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2466B1 - 스티어링 락 장치 - Google Patents

스티어링 락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2466B1
KR101382466B1 KR1020070111020A KR20070111020A KR101382466B1 KR 101382466 B1 KR101382466 B1 KR 101382466B1 KR 1020070111020 A KR1020070111020 A KR 1020070111020A KR 20070111020 A KR20070111020 A KR 20070111020A KR 101382466 B1 KR101382466 B1 KR 1013824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key cylinder
key
protruding member
lock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1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4775A (ko
Inventor
권상훈
류재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110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2466B1/ko
Publication of KR20090044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47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24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24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 B60R25/02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restraining movement of the steering column or steering wheel hub, e.g. restraining means controlled by ignition switc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 B60R25/02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restraining movement of the steering column or steering wheel hub, e.g. restraining means controlled by ignition switch
    • B60R25/021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restraining movement of the steering column or steering wheel hub, e.g. restraining means controlled by ignition switch comprising a locking member radially and linearly moved towards the steering column
    • B60R25/02115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restraining movement of the steering column or steering wheel hub, e.g. restraining means controlled by ignition switch comprising a locking member radially and linearly moved towards the steering column key actu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4Mechanisms for locking columns at selected posi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8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 E05B65/0858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comprising simultaneously pivoting double hook-like lock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티어링 락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키 홈에 삽입되는 키의 동작에 따라 회전되는 키실린더와, 상기 키실린더의 회전에 연동되어 상하로 이동되는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의 선단에 배치되는 돌출부재와, 상기 가이드의 내측면과 면접촉되도록 상기 키실린더에 수평으로 형성된 접촉면에 배치되어 상기 돌출부재가 고정되는 잠금부재로 구성되어,
가이드와 키실린더에 돌출부재와 잠금부재를 추가 배치함으로써, 불순한 의도를 가지는 제 3자에 의한 인위적인 가이드의 상하 이동을 방지하여 잠김 상태의 해제를 불가능하게 하고, 또한 가이드에 배치된 돌출부재가 좌우 이동 가능하게 함으로써, 키실린더의 오동작에 대응 할 수 있으므로 차량의 도난 방지 향상에 큰 효과가 있다.
스티어링 휠, 스티어링 락, 락 바, 키실린더

Description

스티어링 락 장치{steering rock equipment}
본 발명은 스티어링 락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스티어링 칼럼에 배치되어 스티어링 휠 회전을 잠금 시켜 도난을 방지하는 스티어링 락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키 홈에 키가 삽입되어 Lock, Acc, On, Start의 과정을 거쳐 차량에 시동이 걸리며, 키를 키 홈에서 제거하면 엔진의 시동이 오프됨 동시에 스티어링 핸들에 설치된 스티어링 칼럼을 구속하여 스티어링 핸들의 조향이 이루어지지 않게 하는 스티어링 락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스티어링 락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스티어링 락 장치는, 키(1)의 동작에 따라 회전되는 키실린더(2)와, 상기 키실린더(2)의 회전에 유동되어 상하로 이동되고 락 바(4)가 삽입되어 있는 가이드(3)가 포함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티어링 락 장치가 잠김 상태가 되기 위해서는 상기 키 홈에 삽입되어 있는 키(1)를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키실린더(2)가 유동되어 회전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가이드(3)로부터 이탈되어 있던 상기 락 바(4)는 상기 가이드(3)에 삽입되는 원위치로 되돌아 오면 상기 가이드(3)가 하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락 바(4)가 삽입되어 스티어링 락 장치는 잠김 상태가 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스티어링 락 장치는, 상기 가이드(3)의 상부를 보호하도록 배치된 커버(미도시)가 불순한 의도를 가지는 제 3자에 의해서 쉽게 제거될 수 있으며 인위적인 힘에 의해서 쉽게 상기 가이드(3)가 움직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인위적인 힘으로 상기 가이드(3)를 상향 이동시켜 상기 가이드(3)로부터 상기 락 바(4)가 이탈되면 상기 스티어링 락 장치가 쉽게 해제되어 차량의 도난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가이드와 키실린더에 돌출부재와 잠금부재를 추가 배치함에 따라 불순한 의도를 가지는 제 3자에 의해 인위적인 가이드의 상하 이동을 방지하여 차량의 도난 방지 효과를 향상 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락 장치는, 키 홈에 삽입되는 키의 동작에 따라 회전되는 키실린더와, 상기 키실린더의 회전에 연동되어 상하로 이동되는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의 선단에 배치되는 돌출부재와, 상기 가이드의 내측면과 면접촉되도록 상기 키실린더에 수평으로 형성된 접촉면에 배치되어 상기 돌출부재가 고정되는 잠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잠금부재는 상기 돌출부재와 접촉되는 일측이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돌출부재는 상기 잠금부재의 경사면과 대응되도록 일측이 비탈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의 선단에 상기 돌출부재가 배치되도록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돌출부재는 좌우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홈과 탄성부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잠금부재는 'ㄱ' 자 모양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락 장치는, 종래 기술에 따른 스티어링 락 장치의 가이드와 키실린더에 돌출부재와 잠금부재를 추가 배치함으로써, 불순한 의도를 가지는 제 3자에 의한 인위적인 가이드의 상하 이동을 방지하여 잠김 상태의 해제를 불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에 배치된 돌출부재가 좌우 이동 가능하게 함으로써, 키실린더의 오동작에 대응할 수 있게 하여 차량의 도난 방지 향상에 큰 효과가 있다.
상기한 효과가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락 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락 장치 구조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 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락 장치는, 키 홈에 삽입되는 키(10)의 동작에 따라서 회전되는 키실린더(20)와, 상기 키실린더(20)의 회전에 연동되어 상하로 이동되는 가이드(30)와, 상기 가이드(30)의 선단에 배치되는 돌출부재(31)와, 상기 가이드(30)의 내측면과 면접촉되도록 상기 키 실린더(20)에 수평으로 형성된 접촉면(21)에 배치되어 상기 돌출부재(31)가 고정되는 잠금부재(22)가 포함되어 있다.
우선, 상기 키실린더(20)에 배치되는 상기 잠금부재(22)는 상기 돌출부재(22)와 접촉되는 일측이 경사면(22a)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재(31)는 상기 잠금부재(22)의 경사면(22a)과 대응되도록 상기 잠금부재(22)와 접촉되는 일측이 비탈면(31a)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키실린더(20)는 'ㄱ'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재(31)가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30)의 선단에는 상기 돌출부재(31)가 배치될 수 있도록 홈(3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홈(32)에 상기 돌출부재(31)가 탄성부재(33)에 의해 연결되어 있어 탄성력에 의해 상기 돌출부재(31)는 좌우로 유동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스티어링 락 장치가 잠김 상태가 되기 위해 키 홈에 삽입되어 있는 상기 키(10)를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키실린더(20)가 상기 키(10)의 동작에 따라서 회전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가이드(30)로부터 이탈되어 있던 상기 락 바(40)는 상기 가이드(30)에 삽입되도록 위치되고, 상기 가이드(30)가 하향 이동되면서 상기 락 바(40)가 삽입되며 상기 가이드(30)가 원위치로 되돌아온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30)에 배치된 돌출부재(31)는 상기 키실린더(20)가 회전되면서 상기 키실린더(20)에 배치된 잠금부재(22)에 의해 고정되면서 스티어링 락 장치는 잠김 상태가 된다.
또한, 스티어링 락 장치의 오동작으로 인해서 상기 키실린더(20)가 상기 가이드(30)보다 먼저 원위치 될 경우, 상기 잠금부재(22) 일측에 형성된 경사면(22a)과 이에 대응되도록 상기 돌출부재(31) 일측에 형성된 비탈면(31a)이 면접촉하게 된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33)로 연결된 상기 돌출부재(31)는 상기 가이드(30)가 하향 이동되는 힘에 의해 상기 잠금부재(22)의 경사면(22a)을 따라 좌측으로 이동되었다가 원위치로 돌아오며 상기 잠금부재(22)에 고정이 된다.
이와 같이 잠김 상태가 된 스티어링 락 장치는 불순한 의도를 가지는 제 3자가 인위적인 힘으로 해제하려고 하여도 상기 가이드(30)에 배치된 상기 돌출부재(31)와 상기 키실린더(20)에 배치된 상기 잠금부재(22)의 구속에 의해 상기 가이드(30)가 움직일 수 없게 되어 잠김상태의 해제가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차량의 도난 방지 효과가 크게 향상 될 수 있다.
본원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락 장치를 사용하면, 이중 잠김 효과가 있는 스티어링 락 장치를 차량에 배치함으로써, 외부 침입에 의한 잠김 해제가 불가능하여 차량의 도난 방지 효과가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스티어링 락 장치의 구조가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스티어링 락 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스티어링 락 장치 구조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키 20: 키실린더
22: 잠금부재 30: 가이드
31: 돌출부재 33: 탄성부재
40: 락 바

Claims (6)

  1. 키홈에 삽입되는 키의 동작에 따라 회전되는 키실린더와,
    상기 키실린더의 회전에 연동되어 상하로 이동되는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의 선단에 배치되는 돌출부재와,
    상기 가이드의 내측면과 면접촉되도록 상기 키실린더에 수평으로 형성된 접촉면에 배치되어 상기 돌출부재가 고정되어 'ㄱ'자 모양으로 형성되는 잠금부재;
    상기 가이드의 선단에 상기 돌출부재가 배치되도록 형성된 홈;
    상기 잠금부재는 상기 돌출부재와 접촉되는 일측이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재는 상기 잠금부재의 경사면과 대응되도록 일측이 비탈면으로 형성되어, 좌우 이동이 가능토록 상기 홈과 탄성부재로 연결되는 스티어링 락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070111020A 2007-11-01 2007-11-01 스티어링 락 장치 KR1013824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1020A KR101382466B1 (ko) 2007-11-01 2007-11-01 스티어링 락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1020A KR101382466B1 (ko) 2007-11-01 2007-11-01 스티어링 락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4775A KR20090044775A (ko) 2009-05-07
KR101382466B1 true KR101382466B1 (ko) 2014-04-08

Family

ID=40855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1020A KR101382466B1 (ko) 2007-11-01 2007-11-01 스티어링 락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246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0523A (ko) * 2001-06-25 2003-01-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도난 방지형 이그니션 록킹 장치
JP2005145449A (ja) * 2003-11-18 2005-06-09 Hyundai Motor Co Ltd 車両のキーインタロック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0523A (ko) * 2001-06-25 2003-01-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도난 방지형 이그니션 록킹 장치
JP2005145449A (ja) * 2003-11-18 2005-06-09 Hyundai Motor Co Ltd 車両のキーインタロック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4775A (ko) 2009-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49711B2 (ja) 拘束部を持ったロック装置
US7596976B2 (en) Electric steering lock device
KR20090033799A (ko) 전동 스티어링 락 장치
JP2009096454A5 (ko)
JP4863839B2 (ja) 電動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KR101382466B1 (ko) 스티어링 락 장치
JP5710900B2 (ja) イグニッションスイッチ装置
JP4333983B2 (ja) シリンダ錠の保護装置
KR20140138713A (ko) 자동차 스티어링 칼럼을 위한 데드록을 구비하는 도난방지 장치
JP2007022120A (ja) イグニッションスイッチ装置
KR100692271B1 (ko) 조향축 잠금장치의 부정 해제 방지장치
JP4712600B2 (ja)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JP6613105B2 (ja)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KR100888104B1 (ko) 자동차의 스티어링 락 장치
JP3132588U (ja) ハンドル制限ロック
KR100633894B1 (ko) 스티어링 록 장치
JP4539327B2 (ja)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KR101055052B1 (ko) 스티어링 칼럼 록킹장치
JP2015085815A (ja)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JP6153848B2 (ja)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JP4365174B2 (ja) シリンダ錠の保護装置
JP4267792B2 (ja) 自動2輪車用盗難防止装置
JP2009191603A (ja) シリンダ錠の保護装置
JP6831736B2 (ja)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JP4733451B2 (ja) イグニッションスイッ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