터와 랙 앤 피니언을 사용한 리니어 액츄에이터, 전자석과 솔레노이드를 사용한 리니어 액츄에이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재단유닛(350)은 바승강기(352)에 의해 그립바(351)가 원단(10)의 전단부를 가압한 상태에서, 바승강기(352)가 바이송기(353)에 의해 제 2스테이지(310)의 전방을 향해 이송된다. 이에 따라 원단(10)의 재단되어야 될 위치는 커팅휠(354)의 하측에 정렬될 수 있다. 원단(10)의 재단되어야 될 위치가 커팅휠(354)의 하측에 정렬되면, 휠승강기(355)는 커팅휠(354)을 하강시키고, 휠이송기(356)는 커팅휠(354)을 좌, 우로 이송하여 원단(10)을 재단한다. 이와 같이 원단(10)이 재단됨에 따라 원단(10)에는 후단(14)이 형성된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봉제장치의 제 1이송유닛 및 제 2이송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봉제장치의 제 1이송유닛 및 제 2이송유닛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제 1이송유닛(360)은 제 1가압판(361), 제 1지지판(362), 제 1판승강기(363), 회전기(364), 제 1판이송기(365)를 포함한다.
제 1가압판(361)은 제 2스테이지(310)의 일측 상부에 배치된다. 제 1가압판(361)의 상측에는 제 1지지판(362)이 배치될 수 있다. 제 1판승강기(363)는 제 1지지판(362)에 지지된다. 제 1판승강기(363)는 제 1가압판(361)을 제 2스테이지(310)에 대해 승강시킨다. 제 1판승강기(363)로는 실린더로드가 제 1지지판(362)을 관통하여 제 1가압판(361)을 지지하는 유/공압 승강실린더를 사용할 수 있다. 제 1판승강기(363)의 주변에는 제 1가압판(361)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승강가이드(363a)가 설치될 수 있다.
회전기(364)는 제 1지지판(362)을 지지하고 제 1지지판(362)을 90도로 회전시킨다. 회전기(364)는 제 1지지판(362)을 회전시키는 회전모터, 또는 유/공압 회전실린더를 사용할 수 있다. 제 1판이송기(365)는 회전기(364)를 지지하고, 회전기(364)를 전달구간(D2)으로 이송한다. 제 1판이송기(365)로는 유/공압실린더를 사용하는 리니어 액츄에이터, 리니어 모터와 리니어 모터 가이드를 사용한 리니어 액츄에이터, 회전식 모터와 랙 앤 피니언을 사용한 리니어 액츄에이터, 전자석과 솔레노이드를 사용한 리니어 액츄에이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제 1이송유닛(360)은 제 1가압판(361)이 승강되어 재단유닛(350)에 의해 재단된 원단(10)을 가압한다. 회전기(364)는 제 1가압판(361)을 90도로 회전시켜 원단(10)의 전단(13) 및 후단(14)이 제 2스테이지(310)의 좌측방 및 후측방을 향하도록 한다. 제 1판이송기(365)는 회전기(364)를 전달구간(D2)으로 이송하여 원단(10)을 전달구간(D2)으로 이송한다. 이와 같이 원단(10)이 전달구간(D2)으로 이송되면, 제 1가압판(361)은 제 1판이송기(365)에 의해 재단구간(D1)으로 복귀할 수 있다.
제 2이송유닛(370)은 제 2가압판(371), 제 2지지판(372), 제 2판승강기(373), 제 2판이송기(374)를 포함한다.
제 2가압판(371)은 제 2스테이지(310)의 타측 상부에 배치된다. 제 2가압판(371)의 상측에는 제 2지지판(372)이 배치될 수 있다. 제 2판승강기(373)는 제 2지지판(372)에 지지된다. 제 2판승강기(373)는 제 2가압판(371)을 제 2스테이지(310)에 대해 승강시킨다. 제 2판승강기(373)로는 실린더로드가 제 2지지판(372)을 관통하여 제 2가압판(371)을 지지하는 유/공압 승강실린더를 사용할 수 있다. 제 2판승강기(373)의 주변에는 제 2가압판(371)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승강가이드(373a)가 설치될 수 있다.
제 2판이송기(374)는 제 2지지판(372)를 지지하고, 제 2판승강기(373)를 봉제구간(D3)으로 이송한다. 제 2판이송기(374)로는 유/공압실린더를 사용하는 리니어 액츄에이터, 리니어 모터와 리니어 모터 가이드를 사용한 리니어 액츄에이터, 회전식 모터와 랙 앤 피니언을 사용한 리니어 액츄에이터, 전자석과 솔레노이드를 사용한 리니어 액츄에이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제 2이송유닛(370)은 제 2가압판(371)이 승강되어 전달구간(D2)에 머무르는 원단(10)을 가압한다. 제 2판이송기(374)는 제 2가압판(371)을 봉제구간(D3)으로 이송하며, 원단(10)은 한쌍의 제 2봉제유닛(380)으로 이송된다.
한쌍의 제 2봉제유닛(380)은 제 2스테이지(310)의 타단부에 배치된다. 한쌍의 제 2봉제유닛(380)은 제 2스테이지(310)의 좌, 우측에 각각 설치된다. 한쌍의 제 2봉제유닛(380)은 원단(10)의 전단(13) 및 후단(14)에 오버록과 같은 봉제 처리를 수행하는 재봉기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한쌍의 제 2봉제유닛(380)은 이미 이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락한다.
이와 같이 원단(10)은 제 2스테이지(310) 상에서 회전되고, 재단구간(D1), 전달구간(D2) 및 봉제구간(D3)으로 순차적으로 이송되면서 전단(13) 및 후단(14)에 오버록과 같은 봉제 처리된다. 따라서 제 2스테이지(310)의 상부면에는 원단(10)이 원활하게 회전되고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미끄럼판(311)이 설치된다. 미끄럼판(311)은 제 1, 2가압판(361, 371)보다 마찰계수가 낮은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원단(10)의 회전 및 이송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미끄럼판(311)은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원단(10)과의 마찰에 의해 정전기가 발생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접지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봉제방법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봉제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며, 도 1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봉제장치의 동작을 간략하게 나타낸 동작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원단 롤로부터 최초로 인출되는 원단(10)의 전단(13)은 작업자에 의해 제 1스테이지(21)와 제 1공급유닛(220)의 사이로 공급될 수 있다. 제 1공급유닛(220)은 원단(10)을 제 1스테이지(210) 상으로 공급한다. 원단(10)은 한쌍의 제 1봉제유닛(250)으로 공급된다. 원단(10)은 좌단(11) 및 우단(12)이 한쌍의 제 1봉제유닛(250)에 의해 오버록 처리되면서 제 1봉제부(200)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좌단(11) 및 우단(12)에 오버록 처리된 원단(10)은 작업자에 의해 그 전단부가 제 2스테이지(310)과 제 2공급유닛(320)의 사이로 공급될 수 있다. (단계;S11)
원단(10)은 제 2공급유닛(320)에 의해 제 2스테이지(310) 상으로 공급된다. 이때, 원단(10)은 전단부가 그립바(351)의 하측에 위치한다. 그립바(351)는 바승강기(352)에 의해 하강된다. 바이송기(353)는 바승강기(352)를 이송시킨다. 바승강기(352)가 이송됨에 따라 원단(10)의 재단되어야 될 위치는 커팅휠(354)의 하측에 정렬된다.
이어, 휠승강기(355)는 커팅휠(354)을 하강시킨다. 그리고 휠이송기(356)는 휠승강기(355)를 좌, 우측으로 이송한다. 휠승강기(355)가 좌, 우측으로 이송됨에 따라 커팅휠(354)에 의해 원단이 재단되며, 원단(10)에는 후단(14)이 형성된다. (단계;S13)
이어, 바승강기(352)는 그립바(351)를 상승시킨다. 바이송기(353)는 바승강기(352)를 후진시킨다. 이와 같이 그립바(351)가 원단(10)으로부터 이탈되면, 제 1판승강기(363)는 제 1가압판(361)을 하강시키고, 원단(10)은 재단구간(D1)에서 제 1가압판(361)에 의해 가압된다.
이어, 제 1이송유닛(360)은 원단(10)을 재단구간(D1)으로부터 이탈시키고, 회전기(364)는 제 1가압판(361)을 90도로 회전시킨다. 제 1가압판(361)이 90도로 회전됨에 따라 원단(10)의 전단(13) 및 후단(14)은 제 2스테이지(310)의 좌측방 및 우측방을 향한다. 제 1판이송기(365)는 제 1가압판(361)을 전달구간(D2)으로 이송한다. 이와 같이 원단(10)이 전달구간(D2)에 도달하면, 제 1판승강기(363)는 제 1가압판(361)을 상승시킨다. 제 1판이송기(365)는 제 1판승강기(363)를 재단구간(D1)으로 복귀시킨다. (단계;S15)
이어, 제 2이송유닛(370)은 제 2가압판(371)을 재단구간(D1)으로 이송한다. 제 2가압판(371)은 제 2판승강기(373)에 의해 하강되며, 제 2가압판(371)은 재단구간(D1)의 원단(10)을 가압한다. 제 2판이송기(374)는 제 2가압판(371)을 봉제구간(D3)으로 이송한다.
이어, 원단(10)은 한쌍의 제 2봉제유닛(380)을 통과한다. 원단(10)이 한쌍의 제 2봉제유닛(380)을 통과함에 따라 원단(10)의 전단(13) 및 후단(14)에 오버록과 같은 봉제 처리가 되며, 원단(10)은 제 2봉제유닛(380)으로부터 배출된다. (단계;S17)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봉제장치(400)는 원단(10)의 좌단(11), 우단(12), 전단(13) 및 후단(14)에 자동으로 오버록과 같은 자동 봉제 처리가 가능하므로,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술된 설명에서, 제 2스테이지(310) 상에는 재단구간(D1)과 봉제구간(D3)의 사이에 전달구간(D2)이 형성되고, 원단(10)은 제 1이송유닛(360)에 의해 재단구간(D1)으로부터 전달구간(D2)으로 이송되어 전달구간(D2)에서 대기하다가 제 2이송유닛(370)에 의해 전달구간(D2)으로부터 봉제구간(D3)으로 이송되는 것으로 설명되고 있다. 다른 실시예로, 봉제장치(400)는 전달구간(D2)과 제 2이송유닛(370)의 구성이 생략되고, 원단(10)이 제 1이송유닛(360)에 의해 재단구간(D1)으로부터 봉제구간(D3)으로 바로 이송되도록 구성되어 전체 구성이 간편하도록 변형실시될 수 있다.
또한, 상술된 설명에서, 제 2스테이지(310)는 재단구간(D1)으로부터 봉제구간(D3)까지 원단(10)이 공급되는 방향의 직선 형태로 연장되는 것으로 설명되고 있다. 다른 실시예로, 제 2스테이지(310)는 원단(10)이 공급되는 방향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쌍의 제 2봉제유닛(380)은 재단구간(D1)의 일 측방에 배치될 수 있으며,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쌍의 봉제유닛(380)은 재단구간(D1)의 양 측방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2스테이지(310)가 원단(10)이 공급되는 방향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경우에는, 상술된 회전기(364)의 구성이 생략가능하며, 제 1판이송기(365)는 제 1판승강기(363)를 지지하고, 제 1판승강기(363)를 이송하도록 변형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술된 설명에서, 제 1봉제부(200)와 제 2봉제부(300)가 별도로 마련되고, 제 1봉제부(200)에서 원단(10)의 좌단(11) 및 우단(12)의 오버록과 같은 봉제 처리된 이후, 제 2봉제부(300)에서 원단(10)의 전단(13) 및 후단(14)에 대한 오버록과 같은 봉제 처리를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되고 있다. 다른 실시예로 제 2공급유닛(320)의 제 2구동풀리(321)와 제 2종동풀리(322)의 사이에 한쌍의 제 1봉제유닛(250)을 배치하여 제 2스테이지(310)상에서 이송되는 원단(10)에 대해 4변의 자동 봉제가 수행되도록 변형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100 : 원단지지부 200 : 제 1봉제부
210 : 제 1스테이지 220 : 제 1공급유닛
230 : 제 1개폐유닛 240 : 제 1공급가이드
250 : 제 1봉제유닛 300 : 제 2봉제부
310 : 제 2스테이지 320 : 제 2공급유닛
330 : 제 2개폐유닛 340 : 제 2공급가이드
350 : 재단유닛 360 : 제 1이송유닛
370 : 제 2이송유닛 380 : 제 2봉제유닛
400 : 봉제장치

Claims (22)

  1. 스테이지,
    상기 스테이지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스테이지 상으로 원단을 공급하는 공급유닛,
    상기 스테이지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스테이지 상으로 공급되는 상기 원단을 가이드하는 공급가이드,
    상기 스테이지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원단이 공급되는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원단을 재단하는 재단유닛,
    상기 스테이지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원단을 상기 스테이지의 타측으로 이송하는 이송유닛,
    상기 스테이지의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원단의 단부를 봉제하는 봉제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지는 상기 원단이 공급되는 방향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제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스테이지의 일측 상부에 배치되는 제 1가압판,
    상기 제 1가압판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 1지지판,
    상기 제 1지지판에 지지되어 상기 제 1지지판을 승강시키는 제 1판승강기,
    상기 제 1판승강기를 지지하고 상기 제 1판승강기를 이송하는 제 1판이송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제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지는 상기 원단이 공급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원단이 상기 스테이지의 타측으로 이송되는 동안에 상기 원단을 90도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제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스테이지의 일측 상부에 배치되는 제 1가압판,
    상기 제 1가압판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 1지지판,
    상기 제 1지지판에 지지되어 상기 제 1지지판을 승강시키는 제 1판승강기,
    상기 제 1지지판을 지지하고 상기 제 1지지판을 90도로 회전시키는 회전기,
    상기 회전기를 지지하고 상기 회전기를 이송하는 제 1판이송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제장치.
  6. 제 3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지 상에는
    상기 스테이지로 공급된 상기 원단이 재단되는 재단구간,
    상기 재단구간으로부터 이탈된 상기 원단이 대기하는 전달구간,
    상기 전달구간으로부터 상기 스테이지의 타측으로 이송되는 상기 원단에 봉제가 수행되는 봉제구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 1가압판은 상기 재단구간으로부터 상기 전달구간으로 상기 원단을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제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제 1가압판의 타측방으로 배치되는 제 2가압판,
    상기 제 2가압판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 2지지판,
    상기 제 2지지판에 지지되어 상기 제 2가압판을 승강시키는 제 2판승강기,
    상기 제 2지지판을 지지하고 상기 제 2판승강기를 상기 전달구간으로부터 상기 봉제구간으로 이송하는 제 2판이송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제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지는 상기 재단구간으로부터 상기 봉제구간으로 연장되는 미끄럼판을 포함하며,
    상기 미끄럼판은 상기 제 1가압판 및 상기 제 2가압판보다 마찰계수가 낮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제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판은 상기 원단과의 마찰에 따른 정전기가 방지되도록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접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제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유닛은
    상기 스테이지의 일단부에 배치되어 회전되는 구동풀리,
    상기 구동풀리로부터 이격되는 종동풀리,
    상기 구동풀리와 상기 종동풀리에 연결되어 상기 스테이지 상에 위치하는 상기 원단에 면 접촉되어 회전되는 공급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제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유닛을 승강시켜 상기 공급벨트와 상기 스테이지의 사이를 개폐시키는 개폐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제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유닛은
    상기 구동풀리의 회전축, 상기 종동풀리의 회전축을 지지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을 지지하고 상기 브라켓을 상기 스테이지에 대해 승강시키는 개폐승강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제장치.
  13. 삭제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가이드는
    상기 스테이지 상으로 공급되는 원단이 상기 스테이지의 모서리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는 만곡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제장치.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가이드는
    상기 스테이지 상으로 공급되는 상기 원단의 좌단 및 우단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제장치.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재단유닛은
    상기 공급유닛과 상기 이송유닛의 사이에 배치되는 커팅휠,
    상기 커팅휠을 지지하고 상기 커팅휠을 승강시키는 휠승강기,
    상기 휠승강기를 지지하고 상기 휠승강기를 상기 원단이 공급되는 방향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이송하는 휠이송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제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재단유닛은
    상기 공급유닛과 상기 이송유닛의 사이에 배치되는 그립바,
    상기 그립바를 지지하고 상기 그립바를 상기 스테이지에 대해 승강시키는 바승강기,
    상기 바승강기를 지지하고 상기 바승강기를 이송하는 바이송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제장치.
  18. 원단이 스테이지의 일단부에 설치되는 공급가이드에 안내되어 상기 스테이지의 일측으로 공급되는 공급단계,
    상기 원단이 공급되는 방향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상기 원단이 재단되는 재단단계,
    상기 스테이지의 타측으로 이송되는 이송단계,
    상기 스테이지의 타측에 배치되는 봉제유닛에 의해 상기 원단의 단부가 봉제되는 봉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제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지는 상기 원단이 공급되는 방향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이송단계에서 상기 원단은 상기 원단이 공급되는 방향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제방법.
  20.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지는 상기 원단이 공급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이송단계에서 상기 원단은 상기 스테이지의 타측으로 이송되는 동안에 90도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제방법.
  21.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지 상에는
    상기 스테이지로 공급된 상기 원단이 재단되는 재단구간,
    상기 재단구간으로부터 이탈된 상기 원단이 대기하는 전달구간,
    상기 전달구간으로부터 상기 스테이지의 타측으로 이송되는 상기 원단에 봉제가 수행되는 봉제구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제방법.
  22.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지의 상부면에는 도전성 재질의 미끄럼판이 설치되며,
    상기 미끄럼판과 상기 원단과의 마찰에 의한 정전기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미끄럼판은 접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제방법.
KR1020120003599A 2012-01-11 2012-01-11 봉제장치 및 봉제방법 KR1013889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3599A KR101388999B1 (ko) 2012-01-11 2012-01-11 봉제장치 및 봉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3599A KR101388999B1 (ko) 2012-01-11 2012-01-11 봉제장치 및 봉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2402A KR20130082402A (ko) 2013-07-19
KR101388999B1 true KR101388999B1 (ko) 2014-05-30

Family

ID=48993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3599A KR101388999B1 (ko) 2012-01-11 2012-01-11 봉제장치 및 봉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899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5288B1 (ko) * 2020-07-07 2021-06-16 둥관 포커스 오토메이션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마스크 이어밴드 고속 초음파 용접 방법 및 기기
KR20220018237A (ko) * 2020-08-06 2022-02-15 임영서 마스크 제조 장치 및 그에 사용되는 융착 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60645B (zh) * 2017-09-25 2023-10-31 上海威士机械有限公司 暗缝缝纫切割一体机
CN108049037B (zh) * 2018-02-01 2023-08-29 温岭市慧华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床垫包边全自动定长切布缝合机
KR102143601B1 (ko) * 2018-09-11 2020-10-15 권태희 샤워타월 제조장치
KR102065534B1 (ko) * 2019-09-16 2020-01-13 아이텐트 주식회사 막구조물 제조용 원단 제조 장치
CN113106644B (zh) * 2021-04-16 2023-07-04 安正时尚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高保温性面料服饰的加工装置及其加工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18462A (en) * 1989-10-16 1991-05-28 Sew Simple Systems, Inc. Edge finishing system
JPH07299269A (ja) * 1994-04-28 1995-11-14 Koyo Senshoku Kk 毛布の縫製方法と装置
JPH08155162A (ja) * 1994-12-07 1996-06-18 Osawa Sewing Mach Shokai:Kk 縫製装置
US5645002A (en) 1996-03-21 1997-07-08 Sew Simple Systems, Inc. Edge hemmer with corner controll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18462A (en) * 1989-10-16 1991-05-28 Sew Simple Systems, Inc. Edge finishing system
JPH07299269A (ja) * 1994-04-28 1995-11-14 Koyo Senshoku Kk 毛布の縫製方法と装置
JPH08155162A (ja) * 1994-12-07 1996-06-18 Osawa Sewing Mach Shokai:Kk 縫製装置
US5645002A (en) 1996-03-21 1997-07-08 Sew Simple Systems, Inc. Edge hemmer with corner controlle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5288B1 (ko) * 2020-07-07 2021-06-16 둥관 포커스 오토메이션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마스크 이어밴드 고속 초음파 용접 방법 및 기기
KR20220018237A (ko) * 2020-08-06 2022-02-15 임영서 마스크 제조 장치 및 그에 사용되는 융착 모듈
KR102432137B1 (ko) 2020-08-06 2022-08-16 임영서 마스크 제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2402A (ko) 2013-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8999B1 (ko) 봉제장치 및 봉제방법
KR101075133B1 (ko) 스팡글 공급 장치
KR101106601B1 (ko) 섬유 부자재 자동 절단기
KR100995355B1 (ko) 스트립 재료, 특히 섬유 또는 강철 로프 스트립을 절단하는 절단 장치
WO2018225669A1 (ja) 布類展張装置
CN103612863B (zh) 一种编织袋包裹折边机构
JPH02286190A (ja) ミシン用布送り装置
KR101505447B1 (ko) 연속작업이 가능한 급지기
US4748922A (en) Device for the manufacture of partially fabricated fitted elastic bedsheets or similar seat covers
KR100959200B1 (ko) 용지공급장치
KR20120050208A (ko) 누빔지 원단의 테두리단 봉제장치
KR101648879B1 (ko) 가열압착부를 갖는 롤형 이음김 제조장치
GB2071062A (en) Conveying webs intermittently through transverse bias cutter
KR101740287B1 (ko) 리본 고무 적재 장치
JPH07299269A (ja) 毛布の縫製方法と装置
WO2013114574A1 (ja) 縫製機
US628305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feeding tubular articles, particularly hosiery, to a sewing machine adapted to close the tubular articles at one of their axial ends
CN110249090B (zh) 布料展平装置
KR101656704B1 (ko) 직물재 제조장치
CN214005001U (zh) 自动缝纫设备
US4941418A (en) Sewing installation for fabric articles
KR102517315B1 (ko) 포대 이송장치
KR102187392B1 (ko) 자동급지기
KR100705534B1 (ko) 자동진공성형 시스템의 원단이송장치
KR101312825B1 (ko) 스팡글원단 제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