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5777B1 - 피톤치드가 존재하는 비타민누룽지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피톤치드가 존재하는 비타민누룽지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5777B1
KR101385777B1 KR1020110028030A KR20110028030A KR101385777B1 KR 101385777 B1 KR101385777 B1 KR 101385777B1 KR 1020110028030 A KR1020110028030 A KR 1020110028030A KR 20110028030 A KR20110028030 A KR 20110028030A KR 101385777 B1 KR101385777 B1 KR 1013857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nurungji
nutritious
pine
phytonc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8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0276A (ko
Inventor
장수희
Original Assignee
장수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수희 filed Critical 장수희
Priority to KR10201100280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5777B1/ko
Publication of KR201201102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02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57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57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61Puffed cereals, e.g. popcorn or puffed ric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톤치드(phytoncide)가 풍부한 솔잎성분이 함유된 누룽지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누룽지를 제조하기 위해 흰쌀 또는 곡물과 식물의 다양한 영양소가 흡수되었거나 섞여있는 상태의 영양쌀(혼합쌀)로 밥을 지을 때 분말형태의 솔잎가루를 소량 투입하여 밥알 등에 솔잎의 약효성분과 맛이 충분히 골고루 스며들도록 밥을 지은 다음, 구움 공정에서도 솔잎 희석액을 첨가하여 구움공정을 실행하여 솔잎성분이 잔존하는 영양쌀밥 누룽지를 제조함으로써 솔잎이 갖는 효능 및 향기에 의해 인체의 건강을 증진시키고, 솔잎에 풍부한 피톤치드(phytoncide) 성분의 천연방부재 원리를 이용한 누룽지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깨끗하게 수회 세척된 영양쌀 100중량부에 대하여 분말형태의 솔잎가루 3중량부를 1차적으로 첨가하여 영양쌀밥을 완성하는 취반단계가 선행되고, 완성된 취반단계에서 구움 공정으로 진행하기 직전에, 취반으로 완성된 영양쌀밥 100중량부(약1kg기준)에 대하여 솔잎 회석액(시중에 유통되는 일반적인 솔잎발효원액 6brix 기준 제품 대비 10배의 물로 희석함) 30g을 2차적으로 분사기를 이용하여 골고루 분사, 혼합 첨가한 후, 구움 공정과 자연건조 공정을 진행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피톤치드가 존재하는 비타민누룽지 제조방법{Vitamin-Nurungji containing Phytoncide and compounding method}
본 발명은 피톤치드(phytoncide) 성분이 풍부한 솔잎가루가 함유된 누룽지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누룽지를 제조하기 위해 쌀 또는 쌀과 함께 혼합된 곡물과 식물의 영양성분 등이 섞여있는 일명 영양쌀 등으로 밥을 지을 때 분말형태의 솔잎가루를 소량 투입하여 밥알 등에 솔잎의 약효성분과 맛이 충분히 스며들도록 밥을 지은 다음, 구움공정에서도 솔잎희석액 소량을 투입하여 누룽지를 제조함으로써 솔잎이 갖는 효능 및 향기에 의해 인체의 건강을 증진시키고, 또한 누룽지의 맛과 향도 장기간 지속될 수 있음은 물론, 세균이 범접하지 못하여 오래도록 부패하지 않고 신선한 상태로 식용 가능토록 솔잎에 풍부한 피톤치드 성분의 자연 과학적 효능을 접목시킨 천연방부재 기능의 원리를 이용한 누룽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물은 다른 미생물로부터 자기 몸을 방어하기 위해 여러 가지 살균물질을 발산하는데, 이를 통칭해 피톤치드(phytoncide)라고 한다. 피톤치드는 공기 중의 세균이나 곰팡이를 죽이고, 해충, 잡초 등이 식물을 침해하는 것을 방지하며, 또한 인간에 해로운 병원균을 없애기도 하는데, 소나무에서 발산되는 피톤치드(phytoncide)는 숲속의 다른 일반 나무들보다도 10배 이상의 피톤치드(phytoncide)를 발산한다고 하며, 이런 지혜를 일찍부터 감지한 우리 선조들은 추석명절에 솔잎으로 송편을 삶는 과학적인 지혜를 솔잎송편으로 보여주는 것은 일예라 할 수 있다.
솔잎으로부터 피톤치드(phytoncide)를 빨아들인 송편에는 세균이 기생하지 못하고 다른 떡 들 보다도 더 오래도록 신선하게 보관해서 먹을 수 있었다.
또한 솔잎에는 무기질이 풍부해서 피로회복에 좋고 비타민 A, C, 칼슘, 인, 당질도 풍부하며 솔잎에 들어 있는 옥실팔타민산은 젊음을 유지시켜주고, 성인병 치료에도 큰 효과가 있으며, 장기간 먹으면 불로장수 한다고 중국 명나라 때의 본초학자 이시진(1518~1593)이 엮은 약학서인 "본초강목(本草綱目)"에도 자세히 기록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제조되는 누룽지는 통상의 밥 지음 공정으로 제조된 밥을 다시 누룽지 제조용 열판에서 가열 소성하여 누룽지를 만드는데, 순수한 쌀만으로 제조되는 누룽지는 단순히 열량(kcal)만 내포한 탄수화물체로서 신체에서 에너지만 발산할 뿐 비타민과 미네랄 같은 영양분이 부족하다 하여 요즘에는 다양한 종류의 영양분이 첨가된 첨가물(쑥즙, 마늘농축액, 포도, 배, 블루베리, 사과즙 등)을 쌀과 함께 수분을 이용한 침지 방법으로 먼저 일정시간 침지 후 취반하여 누룽지 제조용 쌀밥(일명 영양쌀밥)을 만들고, 이렇게 제조된 영양쌀밥을 다시 누룽지 구움용 열판에서 가열 소성하여 다양한 맛과 영양이 풍부한 누룽지(이하 영양누룽지라 통칭함)를 만들지만 이렇게 제조된 영양누룽지는 순수한 쌀 성분보다도 영양분으로 첨가된 혼합성분의 당분이나 첨가물이 갖는 고유 성질(가열시 파괴되는 비타민 또는 당분관련 세균 접근 등) 때문에 첨가물로 제조된 영양누룽지가 순수한 쌀로만 만들어진 누룽지보다 더 빨리 변질되거나 세균이 침범할 수 있는 문제점이 늘 상존하고 있다.
특허등록 KR 10-0605488호(2006년07월20일 등록) 특허등록 KR 10-0484904호(2005년04월13일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영양누룽지를 제조하기 위한 취반공정에서 피톤치드(phytoncide) 성분이 풍부한 솔잎가루를 소량을 투입하여 영양밥알에 골고루 솔잎의 약효성분과 향 그리고 맛이 충분히 스며들도록 밥을 짓는 취반과정을 완성하고, 취반단계를 마친 영양쌀밥을 굽는 구움 공정을 실행할 때에도 솔잎의 피톤치드(phytoncide) 성분이 영양쌀밥 누룽지의 겉면에 골고루 코팅제처럼 스며들면서 달라붙게 구워지도록 솔잎 희석액을 분사기로 일정량 분사하여 혼합 후 구음공정을 실행함으로써, 구워진 영양쌀밥 누룽지에 내장된 다양한 영양소가 피톤치드가 갖는 항균작용에 의해 유통기간이 장기간 경과하여도 부패가 쉽게 발생되지 않도록 세균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는 효능을 제공하는 방법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피톤치드가 존재하는 비타민누룽지 제조방법은 먼저 쌀을 깨끗한 물에 수회 세척하고, 상기 세척된 쌀과 혼합되는 혼합식품류(홍삼가루,고구마전분,옥수수전분,검은콩,과실가루 등)를 일정량 첨가한 영양분의 일명 영양쌀을 통상 100중량부로 기준할 때, 1차적으로, 상기 영양쌀 100중량부에 대하여 분말형태의 솔잎가루를 약 3중량부로 추가 혼합하고 적당량의 물(120중량부 내외)과 함께 취반기에서 가열하여 누룽지용 영양쌀밥을 제조하는 취반(炊飯)단계를 거친 후, 2차적으로, 취반 단계로 만들어진 영양쌀밥을 누룽지 제조용 구움 장치에 2∼3mm 정도의 두께로 평평하게 전개시킨 상태에서, 영양쌀밥 100중량부(약1kg)에 대하여 솔잎 희석액(시중에 유통되는 일반적인 솔잎발효원액1배 기준에 대하여 10배의 물로 희석함을 기준) 30g을 분사기로 골고루 첨가하는 분사 혼합 과정을 거친 후, 영양누룽지에 분사 혼합된 솔잎 희석액이 영양누룽지에 골고루 잘 스며들도록 통상적인 누룽지 구움 공정(약150-300℃내외에서 5분간 가열)을 거친 후, 자연건조 시켜서 제조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에 본 발명의 특징이 있다. 상기의 세척된 쌀과 함께 혼합되는 영양성분의 혼합방법으로는 혼합식품이 일정 농도로 녹아 있는 영양수에 세척된 쌀을 일정시간 침지상태로 담가두어 쌀이 불려(팽화) 지게 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으며, 참고로 누룽지 제조용 구움 장치는 전기밥솥의 원리처럼 열을 공급하는 열판이 하부에 있고 열판 위에는 누룽지를 만들 수 있는 코팅 없는 내통으로 구성되고, 뚜껑을 닫을 수 있으며 가열버튼과 가열 판에 온도센서가 내장 및 연결되어 있는 구움 장치(세부기재 생략)를 사용한다.
상기와 같이 인체에 필요한 필수 영양소인 탄수화물과 더불어 비타민과 무기질 같은 영양소가 충분히 함유되어 있는 식물성분의 영양쌀밥을 이용한 영양누룽지를 만들 때, 첨가된 당분과 영양소가 누룽지 제조 과정에서 가열되는 열에 쉽게 파괴되거나 완성된 누룽지가 유통과정에서 세균에 의해 서서히 부패되거나 변질될 수 있는 문제점을 영양쌀밥 누룽지에 코팅된 피톤치드 성분의 솔잎성분이 갖는 항균작용으로 해결할 수 있으며, 또한 솔잎성분 고유의 청량한 맛과 향이 고소한 영양누룽지와 조화롭게 보존되어 본래의 맛과 향을 장시간 유지해주는 특별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과일성분의 영양누룽지 제조공정의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피톤치드가 존재하는 비타민누룽지의 제조방법 순서도
일반적으로 솔잎은 솔잎 특유의 향을 내는 휘발 성분인 테레빈과 떫은맛을 내는 탄닌이 주요 구성 성분인데, 테레빈은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고 말초 신경을 확장시켜 호르몬 분비를 높이는 등 몸의 조직을 일깨워 고혈압이나 심근경색 등 성인병 증상에 효과가 있다. 또한, 신경을 안정시키고 감기 예방과 치료에도 도움을 준다. 탄닌은 활발한 위 운동을 도와 식욕을 촉진시키고 위 점막을 보호하며 장의 긴장을 풀어 신경성 변비가 있는 사람에게 좋은 성분이다. 이밖에 혈당 수치를 낮춰 당뇨병에 도움을 주는 글리코키닌, 빈혈에 좋은 철분, 모세혈관을 튼튼하게 해 주는 루틴, 담배의 유해 물질을 없애 주는 아피에긴산, 비타민 C 등 몸에 이로운 성분들로 구성되어 있다. 솔잎의 이런 효능 때문에 근래에 사람들은 솔잎가루를 차로 마시거나 쥬스를 만들어 마시기도 하며, 도가나 불가에서는 선식용으로 솔잎이 필수품이었다. 그리고 피톤치드를 발산하는 소나무의 솔잎은 공기 중의 세균이나 곰팡이를 죽이고, 해충, 잡초 등이 식물을 침해하는 것을 방지하며, 또한 인간에 해로운 병원균을 없애기도 하는데, 소나무에서 발산되는 피톤치드(phytoncide)는 숲속의 다른 일반 나무들보다도 10배 이상의 피톤치드를 발산 한다. 그래서 아토피가 심한 어린이에게는 소나무 숲의 산림욕 장소가 어린이 아토피 치유의 통상적인 장소로 널리 알려져 있기도 하다. 이런 솔잎은 분말 또는 희석용액 형태로 시중에서 쉽게 구입할 수 있는데, 분말상태인 솔잎가루는 식용가능한 생솔잎을 분말로 가공처리한 100% 순수 솔잎제품을 의미하며, 희석용액 형태의 솔잎성분이란 솔잎에서 추출된 엑기스(농축액)로 시중에 유통되는 6brix 기준의 80% 솔잎추출액은 통상 일반 음용수 10배 비율로 희석하여 섭취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식음도 가능하고 약용으로도 쓰이며 살균용으로도 사용되는 솔잎성분을 취반과정(A)에서는 분말형태로 일정량을 한번 첨가하고, 구움과정(B)에서는 솔잎 희석액을 분사기를 이용하여 분사 혼합으로 골고루 뿌려준 후 누룽지 제조용 구움 공정을 실행하여, 영양쌀밥에 포함된 영양성분을 피톤치드가 코팅제 형식으로 보호하고, 솔잎이 갖는 효능에 의해 인체의 건강증진 및 피톤치드 성분의 항균작용에 의해 누룽지를 장시간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솔잎이 함유된 누룽지의 제조과정을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솔잎성분이 함유된 누룽지 제조공정의 순서도로써, 밥 지음(취반) 공정(A) 단계, 누룽지 구움 공정(B) 단계, 자연건조 공정(C) 단계로 이루어진다.
먼저 밥 지음 공정(A)은 도 2처럼 일정시간 침지방법으로 다양한 영양성분(홍삼가루, 옥수수전분, 고구마전분, 과실희석액 또는 가루 등)이 수분과 함께 포함된 팽화 상태의 영양쌀 중량을 100중량부로 기준했을 때, 상기 영양쌀 100중량부에 대하여 물 120중량부를 투입하고, 분말형태의 솔잎가루 3중량부를 투입 및 혼합하여, 분말형태의 솔잎가루가 영양쌀이 담겨있는 물에서 잘 용해되고 섞여질 수 있도록 약 30분간 침지상태로 불린 후, 가열하여 영양쌀을 익히는 밥 지음 공정(A)을 진행함으로써 취반단계를 완성한다.
상기 밥 지음 공정(A)이 진행되는 동안 물에 용해된 분말형태의 솔잎가루는 끊는 물에서 중탕이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 솔잎가루가 중탕된 물은 영양쌀의 겉면부에 달라 붙거나 내부로 흡수됨으로써 밥 지음 공정(A)이 완성되면 영양쌀밥알에 솔잎가루의 약효성분과 맛이 충분히 스며들게 된다. 이어지는 누룽지 구움 공정(B)은 누룽지 제조용으로 특별하게 설계 및 제조된 구움장치(세부기재 및 도면 등 생략)를 사용하는바, 취반 단계로 완성된 영양쌀밥을 누룽지 제조용 구움 장치에 2∼3mm 정도의 두께로 평평하게 배열 후, 영양쌀밥 100중량부(약1kg) 대비 솔잎 희석액 30g을 분사기로 골고루 첨가하는 분사 혼합 과정을 거친 후 구움 공정을 실행함에 있어서, 솔잎 희석액은 솔잎에서 추출된 엑기스(농축액)로 시중에 유통되는 6brix 기준의 80% 솔잎추출발효원액 1배 기준에 대하여 통상 일반 음용수 10배 비율로 희석된 것을 기준으로 한다. 솔잎 희석액을 분사기로 골고루 분사하여 혼합 시킨 후 누룽지의 구움공정(B)을 실행하게 되면, 누룽지 구움장치에서 발생되는 고온으로 수분 증발 과정인 탈수 현상과 함께 영양쌀밥알의 겉면부에 솔잎성분이 달라 붙고, 피톤치드 성분이 영양쌀밥알의 겉면부에 코팅되듯이 잔존하는 상태로 진행되며 누룽지가 서서히 완성된다. 참고로 누룽지 제조용 구움 장치는 전기밥솥의 원리처럼 열을 공급하는 열판이 하부에 있고 열판 상부에는 누룽지를 만들 수 있도록 내통으로 구성되고 개폐용 뚜껑이 구성되며 가열버튼과 가열판에 온도센서가 내장 및 연결되어 있는 구움장치(세부기재 생략)를 통상의 전기밥솥 원리처럼 사용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에 따른 피톤치드가 존재하는 누룽지는 피톤치드(phytoncide) 성분이 누룽지의 겉면부에 코팅처럼 잔존하게 되어, 유통기간이 장기간 경과하여도 각종 영양성분과 영양누룽지가 갖는 고소한 맛과 향기를 항상 유지함은 물론, 피톤치드(phytoncide) 성분이 갖는 항균작용에 의해 유통기간이 장기간 경과하여도 부패나 변질의 현상이 쉽게 발생되지 않는 것이다.
국내산 백미(흰쌀)에 통상 15brix 정도의 당도를 함유한 고구마 분말을 약 5%내외 침지방법으로 충분히 첨가한 영양쌀 100중량부와, 상기 영양쌀 100중량부에 대하여 물 120중량부와, 영양쌀 100중량부에 대하여 분말형태의 솔잎가루 3중량부를 투입 및 혼합하여, 분말형태의 솔잎가루를 취반기의 영양쌀물에 골고루 섞어서 용해시키고 30분간 침지한 후, 가열하여 영양쌀을 익히는 밥지음공정을 진행하고, 이 공정에서 얻어진 영양쌀밥에 대하여, 영양쌀밥 100중량부(약1kg) 기준 솔잎 희석액 30g을 분사기로 고르게 분사 혼합 후 누룽지를 제조해서 자연 건조(수분함량 14%)하여, 10일 기간 단위로 부패정도와 맛과 향기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아래와 같이 표 1에 나타내었고, 또한 솔잎의 분말과 희석액을 전혀 첨가 되지 않은 상태로 취반과정과 구움 과정을 거쳐서 얻어진 상기 조건의 영양쌀로 완성된 고구마 성분의 누룽지(수분함량 14%) 결과표를 아래와 같이 표 2에 표시하였다.
Figure 112013503432409-pat00001

Figure 112013503432409-pat00002
상기 표 1에서와 같이 취반과정과 구음과정에서 솔잎 성분이 첨가되어 제조된 솔잎향 고구마 성분의 영양누룽지는 유통기간이 3개월 정도 지나도 처음상태의 신선한 맛과 향기를 그대로 유지하였으며 또한, 세균 역시 침투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표 2에서와 같이 누룽지의 건조 상태가 똑같이 양호한 수분함량 14% 정도의 고구마의 당도 성분만 함유한 영양누룽지는 2개월이 경과하면서 처음 맛이 사라지고 서서히 부패하는 상태의 변질되는 특성이 나타났는바, 이는 피톤치드의 솔잎 성분이 코팅된 누룽지에서는 항균성능이 분명히 존재함을 실험결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비닐파우치에 열선의 압착방법으로 밀봉하여 각각 3개월 가까이 보관한 상태의 누룽지는 솔잎성분의 존재여부와 무관하게 모두 각각 처음 맛 그대로 유지되고 변질되지 않았음을 확인했으며, 더불어 당분이 함유된 고구마 성분의 영양쌀밥은 가을철 상온 상태에서 만 2일만 지나도 서서히 변질되는 것을 확인 하였는바. 이것은 당분이 함유된 음식물은 특성상 수분 함유량과 건조 상태에 따라서 변질되는 시간만 달리할 뿐 부패가 진행되는 상태는 시간 경과에 따라 반드시 이루어지며, 이를 피톤치드 성분의 솔잎 분말과 희석액이 부패진행을 지연시키는 효과가 분명히 존재함을 재차 확인하였다.

Claims (1)

  1. 과일이나 채소와 같은 식물의 다양한 영양소가 일정량 흡수 또는 섞여 있는 상태의 깨끗한 국내산 영양쌀 100중량부에 대하여, 정제수 120중량부와 함께 취반기에서 가열하는 방법으로 영양쌀을 익히는 밥지음공정(A)과, 상기 밥지음공정으로 만들어진 영양쌀밥을 구움장치를 통해 가열하여 영양쌀밥 누룽지를 형성하는 구움공정(B)과, 상기 구움공정에서 제조된 영양쌀밥 누룽지를 건조공정(C)에 의하여 완성하는 영양쌀밥 누룽지에 솔잎성분을 첨가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세척된 영양쌀 100중량부에 대하여 분말형태의 솔잎가루 3중량부를 취반단계에서 1차적 작업으로 영양쌀과 함께 골고루 섞어서 첨가한 후 가열하여 영양쌀밥을 완성하고, 완성된 취반단계에서 구움공정으로 진행하기 직전에 취반으로 완성된 영양쌀밥 100중량부(1kg기준)에 대하여 솔잎 희석액 30g을 2차적 작업으로 분사기를 이용하여 영양쌀밥에 골고루 분사, 혼합 첨가한 후, 구움 공정(B)과 자연 건조(C) 공정을 진행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톤치드가 존재하는 비타민누룽지 제조방법.
KR1020110028030A 2011-03-29 2011-03-29 피톤치드가 존재하는 비타민누룽지 제조방법 KR1013857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8030A KR101385777B1 (ko) 2011-03-29 2011-03-29 피톤치드가 존재하는 비타민누룽지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8030A KR101385777B1 (ko) 2011-03-29 2011-03-29 피톤치드가 존재하는 비타민누룽지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0276A KR20120110276A (ko) 2012-10-10
KR101385777B1 true KR101385777B1 (ko) 2014-04-17

Family

ID=47281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8030A KR101385777B1 (ko) 2011-03-29 2011-03-29 피톤치드가 존재하는 비타민누룽지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57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8439A (ko) 2021-04-29 2022-11-07 정성운 고로쇠 농축액을 사용한 누룽지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누룽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6546A (ko) * 2001-11-30 2003-06-18 김세나 기능성 밥물
KR100484904B1 (ko) 2002-07-20 2005-04-20 정창구 둥굴레가 함유된 누룽지
KR20050083137A (ko) * 2005-07-18 2005-08-25 박수진 솔잎축출 액을 이용한 쌀밥 제조 방법.
KR100605488B1 (ko) 2005-02-17 2006-07-31 이재성 과실맛 인스턴트 누룽지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6546A (ko) * 2001-11-30 2003-06-18 김세나 기능성 밥물
KR100484904B1 (ko) 2002-07-20 2005-04-20 정창구 둥굴레가 함유된 누룽지
KR100605488B1 (ko) 2005-02-17 2006-07-31 이재성 과실맛 인스턴트 누룽지 및 그 제조방법
KR20050083137A (ko) * 2005-07-18 2005-08-25 박수진 솔잎축출 액을 이용한 쌀밥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0276A (ko) 2012-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6178B1 (ko) 한약재 추출물을 이용한 참나무 훈제 삼겹살의 제조 방법
CN103039952B (zh) 一种风味金针菇韭菜花酱的制作方法
KR101561169B1 (ko) 지장수를 이용한 단감 장아찌의 제조방법
CN101536708A (zh) 一种纯天然食品防腐保鲜剂及制备方法
KR101627299B1 (ko) 들기름을 함유한 김치양념, 이를 이용한 김치의 제조방법 및 상기 김치양념으로 제조되는 김치
CN105166762A (zh) 大蒜制品及其制作方法
KR101016319B1 (ko) 솔잎을 이용한 양념 갈비 튀김의 제조 방법
KR20150060464A (ko) 닭고기의 염지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염지 닭고기
KR20180001207A (ko) 육류 또는 생선의 이취 제거를 위한 소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육류 또는 생선의 이취를 제거하는 방법
KR101414322B1 (ko) 칠리 소스 및 그 제조방법
KR101802181B1 (ko) 미꾸라지 튀김이 들어있는 쌈의 제조방법
KR100944965B1 (ko) 육류요리용 양념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양념
KR101385777B1 (ko) 피톤치드가 존재하는 비타민누룽지 제조방법
KR20160109627A (ko) 볶음 탕수육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탕수육
KR102238894B1 (ko) 스모크향을 함유한 스팀 반건조 오징어 제조방법
KR20070005954A (ko) 기능성 건수산물 및 젓갈의 제조방법
KR101966924B1 (ko) 산야초 과실이 함유된 백김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959623B1 (ko) 양념 족발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양념 족발
KR20100101327A (ko) 홍삼김치의 제조방법
KR20170014240A (ko) 발효 숙성시킨 흑마늘이 포함된 된장, 쌈장, 청국장 및 이들의 제조방법
KR20160097946A (ko) 기능성 야채차 및 그 제조 방법
KR102645365B1 (ko) 채소, 해물 분말 조미료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60465A (ko) 후라이드 치킨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67740B1 (ko) 기능성 김치의 제조방법 및 그 김치
CN108770931A (zh) 一种苦荞-雪莲果酸奶的制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