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6508B1 - 장식유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장식유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6508B1
KR101386508B1 KR1020070085731A KR20070085731A KR101386508B1 KR 101386508 B1 KR101386508 B1 KR 101386508B1 KR 1020070085731 A KR1020070085731 A KR 1020070085731A KR 20070085731 A KR20070085731 A KR 20070085731A KR 101386508 B1 KR101386508 B1 KR 1013865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layer
printing
printed
sil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5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1022A (ko
Inventor
유기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857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6508B1/ko
Priority to PCT/KR2008/002892 priority patent/WO2009028785A1/en
Publication of KR20090021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10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65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65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7/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 C03C17/34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7/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41M1/14Multicolour printing
    • B41M1/18Printing one ink over an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41M1/26Printing on other surfaces than ordinary paper
    • B41M1/34Printing on other surfaces than ordinary paper on glass or ceramic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44C3/02Superimposing lay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217/00Coatings on glass
    • C03C2217/70Properties of coatings
    • C03C2217/72Decorative coating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 Printing Methods (AREA)
  • Surface Treatment Of Gla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식유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유리의 이면에 다중 인쇄층이 실크인쇄되어 가전제품이나 가구와 같은 제품의 전면에 마련되는 것으로, 다중 인쇄층의 외곽 쪽이 보다 말끔하게 처리되어 실크인쇄작업 후 그 외곽을 별도의 부재를 통해 가릴 필요가 없도록 마련된 장식유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장식유리는 본 발명은 유리와, 상기 유리 이면에 실크인쇄를 통해 마련되는 N개 인쇄층으로 형성되는 다중 인쇄층을 구비하여 가전제품을 포함하는 제품의 전면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다중 인쇄층은 상기 유리 이면에 실크인쇄 된 제1인쇄층과, 상기 제1인쇄층 이면에 차례로 실크인쇄 된 N-1개의 인쇄층을 포함하되, 상기 제1인쇄층은 상기 유리 이면 외곽 쪽에 형성되고, 상기 N-1개의 인쇄층의 외곽은 상기 유리 전방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1인쇄층에 의해 가려지도록 마련된다.

Description

장식유리 및 그 제조방법{A DECORATION GLAS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 SAME}
본 발명은 장식유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전제품과 같은 제품 전면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기 위해 유리의 배면에 실크인쇄를 통해 다중 인쇄층이 마련되는 장식유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에어컨이나/세탁기/냉장고 등의 가전제품이나 장롱과 같은 가구 중에는 전면에 이러한 제품들의 본체 전방 쪽 표면을 긁힘 등의 손상으로부터 보호하면서 제품의 전면이 보다 아름답게 보일 수 있도록 하는 장식유리가 마련된 것이 있다.
이러한 장식유리는 통상 가열 처리를 통해 강화된 유리 이면에 다중 인쇄층을 형성함으로써 다양한 색상과 패턴을 갖도록 마련되는데, 이때 다중 인쇄층은 통상 실크인쇄방법을 통해 형성된다.
도 1에는 실크인쇄방법을 통해 유리 이면에 다중 인쇄층이 형성되도록 하여 마련된 종래 장식유리의 단면구조가 도시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중 인쇄층(2)이 5개의 인쇄층(2a,2b.2c,2d,2e)으로 이루어질 때를 가정해 보면, 상기 유리(1)의 이면에는 각기 다른 색상과 패턴 을 갖는 제1 내지 제5인쇄층(2a,2b,2c.2d.2e)이 차례로 실크인쇄 된다.
즉, 이때는 먼저 제1인쇄층(2a)의 패턴에 대응하는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메워진 스크린(미도시)을 유리(1) 이면에 인쇄틀(미도시)로 고정시킨 상태에서 스크린(미도시) 위에서 스퀴지(미도시)로 잉크를 밀어 넣어 유리(1) 이면에 제1인쇄층(2a)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이후 제1인쇄층(2a)을 건조시킨 상태에서 제1인쇄층(2a) 이면에 이와 동일한 방식으로 제2 내지 제5인쇄층(2b,2c,2d,2e)을 차례로 실크인쇄 하게 되면, 유리(1)의 이면에 다중 인쇄층(2)이 형성되면서 장식유리가 제조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실크인쇄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종래 장식유리의 경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중 인쇄층(2)을 형성하는 제1 내지 제5인쇄층(2a,2b,2c,2d,2e)이 상호 거의 동일한 면적을 유지한 상태에서 중첩되게 포개어지도록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다중 인쇄층(2)의 외곽 쪽에서 각 인쇄층(2a,2b,2c,2d,2e)이 건조하는 과정 중에 발생하는 잉크가 번지는 현상이나 인쇄틀(미도시)의 셋팅시 오차 등으로 인해 각 인쇄층(2a,2b,2c,2d,2e)의 외곽 쪽이 상호 일치되지 못하게 되면서 실크인쇄작업이 완료된 상태에서 다중 인쇄층(2)의 외곽 쪽이 말끔하게 처리되지 못하고 지저분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근래에는 실크인쇄작업이 완료된 상태에서 후처리로써 장식유리의 외곽 쪽 전면을 샤시(3)와 같은 부재로 감싸 덮어 다중 인쇄층(2)의 지저분한 외곽 쪽이 장식유리의 전방 쪽에서 보았을 때 보이지 않도록 하고 있는 실정이나, 이때는 샤시(3)와 같은 부재의 추가작업으로 인해 장식유리의 제조작업이 더욱 복잡하 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유리의 이면에 다중 인쇄층이 실크인쇄 되어 가전제품이나 가구와 같은 제품의 전면에 마련되는 것으로, 다중 인쇄층의 외곽 쪽이 보다 말끔하게 처리되어 실크인쇄작업 후 외곽 쪽을 별도의 다른 부재로 가릴 필요가 없도록 마련된 장식유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유리와, 상기 유리 이면에 실크인쇄를 통해 마련되는 N개 인쇄층으로 형성되는 다중 인쇄층을 구비하여 가전제품을 포함하는 제품의 전면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장식유리에 있어서, 상기 다중 인쇄층은 상기 유리 이면에 실크인쇄 된 제1인쇄층과, 상기 제1인쇄층 이면에 차례로 실크인쇄 된 N-1개의 인쇄층을 포함하되, 상기 제1인쇄층은 상기 유리 이면 외곽 쪽에 형성되고, 상기 N-1개의 인쇄층의 외곽은 상기 유리 전방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1인쇄층에 의해 가려지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N-1개의 인쇄층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제1인쇄층은 동일한 색상과 패턴을 갖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인쇄층은 상기 N-1개의 인쇄층과 차별되는 색상과 색채를 갖도 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식유리의 제조방법은 유리 이면에 N개의 인쇄층으로 형성되는 다중 인쇄층을 실크인쇄하여 가전제품을 포함하는 제품의 전면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장식유리를 제조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유리 이면 외곽 쪽에 제1인쇄층을 실크인쇄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인쇄층 이면에 N-1개의 인쇄층을 차례로 실크인쇄 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단계에서 상기 제1인쇄층은 상기 유리 이면 외곽 쪽에 형성되도록 실크인쇄 되고, 상기 2단계에서 N-1개의 각 인쇄층은 외곽 쪽이 상기 유리 전방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1인쇄층에 의해 가려지도록 상기 제1인쇄층 이면에 실크인쇄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장식유리 제조방법은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N-1개의 인쇄층은 외곽선이 상기 제1인쇄층의 외곽선과 내곽선 사이에 위치되도록 제1인쇄층 이면에 실크인쇄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식유리 제조방법은 상기 제1단계에서 제1인쇄층의 외곽선과 내곽선 사이의 폭이 2mm-3mm 범위 내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장식유리 및 그 제조방법에 따르면, 유리의 이면에 마련되는 다중 인쇄층 중에서 제1인쇄층은 유리의 이면 외곽 쪽에 실크인쇄 되고, 제1인쇄층을 제외한 나머지 다중 인쇄층의 인쇄층들은 유리 전방에서 보았을 때 그 외곽 쪽이 제1인쇄층을 통해 가려지도록 제1인쇄층 이면에 실크인쇄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장식유리는 제1인쇄층의 경우 외곽 쪽이 다른 인쇄층과 중첩되는 것이 방지되고, 제1인쇄층을 제외한 나머지 다중 인쇄층의 인쇄층들은 외곽 쪽이 상호 중첩되어 지저분해지더라도 유리 전방에서 보았을 때 제1인쇄층에 의해 가려지게 되므로, 실크인쇄작업 후 외곽 쪽을 별도의 다른 부재로 가릴 필요가 없게 된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장식유리(10)는 에어컨이나/세탁기/냉장고 등의 가전제품이나 장롱과 같은 가구 또는 건축물 등을 포함하는 제품의 전면에 제품의 보호 및 미관의 향상을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 처리를 통해 강화된 유리(20)와, 이러한 유리(20) 이면에 실크인쇄를 통해 형성된 다중 인쇄층(30)을 구비하여 전방 쪽에서 보았을 때 다양한 색상과 패턴을 연출하게 된다.
참고로 도 2에는 장식유리(10)가 에어컨(A) 전면에 설치된 예가 도시되는데, 이러한 장식유리(10)는 상기 냉장고나 장롱 등에 적용될 경우 도어의 전면을 덮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또 장식유리(10)는 제품 본체의 전면을 전체적으로 덮도록 마련될 수도 있고, 전면의 일부만 형성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다중 인쇄층(30)은 유리(20) 이면에 실크인쇄 되는 제1인쇄층(31)과, 제1인쇄층(31) 이면에 차례로 실크인쇄 되는 제2 내지 제5인쇄 층(32,33,34,35)을 구비하여 총 5개의 인쇄층(31,32,33,34,35)으로 마련된다.
여기서 제1 내지 제5인쇄층(31,32,33,34,35)은 각각 다른 색상과 패턴을 갖도록 마련되거나 일부만 서로 같은 색상과 패턴을 갖도록 마련될 수도 있으며, 다중 인쇄층(30)이 모두 인쇄된 상태에서 유리(20)의 전방 쪽에서 보게 되면 각 인쇄층(31,32,33,34,35)의 색상과 패턴이 모두 나타나게 되면서 장식유리(10)는 전체적으로 다양한 색상과 패턴을 연출하게 된다.
한편, 다중 인쇄층(30)에 있어서, 상기 제1인쇄층(31)은 상기 유리(20)의 이면 외곽 쪽에 마련되고, 상기 제2 내지 제5인쇄층(32,33,34,35)은 유리(20) 전방에서 보았을 때 그 외곽 쪽이 상기 제1인쇄층(31)에 의해 가려지도록 제1인쇄층(31) 이면에 마련되는데,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장식유리(10)는 외곽 쪽이 보다 말끔하게 처리될 수 있게 되어 실크인쇄를 통해 유리(20) 이면에 다중 인쇄층(30)이 마련된 상태에서 별도의 부재를 통해 그 외곽을 가릴 필요가 없게 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본 실시예와 같이 제1인쇄층(31)을 유리(20)의 이면 외곽 쪽에 마련한 상태에서, 제2 내지 제5인쇄층(32,33,34,35)을 그 외곽이 유리(20) 전면에서 보았을 때 제1인쇄층(31)에 의해 가려지도록 제1인쇄층(31) 이면에 형성하게 되면, 제2 내지 제5인쇄층(31,32,34,35)이 건조되는 과정 중 외곽 쪽에서 잉크가 번지는 형상이 발생하거나 인쇄틀(미도시)의 셋팅시의 오차 등으로 인해 상호 중첩된 제2 내지 제5인쇄층(32,33,34,35)의 외곽 쪽이 상호 일치되지 못하게 되면서 지저분해지더라도 이러한 제2 내지 제5인쇄층(32,33,34,35)의 외곽이 제 1인쇄층(31)에 가려져 유리(20) 전방 쪽에서는 보이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장식유리(10)는 다중 인쇄층(30)이 형성된 상태에서 종래처럼 외곽 쪽 전면을 샤시와 같은 부재로 감싸는 후처리 작업을 수행하지 않더라도 깔끔한 외관을 갖게 되므로, 그 제조과정이 간소화 됨은 물로 후처리 작업 없이 바로 제품 전면에 설치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다중 인쇄층(30)에 있어서 상기 제2 내지 제5인쇄층(32,33,34,35) 중 제5인쇄층(35)은 바탕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패턴을 위주로 하는 다른 인쇄층(32,33,34)에 비해 채색면적이 넓게 형성되는데,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인쇄층(31)은 이러한 제5인쇄층(35)과 동일한 색상과 패턴을 갖도록 마련되며, 이 상태에서는 다중 인쇄층(30)이 모두 마련된 상태에서 장식유리(10) 전면에서 보았을 때 제1인쇄층(31)과 제5인쇄층(35)은 함께 바탕을 이루게 된다.
다음은 이와 같이 마련되는 장식유리(10)의 제조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장식유리(10)의 제조는 상기 유리(20) 이면에 다중 인쇄층(30)을 실크인쇄하는 간단한 과정만을 거쳐 완료되며, 이때는 상기 유리(20) 이면 외곽 쪽에 제1인쇄층(31)을 실크인쇄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인쇄층(31) 이면에 제2 내지 제5 인쇄층(32,33,34,35)을 차례로 실크인쇄 하는 제2단계를 거치게 된다.
먼저 제1단계에서는 상기 제1인쇄층(31)을 유리(20) 이면 외곽 쪽에 실크인 쇄 하게 되는데, 이때는 외곽 안쪽이 메워진 스크린(미도시)을 유리(20) 이면에 인쇄틀(미도시)로 고정시킨 상태에서 스크린(미도시) 위에서 스퀴지(미도시)로 잉크를 밀어 넣어 유리(20) 이면 외곽 쪽에 제1인쇄층(31)을 형성하게 되며, 이때 사용되는 스크린(미도시)은 150-300 메쉬(mesh) 정도의 촘촘한 것을 사용하여 제1인쇄층(31) 전체에 잉크가 고르게 발라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와 도 5에는 이와 같이 제1인쇄층(31)이 이면에 실크인쇄된 유리(20)의 구조가 도시된다.
그리고 이후 제1인쇄층(31)을 건조시킨 상태에서는 제2단계가 수행되며, 이때는 먼저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인쇄층(31) 이면에 제2인쇄층(32)의 패턴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메워진 다른 스크린(미도시)을 고정시키고 제2인쇄층(32)의 색상에 해당하는 잉크를 통해 제2인쇄층(32)을 실크인쇄 하게 된다. 이때 제2인쇄층(32)은 그 외곽선(32a)이 제1인쇄층(31)의 외곽선(31a)과 내곽선(31b) 사이에 위치하도록 제1인쇄층(31) 이면에 실크인쇄 되고, 제2단계는 이후 제2인쇄층(32)이 건조된 상태에서 상기 제3 내지 제5인쇄층(33,34,35)을 제2인쇄층(32)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2인쇄층(32) 이면에 차례로 실크인쇄 하고 건조시킴에 따라 완료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장식유리(10)는 제2 내지 제5인쇄층(32,33,34,35)의 외곽이 상호 중첩된 상태로 번지게 되거나 틀어지게 되면서 지저분해 지더라도 장식유리(10) 번방에서 보았을 때 이러한 제2 내지 제5인쇄층(32,33,34,35)의 외곽 쪽이 제1인쇄층(31)에 의해 가려져 보이지 않게 된다.
또 제2 내지 제5인쇄층(32,33,34,35)과 같이 외곽이 중첩된 인쇄 층(32,33,34,35)에 있어서 외곽 쪽 인쇄불량 범위는 평균적으로 보았을 때 대략 1mm ~ 1.5mm 정도가 되는데, 이를 충분하게 가릴 수 있도록 상기 제1인쇄층(31)의 외곽선(31a)과 내곽선(31b) 사이의 폭은 2mm ~ 3mm 정도의 범위 내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8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식유리(10)의 단면구조가 도시되며,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인쇄층(31′)은 다중 인쇄층(30′)의 제2 내지 제5인쇄층(32,33,34,35)과 차별되는 색상 및 패턴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이때는 장식유리(10) 전방에서 보았을 때 제1인쇄층(31′)이 독자적으로 테두리 형태를 이루게 되면서 장식유리(10)를 통해 보다 다양한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장식유리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식유리가 에어컨 본체 전면에 설치된 상태를 대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식유리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에에 따른 장식유리의 제조과정 중 제1단계에서 유리 이면에 제1인쇄층이 실크인쇄 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제1인쇄층이 이면에 인쇄된 상태에 있는 도 4의 유리를 유리 전방 쪽에서 보이는 상태로 도시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에에 따른 장식유리를 제조과정 중 제2단계에서 제1인쇄층 이면에 제2인쇄층이 실크인쇄 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제1인쇄층과 제2인쇄층까지가 이면에 인쇄된 도 6의 유리를 유리 전방 쪽에서 보이는 상태로 도시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식유리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장식유리 20: 유리
30: 다중 인쇄층 31: 제1인쇄층
32: 제2인쇄층 33: 제3인쇄층
34: 제4인쇄층 35: 제5인쇄층

Claims (6)

  1. 유리와, 상기 유리 이면에 실크인쇄를 통해 마련되는 N개의 인쇄층으로 형성되는 다중 인쇄층을 구비하여 가전제품을 포함하는 제품의 전면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장식유리에 있어서,
    상기 다중 인쇄층은 상기 유리 이면에 실크인쇄 된 제1인쇄층과, 상기 제1인쇄층 이면에 차례로 실크인쇄 된 N-1개의 인쇄층을 포함하되,
    상기 제1인쇄층은 상기 유리 이면 외곽 쪽에 형성되고, 상기 N-1개의 인쇄층의 외곽은 상기 유리 전방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1인쇄층에 의해 가려지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유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N-1개의 인쇄층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제1인쇄층은 동일한 색상과 패턴을 갖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유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인쇄층은 상기 N-1개의 인쇄층과 차별되는 색상과 색채를 갖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유리.
  4. 유리 이면에 N개의 인쇄층으로 형성되는 다중 인쇄층을 실크인쇄하여 가전제 품을 포함하는 제품의 전면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장식유리를 제조함에 있어서,
    상기 유리 이면 외곽 쪽에 제1인쇄층을 실크인쇄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인쇄층 이면에 N-1개의 인쇄층을 차례로 실크인쇄 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단계에서 상기 제1인쇄층은 상기 유리 이면 외곽 쪽에 형성되도록 실크인쇄 되고, 상기 2단계에서 N-1개의 각 인쇄층은 외곽 쪽이 상기 유리 전방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1인쇄층에 의해 가려지도록 상기 제1인쇄층 이면에 실크인쇄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유리 제조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N-1개의 인쇄층은 외곽선이 상기 제1인쇄층의 외곽선과 내곽선 사이에 위치되도록 제1인쇄층 이면에 실크인쇄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유리의 제조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에서 제1인쇄층의 외곽선과 내곽선 사이의 폭은 2mm-3mm 범위 내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유리 제조방법.
KR1020070085731A 2007-08-24 2007-08-24 장식유리 및 그 제조방법 KR1013865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5731A KR101386508B1 (ko) 2007-08-24 2007-08-24 장식유리 및 그 제조방법
PCT/KR2008/002892 WO2009028785A1 (en) 2007-08-24 2008-05-23 Decoration glas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5731A KR101386508B1 (ko) 2007-08-24 2007-08-24 장식유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1022A KR20090021022A (ko) 2009-02-27
KR101386508B1 true KR101386508B1 (ko) 2014-04-17

Family

ID=40387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5731A KR101386508B1 (ko) 2007-08-24 2007-08-24 장식유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86508B1 (ko)
WO (1) WO20090287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4746B1 (ko) * 2009-07-23 2012-04-12 윤종호 냉장고용 유리선반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냉장고용 유리선반
CN109383093A (zh) * 2018-12-19 2019-02-26 广东中航特种玻璃技术有限公司 立体装饰玻璃及其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93519A (en) * 1933-06-01 1935-03-05 Eugene F Miltenberger Roller conveyer
JPH08282082A (ja) * 1995-04-10 1996-10-29 Hikari Maeda シルクスクリーン印刷ガラス装飾体
KR20000073380A (ko) * 1999-05-10 2000-12-05 장형기 장식용 판유리의 인쇄방법 및 그 인쇄장치
KR20060029173A (ko) * 2006-03-15 2006-04-04 안대훈 유리를 이용한 건축물 내외장용 미끄럼 방지판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020972C1 (ko) * 1990-06-30 1991-06-06 Vegla Vereinigte Glaswerke Gmbh, 5100 Aachen, D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93519A (en) * 1933-06-01 1935-03-05 Eugene F Miltenberger Roller conveyer
JPH08282082A (ja) * 1995-04-10 1996-10-29 Hikari Maeda シルクスクリーン印刷ガラス装飾体
KR20000073380A (ko) * 1999-05-10 2000-12-05 장형기 장식용 판유리의 인쇄방법 및 그 인쇄장치
KR20060029173A (ko) * 2006-03-15 2006-04-04 안대훈 유리를 이용한 건축물 내외장용 미끄럼 방지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028785A1 (en) 2009-03-05
KR20090021022A (ko) 2009-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310887A1 (en) Decoration Panel And Home Appliance With Decoration Panel
CN104729201A (zh) 冰箱
JP6952947B2 (ja) 自動車用デコレーション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386508B1 (ko) 장식유리 및 그 제조방법
US20080248290A1 (en) Method for surface treatment of shells
CN1639527B (zh) 家用电器的外壳
USD958471S1 (en) Electronic washing and drying machine for laundry purpose
USD957072S1 (en) Electronic washing and drying machine for laundry purpose
USD958475S1 (en) Electronic washing and drying machine for laundry purpose
KR200470645Y1 (ko) 페어 글라스 창문
EP3553385B1 (en) A household appliance comprising a wall and a method for producing a wall of the household appliance or of a component for the household appliance
CN102470691A (zh) 装饰面板及配备有该装饰面板的家用电器
KR102003669B1 (ko) Ag 잉크를 패널에 인쇄하는 방법 및 이 방법으로 인쇄되는 패널
ES2401718T3 (es) Un método para producir estratificados o paneles decorativos con telas
MX2007002931A (es) Recubrimiento teñido anti-huellas digitales sobre acero inoxidable 430 para electrodomesticos.
CN206817616U (zh) 一种渐变色空调弧形面板
KR101694538B1 (ko) 가전기기용 외장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CN109422468A (zh) 一种具有两种或多种颜色的镀膜盖板的方法
CN214501864U (zh) 一种彩色玻璃面板的冰箱门体
CN112539593A (zh) 一种彩色玻璃面板的冰箱门体及其生产工艺
DE102009046785A1 (de) Haushaltsgerät mit einer lösbaren Abdeckung für ein Anzeige- und Bedienfeld
JP6735836B2 (ja) 冷蔵庫
JP4458392B2 (ja) 装飾パネル板
JP2008183313A5 (ko)
KR100320653B1 (ko) 돗자리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