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0160B1 - 레이크 펼침이 가능한 더블암 제진기 - Google Patents

레이크 펼침이 가능한 더블암 제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0160B1
KR101380160B1 KR1020140011205A KR20140011205A KR101380160B1 KR 101380160 B1 KR101380160 B1 KR 101380160B1 KR 1020140011205 A KR1020140011205 A KR 1020140011205A KR 20140011205 A KR20140011205 A KR 20140011205A KR 101380160 B1 KR101380160 B1 KR 1013801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ke
screen
spring
boom
suppor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1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승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월드이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065623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380160(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월드이노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월드이노텍
Priority to KR10201400112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01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01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01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E02B5/085Arresting devices for waterborne materials, e.g. gra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레이크작동실린더를 레이크 설치부위에 설치하지 않더라도 레이크의 펼침작동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고 다단의 붐대의 신축동작과 조화할 수 있는 구조의 레이크 펼침이 가능하며, 스크린에 걸린 협잡물을 제거하는 동작과정 중에 레이크의 원활한 작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관련 부분품들의 변형이나 파손, 소음 등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의 제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수로에 설치되고 다수의 슬릿이 상하로 형성된 스크린과, 상기 스크린에 걸린 협잡물을 걷어 올리기 위해, 상기 수로의 상측에 설치된 프레임으로부터 하강하면서 신장되고 상승하면서 수축되는 다단의 붐대를 구비하는 제진기에 있어서, 최하단붐대의 하단에 결합되고 상기 스크린의 다수의 슬릿에 각각 삽입되는 다수의 갈퀴가 선단에 돌출된 레이크와, 상기 레이크의 하측에는, 상기 레이크에 설치되어 상기 스크린과 구름접촉하는 것으로서 구름면의 폭이 상기 스크린의 슬릿의 폭보다 더 크게 형성된 간격형성용롤러가 설치되고, 상기 간격형성용롤러는 상기 레이크의 양 측단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간격형성용롤러의 구름면의 선단이, 상기 갈퀴의 후단보다는 더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갈퀴의 선단보다는 후방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스크린과 구름접촉함으로써 상기 갈퀴가 상기 스크린의 슬릿에 삽입되는 깊이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레이크 펼침이 가능한 더블암 제진기{A double arm dust removing machine incluing a rake capable to unfold}
본 발명은 레이크 펼침이 가능한 제진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압실린더 장치에 의해 신축하는 다단의 붐대를 구비하고 붐대의 하단에 구비된 레이크가 수로에서 유동하는 쓰레기 등 협잡물을 끌어올릴 수 있으며, 끌어올려진 협잡물은 레이크를 펼쳐 이송컨베이어 상에 투하하는 구조의 더블암 제진기에 관한 것이다.
제진기는 하수, 폐수처리장 등의 수로에 설치되어 하수 및 폐수에 포함되어 있는 협잡물을 강제적으로 인양, 제거하는데 이용된다.
도 1은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32939호에 개시된 것으로, 레이크의 펼침이 가능한 제진기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제진기는 다단의 붐대를 구비하여 수로에 설치된 스크린(5)에 걸린 협잡물을 걷어 올리고 있다. 상기 다단의 붐대 중 최하단 붐대(1)의 단부에는 레이크(2)가 설치되고, 레이크(2)는 꺾인 상태에서 스크린(5)에 걸린 협잡물을 끌어올린 후 스크린(5)의 상단 후측에 위치하는 이송컨베이어(4)에 협잡물을 투하한다.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종래의 제진기가 스크린(5)에서 끌어올린 협잡물을 이송컨베이어(4)에 투하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제진기에는 레이크(2)의 측면에 결합된 레이크작동실린더(3)이 설치됨으로서 레이크작동실린더(3)가 신장하면 레이크(2)의 펼침동작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이송컨베이어(4)의 상측에 도착한 후에는 레이크작동실린더(3)에 의해 레이크(2)가 펼쳐져 협잡물을 투하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진기는 레이크(2)의 펼침작용이 가능하도록 구동하는 레이크작동실린더(3)가 레이크(2)의 일측에 구비됨으로써, 실린더장치가 레이크와 함께 수로에 입수를 반복하게 됨으로써, 실린더로부터 윤활유 등이 수로에 유출되는 문제가 발생되고 장기간 사용 시 물이 각부에 유입됨으로 인해 실린더의 작동이 원활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신장과 수축을 반복하는 다단의 붐대 하단에 레이크작동실린더(3)가 설치됨으로써 레이크작동실린더(3)에 연결되는 고압호스가 다단의 붐대를 따라 연결되어야 하나, 다단의 붐대의 신장시 필요한 고압호스길이와 수축시 필요한 고압호스의 길이에 매우 큰 차이가 있으므로 레이크작동실린더(3)에 연결하는 고압호스의 배치가 매우 곤란하여 설계상의 어려움이 있다.
또한, 도 1과 같이 레이크(2)가 스크린(5)에 걸린 협잡물을 걷어 올리기 위해 상승하는 경우, 레이크(2) 선단에 돌출된 다수의 갈퀴(도 9의 도면부호 25 참조)가 통상 스크린의 슬롯(도 11의 도면부호 5s 참조)에 각각 끼워진 상태이다. 그 경우 갈퀴가 슬롯에 삽입되는 깊이조절이 용이하지 않으므로 결국 레이크와 스크린은 접촉한 상태에서 레이크가 상측으로 끌려 올라가게 된다.
그러한 작용은 레이크와 스크린의 마찰과 소음을 발생시킬 뿐 아니라, 레이크의 선단에 작용하는 마찰력이 상승 중인 레이크의 변형을 유발하여 관련 부품의 변형과 파손을 유발시킨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레이크작동실린더를 레이크 주변에 설치하지 않더라도 레이크의 펼침작동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고 다단의 붐대의 신축동작과 조화할 수 있는 구조의 레이크 펼침이 가능한 더블암 제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스크린에 걸린 협잡물을 제거하는 동작과정 중에 레이크의 원활한 작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관련 부분품들의 변형이나 파손, 소음 등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의 제진기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로에 설치된 스크린의 협잡물을 걷어 올리기 위해, 수로의 상측에 설치된 프레임으로부터 하강하면서 신장되는 다단의 붐대를 구비하는 더블암 제진기에 있어서, 최하단붐대의 하단에 고정된 제1힌지축에 자유롭게 선회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스크린의 다수의 슬릿에 각각 삽입되는 다수의 갈퀴가 선단에 돌출된 레이크와, 상기 최하단붐대의 하단에 고정된 제2힌지축에 힌지결합됨으로써 상기 레이크의 꺾인 상태가 유지되도록 받치는 작업제어상태와 상기 레이크의 펼침을 허용하는 펼침제어상태 사이에서 자세가 전환되도록 회전하는 제어부재와, 상기 제2힌지축의 후방에서 상기 제어부재를 상측으로 당기는 힘을 가하여 상기 제어부재를 상기 펼침제어상태로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제어부재에 힌지결합되는 펼침링크부재와, 상기 제2힌지축의 전방에서 상기 제어부재에 힌지결합된 복귀링크부재와,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어 실린더로드가 신축하는 레이크작동실린더와, 상기 펼침링크부재에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실린더로드의 신장에 의해 상기 펼침링크부재를 상측으로 당기도록 연결된 펼침케이블과, 상기 복귀링크부재에 일단이 결합되고 최상단붐대에 타단이 고정된 복귀케이블을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재는 판상체이고, 상기 작업제어상태에서 상기 판상체의 측면이 상기 레이크를 향하도록 상기 제어부재가 상기 레이크의 후면을 받치고 있으며, 상기 제1힌지축은 상기 판상체의 측면이 상기 레이크의 후면을 받치는 위치보다 더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레이크의 하측에는 상기 레이크에 설치되어 상기 스크린과 구름접촉하는 것으로서 구름면의 폭이 상기 스크린의 슬릿의 폭보다 더 크게 형성된 간격형성용롤러가 설치되고, 상기 간격형성용롤러의 구름면의 선단이, 상기 갈퀴의 후단보다는 더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갈퀴의 선단보다는 후방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스크린과 구름접촉함으로써 상기 갈퀴가 상기 스크린의 슬릿에 삽입되는 깊이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더블암 제진기는, 상기 다단의 붐대는 제3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최상단붐대는 제1단붐대이고 상기 최하단붐대는 제3단붐대이며, 상기 제1단붐대의 상단에 설치된 상단풀리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프레임설치풀리가 더 포함되고, 상기 펼침케이블은 그 일단에서부터 상향연장되어 상기 상단풀리에 걸려 안내되고 계속 하향연장되어 상기 실린더로드의 로드풀리에 걸린 상태이며 계속 상향연장되어 상기 제1단붐대의 상부면에 타단이 고정된 것이며, 상기 복귀케이블은 그 일단에서부터 상향연장되어 상기 상단풀리에 걸려 안내되고 계속 하향연장되어 상기 프레임설치풀리에 걸려 안내되며 계속 상향연장되어 상기 제1단붐대의 상부에 타단이 고정된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더블암 제진기는, 제2단붐대의 상단에 일단이 고정되고, 그 일단에서부터 상향연장되어 상기 상단풀리에 걸려 안내되며, 계속 하향연장되어 상기 프레임에 타단이 고정된 제2단붐대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레이크작동실린더는 상기 실린더로드를 하향방향으로 신장시키는 것이며, 상기 간격형성용롤러는 상기 레이크의 양 측단에 각각 설치된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더블암 제진기는, 상기 레이크는 상기 제1힌지축에 힌지결합된 레이크받침판을 매개로 자유롭게 선회하도록 결합된 것이고, 상기 레이크받침판은 상기 레이크의 후면에서 하단이 상기 레이크의 하부와 레이크힌지축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레이크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레이크받침판과 상기 레이크가 서로 이격될 수 있도록 설치되며; 후단이 상기 레이크받침판에 핀결합되고 상기 레이크에 형성된 로드삽입공을 통해 상기 레이크의 내부로 돌출되어 있는 스프링연결로드와, 상기 레이크의 내부에서 상기 스프링연결로드에 끼워져 설치된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연결로드의 전단에서 상기 스프링의 일단을 받치는 스프링전단받침판과, 상기 스프링연결로드 상에서 이동가능하고 상기 스프링의 타단을 받침으로써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밀려 상기 레이크를 상기 레이크받침판 측으로 밀어붙이는 스프링후단받침판이 더 설치됨으로써,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레이크가 상기 레이크받침판에 밀착되고 외력에 의해 상기 레이크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레이크가 회전하여 상기 레이크받침판과 상기 레이크가 서로 이격될 수 있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더블암 제진기는, 상기 복귀링크부재가 상기 제어부재에 힌지결합되는 축결합부에 끼워져 상기 레이크의 후면에 구름접촉하는 레이크접촉롤러가 설치됨으로써 상기 제어부재가 상기 레이크접촉롤러를 매개로 상기 레이크를 받치고, 상기 축결합부의 단부에는 레이크접촉롤러의 이탈을 막는 머리크기를 가진 볼트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한편,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수로에 설치되고 다수의 슬릿이 상하로 형성된 스크린과, 상기 스크린에 걸린 협잡물을 걷어 올리기 위해, 상기 수로의 상측에 설치된 프레임으로부터 하강하면서 신장되고 상승하면서 수축되는 다단의 붐대를 구비하는 제진기에 있어서, 최하단붐대의 하단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스크린의 다수의 슬릿에 각각 삽입되는 다수의 갈퀴가 선단에 돌출되어 있는 레이크가 설치되고, 상기 레이크의 하측에는, 상기 레이크에 설치되어 상기 스크린과 구름접촉하는 것으로서 구름면의 폭이 상기 스크린의 슬릿의 폭보다 더 크게 형성된 간격형성용롤러가 설치되며, 상기 간격형성용롤러는 상기 레이크의 양 측단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간격형성용롤러의 구름면의 선단이, 상기 갈퀴의 후단보다는 더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갈퀴의 선단보다는 후방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스크린과 구름접촉함으로써 상기 갈퀴가 상기 스크린이 슬릿에 삽입되는 깊이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진기는, 상기 최하단붐대의 하단에 설치된 제1힌지축에 자유롭게 선회하도록 힌지결합된 레이크받침판이 설치되고, 상기 레이크받침판은 상기 레이크의 후면에 배치되되 상기 레이크받침판의 하단이 상기 레이크의 하부와 레이크힌지축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레이크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레이크받침판과 상기 레이크가 서로 이격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기 최하단붐대의 하단에 고정된 제2힌지축에 힌지결합됨으로써 상기 레이크의 꺾인 상태가 유지되도록 받치는 작업제어상태와 상기 레이크의 펼침을 허용하는 펼침제어상태 사이에서 자세를 전환하도록 회전하는 제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레이크받침판에 후단이 핀결합되고 상기 레이크에 형성된 로드삽입공을 통해 상기 레이크의 내부로 돌출되어 있는 스프링연결로드와, 상기 레이크의 내부에서 상기 스프링연결로드에 끼워져 설치된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연결로드의 전단에서 상기 스프링의 일단을 받치는 스프링전단받침판과, 상기 스프링연결로드 상에서 이동가능하고 상기 스프링의 타단을 받침으로써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밀려 상기 레이크를 상기 레이크받침판 측으로 밀어붙이는 스프링후단받침판이 더 설치됨으로써,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레이크가 상기 레이크받침판에 밀착되고 외력에 의해 상기 레이크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레이크가 회전하여 상기 레이크받침판과 상기 레이크가 서로 이격될 수 있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레이크작동실린더를 최하단 붐대에 설치하지 않고 스크린 상측의 프레임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 수로에 침수되지 않는 상태로 레이크의 펼침작동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레이크의 펼침을 위해 설치된 케이블이 다단의 붐대의 신축에 대응하여 작동하도록 설치되어 다단의 붐대의 신축을 방해하지 않을뿐더러 제진기의 전체적인 설계가 경제적이고 간결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간격형성용롤러의 설치로 인해 레이크 선단의 갈퀴가 스크린의 슬릿에 삽입되는 깊이를 제한하여 레이크의 선단이 스크린에 접촉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레이크와 스크린의 마찰에 의한 소음과 변형발생을 방지하고, 레이크와 결합된 타 구성품의 변형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레이크의 선단에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레이크받침판과 레이크가 벌어져 서로 이격될 수 있고, 레이크는 평상 운전시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레이크받침판에 밀착된 상태에서 협잡물을 끌어올리는 작업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는 바, 스크린의 슬릿에 돌조각과 같은 이물질이 단단히 끼인 경우, 이물질을 타고 넘으면서 레이크가 이물질이 끼인 영역을 통과할 수 있고 관련 부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제진기의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제진기의 작동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의 측면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의 후면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에서 레이크가 설치 부분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에서 다단의 붐대의 신장에 따른 작용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에서 레이크의 펼침동작의 작용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에 관한 것으로서 레이크의 선단이 스크린과 접촉한 상태에서 상승하는 상태에 대한 설명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에서 레이크가 설치된 부분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에서 레이크의 상승에 따른 작용설명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에서 간격형성용롤러가 레이크와 스크린 사이에 간격을 형성시키는 작용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에서 레이크가 설치된 부분의 단면구성도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에서 레이크가 레이크받침판에 대하여 기울어지는 작용을 설명하는 작용설명도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에서 제어부재가 레이크접촉롤러를 매개로 레이크를 받치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에서 제어부재가 레이크접촉롤러를 매개로 레이크를 받치는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구성도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더블암 제진기의 측면구성도 및 후면구성도이고, 도 5는 제진기에서 레이크가 설치 부분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더블암(double arm) 제진기는 수로에 설치된 스크린의 협잡물을 걷어 올리기 위해 수로의 상측에 설치된 프레임(30)으로부터 하강하면서 신장되는 한 쌍의 암(arm)(10a,10b)이 구비된 것이다. 상기 한 쌍의 암(10a,10b)은 각각 다단의 붐대로 구성되고, 상단부에서 서로 연결하는 연결대(10c)에 의해 일체화되어 동시에 상승 및 하강할 수 있다.
각 암(10a,10b)에서 다단의 붐대의 구조는 서로 동일하고, 동시에 상승 및 하강하므로 하나의 암(10a 또는 10b)에서의 다단의 붐대의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2단의 붐대에도 적용이 가능하나, 이하, 본 실시예에서 3단으로 이루어지는 붐대에 적용된 구성을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3단의 붐대는 수로에 설치되는 스크린의 상측에 고정된 프레임(30)에 의해 안내되어 상승 및 하강하는 제1단붐대(11)와, 상기 제1단붐대(11)가 하강하는 경우 제1단붐대(11)의 내부에서 빠져나와 신장되는 제2단붐대(12)와, 제2단붐대(12)가 제1단붐대(11)에서 빠져나와 신장되는 경우 제2단붐대(12)에서 빠져나와 신장되는 제3단붐대(13)를 포함한다. 제3단붐대(13)의 하단에는 스크린에 걸린 협잡물을 끌어올리는 레이크(20)가 설치된다.
제1단붐대(11)의 상단에는 상단풀리(61)가 설치되어 후술하는 복귀케이블(51), 펼침케이블(52), 제2단붐대케이블(53) 등이 감겨 걸린 상태로 안내되고 있다.
상기 제3단붐대(13)의 하단에는 지지체(133)가 고정설치되어 지지체(133)를 매개로 레이크(20)가 제3단붐대(13)의 하단에 결합된다.
상기 지지체(133)에는 레이크(20)가 힌지결합되기 위한 제1힌지축(135)이 설치되고, 레이크(20)는 제1힌지축(135)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선회할 수 있다. 레이크(20)는 협잡물을 제거하는 작업이 가능하도록 꺾인 상태와, 걷어 올린 협잡물을 투하하도록 레이크(20)가 펼쳐진 상태 사이에서 자유로운 선회가 가능도록 힌지결합된다. 여기서, 자유로운 선회는 외력이 없으면 중력에 의해 발생하는 모멘트에 의해 힌지축을 중심으로 선회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상기 지지체(133)는 도 5의 꺾인 상태와 같이, 레이크(20)가 지지체(133)에 부딪혀 더 이상 꺾이지 않음으로써 과도하게 꺾이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한다.
또한, 상기 제3단붐대(13)의 하단에는 제어부재(23)가 힌지결합된다. 즉, 제3단붐대(13)에 고정되어 있는 지지체(133)에는 힌지브라켓(136) 및 제2힌지축(235)이 설치되고, 제어부재(23)가 힌지결합되어 레이크(20)의 꺾임 및 펼침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재(23)는 판상체이고, 판상체의 상부에 제2힌지축(235)이 결합되고, 그보다 약간 하부의 전방과 후방에는 각각 복귀링크부재(21)와 펼침링크부재(22)가 축결합부(234,233)에 의해 축결합된다.
상기 레이크(20)의 꺾인 상태가 유지되도록 받치는 작업제어상태에서는 제2힌지축(235)의 후방 아래의 위치에 펼침링크부재(22)의 축결합부(233)가 위치한다. 이 때, 전방을 향하고 있는 제어부재(23)의 측면(231)이 레이크(20)의 후면을 받치게 됨으로써 레이크(20)가 꺾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1힌지축(135)은 제어부재(23)의 측면(231)이 레이크(20)의 후면을 받치는 위치보다 더 상측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레이크(20)가 제1힌지축(135)을 중심으로 꺽인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력을 받을 수 있다.
제어부재(23)에서 상면(232)은 비스듬한 경사면(도7 참조)이고, 상기 측면(231)과 상면(232)이 만나는 부분은 라운드져 있으므로 제어부재(23)가 레이크(20)의 후면을 받치는 상태에서 제2힌지축(235)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레이크(20)의 후면과 접촉한 상태에서도 원활한 작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재(23)가 제2힌지축(235)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측면(231)이 하측을 향하는 경우에는 레이크(20)의 후면을 받치지 않고 레이크(20)가 중력에 의해 제1힌지축(135)을 중심으로 아래로 선회하는 것을 허용하게 되므로 레이크(20)의 펼침을 허용하는 펼침제어상태가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펼침링크부재(22)는 상기 제2힌지축(235)의 후방에서 상기 제어부재(23)를 상측으로 당기는 힘을 가하여 상기 제어부재(23)를 상기 펼침제어상태로 회전시키기 위해 제어부재(23)에 힌지결합된다. 펼침링크부재(22)는 제2힌지축(235)의 후방에 연결되도록 굴곡진 형상으로 제3단붐대(13)의 내부에서 안내되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복귀링크부재(21)는 제2힌지축(235)의 전방에서 상기 제어부재(23)에 힌지결합된다. 상기 복귀링크부재(21)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단에는 연결로드(213)를 매개로 복귀케이블(51)의 일단(51a)이 결합되어 복귀링크부재(21)를 상측으로 당길 수 있다. 연결로드(213)와 펼침링크부재(22)는 체인코(214)에 의해 연결된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수로의 상측에 고정설치되는 프레임(30)에는 프레임설치풀리(62)가 포함되고, 펼침케이블(52), 복귀케이블(51)이 안내되고 있다.
또한, 프레임(30)에는 실린더로드가 신축하는 레이크작동실린더(70)가 고정설치된다.
상기 레이크작동실린더(70)는 실린더로드가 하향방향으로 신장되도록 설치되고, 실린더로드의 끝단에는 로드풀리(73)가 설치되어 펼침케이블(52)이 감겨 안내되고 있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펼침케이블(52)은 펼침링크부재(22)의 상단에 일단(52a)이 결합되고, 제3단붐대(13)의 내부를 통과하여 제1단붐대(11)의 상단에 위치하는 상단풀리(61)에 걸려 안내된다. 상단풀리(61)를 감아 돌아 계속 하향연장되는 펼침케이블(52)은 프레임설치풀리(62)를 스쳐 지난후 레이크작동실린더(70)의 로드풀리(73)에 감겨 안내된다. 로드풀리(73)를 감아 다시 상향연장되는 펼침케이블(52)은 프레임설치풀리(62)를 스쳐 지나고 상향연장되어 제1단붐대(11)의 상부면에 용접된 브라켓(521)에 타단(52b)이 고정되고 있다.
또한, 상기 복귀케이블(51)은 복귀링크부재(21)의 상단에 연결로드(213)를 매개로 일단(51a)이 결합되어 제3단붐대(13)의 내부를 통과하여 상향으로 연장되고, 제1단붐대(11)의 상단에 위치하는 상단풀리(61)에 걸려 안내된다. 상단풀리(61)를 감아 돌아 계속 하향연장되는 복귀케이블(51)은 프레임설치풀리(62)를 감아 돌아 다시 상향연장되어 제1단붐대(11)의 상부면에 용접된 브라켓(511)에 타단(51b)이 고정되고 있다.
제2단붐대(12)에는 제2단붐대케이블(53)이 설치된다. 제2단붐대케이블(53)은 제2단붐대(12)의 상단에 일단(53a)이 고정되고, 그 일단(53a)에서부터 상향연장되어 상기 제1단붐대(11)의 상단에 위치하는 상단풀리(61)에 걸려 안내되며, 계속 하향연장되어 상기 프레임(30)에 타단(53b)이 고정된다. 그 고정은 프레임설치풀리(62)의 축에 결합됨으로써 프레임(30)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프레임(30)에는 제1단붐대(11)를 하강시킬 수 있는 메인작동실린더(40)가 설치되어 있다. 즉, 프레임(30)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메인작동실린더(40)는 상측방향으로 실린더로드의 신축이 가능하고, 그 실린더로더의 상단에는 다단의 풀리(43)가 설치된다.
또한, 붐대작동케이블(42)은 그 일단과 타단이 각각 제1단붐대(11)의 하부면과 프레임(30)에 결합되고 중간부분이 메인작동실린더(40)의 실린더로더에 설치된 풀리(43)에 걸린 상태로 안내되고 있다. 이에 따라, 메인작동실린더(40)의 실린더로드가 신축하면 제1단붐대(11)가 하강 및 상승작동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도 6은 스크린에 걸린 협잡물을 걷어올리기 위해 3단의 붐대를 신장시킨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메인작동실린더(40)의 실린더로더가 “a”거리만큼 수축함에 따라, 제1단붐대(11)를 잡고 있던 붐대작동케이블(42)이 여유길이가 생기게 되므로 제1단붐대(11)는 자중에 의해 프레임(30)의 안내를 받아 “b1”만큼 하강하게 된다.
제1단붐대(11)가 하강하면 제1단붐대(11)의 상단에 위치하는 상단풀리(61)도 제1단붐대(11)와 같이 “b1”만큼 하강하게 된다. 이에 따라, 펼침케이블(52), 복귀케이블(51), 제2단붐대케이블(53)은 상측에 걸림되어 있던 상단풀리(61)의 위치가 낮아지므로 그 만큼 여유길이를 가지게 되어 제2단붐대(12)와 제3단붐대(13)가 하강함과 함께 제1단붐대(11)로부터 빠져나와 신장되게 된다.
이를 다시 설명하면, 제2단붐대(12)의 경우에는 제2단붐대케이블(53)의 양단이 제2단붐대(12)의 상단과 프레임(30)에 고정되고 그 중간에서 상단풀리(61)에 걸림되어 있으므로 상단풀리(61)의 위치가 b1만큼 낮아지면 여유길이가 b1+b1 만큼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2단붐대(12)는 제1단붐대(11)와 함께 b1만큼 하강할 수 있음과 함께, 제1단붐대(11)로부터 b1만큼 더 빠져나온 상태가 될 수 있다.
또한, 제3단붐대(13)의 경우에는 펼침케이블(52)과 복귀케이블(51)이 제3단붐대(13)의 하단부분에 일단(52a,51a)이 각각 결합되고 상단풀리(61)에 한번 감기며, 프레임(30)에 설치된 프레임설치풀리(62) 또는 레이크작동실린더(70)의 로드풀리(73)에 다시 감긴 후, 상측으로 연장되어 제1단붐대(11)의 상부에 타단이 고정되어 있다. 이는 다단의 붐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펼침케이블(52)과 복귀케이블(51)이 3회 반복하여 연장되어 있는 구조이다. 그러므로, 상단풀리(61) 및 제1단붐대(11)의 위치가 b1만큼 낮아지면 여유길이가 b1+b1+b1 만큼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3단붐대(13)는 제1단붐대(11)와 함께 b1만큼 하강할 수 있음과 함께, 제1단붐대(11)로부터 b1+b1만큼 빠져나온 상태가 될 수 있으며, 제2단붐대(12)를 기준으로 하면 b1만큼 빠져나온 상태가 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복귀케이블(51), 펼침케이블(52), 제2단붐대케이블(53)은 다단의 붐대의 신축작용에 따라 케이블의 길이가 부족하거나 남지않고 원활한 신축동작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의 복귀케이블(51), 펼침케이블(52), 제2단붐대케이블(53)의 연결은 최상단붐대의 하강시 각 붐대의 단수만큼의 여유길이가 각각 발생하도록 케이블을 연결하는 것이므로 제1단붐대(11)와 제2단붐대(12)만으로 이루어지는 2단붐대의 경우에도 동일한 원리에 의한 설계가 가능하다.
한편, 도 7은 레이크(20)의 펼침동작을 도시하고 있다.
먼저, 도 7의 (a)는 레이크(20)가 스크린의 협잡물을 끌어올리기 위해 꺾여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그와 같은 상태에서는 제어부재(23)인 판상체의 측면(231)이 레이크(20)의 후면을 받치고 있는 상태로 복귀케이블(51)과 펼침케이블(52)이 연결되어 제어부재(23)를 지탱하고 있으며, 복귀케이블(51)과 펼침케이블(52)은 제3단붐대(13)도 지탱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제2힌지축(235)에서는 제3단붐대(13)가 자중에 의해 제어부재(23)를 하측으로 누름으로써 제어부재(23)에서의 힘의 균형이 유지되고 있다. 특히, 제2힌지축(235)에 제3단붐대(13)의 자중이 가해지면 복귀케이블(51)이 펼침케이블(52)보다 먼저 장력을 받도록 복귀케이블(51)과 펼침케이블(52)의 길이를 미소하게 조절해 두어 펼침케이블(52)에 별도의 상승력이 작용하지 않으면 제어부재(23)는 항상 측면(231)이 레이크(20)의 후면을 받침으로써 레이크(20)의 꺾인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도 7의 (b)는 레이크(20)가 끌어 올린 협잡물을 이송컨베이어 상측에서 투하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것이다.
즉, 도 3의 레이크작동실린더(70)가 실린더로드를 밀어내면 실린더로드의 로드풀리(73)에 감긴 펼침케이블(52)이 하측방향으로 끌려 가면서 펼침링크부재(22)를 상측으로 당기게 된다. 이에 따라, 펼침링크부재(22)는 제2힌지축(235)의 후방에서 제어부재(23)를 상측으로 당겨 제어부재(23)를 제2힌지축(235)을 중심으로 회전시킨다. 이 때, 복귀케이블(51)이 하측으로 당겨지게 되나 여유길이가 없으므로 제3단붐대(13)와 제어부재(23)는 상측으로 소정높이 끌려올라가면서 제어부재(23)의 회전이 발생한다.
상기와 같이 제어부재(23)가 제2힌지축(235)을 중심으로 회전하면 제어부재(23)의 측면(231)이 하측으로 내려가고 상면(232)이 돌아서면서 레이크(20)가 자중에 의해 하측으로 처지는 선회를 허용하게 된다. 이에 따라, 레이크(20)에 올려진 협잡물이 하측으로 투하될 수 있다. 이때, 복귀링크부재(21)의 상단은 레이크(20)의 후면에 출입할 수 있는 홈(도 7의 (b) 참조)이 형성되어 그 동작이 방해받지 않는다.
협잡물이 투하된 이후에는 레이크작동실린더(70)의 실린더로드가 수축하면 펼침링크부재(22)를 당기는 힘이 제거되고, 약간 올라가 있던 제3단붐대(13)는 내려오면서 제3단붐대(13)의 자중이 제어부재(23)의 제2힌지축(235)에 작용한다. 이에 따라, 복귀케이블(51)이 복귀링크부재(21)를 지탱하고 있고 제2힌지축(235)을 중심으로 한 회전모멘트가 발생함에 의해 제어부재(23)는 원위치로 복귀하며, 제어부재(23)의 측면(231)이 레이크(20)의 후면을 밀어내면서 레이크(20)가 꺾인 상태로 복귀하여 도 7의 (a)와 같이 다시 받치는 상태가 된다.
본 실시예의 구성에 따라 레이크(20)의 펼침동작이 케이블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레이크작동실린더(70)가 수로에 입수될 필요가 없고, 레이크작동실린더(70)에 연결되는 고압호스가 붐대를 따라 설치될 필요도 없으므로 전체적인 구조도 간결하고 경제적으로 설계될 수 있다.
한편, 도 8 내지 도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고 있다.
먼저, 도 8을 참조하면, 수로에 설치되고 다수의 슬릿(5s)이 상하로 형성된 스크린(5)을 긁어 스크린(5)에 걸린 협잡물을 걷어 올리기 위해 상승하는 레이크(20)는 선단이 스크린(5)과 접촉하면서 상승하는 바, 도 8의 점선과 같이 마찰력에 의해 레이크(20)가 하측으로 처진 상태로 강제로 끌려올라가게 된다.
즉, 레이크(20)의 선단에는 도 8 및 도 9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크린(5)의 다수의 슬릿(5s)에 각각 삽입되는 다수의 갈퀴(25)가 돌출형성되어 있고, 그 갈퀴(25)가 스크린(5)의 슬릿(5s)에 삽입된 상태에서 레이크(20)를 상승시켜 스크린(5)에 걸린 협잡물을 깨끗이 걷어 올리고 있다. 그러나, 다단의 붐대 중 최하단붐대의 하단에 결합된 레이크(20)가 스크린(5)에 접근하는 정도의 조절이 정밀하게 이루어지기 어려우므로 통상 레이크(20) 선단의 갈퀴(25)가 스크린(5)의 슬릿(5s)에 최대한 삽입되고, 레이크(20)의 선단이 스크린(5)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승하므로 마찰과 소음이 발생하며, 상승 시 레이크(20)가 스크린(5)과의 마찰에 의해 하측으로 처진 상태가 됨으로써 레이크(20)와 결합된 타 구성품까지 변형을 유발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그와 같은 문제해결을 위해서 도 9와 같이 상기 레이크(20)의 하측에 레이크(20)에 설치되어 스크린(5)과 구름접촉하는 간격형성용롤러(26)가 설치된다.
상기 간격형성용롤러(26)는 레이크(20)의 하면에 용접결합되는 지지브라켓(261)에 그 회전축이 결합되어 구름운동하도록 길이방향이 레이크(20)의 측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도 11과 같이, 간격형성용롤러(26)의 구름면의 폭(l)이 스크린(5)의 슬릿(5s)의 폭(c)보다 더 크게 형성됨으로써 스크린(5)의 슬릿(5s) 사이에 끼이거나 빠지는 경우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간격형성용롤러(26)의 구름면의 선단(26a)은 레이크(20)의 갈퀴(25)의 후단(25b)보다는 더 전방에 위치하고 갈퀴(25)의 선단(25a)보다는 후방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이는, 간격형성용롤러(26)의 구름면과 스크린(5)이 접촉하는 부분이 갈퀴(25)의 후단(25b)과 선단(25a) 사이에 위치하도록 한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간격형성용롤러(26)의 구름면의 선단(26a)의 위치에 의해, 간격형성용롤러(26)의 구름면이 스크린(5)과 접촉한 후에는 갈퀴(25)가 스크린(5)의 슬릿(5s)에 더 삽입될 수 없으므로 갈퀴(25)의 삽입되는 깊이가 제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레이크(20)가 스크린(5)과 소정의 간격(a)을 유지한 상태에서 상승할 수 있으므로 간격형성용롤러(26)와 스크린(5)이 서로 구름접촉할 뿐이고 레이크(20)와 스크린(5) 사이에 마찰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1을 참고하면, 간격형성용롤러(26)의 구름면이 스크린(5)과 접촉한 후에 갈퀴(25)의 삽입된 깊이는 “b”로 제한되고 있고, 레이크(20)의 선단과 스크린(5) 사이에는 “a”의 간격이 발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간격형성용롤러(26)는 도 9와 같이, 상기 레이크(20)의 양 측단에 각각 설치됨으로써 레이크(20)에 돌출형성된 갈퀴(25) 전체가 양측단에 설치된 간격형성용롤러(26)에 의해 스크린(5)의 슬릿(5s)에의 삽입량이 균일하게 되고, 스크린(5)과 레이크(20) 사이의 간격도 레이크(20) 전체에서 균일해질 수 있다.
결국, 간격형성용롤러(26)의 설치로 인해 레이크(20) 선단의 갈퀴(25)가 스크린(5)의 슬릿(5s)에 삽입되는 깊이를 제한하여 레이크(20)의 선단이 스크린(5)에 접촉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레이크(20)와 스크린(5)의 마찰에 의한 소음과 변형발생을 방지하고, 레이크(20)와 결합된 타 구성품의 변형 또는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2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12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최하단붐대의 하단에 설치된 제1힌지축(135)에 자유롭게 선회하도록 힌지결합된 레이크받침판(27)이 설치된다. 즉, 도 5와 같은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레이크(20)가 직접 제1힌지축(135)에 자유롭게 선회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고 있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레이크받침판(27)을 매개로 레이크(20)가 제1힌지축(135)에 결합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레이크받침판(27)은 레이크(20)의 후면에 배치되되 레이크받침판(27)의 하단이 상기 레이크(20)의 하부와 레이크힌지축(275)에 의해 결합되고 레이크힌지축(275)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레이크받침판(27)과 레이크(20)가 서로 이격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도 9 및 도 1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레이크받침판(27)의 후면에 일체화된 브라켓(27a)이 제1힌지축(135)에 자유롭게 선회하도록 힌지결합되고 레이크(20)와 레이크받침판(27)은 서로 분리된 부재이다.
다만, 레이크받침판(27)의 하단과 레이크(20)의 후측하부는 레이크힌지축(275)에 의해 도 12와 같이 서로 결합됨으로써 레이크힌지축(275)을 중심으로 레이크(20)가 회전하여 도 13과 같이 레이크받침판(27)과 레이크(20)가 벌어져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레이크(20)는 평상 운전시 스프링(282)의 강한 탄성력에 의해 레이크받침판(27)에 밀착된 상태에서 협잡물을 끌어올리는 작업을 하고, 스프링(282)의 탄성력을 이기는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만 레이크(20)와 레이크받침판(27)이 서로 이격되도록 레이크(20)가 레이크힌지축(275)을 중심으로 선회한다.
그러한 스프링(282)의 탄성력을 이기는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는, 도 1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크린(5)의 슬릿(5s)에 돌조각과 같은 이물질(D)이 끼인 경우로서 레이크(20)가 상승하는 과정 중 갈퀴(25)의 선단이 이물질(D)과 부딪히면 스크린(5)에 꽉 끼인 이물질(D)이 레이크(20)에 외력을 작용시키고 레이크(20)가 기울어지게 된다. 레이크(20)가 기울어지면서 다단의 붐대가 레이크(20)를 계속 상승시키면 갈퀴(25)의 선단이 이물질을 타고 넘으면서 레이크(20)가 이물질이 끼인 영역을 통과할 수 있다.
만일, 레이크(20)가 전술한 바와 같이 기울어질 수 없으면 스크린(5)에 꽉 끼인 이물질에 걸려 상승하지 못하거나 과도한 외력을 받아 제진기를 손상시킬 수 있다.
레이크(20)가 레이크받침대(27)에 대하여 기울어지는 전술한 작용을 구현하기 위하여, 후단이 레이크받침판(27)에 핀결합되고 레이크(20)에 형성된 로드삽입공(206)을 통해 레이크(20)의 내부로 돌출되어 있는 스프링연결로드(283)와, 상기 레이크(20)의 내부에서 스프링연결로드(283)에 끼워져 설치된 스프링(282)과, 상기 스프링연결로드(283)의 전단에서 스프링(282)의 일단을 받치는 스프링전단받침판(284)과, 상기 스프링연결로드(283) 상에서 이동가능하고 스프링(282)의 타단을 받침으로써 스프링(282)의 탄성력에 의해 밀려 레이크(20)를 레이크받침판(27) 측으로 밀어붙이는 스프링후단받침판(281)이 설치된다.
상기 스프링연결로드(283)는 레이크받침판(27)에 핀(273)에 의해 핀결합되되 하측으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핀결합됨으로써 레이크(20)가 기울어질 때, 도 13과 같이 스프링연결로드(283)는 핀(273)을 중심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상기 레이크(20)에는 스프링연결로드(283)가 레이크(20)의 내부로 삽입되어 돌출될 수 있도록 로드삽입공(20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282)은 스프링연결로드(283)를 중심으로 코일형상으로 끼워져 스프링연결로드(283)의 둘레에 위치하고 스프링(282)의 일단을 받치기 위해 스프링연결로드(283)의 전단에 스프링전단받침판(284)이 설치된다. 스프링전단받침판(284)은 스프링연결로드(283)의 전단에 나선결합된 너트(285)에 의해 그 위치가 고정되고 있다.
상기 스프링(282)의 타단은 스프링후단받침판(281)에 의해 받쳐지고 스프링후단받침판(281)은 스프링연결로드(283)에 끼워져 스프링연결로드(283) 상에서 이동가능하다. 또한, 스프링연결로드(283)는 로드삽입공(206)보다 그 직경이 큰 판상으로 형성되어 로드삽입공(206)으로 빠지지 않고 레이크(20)의 내측표면에 밀착되어 레이크(20)를 밀어낼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프링후단받침판(281)은 스프링(282)의 탄성력을 받아 밀려나면서 레이크(20)를 레이크받침판(27) 측으로 밀어붙일 수 있고, 탄성력을 이기는 외력을 받지 않으면 레이크(20)와 레이크받침판(27)이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연결로드(283), 스프링(282) 등은 레이크(20)의 내부에 배치됨으로써 충격 등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한편,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제어부재(23)가 레이크(20)의 후면(레이크받침대의 후면)에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레이크접촉롤러(29)가 설치된다. 이는 제어부재(23)가 자세를 전환하는 운동시 레이크(20)의 후면에 직접 접촉하여 금속 간에 마찰함으로써 소음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으므로 그것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레이크접촉롤러(29)는 제어부재(23)의 선단에 구름면이 돌출되어 레이크(20)의 후면과 접촉하도록 독립적으로 설치할 수 있으나, 레이크접촉롤러(29)는 복귀링크부재(21)가 상기 제어부재(23)에 힌지결합되는 축결합부(234)에 끼워져 레이크(20)의 후면(레이크받침대의 후면)에 구름접촉하도록 설치됨으로써 상기 제어부재(23)가 레이크접촉롤러(29)를 매개로 레이크(20)를 받칠 수 있다.
복귀링크부재(21)의 축결합부(234)에 레이크접촉롤러(29)를 끼워 설치하고 레이크접촉롤러(29)가 이탈하지 않도록 그 축결합부(234)의 단부에 레이크접촉롤러(29)의 이탈을 막는 머리크기를 가진 볼트(294)를 결합함으로써 구성을 간단히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상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 있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동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내에서 다른 변형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 붐대 2; 레이크
3; 레이크작동실린더 4; 이송컨베이어
5; 스크린 10a,10b; 암
10c; 연결대 11; 제1단붐대
12; 제2단붐대 13; 제3단붐대
20; 레이크 21; 복귀링크부재
22; 펼침링크부재 23; 제어부재
25; 갈퀴 26; 간격형성용롤러
26a; 구름면 선단 27; 레이크받침판
30; 프레임 35; 경사작동실린더
40; 메인작동실린더 42; 붐대작동케이블
43; 풀리 51; 복귀케이블
52; 펼침케이블 53; 제2단붐대케이블
51a,52a,53a; 일단 51b,52b,53b; 타단
61; 상단풀리 62; 프레임설치풀리
70; 레이크작동실린더 73; 로드풀리
133; 지지체 134; 힌지브라켓
135; 제1힌지축 136; 힌지브라켓
206; 로드삽입공 213; 연결로드
214; 체인코 231; 측면
232; 상면 233,234; 축결합부
235; 제2힌지축 261; 지지브라켓
275; 레이크힌지축 282; 스프링
283; 스프링연결로드 281; 스프링후단받침판
284; 스프링전단받침판 511, 521; 브라켓

Claims (7)

  1. 수로에 설치된 스크린(5)의 협잡물을 걷어 올리기 위해, 수로의 상측에 설치된 프레임(30)으로부터 하강하면서 신장되는 다단의 붐대를 구비하는 더블암 제진기에 있어서,
    최하단붐대의 하단에 고정된 제1힌지축(135)에 자유롭게 선회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스크린(5)의 다수의 슬릿(5s)에 각각 삽입되는 다수의 갈퀴(25)가 선단에 돌출된 레이크(20)와,
    상기 최하단붐대의 하단에 고정된 제2힌지축(235)에 힌지결합됨으로써 상기 레이크(20)의 꺾인 상태가 유지되도록 받치는 작업제어상태와 상기 레이크(20)의 펼침을 허용하는 펼침제어상태 사이에서 자세가 전환되도록 회전하는 제어부재(23)와,
    상기 제2힌지축(235)의 후방에서 상기 제어부재(23)를 상측으로 당기는 힘을 가하여 상기 제어부재(23)를 상기 펼침제어상태로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제어부재(23)에 힌지결합되는 펼침링크부재(22)와,
    상기 제2힌지축(235)의 전방에서 상기 제어부재(23)에 힌지결합된 복귀링크부재(21)와,
    상기 프레임(30)에 고정되어 실린더로드가 신축하는 레이크작동실린더(70)와,
    상기 펼침링크부재(22)에 일단(52a)이 결합되고 상기 실린더로드의 신장에 의해 상기 펼침링크부재(22)를 상측으로 당기도록 연결된 펼침케이블(52)과,
    상기 복귀링크부재(21)에 일단(51a)이 결합되고 최상단붐대에 타단이 고정된 복귀케이블(51)을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재(23)는 판상체이고,
    상기 작업제어상태에서 상기 판상체의 측면(231)이 상기 레이크(20)을 향하도록 상기 제어부재(23)가 상기 레이크(20)의 후면을 받치고 있으며,
    상기 제1힌지축(135)은 상기 판상체의 측면(231)이 상기 레이크(20)의 후면을 받치는 위치보다 더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레이크(20)의 하측에는 상기 레이크(20)에 설치되어 상기 스크린(5)과 구름접촉하는 것으로서 구름면의 폭이 상기 스크린(5)의 슬릿(5s)의 폭보다 더 크게 형성된 간격형성용롤러(26)가 설치되고,
    상기 간격형성용롤러(26)의 구름면의 선단이, 상기 갈퀴(25)의 후단보다는 더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갈퀴(25)의 선단보다는 후방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스크린(5)과 구름접촉함으로써 상기 갈퀴(25)가 상기 스크린(5)의 슬릿(5s)에 삽입되는 깊이를 제한하는 것이며,
    상기 레이크(20)는 상기 제1힌지축(135)에 힌지결합된 레이크받침판(27)을 매개로 상기 제1힌지축(135)에 결합된 것이고,
    상기 레이크받침판(27)은 상기 레이크(20)의 후면에서 하단이 상기 레이크(20)의 후측의 하부와 레이크힌지축(275)에 의해 서로 결합되고 상기 레이크힌지축(275)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레이크받침판(27)과 상기 레이크(20)가 서로 이격될 수 있도록 설치되며;
    후단이 상기 레이크받침판(27)에 핀결합되되 하측으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핀결합되고 상기 레이크(20)에 형성된 로드삽입공(206)을 통해 상기 레이크(20)의 내부로 돌출되어 있는 스프링연결로드(283)와,
    상기 레이크(20)의 내부에서 상기 스프링연결로드(283)에 끼워져 설치된 스프링(282)과,
    상기 스프링연결로드(283)의 전단에서 상기 스프링(282)의 일단을 받치는 스프링전단받침판(284)과,
    상기 스프링연결로드(283) 상에서 이동가능하고 상기 스프링(282)의 타단을 받침으로써 상기 스프링(282)의 탄성력에 의해 밀려 상기 레이크(20)를 상기 레이크받침판(27) 측으로 밀어붙이는 스프링후단받침판(281)이 더 설치됨으로써,
    상기 스프링(282)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레이크(20)가 상기 레이크받침판(27)에 밀착되고 외력에 의해 상기 레이크힌지축(275)을 중심으로 상기 레이크(20)가 회전하여 상기 레이크받침판(27)과 상기 레이크(20)가 서로 이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암 제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단의 붐대는 제3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최상단붐대는 제1단붐대(11)이고 상기 최하단붐대는 제3단붐대(13)이며,
    상기 제1단붐대(11)의 상단에 설치된 상단풀리(61)와,
    상기 프레임(30)에 설치된 프레임설치풀리(62)가 더 포함되고,
    상기 펼침케이블(52)은 그 일단(52a)에서부터 상향연장되어 상기 상단풀리(61)에 걸려 안내되고 계속 하향연장되어 상기 실린더로드의 로드풀리(73)에 걸린 상태이며 계속 상향연장되어 상기 제1단붐대(11)의 상부면에 타단(52b)이 고정된 것이며,
    상기 복귀케이블(51)은 그 일단(51a)에서부터 상향연장되어 상기 상단풀리(61)에 걸려 안내되고 계속 하향연장되어 상기 프레임설치풀리(62)에 걸려 안내되며 계속 상향연장되어 상기 제1단붐대(11)의 상부에 타단(51b)이 고정된 것이고,
    제2단붐대(12)의 상단에 일단(53a)이 고정되고, 그 일단(53a)에서부터 상향연장되어 상기 상단풀리(61)에 걸려 안내되며, 계속 하향연장되어 상기 프레임(30)에 타단(53b)이 고정된 제2단붐대케이블(53)을 포함하고,
    상기 레이크작동실린더(70)는 상기 실린더로드를 하측방향으로 신장시키는 것이며,
    상기 간격형성용롤러(26)는 상기 레이크(20)의 양 측단에 각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암 제진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링크부재(21)가 상기 제어부재(23)에 힌지결합되는 축결합부(234)에 끼워져 상기 레이크(20)의 후면에 구름접촉하는 레이크접촉롤러(29)가 설치됨으로써 상기 제어부재(23)가 상기 레이크접촉롤러(29)를 매개로 상기 레이크(20)를 받치고,
    상기 축결합부(234)의 단부에는 레이크접촉롤러(29)의 이탈을 막는 머리크기를 가진 볼트(294)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암 제진기
  4. 수로에 설치되고 다수의 슬릿(5s)이 상하로 형성된 스크린(5)과,
    상기 스크린(5)에 걸린 협잡물을 걷어 올리기 위해, 상기 수로의 상측에 설치된 프레임(30)으로부터 하강하면서 신장되고 상승하면서 수축되는 다단의 붐대를 구비하는 제진기에 있어서,
    최하단붐대의 하단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스크린(5)의 다수의 슬릿(5s)에 각각 삽입되는 다수의 갈퀴(25)가 선단에 돌출되어 있는 레이크(20)가 설치되고,
    상기 레이크(20)의 하측에는,
    상기 레이크(20)에 설치되어 상기 스크린(5)과 구름접촉하는 것으로서 구름면의 폭이 상기 스크린(5)의 슬릿(5s)의 폭보다 더 크게 형성된 간격형성용롤러(26)가 설치되며,
    상기 간격형성용롤러(26)는 상기 레이크(20)의 양 측단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간격형성용롤러(26)의 구름면의 선단이,
    상기 갈퀴(25)의 후단(25b)보다는 더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갈퀴(25)의 선단(25a)보다는 후방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스크린(5)과 구름접촉함으로써, 상기 갈퀴(25)가 상기 스크린(5)이 슬릿(5s)에 삽입되는 깊이를 제한하는 것이며,
    상기 최하단붐대의 하단에 설치된 제1힌지축(135)에 자유롭게 선회하도록 힌지결합된 레이크받침판(27)이 설치되고,
    상기 레이크받침판(27)은 상기 레이크(20)의 후면에 배치되되 상기 레이크받침판(27)의 하단이 상기 레이크(20)의 후측의 하부와 레이크힌지축(275)에 의해 서로 결합되고 상기 레이크힌지축(275)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레이크받침판(27)과 상기 레이크(20)가 서로 이격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기 최하단붐대의 하단에 고정된 제2힌지축(235)에 힌지결합됨으로써 상기 레이크(20)의 꺾인 상태가 유지되도록 받치는 작업제어상태와 상기 레이크(20)의 펼침을 허용하는 펼침제어상태 사이에서 자세를 전환하도록 회전하는 제어부재(23)를 포함하고;
    상기 레이크받침판(27)에 후단이 핀결합되되 하측으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핀결합되고 상기 레이크(20)에 형성된 로드삽입공(206)을 통해 상기 레이크(20)의 내부로 돌출되어 있는 스프링연결로드(283)와,
    상기 레이크(20)의 내부에서 상기 스프링연결로드(283)에 끼워져 설치된 스프링(282)과,
    상기 스프링연결로드(283)의 전단에서 상기 스프링(282)의 일단을 받치는 스프링전단받침판(284)과,
    상기 스프링연결로드(283) 상에서 이동가능하고 상기 스프링(282)의 타단을 받침으로써 상기 스프링(282)의 탄성력에 의해 밀려 상기 레이크(20)를 상기 레이크받침판(27) 측으로 밀어붙이는 스프링후단받침판(281)이 더 설치됨으로써,
    상기 스프링(282)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레이크(20)가 상기 레이크받침판(27)에 밀착되고 외력에 의해 상기 레이크힌지축(275)을 중심으로 상기 레이크(20)가 회전하여 상기 레이크받침판(27)과 상기 레이크(20)가 서로 이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기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40011205A 2014-01-29 2014-01-29 레이크 펼침이 가능한 더블암 제진기 KR1013801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1205A KR101380160B1 (ko) 2014-01-29 2014-01-29 레이크 펼침이 가능한 더블암 제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1205A KR101380160B1 (ko) 2014-01-29 2014-01-29 레이크 펼침이 가능한 더블암 제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0160B1 true KR101380160B1 (ko) 2014-04-01

Family

ID=50656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1205A KR101380160B1 (ko) 2014-01-29 2014-01-29 레이크 펼침이 가능한 더블암 제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0160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98049A (zh) * 2016-09-23 2017-08-01 广州萨哲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输电管道输送连接装置
CN106994581A (zh) * 2016-09-23 2017-08-01 广州萨哲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输电管道输送连接装置
CN106994622A (zh) * 2016-09-23 2017-08-01 广州萨哲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金属切削用的冷却液装置
CN106994623A (zh) * 2016-09-23 2017-08-01 广州萨哲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金属加工用的冷却液装置
CN106996480A (zh) * 2016-09-23 2017-08-01 广州萨哲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改进输电管道输送连接装置
KR102161407B1 (ko) * 2020-04-27 2020-09-29 한봉희 스크린협잡물 제거장치
KR102419733B1 (ko) * 2021-11-24 2022-07-11 주식회사 신흥기공 취수구 이물질 유입방지용 2단 덤프 기능을 탑재한 트래쉬 랙 및 그를 이용한 이물질 제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13415A (ja) * 1983-05-16 1984-12-03 Marusei Jukogyo Kk レ−キ往復駆動型除塵機のレ−キ反転装置
JP2003227122A (ja) * 2002-02-04 2003-08-15 Iimuru Kogyo Kk 単一列ローラチェーンによる多段アーム伸縮駆動式除塵機
JP2006316561A (ja) 2005-05-16 2006-11-24 Ebara Corp 除塵装置
KR101158731B1 (ko) * 2012-01-17 2012-06-22 주식회사 월드이노텍 레이크 펼침이 가능한 더블암 제진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13415A (ja) * 1983-05-16 1984-12-03 Marusei Jukogyo Kk レ−キ往復駆動型除塵機のレ−キ反転装置
JP2003227122A (ja) * 2002-02-04 2003-08-15 Iimuru Kogyo Kk 単一列ローラチェーンによる多段アーム伸縮駆動式除塵機
JP2006316561A (ja) 2005-05-16 2006-11-24 Ebara Corp 除塵装置
KR101158731B1 (ko) * 2012-01-17 2012-06-22 주식회사 월드이노텍 레이크 펼침이 가능한 더블암 제진기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98049A (zh) * 2016-09-23 2017-08-01 广州萨哲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输电管道输送连接装置
CN106994581A (zh) * 2016-09-23 2017-08-01 广州萨哲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输电管道输送连接装置
CN106994622A (zh) * 2016-09-23 2017-08-01 广州萨哲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金属切削用的冷却液装置
CN106994623A (zh) * 2016-09-23 2017-08-01 广州萨哲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金属加工用的冷却液装置
CN106996480A (zh) * 2016-09-23 2017-08-01 广州萨哲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改进输电管道输送连接装置
KR102161407B1 (ko) * 2020-04-27 2020-09-29 한봉희 스크린협잡물 제거장치
WO2021221251A1 (ko) * 2020-04-27 2021-11-04 한봉희 스크린협잡물 제거장치
KR102419733B1 (ko) * 2021-11-24 2022-07-11 주식회사 신흥기공 취수구 이물질 유입방지용 2단 덤프 기능을 탑재한 트래쉬 랙 및 그를 이용한 이물질 제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0160B1 (ko) 레이크 펼침이 가능한 더블암 제진기
JP5434233B2 (ja) 根菜類収穫機
KR101254542B1 (ko) 수로 개폐식 로터리 제진기
KR101431519B1 (ko) 스크린 개폐식 제진기
US11486361B2 (en) Closed strap collar for securing cargo by means of friction, device for lifting cargo and lifting method
KR101158731B1 (ko) 레이크 펼침이 가능한 더블암 제진기
KR101594101B1 (ko) 인/아웃 자동 제진기
JP4810291B2 (ja) クレーン
CN107333528A (zh) 一种果蔬机器人采摘运输管道
KR101140654B1 (ko) 3암 제진기
KR100709343B1 (ko) 강제 하강식 제진기
JP2019019529A (ja) 自在爪ユニット、レーキおよび除塵機
KR100615616B1 (ko) 집게형 스크린 제진기
JP5222705B2 (ja) 除塵機
JP2008013272A (ja) フォークリフトのフォーク
KR101564882B1 (ko) 컨베이어 제진기
KR101118281B1 (ko) 협잡물 제거용 트리플 암 제진장치
JP6881921B2 (ja) 除塵機
KR200239534Y1 (ko) 자중식 제진기
KR102313050B1 (ko) 프런트스크린이 접혀지는 제진기
KR200320048Y1 (ko) 자중식 제진기
JP2007191938A (ja) 除塵装置
CN218595379U (zh) 煤矿巷道用除尘设备及输送装置
JP2018076730A (ja) バケット装置および管体内の障害物の除去方法
KR100270178B1 (ko) 오물수거판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제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50205

Effective date: 20160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