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1804B1 - 전기식 슬러지 탈수설비용 슬러지 인입장치 - Google Patents

전기식 슬러지 탈수설비용 슬러지 인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1804B1
KR101381804B1 KR1020130022588A KR20130022588A KR101381804B1 KR 101381804 B1 KR101381804 B1 KR 101381804B1 KR 1020130022588 A KR1020130022588 A KR 1020130022588A KR 20130022588 A KR20130022588 A KR 20130022588A KR 101381804 B1 KR101381804 B1 KR 1013818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conveyor belt
electric
dewatering
c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2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세정
Original Assignee
(주)한국워터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워터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한국워터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1300225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18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1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18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식 슬러지 탈수설비용 슬러지 인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외부로부터 공급된 슬러지 케이크를 상기 전기식 슬러지 탈수설비의 전기식 슬러지 탈수장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송수단; 및 상기 이동되는 슬러지 케이크를 상기 이송수단의 폭 방향을 따라 이격된 복수 개의 슬러지 시트로 변형하여, 상기 전기식 슬러지 탈수장치로 공급하는 슬러지 시트 생성 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전기식 슬러지 탈수설비용 슬러지 인입장치{Sludge inlet device for electro-osmotic sludge dewatering equipment}
본 발명은 전기식 슬러지 탈수설비용 슬러지 인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슬러지 케이크를 상호 이격되는 슬러지 시트로 가공하여 전기식 슬러지 탈수장치로 인입시키는 전기식 슬러지 탈수설비용 슬러지 인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처리시설 또는 폐수처리시설에서는 하수 또는 폐수의 처리 중 침전물인 슬러지(Sludge)가 발생된다. 이러한 슬러지는 수분을 함유하고 있어 수분으로부터 분리하는 탈수공정을 걸쳐 처리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슬러지의 탈수 공정 종류로는, 상기 슬러지를 여과포와 같은 필터로 가압하여 필터링하는 여과포 탈수방식 또는 적극을 인가하여 전압차에 의해 탈수하는 전기침투 탈수방식 등이 제안되고 있다.
최근에는 전기침투 탈수방식을 많이 이용하는데, 전기침투 탈수방식을 간단히 살펴보면, 양극(+)과 음극(-)이 인가되는 드럼과, 상기 드럼의 일부 외주면을 따라 회전되되 상기 드럼과 다른 극성이 인가되는 캐터필러 및, 상기 드럼과 캐터필러의 사이에 슬러지의 이송과 탈수를 위해 권치되어 무한 회전되는 여과포벨트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슬러지가 상기 여과포벨트를 따라 상기 드럼과 상기 캐터필러 사이로 이동되고, 사이 드럼과 캐터필러 사이에 전기장이 형성되면 슬러지에 함유된 수분이 전기영동과 모세관 현상에 의해 슬러지로부터 분리되어 슬러지가 탈수된다.
그런데 전기침투 탈수방식의 슬러지 탈수장치로 슬러지가 인입되면 슬러지가 탈수장치의 드럼과 캐터필러에 의해 압력이 가해지고, 슬러지에서는 압력에 의한 가열로 가스가 발생하게 된다. 슬러지에서 발생된 가스는 드럼과 캐터필러에서 발생되는 전압차를 유지시키지 못하고 전압강하 일으켜 슬러지의 탈수 성능을 저감시키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특히 이러한 문제점은 슬러지 탈수장치의 중심 영역에서 일어나기 때문에 폭이 넓은 슬러지 탈수장치의 경우 탈수 성능이 저감되고, 탈수의 균일성이 저감되는 문제점이 나타난다.
따라서 폭이 넓은 슬러지 탈수장치를 제작하기가 어렵고, 폭이 좁은 슬러지 탈수장치만 이용하게 되어 슬러지 탈수처리 시간이 증가되는 추가적인 문제점도 발생되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0-0065988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슬러지가 가열되면서 발생되는 가스를 외부로 원활히 배출할 수 있어 전압 강하가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도 슬러지 탈수장치의 중심 영역에서 탈수 성능이 저감되는 것을 방지하여 탈수의 균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기식 슬러지 탈수설비용 슬러지 인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기식 슬러지 탈수설비용 슬러지 인입장치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공급된 슬러지 케이크를 상기 전기식 슬러지 탈수설비의 전기식 슬러지 탈수장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송수단; 및 상기 이동되는 슬러지 케이크를 상기 이송수단의 폭 방향을 따라 이격된 복수 개의 슬러지 시트로 변형하여, 상기 전기식 슬러지 탈수장치로 공급하는 슬러지 시트 생성 모듈을 포함하는 전기식 슬러지 탈수설비용 슬러지 인입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식 슬러지 탈수설비용 슬러지 인입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슬러지 시트들 사이의 이격 공간으로 슬러지 시트들이 가열되면서 발생되는 가스를 외부로 방출할 수 있어 슬러지 탈수장치의 전압 강하를 방지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둘째, 특히 슬러지 탈수장치의 중심부에서 전압 강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슬러지 탈수 성능이 저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슬러지 탈수장치의 전 영역에서 슬러지가 고르게 탈수 될 수 있는 탈수의 균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슬러지 탈수의 균일성이 향상되면, 슬러지 탈수장치의 크기를 키울 수 있어 한 번에 많은 양의 슬러지를 탈수할 수 있는 대형 슬러지 탈수장치를 개발할 수 있고, 슬러지 탈수 시간도 절약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인입장치와 전기식 슬러지 탈수장치가 구비된 상태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슬러지 인입장치를 평면에서 본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인입장치를 평면에서 본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다른 슬러지 인입장치를 평면에서 본 개략도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후술에서 명명될 슬러지 케이크(S)란 슬러지가 큰 덩어리의 형태로 형성된 상태를 정의하며, 슬러지 시트(S′)는 슬러지 케이크(S)가 슬러지 인입장치를 통해 수분 제거가 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시트의 형태로 가공된 상태를 정의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식 슬러지 탈수설비용 슬러지 인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전기식 슬러지 탈수설비는 크게 전기식 슬러지 탈수장치(1) 및 인입장치(10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기식 슬러지 탈수장치(1)와 상기 인입장치(100)가 외부로 개방된 구조를 가지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케이스 내에 상기 전기식 슬러지 탈수장치(1)와 상기 인입장치(100)가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전기식 슬러지 탈수장치(1)의 외장 케이스 내부에 상기 인입장치(100)가 설치될 수도 있다.
본 상세한 설명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형의 전기식 슬러지 탈수장치(1)를 예로들어 설명하겠지만, 상기 전기식 슬러지 탈수장치는 드럼형에 한정되지 않고, 평판형 등 다양한 종류의 탈수장치 일 수 있다.
상기 전기식 슬러지 탈수장치(1)는 드럼유닛(10)과, 회전유닛(30), 전기인가유닛(미도시)을 포함한다. 상기 슬러지 시트(S″)가 상기 드럼유닛(10)과 상기 회전유닛(30) 사이로 이동하면 상기 전기인가유닛에서 상기 드럼유닛(10)과, 상기 회전유닛(30)에 서로 다른 극성의 전기를 인가시켜 상기 슬러지 시트(S″)에 함유된 수분을 제거한다. 상기 전기식 슬러지 탈수장치(1)에 대해서는 공개특허 제10-2012-0051892호를 참조하면 보다 상세히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기식 슬러지 탈수장치는 도 1에 도시된 전기식 슬러지 탈수장치(1) 외에도 다양한 전기식 슬러지 탈수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슬러지 인입장치(100)는, 컨베이어 벨트(110)와, 슬러지 시트 생성 모듈(130, 150, 170)을 포함한다.
상기 슬러지 인입장치(100)는 하루처리시설 또는 폐수처리시설에서 추출된 슬러지 케이크(S)를 전기식 슬러지 탈수장치(1)로 인입시키기 위해 상기 슬러지 케이크(S)를 상기 전기식 슬러지 탈수장치(1)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써, 슬러지에 함유된 수분의 제거 성능이 향상되도록 슬러지 케이크(S)를 슬러지 시트(S′)의 형태로 가공하며 상기 슬러지 시트(S′)들 사이를 이격시켜 상기 전기식 슬러지 탈수장치(1)로 인입시키는 장치이다.
따라서 상기 슬러지 인입장치(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슬러지에 함유된 수분을 탈수하기 위한 전기식 슬러지 탈수장치(1)와 연결되게 구비된다.(도 1 참조) 먼저 상기 컨베이어 벨트(110)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110) 상에 외부로부터 공급된 슬러지 케이크(S)가 놓이며, 상기 슬러지 케이크(S)를 상기 전기식 슬러지 탈수장치(1)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컨베이어 벨트(110)는 상기 전기식 슬러지 탈수장치(1)의 여과포 벨트와 동일하게 다공질의 섬유로 형성된 여과포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다공질의 섬유로는 목화솜, 양모, 석면, 명주, 마와 같은 첨연섬유 또는 유리섬유, 합성섬유, 메탈 울과 같은 인조섬유가 이용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컨베이어 벨트(110)는 상호 이격된 복수 개의 롤러(111)들에 권취되어 회전된다.
상기 슬러지 시트 생성 모듈은 상기 컨베이어 벨트(110)에 의해 이동되는 상기 슬러지 케이크(S)를 상기 컨베이어 벨트(110)의 폭 방향을 따라 이격된 복수 개의 슬러지 시트(S′)로 변형하여, 상기 전기식 슬러지 탈수장치(1)로 공급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슬러지 시트 생성 모듈은 복수 개의 슬러지 분할 가이드(130)와, 지지받침대(180) 및 평탄롤러(15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복수 개의 슬러지 분할 가이드(130)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110)의 상부에 상기 컨베이어 벨트(110)의 폭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도록 배열된다. 상기 각 슬러지 분할 가이드(130)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110) 상에서 프레임(미도시)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진행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된 바(bar) 구조를 갖는다. 상기 슬러지 분할 가이드(130)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110) 상에 놓이는 상기 슬러지 케이크(S)가 상기 슬러지 분할 가이드(130)들 사이를 통과하면, 상기 슬러지 분할 가이드(130)의 두께만큼 상기 슬러지 케이크(S)들이 이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복수 개의 상기 슬러지 분할 가이드(130)들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상기 슬러지 분할 가이드(130)들 간의 이격 간격이 동일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슬러지 케이크(S)가 가공된 슬러지 시트(S′)는 동일한 폭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전기식 슬러지 탈수장치(1)에 인입된다.
상기 슬러지 시트(S′)가 이격되는 간격은 예시적으로 20cm 이상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cm 사이의 간격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슬러지 시트(S′)의 이격되는 간격이 50cm 이상이 되면 전압의 강하를 방지하는 효과가 떨어지므로, 상기 슬러지 시트(S′)가 이격되는 간격은 50cm 이상을 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십 센티미터로 이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3을 참조하면, 복수 개의 상기 슬러지 분할 가이드(130)의 두께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경우, 복수 개의 상기 슬러지 분할 가이드(130) 간의 이격 간격이 서로 다르게 배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베이어 벨트(110)의 중앙으로부터 외각으로 갈수록 상기 슬러지 분할 가이드(130)들 간의 이격 간격이 점차 커지도록 배치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슬러지 케이크(S)가 가공된 상기 슬러지 시트(S′)의 폭이 도 3에 도시된 d1 < d2 < d3 < d4 의 순서로 점진적으로 커지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슬러지 시트(S′)가 형성되면 상기 전기식 슬러지 탈수장치(1)로 인입될 때, 중앙 영역에 상기 슬러지 시트(S′)들 사이의 이격 공간이 더 많이 형성되기 때문에 중앙 영역에서 상기 슬러지 시트(S′)가 압력을 받아 발생된 가스가 이격 공간을 통해 외부를 통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4를 참조하면, 복수 개의 상기 슬러지 분할 가이드(130)가 서로 다른 두께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컨베이어 벨트(110)의 중앙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상기 슬러지 분할 가이드(130)의 두께가 점차 얇아진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께가 두꺼운 슬러지 분할 가이드(a)가 상기 컨베이어 벨트(110)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고, a 보다 두께가 얇은 슬러지 분할 가이드(b)가 중앙 영역에서 보다 멀어진 외측에 배치되고, b 보다 두께가 얇은 슬러지 분할 가이드(c)가 상기 컨베이어 벨트(110)의 제일 외측에 배치된다.
이와 같은 상기 슬러지 분할 가이드(130)를 통과하여 가공된 상기 슬러지 시트(S′)는 중앙 영역의 상기 슬러지 시트(S′) 사이의 간격이 가장 넓고, 외측으로 갈수록 간격이 점차 좁아지며, 상기 전기식 슬러지 탈수장치(1)로 인입될 때 가장 발열이 잘되어 가스가 많이 생성되는 중앙 영역에서는 상기 슬러지 시트(S′)간의 넓은 이격 공간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슬러지 탈수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 벨트(1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롤러(111)들에 권취되어 상기 전기식 슬러지 탈수장치(1)를 향한 방향으로 회전되기 때문에 상기 슬러지 분할 가이드(130)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110)와 미세하게 이격되어 배치되고, 외부의 프레임(미도시)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슬러지 분할 가이드(130)가 상기 컨베이어 벨트(110)와 미세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고정되어 있는 것은 본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일 뿐이다. 즉, 상기 슬러지 분할 가이드(130)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110)와 미세한 간격으로 이격되지 않고 상기 슬러지 분할 가이드(130)가 상기 컨베이어 벨트(110) 상에 상기 컨베이어 벨트(110)에 고정되게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에는 상기 슬러지 분할 가이드(130)가 상기 컨베이어 벨트(110)와 함께 회전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상기 슬러지 분할 가이드(130)가 플렉서블(flexible)한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컨베이어 벨트(110)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평탄롤러(150)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110)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컨베이어 벨트(110)에 의해 상기 전기식 슬러지 탈수장치(1)로 이동되는 상기 슬러지 케이크(S)들을 평탄화하여 상기 슬러지 시트(S′)로 가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평탄롤러(150)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110)의 접선속도와 동일한 접선속도로 회전되며, 상기 평탄롤러(150)가 회전되는 방향과 상기 컨베이어 벨트(110)가 회전되는 방향이 동일하다.
상기 평탄롤러(150)의 길이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110) 폭의 길이보다 길거나 적어도 상기 컨베이어 벨트(110) 폭의 길이와 같은 길이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평탄롤러(150)의 길이가 상기 컨베이어 벨트(110) 폭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어 상기 평탄롤러(150)에 의해 상기 슬러지가 빠짐없이 평탄화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평탄롤러(150)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110)의 이동 방향으로 기준으로 하였을 때, 상기 슬러지 분할 가이드(13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평탄롤러(150)와 상기 컨베이어 벨트(110) 사이의 이격 간격은 상기 슬러지 분할 가이드(130)의 높이와 같거나, 낮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 벨트(110) 상에 놓인 상기 슬러지 케이크(S)가 상기 컨베이어 벨트(110) 따라 이동하고, 상기 슬러지 분할 가이드(130)를 통과하여 이격되면 상기 컨베이어 벨트(110)와 상기 평탄롤러(150) 사이를 통과하면서 회전하는 상기 평탄롤러(150)에 의해 평탄하게 다져지는 평탄화가 이루어지고, 상기 슬러지 시트(S′)의 형태로 가공된다.
상기 지지받침대(180)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110)의 하부에 배치하되, 후술되는 평탄롤러(150)와 대응되게 배치된다. 상기 지지받침대(180)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110)의 하부에서 상기 평탄롤러(15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고, 후술될 상기 평탄롤러(150)가 상기 슬러지 케이크(S′) 상에서 회전하면서 상기 슬러지 케이크를 슬러지 시트(S″)로 가공할 때, 보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컨베이어 벨트(110)는 일반적으로 패브릭과 같은 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강한 강성을 갖고 있지 않아 상기 평탄롤러(150)의 회전만으로 상기 슬러지 케이크(S′)를 상기 슬러지 시트(S″)로 가공하기 어렵다. 따라서 상기 지지받침대(180)가 상기 컨베이어 벨트(110)의 하부에서 상기 평탄롤러(150)를 지지하여 상기 슬러지 케이크(S′)를 상기 슬러지 시트(S″)로 가공하는 보조 역할을 한다.
상기 슬러지가 상기와 같은 평탄롤러(150)에 의해 평탄화를 거쳐 상기 슬러지 시트(S′)로 가공되면, 상기 슬러지들 사이의 밀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상기 슬러지가 상기 슬러지 인입장치(100)에서 상기 전기식 슬러지 탈수장치(1)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흐트러지지 않고 상기 전기식 슬러지 탈수장치(1)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슬러지 시트 생성 모듈은 전술한 복수 개의 슬러지 분할 가이드(130) 및 상기 평탄롤러(150) 외에 흐트림 유닛(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흐트림 유닛(170)은 상기 복수 개의 슬러지 분할 가이드(130)의 상부에 배치된다. 상기 흐트림 유닛(170)은 상기 복수 개의 슬러지 분할 가이드(130)의 상부에서 왕복 이동하면서 상기 복수 개의 슬러지 분할 가이드(130)와 함께 상기 슬러지 케이크(S)를 흐트러뜨려 상기 슬러지 케이크(S)가 상기 컨베이어 벨트(110)의 전 영역에 고루 분포되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흐트림 유닛(170)은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복수 개의 슬러지 분할 가이드(130)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흐트림 바(170)의 왕복 이동 시, 상기 복수 개의 슬러지 분할 가이드(130)와 일부가 겹쳐지는 흐트림 바(171)와, 상기 흐트림 바(171)와 연결되어 상기 흐트림 바(171)를 왕복 이동시키는 구동부(173)와, 상기 구동부(173)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75)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흐트림 유닛(170)은, 상기 컨베이어 벨트(110)의 폭 방향으로 왕복 이동한다. 즉, 상기 흐트림 바(170)가 상기 컨베이어 벨트(110)의 폭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며, 상기 슬러지 분할 가이드(130)의 상부를 지날 때 상기 흐트림 바(171)의 일부와 상기 슬러지 분할 가이드(130)가 겹쳐질 수 있다.
상기 슬러지 케이크(S)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110) 상에 고루 분포되어 놓이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상기 컨베이어 벨트(110)의 어느 영역에는 상기 슬러지 케이크(S)가 더 많이 놓이게 되고, 상기 슬러지 분할 가이드(130)의 높이보다 더 높은 높이로 쌓여 놓이게 된다. 따라서 이때, 상기 흐트림 바(171)를 상기 컨베이어 벨트(110)의 폭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면 상기 슬러지 분할 가이드(130)의 높이보다 더 높게 쌓인 상기 슬러지 케이크(S)의 일부는 흐트러지게 되고, 상기 흐트림 바(171)와 상기 슬러지 분할 가이드(130)가 겹쳐질 때 흐트러진 상기 슬러지 케이크(S)의 일부가 상기 컨베이어 벨트(110)의 다른 영역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흐트림 바(171)를 왕복 이동시키는 상기 구동부(173)는 예를 들어 랙 앤 피니어 기어(173)로 구비될 수 있다. 적어도 상기 컨베이어 벨트(110)의 폭 길이 만큼 길게 형성된 피니언 기어와 상기 흐트림 바(171)와 연결된 랙 기어가 서로 맞물려 이동하면서 상기 흐트림 바(171)를 상기 컨베이어 벨트(110)의 폭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것이다. 상기 구동부(173)가 상기 랙 앤 피니언 기어로 구비되는 것은 본 실시예에서만 한정되는 것일 뿐이며, 이 외에도 유압식 선형왕복운동장치와 같은 상기 상부 플레이트(133)를 왕복 이동시킬 수 있는 다양한 실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173)를 작동을 제어하는 상기 제어부(175)는 외부에서 상기 구동부(173)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어부(175)는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작동되거나, 상기 슬러지의 높이를 감지하는 센서(미도시)가 함께 구비되어 상기 센서에 의해 상기 슬러지의 높이가 상기 슬러지 분할 가이드(130)보다 높은 것으로 감지될 때, 자동으로 작동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 인입장치를 적용하면, 큰 덩어리의 형태인 슬러지 케이크를 슬러지 시트의 형태로 가공하여 전기식 슬러지 탈수장치로 인입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전기식 슬러지 탈수장치 S: 슬러지 케이크
S′: 슬러지 시트
110: 컨베이어 벨트 111: 롤러
130: 슬러지 분할 가이드 150: 평탄롤러
170: 흐트림 유닛 171: 흐트림 바
173: 구동부 175: 제어부
180: 지지받침대

Claims (8)

  1. 전기식 슬러지 탈수설비용 슬러지 인입장치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공급된 슬러지 케이크를 상기 전기식 슬러지 탈수설비의 전기식 슬러지 탈수장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송수단; 및
    상기 이동되는 슬러지 케이크를 상기 이송수단의 폭 방향을 따라 이격된 복수 개의 슬러지 시트로 변형하여, 상기 전기식 슬러지 탈수장치로 공급하는 슬러지 시트 생성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이송수단은 컨베이어 벨트를 포함하며,
    상기 슬러지 시트 생성 모듈은,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상부에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폭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도록 배열되어,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 의해 이동되는 슬러지 케이크를 상호 이격시키는 복수 개의 슬러지 분할 가이드; 및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복수 개의 슬러지 분할 가이드 사이를 통과하여 상호 이격되는 상기 슬러지 케이크 상에서 회전하여 상기 슬러지 케이크를 평탄화하여 상기 슬러지 시트로 가공하는 평탄롤러를 포함하는 전기식 슬러지 탈수설비용 슬러지 인입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 시트 생성 모듈은,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평탄롤러를 지지하는 지지받침대를 더 포함하는 전기식 슬러지 탈수설비용 슬러지 인입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 시트 생성 모듈은,
    상기 복수 개의 슬러지 분할 가이드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 개의 슬러지 분할 가이드의 상부를 왕복 이동하면서 상기 복수 개의 슬러지 분할 가이드와 함께 상기 슬러지 케이크를 흐트러뜨리는 흐트림 유닛을 더 포함하는 전기식 슬러지 탈수설비용 슬러지 인입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 슬러지 분할 가이드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 상에서 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진행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된 바(bar) 구조를 가지는 전기식 슬러지 탈수설비용 슬러지 인입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흐트림 유닛은,
    상기 복수 개의 슬러지 분할 가이드 상부에서 왕복 이동 시, 일부가 상기 복수 개의 슬러지 분할 가이드와 겹쳐지도록 배치되는 흐트림 바;
    상기 흐트림 바와 연결되며, 상기 흐트림 바를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폭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기식 슬러지 탈수설비용 슬러지 인입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평탄롤러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슬러지 분할 가이드의 전방에 배치되되,
    상기 평탄롤러와 상기 컨베이어 벨트 사이의 간격이 상기 슬러지 분할 가이드의 높이와 같거나 낮게 배치되는 전기식 슬러지 탈수설비용 슬러지 인입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슬러지 분할 가이드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중앙 부분에서 멀어질수록 인접하는 상기 슬러지 분할 가이드 사이의 이격 간격이 점차 넓어지게 배열되는 전기식 슬러지 탈수설비용 슬러지 인입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슬러지 분할 가이드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중앙 부분에서 멀어질수록 상기 각 슬러지 분할 가이드의 폭이 점차 얇아지는 순으로 배열되는 전기식 슬러지 탈수설비용 슬러지 인입장치.
KR1020130022588A 2013-03-04 2013-03-04 전기식 슬러지 탈수설비용 슬러지 인입장치 KR1013818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2588A KR101381804B1 (ko) 2013-03-04 2013-03-04 전기식 슬러지 탈수설비용 슬러지 인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2588A KR101381804B1 (ko) 2013-03-04 2013-03-04 전기식 슬러지 탈수설비용 슬러지 인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1804B1 true KR101381804B1 (ko) 2014-04-07

Family

ID=50656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2588A KR101381804B1 (ko) 2013-03-04 2013-03-04 전기식 슬러지 탈수설비용 슬러지 인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18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0525A (ko) * 2021-09-16 2023-03-23 (주)한국워터테크놀로지 슬러지 처리 장치의 건조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7141Y1 (ko) * 1995-09-01 1998-10-01 이정엽 컨베이어형 여과탈수장치
JP2003062695A (ja) * 2001-08-27 2003-03-05 Ishigaki Co Ltd ベルトプレスにおける重力脱水装置
JP2004314034A (ja) * 2003-04-18 2004-11-11 Nihon Hels Industry Corp ベルトプレス型脱水機の脱水能力向上装置
JP2005034796A (ja) * 2003-07-18 2005-02-10 Kubota Corp ベルト型濃縮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7141Y1 (ko) * 1995-09-01 1998-10-01 이정엽 컨베이어형 여과탈수장치
JP2003062695A (ja) * 2001-08-27 2003-03-05 Ishigaki Co Ltd ベルトプレスにおける重力脱水装置
JP2004314034A (ja) * 2003-04-18 2004-11-11 Nihon Hels Industry Corp ベルトプレス型脱水機の脱水能力向上装置
JP2005034796A (ja) * 2003-07-18 2005-02-10 Kubota Corp ベルト型濃縮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0525A (ko) * 2021-09-16 2023-03-23 (주)한국워터테크놀로지 슬러지 처리 장치의 건조기
KR102553398B1 (ko) 2021-09-16 2023-07-10 (주)한국워터테크놀로지 슬러지 처리 장치의 건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5984B1 (ko) 전기식 슬러지 탈수설비용 슬러지 인입장치
CN205235769U (zh) 反渗透膜片的一体化生产设备
KR100894266B1 (ko) 전기침투식 슬러지 감량장치
KR101381804B1 (ko) 전기식 슬러지 탈수설비용 슬러지 인입장치
CN106215475A (zh) 高效匀速卸料板框压滤机
CN108543677A (zh) 一种涂层面料用的涂料添加装置
KR100926261B1 (ko) 전기침투식 슬러지 감량장치의 전극판 세척장치
CN203728697U (zh) 一种电渗透脱水机
KR101324353B1 (ko) 드럼을 구비한 전기침투 슬러지 건조장치
KR101801816B1 (ko) 슬러지 탈수/건조/이송 장치
CN219240013U (zh) 一种布料无张力水洗机
KR101936855B1 (ko) 슬러지 탈수기용 슬러지 공급장치
CN104963181A (zh) 一种纺织面料自动去褶处理装置
CN205516839U (zh) 一种污水处理池升降排污装置
CN203469615U (zh) 带式污泥压滤机
CN105819662A (zh) 一种电渗透带式压榨污泥脱水装备
KR101537368B1 (ko) 원단의 패턴 형성 장치를 구비한 패턴 필름 형성 시스템
CN102527114A (zh) 污泥处理隔膜压滤机
JP7245097B2 (ja) 凝集汚泥供給装置
KR102144305B1 (ko) 수평이송형 전기침투 탈수기
CN208786816U (zh) 一种涂层面料用的涂料添加装置
CN103496836A (zh) 一种电渗透污泥干化设备
SU990662A1 (ru) Способ электрообезвоживани неоднородных жидких систем и устройство дл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
CN103830950A (zh) 一种带式污泥浓缩脱水一体机
JPS62114616A (ja) 水平式真空濾過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