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4184B1 - 실 공급시스템 - Google Patents

실 공급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4184B1
KR101384184B1 KR1020127026809A KR20127026809A KR101384184B1 KR 101384184 B1 KR101384184 B1 KR 101384184B1 KR 1020127026809 A KR1020127026809 A KR 1020127026809A KR 20127026809 A KR20127026809 A KR 20127026809A KR 101384184 B1 KR101384184 B1 KR 1013841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ead
yarn
supply
tension
bobb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6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0781A (ko
Inventor
사다무 나카하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201307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07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41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41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9/00Adjusting or controlling tension in filamentary material, e.g. for preventing snarling; Applications of tension indicators
    • B65H59/10Adjusting or controlling tension in filamentary material, e.g. for preventing snarling; Applications of tension indicators by devices acting on running material and not associated with supply or take-up devices
    • B65H59/36Floating elements compensating for irregularities in supply or take-up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9/00Adjusting or controlling tension in filamentary material, e.g. for preventing snarling; Applications of tension indicators
    • B65H59/40Applications of tension indi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9/00Adjusting or controlling tension in filamentary material, e.g. for preventing snarling; Applications of tension indicators
    • B65H59/38Adjusting or controlling tension in filamentary material, e.g. for preventing snarling; Applications of tension indicators by regulating speed of driving mechanism of unwinding, paying-out, forwarding, winding, or depositing devices, e.g. automatically in response to variations in ten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9/00Adjusting or controlling tension in filamentary material, e.g. for preventing snarling; Applications of tension indicators
    • B65H59/38Adjusting or controlling tension in filamentary material, e.g. for preventing snarling; Applications of tension indicators by regulating speed of driving mechanism of unwinding, paying-out, forwarding, winding, or depositing devices, e.g. automatically in response to variations in tension
    • B65H59/384Adjusting or controlling tension in filamentary material, e.g. for preventing snarling; Applications of tension indicators by regulating speed of driving mechanism of unwinding, paying-out, forwarding, winding, or depositing devices, e.g. automatically in response to variations in tension using electronic means
    • B65H59/387Regulating unwinding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1Textiles threads or artificial strands of filaments

Abstract

간이한 구성으로 실 공급경로에 있는 실의 장력이 적정한 범위로 유지되어, 느슨하게 되지 않도록 보빈으로부터 실을 공급시킬 수 있는 실 공급시스템을 제공한다.
보빈(3)으로부터 풀린 실(3Y)에 걸어 둔 인입편(20)을 저장부(10)에 인입되는 탄성체(30)의 장력을 장력측정수단(40)에 의하여 측정한다. 그리고 도출수단(50)에 의하여 미리 구해 둔 탄성체(30)의 장력과, 인입방향에 따른 인입편(20)의 위치(보빈(3)으로부터의 실(3Y)의 공급량을 제어하기 위한 물리량)와의 상관관계를 사용하여 실제로 측정한 장력으로부터 당해 위치를 구한다. 구한 위치에 의거하여 제어수단(1C)에 의하여 실 공급장치(1)에 의한 보빈(3)으로부터의 실(3Y)의 공급량을 제어한다.

Description

실 공급시스템{THREAD SUPPLY SYSTEM}
본 발명은, 실의 공급을 받는 편성기(編成機)나 방직기(紡織機) 등의 실의 수급장치(受給裝置)에 실을 공급하는 실 공급시스템(thread supply system)에 관한 것이다.
자동으로 편성포를 편성하는 횡편기(橫編機)나 경편성기(經編成機) 혹은 직물을 짜는 방직기, 복수의 실을 꼬아 합하는 연사장치(撚絲裝置) 등의 실의 수급장치에, 실이 감겨 있는 보빈(bobbin)으로부터 실을 공급시키는 실 공급시스템이 알려져 있다. 이 실 공급시스템은, 보빈으로부터 실을 풀어내는 실 공급장치와, 풀린 실을 일단 저장한 후에 수급장치로 송출하는 실 저장장치를 구비한다.
실 저장장치는, 보빈에서 풀린 실을 일단 저장한 후에 수급장치로 송출함으로써 실 공급장치로부터의 실의 공급량과 수급장치의 실의 사용량과의 차이에 따르는 실에 작용하는 장력의 변동을 완화시킨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의 도7, 도8에는, 실에 걸어 둔 댄서롤러(dancer roller)(인입편)에 의하여 연직방향으로 신장되는 통체(筒體)(저장부)에 실을 인입함으로써 실을 일단 저장하고 있다. 이 구성이라면, 실의 공급량이 사용량보다 많은 경우에, 인입편은 연직하방으로 이동하여 실이 느슨하게 되지 않도록 팽팽한 상태로 할 수 있고, 실의 사용량이 공급량보다 많은 경우에, 인입편은 연직상방으로 이동하여 저장하여 둔 수급장치로 송출할 수 있다. 보통, 댄서롤러가 인입편의 이동범위의 거의 중간위치에서 균형을 이루었을 때에, 실이 느슨하게 되지 않고 또한 실에 과대한 장력이 작용하지 않도록 실 저장장치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실 저장장치를 구비하는 실 공급시스템에 있어서, 실 공급경로에 있는 실에 작용하는 장력의 지표가 되는 인입편의 연직방향의 위치를 측정하고, 그 측정결과에 의거하여 실 공급장치에 의한 보빈으로부터의 실의 공급량을 제어하는 것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제어에 의하여 당해 장력이 지나치게 낮아져서 실이 느슨하게 되어 버리는 것이나 당해 장력이 지나치게 높아져서 실이 끊어져 버리는 것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6-299426호 공보
상기한 인입편의 위치의 측정에는, 인입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 나란하게 배치한 근접센서(近接 sensor)나 인입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자왜식 리니어 센서(磁歪式 linear sensor)가 종래에 사용되고 있었다. 그러나 이들 인입편의 위치 측정에는, 이하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우선 근접센서를 이용하는 경우에, 근접센서의 수를 아무리 많이 늘렸다고 하더라도, 인입편의 위치를 단속적(斷續的)으로 밖에 파악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그 결과 근접센서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위치에서의 인입편의 거동(인입편이 인입방향의 어느 쪽으로 이동하고 있는지 등)을 파악할 수 없기 때문에, 실 공급장치의 제어가 늦어지게 되어 버리는 경향이 있게 된다.
한편 자왜식 리니어 센서를 사용하는 경우에 인입편의 위치를 연속적으로 파악할 수 있지만, 센서의 구성이 대규모이고 또한 비용이 든다는 문제가 있다. 부가하여 자왜식 리니어 센서에서는 측정대상의 인입편을 자석으로 구성하여야만 하기 때문에, 인입편의 질량이 증가한다. 이 경우에 실의 사용량이 급격하게 감소하였을 때에 그 변화에 대한 인입편의 이동이 늦고 또한 실의 사용량이 급격하게 증가하였을 때에는 실에 큰 장력이 작용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간이한 구성으로 실 공급경로에 있는 실의 장력이 적정한 범위로 유지되어, 느슨하지 않게 보빈으로부터 실을 공급시킬 수 있는 실 공급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실 공급시스템은, 보빈(bobbin)으로부터 실을 풀어내는 실 공급장치(thread supply device)와, 이 실 공급장치로부터 실의 수급장치(受給裝置)에 이르는 실 공급경로의 도중에서 보빈으로부터 풀린 실을 일단 저장한 후에 수급장치로 송출하는 실 저장장치(thread 貯藏裝置)를 구비하는 실 공급시스템(thread supply system)에 관한 것이다. 실 저장장치는, 실이 인입되는 저장부(貯藏部)와, 인입편(引入片)과, 탄성체(彈性體)를 구비한다. 인입편은, 실에 걸어 두고 실의 인입방향을 따라 직선적으로 왕복이동하는 부재이다. 탄성체는, 인입편을 인입방향으로 잡아당기는 부재이다. 이 본 발명의 실 공급시스템은, 실에 걸어 둔 탄성체의 장력을 측정하는 장력측정수단(張力測定手段)과, 미리 구해 둔 탄성체의 장력과 보빈으로부터의 실의 공급량을 제어하기 위한 물리량과의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상기 장력측정수단의 측정결과로부터 상기 물리량을 도출하는 도출수단(導出手段)과, 도출한 물리량에 의거하여 보빈으로부터의 실의 공급량을 제어하는 제어수단(制御手段)을 더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 공급시스템의 한 형태로서, 인입편이 왕복이동하는 범위의 적어도 2군데에, 상기 인입편의 위치를 검출하는 검출센서(檢出 sensor)를 구비하고, 각 검출센서의 위치에서 상기 인입편을 검출하였을 때에, 상기 장력측정수단에 의하여 상기 탄성체의 장력을 검출하고, 그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상관관계의 교정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 공급시스템의 한 형태로서, 제어수단은, 수급장치에서의 실의 사용량에 따라 인입편이 왕복이동하는 범위 내에서 인입편이 균형을 이루는 위치가 변화하도록 실의 공급량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 공급시스템에 의하면, 실을 저장부에 인입하는 인입편에 연결되는 탄성체의 장력을 리얼타임으로 연속하여 측정하고, 그 측정결과로부터 실 공급장치에 의한 실의 공급량을 제어함으로써 실 공급경로에 있는 실에 작용하는 장력을 일정범위로 유지하면서, 실의 수급장치에 느슨하게 되지 않도록 실을 공급할 수 있다. 그 결과 수급장치에 의하여 얻어지는 결과물(편성포나 직물)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에 작용하는 장력을 일정범위로 유지하기 위하여 탄성체의 장력을 이용할 수 있는 것은, 탄성체의 장력이 저장부에 있어서의 인입편의 위치에 따라 변화하기 때문이며, 인입편의 위치가 실 공급경로에 있어서의 실에 작용하는 장력의 지표가 되기 때문이다.
또한 검출센서를 구비하는 실 공급장치에 의하면, 각 검출센서의 위치에 있어서의 탄성체의 장력을 검출하여, 탄성체의 장력과 보빈으로부터의 실의 공급량을 제어하기 위한 물리량과의 상관관계를 교정할 수 있다. 그 결과 실 공급장치로부터 수급장치에 대한 실의 공급상태에 미치는 환경의 온도변화나 탄성체의 경시적(經時的)인 열화(劣化) 등의 영향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수급장치에 대한 실의 사용량에 따라 인입편이 균형을 이루는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수급장치에 대한 실의 사용량의 급격한 변화에 따르는 실의 느슨함이나 실의 끊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상세한 것은, 실시형태의 최후에서 설명한다.
도1은, 실시형태에 나타나 있는 실 공급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2는, 실 공급시스템에 있어서의 인입편의 위치와 탄성사의 장력과의 대응관계를 나타내는 룩업 테이블의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또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하기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하기의 실시형태를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전체 구성>
도1에 나타나 있는 실 공급시스템(thread supply system)(100)은, 편성포를 편성하는 횡편기(橫編機)(실의 수급장치(受給裝置))(4)에 실(3Y)을 공급하는 시스템으로서, 실(3Y)이 감겨 있는 보빈(bobbin)(3)으로부터 실(3Y)을 풀어내는 실 공급장치(thread supply device)(1)와, 이 실 공급장치(1)로부터 횡편기(4)에 이르는 실 공급경로의 도중에 보빈(3)으로부터 풀린 실(3Y)을 일단 저장한 후에 횡편기(4)로 송출하는 실 저장장치(thread 貯藏裝置)(2)를 구비한다. 이 실 공급시스템(100)이 가장 특징으로 하는 것은, 실 공급경로에 있는 실(3Y)에 작용하는 장력(張力)이 적정범위로 유지되도록 보빈(3)으로부터의 실(3Y)의 공급량을 제어하는 구성을 구비하는 것이다.
[실 공급장치]
본 실시형태의 실 공급장치(1)는,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롤러(roller)와, 이들 롤러를 회전시키는 모터(1M)와, 모터(1M)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수단(制御手段)(1C)을 구비한다. 이 실 공급장치(1)에 의하여 보빈(3)으로부터 실(3Y)을 풀어내기 위해서는, 한 쌍의 롤러 위에 보빈(3)을 재치(載置)하고, 모터(1M)로 롤러를 회전시킨다. 실(3Y)의 풀림량(공급량)은, 보빈(3)의 회전속도 즉 롤러의 회전속도에 의하여 조절된다.
상기 실 공급장치(1) 이외에 보빈(3)의 몸통을 직접 회전시킴으로써 실(3Y)을 풀어내는 실 공급장치를 이용하더라도 좋고, 실(3Y)을 한 쌍의 송출롤러(送出 roller)에 끼우고, 이들 롤러의 회전에 의하여 실(3Y)을 풀어내는 실 공급장치를 이용하더라도 좋다. 후자의 구성에서는, 보빈(3)을 어떤 부재에 회전 가능하도록 축지(軸支)시키고, 실(3Y)이 풀어짐에 따라 보빈(3)이 회전하도록 구성하면 좋다.
회전하는 보빈(3)으로부터 실(3Y)을 공급시키는 실 공급장치(1)는, 예를 들면 딱딱하여 신장하기 어려운 금속실이나 편평한 단면(斷面)의 테이프 얀(tape yarn) 등의 실(3Y)을 공급하는 것에 적합하다. 보빈(3) 자체가 회전함으로써 실(3Y)이 꼬여서 실(3Y)에 킹크(kink)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보빈(3) 자체를 회전시키는 실 공급장치(1)는, 급격한 실(3Y)의 사용량의 증감에 실(3Y)의 공급량을 즉시 응답시키는 것이 어렵다. 여기에서 이러한 실 공급장치(1)를 구비하는 실 공급시스템(100)에는, 후술하는 실 저장장치(2)가 필요하다.
[실 저장장치]
실 저장장치(2)는, 보빈(3)으로부터 풀린 실(3Y)을 일단 저장한 후에 횡편기(4)로 송출함으로써, 실 공급장치(1)로부터의 실(3Y)의 공급량과 횡편기(4)에서의 실(3Y)의 사용량과의 차이에 따르는 실(3Y)에 작용하는 장력의 급격한 변동을 완화시키는 장치이다. 실 저장장치(2)는, 주로 저장부(貯藏部)(10)와, 인입편(引入片)(20)과, 탄성사(彈性絲)(탄성체)(30)로 구성된다.
저장부(10)는, 실 공급경로의 도중에 실(3Y)을 연직 하방으로 인입시켜서 저장하여 두는 부분이다. 여기에서 실(3Y)의 인입방향은, 연직 하방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실 저장장치(2)를 설치하지 않았을 경우의 실 공급경로와 교차하는 방향이면 좋다. 예를 들면 연직 상방이나 수평방향 등으로 실(3Y)을 인입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에 저장부(10)는 연직 상방이나 수평방향으로 신장하게 된다. 이 이외에 실 공급장치(1)로부터 횡편기(4)를 향하여 신장하는 실(3Y)을, 일단 실 공급장치(1)측으로 되돌리고 또한 또 한번 되돌려서 횡편기(4)를 향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즉 실 공급경로를 S자 모양으로 구성하여, 실(3Y)이 실 공급장치(1)측으로 인입되도록 한다.
인입편(20)은, 실(3Y)에 걸어서 실(3Y)을 저장부(10)로 인입시키는 부재로서, 실(3Y)의 공급량과 사용량의 변화에 의하여 인입방향을 따라 왕복이동한다. 인입편(20)에는, 후술하는 장력측정수단(張力測定手段)(40)이 접속되어 있고, 저장부(10)의 하방에 배치되는 풀리(pulley)에 의하여 연직 상방으로 되돌려진 탄성사(30)가 접속되어 있다. 이 탄성사(30)에 의한 연직 하방으로의 잡아당김과 인입편(20)의 중량에 의하여, 실(3Y)이 인입편(20)에 의하여 연직 하방으로 인입된다. 이 인입편(20)은, 실(3Y)에 의하여 연직 상방으로 끌리는 힘과, 탄성사(30)에 의하여 연직 하방으로 끌리는 힘이 균형을 이루는 위치가 되도록 연직 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예를 들면 실 공급장치(1)에 의한 실(3Y)의 공급량보다 횡편기(4)에 의한 실(3Y)의 사용량이 많은 경우에 인입편(20)은 연직 상방으로 이동하고, 실(3Y)의 사용량보다 공급량이 많은 경우에 인입편(20)은 연직 하방으로 이동한다. 이 경우에 인입편(20)의 위치에 의하여 탄성사(30)의 신장량도 변화되고, 탄성사(30)의 수축력도 변화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인입편(20)은 플라스틱으로 제작된 링(ring)으로 하였다. 링 모양의 인입편(20)으로 하면, 링에 실(3Y)을 삽입시킴으로써 실(3Y)에 인입편(20)이 걸린 상태로 할 수 있다. 또한 경량(輕量)의 플라스틱으로 제작함으로써 실(3Y)의 사용량 변동에 따른 인입편(20)의 이동 가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실(3Y)의 저장량이 감소할 때에는 실(3Y)에 지나친 장력이 걸리지 않도록 할 수 있고, 실(3Y)의 저장량이 증가할 때에는 재빠르게 실(3Y)에 장력을 부여하여 실(3Y)의 느슨함을 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인입편(20)의 형상은, 실을 걸 수 있는 형상이면 좋아, 링 모양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두께방향 중간부에 홈이 있는 롤러이더라도 좋고, S자 훅(hook) 등이더라도 좋다. 전자의 경우에, 롤러의 홈에 실(3Y)을 걸어 두고, 롤러의 축부(軸部)에 탄성사(30)를 부착하면 좋다. 또한 후자의 경우에, S자 훅의 일단(一端)에 실(3Y)을 걸어 두고, 타단(他端)에 탄성사(30)를 부착하면 좋다. 또한 인입편(20)을 저장부(10)에 인입하는 탄성체로서, 탄성사(30) 대신에 인장 스프링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구성을 구비하는 실 저장장치(2)이면, 횡편기(4)에서의 실(3Y)의 사용량 변화에 따라 저장부(10)로부터 풀린 실(3Y)의 양이 변화되어, 실(3Y)에 작용하는 장력의 변동을 완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실(3Y)의 사용량이 증가하면, 인입편(20)이 연직 상방으로 이동하여 저장부(10)로부터 풀린 실(3Y)의 양이 증가한다. 한편 실(3Y)의 사용량이 감소하면, 인입편(20)이 연직 하방으로 이동하여 저장부(10)로부터 풀린 실(3Y)의 양이 감소하여, 실(3Y)이 느슨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추가하여 본 실시형태의 실 공급시스템(100)의 실 저장장치(2)는, 실(3Y)에 작용하는 장력을 적정범위로 유지하면서 횡편기(4)에 실(3Y)을 공급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장력측정수단(40)과, 도출수단(導出手段)(50)을 구비한다.
장력측정수단(40)은, 인입편(20)의 위치 변위에 따라 변화되는 탄성사(30)의 장력을 측정하는 수단이다. 예를 들면 인입편(20)이 연직 상방으로 이동하면, 인입편(20)의 이동 전보다 탄성사(30)의 신장이 커지게 되어, 장력측정수단(40)에 의하여 검출되는 탄성사(30)의 장력은 커지게 된다. 반대로 인입편(20)이 연직 하방으로 이동하면, 인입편(20)의 이동 전보다 탄성사(30)의 신장이 작아지게 되어, 장력측정수단(40)에 의하여 검출되는 탄성사(30)의 장력은 작아지게 된다. 이 장력측정수단(40)에는, 시판되는 장력측정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컴퓨터 등으로 구성되는 도출수단(50)은, 미리 구해 둔 탄성사(30)의 장력과, 보빈(3)으로부터의 실(3Y)의 공급량을 제어하기 위한 물리량과의 상관관계를 기억하는 룩업 테이블(look-up table)을 구비한다. 도2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룩업 테이블의 일례이며, 실(3Y)의 공급량을 제어하기 위한 물리량으로서, 인입방향에 따른 인입편(20)의 위치를 채용한 것이다. 이 경우에 도출수단(50)은,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장력측정수단(40)으로부터 탄성사(30)의 장력의 측정결과를 취득하고, 그 측정결과를 도2의 룩업 테이블과 대조하여 인입편(20)의 위치를 도출한다.
여기에서 도2의 룩업 테이블은, 본 발명자가 도1의 실 저장장치(2)에 있어서, 복수의 근접센서(近接 sensor)를 설치한 후에 탄성사(30)의 장력과 인입편(20)의 위치를 측정한 결과 얻어진 것이다. 이 도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당해 장력과 위치와의 사이에 리니어(linear)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을 확인하고 있다.
도출수단(50)에 의하여 도출한 인입편(20)의 위치 정보는, 실 공급장치(1)의 제어수단(1C)으로 출력된다. 제어수단(1C)은, 이들 정보에 의거하여 모터(1M)를 제어하여, 인입편(20)이 인입방향의 소정의 위치(예를 들면 인입편(20)의 이동범위의 중간위치)의 부근에서 균형을 이루도록 보빈(3)으로부터의 실(3Y)의 풀림량(공급량)을 미세하게 조정한다. 예를 들면 인입편(20)의 위치가 높으면, 횡편기(4)에서의 실(3Y)의 사용량에, 보빈(3)으로부터의 실(3Y)의 공급량이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 것이기 때문에, 제어수단(1C)은 모터(1M)의 회전속도를 올린다. 반대로 인입편(20)의 위치가 낮으면, 제어수단(1C)은 모터(1M)의 회전속도를 감소시켜서, 보빈(3)으로부터의 실(3Y)의 공급량을 억제한다.
또 실 공급장치(1)의 제어수단(1C)이 도출수단(50)의 기능을 겸비하고 있어도 좋다. 이 경우에 실 저장장치(2) 내의 도출수단(50)은 불필요하게 되고, 장력측정수단(40)에 의하여 얻어지는 측정결과는 제어수단(1C)에 직접 입력된다. 또한 탄성사(30)의 장력으로부터 적정한 모터(1M)의 출력을 구하는 것에 있어서, 당해 장력으로부터 직접 모터(1M)의 출력을 구하는 룩업 테이블을 사용하여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실 저장장치(2)는, 인입방향으로 격리하여 배치되는 한 쌍의 근접센서(검출센서)(60A, 60B)와, 이들 근접센서(60A, 60B)를 제어하는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위치검출수단(位置檢出手段)(60)을 더 구비한다. 근접센서(60A)는 인입편(20)의 이동범위에 있어서의 상단(上端) 위치에 설치하고, 근접센서(60B)는 인입편(20)의 이동범위에 있어서의 하단(下端) 위치에 설치한다. 이 위치검출수단(60)에 의하면, 예를 들면 이하의 순서에 의하여 도2의 룩업 테이블을 교정할 수 있다. 우선 모터(1M)를 제어하여, 인입편(20)을 이동범위 내의 상한으로부터 하한까지 이동시킨다. 이 때에 인입편(20)이 각 근접센서(60A, 60B)의 위치에 이르렀을 때에 탄성사(30)의 장력을 측정한다. 그리고 검출한 탄성사(30)의 장력과 인입편(20)의 위치로부터 각 장력에 대응한 인입편(20)의 위치의 상관을 기억하는 룩업 테이블을 교정한다. 이 때에 2점의 측정에 의하여 룩업 테이블을 교정할 수 있는 것은, 탄성사(30)의 장력과 인입편(20)의 위치와의 사이에 리니어한 관계가 있기 때문이다. 최후에 그 교정한 룩업 테이블로 교정 전의 룩업 테이블을 덮어쓴다. 교정을 정기적으로 함으로써 실(3Y)의 공급상태에 미치는 실 공급시스템(100)의 사용환경의 온도변화나 탄성사(30)의 경시적(經時的)인 열화(劣化) 등의 영향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근접센서(60A, 60B)는, 실 공급시스템(100)의 가동 시에 인입편(20)이 이동범위의 상하한을 넘지 않도록 감시하는 것에 이용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에 근접센서(60A, 60B)에서의 검출결과에 의거하여 실 공급장치(1)와 횡편기(4)를 긴급 정지시키면 좋다. 또 근접센서(60A, 60B)를 룩업 테이블의 교정에만 사용하는 것이라면, 이들 근접센서(60A, 60B)의 위치는 인입편(20)의 이동범위의 상하단 위치에 설치할 필요는 없어, 당해 이동범위의 어느 위치에 있더라도 괜찮다.
이상에서 설명한 구성을 구비하는 실 공급시스템(100)에 의하면, 실(3Y)에 작용하는 장력을 일정범위로 유지한 상태에서 횡편기(4)에 실(3Y)을 공급할 수 있다. 그 결과 품질이 안정한 편성포를 편성할 수 있다. 또한 실(3Y)이 끊어지거나 하는 등으로 하여 횡편기(4)에 대한 실(3Y)의 공급이 멈추는 등의 불량도 발생하기 어렵기 때문에, 생산성이 좋게 편성포를 편성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실(3Y)의 수급장치는, 실(3Y)의 공급을 받아서 어떠한 제품을 제작하는 것이면 좋아, 횡편기(4)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경편성기(經編成機)나 방직기(紡織機) 혹은 연사장치(撚絲裝置) 등이더라도 좋다.
이 이외에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인입편(20)이, 인입편(20)이 왕복이동하는 범위의 중간 부근에 유지되도록 제어수단(1C)에 의하여 모터(1M)를 제어하여 보빈(3)으로부터의 실(3Y)의 공급량을 조절하고 있다. 이에 대하여 횡편기(4)에서의 실(3Y)의 사용량이 많은 경우에, 제어수단(1C)은 실(3Y)의 공급량을 감소시킴으로써 인입편(20)을 그 이동범위의 중간보다 상방의 위치에서 균형을 이루게 하여, 급격한 실(3Y)의 사용량의 감소에 대비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 실(3Y)의 사용량의 급격한 감소에 의하여 인입편(20)이 지나치게 내려가서, 실(3Y)이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횡편기(4)에서의 실(3Y)의 사용량이 적은 경우에, 제어수단(1C)은 실(3Y)의 공급량을 증가시킴으로써 인입편(20)을 그 이동범위의 중간보다 하방의 위치에서 균형을 이루게 하여, 급격한 실(3Y)의 사용량의 증가에 대비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 실(3Y)의 사용량의 급격한 증가에 의하여 인입편(20)이 지나치게 올라가서, 실(3Y)에 과대한 장력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횡편기(4)에서의 실(3Y)의 사용량의 대소는 모터(1M)의 출력에 의하여 파악할 수 있다.
100 : 실 공급시스템
1 : 실 공급장치 2 : 실 저장장치
1C : 제어수단 1M : 모터
10 : 저장부
20 : 인입편
30 : 탄성사(탄성체)
40 : 장력측정수단
50 : 도출수단
60 : 위치검출수단 60A, 60B : 근접센서(검출센서)
3 : 보빈
3Y : 실
4 : 횡편기(실의 수급장치)

Claims (3)

  1. 보빈(bobbin)으로부터 실을 풀어내는 실 공급장치(thread supply device)와, 이 실 공급장치로부터 실의 수급장치(受給裝置)에 이르는 실 공급경로의 도중에서 보빈으로부터 풀린 실을 일단 저장한 후에 수급장치로 송출하는 실 저장장치(thread 貯藏裝置)를 구비하는 실 공급시스템(thread supply system)으로서,
    상기 실 저장장치는,
    실이 저장되는 저장부(貯藏部)와,
    실에 걸어 두고 실을 저장부측으로 인입함과 아울러, 인입방향을 따라 직선적으로 왕복이동하는 인입편(引入片)과,
    인입편을 인입방향으로 잡아당기는 탄성체(彈性體)를 구비하고,
    상기 탄성체의 장력을 측정하는 장력측정수단(張力測定手段)과,
    미리 구해 둔 탄성체의 장력과, 보빈으로부터의 실의 공급량을 제어하기 위한 물리량과의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상기 장력측정수단의 측정결과로부터 상기 물리량을 도출하는 도출수단(導出手段)과,
    도출한 물리량에 의거하여 보빈으로부터의 실의 공급량을 제어하는 제어수단(制御手段)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공급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편이 왕복이동하는 범위의 적어도 2군데에, 상기 인입편의 위치를 검출하는 검출센서(檢出 sensor)를 구비하고,
    각 검출센서의 위치에서 상기 인입편을 검출하였을 때에, 상기 장력측정수단에 의하여 상기 탄성체의 장력을 검출하고, 그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상관관계의 교정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공급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수급장치에서의 실의 사용량에 따라 상기 인입편이 왕복이동하는 범위 내에서 인입편이 균형을 이루는 위치가 변화하도록 실의 공급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공급시스템.
KR1020127026809A 2010-05-21 2011-04-14 실 공급시스템 KR1013841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117815 2010-05-21
JP2010117815 2010-05-21
PCT/JP2011/059300 WO2011145415A1 (ja) 2010-05-21 2011-04-14 糸供給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0781A KR20120130781A (ko) 2012-12-03
KR101384184B1 true KR101384184B1 (ko) 2014-04-10

Family

ID=44991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6809A KR101384184B1 (ko) 2010-05-21 2011-04-14 실 공급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573026B1 (ko)
JP (1) JP5805079B2 (ko)
KR (1) KR101384184B1 (ko)
CN (1) CN102844260B (ko)
WO (1) WO20111454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86882B2 (ja) 2013-10-31 2017-03-01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糸供給システム
CN105293182A (zh) * 2014-06-16 2016-02-03 蓝星(北京)化工机械有限公司 变速收丝机
CN104963011B (zh) * 2015-04-28 2017-06-30 浙江经贸职业技术学院 再生蚕丝蛋白纤维的牵伸机和牵伸控制装置及方法
AT517296B1 (de) * 2015-06-11 2017-03-15 Bsw Machinery Handels-Gmbh Spulmaschine zum Aufwickeln von Spulgut
CN106044389A (zh) * 2016-07-20 2016-10-26 江苏友诚数控科技有限公司 一种单纱涨力自控的筒子架机构
CN110004573B (zh) * 2019-04-03 2020-09-08 东北大学 一种基于振动数据的纱线故障检测方法及装置
CN114164556B (zh) * 2021-11-23 2023-04-28 南京航空航天大学 一种三维编织机可控制张力的送纱装置及使用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40276A (ja) * 1990-10-01 1992-05-14 Mitsubishi Heavy Ind Ltd 超電導線材の巻取り方法とその装置
JPH05294561A (ja) * 1992-04-17 1993-11-09 Fujikura Ltd 線条体の被覆巻取装置における送出速度制御方法
JP2006299426A (ja) 2005-04-15 2006-11-02 Toray Ind Inc 多軸ステッチ基材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503114B1 (fr) * 1981-04-01 1986-02-07 Pourtier Pere Fils Ets Dispositif de deroulement pour fil fragile en bobine
CN85106247A (zh) * 1985-08-19 1987-02-18 古斯塔夫·梅明格 纺织机械供纱装置
JPS63143178A (ja) * 1986-12-04 1988-06-15 Shinko Electric Co Ltd 張力制御装置
JPH0712883B2 (ja) * 1990-03-07 1995-02-15 シルバー鋼機株式会社 長尺材巻取機の張力制御装置
JPH05278943A (ja) * 1991-03-22 1993-10-26 Unisia Jecs Corp 巻線のテンション制御装置
JP2705860B2 (ja) * 1991-07-26 1998-01-28 住友金属鉱山株式会社 極細線の張力測定装置
DE19811241A1 (de) * 1998-03-14 1999-09-30 Memminger Iro Gmbh Fadenspannungssensor mit wiederholtem Abgleich
DE102008010365A1 (de) * 2008-02-18 2009-08-20 Maschinenfabrik Rieter Ag Spulvorrichtung an einer Textilmaschine
CN201427824Y (zh) * 2009-06-29 2010-03-24 张家港市胜达钢绳有限公司 恒张力收放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40276A (ja) * 1990-10-01 1992-05-14 Mitsubishi Heavy Ind Ltd 超電導線材の巻取り方法とその装置
JPH05294561A (ja) * 1992-04-17 1993-11-09 Fujikura Ltd 線条体の被覆巻取装置における送出速度制御方法
JP2006299426A (ja) 2005-04-15 2006-11-02 Toray Ind Inc 多軸ステッチ基材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844260B (zh) 2015-06-24
EP2573026A1 (en) 2013-03-27
EP2573026B1 (en) 2017-09-20
JP5805079B2 (ja) 2015-11-04
KR20120130781A (ko) 2012-12-03
WO2011145415A1 (ja) 2011-11-24
JPWO2011145415A1 (ja) 2013-07-22
EP2573026A4 (en) 2013-10-30
CN102844260A (zh) 2012-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4184B1 (ko) 실 공급시스템
EP2868609B1 (en) Yarn supplying system
JP2009173445A5 (ko)
CN102884234B (zh) 用于以恒定的张力和速度向加工机供给纱或线的改进方法和设备
EP3842371B1 (en) Yarn tensioning system for keeping a yarn which is taken from a yarn storage system to a yarn take-off system of a weaving machine under tension
ITMI20080410A1 (it) Dispositivo e metodo per l&#39;alimentazione a tensione costante di filati alimentati in modo discontinuo
CN105151894B (zh) 用于消除纱线环的方法和用于执行它的装置
CN101044276B (zh) 纱线输送设备和驱动纱线输送设备的方法
CN109415852B (zh) 零扭转纱线进给设备
CN106245212B (zh) 控制从累积供料机向纺织机解绕纱的消耗速率方法及装置
KR101520525B1 (ko) 니트웨어 또는 양말류용 환편기에서 생산하는 편직 물품들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공정
CN101506421A (zh) 带有新的纱线传感器的纱线输送装置
US7073399B2 (en) Yarn processing system
CN105366425B (zh) 纱线卷绕装置以及纤维机械
CN112955592B (zh) 具有学习程序的纱线进给设备
JP2010228852A (ja) 糸継機構及びそれを用いたサンプル整経機
CN102071503A (zh) 长丝短纤复合纺纱用的长丝张力控制装置
US5927629A (en) Anti-static tension device
CN204849255U (zh) 可调节张力的卷曲机构
CN217709803U (zh) 一种并条机速度检测及断头自停装置
CN202245514U (zh) 倒置式筒纬纱退绕装置
CN210194107U (zh) 一种针织机械的纱线回线装置
CN205557048U (zh) 气动式浆纱机经轴退绕张力控制装置
CN201809562U (zh) 织机纬印清除装置
JP2506536Y2 (ja) 延伸機における給糸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