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0645Y1 - 페어 글라스 창문 - Google Patents

페어 글라스 창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0645Y1
KR200470645Y1 KR2020110008263U KR20110008263U KR200470645Y1 KR 200470645 Y1 KR200470645 Y1 KR 200470645Y1 KR 2020110008263 U KR2020110008263 U KR 2020110008263U KR 20110008263 U KR20110008263 U KR 20110008263U KR 200470645 Y1 KR200470645 Y1 KR 2004706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yph
pattern
pair
glass
decora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82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1878U (ko
Inventor
김인수
Original Assignee
김인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인수 filed Critical 김인수
Priority to KR20201100082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0645Y1/ko
Publication of KR2013000187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187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06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064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604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comprising false glazing bars or similar decorations between the p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00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 B32B17/1003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comprising two outer glass sheets
    • B32B17/1004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comprising two outer glass sheets with at least one intermediate layer consisting of a glass sheet
    • B32B17/10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comprising two outer glass sheets with at least one intermediate layer consisting of a glass sheet with at least one intermediate air spac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63Elements for spacing panes
    • E06B3/66309Section members positioned at the edges of the glazing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페어 글라스 창문에 관한 것으로, 한 쌍의 유리와 한 쌍의 유리 사이에 배치되는 창문살에 대해 창문살에는 제 1 문양부를 투각 형성하고 유리에는 제 2 문양부를 인쇄 형성하며, 제 1 문양부와 제 2 문양부가 서로 겹쳐지며 하나의 장식 문양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투각 방식에 의한 문양과 인쇄 방식에 의한 문양의 조합을 통해 더욱 다양한 장식 효과를 발휘할 수 있고, 제 1 문양부와 제 2 문양부를 각각 독립적으로 분리하여 형성하고 조합함으로써,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장식 문양의 형태를 간편하게 변경할 수 있는 페어 글라스 창문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페어 글라스 창문{Pair Glass Window}
본 고안은 페어 글라스 창문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한 쌍의 유리와 한 쌍의 유리 사이에 배치되는 창문살에 대해 창문살에는 제 1 문양부를 투각 형성하고 유리에는 제 2 문양부를 인쇄 형성하며, 제 1 문양부와 제 2 문양부가 서로 겹쳐지며 하나의 장식 문양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투각 방식에 의한 문양과 인쇄 방식에 의한 문양의 조합을 통해 더욱 다양한 장식 효과를 발휘할 수 있고, 제 1 문양부와 제 2 문양부를 각각 독립적으로 분리하여 형성하고 조합함으로써,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장식 문양의 형태를 간편하게 변경할 수 있는 페어 글라스 창문에 관한 것이다.
건물 빌딩의 외부창호, 아파트나 일반 주택의 창호, 기차나 선박 또는 항공기의 외부창호, 쇼핑매장의 냉동, 보온기기의 투시부 등에는 페어 글라스 창문이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페어 글라스란 최소 두 장의 판유리와 스페이서를 이용하여 건조한 공기층을 갖도록 만들어진 복층 유리로써 창호를 통해 빠져나가는 열에너지의 양을 감소시켜 단열, 결로 방지 및 방음 효과가 큰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페어 글라스의 두 유리판 사이에는 별도의 장식물을 삽입하여 장식하는 경우가 많이 있는데, 대표적으로 격자 또는 여러 가지 장식 문양이 형성된 창문살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페어 글라스 사이 공간에 장식을 위해 배치되는 창문살은 매우 다양한 방식으로 제작될 수 있는데, 특히 하나의 목재 패널을 절단 가공하여 장식 문양을 투각 형성하는 방식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방식은 고유의 전통 문양 등을 고풍스럽게 형성할 수 있어 그 장식 효과가 매우 우수하다는 점에서 최근 더욱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창문살 제작 방식은 일반적으로 목재 패널에 흑색 도료를 도포한 후, 목재 패널에 장식 문양이 투각 형성되도록 목재 패널을 절단 가공하는 방식으로 진행되며, 따라서, 장식 문양은 흑색 도료에 의해 검은색 윤곽을 갖는 형태로 형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제작된 창문살은 독특한 장식 효과를 발휘하지만, 이러한 특정 장식 효과 이외에 다른 다양한 장식 효과를 구현할 수 없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었다. 특히, 장식 문양이 목재 패널에 투각 형성되기 때문에, 그 구조상 다양한 문양을 표현하는데 한계가 있었으며, 다양한 색상 표현 또는 실사 이미지 등을 표현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였으며, 이를 표현하기 위해서는 매우 어려운 작업 공정을 거쳐야 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한 쌍의 유리와 한 쌍의 유리 사이에 배치되는 창문살에 대해 창문살에는 제 1 문양부를 투각 형성하고 유리에는 제 2 문양부를 인쇄 형성하며, 제 1 문양부와 제 2 문양부가 서로 겹쳐지며 하나의 장식 문양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투각 방식에 의한 문양과 인쇄 방식에 의한 문양의 조합을 통해 더욱 다양한 장식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페어 글라스 창문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제 1 문양부와 제 2 문양부를 각각 독립적으로 분리하여 형성하고 조합함으로써,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장식 문양의 형태를 간편하게 변경할 수 있는 페어 글라스 창문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목재 패널을 열에 의해 절단 가공하여 제 1 문양부를 투각 형성함으로써, 목재 패널에 형성된 제 1 문양부의 절단면이 연소되어 흑색으로 나타나도록 하고, 이에 따라 제 1 문양부의 절단면에 대한 별도의 도색 작업 없이 단순 절단 가공 작업만으로 창문살을 제작 완료할 수 있어 작업 공정이 단순하고 제작 비용이 절감되며 더욱 신속하게 창문살을 제작할 수 있는 페어 글라스 창문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제 1 문양부에 별도의 문양 블록을 삽입 결합할 수 있도록 문양 교체부를 형성함으로써, 다양한 색상의 문양 블록을 문양 교체부에 단순 교체 삽입하여 다양한 장식 효과를 간편하고 용이하게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페어 글라스 창문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한 쌍의 유리와, 상기 한 쌍의 유리 사이에 배치되는 창문살을 포함하는 페어 글라스 창문에 있어서, 상기 창문살에는 일측에 제 1 문양부가 투각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유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면에는 상기 제 1 문양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 2 문양부가 인쇄 방식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문양부 및 제 2 문양부가 서로 겹쳐지며 하나의 장식 문양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어 글라스 창문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창문살은 상기 제 1 문양부가 투각 형성되도록 흑색 도료가 도포된 하나의 목재 패널을 상기 제 1 문양부의 형태에 따라 절단 가공하는 방식으로 제작되며, 상기 목재 패널의 두께 방향으로 형성되는 상기 제 1 문양부의 절단면이 연소되어 흑색으로 나타나도록 상기 목재 패널을 열에 의해 절단 가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문양부에는 별도의 문양 블록을 끼워맞춤 방식으로 삽입 결합할 수 있도록 일측에 문양 교체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문양부는 실크 스크린 인쇄 방식으로 인쇄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한 쌍의 유리와 한 쌍의 유리 사이에 배치되는 창문살에 대해 창문살에는 제 1 문양부를 투각 형성하고 유리에는 제 2 문양부를 인쇄 형성하며, 제 1 문양부와 제 2 문양부가 서로 겹쳐지며 하나의 장식 문양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투각 방식에 의한 문양과 인쇄 방식에 의한 문양의 조합을 통해 더욱 다양한 장식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 1 문양부와 제 2 문양부를 각각 독립적으로 분리하여 형성하고 조합함으로써,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장식 문양의 형태를 간편하게 변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목재 패널을 열에 의해 절단 가공하여 제 1 문양부를 투각 형성함으로써, 목재 패널에 형성된 제 1 문양부의 절단면이 연소되어 흑색으로 나타나도록 하고, 이에 따라 제 1 문양부의 절단면에 대한 별도의 도색 작업 없이 단순 절단 가공 작업만으로 창문살을 제작 완료할 수 있어 작업 공정이 단순하고 제작 비용이 절감되며 더욱 신속하게 창문살을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 1 문양부에 별도의 문양 블록을 삽입 결합할 수 있도록 문양 교체부를 형성함으로써, 다양한 색상의 문양 블록을 문양 교체부에 단순 교체 삽입하여 다양한 장식 효과를 간편하고 용이하게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어 글라스 창문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어 글라스 창문의 장식 문양에 대한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식 문양의 제 1 문양부에 대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장식 문양이 적용된 페어 글라스 창문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어 글라스 창문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어 글라스 창문의 장식 문양에 대한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어 글라스 창문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어 글라스를 이루는 한 쌍의 유리(110,120)와, 한 쌍의 유리(110,120) 사이에 배치되는 창문살(20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러한 한 쌍의 유리(110,120)와 창문살(200)은 서로 결합된 상태로 별도의 창틀 프레임(미도시)에 삽입 결합되어 하나의 페어 글라스 창문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이때, 한 쌍의 유리(110,120) 사이에 배치되는 창문살(200)에는 일측에 제 1 문양부(310)가 투각 형성되고, 한 쌍의 유리(110,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제 1 문양부(310)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 2 문양부(320)가 인쇄 방식으로 형성되며, 제 1 문양부(310) 및 제 2 문양부(320)는 한 쌍의 유리(110,120)와 창문살(200)이 서로 결합함에 따라 상호 겹쳐지며 하나의 장식 문양(300)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즉, 창문살(200)에는 투각 형태의 제 1 문양부(310)가 형성되고, 한 쌍의 유리(110,120)에는 인쇄 형태의 제 2 문양부(320)가 형성되며, 제 1 문양부(310) 및 제 2 문양부(320)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 및 대응되는 문양으로 형성됨으로써, 한 쌍의 유리(110,120)와 창문살(200)이 서로 결합할 때, 서로 조화롭게 어울리며 하나의 장식 문양(300)을 이루게 된다. 이때, 창문살(200)에 투각 형태로 형성되는 제 1 문양부(310)는 그 구조상 상대적으로 단순한 형태의 문양으로 형성되고, 유리(110,120)에 인쇄 형태로 형성되는 제 2 문양부(320)는 실사 이미지와 같이 상대적으로 더 복잡한 문양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2개의 문양을 혼합하여 더욱 다양한 장식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문양부(310)는 상대적으로 단순한 형태인 화병 문양으로 형성하고, 제 2 문양부(320)는 화병에 대응되는 문양으로서 상대적으로 복잡한 형태인 꽃 문양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이때, 제 2 문양부(320)는 인쇄 방식의 특성상 실사 이미지와 같이 다양한 색상을 가미하여 매우 디테일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꽃 문양은 국화, 장미, 매화 등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물론, 화병과 꽃 문양이 아닌 또 다른 다양한 형태로 형성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 1 문양부(310)를 어항 문양으로 형성하고, 제 2 문양부(320)를 물고기 문양으로 형성하는 등,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이 경우에도 제 2 문양부(320)는 다양한 색상이 가미된 형태로 실사 이미지와 같이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 문양부(310)와 제 2 문양부(320)는 화병과 꽃, 어항과 물고기와 같이 서로 대응되는 문양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이와 달리 각각 독립적인 문양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 1 문양부(310)와 제 2 문양부(320)는 한 쌍의 유리(110,120)와 창문살(200)이 상호 결합한 상태에서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문양부(310)인 화병 문양에 제 2 문양부(320)인 꽃 문양이 꽂힌 형태로 하나의 장식 문양(300)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 2 문양부(320)를 형성하는 인쇄 방식은 유리(110,120)에 인쇄하는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실크 스크린 인쇄 방식 등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제 1 문양부(310) 또한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창문살(200)에 투각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투각이란, 묘사할 대상의 윤곽을 남겨놓고 나머지 부분을 파내거나 또는 윤곽을 파내어 구멍을 뚫는 방식의 장식 기법을 의미하며, 창문살의 특성상, 특히 이러한 창문살이 페어 글라스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창문이 창문살에 의해 불투명해지지 않도록 음각 또는 양각 방식의 장식 문양이 아니라 투각 방식으로 장식 문양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 1 문양부(310)는 목재 패널을 절단 가공하여 투각 형성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내용은 도 3 및 도 4를 중심으로 좀 더 자세히 살펴본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식 문양의 제 1 문양부에 대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장식 문양이 적용된 페어 글라스 창문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중심으로 제 1 문양부(310)가 투각 형성된 창문살(200)을 제작하는 방식을 자세히 살펴보면, 먼저, 창문살(200)을 이루는 평판형의 목재 패널을 준비하고, 이러한 목재 패널의 외주면에 흑색 도료(202)를 도포한 후, 목재 패널에 제 1 문양부(310)가 투각 형성되도록 목재 패널을 제 1 문양부(310)의 형태에 따라 절단 가공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이러한 과정에 따라 목재 패널에는 제 1 문양부(310)의 형태에 따라 목재 패널의 두께 방향으로 절단면(201)이 형성되는데,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문살(200)은 이러한 절단면(201)이 목재 패널의 절단 가공 과정에서 연소되어 검정색으로 나타나도록 목재 패널을 열에 의해 절단 가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별도의 레이저 빔 발생기(300)를 통해 제 1 문양부(310)의 윤곽 형태를 따라 레이저 빔을 목재 패널에 조사함으로써, 목재 패널이 레이저 빔에 의해 절단면에서 연소되며 제 1 문양부(310)의 형태대로 절단 가공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목재 패널에 형성된 제 1 문양부(310)의 절단면(201)은 이러한 연소에 의해 흑색으로 형성되므로, 절단면(201)에 별도의 도색 작업을 하지 않더라도 목재 패널의 외주면에 도포된 흑색 도료(202)와 동일한 색상으로 형성된다. 즉, 종래 기술에 따른 일반적인 제 1 문양부(310) 절단 가공 방식에 의하면, 제 1 문양부(310)의 절단면(201)에 목재 재질의 색상이 그대로 노출되므로, 절단면(201)에 별도의 도색 작업이 추가로 필요했으나, 본 고안에서는 이러한 추가적인 도색 작업이 불필요하여 작업 공정이 단순하고 편리하며, 더욱 신속하게 제작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형성되는 제 1 문양부(310)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문양 블록(312)을 삽입 결합할 수 있도록 일측에 문양 교체부(311)가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문양부(310)가 화병 문양으로 형성된 경우, 화병 문양의 특정 장식 부위를 문양 교체부(311)로 형성하고, 이러한 문양 교체부(311)에 별도의 문양 블록(312)을 삽입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문양 교체부(311)는 문양 블록(312)이 끼워맞춤 방식으로 삽입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별도의 공구 없이도 문양 블록(312)을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고, 또 다른 다양한 문양 블록(312)으로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이 경우, 문양 교체부(311)와 문양 블록(312)의 결합력 강화를 위해 서로 결합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 돌기(미도시) 및 결합홈(미도시) 등을 형성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호 맞물림되며 끼워맞춤 결합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단순히 억지 끼워맞춤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는 등 다양한 형태로 변경 가능하다.
이와 같이 제 1 문양부(310)에 문양 교체부(311)를 형성하고, 문양 교체부(311)에 별도의 문양 블록(312)을 삽입 결합하도록 구성하게 되면, 다양한 문양 블록(312)을 문양 교체부(311)에 삽입 결합함으로써, 제 1 문양부(310)를 더욱 다양한 형태로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 2 문양부(320) 이외에 제 1 문양부(310)에 대해서도 독립적으로 다양한 장식 효과를 발휘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문양 블록(312)의 색상을 제 1 문양부(310)의 색상과 다른 색상을 갖는 형태로 구성하여 문양 교체부(311)에 삽입하게 되면, 제 1 문양부(310)에 대해서도 문양 블록(312)을 통해 특정 부위를 칼라풀한 색상으로 더욱 강조하는 효과 등을 줄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120: 유리 200: 창문살
201: 절단면 202: 도료
300: 장식 문양 310: 제 1 문양부
311: 문양 교체부 312: 문양 블록
320: 제 2 문양부

Claims (4)

  1. 한 쌍의 유리와, 상기 한 쌍의 유리 사이에 배치되는 창문살을 포함하는 페어 글라스 창문에 있어서,
    상기 창문살에는 일측에 제 1 문양부가 투각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유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면에는 상기 제 1 문양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 2 문양부가 인쇄 방식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문양부 및 제 2 문양부가 서로 겹쳐지며 하나의 장식 문양을 이루며,
    상기 제 1 문양부가 투각 형성되도록 흑색 도료가 도포된 하나의 목재 패널을 상기 제 1 문양부의 형태에 따라 절단 가공하는 방식으로 제작되며, 상기 목재 패널의 두께 방향으로 형성되는 상기 제 1 문양부의 절단면이 연소되어 흑색으로 나타나도록 레이저 절단 방식으로 절단 가공하며,
    상기 제 1 문양부에는 별도의 문양 블록을 끼워맞춤 방식으로 삽입 결합할 수 있도록 일측에 문양 교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어 글라스 창문.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문양부는 실크 스크린 인쇄 방식으로 인쇄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어 글라스 창문.

KR2020110008263U 2011-09-09 2011-09-09 페어 글라스 창문 KR2004706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8263U KR200470645Y1 (ko) 2011-09-09 2011-09-09 페어 글라스 창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8263U KR200470645Y1 (ko) 2011-09-09 2011-09-09 페어 글라스 창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1878U KR20130001878U (ko) 2013-03-19
KR200470645Y1 true KR200470645Y1 (ko) 2014-01-03

Family

ID=51409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8263U KR200470645Y1 (ko) 2011-09-09 2011-09-09 페어 글라스 창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064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0305A (ko) 2014-08-13 2016-02-23 김인수 페어 글래스의 장식 부재 부착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3468U (ko) * 2014-03-11 2015-09-21 김인수 장식용 접합 유리
KR101698298B1 (ko) * 2016-10-10 2017-01-19 김인수 창호용 페어 글래스
KR200488435Y1 (ko) * 2017-06-20 2019-01-30 최미희 조립형 유리창
KR102121913B1 (ko) * 2018-09-12 2020-06-11 주식회사 우드앤씨티 Diy 인테리어 제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8481Y1 (ko) * 2001-01-17 2001-06-15 신영화 페어글라스 창호
KR100356675B1 (ko) * 2000-10-05 2002-10-18 정기봉 목재 표면 처리 장치
KR20050022490A (ko) * 2003-08-28 2005-03-08 주식회사 청송하이테크 점착수단이 구비된 장식재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의한 장식재
JP2011167883A (ja) * 2010-02-17 2011-09-01 Akase Sangyo Kk 木質添え飾りおよ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6675B1 (ko) * 2000-10-05 2002-10-18 정기봉 목재 표면 처리 장치
KR200228481Y1 (ko) * 2001-01-17 2001-06-15 신영화 페어글라스 창호
KR20050022490A (ko) * 2003-08-28 2005-03-08 주식회사 청송하이테크 점착수단이 구비된 장식재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의한 장식재
JP2011167883A (ja) * 2010-02-17 2011-09-01 Akase Sangyo Kk 木質添え飾りおよ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0305A (ko) 2014-08-13 2016-02-23 김인수 페어 글래스의 장식 부재 부착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1878U (ko) 2013-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0645Y1 (ko) 페어 글라스 창문
KR101347156B1 (ko) 창문살 제작 방법
CN104729201A (zh) 冰箱
CN101342837A (zh) 一种可雕珠光色涂层及可雕珠光色涂层的激光雕刻工艺
KR100963949B1 (ko) 양면 무늬를 갖는 데코 글라스 및 그 제조 방법
CN104943425A (zh) 一种具有渐变效果的装饰面板制造工艺
KR200463692Y1 (ko) 페어 글라스 창문
CN204641230U (zh) 一种多层次立体感玻璃板
KR101189813B1 (ko) 조립형 장식무늬판이 구비된 복층유리 및 이의 제조방법
CN209211805U (zh) 一种随观察角度变幻的墙面装饰物
KR101527097B1 (ko) 표면에 입체무늬를 가진 장식용 유리패널 및 그 유리패널 제조방법
JP3208339U (ja) ガラス造形物
KR101163541B1 (ko) 다양한 소재의 장식물 배치가 자유로운 장식 복층유리
KR101605628B1 (ko) 페어 글래스의 장식 부재 부착 방법
TWI568698B (zh) 裝飾玻璃及其製造方法
KR100273898B1 (ko) 삼중구조를 갖는 창호용 창의 구조
KR101680860B1 (ko) 창호용 페어 글래스 및 이의 제작 방법
JP2018070438A (ja) ガラス造形物の製造方法と該方法によるガラス造形物
KR940000723B1 (ko) 장식용 유리의 제조방법
CN201427927Y (zh) 彩釉玻璃
JP5365950B2 (ja) 板材及びその板材における視点移動による模様形成方法
CN202658080U (zh) 装饰玻璃
KR101698298B1 (ko) 창호용 페어 글래스
KR200455988Y1 (ko) 무지개빛 필름지를 이용하여 제조된 장식판
KR20160020304A (ko) 창호용 페어 글래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