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0711B1 - 차량용 공조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0711B1
KR101380711B1 KR1020070087856A KR20070087856A KR101380711B1 KR 101380711 B1 KR101380711 B1 KR 101380711B1 KR 1020070087856 A KR1020070087856 A KR 1020070087856A KR 20070087856 A KR20070087856 A KR 20070087856A KR 101380711 B1 KR101380711 B1 KR 1013807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evaporator
condenser
compressor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7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2488A (ko
Inventor
황선종
신광영
Original Assignee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878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0711B1/ko
Publication of KR200900224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24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07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07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05Control means therefor
    • B60H1/3211Control means therefor for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a vehicle refrigeration cy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78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temperature regulating devices
    • B60H1/00885Controlling the flow of heating or cooling liquid, e.g. valves or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05Control means therefor
    • B60H1/3214Control means therefor for improving the lubrication of a refrigerant compressor in a vehi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3/00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 F25B43/02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for separating lubricants from the refrigera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에어컨 정지시에 발생하는 응축기와 증발기의 오일 잔류 현상을 방지하여 에어컨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압축기와 응축기와 팽창밸브와 증발기를 구비하는 차량용 공조시스템에 있어서, 응축기와 증발기 내부의 냉매에 포함된 오일을 회수할 수 있도록 응축기와 증발기 각각을 유분리기와 연결하는 제 1 및 제 2회수라인과; 증발기와 응축기와 유분리기 사이의 오일 흐름을 제어할 수 있도록 제 1 및 제 2회수라인을 개폐하는 밸브수단과; 유분리기의 오일을 압축기로 리턴시키는 리턴라인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차량용 공조시스템{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에어컨 정지시에 발생하는 응축기와 증발기의 오일 잔류 현상을 미연에 방지함으로써 에어컨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공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는 실내를 냉, 난방하기 공조시스템이 설치된다. 이러한 공조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기(1)와 응축기(3)와 팽창밸브(5)와 증발기(7) 및 이들 각각의 장치들을 연결하는 냉매파이프(9)들을 포함한다.
압축기(1)는 기화된 냉매를 고온·고압의 가스로 압축하고, 응축기(3)는 고온·고압의 냉매를 액화시키며, 팽창밸브(5)는 액화된 냉매를 저온·저압으로 팽창시킨다.
그리고 증발기(7)는 팽창된 저온·저압의 냉매를 유입한 후, 주변의 공기와 열교환시킨다. 특히, 증발기(7)는 저온·저압의 냉매를 주변의 공기와 열교환시킴으로써, 냉기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냉기를 차량의 실내로 공급하여 차량의 실내를 냉방한다.
한편, 공조시스템의 냉매에는 오일이 포함되어 있다. 오일은, 공조시스템 내 부의 각종 습동부분을 윤활한다. 특히, 습동부분이 많은 압축기(3)에 공급됨으로써, 압축기(3)의 습동부분을 윤활하고, 윤활된 습동부분의 수명을 연장시킨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공조시스템은, 작동 정지시에, 냉매에 포함된 오일이 응축기(3)와 증발기(7)에 잔류한다는 단점이 있으며, 이러한 단점 때문에 에어컨 작동시에 냉방성능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냉매에 포함된 오일은, 냉매와 함께 압축기(1)와 응축기(3)와 팽창밸브(5)와 증발기(7)를 순환하게 되는데, 이때, 압축기(1)의 작동이 정지되면, 냉매에 포함된 오일은 자중에 의해 낙하하면서 각 장치의 하측부분에 모이게 된다.
특히, 응축기(3)와 증발기(7)의 튜브(도시하지 않음)에 도입된 많은 양의 오일은, 응축기(3)와 증발기(7)로부터 배출되지 못하고 튜브의 하측부분에 모이게 되며, 이렇게 모인 다량의 오일은, 압축기(1)의 작동시에 냉매의 흐름을 방해하고, 냉매의 열교환 효율을 떨어뜨려 냉방성능을 급격하게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한편, 오일의 양을 줄임으로써, 응축기(3)와 증발기(7)에 잔류하는 오일의 양을 저감시킬 수도 있지만, 이러한 경우, 압축기(1)의 습동부분에 공급되는 오일의 양도 동시에 저감되므로, 압축기(1)의 습동부분에 충분한 오일이 공급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습동부분의 수명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에어컨 비작동시에는 응축기와 증발기에 모인 오일을 회수하고, 에어컨 작동시에는 회수된 오일을 압축기에 공급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응축기와 증발기의 오일 잔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응축기와 증발기의 오일 잔류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응축기와 증발기에 모인 오일로 인한 열교환효율의 저하와 냉방성능의 저하현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에어컨 작동시에는 회수된 오일을 압축기에 공급함으로써, 압축기의 습동부분에 충분한 오일을 공급할 수 있으며, 따라서, 압축기의 수명을 최대한 연장시킬 수 있는 차량용 공조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압축기와 응축기와 팽창밸브와 증발기를 구비하는 차량용 공조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와 증발기 내부의 냉매에 포함된 오일을 회수할 수 있도록 상기 응축기와 증발기 각각을 유분리기와 연결하는 제 1 및 제 2회수라인과; 상기 증발기와 응축기와 유분리기 사이의 오일 흐름을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및 제 2회수라인을 개폐하는 밸브수단과; 상기 유분리기의 오일을 상기 압축기로 리턴시키는 리턴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밸브수단은, 상기 제 1회수라인에 설치되는 제 1개폐밸브와, 상기 제 2회수라인에 설치되는 제 2개폐밸브이며, 상기 제 1 및 제 2개폐밸브는, 에어컨 정지시에 상기 제 1 및 제 2회수라인 각각을 개방하여 상기 응축기와 증발기에 잔류한 오일의 회수를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시스템에 의하면, 에어컨 정지시에 응축기와 증발기에 잔류한 오일을 회수하는 구조이므로, 에어컨 정지시 응축기와 증발기의 오일 잔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응축기와 증발기의 오일 잔류 현상을 방지하므로, 응축기와 증발기의 잔류 오일로 인한 열교환효율의 저하와 냉방성능의 저하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에어컨 작동시에 회수된 오일을 압축기에 공급하는 구조이므로, 압축기의 습동부분에 충분한 오일을 공급할 수 있으며, 따라서, 압축기의 수명을 최대한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특징부를 살펴보기에 앞서, 차량용 공조시스템에 대해 도 2를 참조하여 간략하게 살펴본다.
차량용 공조시스템은, 압축기(1)와 응축기(3)와 팽창밸브(5)와 증발기(7) 및 이들 각각의 장치들을 연결하는 냉매파이프(9)들을 포함한다.
압축기(1)는 기화된 냉매를 고온·고압의 가스로 압축하고, 응축기(3)는 고 온·고압의 냉매를 액화시키며, 팽창밸브(5)는 액화된 냉매를 저온·저압으로 팽창시킨다.
그리고 증발기(7)는 팽창된 저온·저압의 냉매를 유입한 후, 주변의 공기와 열교환시킨다. 특히, 저온·저압의 냉매를 주변의 공기와 열교환시킴으로써, 냉기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냉기를 차량의 실내로 공급하여 차량의 실내를 냉방한다.
냉매파이프(9)는, 압축기(1)로부터 토출되는 고압의 냉매를 각각의 장치에 순차적으로 공급하고, 공급된 냉매를 다시 압축기(1)로 순환시킨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특징부를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본다.
먼저, 본 발명의 공조시스템은, 응축기(3)에 모여있는 오일을 회수하기 위한 제 1회수라인(10)과, 증발기(7)에 모여있는 오일을 회수하기 위한 제 2회수라인(20)을 구비한다.
제 1회수라인(10)은, 응축기(3)의 하측에 연결된다. 특히, 하측부분에 배열되어 있는 튜브(도시하지 않음)와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제 1회수라인(10)은, 에어컨 비작동시에 응축기(3)의 하측부분에 모여있는 오일을 회수한다. 여기서, 응축기(3)의 하측부분에 모여있는 오일은, 응축기(3) 내부의 높은 압력에 의해 자동으로 배출된다.
제 2회수라인(20)은, 증발기(7)의 하측에 연결된다. 특히, 하측부분에 배열되어 있는 튜브(도시하지 않음)와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제 2회수라인(20)은, 에어컨 비작동시에 증발기(7)의 하측부분에 모 여있는 오일을 회수한다. 여기서, 증발기(7)의 하측부분에 모여있는 오일은, 증발기(7) 내부의 높은 압력에 의해 가압되면서 자동으로 배출된다.
다시,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공조시스템은, 에어컨의 작동여부를 감지하는 에어컨 감지수단(30)을 구비한다.
에어컨 감지수단(30)은, 에어컨 스위치(도시하지 않음)로 구성된다. 에어컨 스위치는, 에어컨을 온(ON) 또는 오프(OFF)시키기 위한 스위치로서, 사용자가 에어컨을 온 또는 오프시키는 것을 감지한다.
특히, 사용자가 에어컨을 온시키면, "에어컨 작동신호"를 출력하고, 사용자가 에어컨을 오프시키면, "에어컨 정지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에어컨의 작동여부를 감지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공조시스템은, 콘트롤러(40)를 구비한다. 콘트롤러(4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갖춘 것으로, 에어컨 감지수단(30)으로부터 "에어컨 정지신호"가 입력되면, 현재 에어컨이 정지되는 것으로 판단하여 제 1제어신호(C1)를 출력하고, "에어컨 작동신호"가 입력되면, 현재 에어컨이 작동되는 것으로 판단하여 제 2제어신호(C2)를 출력한다.
다시,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공조시스템은, 콘트롤러(40)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 1회수라인(10)과 제 2회수라인(20) 각각을 개폐하는 밸브수단을 구비한다.
밸브수단은, 제 1회수라인(10)에 설치되는 제 1개폐밸브(50)와, 제 2회수라인(20)에 설치되는 제 2개폐밸브(60)로 구성된다.
제 1 및 제 2개폐밸브(50, 60)는, 제 1 및 제 2회수라인(10, 20) 각각을 상시 폐쇄하는 상시폐쇄형(常時閉鎖形) 솔레노이드 밸브로서, 콘트롤러(40)로부터 제 1제어신호(C1)가 인가되면, 도 3에서와 같이, 작동위치로 절환되면서 제 1 및 제 2회수라인(10, 20) 각각을 개방한다.
이러한 제 1 및 제 2개폐밸브(50, 60)에 의하면, 평상시, 즉, 에어컨 작동시에는 제 1 및 제 2회수라인(10, 20) 각각을 차단한다. 따라서, 응축기(3)와 증발기(7)에 도입된 냉매와 오일의 흐름을 정상적으로 유지시킨다.
그러나, 에어컨이 정지되면, 즉, 콘트롤러(40)로부터 제 1제어신호(C1)가 인가되면, 제 1 및 제 2회수라인(10, 20) 각각을 개방한다. 따라서, 에어컨의 정지시에 응축기(3)와 증발기(7)의 하측부분에 모여있는 오일의 회수를 허용한다.
특히, 응축기(3)와 증발기(7)의 하측부분에 모여있는 오일의 회수를 허용함으로써, 응축기(3)와 증발기(7)의 오일 잔류 현상을 방지하고, 오일 잔류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에어컨 재작동시에 오일의 잔류로 인한 열교환효율의 저하현상과 냉방성능의 저하현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한다.
한편, 콘트롤러(40)는 타이머(42)를 더 구비하고 있다. 타이머(42)는, 콘트롤러(40)의 제 1제어신호(C1)가 미리 설정된 시간 후에 소거(消去)되도록 시간을 카운트한다.
이러한 타이머(42)는, 콘트롤러(40)의 제 1제어신호(C1)가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만 출력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제 1 및 제 2개폐밸브(50, 60)가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만 제 1 및 제 2회수라인(10, 20) 각각을 개방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응 축기(3)와 증발기(7)의 하측부분에 모여있는 오일이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만 회수되도록 제어한다.
다시,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공조시스템은, 제 1회수라인(10)과 제 2회수라인(20)으로부터 회수된 오일을 청징(淸澄, Clarification)하는 유분리기(Oil Separator)(70)를 구비한다.
유분리기(70)는, 회수된 오일을 스크린(도시하지 않음)과 배플(도시하지 않음)로써 여과하고 하측부분으로 분리하는 장치로서, 회수된 오일속의 냉매와 기타 이물질을 분리하여 순도 높은 오일로 만들어준다.
유분리기(70)는,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구성과 작동예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공조시스템은, 유분리기(70)에서 분리된 고순도의 오일을 압축기(1)로 리턴시키는 리턴라인(80)을 구비한다.
리턴라인(80)은, 유분리기(70)의 하측부분과 압축기(1)의 입력단을 연결하며, 유분리기(70)의 하측부분에 분리되어 있는 고순도의 오일을 압축기(1)의 입력단에 리턴시킨다.
따라서, 고순도의 오일이 압축기(1)의 내부로 도입되면서 압축기(1)의 각 습동부분에 공급될 수 있게 하고, 공급된 오일이 각 습동부분을 윤활할 수 있게 한다.
다시,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공조시스템은, 에어컨 작동시, 콘트롤러(40)의 제 2제어신호(C2)에 따라 유분리기(70)의 내부에 고압의 냉매를 공급 하는 냉매공급수단(90)을 구비한다.
냉매공급수단(90)은, 압축기(1)로부터 토출되는 고압의 냉매를 바이패스하여 유분리기(70)로 도입시키는 바이패스라인(92)과, 콘트롤러(40)의 제 2제어신호(C2)에 따라 바이패스라인(92)을 개폐하는 제 3개폐밸브(94)를 구비한다.
바이패스라인(92)은, 압축기(1)의 출력단과 유분리기(70)를 연결하는 것으로, 압축기(1)로부터 토출되는 고압의 냉매를 바이패스한 다음, 바이패스된 고압의 냉매를 유분리기(70)로 도입시킨다.
이러한 바이패스라인(92)은, 고압의 냉매를 유분리기(70)에 도입시킴으로써, 유분리기(70)의 내부압력이 상승될 수 있게 하고, 유분리기(70)의 내부압력이 상승되게 함으로써, 유분리기(70)의 하측부분에 분리되어 있는 오일이 리턴라인(80)으로 배출될 수 있게 한다.
제 3개폐밸브(94)는, 바이패스라인(92)을 상시 폐쇄하는 상시폐쇄형(常時閉鎖形) 솔레노이드 밸브로서, 콘트롤러(40)로부터 제 2제어신호(C2)가 인가되면, 도 4에서와 같이, 작동위치로 절환되면서 바이패스라인(92)을 개방한다.
이러한 제 3개폐밸브(94)에 의하면, 에어컨 정지시에는 바이패스라인(92)을 차단한다. 따라서, 압축기(1)로부터 유분리기(70)로의 냉매 흐름을 차단한다.
그러나, 에어컨 작동시에는, 즉, 콘트롤러(40)로부터 제 2제어신호(C2)가 인가되면, 바이패스라인(92)을 개방한다. 따라서, 압축기(1)로부터 토출된 고압의 냉매가 유분리기(70)로 바이패스될 수 있게 하며, 바이패스된 고압의 냉매가 유분리기(70)의 내부압력을 상승시키면서 하측부분의 오일을 리턴라인(80)으로 가압할 수 있게 한다.
결과적으로, 가압된 오일이, 유분리기(70)로부터 리턴라인(80)으로 가압되면서 빠르게 배출될 수 있게 하고, 배출된 오일이 압축기(1)의 입력단으로 도입되면서 압축기(1)의 각 습동부분에 공급될 수 있게 한다.
한편, 콘트롤러(40)의 타이머(42)는, 콘트롤러(40)의 제 2제어신호(C2)가 미리 설정된 시간 후에 소거(消去)되도록 시간을 카운트한다.
이는, 콘트롤러(40)의 제 2제어신호(C2)가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만 출력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제 3개폐밸브(94)가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만 바이패스라인(92)을 개방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며, 이는 에어컨 작동 초기에만, 유분리기(70)의 오일이 압축기(1)에 공급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동예를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에어컨이 작동중일 경우를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압축기(1)로부터 토출된 고압의 냉매는 응축기(3)로 도입되고, 도입된 냉매는 응축기(3)를 통과하면서 열교환되며, 열교환된 냉매는 팽창밸브(5)를 통과하면서 저온, 저압으로 팽창된다.
그리고 팽창된 저온, 저압의 냉매는 증발기(7)로 도입되고, 도입된 저온, 저압의 냉매는 증발기(7)의 튜브(도시하지 않음)를 통과하면서 주변의 공기와 열교환되며, 열교환된 냉매는 냉기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차량의 실내를 냉방한다.
한편, 증발기(7)를 통과한 냉매는 다시 압축기(1)로 도입되면서 고온, 고압 으로 압축되고, 압축된 고온, 고압의 냉매는 다시 응축기(3)로 순환된다.
다음으로, 에어컨이 정지될 경우를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에어컨이 정지되면, 에어컨 감지수단(30)은 에어컨이 정지되었음을 감지하여 "에어컨 정지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에어컨 정지신호"가 출력되면, 콘트롤러(40)는 제 1제어신호(C1)를 출력하며, 출력된 제 1제어신호(C1)는 제 1 및 제 2개폐밸브(50, 60)에 인가된다.
그리고, 제 1제어신호(C1)가 인가된 제 1 및 제 2개폐밸브(50, 60)는, 작동위치로 전환되면서 제 1 및 제 2회수라인(10, 20)을 개방하고, 개방된 제 1 및 제 2회수라인(10, 20)은, 응축기(3)와 증발기(7)의 하측부분에 모여 있는 오일을 회수하기 시작하며, 회수된 오일은 유분리기(70)로 도입되면서 순도 높은 오일로 분리된다.
한편, 콘트롤러(40)의 제 1제어신호(C1)는 타이머(42)의 카운트에 의해 미리 설정된 시간이 지난 후에 소거된다. 따라서, 제 1 및 제 2개폐밸브(50, 60)는, 설정된 시간이 지난 후에,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제 1 및 제 2회수라인(10, 20)을 차단하며, 이에 따라, 응축기(3)와 증발기(7)로부터 회수되는 오일은 차단된다.
한편, 이와 같은 상태에서, 응축기(3)와 증발기(7)의 하측부분에 잔류하던 오일은 회수되므로, 응축기(3)와 증발기(7)의 오일 잔류 현상은 방지되고, 오일 잔류 현상이 방지됨으로써, 에어컨 재작동시에 오일의 잔류로 인한 열교환효율의 저하현상과 냉방성능의 저하현상이 방지된다.
다음으로, 에어컨이 다시 작동될 경우를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에어컨이 다시 작동되면, 에어컨 감지수단(30)은 에어컨이 작동되었음을 감지하여 "에어컨 작동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에어컨 작동신호"가 출력되면, 콘트롤러(40)는 제 2제어신호(C2)를 출력하며, 출력된 제 2제어신호(C2)는 제 3개폐밸브(94)에 인가된다.
그리고, 제 2제어신호(C2)가 인가된 제 3개폐밸브(94)는, 작동위치로 전환되면서 바이패스라인(92)을 개방하고, 개방된 바이패스라인(92)은, 압축기(1)의 냉매를 바이패스하여 유분리기(70)로 도입시킨다.
한편, 유분리기(70)로 도입된 고압의 냉매는, 유분리기(70)의 내부압력을 상승시키고, 상승된 내부압력은 유분리기(70)의 하측부분에 분리되어 있는 오일을 가압하면서 리턴라인(80)으로 배출시키며, 배출되는 오일은 압축기(1)로 도입된다.
한편, 콘트롤러(40)의 제 2제어신호(C2)는 타이머(42)의 카운트에 의해 미리 설정된 시간이 지난 후에 소거된다. 따라서, 제 3개폐밸브(94)는, 설정된 시간이 지난 후에,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바이패스라인(92)을 차단하며, 이에 따라, 유분리기(70)로 바이패스되는 냉매는 차단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에어컨이 작동중인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에어컨 정지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에어컨 작동 초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압축기 3: 응축기
5: 팽창밸브 7: 증발기
10: 제 1회수라인 20: 제 2회수라인
30: 에어컨 감지수단 40: 콘트롤러(Controller)
42: 타이머(Timer) 50: 제 1개폐밸브
60: 제 2개폐밸브 70: 유분리기
80: 리턴라인(Return Line) 90: 냉매공급수단
92: 바이패스라인(Bypass Line) 94: 제 3개폐밸브
C1: 제 1제어신호 C2: 제 2제어신호

Claims (4)

  1. 압축기(1)와 응축기(3)와 팽창밸브(5)와 증발기(7)를 구비하는 차량용 공조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3)와 증발기(7) 내부의 냉매에 포함된 오일을 회수할 수 있도록 상기 응축기(3)와 증발기(7) 각각을 유분리기(70)와 연결하는 제 1 및 제 2회수라인(10, 20)과;
    상기 증발기(7)와 응축기(3)와 유분리기(70) 사이의 오일 흐름을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및 제 2회수라인(10, 20)을 개폐하는 밸브수단과;
    상기 유분리기(70)의 오일을 상기 압축기(1)로 리턴시키는 리턴라인(80)을 포함하고,
    상기 밸브수단은, 상기 제 1회수라인(10)에 설치되는 제 1개폐밸브(50)와, 상기 제 2회수라인(20)에 설치되는 제 2개폐밸브(60)이며,
    상기 제 1 및 제 2개폐밸브(50, 60)는, 에어컨 정지시에 상기 제 1 및 제 2회수라인(10, 20) 각각을 개방하여 상기 응축기(3)와 증발기(7)에 잔류한 오일의 회수를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시스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에어컨 작동시에, 상기 유분리기(70)의 내부에 고압의 냉매를 공급하여 상기 유분리기(70)의 오일을 상기 리턴라인(80)으로 가압하는 냉매공급수단(90)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공급수단(90)은,
    에어컨 작동시에 상기 압축기(1)로부터 토출되는 고압의 냉매를 바이패스하여 상기 유분리기(70)로 도입시킬 수 있도록 상기 압축기(1)와 유분리기(70)를 연결하는 바이패스라인(92)과;
    상기 바이패스라인(92)을 개방하여 상기 바이패스라인(92)으로부터 상기 유분리기(70)로의 냉매 흐름을 허용하는 제 3개폐밸브(9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시스템.
KR1020070087856A 2007-08-30 2007-08-30 차량용 공조시스템 KR1013807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7856A KR101380711B1 (ko) 2007-08-30 2007-08-30 차량용 공조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7856A KR101380711B1 (ko) 2007-08-30 2007-08-30 차량용 공조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2488A KR20090022488A (ko) 2009-03-04
KR101380711B1 true KR101380711B1 (ko) 2014-04-02

Family

ID=40692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7856A KR101380711B1 (ko) 2007-08-30 2007-08-30 차량용 공조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07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20966B2 (en) 2014-10-10 2018-03-20 Hyundai Motor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increasing removal rate of residu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04378A (ja) 1999-04-23 2000-11-02 Mitsubishi Heavy Ind Ltd コンデンサ、冷媒系及び車両用空気調和装置
JP3614330B2 (ja) * 1999-10-20 2005-01-26 シャープ株式会社 超臨界蒸気圧縮式冷凍サイクル
KR100521232B1 (ko) * 1997-02-18 2005-10-17 아메리칸 스탠다드 인터내셔날 인코포레이티드 냉각 시스템 내의 증발기로부터 압축기로 오일을 복귀시키는 방법 및 시스템
JP2006082658A (ja) * 2004-09-15 2006-03-30 Sanden Corp 冷凍システム及び車両用空調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1232B1 (ko) * 1997-02-18 2005-10-17 아메리칸 스탠다드 인터내셔날 인코포레이티드 냉각 시스템 내의 증발기로부터 압축기로 오일을 복귀시키는 방법 및 시스템
JP2000304378A (ja) 1999-04-23 2000-11-02 Mitsubishi Heavy Ind Ltd コンデンサ、冷媒系及び車両用空気調和装置
JP3614330B2 (ja) * 1999-10-20 2005-01-26 シャープ株式会社 超臨界蒸気圧縮式冷凍サイクル
JP2006082658A (ja) * 2004-09-15 2006-03-30 Sanden Corp 冷凍システム及び車両用空調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20966B2 (en) 2014-10-10 2018-03-20 Hyundai Motor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increasing removal rate of residu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2488A (ko) 2009-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3703B1 (ko) 멀티형 공기조화기 및 그 운전 방법
CN108027175B (zh) 热泵
JP2003130481A (ja) 自動車用空調装置の蒸気圧縮式冷凍サイクル
KR101380711B1 (ko) 차량용 공조시스템
JPH0719630A (ja) 空調装置
JP3458058B2 (ja) 冷凍装置
JPH11173628A (ja) 空気調和装置
JP4428290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3855667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3980189B2 (ja) 自動車用冷暖房装置
KR100565465B1 (ko) 에어컨 장치의 오일 균형 및 압력 제어방법
JP2006317024A (ja) 冷凍装置
JP3698025B2 (ja) 空気調和機
JP2006327494A (ja) 車両用空調装置
JP2007261321A (ja) 車両用空調装置
JP4346781B2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JP2007010286A (ja) 冷媒サイクル
JP2002340448A (ja) 空気調和機の冷媒回収装置
JP3817752B2 (ja) 空気調和装置
JP3980186B2 (ja) ヒートポンプ式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
JP3538936B2 (ja) 冷凍装置の冷媒回収方法
CN216331325U (zh) 车辆用空调装置
JPH03122460A (ja) 冷凍装置の運転制御装置
JPH0771844A (ja) 車両用冷凍サイクル装置
JP4159409B2 (ja) 空気調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