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4882B1 - 컨베이어 제진기 - Google Patents

컨베이어 제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4882B1
KR101564882B1 KR1020150077814A KR20150077814A KR101564882B1 KR 101564882 B1 KR101564882 B1 KR 101564882B1 KR 1020150077814 A KR1020150077814 A KR 1020150077814A KR 20150077814 A KR20150077814 A KR 20150077814A KR 101564882 B1 KR101564882 B1 KR 1015648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bar
screen bar
tip
t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7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남훈
Original Assignee
대구환경공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구환경공단 filed Critical 대구환경공단
Priority to KR10201500778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48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4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48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E02B5/085Arresting devices for waterborne materials, e.g. gra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컨베이에 제진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컨베이어 제진기는, 다수 개의 스크린바를 포함하고, 스크린바의 일단은 고정되고 타단은 자유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스크린바의 타단에는 절곡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절곡부에는 엉킴방지팁이 구비되어 있다.

Description

컨베이어 제진기{CONVEYER DUST REMOVER}
본 발명은 컨베이어 제진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제진기에 사용되는 다수 개의 스크린바의 엉킴을 방지할 수 있는 컨베이어 제진기에 관한 것이다.
컨베이어 제진기는 일반적으로 수면보다 낮은 저지대의 배수 펌프장, 상수도 취수장, 관계용 수로, 하수 처리장 및 댐 등의 수로에 설치되어 수류와 함께 부유하는 진개물(생활쓰레기 등을 포함함)을 스크린으로 거른 후 그 진개물을 수거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컨베이어 제진기는 스크린을 형성하는 다수 개의 스크린바와, 스크린 사이에서 돌출되어 진개물을 이동시키는 스크래퍼를 포함한다. 스크린바의 하단부는 제진기의 프레임에 위치 고정되어 있음에 반해, 상단부는 진개물 및 스크래퍼가 이탈되어야 하기 때문에 고정되지 않는 설치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이 스크린바의 상단부는 자유단에 해당하기 때문에, 제진기 운전 중에 발생하는 충격 등에 의해서 도 1과 같이 다수 개의 스크린바가 엉키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스크린바가 엉키면 진개물을 배출할 수 없기 때문에 제진기를 작동 정지시킨 후 스크린바의 엉킴 상태를 해제해야 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99266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스크린바의 엉킴을 방지할 수 있는 컨베이어 제진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컨베이어 제진기는, 다수 개의 스크린바를 포함하고, 스크린바의 일단은 고정되고 타단은 자유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스크린바의 타단에는 절곡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절곡부에는 엉킴방지팁이 구비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제진기는 다음과 같은 실시예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엉킴방지팁은 상기 스크린바와 동일하거나 또는 작은 두께를 갖고 상기 절곡부에서 하향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엉킴방지팁은 곡선 또는 직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다수 개의 스크린바의 절곡부는 고정바에 의해서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자유단인 스크린바의 상단부가 엉키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컨베이어 제진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컨베이어 제진기에서 스크린바가 엉킨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제진기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예시된 제진기에서 체인 및 스크래퍼를 예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예시된 제진기에 사용된 스크린바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바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컨베이어 제진기(100)를 예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예시된 제진기(100)에서 체인(114) 및 스크래퍼(116)를 예시하는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2에 예시된 제진기(100)에 사용된 스크린바(120)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100)는 벽면 등에 설치되는 프레임(110)과, 프레임(110) 사이에 설치되는 다수 개의 스크린바(120)와, 스크린바(120) 사이에 위치하면서 진개물(도시하지 않음)을 이동시키는 스크래퍼(116)와, 스크래퍼(116)를 구동시키는 체인(114), 스프라켓(115) 및 구동모터(112)를 포함한다.
스크린바(120)는 다수 개가 도 2와 같이 일렬로 배치되어 제진기(100)에서 스크린을 형성한다. 스크린은 수류와 함께 떠내려 오는 진개물을 필터링 하는 역할을 한다. 다수 개의 스크린바(120)는 3 및 도 4와 같이 모두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을 갖는다.
스크래퍼(116)는 스크린바(120) 사이에서 상향 돌출되어 스크린바(120) 사이에서 걸러진 진개물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다수 개의 스크래퍼(116)는 연결바(118)에 의해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연결바(118)는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체인(114)에 연결되어 스크린바(12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한다.
프레임(110)의 측면에는 구동모터(112)가 구비되어 있고, 구동모터(112)의 회전력은 스프라켓(115)에 전달되어 체인(114)이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도 3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스크린바(120)는 단면적에 비해 길이가 크게 형성되는데, 예를 들면 스크린바(120)는 폭(a) 10mm, 두께(도 4에서 지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 5mm, 길이(l) 5000mm로 형성될 수 있다. 스크린바(120)의 하단부(122)는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동하지 않지만, 그 상단부는 고정되지 않은 자유단에 해당한다.
스크린바(120)의 상단부를 자유단으로 구성하지 않고, 하나의 바(도시하지 않음)에 고정할 경우, 스크래퍼(116) 및 연결바(118)가 스크린바(120)의 상단부를 통과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스크린바(120)의 상단부는 하단부와는 달리 고정되지 않고 자유단으로 구성해야 하는데, 자유단의 경우 외부의 충격 등에 의해서 도 1과 같이 스크린바(120)가 상호 엉키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자유단인 스크린바(120) 상단부의 엉킴을 방지하기 위해서, 스크린바(120)의 상단부에 해당하는 절곡부(124)에 엉킴방지팁(126)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엉킴방지팁(126)은 곡선 형상으로서 스크린바(120)와 동일하거나 또는 작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엉킴방지팁(126)은 스크린바(120)의 상단부에 해당하는 절곡부(124)에서 하향 돌출된다. 엉킴방지팁(126)에 의해서 제진기(100)의 운전 중에 발생하는 외부의 충격에 의해서도 스크린바(120)의 상호 엉킴이 방지된다.
스크린바(120) 및 엉킴방지팁(126)은 하나의 재질에 의해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엉킴방지팁(126)은 종래의 스크린바(도1 참조)의 상단부에 용접 등에 의해서 별도로 부착될 수 있다.
스크린바(120) 및 엉킴방지팁(126)은 스테인리스 스틸과 같은 금속 또는 플라스틱 수지 등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그 재질에 의해서 한정되지 않는다.
엉킴방지팁(126)은 도 5 및 도 6과 같이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은 엉킴방지팁(126)의 형상에 의해서 한정되지 않는다.
절곡부(124)의 단부는 고정바(128)에 결합될 수 있다. 고정바(128)는 다수 개의 절곡부(124)의 단부를 수평 방향으로 연결하는 것으로, 제진기(100)의 다른 부분에는 연결되지 않는다. 스크래퍼(116)가 고정바(128)에 의한 방해를 받지 않고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고정바(128)는 절곡부(124)의 단부에 설치된다. 고정바(128)를 절곡부(124)의 단부에 설치함으로써, 스크린바(120)가 상호 엉키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바(150, 160)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스크린바(150)의 절곡된 상단부에는 엉킴방지팁(152)이 구비되어 있다. 엉킴방지팁(152)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바(120)의 엉킴방지팁(126)과 대비할 때 대칭적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6을 참고하면, 스크린바(160)의 절곡된 상단부에는 엉킴방지팁(162)이 구비되어 있다. 엉킴방지팁(162)은 반원 형상으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제진기
110: 프레임
114: 체인
116: 스크래퍼
118: 연결바
120, 150, 160: 스크린바
126, 152, 162: 엉킴방지팁

Claims (5)

  1. 다수 개의 스크린바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린바의 일단은 고정되고 타단은 자유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크린바의 타단에는 절곡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절곡부에는 엉킴방지팁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엉킴방지팁은 상기 스크린바와 동일하거나 또는 작은 두께 및 일정한 면적을 갖고, 상기 절곡부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하는 방향으로 하향 돌출되어 상기 절곡부의 길이 범위 이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제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엉킴방지팁은 곡선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제진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엉킴방지팁은 직선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제진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다수 개의 상기 스크린바의 상기 절곡부는 고정바에 의해서 상호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제진기.
  5. 삭제
KR1020150077814A 2015-06-02 2015-06-02 컨베이어 제진기 KR1015648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7814A KR101564882B1 (ko) 2015-06-02 2015-06-02 컨베이어 제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7814A KR101564882B1 (ko) 2015-06-02 2015-06-02 컨베이어 제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4882B1 true KR101564882B1 (ko) 2015-10-30

Family

ID=54431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7814A KR101564882B1 (ko) 2015-06-02 2015-06-02 컨베이어 제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48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2705B1 (ko) 2018-09-18 2019-04-25 최기억 스크린 회전형 제진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2705B1 (ko) 2018-09-18 2019-04-25 최기억 스크린 회전형 제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099967A (zh) 工程机械
KR101564882B1 (ko) 컨베이어 제진기
KR101380160B1 (ko) 레이크 펼침이 가능한 더블암 제진기
KR101259093B1 (ko) 제진기
JP2012001989A (ja) 雨水ます用フィルター
KR101735693B1 (ko) 목 메임 방지용 로터리식 제진기
KR101236773B1 (ko) 로터리 제진기
EP1688530B1 (en) Clothes washing machine with improved filter assembly
JPWO2013171860A1 (ja) リテーナ
KR200381939Y1 (ko) 협잡물 제거용 로타리 자동스크린
CN105170563A (zh) 一种环震式超声波清洗槽
WO2016028205A1 (en) Filtering device comprising a conveyor belt with perforated segments
KR101962440B1 (ko) 개폐 스크린이 구비된 제진기
JP5520447B2 (ja) ヘアキャッチャー及びこのヘアキャッチャーを備えた浴室ユニット
KR101513599B1 (ko) 로터리 제진기의 이물질 차단장치
JP6765625B2 (ja) マンホール夾雑物除去装置
JP5551046B2 (ja) 作業用ゴンドラ
JP5390459B2 (ja) 床用目地装置
KR101953461B1 (ko) 바둑판형 제진기
JP3020108U (ja) 排水ドレン用防塵網
JP4944492B2 (ja) 雨どい用ネット部材および雨どい構造体
JP5954680B2 (ja) 除塵機
CN205085082U (zh) 一种环震式超声波清洗槽
EP3168358A1 (en) Washing machine with adjustable supports
RU168874U1 (ru) Пластина фильтровального полотна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механической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