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5494B1 - 급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급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5494B1
KR101385494B1 KR1020060083499A KR20060083499A KR101385494B1 KR 101385494 B1 KR101385494 B1 KR 101385494B1 KR 1020060083499 A KR1020060083499 A KR 1020060083499A KR 20060083499 A KR20060083499 A KR 20060083499A KR 101385494 B1 KR101385494 B1 KR 1013854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roller
unit
lifting
pick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3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20253A (ko
Inventor
김종우
조현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834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5494B1/ko
Priority to US11/698,096 priority patent/US7828280B2/en
Priority to CN200710089109.7A priority patent/CN101134533B/zh
Priority to EP07108987A priority patent/EP1894867B1/en
Publication of KR200800202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0253A/ko
Priority to US12/923,141 priority patent/US20100327512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54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54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18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electrostatic 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2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friction forces between articles and separator
    • B65H3/06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8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pneumatic force
    • B65H3/10Suction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46Supplementary devices or measures to assist separation or prevent double f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06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rollers or balls, e.g. between rollers
    • B65H5/062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rollers or balls, e.g. between rollers between rollers or b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9/00Registering, e.g. orientating, articles; Devices therefor
    • B65H9/004Deskewing sheet by abutting against a stop, i.e. producing a buckling of the she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30Orientation, displacement, position of the handled material
    • B65H2301/33Modifying, selecting, changing orientation
    • B65H2301/332Turning, overturning
    • B65H2301/3321Turning, overturning kinetic therefor
    • B65H2301/33214Turning, overturning kinetic therefor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displacement and parallel to the surface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3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 B65H2301/4232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of horizontal or inclined articles, i.e. wherein articles support fully or in part the mass of other articles in the piles
    • B65H2301/42324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of horizontal or inclined articles, i.e. wherein articles support fully or in part the mass of other articles in the piles from top of the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10Rollers
    • B65H2404/15Roller assembly, particular roller arrangement
    • B65H2404/153Arrangements of rollers facing a transport surface
    • B65H2404/1531Arrangements of rollers facing a transport surface the transport surface being a cylin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601/00Problem to be solved or advantage achieved
    • B65H2601/50Diminishing, minimizing or reducing
    • B65H2601/52Diminishing, minimizing or reducing entities relating to handling machine
    • B65H2601/521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용지의 픽업 및 이송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급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의한 급지장치는 용지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용지카세트의 상부 앞쪽에 위치하며, 용지카세트에 적재된 용지 중 최상단의 용지를 픽업하는 픽업유닛; 및 상기 픽업유닛이 용지를 픽업할 때 용지를 수직방향으로 들어올려 바로 밑의 용지와의 마찰을 방지하는 리프팅유닛;을 포함한다.
화상, 형성, 용지, 픽업, 이송, 소음, 방지, 리프팅, 마찰, 급지장치

Description

급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Paper Handling System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도 1은 일반적인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급지장치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기록 분석한 그래프,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급지장치의 개략도,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급지장치의 이송유닛을 나타낸 사시도,
도 4b는 도 4a의 측면도,
도 5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급지장치의 이송유닛의 요부 사시도,
도 5b는 도 5a의 측면도,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급지장치가 채용된 화상형성장치의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2; 픽업롤러 33;리프팅 롤러
41;이송롤러 42;이송 가이드
43a-43e;아이들 롤러 44;정렬롤러
일본특허공개 평05-139548호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급지과정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키는 급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무실 또는 가정에서 사용하는 사무기기에서 발생하는 소음과 업무효율 저하 및 에러 발생에 대하여 인체공학 측면과의 상관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따라서 소음이 없는 환경에서의 효율 극대화 및 에러 저감을 목표로 소음 저감 장치의 필요성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용지를 픽업 및 이송할 때, 기계적 부품의 구성 및 용지간의 마찰과, 이송경로의 급경사 등으로 인하여 소음이 발생된다. 도 1은 일반적인 화상형성장치에 채용된 급지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는 용지를 픽업하는 픽업롤러(15) 및 픽업캠(19)을 구비한다. 픽업기어(11) 및 클러치기어(12)의 일측에는 걸림턱(13)이 형성되고, 이 걸림턱(13)에는 솔레노이드의 걸림쇠(14)가 걸린다. 솔레노이드에 픽업신호가 가해지면 솔레노이드의 걸림쇠(14)가 걸림턱(13)의 반대방향으로 이동되어 클러치기어(12)가 구속에서 해제되며, 이에 따라 픽업기어(11)가 회전한다. 픽업기어(11)가 회전하면 픽업롤러(15)는 용지카세트(도시되지 않음) 내에 적재되어 있는 용지 중 최상단의 용지 한 장을 픽업하게 된다.
픽업롤러(15)에 의하여 픽업된 용지는 소정의 곡률을 가진 이송가이드(17)의 가이드면을 따라 이송된다. 이송가이드(17)의 외측에는 정렬롤러(18)가 설치되어 이송과정에서 발생된 용지의 비틀림(Skew)이 보정되고, 선단이 정렬된 용지는 상형성유닛으로 이송된다.
픽업롤러(15)의 1회전으로 최상단 용지 1장이 픽업되면, 클러치기어(12)의 걸림턱(13)은 다시 걸림쇠(14)에 걸리고, 픽업기어(11) 및 픽업롤러(15)는 다른 픽업신호를 받기까지 대기상태를 유지한다. 픽업 캠(19)은 픽업롤러(15)가 회전한 후 항상 일정한 각도를 가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은 가장 일반적인 급지장치의 구성으로, 장기간 사용으로 그 안정성이 입증되어 있으며, 현재 대부분의 인쇄기기 제조사들이 채용하고 있는 기본적인 픽업 및 이송 장치의 예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는 소음 측면에서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도 2는 종래의 급지장치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기록 및 분석한 그래프이다. 도 2에 나타나 있는 소음을 급지과정의 순서에 따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본적인 구동소음(20a)외 급지과정에서 작동하는 솔레노이드의 On-Off 동작시 발생하는 소음(20b)과 픽업 캠의 회전 및 복귀 동작시 발생하는 소음(20c)(20d)은 사용자에게는 상당한 충격 소음으로 들리게 된다.
둘째, 픽업롤러와 최상단 용지의 접촉 구동시, 최상단 용지와 바로 그 밑의 용지 사이에 마찰이 발생하면서 끌리는 듯한 소음(20e)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용지가 이송 롤러에 물리면서 용지 후단이 끌려가며 바로 밑의 용지와 마찰이 일어나 면서 소음이 발생하게 된다.
셋째, 용지가 이송가이드의 가이드면을 지나면서 역시 마찰 소음을 발생시킨다. 특히, 용지의 끝단이 가이드면을 빠져 나오면서 이송가이드에 의하여 원형으로 구부러져 있다가 거의 수평에 가까운 정렬 롤러 경로에 와서 급격하게 펴짐으로 인하여 충격소음(20f)이 발생한다.
최근 용지와 마찰 접촉하여 용지를 픽업하는 롤러 대신, 정전기력을 이용하여 용지를 비접촉식으로 픽업하는 구성이 일본특허공개 평05-139548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일본특허공개 평05-139548호에서는 솔레노이드로 인한 위의 첫 번째 소음은 방지할 수 있지만, 픽업롤러가 용지의 앞쪽만을 들어올려 픽업함으로써 이송과정에서 용지 뒷쪽이 밑의 용지에 이끌리게 되므로 위의 두 번째와 세 번째 소음은 여전히 남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용지간의 마찰에 의한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급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용지와 이송가이드간의 마찰로 인한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급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용지와 이송 가이드의 타격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급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가지는 급지장치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급지장치는, 용지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용지카세트의 상부 앞쪽에 위치하며, 상기 용지카세트에 적재된 용지 중 최상단의 용지를 픽업하는 픽업유닛; 및 상기 픽업유닛이 용지를 픽업할 때, 용지를 수직방향으로 들어올리는 리프팅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리프팅유닛은 용지의 앞쪽에서부터 용지 길이의 1/2과 4/5의 범위 내에 위치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5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리프팅유닛의 폭은 용지 폭의 1/5 이상의 폭을 가지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리프팅유닛은 직류전원에 연결되어 대전되는 롤러; 및 상기 용지카세트의 저면에 위치하여 접지되는 음극판;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리프팅유닛은 내부 압력이 외부보다 낮으며, 외주면에 복수개의 흡입구가 형성된 원통형 롤러를 구비하는 진공흡착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픽업유닛은 대전되는 롤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픽업유닛은 내부 압력이 외부보다 낮으며, 외주면에 복수개의 흡입구가 형성된 원통형 롤러를 구비하는 진공흡착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픽업유닛은 용지를 물리적으로 접촉하여 마찰력으로 픽업하는 픽업롤러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급지장치는 용지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용 지카세트의 상부 앞쪽에 위치하며, 상기 용지카세트에 적재된 용지 중 최상단의 용지를 픽업하는 픽업유닛; 픽업된 용지를 상형성유닛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이송유닛은 이송롤러; 상기 이송롤러의 외주면과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설치되어 용지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이송가이드; 및 상기 이송가이드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용지와 구름 접촉하는 복수개의 아이들 롤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송유닛은 용지의 선단을 정렬하는 정렬롤러를 구비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아이들 롤러 중 용지 이송방향에서 마지막에 위치한 아이들 롤러는 상기 정렬롤러의 롤러간 접점에서 상기 이송롤러의 외주면에 접선을 그을 때 만나는 상기 외주면의 접점과 이송롤러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15도에서 +5도의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것이 용지와 이송가이드의 타격 소음 저감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아이들 롤러들은 롤러의 폭 방향에서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는 것이 좋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아이들 롤러들은 롤러의 회전축 방향에서 볼 때 아이들 롤러의 외주면 중 일부가 서로 겹치도록 배치되는 것이 좋다.
또한, 이송유닛은 상기 아이들 롤러의 회전축을 고정시키는 가이드 커버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급지장치는 상기 픽업유닛에 의 해 용지가 픽업될 때 그 용지를 수직방향으로 들어올리는 리프팅유닛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화상형성장치는 용지에 소정의 화상형을 형성하는 상형성유닛; 상기 상형성유닛으로 용지를 이송시키는 상술한 바와 같은 특징을 가지는 급지장치; 및 용지상의 화상을 고착시키는 정착유닛;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급지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3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급지장치는 용지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용지카세트(31)의 상부 앞쪽에 위치하며 상기 용지카세트(31)에 적재된 용지(P) 중 최상단의 용지(P')를 픽업하는 픽업유닛(132)과, 용지카세트(31)의 상부 뒷쪽에 위치하며 픽킹되는 최상단의 상기 용지(P')를 들어올리는 리프팅유닛(133)을 포함한다.
상기 픽업유닛(132)은 픽업롤러(32) 및 이 픽업롤러(32)를 대전시키는 제 1 대전롤러(32')를 구비한다. 상기 픽업롤러(32)와 용지(P)는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대전롤러(32')에 의해 대전된 픽업롤러(32)의 정전기력에 의해 최상단의 용지(P') 1매가 픽업되는 비접촉식이다. 같은 비접촉식 구성으로서, 예를 들면 용지를 진공 흡착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즉, 내부 압력이 외부보다 낮으며 외주면에는 다수의 진공 흡입구가 형성된 원통형 롤러로 픽업유닛을 구성할 수도 있다. 이 때, 원통형 롤러의 내부를 진공으로 만드는 것은 진공펌프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픽업유닛(132)는 상기와 같은 비접촉식 구성 뿐만 아니라 종래의 마찰식 픽업유닛도 본 발명의 급지장치에 채용 할 수 있다.
상기 리프팅유닛(133)은 리프팅 롤러(33) 및 이 리프팅 롤러(33)를 대전하는 제 2 대전롤러(33')를 구비한다. 상기 리프팅 롤러(33)는, 예를 들어 양전하로 대전된다. 상기 제 2 대전롤러(33')에는 약 1kV의 고전압이 인가된다. 용지간 마찰의 효과적인 저감은 리프팅 롤러(33)의 폭을 증가시킴으로써 가능하다. 리프팅 롤러(33)의 폭은 용지 폭의 약 1/5 이상을 커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A4 용지(폭:210mm, 길이: 297mm)를 기준으로 60mm로 제작하였다.
리프팅 롤러(33)는 픽업롤러(32)에 의한 용지 픽킹시 그 용지를 들어올리는 것이므로, 픽업롤러(32)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될 수 있으나, 용지의 끌림 마찰을 최대한 방지하기 위해서 대략 용지의 길이방향으로 용지의 앞측을 기준으로 1/2에서 4/5의 범위 내, 가장 바람직하게는 3/5의 지점에 위치한다.
용지카세트(31)의 저면에는 접지된 음극판(34)이 설치된다. 용지카세트(31)의 최상단 용지와 리프팅 롤러(33)와의 간격은 약 1kV의 전압 사용시 대략 1±0.1mm 정도로 유지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제 1 및 제 2 대전롤러(32', 33')가 각각 픽업롤러(32)와 리프링 롤러(33)를 대전시키면 용지카세트(31)의 음극판(34)과의 사이에 전기장이 형성된다. 리프팅 롤러(33)의 표면에 전하가 축척되어 표면 전위가 상승함에 따라 전기장력이 일정 수준에 이르게 되면 최상단의 용지가 리프팅 롤러(33)를 향하여 들려 올려지게 된다. 따라서 용지가 픽업롤러(32)를 통하여 픽업되는 동안 바로 밑의 용지와의 끌림 마찰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리프팅 롤러(33)가 1개로 이루어져 있지만, 용지와의 마찰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해서 한 개 이상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대전식 리프팅 롤러(33) 대신 용지를 들어올리는 다른 수단으로 진공펌프를 이용한 흡착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흡착수단으로는 원통형 롤러의 외주에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고, 이 원통형 롤러의 내부 압력을 외부 압력보다 낮게 유지시킴으로써 용지의 진공 흡착이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대전식 픽업롤러 대신 흡입구를 가지는 원통형 롤러를 사용하여 용지를 들어올리는 것을 제외하면, 위 대전식 픽업롤러를 사용한 실시예의 기술적 특징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픽업된 용지는 이송유닛(40)에 의해 상형성유닛(50:도 6 참조)으로 이송된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이송유닛(40)의 사시도이며, 도 4b의 그 측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이송유닛(40)은 이송롤러(41), 상기 이송롤러(41)의 외주면과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설치되어 용지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이송가이드(42) 및 이송가이드(42) 내측에 배치되며 용지와 구름 접촉하는 복수개의 아이들 롤러(43a-43e)를 포함한다. 상기 아이들 롤러(43a-43e)는 이송가이드(42)을 구성하는 가이드 커버부(42a)에 회전축이 고정되어 설치된다. 이송가이드(42)의 외측에는 이송과정에서 발생한 용지의 뒤틀림(skew)를 보정하는 정렬롤러(44)가 위치한다.
이송롤러(41)는 이송 가이드(42)의 곡면 전체를 커버하는 반경을 가지는데, 이는 종래의 이송롤러(41)의 반경보다 상당히 크게 형성된다. 이송 가이드(42)의 내측에는 5개의 아이들 롤러(43a-43e)가 설치되어 용지와 구름 접촉함으로써 용지가 이송 가이드(42)에 닿지 않은 상태로 가이드 내부를 통과하도록 한다.
이송 가이드(42)의 최종 아이들 롤러(43e)를 빠져나간 용지의 선단부는 정렬롤러(44)로 진입하게 된다. 이때 이송 가이드(42)를 통과하면서 휜 용지가 급격하게 펴지게 되고 이로 인하여 소음이 발생되는데, 이는 최종 아이들 롤러(43e)의 위치를 조정하여 방지하게 된다. 즉, 용지가 펴진 상태에서 정렬롤러(44)를 만나도록 최종 아이들 롤러(43e)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이다.
도 4b는 이러한 최종 아이들 롤러(43e)의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먼저 용지가 상당히 높은 강성을 가지고 있다고 가정하면, 한 쌍으로 이루어진 정렬롤러(44)의 롤러 접점부에서 이송롤러(41)의 외주면에 접선을 그을 때 그 외주면의 접점(B)이 결정된다. 이 접선 경로(A)가 용지가 완전히 펴진 상태에서 정렬롤러(44)로 진입하는 경로가 되며, 이상적인 경우 이 접점(B)이 최종 아이들 롤러(43e)의 위치가 된다.
그러나, 용지가 완전 강성 재질이 아닌 점과, 정렬롤러(44)와 최종 아이들 롤러(43e) 사이의 거리가 고려되어야 한다. 즉 용지의 굽어짐을 고려하면, 최종 아이들 롤러(43e)의 위치는 상기 접점(B)과 이송롤러(41)의 중심점(Q)으로 이루어지는 직선(C)을 기준으로, 각도가 대략 -15도(θ1) 내지 +5도(θ2) 범위가 되도록 아이들 롤러(43e)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장 바람직한 위치는 거리 및 용지의 강성을 고려하여 용지의 펴진 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 지점이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종래의 이송장치와 같은 용지의 끝단이 가이드 면을 빠져 나오면서 이송 가이드(42)에 의하여 원형으로 구부러져 있다가 거의 수평에 가까운 정렬롤러(44) 경로에 와서 급격하게 펴짐으로 인해 발생하는 충격 소음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이송유닛(40')의 다른 실시예로 그 사시도이며, 도 5b는 그 측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이송유닛(40')은 이송롤러(41) 및 이송 가이드(42), 그리고 이송 가이드(42) 내측에 위치한 복수개의 아이들 롤러(1a-1e, 2a-2d)를 구비한다.
상기 아이들 롤러들(1a-1e, 2a-2d)은 이송롤러(41)의 폭 방향으로 2단으로 구성되는데, 제 1 단 롤러(1a-1e) 사이에 제 2 단의 롤러(2a-2d)가 엇갈리게 배치된다. 따라서 도 5b와 같이 측면에서 보면 롤러(1a-1e,2a-2d)의 외주면이 부분적으로 중첩된다. 이와 같은 구성은 강한 강성을 가진 용지의 경우 선단이 아이들 롤러와 만날 때 이송롤러(41) 측으로 맞물리는 것이 아니라, 아이들 롤러의 사이로 들어가 잼(Jam)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급지장치가 채용된 화상형성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100)는 용지에 소정의 화상을 형성하는 상형성유닛(50), 상기 상형성유닛(50)으로 용지를 공급하는 상술한 바와 같은 급지장치(30) 및 상기 용지 위에 형성된 화상을 고착시키는 정착유닛(60)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앞서 설명한 급지장치(30)를 제외한 다른 구성들은 공지의 기술로 이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인하여, 용지가 이송되는 경우 후단이 바로 밑의 용지에 끌림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비접촉 방식으로 용지를 픽업함으로써 솔레노이드, 픽업 캠 그리고 접촉 마찰을 하지 않는 픽업 방식의 사용을 통해 소음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용지가 이송 가이드의 아이들 롤러와 구름 접촉하면서 이송되므로 용지와 이송 가이드가 미끄럼 접촉함으로써 발생되었던 마찰 소음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송 가이드을 경유한 용지가 정렬롤러로 진입될 때 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어 급격한 용지 펴짐으로 인한 타격 소음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22)

  1. 용지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용지카세트의 상부 앞쪽에 위치하고, 상기 용지 카세트에 적재된 용지 중 최상단의 용지를 흡착하여 픽업하는 픽업유닛; 및
    상기 용지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픽업유닛에서 뒤쪽으로 이격되어 위치하고, 상기 픽업유닛이 용지를 픽업할 때, 용지를 수직방향으로 들어올리는 리프팅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픽업유닛과 상기 리프팅유닛은 상기 용지를 픽업하기 전에 상기 용지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상기 픽업유닛과 상기 리프팅유닛은 동시에 상기 용지를 픽업하여 들어올려 동일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유닛은 용지의 앞쪽에서부터 용지 길이의 1/2과 4/5의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유닛은 용지의 앞쪽에서부터 용지 길이의 3/5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유닛은 용지 폭의 1/5 이상의 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유닛은,
    직류전원에 연결되어 대전되는 롤러; 및
    상기 용지카세트의 저면에 위치하여 접지되는 음극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유닛은 내부 압력이 외부보다 낮으며, 외주면에 복수개의 흡입구가 형성되어 용지를 진공 흡착하는 원통형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유닛은 대전되는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유닛은 내부 압력이 외부보다 낮으며, 외주면에 복수개의 흡입구가 형성된 진공 흡착식 원통형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장치.
  9. 삭제
  10. 용지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용지카세트의 상부 앞쪽에 위치하고, 상기 용지카세트에 적재된 용지 중 최상단의 용지와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최상단의 용지를 흡착하여 픽업하는 픽업유닛;
    상기 픽업유닛이 상기 용지를 픽업할 때 동시에 상기 용지를 수직방향으로 들어올리며, 상기 픽업유닛과 동일방향으로 상기 용지를 이송하는 리프팅유닛; 및
    픽업된 상기 용지를 상형성유닛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이송유닛은,
    이송롤러;
    상기 이송롤러의 외주면과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용지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이송가이드; 및
    상기 이송가이드 내측에 상기 이송롤러의 외주면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용지와 구름 접촉하는 복수 개의 아이들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장치.
  11. 삭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용지의 선단 정렬을 위한 정렬롤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아이들 롤러 중 용지 이송방향에서 마지막에 위치한 아이들 롤러는, 상기 정렬롤러의 롤러간 접점에서 상기 이송롤러의 외주면에 접선을 그을 때 만나는 상기 외주면의 접점과 이송롤러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15도에서 +5도의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장치.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들 롤러들은 롤러의 폭 방향에서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장치.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들 롤러들은 롤러의 회전축 방향에서 볼 때, 아이들 롤러의 외주면 중 일부가 서로 겹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장치.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들 롤러들의 회전축을 고정시키는 가이드 커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장치.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용지에 소정의 화상을 형성하는 상형성유닛;
    상기 상형성유닛으로 용지를 이송시키는 청구항 제1항 내지 제8항, 제10항, 및 제12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급지장치; 및
    용지 위의 화상을 고착시키는 정착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60083499A 2006-08-31 2006-08-31 급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13854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3499A KR101385494B1 (ko) 2006-08-31 2006-08-31 급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US11/698,096 US7828280B2 (en) 2006-08-31 2007-01-26 Paper fee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CN200710089109.7A CN101134533B (zh) 2006-08-31 2007-03-19 送纸装置和具有其的图像形成设备
EP07108987A EP1894867B1 (en) 2006-08-31 2007-05-25 Paper Fee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US12/923,141 US20100327512A1 (en) 2006-08-31 2010-09-03 Paper fee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3499A KR101385494B1 (ko) 2006-08-31 2006-08-31 급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0253A KR20080020253A (ko) 2008-03-05
KR101385494B1 true KR101385494B1 (ko) 2014-04-16

Family

ID=38752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3499A KR101385494B1 (ko) 2006-08-31 2006-08-31 급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7828280B2 (ko)
EP (1) EP1894867B1 (ko)
KR (1) KR101385494B1 (ko)
CN (1) CN10113453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ZA200804718B (en) * 2005-12-29 2010-04-28 Anthrogenesis Corp Co-culture of placental stem cells and stem cells from a second source
CN101891069A (zh) * 2009-05-20 2010-11-24 株式会社理光 片材供送设备及图像形成设备
JP5672761B2 (ja) * 2009-05-20 2015-02-18 株式会社リコー シート給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471844B2 (ja) * 2009-11-25 2014-04-16 株式会社リコー 給紙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532863B2 (ja) 2009-11-27 2014-06-25 株式会社リコー 給紙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14205543A (ja) * 2013-04-12 2014-10-30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4205542A (ja) * 2013-04-12 2014-10-30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CN106276339A (zh) * 2016-08-29 2017-01-04 合肥菲力姆数码科技有限公司 医用打印机分纸器
CN106800196B (zh) * 2016-12-27 2019-02-15 杰克缝纫机股份有限公司 一种利用仿生材料的摩擦轮分离装置及分离方法
DE102017203124A1 (de) * 2017-02-27 2018-08-30 Kuka Deutschland Gmbh Robotergreifer zum Handhaben von biegeschlaffen, flächigen Materialbahnzuschnitten
CN112079152B (zh) * 2020-09-10 2022-07-26 河南省王牌砂布制造有限公司 一种用于高效迁移砂布的吸附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86334A (ja) * 1984-10-03 1986-05-01 Fuji Xerox Co Ltd 給紙装置
KR20040089939A (ko) * 2003-04-15 2004-10-22 삼성전자주식회사 사무기기의 급지장치
JP2005119756A (ja) * 2003-10-14 2005-05-12 Univ Waseda シート分離機構
JP2005132554A (ja) * 2003-10-30 2005-05-26 Horizon International Inc 給紙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16602A (en) * 1927-09-07 1929-06-11 Continental Can Co Method of and means for separating metal sheets
US1870339A (en) * 1930-06-11 1932-08-09 Dexter Folder Co Sheet feeding apparatus
US1870336A (en) * 1930-06-11 1932-08-09 Dexter Folder Co Sheet feeding apparatus
US2999687A (en) * 1958-12-23 1961-09-12 American Can Co Sheet feeder
US3224757A (en) * 1964-05-07 1965-12-21 Ropak Mfg Co Magnetic sheet transferring apparatus
DE1266687B (de) * 1965-01-05 1968-04-18 Schuler Ges Mit Beschraenkter Transportvorrichtung fuer Platinen aus ferromagnetischem Werkstoff, insbesondere bei Werkzeugmaschinen
US3595563A (en) 1969-09-15 1971-07-27 Olivetti & Co Spa Sheet-feeding apparatus
US3647045A (en) * 1970-02-06 1972-03-07 Nat Steel Corp Apparatus for stacking units of sheet material
DE2062108A1 (de) 1970-12-17 1972-10-19 Gremser Masch Franz Bogenanleger
JPS5124310A (en) 1974-08-23 1976-02-27 Sakurai Ltd Insatsuki niokeru hiinsatsutaiheikookurisochi
FR2461668A1 (fr) 1979-07-17 1981-02-06 Hotchkiss Brandt Sogeme Dispositif de depilage d'objets minces, flexibles, et machine a manipuler ces objets, equipee d'un tel dispositif
FR2501655B1 (fr) 1981-03-12 1985-06-14 Duperrier Robert Machine separatrice de feuilles
DE3535859A1 (de) * 1985-10-08 1987-04-09 Schaeffler Waelzlager Kg Riemenscheibe mit daempfungselement
JPH05139548A (ja) 1991-11-15 1993-06-08 Ricoh Co Ltd 給紙装置およびその装置を用いる給紙方法
JPH05270677A (ja) * 1992-03-24 1993-10-19 Ricoh Co Ltd 静電給紙装置および給紙用回転体の製造方法
US5402304A (en) * 1993-02-18 1995-03-28 Smith; Dirk S. Static eliminator air enhancement device
JP2001233505A (ja) 2000-02-25 2001-08-28 Seiko Epson Corp 給紙装置,記録装置,および給紙方法
US7047644B2 (en) * 2003-02-21 2006-05-23 The Gates Corporation Crankshaft damper and method of assembly
JP2004352381A (ja) 2003-05-27 2004-12-16 Kyocera Mita Corp 給紙装置
US20060035738A1 (en) * 2004-08-12 2006-02-16 Ina-Schaeffler Kg Belt driv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86334A (ja) * 1984-10-03 1986-05-01 Fuji Xerox Co Ltd 給紙装置
KR20040089939A (ko) * 2003-04-15 2004-10-22 삼성전자주식회사 사무기기의 급지장치
JP2005119756A (ja) * 2003-10-14 2005-05-12 Univ Waseda シート分離機構
JP2005132554A (ja) * 2003-10-30 2005-05-26 Horizon International Inc 給紙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327512A1 (en) 2010-12-30
KR20080020253A (ko) 2008-03-05
EP1894867A3 (en) 2009-04-08
CN101134533B (zh) 2014-05-07
US7828280B2 (en) 2010-11-09
EP1894867A2 (en) 2008-03-05
EP1894867B1 (en) 2011-09-07
US20080054548A1 (en) 2008-03-06
CN101134533A (zh) 2008-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5494B1 (ko) 급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US8091890B2 (en) Medium feeding device and recording apparatus with separated reverse direction feed driving roller
EP2123583B1 (en) Sheet fee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provided with sheet feeding apparatus
JP2003237969A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処理装置
JP2010163254A (ja) 給紙装置
JP4327978B2 (ja) 給紙装置
JP2007055705A (ja) 給紙装置及び該給紙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11255969A (ja) 用紙整合装置
JP4871974B2 (ja) シート給紙装置
US20080265485A1 (en) Sheet Discharge Roller Assembly For An Automatic Document Feeding Apparatus
JP2012091914A (ja) 用紙搬送装置
JP2011225290A (ja) 給紙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2018164204A (ja) 原稿読取装置
JP2008120547A (ja) シート集積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システム
JP4787142B2 (ja) シート集積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システム
JP4570062B2 (ja) スタッカー装置
JP2005247537A (ja) シート給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5239326A (ja) シート材供給装置
KR100441540B1 (ko)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
JP2015101411A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6076693A (ja) 給紙装置
JP4549238B2 (ja) 給紙装置
KR20060008816A (ko) 화상형성장치의 용지이송장치
US20160130097A1 (en) Paper feed device
JPH0379548A (ja) 用紙記録装置の排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