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2283B1 - 차량용 변속단의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변속단의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2283B1
KR101382283B1 KR1020120022155A KR20120022155A KR101382283B1 KR 101382283 B1 KR101382283 B1 KR 101382283B1 KR 1020120022155 A KR1020120022155 A KR 1020120022155A KR 20120022155 A KR20120022155 A KR 20120022155A KR 101382283 B1 KR101382283 B1 KR 1013822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source
diffusion
unit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2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1206A (ko
Inventor
안재헌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
현대자동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 현대자동차(주)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
Priority to KR10201200221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2283B1/ko
Priority to US13/601,193 priority patent/US20130228119A1/en
Priority to DE102012109882A priority patent/DE102012109882A1/de
Priority to CN201210414693.XA priority patent/CN103291910B/zh
Priority to BR102012030324-8A priority patent/BR102012030324B1/pt
Publication of KR201301012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12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22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22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 B60K20/08Dashboard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4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comprising signals other than signals for actuating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42Ratio indicator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7/00Dashbo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4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comprising signals other than signals for actuating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42Ratio indicator devices
    • F16H2063/423Range indicators for automatic transmissions, e.g. showing selected range or m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측에 문자부가 마련되며, 상기 문자부와 대응하는 타측 위치에 확산부가 마련된 통합도광부재; 및 광원이 마련되며, 광원의 빛이 확산부측으로 조사됨으로써 확산부에서 문자부를 향해 빛이 확산 및 반사되도록 하는 PCB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량용 변속단의 표시장치가 소개된다.

Description

차량용 변속단의 표시장치{TRANSMISSION INDICATOR FOR VEHICLE}
본 발명은 문자가 표시된 통합도광부재에 도광판의 구조 및 기능을 통합하여, 도광판을 별물로 설치하지 않으면서, 도광판이 별도 설치된 것과 같은 빛 확산작용과 조명효과를 발휘하도록 한 차량용 변속단의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변속기 타입의 차량에는 차량의 변속기가 현재 어느 단에 위치해 있는지 알려주는 변속단 표시장치가 클러스터게이지 및 콘솔 어퍼커버에 마련된다.
이러한, 변속단 표시장치의 변속단 표시형태는 통상 P(주차), R(후진), N(중립), D(드라이브), +(단 상승), -(단 하강)의 문자로 이루어지게 되는데, 변속레버의 변속위치에 따라 이 문자들이 발광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운전자는 변속기가 어느 위치에 있는지를 알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기존의 차량들에는 이같은 문자들을 발광시키기 위해 문자마다 발광부를 개별적으로 설치함으로써, 광원의 개수가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변속단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 하우징(1)의 상단에 PCB회로(2)가 마련되며, 변속단의 문자 위치와 대응하는 PCB회로(2) 상에 광원(3)이 각각 설치된다.
즉, 종래의 차량의 변속단 표시장치는 주간 및 야간에 항상 발광이 되도록 구성되며, 변속기의 변속시 선택된 단을 구별할 수 있도록 선택된 단은 별도의 구별되는 색상으로 발광되는바, 이를 위한 PCB회로의 구성은 기본적으로 문자를 발광하는 6개의 발광부와 각 문자마다 선택단을 표시하기 위해 구별되는 색상의 6개의 발광부로 구성된다.
따라서, 각각의 문자마다 최소 2개씩의 발광부가 필요하여 제조원가가 증대되고 과도한 PCB 설계의 부피상 디자인 설계에도 제약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2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다른 종래의 차량용 변속단 표시장치를 나타낸 도면으로, 하우징(10)의 상부에 도광판(20)을 설치하되, 상기 도광판(20)의 일면에 도트 형상의 빛 확산잉크가 인쇄되며, 문자를 표시하는 커버(40)가 상기 도광판(20)의 상부에 덮여지도록 설치되고, 확산시트(50)가 도광판(20)의 하부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도광판(20)의 측부에 광원을 갖는 PCB회로(30)가 마련되어 도광판(20)에 빛을 조사함으로써, 도광판(20)에 인쇄된 확산잉크와 함께 확산시트(50)에 의해 빛이 확산 및 반사되면서 커버(40)에 형성된 문자가 발광되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기술의 경우 광원의 빛을 반사하여 문자를 발광시키기 위해 도광판을 별도 설치하게 됨으로써, 도광판의 별물 설치에 따른 제조원가의 상승을 피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될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문자가 표시된 통합도광부재에 도광판의 구조 및 기능을 통합하여, 도광판을 별물로 설치하지 않으면서, 도광판이 별도 설치된 것과 같은 빛 확산작용과 조명효과를 발휘하도록 한 차량용 변속단의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일측에 문자부가 마련되며, 상기 문자부와 대응하는 타측 위치에 확산부가 마련된 통합도광부재; 및 광원이 마련되며, 광원의 빛이 확산부측으로 조사됨으로써 확산부에서 문자부를 향해 빛이 확산 및 반사되도록 하는 PCB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통합도광부재는, 일면에 홈 형상으로 확산부가 마련되며, 광원에 의해 조사되는 빛의 반사량 및 확산량이 확산부에서 제어되도록 하는 발광부; 및 상기 발광부의 타면에 마련되며, 외부측 일면에 문자부가 인쇄 형성된 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확산부는, 발광부의 일면에 반사홈이 형성되며, 반사홈의 표면에 확산돌기가 형성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반사홈은 광원과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깊이가 깊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확산돌기는 광원과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넓이가 작게 형성되어 단위면적당 조밀도가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확산돌기는 엠보스 형상 또는 V 형상으로 다수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반사홈과 확산돌기는 부식가공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통합도광부재는 발광부와 표시부가 일원화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발광부와 표시부의 사이는 경계층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계층은 발광부와 표시부가 접하여 마주하는 경계면의 구조일 수 있다.
상기 발광부는 투명 구조로 형성되어 광원의 발광시 빛이 표시부 측으로 반사되도록 하고, 상기 표시부는 불투명 구조로 형성되어 내부의 PCB회로를 차폐하되, 문자부는 반투명 구조로 형성되어 광원의 발광시 문자부가 식별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투명한 재질의 패널과, 패널 상단의 불투명 인쇄층으로 구성되며, 문자부는 문자의 형상에 따라 반투명 인쇄층이 형성될 수 있다.
일면에 홈 형상으로 확산부가 마련되며, 광원에 의해 조사되는 빛의 반사량 및 확산량이 확산부에서 제어되도록 하는 통합도광부재;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확산부는, 통합도광부재의 일면에 반사홈이 형성되며; 반사홈의 표면에 확산돌기가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 해결수단을 통해 본 발명은, 하나의 광원에 의해 조사되는 빛이 통합도광부재에 형성된 발광부를 통해 표시부에 반사 및 확산되어 문자가 발광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도광판을 사용하지 않고도 도광판을 사용한 것과 같은 동일한 문자 발광 효과가 발휘되는바, 도광판 별도 설치에 필요한 변속단 표시장치의 생산 및 제조원가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확산부를 구성하는 반사홈과 확산돌기가 부식 가공법에 의해 발광부에 구성됨으로써, 확산수단을 마련하기 위한 별도의 후처리 공정이 필요하지 않아, 확산수단의 구현에 필요한 비용을 가일층 절감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발광부에 다수 마련된 확산부들의 구조가 광원과 멀어질수록 빛의 반사량 및 확산량이 증대되도록 구성됨으로써, 광원과의 거리에 관계없이 문자들이 균일한 조도 및 휘도로 발광되어, 변속단 표시장치의 상품성을 극대화시키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차량용 변속단 표시장치의 내부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다른 종래 기술에 의한 차량용 변속단 표시장치의 내부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변속단 표시장치에서 통합도광부재가 설치되는 구성을 분리하여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통합도광부재의 저면 형상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발광부에서의 빛 반사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발광부 및 확산부의 빛 반사작용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6을 통해 도시된 본 발명의 차량용 변속단의 표시장치는, 크게 통합도광부재(100)와, PCB회로(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합도광부재(100)는 콘솔 어퍼커버에 설치된 하우징(300) 상단에 설치되는 것으로, 일측에 문자부(122)가 마련되며, 상기 문자부(122)와 대응하는 타측 위치에 확산부(112)가 마련되어 구성된다. 즉, 상기 문자부(122)가 통합도광부재(100)의 상면에 형성되며, 확산부(112)가 통합도광부재(100)의 하면에 형성되는 구조로써, 문자부(122)와 확산부(112)가 통합도광부재(100)에 통합 설계된다.
그리고, 상기 통합도광부재(100)는 하우징(300)의 상부를 덮는 커버(400)에 조립 및 설치될 수 있으며, 또한 커버(400)의 하부에 독립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PCB회로(200)는 광원(210)이 상기 통합도광부재(100)를 향하여 구비되도록 통합도광부재(100)의 일측에 설치되며, 광원(210)의 빛이 확산부(112)측으로 조사됨으로써 확산부(112)에서 문자부(122)를 향해 빛이 확산 및 반사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광원(210)으로 바람직하게는 LED일 수 있다.
즉, 광원(210)을 통해 통합도광부재(100) 측에 빛이 조사되면, 조사되는 빛이 별도의 도광판 없이 확산부(112)를 통해 확산 및 반사되어 문자부(122) 측으로 조사되는바, 문자부(122)에 형성된 문자들이 발광된다.
이때, 상기 통합도광부재(100)의 하부에는 확산시트(500)가 더 설치될 수 있게 되는데, 상기 확산시트(500)에서는 광원(210)에서 조사되는 빛을 통합도광부재(100) 측으로 반사시키게 되어, 발광 효율을 증대시키게 된다.
한편,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합도광부재(100)는 일면에 홈 형상으로 확산부(112)가 마련되며, 광원(210)에 의해 조사되는 빛의 반사량 및 확산량이 확산부(112)를 통하여 원하는 방향으로 제어되도록 하는 발광부(110)와, 상기 발광부(110)의 타면에 마련되며, 외부측 일면에 문자부(122)가 인쇄 형성된 표시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통합도광부재(100)는 발광부(110)와 표시부(120)로 이루어지며, 발광부(110)의 저면에 확산부(112)가 홈 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홈의 형상은 바람직하게는 사각의 홈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광원(210)에서 홈 내부에 유입되는 빛이 홈의 내측면에서 여러 번 반사됨으로써, 반사 및 굴절되는 빛의 양이 증대된다. 따라서, 확산부(112)의 상부에 위치한 문자부(122)에 더욱 많은 양의 빛이 조사될 수 있게 되는바, 문자부(122)를 밝게 발광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문자부(122)에 형성된 문자는 P, R, N, D, 3, 2, L의 문자일 수 있으며, 표시부(120)에 상면에 도장 인쇄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과 같이, 본 발명에서의 확산부(112)는, 발광부(110)의 일면에 반사홈(114)이 형성되며, 반사홈(114)의 표면에 확산돌기(116)를 형성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확산돌기(116)은 엠보스 형상 또는 V 형상으로 다수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이 확산부(112)에 사각의 반사홈(114)이 형성되며, 반사홈(114) 중에서 문자부(122)를 향한 반사홈(114)의 표면에 다수의 확산돌기(116)가 형성됨으로써, 광원(210)에서 유입되는 빛이 반사홈(114)과 확산돌기(116)의 구조에 의해 반사홈(114)의 내측면에서 여러 번 반사되면서, 반사 및 굴절되는 빛이 양이 증대된다.
아울러, 도 4와 같이 상기 확산부(112)는 문자부(122)에 위치가 대응되도록 발광부(110) 상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인쇄되도록 한다. 즉, 발광부(110)의 모든 부분에 확산부(112)를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필요한 부분 즉, 문자부(122)의 하방에만 확산부(112)를 형성함으로써 불필요한 반사를 줄이고, 빛을 광원(210)으로부터 거리가 먼 지점까지 충분히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만약 모든 발광부(110)의 영역에 확산부(112)를 형성할 경우에는 광원(210)으로부터 거리가 가까운 지점에서 빛이 모두 반사됨으로써 거리가 먼 지점에는 충분한 양의 빛이 조사되지 않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반사홈(114)은 광원(210)과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깊이가 깊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확산돌기(116)는 광원(210)과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조밀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개별 확산돌기(116)의 직경 또는 크기가 작아질수록 단일 면적당 더 많은 확산돌기(116)가 형성될 수 있게 되는바, 광원(210)과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확산돌기(116)의 직경이 작아지면서 반사홈(114)에 더 많은 확산돌기(116)가 조밀하게 형성되며, 이는 확산돌기(116)의 거칠기 또는 굵기의 정도로 표현될 수 있을 것이다.
즉, 광원(210)으로부터 거리가 가까운 지점에서는 다량의 빛이 반사되는 반면, 광원(210)과의 거리가 멀어지면 멀어질수록 반사되는 빛의 광량은 적어지게 된다. 따라서, 광원(210)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확산부(112)에 형성된 반사홈(114)의 깊이가 더 깊어지도록 형성함과 아울러, 확산돌기(116) 역시 더 조밀하게 형성함으로써, 광원(210)과 가까운 확산부(112)보다 상대적으로 광원(210)과 멀리 떨어진 확산부(112)에서 더 많은 양의 빛이 반사 및 굴절되도록 한다. 이를 통해, 광원(210)과의 거리에 관계없이 모든 확산부(112)에서 문자부(122)로 조사되는 빛의 양을 균일화하여 문자들이 균일하게 발광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반사홈(114)과 확산돌기(116)는 부식가공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즉, 금형에 부식 가공법에 의해서 반사홈(114)과 확산돌기(116)의 형상을 구현함으로써, 확산수단의 구현을 위한 별도의 후공정(잉크 인쇄/가압 등)이 불필요한바, 공정상의 원가가 절감된다.
아울러, 도 5와 같이 상기 통합도광부재(100)는 발광부(110)와 표시부(120)가 일원화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부(110)와 표시부(120)의 사이는 경계층(130)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통합도광부재(100)를 구성하는 발광부(110)와 표시부(120)가 바람직하게는 인서트 사출 또는 다중 사출공법 등에 의해 일원화되어 이루어지게 되며, 이때 발광부(110)와 표시부(120)의 사이는 경계층(130)을 이루게 된다. 여기서, 상기 경계층(130)은 발광부(110)와 표시부(120)가 접하여 마주하는 경계면의 구조일 수 있으며, 또한 발광부(110)와 표시부(120)의 사이가 비어있는 공간의 구조일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경계층(130)이 구현된 통합도광부재(100)에서 발광부(110)의 일측에 광원(210)이 설치됨으로써, 광원(210)의 발광이 발광부(110)의 내부에 균일하게 반사되면서 표시부(120) 측에 전달되는바, 표시부(120)에 원하는 색상의 발광이 구현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발광부(110)는 투명 구조로 형성되어 광원(210)의 발광시 빛이 표시부(120) 측으로 반사되도록 하고, 상기 표시부(120)는 불투명 구조로 형성되어 내부의 PCB회로(200)를 차폐하되, 문자부(122)는 반투명 구조로 형성되어 광원(210)의 발광시 문자부(122)가 식별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문자부(122)를 레이저로 커팅한 후 반투명 페인트를 도포하거나 표시부(120) 자체의 성형시 전체적으로 불투명하게 처리하되 문자부(122)를 반투명으로 성형하는 방법도 있을 것이다. 즉, 문자부(122)는 반투명으로 처리하였기 때문에 평상시에는 보이지 않다가 광원(210)의 발광시에는 보이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표시부(120)는 투명한 재질의 패널(124), 패널(124) 상단의 불투명 인쇄층(126)으로 구성되며, 문자부(122)는 문자의 형상에 따라 반투명 인쇄층(128)이 형성될 수 있다.
즉, 표시부(120)는 기본적으로 투명한 재질의 패널(124)로 구성되어 하부의 광원(210)의 빛을 투과하도록 한다. 불투명 인쇄층(126)은 예를 들어 블랙 페인트로서 빛을 차단한다. 따라서 표시부(120)는 하부의 내부구조를 차폐하도록 한다. 또한, 문자부(122)를 이루는 반투명 인쇄층(128)은 예를 들어 화이트 컬러 또는 다양한 컬러의 반투명 페인트로서, 평상시 페인트의 컬러로 표현되며 내부 구조를 차폐하고 발광시에는 해당 컬러로 발광되도록 한다.
도 5 및 도 6을 통해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PCB회로(200)에 구비된 광원(210)에서 빛이 발광되면, 광원(210)의 빛이 통합도광부재(100)에 구성된 발광부(110)의 두께 방향으로 조사되면서, 발광부(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빛이 반사된다.
이때, 발광부(110)의 내부에서 반사되는 빛이 확산부(112)에 도달하게 되면, 확산부(112)에 반사홈(114)이 형성되어 있어, 반사홈(114) 내측에서 빛이 여러 번 반사되면서 빛의 반사량이 증대된다. 따라서, 확산부(112) 영역에서 빛이 머무는 시간이 다른 영역보다 더 길어지는 효과가 발생되어, 확산부(112)에서의 발광 효율이 높아지게 된다.
이와 더불어, 반사홈(114)의 표면에 확산돌기(116)가 형성됨으로써, 반사홈(114)에서 반사되는 빛이 확산돌기(116)에 의해 표시부(120) 측으로 확산되는바, 확산부(112)의 상부에 형성된 문자부(122)에 빛을 발광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광원(210)에 의해 조사되는 빛에 의해 문자부(122)를 발광하여 변속단의 문자들을 발광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광원(210)에 의해 조사되는 빛이 통합도광부재(100)에 형성된 발광부(110)를 통해 표시부(120)에 반사 및 확산되어 문자부(122)의 문자가 발광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도광판을 사용하지 않고도 하나의 광원(210)만으로 문자들을 발광하게 된다. 따라서, 도광판을 구비하지 않고도 도광판을 사용한 것과 같은 동일한 문자 발광 효과를 발휘하게 됨으로써, 도광판 미설치에 따른 변속단 표시장치의 생산 및 제조원가를 절감하게 된다.
더욱이, 확산부(112)를 구성하는 반사홈(114)과 확산돌기(116)가 부식 가공법에 의해 발광부(110)에 구성됨으로써, 확산수단을 마련하기 위한 별도의 후처리 공정이 필요하지 않아, 확산수단의 구현에 필요한 비용을 절감하게 된다.
또한, 발광부(110)에 다수 마련된 확산부(112)들의 구조가 광원(210)과 멀어질수록 빛의 반사량 및 확산량이 증대되도록 구성됨으로써, 광원(210)과의 거리에 관계없이 문자들이 균일한 조도 및 휘도를 발휘하여 발광이 이루어지게 되는바, 제품의 상품성을 극대화시키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 통합도광부재 110 : 발광부
112 : 확산부 114 : 반사홈
116 : 확산돌기 120 : 표시부
122 : 문자부 124 : 패널
126 : 불투명 인쇄층 128 : 반투명 인쇄층
130 : 경계층 200 : PCB회로
210 : 광원 300 : 하우징
400 : 커버 500 : 확산시트

Claims (13)

  1. 일측에 문자부(122)가 마련되며, 상기 문자부(122)와 대응하는 타측 위치에 확산부(112)가 마련된 통합도광부재(100); 및
    광원(210)이 마련되며, 광원(210)의 빛이 확산부(112)측으로 조사됨으로써 확산부(112)에서 문자부(122)를 향해 빛이 확산 및 반사되도록 하는 PCB회로(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통합도광부재(100)는,
    일면에 홈 형상으로 확산부(112)가 마련되며, 광원(210)에 의해 조사되는 빛의 반사량 및 확산량이 확산부(112)에서 제어되도록 하는 발광부(110); 및
    상기 발광부(110)의 타면에 마련되며, 외부측 일면에 문자부(122)가 인쇄 형성된 표시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변속단의 표시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확산부(112)는, 발광부(110)의 일면에 반사홈(114)이 형성되며, 반사홈(114)의 표면에 확산돌기(116)가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변속단의 표시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반사홈(114)은 광원(210)과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깊이가 깊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변속단의 표시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확산돌기(116)는 광원(210)과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넓이가 작게 형성되어 단위면적당 조밀도가 높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변속단의 표시장치.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확산돌기(116)는 엠보스 형상 또는 V 형상으로 다수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변속단의 표시장치.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반사홈(114)과 확산돌기(116)는 부식가공법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변속단의 표시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합도광부재(100)는 발광부(110)와 표시부(120)가 일원화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변속단의 표시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110)와 표시부(120)의 사이는 경계층(130)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변속단의 표시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경계층(130)은 발광부(110)와 표시부(120)가 접하여 마주하는 경계면의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변속단의 표시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110)는 투명 구조로 형성되어 광원(210)의 발광시 빛이 표시부(120) 측으로 반사되도록 하고, 상기 표시부(120)는 불투명 구조로 형성되어 내부의 PCB회로(200)를 차폐하되, 문자부(122)는 반투명 구조로 형성되어 광원(210)의 발광시 문자부(122)가 식별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변속단 표시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120)는 투명한 재질의 패널(124)과, 패널(124) 상단의 불투명 인쇄층(126)으로 구성되며, 문자부(122)는 문자의 형상에 따라 반투명 인쇄층(128)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변속단 표시장치.
  13. 삭제
KR1020120022155A 2012-03-05 2012-03-05 차량용 변속단의 표시장치 KR1013822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2155A KR101382283B1 (ko) 2012-03-05 2012-03-05 차량용 변속단의 표시장치
US13/601,193 US20130228119A1 (en) 2012-03-05 2012-08-31 Transmission indicator for vehicle
DE102012109882A DE102012109882A1 (de) 2012-03-05 2012-10-17 Getriebeanzeigevorrichtung eines Fahrzeuges
CN201210414693.XA CN103291910B (zh) 2012-03-05 2012-10-25 用于车辆的变速器指示器装置
BR102012030324-8A BR102012030324B1 (pt) 2012-03-05 2012-11-28 Aparelho indicador de transmissão para um veícul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2155A KR101382283B1 (ko) 2012-03-05 2012-03-05 차량용 변속단의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1206A KR20130101206A (ko) 2013-09-13
KR101382283B1 true KR101382283B1 (ko) 2014-04-08

Family

ID=48985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2155A KR101382283B1 (ko) 2012-03-05 2012-03-05 차량용 변속단의 표시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30228119A1 (ko)
KR (1) KR101382283B1 (ko)
CN (1) CN103291910B (ko)
BR (1) BR102012030324B1 (ko)
DE (1) DE10201210988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0590B1 (ko) * 2015-06-15 2017-05-26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변속 장치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0377A (ko) * 1999-03-15 2000-10-16 이기정 싸이드 라이트방식이 적용된 엘.이.디 백라이트
JP2002062435A (ja) * 2000-08-16 2002-02-28 Enplas Corp 導光板、面光源装置及び液晶ディスプレイ
JP2002108257A (ja) * 2000-09-28 2002-04-10 Toyoda Gosei Co Ltd 照明装置
JP2003011690A (ja) * 2001-06-29 2003-01-15 Oshima Denki Seisakusho:Kk 車両のシフト位置表示装置
KR20040066410A (ko) * 2003-01-18 2004-07-27 주식회사 엘에스텍 면광원 장치와, 이를 제조하는 방법
JP2005145188A (ja) * 2003-11-13 2005-06-09 Calsonic Kansei Corp シフトレバーの表示装置
JP2009083562A (ja) * 2007-09-28 2009-04-23 Fuji Kiko Co Ltd シフト位置表示装置
JP2013000441A (ja) * 2011-06-20 2013-01-07 Kenji Nakamura 化粧用抗菌ブロー容器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45313A (en) * 1991-02-20 1993-09-14 Atoma International, Inc. Automatic transmission lever position indicating device
TWI251104B (en) * 2004-06-07 2006-03-11 Nano Prec Corp Back lighting apparatus
JP4769672B2 (ja) * 2005-11-25 2011-09-07 日産自動車株式会社 A/t車両のインジケータ
US7736042B2 (en) * 2006-07-20 2010-06-15 Ls Tech Co., Ltd. Back light unit
US7507012B2 (en) * 2007-05-16 2009-03-24 Rohm And Haas Denmark Finance A/S LCD displays with light redirection
KR20120002215A (ko) 2010-06-30 2012-01-0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단열패널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0377A (ko) * 1999-03-15 2000-10-16 이기정 싸이드 라이트방식이 적용된 엘.이.디 백라이트
JP2002062435A (ja) * 2000-08-16 2002-02-28 Enplas Corp 導光板、面光源装置及び液晶ディスプレイ
JP2002108257A (ja) * 2000-09-28 2002-04-10 Toyoda Gosei Co Ltd 照明装置
JP2003011690A (ja) * 2001-06-29 2003-01-15 Oshima Denki Seisakusho:Kk 車両のシフト位置表示装置
KR20040066410A (ko) * 2003-01-18 2004-07-27 주식회사 엘에스텍 면광원 장치와, 이를 제조하는 방법
JP2005145188A (ja) * 2003-11-13 2005-06-09 Calsonic Kansei Corp シフトレバーの表示装置
JP2009083562A (ja) * 2007-09-28 2009-04-23 Fuji Kiko Co Ltd シフト位置表示装置
JP2013000441A (ja) * 2011-06-20 2013-01-07 Kenji Nakamura 化粧用抗菌ブロー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291910B (zh) 2018-05-01
BR102012030324B1 (pt) 2021-06-01
BR102012030324A2 (pt) 2013-10-29
DE102012109882A1 (de) 2013-09-05
US20130228119A1 (en) 2013-09-05
CN103291910A (zh) 2013-09-11
KR20130101206A (ko) 2013-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15284B2 (ja) スカッフプレート
US8779913B2 (en) Transmission indicator for vehicle
KR101897294B1 (ko) 차량의 변속위치 표시장치
JP6478009B2 (ja) 表示装置
JP2006214953A (ja) 車両用メータパネル
US7637623B2 (en) Flood lit cluster
CN103270548A (zh) 显示装置
KR101316267B1 (ko) 차량의 변속단 표시장치
KR101350189B1 (ko) 차량의 변속단 표시장치
KR101382283B1 (ko) 차량용 변속단의 표시장치
JP2017112039A (ja) ウインドウリアランプ
JP2004301822A (ja) 車両用表示器の照明装置
EP2920019B1 (en) Illuminated vehicle interior component
JP2005091218A (ja) 車両用表示装置
JP2005070500A (ja) 車両用計器の表示装置
US10137780B2 (en) LED indicating device, in particular for a vehicle instrument cluster
JP5305191B2 (ja) ギアシフト用表示装置
JP5617584B2 (ja) 車両用表示装置に用いられる表示板の製造方法
JP2011196976A (ja) 照明装置
JP2008209351A (ja) 指針計器
CN215220177U (zh) 车载显示装置
JP4828377B2 (ja) 計器装置
KR100601592B1 (ko) 차량용 표시장치
JP2010083416A (ja) 車両用表示装置
JP2010175683A (ja) 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