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4353B1 - 드럼을 구비한 전기침투 슬러지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드럼을 구비한 전기침투 슬러지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4353B1
KR101324353B1 KR1020130006626A KR20130006626A KR101324353B1 KR 101324353 B1 KR101324353 B1 KR 101324353B1 KR 1020130006626 A KR1020130006626 A KR 1020130006626A KR 20130006626 A KR20130006626 A KR 20130006626A KR 101324353 B1 KR101324353 B1 KR 1013243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sludge
frame
filter cloth
caterpil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6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환
김준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네르고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네르고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네르고스
Priority to KR10201300066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43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43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43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6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using drum fil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9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chemical separation, e.g. by electro-osmosis, electrodialysis, electrophoresis
    • C02F1/469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chemical separation, e.g. by electro-osmosis, electrodialysis, electrophoresis electro-osmos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7/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26B17/0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by belts carrying the materials; with movement performed by belts or elements attached to endless belts or chains propelling the materials over stationary sur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6Chambers, containers, or receptacles
    • F26B25/14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 F26B25/16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mainly closed, e.g. dr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20Rol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5/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5/1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applying pressure, e.g. wringing; by brushing; by wip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18Sludges, e.g. sewage, waste, industrial processes, cooling t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폐수 슬러지를 건조하는 슬러지 건조장치로서 더욱 세부적으로는 내구성 및 전기 전도율이 향상된 드럼과 드럼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드럼의 외주면과 밀착되어 슬러지를 가압 탈수시키기 위한 것으로 적어도 하나의 전극 단자를 가지는 캐터필러를 구비하는 드럼을 구비한 전기침투 슬러지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드럼 프레임에 티타늄 재질로 형성된 다수 개의 드럼판이 결합되어 구성되는 드럼과 스프라켓 프레임에 다수 개의 스프라켓이 결합되고 상기의 스프라켓 외주면을 따라 회전하는 케터필러와 여과포 벨트 구동모터와 여과포 벨트 롤러로 구동되고 상기의 드럼과 케터필러 사이에 슬러지 이동 및 탈수를 위해 권취된 여과포 벨트와 상기의 케터필러를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 및 상기의 스프라켓 프레임에 연결되어 슬러지 투입량 및 건조 조건에 따라 드럼과 케터필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풀링센서를 구비하여 드럼을 구성하는 시트의 전기부식이 일어나 드럼의 수명이 짧아지는 문제를 해결하고, 드럼을 구성하는 시트에 문제 발생 시 전체 판을 교체해서 발생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며 케터필러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판을 단순히 회전시키는 것에 추가적으로 슬러지 양 및 기타 조건에 맞게 움직이게 하여 보다 효율적인 슬러지 건조를 수행하고 케터필러로 회전하는 전극 구조에 있어 각 전극이 모두 분할되고, 체인으로 각 전극판을 연결하여 구동됨에 따라 탈수에 있어 중요 요소인 압력을 슬러지에 균일하게 인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드럼을 구비한 전기침투 슬러지 건조장치{Electroosmosis Sludge Desiccator having Drum}
본 발명은 하폐수 슬러지를 건조하는 슬러지 건조장치로서 더욱 세부적으로는 내구성 및 전기 전도율이 향상된 드럼과 드럼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드럼의 외주면과 밀착되어 슬러지를 가압 탈수시키기 위한 것으로 적어도 하나의 전극 단자를 가지는 캐터필러를 구비하는 드럼을 구비한 전기침투 슬러지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드럼을 구비한 전기침투 슬러지 건조장치는 양극(+) 또는 음극(-)이 인가된 드럼과; 상기 드럼과 일정 공간부를 두고 설치되어 음극(-) 또는 양극(+)이 전체에 인가된 캐터필러 또는 전극판과; 상기 드럼과 캐터필러 또는 전극판의 사이에 슬러지의 이송 및 탈수를 위해 권취된 여과포 벨트로 구성된 전기침투 탈수기에 있어서, 상기 드럼의 외주 면에 동판이 환설되고, 상기 동판의 외측에 백금계 금속의 코팅제가 코팅된 티타늄판이 환설되며, 상기 동판과 티타늄판은 볼트머리가 백금계 금속의 코팅제로 코팅처리되어 동판과 티타늄판을 관통하여 드럼에 나사체결되는 복수의 볼트로 드럼의 외측 면에 상호 이격됨 없이 드럼에 환설되어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존의 드럼 구조는 메인바디에 구리시트와 티타늄시트가 결합되어 구성되고 구리시트에 전기를 인가하여 티타늄시트로 전달하는 구조이다. 그러나, 구리시트와 티타늄시트를 볼트로 고정시키기 때문에 기계적으로 완전히 접촉할 수 없어 구리시트의 전기부식이 일어나 드럼의 수명이 짧아지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드럼과 케터필러 사이에 잦은 전기 쇼트로 인하여 드럼의 수명이 짧아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상기 드럼의 경우 슬러지와 직접적으로 닿는 부분이 하나의 판으로 되어 있어 사고 발생 시 판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고, 판을 교체하기 위해 드럼 전체를 기계로부터 분리해야하므로 교체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07-0046494호(2007.05.14)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기존의 드럼 구조인 메인바디에 구리시트와 티타늄시트가 결합되어 구성되고 구리시트에 전기를 인가하여 티타늄시트로 전달하는 구조에서 구리시트와 티타늄시트를 볼트로 고정시키기 때문에 기계적으로 완전히 접촉할 수 없어 구리시트의 전기부식이 일어나 드럼의 수명이 짧아지는 문제를 해결하고, 드럼을 구성하는 시트에 문제 발생 시 전체 판을 교체해서 발생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고, 케터필러 또는 전극판을 단순히 회전시키는 것에 추가적으로 슬러지 양 및 기타 조건에 맞게 움직이게 하여 보다 효율적인 슬러지 건조를 수행하고 케터필러로 회전하는 전극 구조에 있어 각 전극이 모두 분할되고, 체인으로 각 전극판을 연결하여 구동됨에 따라 탈수에 있어 중요 요소인 압력을 슬러지에 균일하게 인가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드럼을 구비한 전기침투 슬러지 건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으로는,
하폐수 슬러지를 건조하는 전기 침투 슬러지 건조장치에 있어서, 드럼 프레임에 티타늄 재질로 형성된 다수 개의 드럼판이 결합되어 구성되는 드럼과 스프라켓 프레임에 다수 개의 스프라켓이 결합되고 상기의 스프라켓 외주면을 따라 회전하는 케터필러와 여과포 벨트 구동모터와 여과포 벨트 롤러로 구동되고 상기의 드럼과 케터필러 사이에 슬러지 이동 및 탈수를 위해 권취된 여과포 벨트와 상기의 케터필러를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 및 상기의 스프라켓 프레임에 연결되어 슬러지 투입량 및 건조 조건에 따라 드럼과 케터필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유체량 측정 및 온도, 습도, 시간을 측정하는 일반적인 센서의 모듈인 풀링센서를 구비한 풀링장치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는 하폐수 슬러지를 건조하는 전기 침투 슬러지 건조장치에 있어서, 드럼 프레임에 티타늄 재질로 형성된 다수 개의 드럼판이 결합되어 구성되는 드럼과 압축롤러 프레임에 다수 개의 압축롤러가 결합되고 상기의 압축롤러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전극판과 여과포 벨트 구동모터와 여과포 벨트 롤러로 구동되고 상기의 드럼과 전극판 사이에 슬러지 이동 및 탈수를 위해 권취된 여과포 벨트와 상기의 압축롤러 프레임에 연결되어 슬러지 투입량 및 건조 조건에 따라 드럼과 전극판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풀링센서를 구비한 풀링장치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으로는 상기의 드럼판은 구리 시트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 시트와 티타늄 시트를 압연하여 기계적으로 밀착시킨 클래드 소재로 구성될 수 있고, 드럼판 프레임에 드럼판 프레임 돌출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의 스프라켓 프레임에 다수 개의 스프라켓 프레임 조절부를 포함하거나 상기의 압축롤러 프레임에 다수 개의 압축롤러 프레임 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드럼을 구성하는 시트의 전기부식이 일어나 드럼의 수명이 짧아지는 문제를 해결하고, 드럼을 구성하는 시트에 문제 발생 시 전체 판을 교체해서 발생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며 케터필러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판을 단순히 회전시키는 것에 추가적으로 슬러지 양 및 기타 조건에 맞게 움직이게 하여 보다 효율적인 슬러지 건조를 수행하고 케터필러로 회전하는 전극 구조에 있어 각 전극이 모두 분할되고, 체인으로 각 전극판을 연결하여 구동됨에 따라 탈수에 있어 중요 요소인 압력을 슬러지에 균일하게 인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기존의 드럼을 구비한 슬러지 건조 장치의 드럼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드럼을 구비한 전기침투 슬러지 건조장치의 드럼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드럼을 구비한 전기침투 슬러지 건조장치의 제 1실시예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드럼을 구비한 전기침투 슬러지 건조장치의 제 2실시예 구성도.
도 5는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드럼을 구비한 전기침투 슬러지 건조장치의 제 3실시예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드럼을 구비한 전기침투 슬러지 건조장치의 드럼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드럼을 구비한 전기침투 슬러지 건조장치의 제 1실시예 구성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드럼을 구비한 전기침투 슬러지 건조장치의 제 2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2와 도3을 참고하여 본 발명 제 1실시예의 특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폐수 슬러지를 건조하는 전기 침투 슬러지 건조장치에 있어서, 드럼 프레임(11)에 티타늄 재질로 형성된 다수 개의 드럼판(12)이 결합되어 구성되는 드럼(10);과 스프라켓 프레임(21)에 다수 개의 스프라켓(22)이 결합되고 상기의 스프라켓(22) 외주면을 따라 회전하는 케터필러(20);와 여과포 벨트 구동모터(32)와 여과포 벨트 롤러(31)로 구동되고 상기의 드럼(10)과 케터필러(20) 사이에 슬러지 이동 및 탈수를 위해 권취된 여과포 벨트(30);와 상기의 케터필러(20)를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40); 및 상기의 스프라켓 프레임(21)에 연결되어 슬러지 투입량 및 건조 조건에 따라 드럼(10)과 케터필러(2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유체량 측정 및 온도, 습도, 시간을 측정하는 일반적인 센서의 모듈인 풀링센서(51)를 구비한 풀링장치(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을 구비한 전기침투 슬러지 건조장치이다. 상기의 티타늄 재질로 형성된 드럼판(12)은 다수 개로 분할되어 드럼 프레임(11)에 결합하여 드럼판(12)에 문제 발생 시 전체를 교체할 필요없이 문제가 발생한 드럼판(12)만 교체가 가능하며, 티타늄 단일 재질의 판으로서 기존 드럼이 메인바디에 구리시트와 티타늄시트가 결합되어 구성되고 구리시트에 전기를 인가하여 티타늄시트로 전달하는 구조에서 구리시트와 티타늄시트를 볼트로 고정시키기 때문에 기계적으로 완전히 접촉할 수 없어 구리시트의 전기부식이 일어나 드럼의 수명이 짧아지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의 슬러지를 투입하고 상기의 드럼(10)과 케터필러(20) 사이에 슬러지 이동 및 탈수를 위해 권취된 여과포 벨트(30)는 펌프를 구비하여 공기압축에 의한 슬러지 분사 방법으로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의 스프라켓 프레임(21)에 연결되어 슬러지 투입량 및 건조 조건에 따라 드럼(10)과 케터필러(2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풀링센서(51)를 구비한 풀링장치(50)는 케터필러(20)로 회전하는 전극 구조에 있어 각 전극이 모두 분할되고, 체인으로 각 전극판을 연결하여 구동됨에 따라 탈수에 있어 중요 요소인 압력을 슬러지에 균일하게 인가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본발명의 제 2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폐수 슬러지를 건조하는 전기 침투 슬러지 건조장치에 있어서, 드럼 프레임(11)에 티타늄 재질로 형성된 다수 개의 드럼판(12)이 결합되어 구성되는 드럼(10);과 압축롤러 프레임(71)에 다수 개의 압축롤러(70)가 결합되고 상기의 압축롤러(70)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전극판(60);과
여과포 벨트 구동모터(32)와 여과포 벨트 롤러(31)로 구동되고 상기의 드럼(10)과 전극판(60) 사이에 슬러지 이동 및 탈수를 위해 권취된 여과포 벨트(30);와 상기의 압축롤러 프레임(71)에 연결되어 슬러지 투입량 및 건조 조건에 따라 드럼(10)과 전극판(6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유체량 측정 및 온도, 습도, 시간을 측정하는 일반적인 센서의 모듈인 풀링센서(51)를 구비한 풀링장치(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을 구비한 전기침투 슬러지 건조장치이다. 상술한 제 1실시예와 비교하면 회전이 가능한 케터필러(20)를 대신하여 회전이 불가능하고 구리나 스테인레스 스틸로 형성된 전극판(60)으로 구성되어 전기 쇼트 등에 의하여 케터필러(20)가 끊어지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제 1실시예의 스프라켓(22)과 스프라켓 프레임(21) 대신에 압축롤러(70)와 압축롤러 프레임(71)을 구비하여 상술한 효과인 슬러지에 균일한 압력을 인가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의 드럼판(12)은 구리 시트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 시트와 티타늄 시트를 압연하여 기계적으로 밀착시킨 클래드 소재로 구성되어 구리 시트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 시트 사이에 공간을 없애 구리 시트가 전기 쇼트에 의해 녹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의 드럼판 프레임(11)에 드럼판 프레임 돌출부(13)를 구성하여 드럼과 케터필러(20) 또는 전극판(60)사이에 전기 쇼트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제 1실시예에서 스프라켓 프레임(21)에 다수 개의 스프라켓 프레임 조절부(23)를 포함하거나 제 2실시예에서 압축롤러 프레임(71)에 다수 개의 압축롤러 프레임 조절부(72)를 포함하여 풀링장치(50)가 슬러지에 균일한 압력을 더욱 효과적으로 인가할 수 있도록 각각 스프라켓 프레임(21)과 압축롤러 프레임(71)과 드럼 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이는 볼트나 기타 고정구로 수동으로 조절이 가능하거나 상기의 풀링센서(51)의 감지 신호를 전달받아 자동으로 조절이 가능하다.
그리고, 도 5는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드럼을 구비한 전기침투 슬러지 건조장치의 제 3실시예 구성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상기의 케터필러(20)는 2개 이상으로 분할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 및 적용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 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 드럼 11. 드럼 프레임
12. 드럼판 13. 드럼 프레임 돌출부
20. 케터필러 21. 스프라켓 프레임
22. 스프라켓 23. 스프라켓 프레임 조절부
30. 여과포 벨트 31. 여과포 벨트 롤러
32. 여과포 벨트 구동모터 40. 메인 구동모터
50. 풀링장치 51. 풀링센서
60. 전극판 70. 압축롤러
71. 압축롤러 프레임 72. 압축롤러 프레임 조절부

Claims (7)

  1. 하폐수 슬러지를 건조하는 전기 침투 슬러지 건조장치에 있어서,
    드럼판 프레임 돌출부(13)를 포함한 드럼 프레임(11)에 티타늄 재질로 형성된 다수 개의 드럼판(12)이 결합되어 구성되는 드럼(10);과
    스프라켓 프레임(21)에 다수 개의 스프라켓(22)이 결합되고 상기의 스프라켓(22) 외주면을 따라 회전하는 케터필러(20);와
    여과포 벨트 구동모터(32)와 여과포 벨트 롤러(31)로 구동되고 상기의 드럼(10)과 케터필러(20) 사이에 슬러지 이동 및 탈수를 위해 권취된 여과포 벨트(30);와
    상기의 케터필러(20)를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40); 및
    상기의 스프라켓 프레임(21)에 연결되어 슬러지 투입량 및 건조 조건에 따라 드럼(10)과 케터필러(2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유체량 측정 및 온도, 습도, 시간을 측정하는 일반적인 센서의 모듈인 풀링센서(51)를 구비한 풀링장치(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을 구비한 전기침투 슬러지 건조장치.
  2. 하폐수 슬러지를 건조하는 전기 침투 슬러지 건조장치에 있어서,
    드럼판 프레임 돌출부(13)를 포함한 드럼 프레임(11)에 티타늄 재질로 형성된 다수 개의 드럼판(12)이 결합되어 구성되는 드럼(10);과
    압축롤러 프레임(71)에 다수 개의 압축롤러(70)가 결합되고 상기의 압축롤러(70)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전극판(60);과
    여과포 벨트 구동모터(32)와 여과포 벨트 롤러(31)로 구동되고 상기의 드럼(10)과 전극판(60) 사이에 슬러지 이동 및 탈수를 위해 권취된 여과포 벨트(30);와
    상기의 압축롤러 프레임(71)에 연결되어 슬러지 투입량 및 건조 조건에 따라 드럼(10)과 전극판(6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유체량 측정 및 온도, 습도, 시간을 측정하는 일반적인 센서의 모듈인 풀링센서(51)를 구비한 풀링장치(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을 구비한 전기침투 슬러지 건조장치.
  3. 제 1항에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의 드럼판(12)은 구리 시트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 시트와 티타늄 시트를 압연하여 기계적으로 밀착시킨 클래드 소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을 구비한 전기침투 슬러지 건조장치.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의 스프라켓 프레임(21)에 다수 개의 스프라켓 프레임 조절부(2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을 구비한 전기침투 슬러지 건조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의 케터필러(20)는 2개 이상으로 분할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을 구비한 전기침투 슬러지 건조장치.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의 압축롤러 프레임(71)에 다수 개의 압축롤러 프레임 조절부(7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을 구비한 전기침투 슬러지 건조장치.
KR1020130006626A 2013-01-21 2013-01-21 드럼을 구비한 전기침투 슬러지 건조장치 KR1013243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6626A KR101324353B1 (ko) 2013-01-21 2013-01-21 드럼을 구비한 전기침투 슬러지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6626A KR101324353B1 (ko) 2013-01-21 2013-01-21 드럼을 구비한 전기침투 슬러지 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4353B1 true KR101324353B1 (ko) 2013-11-01

Family

ID=49856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6626A KR101324353B1 (ko) 2013-01-21 2013-01-21 드럼을 구비한 전기침투 슬러지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435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95186A1 (ko) * 2015-05-29 2016-12-08 (주)우영엔지니어링 정광 건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정광 건조 장치
CN113735403A (zh) * 2021-09-13 2021-12-03 华南理工大学 一种蠕动式污泥脱水机
CN114199648A (zh) * 2021-12-24 2022-03-18 沈阳环境科学研究院 一种用于污泥检测样品用预处理装置
CN114370748A (zh) * 2022-01-24 2022-04-19 山东金格瑞机械有限公司 一种用于饲料的转筒烘干设备
CN115638624A (zh) * 2022-12-08 2023-01-24 福建瑞达茶业有限公司 一种茶叶加工用烘干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5028B1 (ko) * 2005-11-14 2007-09-06 주식회사리젠코리아 전기침투식 슬러지 탈수 장치
KR100860979B1 (ko) * 2007-05-14 2008-09-30 주식회사 삼우인텍 전기침투 탈수기
KR20110076513A (ko) * 2009-12-29 2011-07-06 주식회사리젠코리아 고성능 전기침투 탈수장치
KR101137604B1 (ko) * 2011-04-12 2012-05-30 주식회사 에네르고스 계면전기현상을 이용한 슬러지 탈수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5028B1 (ko) * 2005-11-14 2007-09-06 주식회사리젠코리아 전기침투식 슬러지 탈수 장치
KR100860979B1 (ko) * 2007-05-14 2008-09-30 주식회사 삼우인텍 전기침투 탈수기
KR20110076513A (ko) * 2009-12-29 2011-07-06 주식회사리젠코리아 고성능 전기침투 탈수장치
KR101137604B1 (ko) * 2011-04-12 2012-05-30 주식회사 에네르고스 계면전기현상을 이용한 슬러지 탈수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95186A1 (ko) * 2015-05-29 2016-12-08 (주)우영엔지니어링 정광 건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정광 건조 장치
CN113735403A (zh) * 2021-09-13 2021-12-03 华南理工大学 一种蠕动式污泥脱水机
CN114199648A (zh) * 2021-12-24 2022-03-18 沈阳环境科学研究院 一种用于污泥检测样品用预处理装置
CN114370748A (zh) * 2022-01-24 2022-04-19 山东金格瑞机械有限公司 一种用于饲料的转筒烘干设备
CN115638624A (zh) * 2022-12-08 2023-01-24 福建瑞达茶业有限公司 一种茶叶加工用烘干设备
CN115638624B (zh) * 2022-12-08 2023-04-11 福建瑞达茶业有限公司 一种茶叶加工用烘干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4353B1 (ko) 드럼을 구비한 전기침투 슬러지 건조장치
US3962069A (en) System for treating sludge
JP2009539587A5 (ko)
WO2018034300A1 (ja) 複合脱水装置
KR101425984B1 (ko) 전기식 슬러지 탈수설비용 슬러지 인입장치
US20050016870A1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treating sludge by the combined action of electro-osmosis and pressure
JP5617240B2 (ja) 電気浸透脱水処理方法及び装置
JP4651045B2 (ja) 汚泥脱水装置
JP2017023944A (ja) 電気浸透式回転加圧脱水機
KR0137000B1 (ko) 전기침투식 탈수기
CN212476508U (zh) 一种曲面直流电场污泥干化脱水装置
US9028665B2 (en) Drum-type electro-osmosis dehydrator capable of reducing electricity consumption by decreasing gap between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JP2012176358A (ja) 電気浸透脱水装置の洗浄方法
KR100755028B1 (ko) 전기침투식 슬러지 탈수 장치
JP2014188504A (ja) 電気浸透脱水装置のカルシウムスケール付着検知方法及び洗浄方法
JP2014188503A (ja) 電気浸透脱水装置及びその洗浄方法
KR101338867B1 (ko) 도체 탐지유닛을 갖는 전기침투 탈수기
JP2012179572A (ja) 電気浸透脱水方法及び装置
KR101381804B1 (ko) 전기식 슬러지 탈수설비용 슬러지 인입장치
KR100958953B1 (ko) 드럼 냉각장치를 가지는 전기 침투 탈수기
JP2017196574A (ja) 電気浸透脱水装置
KR101091649B1 (ko) 금속단자의 부분 도금방법 및 도금장치
JPS63256113A (ja) 電気浸透式脱水機
JP2012183523A (ja) 電気浸透脱水装置のスケール付着量測定方法
JP2012176387A (ja) 電気浸透脱水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