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2475B1 - 자동차용 선루프의 선쉐이드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선루프의 선쉐이드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2475B1
KR101382475B1 KR1020120150331A KR20120150331A KR101382475B1 KR 101382475 B1 KR101382475 B1 KR 101382475B1 KR 1020120150331 A KR1020120150331 A KR 1020120150331A KR 20120150331 A KR20120150331 A KR 20120150331A KR 101382475 B1 KR101382475 B1 KR 1013824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weight
parts
sunshade
sunroo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0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왕현
Original Assignee
경은산업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은산업 (주) filed Critical 경은산업 (주)
Priority to KR10201201503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24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24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24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007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moveable head-liners, screens, curtains or blinds for ceil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02External sun shield, e.g. awning or vis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60J7/04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rigid plate-like element or elements, e.g. open roofs with harmonica-type folding rigid panels
    • B60J7/043Sunroofs e.g. sliding above the ro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에 설치되는 태양광을 차단하는 선루프의 선쉐이드로서 인장강도가 우수하고, 롤 방식에 적용이 가능한 유연성을 가지는 동시에 표면의 주름을 최소화하고 일정한 강도에도 견딜 수 있는 접착강도를 가진 자동차용 선루프의 선쉐이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난연 폴리우레탄 100 중량부에 대하여 용제 50 ~ 70 중량부, 및 은안료 15 ~ 25 중량부를 배합하여 차광층을 형성하는 차광층 형성단계; 폴리우레탄 100 중량부 대하여 용제 50 ~ 70 중량부, 촉진제 4 ~ 12 중량부, 경화제 7 ~ 17 중량부 및 난연제 3 ~ 10 중량부를 배합하여 제 1접착층을 형성하는 제 1접착층 형성단계; 이형지의 상부에 염료를 염착시킨 폴리 트윌(Poly Twill)원단으로 구성되어 있는 기재층을 도포하고, 상기 기재층의 상부에 상기 제 1접착층 및 상기 차광층을 도포하여 상기 기재층과 상기 차광층을 접착시키는 접착단계; 상기 접착시킨 기재층과 차광층을 숙성실에서 70 ~ 80℃의 온도조건으로 숙성시킨 후, 상기 이형지를 상기 기재층으로부터 박리시키는 숙성 및 박리단계; 및 상기 차광층의 상부에 제 2접착층을 도포하고, 상기 제 2접착층의 상부에 자동차용 선루프의 선쉐이드 표면 원단인 표면층을 도포하여 상기 차광층과 상기 표면층을 합포시키는 합포단계;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선루프의 선쉐이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선루프의 선쉐이드 및 그 제조방법{Sunshade of sunroof for automobil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자동차용 선루프의 선쉐이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차량에 설치되는 태양광을 차단하는 선루프의 선쉐이드로서 인장강도가 우수하고, 롤 방식에 적용이 가능한 유연성을 가지는 동시에 표면의 주름을 최소화하고 일정한 강도에도 견딜 수 있는 접착강도를 가진 자동차용 선루프의 선쉐이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차량 글래스에는 선쉐이드가 설치되어, 선택적인 차양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선쉐이드는 일반적인 도어 글래스에 설치될 수도 있고, 선루프의 루프 글래스에 설치될 수도 있다. 그러한 선쉐이드의 구성에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크게 롤러와 선쉐이드 천을 이용하는 방식과, 쉐이드 패널을 이용하여 개폐하는 방식의 두 가지가 있다. 이들 중, 롤러와 선쉐이드 천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글래스의 일측에 선쉐이드 천을 감고 있는 롤러를 마련하고 타측으로 선쉐이드 천을 당김으로써 차양하는 방식과, 글래스의 중앙에 선쉐이드 천을 감고 있는 롤러를 마련하고 양측으로 선쉐이드 천을 당김으로써 차양하는 방식이 있다. 후자의 경우는 일명 파노라마 선루프라고 불리는 방식으로서, 주로 차량의 선루프에서 이용된다.
그 중에서 파노라마 선루프 선쉐이드에 관한 종래 출원되어 공개된 공개특허 제2003-0016139호는 발포우레탄으로 이루어진 반경질층의 기반재 양면에 수지함침 유리 섬유매트를 융착하고, 상기 유리섬유매트 외면에는 접착필름을 이용하여 표면재와 이면재를 접착성형하여 이루어진 선쉐이드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선쉐이드는 기반재로 발포우레탄으로 이루어진 반경질층이 이용되어 유연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선쉐이드가 롤에 감기면서 개방되는 롤방식에는 적합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표피재와 이면재는 함침수지에 의한 오염방지를 위하여 접착필름을 통하여 접착성형토록 함에 따라 제조시 재료비와 제조공정의 추가로 인해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개폐방식이 아닌 롤 방식에 적합한 선쉐이드로서 인장강도가 우수하고, 롤 방식에 적용이 가능한 유연성을 가지는 동시에 표면의 주름을 최소화하고 일정한 강도에도 견딜 수 있는 접착강도를 가진 자동차용 선루프의 선쉐이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재층; 상기 기재층의 상부에 형성되어 차광층과의 접착을 유도하는 제 1접착층; 상기 제 1접착층의 상부에 형성되며, 난연 폴리우레탄, 용제 및 은안료를 포함하는 차광층; 상기 차광층의 상부에 형성되어 표면층과의 접착을 유도하는 제 2접착층; 및 상기 제 2접착층의 상부에 형성되는 표면층;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선루프의 선쉐이드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기재층은 염료를 염착시킨 폴리 트윌(Poly Twill)원단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표면층은 자동차용 선루프의 선쉐이드 표면 원단으로서 폴리에스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제 1접착층은 폴리우레탄 100 중량부 대하여 용제 50 ~ 70 중량부, 촉진제 4 ~ 12 중량부, 경화제 7 ~ 17 중량부 및 난연제 3 ~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차광층은 난연 폴리우레탄 100 중량부에 대하여 용제 50 ~ 70 중량부, 및 은안료 15 ~ 2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용제는 디메틸포름아마이드(Dimethylformamide,DMF) 또는 메틸에틸케톤(Methylethylketone,MEK) 중에서 1종 또는 2종 선택된 유기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난연 폴리우레탄 100 중량부에 대하여 용제 50 ~ 70 중량부, 및 은안료 15 ~ 25 중량부를 배합하여 차광층을 형성하는 차광층 형성단계; 폴리우레탄 100 중량부 대하여 용제 50 ~ 70 중량부, 촉진제 4 ~ 12 중량부, 경화제 7 ~ 17 중량부 및 난연제 3 ~ 10 중량부를 배합하여 제 1접착층을 형성하는 제 1접착층 형성단계; 이형지의 상부에 염료를 염착시킨 폴리 트윌(Poly Twill)원단으로 구성되어 있는 기재층을 도포하고, 상기 기재층의 상부에 상기 제 1접착층 및 상기 차광층을 도포하여 상기 기재층과 상기 차광층을 접착시키는 접착단계; 상기 접착시킨 기재층과 차광층을 숙성실에서 70 ~ 80℃의 온도조건으로 숙성시킨 후, 상기 이형지를 상기 기재층으로부터 박리시키는 숙성 및 박리단계; 및 상기 차광층의 상부에 제 2접착층을 도포하고, 상기 제 2접착층의 상부에 자동차용 선루프의 선쉐이드 표면 원단인 표면층을 도포하여 상기 차광층과 상기 표면층을 합포시키는 합포단계;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선루프의 선쉐이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합포단계 이후에, 텐타기를 이용하여 상기 합포된 차광층 및 표면층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선루프의 선쉐이드의 냄새 등을 제거하는 동시에 주름을 제거하는 텐타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선루프의 선쉐이드는 인장강도가 우수하고, 롤 방식에 적용이 가능한 유연성을 가지는 동시에 표면의 주름을 최소화하고 일정한 강도에도 견딜 수 있는 접착강도를 가진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선루프의 선쉐이드는 롤 방식에 적합한 유연성을 갖는 탁월한 효과 뿐만 아니라 표면의 주름이 거의 없어 제품에 대한 불량율이 최소화되며, 난연성 및 차광성이 우수한 효과 또한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선루프의 선쉐이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자동차용 선루프용 선쉐이드를 찍은 전자현미경 사진(60배 확대)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선루프의 선쉐이드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a 내지 도 4e는 도 3의 제조방법 중 차광층 및 제 1접착층 형성단계, 접착단계, 숙성 및 박리단계, 합포단계 및 텐타단계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5는 도 3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자동차용 선루프의 선쉐이드의 접착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도 3의 제조방법의 각 단계별 체크시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선루프의 선쉐이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자동차용 선루프용 선쉐이드를 찍은 전자현미경 사진(60배 확대)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선루프의 선쉐이드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4a 내지 도 4e는 도 3의 제조방법 중 차광층 및 제 1접착층 형성단계, 접착단계, 숙성 및 박리단계, 합포단계 및 텐타단계를 나타내는 사진이고, 도 5는 도 3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자동차용 선루프의 선쉐이드의 접착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6은 도 3의 제조방법의 각 단계별 체크시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자동차용 선루프의 선쉐이드(10)는 기재층(100), 제 1접착층(200), 차광층(300), 제 2접착층(400) 및 표면층(500)을 포함한다.
상기 기재층(100)은 자동차용 선루프의 선쉐이드(10)의 기재를 이루는 층으로, 상기 기재층(100)은 염료를 염착시킨 폴리 트윌(Poly Twill)원단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이러한 기재층(100)을 폴리 트윌 원단으로 구성할 경우, 차량 실내의 천정부위로 노출되는 특성상 감촉이 부드럽고 미관성이 우수한 재질로서 적합하기 때문이다.
상기 제 1접착층(200)은 상기 기재층(100)의 상부에 형성되어 차광층(300)과의 접착을 유도한다. 상기 제 1접착층(200)은 폴리우레탄 100 중량부 대하여 용제 50 ~ 70 중량부, 촉진제 4 ~ 12 중량부, 경화제 7 ~ 17 중량부 및 난연제 3 ~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용제는 디메틸포름아마이드(Dimethylformamide,DMF) 또는 메틸에틸케톤(Methylethylketone,MEK) 중에서 1종 또는 2종 선택된 유기용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제는 배합물의 점도를 조정하여 도포량을 결정하는 데 도움을 주며, 배합물의 점도를 고려하여 위에 언급된 배합비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촉진제는 제 1접착층(200)의 경화시간을 조정해 주는 역할을 하며, 경화시간을 고려하여 위에 언급된 배합비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경화제는 제 1접착층(200)의 경화시간을 조정하고, 제품의 경도에 영향을 주며, 경화시간을 고려해 위에 언급된 배합비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난연제는 제품의 난연성을 부여하며, 3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난연성이 결여되며, 10 중량부 이상인 경우에는 경화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다. 특히 상기 난연제는 인계 난연제, 멜라민계 난연제 등의 종류가 많으나, 인계 난연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인계 난연제는 블로밍 현상을 예방하고 난연효과를 극대화하는데 도움을 주기 때문이다.
상기 차광층(300)은 상기 제 1접착층(200)의 상부에 형성되며, 난연 폴리우레탄, 용제 및 은안료를 포함한다. 상기 차광층(300)은 난연 폴리우레탄 100 중량부에 대하여 용제 50 ~ 70 중량부, 및 은안료 15 ~ 2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난연 폴리우레탄은 일반 폴리우레탄에 비해 난연성이 뛰어나며, 난연성을 갖춘 폴리우레탄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별도의 폴리우레탄에 난연제를 투입한 경우에 비해 블로밍 현상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되며, 난연성 또한 우수하다. 상기 용제는 위에 언급된 것과 마찬가지로 디메틸포름아마이드(Dimethylformamide,DMF) 또는 메틸에틸케톤(Methylethylketone,MEK) 중에서 1종 또는 2종 선택된 유기용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용제는 배합물의 점도를 조정하고 도포량을 결정하는데 도음을 주며, 배합물의 점도를 고려하여 위에 언급된 배합비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은안료는 빛의 투과성을 막기 위하여 사용되며, 15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빛투과를 제대로 막지 못하고, 25 중량부 이상인 경우에는 경도가 너무 높아 사용하는데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상기 차광층(300)은 난연 폴리우레탄에 용제 및 은안료가 첨가되는데 고르게 분포되도록 교반기를 이용해 적절하게 배합시킬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기 차광층(300)은 빛의 투과를 막는 차광성을 가질뿐 아니라 불에 의한 내연소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2접착층(400)은 상기 차광층(300)의 상부에 형성되어 표면층(500)과의 접착을 유도한다. 상기 제 2접착층(400)은 상기 제 1접착층(200)과 동일한 조성물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제 1접착층(200)과 다른 형태로 구성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표면층(500)은 상기 제 2접착층(400)의 상부에 형성된다. 상기 표면층(500)은 자동차용 선루프의 선쉐이드 표면 원단으로서 폴리에스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면층(500)은 자동차용 선루프의 선쉐이드(10)의 최상부층으로 롤타입의 선루프에 적용될 경우 인장강도가 강해야 하기 때문에 인장강도가 우수한 폴리에스터를 표면층(500)으로 구성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선루프의 선쉐이드의 제조방법을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아래의 내용과 같다.
제 1단계는 난연 폴리우레탄 100 중량부에 대하여 용제 50 ~ 70 중량부, 및 은안료 15 ~ 25 중량부를 배합하여 차광층을 형성하는 차광층 형성단계이다(S110).
제 2단계는 폴리우레탄 100 중량부 대하여 용제 50 ~ 70 중량부, 촉진제 4 ~ 12 중량부, 경화제 7 ~ 17 중량부 및 난연제 3 ~ 10 중량부를 배합하여 제 1접착층을 형성하는 제 1접착층 형성단계이다(S120). 상기 제 1단계(S110) 및 상기 제 2단계(S120)는 그 순서가 뒤바뀌어도 무방할 것이다. 도 4a에 차광층 및 제 1접착층을 형성하는 공정의 사진이 잘 나타나 있다.
제 3단계는 이형지의 상부에 염료를 염착시킨 폴리 트윌(Poly Twill)원단으로 구성되어 있는 기재층을 도포하고, 상기 기재층의 상부에 상기 제 1접착층 및 상기 차광층을 도포하여 상기 기재층과 상기 차광층을 접착시키는 접착단계이다(S130). 따라서 기재층과 차광층 사이에 제 1접착층을 도포시켜 상기 기재층과 차광층을 적절히 접착시킬 수 있을 것이다. 도 4b에 기재층과 차광층을 접착하는 공정의 사진이 잘 나타나 있다.
제 4단계는 상기 접착시킨 기재층과 차광층을 숙성실에서 70 ~ 80℃의 온도조건으로 숙성시킨 후, 상기 이형지를 상기 기재층으로부터 박리시키는 숙성 및 박리단계이다(S140). 따라서 제 4단계에서 숙성실에서 일정온도 및 시간 동안 건조 및 숙성시켜 접착강도를 보다 개선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4c에 숙성실에서 숙성되는 공정 및 박리실에서 이형지와 기재층 간의 박리하는 공정의 사진이 잘 나타나 있다.
상기 제 1단계 내지 제 4단계를 통해 기재층인 폴리 트윌 원단에 차광층을 도포 또는 코팅을 하여 차광성과 내연소성을 강화시킬 수 있다.
제 5단계는 상기 차광층의 상부에 제 2접착층을 도포하고, 상기 제 2접착층의 상부에 자동차용 선루프의 선쉐이드 표면 원단인 표면층을 도포하여 상기 차광층과 상기 표면층을 합포시키는 합포단계이다(S150). 자동차용 선루프의 선쉐이드의 최상부층인 표면층을 차광층과 합포시켜 롤타입의 선루프의 선쉐이드의 접착강도를 강화시켜 나갈 수 있다. 도 4d에 합포실에서 차광층과 표면층이 합포되는 공정의 사진이 잘 나타나 있다.
제 6단계는 텐타기를 이용하여 상기 합포된 차광층 및 표면층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선루프의 선쉐이드의 냄새 등을 제거하는 동시에 주름을 제거하는 텐타단계이다(S160). 따라서 제 6단계에서 텐타기를 이용해 선쉐이드 속에 존재하는 유해한 물질(예를 들어, VOC)을 제거함과 동시에 냄새 또한 제거시킬 수 있다. 게다가 텐타기를 이용함으로써 표면의 주름을 제거해 불량율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도 4e에 탈취실에서 텐타기를 이용해 냄새 및 주름을 제거하는 공정의 사진이 잘 나타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선루프의 선쉐이드의 제조방법을 하기의 실시예를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서만 반드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 자동차용 선루프의 선쉐이드의 제조
본 발명에서 자동차용 선루프의 선쉐이드의 제조를 위하여 기재층으로서 폴리 트윌 원단을 준비시켰다. 그리고 폴리우레탄 100 중량부에 대하여 용제(DMF+MEK) 60 중량부, 촉진제 8 중량부, 경화제 12 중량부, 인계 난연제 5 중량부를 배합하여 제 1접착층을 만들었다. 그리고 난연 폴리우레탄 100 중량부에 대하여 용제(DMF+MEK) 60 중량부, 은안료 20 중량부를 배합하여 차광층을 만들었다. 그리고 나서 이형지의 상부에 폴리 트윌(Poly Twill)원단으로 구성되어 있는 기재층을 도포하고, 폴리 트윌 원단의 상부에 제 1접착층 및 차광층을 도포시키고, 숙성실에서 70 ~ 80℃의 온도조건으로 48시간 정도 숙성시킨 후, 이형지를 상기 기재층으로부터 박리시켰다. 그리고 상기 차광층의 상부에 제 2접착층을 형성하고, 상기 제 2접착층의 상부에 표면층인 자동차용 원단으로서 폴리에스터를 형성시켰다. 마지막으로 텐타기를 이용하여 130 ~ 150℃의 온도조건에서 10 ~ 15m/min로 합포된 차광층 및 표면층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선루프의 선쉐이드의 냄새 등을 제거하는 동시에 주름을 제거하였다.
2. 자동차용 선루프의 선쉐이드의 분석
접착강도를 테스트 한 결과, 도 5에서 기존의 평균강도에 비해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자동차용 선루프의 선쉐이드가 훨씬 높은 접착강도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용 선루프의 선쉐이드는 박리강도를 개선시킴으로서 평균 접착강도가 2.5kg 이상이 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도 6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되는 공정별 체크시트가 나타나 있는데, 여기를 살펴보면 빛을 차광시키는 차광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고, 기타 접착공정이나 탈취공정 등에 관련된 사항 등에 대한 전수검사가 잘 나타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자동차용 선루프의 선쉐이드는 접착강도가 우수하여 원단의 접착성을 강화시켰고, 표면의 불량 주름율이 적어 제조단가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자동차용 선루프의 선쉐이드
100: 기재층
200: 제 1접착층
300: 차광층
400: 제 2접착층
500: 표면층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난연 폴리우레탄 100 중량부에 대하여 용제 50 ~ 70 중량부, 및 은안료 15 ~ 25 중량부를 배합하여 차광층을 형성하는 차광층 형성단계;
    폴리우레탄 100 중량부 대하여 용제 50 ~ 70 중량부, 촉진제 4 ~ 12 중량부, 경화제 7 ~ 17 중량부 및 난연제 3 ~ 10 중량부를 배합하여 제 1접착층을 형성하는 제 1접착층 형성단계;
    이형지의 상부에 염료를 염착시킨 폴리 트윌(Poly Twill)원단으로 구성되어 있는 기재층을 도포하고, 상기 기재층의 상부에 상기 제 1접착층 및 상기 차광층을 도포하여 상기 기재층과 상기 차광층을 접착시키는 접착단계;
    상기 접착시킨 기재층과 차광층을 숙성실에서 70 ~ 80℃의 온도조건으로 숙성시킨 후, 상기 이형지를 상기 기재층으로부터 박리시키는 숙성 및 박리단계; 및
    상기 차광층의 상부에 제 2접착층을 도포하고, 상기 제 2접착층의 상부에 자동차용 선루프의 선쉐이드 표면 원단인 표면층을 도포하여 상기 차광층과 상기 표면층을 합포시키는 합포단계;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선루프의 선쉐이드의 제조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합포단계 이후에, 텐타기를 이용하여 상기 합포된 차광층 및 표면층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선루프의 선쉐이드의 냄새 등을 제거하는 동시에 주름을 제거하는 텐타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선루프의 선쉐이드의 제조방법.
KR1020120150331A 2012-12-21 2012-12-21 자동차용 선루프의 선쉐이드 및 그 제조방법 KR1013824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0331A KR101382475B1 (ko) 2012-12-21 2012-12-21 자동차용 선루프의 선쉐이드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0331A KR101382475B1 (ko) 2012-12-21 2012-12-21 자동차용 선루프의 선쉐이드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2475B1 true KR101382475B1 (ko) 2014-04-08

Family

ID=50656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0331A KR101382475B1 (ko) 2012-12-21 2012-12-21 자동차용 선루프의 선쉐이드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247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0181B1 (ko) * 2014-07-02 2015-12-24 이상민 자동차용 무독성 블라인드 및 그 제조방법
KR101845770B1 (ko) * 2015-12-04 2018-04-05 주식회사 세일섬유 선루프용 선쉐이드의 제조방법
KR20220083231A (ko) * 2020-12-11 2022-06-20 (주)득금티앤씨 차광성과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아웃도어용 암막시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90438A (ja) * 2006-04-21 2007-11-08 Yachiyo Industry Co Ltd サンシェード板
KR20110058042A (ko) * 2009-11-25 2011-06-01 주식회사 일광 파노라마 선루프용 선셰이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90438A (ja) * 2006-04-21 2007-11-08 Yachiyo Industry Co Ltd サンシェード板
KR20110058042A (ko) * 2009-11-25 2011-06-01 주식회사 일광 파노라마 선루프용 선셰이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0181B1 (ko) * 2014-07-02 2015-12-24 이상민 자동차용 무독성 블라인드 및 그 제조방법
KR101845770B1 (ko) * 2015-12-04 2018-04-05 주식회사 세일섬유 선루프용 선쉐이드의 제조방법
KR20220083231A (ko) * 2020-12-11 2022-06-20 (주)득금티앤씨 차광성과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아웃도어용 암막시트
KR102509321B1 (ko) * 2020-12-11 2023-03-14 (주)득금티앤씨 차광성과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아웃도어용 암막시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02616B2 (en) Dark color sheet-like body having light reflection properties in near-infrared region
US10035925B2 (en) Composition for car interior trim and prepara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1382475B1 (ko) 자동차용 선루프의 선쉐이드 및 그 제조방법
KR102475652B1 (ko) 화장 시트 및 화장 시트의 제조 방법
WO2020059855A1 (ja) 粘着シート
DE102015101331A1 (de) Lichtdurchlässiges Kunstleder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selben
US20120184167A1 (en) Composite material
JPH0789011A (ja) 積層ペイン及びその製造方法
JP3928020B2 (ja) 遮熱性及び屈曲性に優れた耐久性膜材
KR101610805B1 (ko) 선루프 롤러블라인드용 차광원단 및 그의 제조방법
JP6711069B2 (ja) 化粧シート及び化粧材
JP5049195B2 (ja) 近赤外線領域光反射性能を有する着色シート状物
KR101192267B1 (ko) 선루프용 블라인드 및 이의 제조방법
AU2016356930B2 (en) Item including a laminated, metallized textile layer, in particular for sun protection, and method for grafting a metal layer in order to obtain said item
TW201142106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high visibility fluorescent rubber tarpaulins
JP5077392B2 (ja) 壁紙
JP2018053705A (ja) ゴム引布
JPS63120743A (ja) プラスチツクからなるフレキシブルなウインドガラスおよび該ガラスの耐引掻性を最適化する方法
KR101604124B1 (ko) 열차폐성이 향상된 선루프용 블라인드
KR101999888B1 (ko) 차량용 카고 스크린 원단, 이의 제조방법 및 상기 원단을 이용한 차랑용카고스크린
JP2004074649A (ja) 屋外用高伸縮性膜材
JP7081214B2 (ja) 接着剤硬化物、加飾シート及び加飾成形体
JPH0735032U (ja) 自着性プラスチックシート
KR101919961B1 (ko) 방염 암막 커튼지 및 그의 제조방법
JP6711068B2 (ja) 化粧シート及び化粧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