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7930B1 - 친환경 조리기구 - Google Patents

친환경 조리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7930B1
KR101377930B1 KR20130075476A KR20130075476A KR101377930B1 KR 101377930 B1 KR101377930 B1 KR 101377930B1 KR 20130075476 A KR20130075476 A KR 20130075476A KR 20130075476 A KR20130075476 A KR 20130075476A KR 101377930 B1 KR101377930 B1 KR 1013779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over
space
inner plate
heat condu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754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도
Original Assignee
박종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도 filed Critical 박종도
Priority to KR201300754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79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79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7930B1/ko
Priority to JP2014095311A priority patent/JP6017493B2/ja
Priority to EP20140167690 priority patent/EP2818083A3/en
Priority to CN201410213979.0A priority patent/CN104248328B/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2Cooking-vessels with enlarged heating surfaces
    • A47J27/024Cooking-vessels with enlarged heating surfaces with liquid-heating tubes extending outside the vesse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5/00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expansion or contraction of a material
    • G01K5/48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expansion or contraction of a material the material being a solid
    • G01K5/56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expansion or contraction of a material the material being a solid constrained so that expansion or contraction causes a deformation of the solid
    • G01K5/62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expansion or contraction of a material the material being a solid constrained so that expansion or contraction causes a deformation of the solid the solid body being formed of compounded strips or plates, e.g. bimetallic strip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202/00Devices having temperature indic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 구조의 벽 구조물을 가지는 조리 용기에 관한 것이며, 내판 및 외판을 포함한다. 실리콘 링은 내판 및 외판의 상부 및 하부 플랜지 사이에 배치된다. 조리 용기의 덮개의 손잡이에는 조리 용기 내부로 연장된 하부 부분의 온도를 측정하는 수단이 제공된다. 열 전도 플레이트는 내판의 하부 표면에 부착되며, 복수의 기립된 융기는 외판의 하부 표면 상에 형성된다. 추가적으로, 조리 용기는 덮개 및 덮개의 내부 표면 내에 형성된 복수의 도드라진 용기를 더 포함한다. 조리 용기는 내판 및 외판 사이의 내부 공간 내의 압력은 완화하는 압력 완화 장치를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친환경 조리기구 {ECO GREEN COOKWARE}
본 발명은 조리기구에 관한 것이며, 보다 특별하게는 이중 구조의 벽 구조물(double-layered wall structure)을 가지며 이 이중으로 된 벽 구조 내의 공간에 열 전달 매체를 포함하며, 이로 인해 폭발의 위험을 줄이고 에너지를 절감하며 조리기구의 열 보존 시간을 증가시키는 친환경 조리기구에 관한 것이다.
음식을 준비하는 데 사용되며 알려진 다양한 종류의 조리 용기가 있다. 냄비 및 취반기(rice cooker)와 같은 조리 용기는 일반적으로 단일층으로 된 스테인리스 스틸로 만들어진다. 이 단일층으로 된 스테인리스 스틸은 빠른 열전달율의 이점을 가지나, 또한 음식이 조리 용기에 달라붙고, 빠르며 과도한 열전달률에 의한 조리는 조리 용기의 하부에서 음식이 타고, 비타민, 영양소 및 천연의 향의 손실이라는 단점도 가지고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조리 용기는, 음식이 타는 것을 막고 영양소 및 천연의 향을 보존하고자 제안되고 도입된 이중으로 된 구조를 가진다.
일본 실용신안출원공개 No. 소56-169825 는 내벽 및 외벽을 포함하며, 내벽과 외벽 사이에 폐쇄된 공간이 제공되며, 이 공간 내로 작동 유체가 주입되며, 공간 내로 열이 가해짐으로써 작동 유체가 증발하여 이동하고 냉각에 의해 응축하는 가열 용기를 개시한다. 일본 실용신안출원공개 No. 소63-48526 은 진공 단열층이 용기 내에 및 측벽 부분 내에 형성되며, 열이 하부 부분으로부터 전달되며, 용기는 측벽 부분 및 하부 부분을 포함하는 단열된 조리 장치를 개시한다.
그러나, 이러한 조리 용기는 열효율이 낮으며 내벽과 외벽 사이의 물질의 높은 압력으로 인해 폭발의 위험이 있다.
일반적으로, 내벽과 외벽은 함께 말아서 말린 이음새(rolled joint)를 형성한다. 이 말린 이음새는 약해져서 더 이상 효과적인 밀봉이 아닐 수 있으며, 액체가 내벽과 외벽 사이의 공간으로 들어갈 수 있다. 이 이중으로 된 조리 용기가 조리 및 세척을 위해 반복적으로 사용된다면, 액체는 내벽과 외벽 사이의 공간 내에 축적될 수 있다. 이 공간에 포획된 액체는 내벽과 외벽의 부식과 조리 용기의 변형을 야기할 수 있다. 부식되거나 변형된 조리 용기가 가열된다면, 이 액체는 과도한 증기압을 생성하여 조리 용기는 폭발할 것이다. 폭발의 위험을 해결하기 위해, 압력 조절 밸브가 도입되었으나, 복잡한 디자인 및 압력 조절 밸브의 제조 과정은 제조 비용의 상승을 가져왔다.
게다가, 종래의 조리 용기는, 수프(soup)를 조리할 때 용기 내의 수프가 새어 나와 비타민 및 다른 영양소가 파괴되거나 손실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에 따라,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좀 더 안전하고 효율적인 이중 구조의 벽 구조물을 가지는 친환경 조리기구에 대한 필요가, 일상 생활에서 광범위한 수요를 고려하여 오랫동안 존재해왔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오랫동안 느껴온 필요를 충족시키는 것과 직결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좀 더 안전하고 효율적인 이중 구조의 벽 구조물을 가지는 친환경 조리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중 구조의 벽 구조물 가지는 조리 용기의 일 실시예는, 개구부를 가지는 내판으로서, 상기 내판의 하부 표면은 위로 연장되어, 내부 림과 외부 림을 형성하는 상부 플랜지의 부분에서 종료되며, 상기 내부 림은 상기 외부 림의 반지름 보다 작은 반지름을 가지는 것인 내판, 위로 연장되어 하부 플랜지에서 종료되는 하부 표면을 가지는 외판으로서, 상기 하부 플랜지는 상기 상부 플랜지의 길이 보다 작은 길이를 가지는 것인 외판, 상기 내판과 외판 사이의 구역 내에 형성되며, 적어도 부분적으로 열 전도 매체를 포함하는 내부 공간 및 상기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 사이에 배치된 실리콘 링을 포함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중 구조의 벽 구조물 가지는 조리 용기의 다른 실시예는, 개구부를 가지는 내판, 외판으로서, 벽 공간과 하부 공간이 상기 내판과 외판 상에 제공되고, 상기 벽 공간은 상기 내판의 높이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벽 공간과 하부 공간은 부분적으로 열 전도 매체로 채워져 있는 것인 외판, 상기 내판의 하부 표면에 부착되어 접촉하고 있는 제 1 열 전도 플레이트 및 상기 외판의 하부 표면에 부착되어 접촉하고 있는 제 2 열 전도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외판의 하부 표면은 위로 세워진 융기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2 열 전도 플레이트는 상기 융기부의 형태에 부합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중 구조의 벽 구조물 가지는 조리 용기의 또 다른 실시예는, 개구부를 가지는 내판, 외판으로서, 벽 공간과 하부 공간이 상기 내판과 외판 상에 제공되고, 상기 벽 공간은 상기 내판의 높이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벽 공간과 하부 공간은 부분적으로 열 전도 매체로 채워져 있는 것인 외판, 상기 내판의 하부 표면에 부착되어 접촉하고 있는 제 1 열 전도 플레이트 및 상기 외판의 하부 표면에 부착되어 접촉하고 있는 제 2 열 전도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복수의 융기부가 상기 외판의 하부 표면 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 2 열 전도 플레이트는 상기 복수의 융기부의 형태에 부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융기부는 위로 기립하여 상기 외판의 하부 표면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외판의 하부 표면의 테두리로 연장되고, 상기 복수의 융기부는 길이 방향으로 곡률을 가지며, 동일한 방향으로 굽어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중 구조의 벽 구조물 가지는 조리 용기의 또 다른 실시예는, 개구부를 가지는 내판, 외판으로서, 벽 공간과 하부 공간이 상기 내판과 외판 상에 제공되고, 상기 벽 공간은 상기 내판의 높이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벽 공간과 하부 공간은 부분적으로 열 전도 매체로 채워져 있는 것인 외판, 상기 외판의 하부 표면에 부착되어 접촉된 열 전도 플레이트 및 상기 내판에 의해 정의된 상기 개구부를 덮기 위해 전체적으로 상기 내판에 꼭 맞는 덮개를 포함하며, 복수의 돌기부가 상기 덮개의 하부 표면 상에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여러 특징 및 측면은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함으로 인해서 좀 더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좀 더 안전하고 효율적인 이중 구조의 벽 구조물을 가지는 친환경 조리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 용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 3의 조리 용기의 A-A'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 용기의 덮개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 용기의 덮개의 하부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 용기의 덮개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도 7의 조리 용기의 덮개의 다른 실시예의 하부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온도 측정 수단을 구비한 조리 용기의 덮개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 용기의 압력 완화 장치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 용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 용기의 말린 이음새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온도 측정 수단의 표시부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 및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 용기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조리 용기(100)는 용기(10), 내부 뚜껑(94) 및 덮개(90)를 포함한다. 내부 뚜껑(94)은 실질적으로 내판(20)에 의해 정의되는 개구부(12)를 덮으며, 두 개의 증기 구멍(95)이 내부 뚜껑(94) 상에 형성된다. 용기(10)는 이중 구조의 벽 구조물(a double-layered wall structure)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개구부(12)를 가지는 내판(20) 및 외판(30)을 포함하며, 내판(20)과 외판(30) 사이에 벽 공간(40) 및 하부 공간(42)이 제공되며, 벽 공간(40)은 실질적으로 내판(20)의 높이를 따라 형성되어 있으며, 벽 공간(40)과 하부 공간(42)은 부분적으로 열 전도 매체(50)로 채워져 있다. 벽 공간(40)과 하부 공간(42)은 일괄하여 내부 공간으로 불린다.
용기(10)의 이중 구조의 벽 구조물 및 강화 유리로 만들어졌으며 두 개의 증기 구멍을 구비한 내부 뚜껑이 존재하는 덮개(90)로 인해서, 내부 뚜껑(94)과 덮개(90)가 열이 상방으로 분산되는 것을 차단하여 조리 용기(100) 내부의 열을 보존하기 쉽다. 내부 뚜껑(94)과 덮개(90) 사이의 공간 내에 열이 가두어져 장기간 온도를 유지한다. 게다가, 일단 열 전도 매체(50)가 가열되면, 이 열 전도 매체(50)는 장기간에 걸쳐 서서히 열을 음식으로 전달한다.
따라서, 열원의 불길이 바로 내판(20)으로 전달되지 않으며 이 열이 어떠한 특정 지역에 집중되지 않으므로, 본 발명은 음식이 타거나 부분적으로 가열되거나 조리되는 것을 막는다. 추가적으로, 조리 용기(100)는 비타민, 영양소 및 천연의 향을 보존하면서, 좀 더 만족스러우며 일정한 질감을 조리 음식에 부가한다. 더욱이, 실리콘 오일 뿐만 아니라 벽 공간(40)에 저장된 공기(52)가 절연체로서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음식은 좀 더 오랫동안 뜨겁게 유지되며 조리 기구의 열 효율이 개선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 용기의 일 실시예의 부분 단면도이다. 조리 용기(100)는 용기(10), 내부 뚜껑(94) 및 덮개(90)를 포함한다. 용기(10)는 이중 구조의 벽 구조물을 구비하도록 제조되며, 내판(20), 외판(30), 내판(20)의 하부 표면(24)과 접촉하며 부착된 제 1 열 전도 플레이트(60) 및 외판(30)의 하부 표면(34)과 접촉하며 부착된 제 2 열 전도 플레이트(62)를 포함하며, 외판(30)의 하부 표면(34)은 위를 향하는 융기부(70)를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제 2 열 전도 플레이트(62)는 실질적으로 융기부(70)의 형태에 부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 1 열 전도 플레이트(60)로 인하여, 음식은 용기(10)의 하부에 점착되지 않아 비-점착용 코팅이 필요 없다. 또한, 기존의 비-점착용 코팅에서는 인체에 유해한 성분이 발생될 수도 있는 데, 본 발명의 경우는 비-점착용 코팅 대신에 제 1 열 전도 플레이트(60)를 사용하는 바, 조리 시에 인체에 유해한 성분이 생성되지 않게 된다.
도 3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융기부(70)는 외판(30)의 하부 표면(34)의 테두리(edge)를 따라 그리고 테두리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융기부(70)는 외판(30)의 하부 표면(34)의 중심에 대하여 환상으로(annular) 그리고 실질적으로 동축으로 위치해 있다.
융기부(70)는 하부 공간(42) 내에 위치한 열 전도 매체(50)를 위한 부분적인 경계를 형성한다. 융기부(70)가 없다면 열 전도 매체(50)는 자유롭게 하부 공간(42)과 벽 공간(40) 사이를 흐르기 때문에, 하부 공간(42)에 위치한 열 전도 매체(50)가 가열될 때, 이 열 전도 매체(50)는 융기부(70) 및 내판(20)과 외판(30)의 하부(24, 34)에 의해 정의된 공간 내에서 빠르게 회전하고 순환한다. 하부 공간(42) 내의 공간에서의 이 빠른 유동과 열 전도 매체(50)의 순환은 조리 용기(100)의 열 전달율을 개선한다.
바람직하게는, 열 전도 매체(50)는 실리콘 오일이다. 작동될 때, 가열 요소가 열을 생산하고, 차례로 이 생산된 열은 실리콘 오일을 가열한다. 뜨거운 실리콘 오일은 내판(20)을 가열하고, 그에 따라 용기(10) 내의 음식을 조리한다. 음식이 장기간에 걸쳐 조리 용기(100) 내에 저장되는 때에 조차, 실리콘 오일은 70 % 이상의 열 보존율을 가질 수 있다.
열 전도 매체(50)는 체적 기준으로 대략 벽 공간(40)과 하부 공간(42)의 55~70 % 를 차지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체적 기준으로 약 65 % 를 차지한다. 또한, 벽 공간(40)은 부분적으로 공기(52)를 포함한다. 열 전도 매체(50)가 벽 공간(40) 및 내판(20)과 외판(30) 사이의 하부 공간(42) 내에 제공되어, 본 발명에 따른 조리 용기(100)는 조리 동안에 열을 전달하기에 적합하다.
조리 용기(100)의 외판(30)을 통해 전도되는 열이, 단지 실리콘 오일(50)뿐만 아니라 부분적으로 공기(52)를 통해서도 조리 용기(100)의 내판(20)에 전달되기 때문에, 벽 공간(40) 및 하부 공간(42) 내의 실리콘 오일(50)과 공기(52)의 존재는 균일하고 빠른 열 분배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내판(20)과 외판(30)의 측면 사이로의 열 전달을 지연한다.
내판(20)에서 일정하고 균일하게 분배된 열은 조리 용기(100) 내의 내용물을 가열한다. 일단 가열되면, 열원이 제거된 이후라도, 본 발명에 따른 조리 용기(100)의 이중 구조의 벽 구조물은 장시간 동안 열을 가둔다. 따라서, 조리 용기(100)는 약 4시간 이상 동안 음식을 따뜻하게 유지하고, 음식이 자동적으로 그리고 서서히 조리되도록 하며, 그에 따라 천연 향의 손실을 막는 바, 열원이 제거되더라도 자동으로 조리가 되는 자동 조리(self-cooking)가 가능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제 1 열 전도 플레이트(60)는 알루미늄 또는 구리로 만들어진다. 바람직하게, 제 2 열 전도 플레이트(62)는 알루미늄 또는 구리로 만들어진다.
내판(20)과 외판(30)은 AISI304 로 만들어질 수 있다. 게다가, 조리 용기(100)는 제 2 열 전도 플레이트(62)의 주변에 대하여 적합하도록 형성된 지지 덮개(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르게는, 외판(30)은 3-ply 스테인리스 스틸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이 3-ply 스테인리스 스틸은 AISI304, 알루미늄 및 AISI304 의 세 개의 층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3-ply 스테인리스 스틸 구조는 더 큰 열 전도성을 가능하게 하여 균일하고 빠른 열 분배를 돕는다.
조리 용기(100)는 외판의 외부 표면에 부착된 열반응 도료(thermochromic paint)(99)를 추가적으로 포함하여, 용기(10)의 온도를 나타내거나 지시한다. 다만, 열반응 도료(99)의 부착 위치는 다양할 수 있으며, 온도 표시가 가능하다면 조리 용기(100) 내의 어느 부분에라도 부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열반응 도료(99)의 색이, 용기(10)의 온도가 올라감에 따라 녹색에서 노란색 그리고 빨간색으로 변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용기(10)는 이중 구조의 벽 구조물을 구비하도록 제조되며, 개구부(12)를 가지는 내판(20) 및 외판(30)을 포함하며, 벽 공간(40)과 하부 공간(42)이 내판(20)과 외판(30) 사이에 제공되며, 벽 공간(40)은 실질적으로 내판(20)의 높이를 따라 형성되며, 벽 공간(40)과 하부 공간(42)은 부분적으로 열 전도 매체(50)로 채워진다. 또한, 내판(20)의 하부 표면(24)과 접촉하며 부착된 제 1 열 전도 플레이트(60) 및 외판(30)의 하부 표면(34)과 접촉하며 부착된 제 2 열 전도 플레이트(62)를 포함하며, 복수의 융기부(70)가 외판(30)의 하부 표면(34) 상에 형성되며, 제 2 열 전도 플레이트(62)는 실질적으로 복수의 융기부(70)의 형태에 부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복수의 융기부(70)는 위쪽으로 세워지며, 대략 외판(30)의 하부 표면(34)의 중심으로부터 대략 외판(30)의 하부 표면(34)의 테두리로 연장된다. 더욱이, 도 4에서처럼, 복수의 융기부(70)는 길이 방향을 따라 곡률을 가지며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굽어 있는 소용돌이 내지는 회오리 형상(whirlpool shape)을 지닐 수 있다.
소용돌이 형상인 복수의 융기부(70)는, 하부 공간(42)에 위치한 열 전도 매체(50)를 위한 가이드를 형성하여, 하부 공간(42) 내에 위치한 열 전도 매체(50)가 융기부(70)를 따라 하부 공간(42) 내에서 실질적으로 수평하게 회전하며 빠르게 순환하도록 한다. 소용돌이 형상인 복수의 융기부(70)로 인한 하부 공간(42) 내에서의 이러한 열 전도 매체(50)의 빠른 유동 및 순환은, 조리 용기(100) 전체에 걸쳐 고른 열전달을 가능하게 하여 열 전달율을 개선하며, 요리 시간을 단축하여 조리에 필요한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도 5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리 용기(100)는 내판(20)에 의해 정의된 개구부(12)를 실질적으로 덮기 위해, 내판(20)에 대하여 맞는 덮개(90)를 더 포함한다.
또한, 도 6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복수의 도드라진 돌출부(80)가 덮개(90)의 내부 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도드라진 돌출부(80)는 아래로 돌출되며 덮개(90)의 내부 표면의 중심 근처로부터 대략 덮개(90)의 내부 표면의 테두리로 연장되어 있다. 더욱이, 복수의 도드라진 돌출부(80)는 길이 방향을 따라 곡률을 가지며,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굽어 있는 소용돌이 내지는 회오리 형상(whirlpool shape)을 지닐 수 있다.
이렇게, 복수의 도드라진 돌출부(80)가 소용돌이 형상을 취하고 있음으로 인해서, 조리 용기(100) 내부의 수분이 외부로 방출되지 않게 됨으로써, 조리 용기(100) 내의 내용물의 영양가가 파괴되지 않을 수 있으며, 조리 시간을 단축하여 에너지를 절얄할 수 있다.
도 7 및 8 은 조리 용기의 덮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조리 용기(100)는 이중 구조의 벽 구조물을 가지며, 덮개(90)의 내부 표면 상에 형성된 복수의 돌기부(82)를 포함한다. 복수의 돌기부(82)는 수증기가 증기 구멍(95)으로부터 나와 응축되어 물의 형태로 내부 뚜껑(94)으로 떨어지도록 돕는다. 그리고 나서, 이 물은 내판(20)의 오목부(13)로 흐른다. 오목부(13) 내의 물은 수분 밀봉을 형성하며 수분 밀봉은 조리 동안에 내부 뚜껑(94)과 내판(20) 사이의 간격을 통해 수증기가 새어 나오는 것을 막는다. 더욱이, 저압이 조리 용기(100)의 용기(10) 내부에 생성된다.
또한, 덮개(90)의 내부 표면 상에 형성된 복수의 돌기부(82)가 형성되어 있음으로 인해서, 복수의 도드라진 돌출부(80)와 마찬가지로 수분 방출을 차단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 용기의 덮개의 단면도이며, 온도 측정 수단을 나타낸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온도 측정 수단의 표시부이다. 온도 측정 수단(92)은 바이메탈 온도 센서일 수 있으며, 이 센서는 하우징(92-1), 바이메탈 헬릭스(92-2), 지시 바늘(needle)(92-3) 및 표시부를 포함하며, 바이메탈 헬릭스(92-2)의 일단은 하우징(92-1)에 고정되어 있으며, 바이메탈 헬릭스(92-2)의 타단은 조리 용기 내부의 온도를 지시하기 위해 지시 바늘(92-3)을 구동하며, 하우징(92-1)은 덮개(90)에 손잡이(91)를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나사(92-4)를 향해서 조리 용기(100)의 내부로 연장된다. 실리콘 링(92-6)은 나사(92-4)와 덮개(90) 사이의 공간을 단단히 밀봉하기 위해 덮개(90)와 나사(92-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덮개(90)와 나사(92-4) 사이에 실리콘 고무(92-5)가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92-1)의 일단이 조리 용기(100)의 내부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내부 온도는 바이메탈 핼릭스(92-2)에 의해 좀 더 정확하게 측정될 수 있으며, 지시 바늘(92-3)에 의해 지시된 온도는 좀 더 정확하다. 좀 더 정확하게 측정된 온도는 사용자가 좀 더 편리하고 안전하게 조리 용기(100)를 사용하게 한다.
표시부는 특정 온도에 대응하는 눈금부를 포함하며, 지시 바늘(92-3)은 조리 용기(100) 내부의 온도에 대응하는 눈금을 가리키게 되어, 사용자는 조리 용기(100) 내부의 온도를 파악할 수 있다.
덮개(90)는 이중 구조의 벽 구조물을 가지며, 이중으로 된 뚜껑 구조는 덮개(90)와 내부 뚜껑(94)에 의해 달성되며, 개구부(12)를 덮는다. 이 구조적 특징은 내부의 열 유지를 가능하게 하여 빠른 조리가 가능하도록 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 용기의 압력 완화(release) 장치의 확대 단면도이다. 압력 완화 장치(36)는 압력이 소정의 압력 수준에 도달할 때 내부 공간(40) 내의 압력을 완화하기 위한 것이다.
압력 완화 장치(36)는 스프링 장치 구멍(36-2) 및 압력 조절 구멍(36-3)을 정의하는 스프링 하우징(36-1)을 포함하며, 압력 조절 구멍(36-3)의 일단은 내부 공간(40)에 개방되어 있고 압력 조절 구멍(36-3)의 타단은 스프링 장치 구멍(36-2)에 연결되어 있으며, 스프링 장치 구멍(36-2) 내에 배치된 압력 조절 밸브(36-4)는 압력 조절 구멍(36-3)을 폐쇄하고 차단하며, 스프링 장치 구멍(36-2) 내에 배치된 스프링(36-5)은 압력 조절 구멍(36-3)에 대하여 압력 조절 밸브(36-4)를 가압하며, 스프링 장치 구멍(36-2)은 압력 조절 구멍(36-3) 보다 더 큰 지름을 가지며, 복수의 제 1 배출 구멍(36-6)은 스프링 장치 구멍(36-2) 내에 배치되며, 외판(30)에 고정된 브라켓(37)은 스프링 하우징(36-1)을 덮으며, 브라켓(37)은 복수의 제 2 배출 구멍(37-1)을 포함한다.
압력 조절 밸브(36-4)가 내부 공간(40) 내의 높은 압력으로 인해 개방될 때, 내부 공간(40) 내의 압력은 압력 조절 구멍(36-3), 스프링 장치 구멍(36-2), 제 1 배출 구멍(36-6), 제 2 배출 구멍(37-1) 및 조리 용기(100) 외부를 통해 완화된다. 브라켓(37)은 점 용접(spot welding)에 의해 외판(30)에 고정되며, 압력 조절 밸브(36-4)는 실리콘 고무로 만들어 진다. 미리 결정된 압력 수준은 약 12 psi 이다.
스프링 하우징(36-1)의 일단은 홈(groove)(36-8)을 포함하여 탄성 부재(36-9)가 홈(36-8) 내에 배치되어 스프링 하우징(36-1)과 외판(30) 내의 관통 구멍(30-1) 사이의 간격을 밀봉하며, 관통 구멍(30-1)을 통해 압력 완화 장치(36)를 설치하기 위해 관통 구멍(30-1)은 외판(30)에 위치한다. 내부 공간(40)은 부분적으로 공기(52)를 포함하며, 관통 구멍(30-1)은 외판(30)에 위치한다. 탄성 부재(36-9)는 실리콘 링일 수 있다. 게다가, 스프링 하우징(36-1)은 알루미늄, 브라스(brass) 또는 스테인리스 스틸로 만들어 질 수 있으며, 브라켓은 스테인리스 스틸로 만들어 질 수 있다.
제 1 배출 구멍(36-6) 및 제 2 배출 구멍(37-1)에 의한 이중 구조 및 실리콘 링(36-9) 때문에, 액체는 내부 공간(40)으로 들어갈 수 없다.
말린 이음새(16) 및 압력 완화 장치(36)의 개선된 구조 때문에, 액체는 내부 공간(40)으로 들어갈 수 없으며, 내부 공간 내의 압력은 효과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이 개선된 구조로 인해, 조리 용기의 폭발 위험이 실질적으로 감소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 용기의 부분 단면도이다. 조리 용기(100)는 내판(20)에 의해 정의된 개구부(12)를 실질적으로 덮기 위해 내판 플랜지(22)에 전체적으로 꼭 들어 맞는(fit) 덮개(90)를 포함한다. 조리 용기(100)는 내판(20)에 의해 정의된 개구부(12)를 실질적으로 덮는 내부 뚜껑(94)을 더 포함한다. 증기 구멍(95)이 조리 동안에 수프와 같은 액체 음식이 넘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내부 뚜껑(94) 상에 제공된다.
증기 구멍(95)으로부터 나온 증기가 덮개(90)의 내부 표면을 치며 물로 응축되어, 내판(20)의 오목부(13)로 흐른다. 오목부(13) 내의 물과 내부 뚜껑(94)의 주위 부분 상의 실리콘 고무는 수분 밀봉을 형성하고, 이 수분 밀봉은 증기가 조리 동안에 새어 나오는 것을 차단한다. 게다가, 내부 뚜껑의 주위 부분의 실리콘 고무의 구조는 밀봉을 확보하여 조리 용기(100)가 압력솥(pressure cooker)으로서 기능을 할 수 있다.
내부 뚜껑(94)과 덮개(90)가 위로 열이 발산하는 것을 차단하고 덮개(90)는 이중 구조의 벽 구조물을 가지기 때문에, 조리 용기(100) 내의 열을 보존하기 쉽다. 내부 뚜껑(94)과 덮개(90) 사이의 공간은 그 내부에 열을 포획하고 오랫동안 온도를 유지한다. 그런 다음, 용기(10)의 저압이 유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리 용기는 열원이 제거된 후라도 음식을 자동적으로 그리고 서서히 조리할 수 있게 하므로, 조리 용기는 전기 찜솥(slow cooker)으로서 기능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열원의 불길이 바로 내판(20)에 전달되지 않으며 열이 어떠한 특정 지역에 집중되지 않으므로, 음식이 타거나 부분적으로 가열되거나 조리되는 것을 차단한다. 추가적으로, 조리 용기(100)는 비타민, 영양소 및 천연 향을 보존하면서 좀 더 만족스러우며 일정한 질감을 조리 음식에 부가한다. 게다가, 벽 공간(40) 내에 저장된 공기(52)는 절연체로서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음식은 좀 더 장시간 동안 뜨겁게 유지되고 조리 기구의 열 효율은 개선된다.
덮개(90)의 외부 표면은 조리 용기(100)의 고열에 견딜 수 있는 열반응 도료(99)로 코팅될 수 있다. 열반응 도료(99)의 색은 조리 용기(100)가 가열되어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열반응 도료(99)의 색은 파란색으로부터 노란색으로, 옅은 빨강색, 그리고 짙은 빨강색으로 변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 용기의 말린 이음새의 확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조리 용기(100)의 말린 이음새(rolled joint)(16)의 구조 및 제조 공정과 관련된다. 조리 용기(100)는 개구부(12)를 가지는 내판(20) 및 외판(30)을 구비하며, 내판(20)의 하부 표면(24)은 위로 연장되어 상부 플랜지, 구체적으로 내부 림과 외부 림을 형성하는 상부 플랜지의 부분에서 종료되고, 내부 림은 외부 림의 반지름 보다 작은 반지름을 가지며, 외판(30)의 하부 표면(34)은 위로 연장되어 하부 플랜지, 구체적으로 상부 플랜지의 길이보다 더 작은 길이를 가지는 하부 플랜지에서 종료되고, 내부 공간(40, 42)은 내판(20)과 외판(30) 사이에 형성되어 적어도 부분적으로 열 전도 매체(50)를 포함하고, 실리콘 링(18)이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상부 플랜지의 외부 테두리는 무봉 용접(seamless welding)에 의해 하부 플랜지의 테두리에 용접된 후,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는 함께 약 360 도 각도로 적어도 4 회 동그랗게 말려, 말린 상부 및 하부 플랜지 사이에 배치된 실리콘 링(18)과 함께 말린 이음새(16)를 형성하고, 말린 이음새(16)는 내부 공간(40)을 밀봉하도록 압축된다. 더욱이, 하부 플랜지의 외부 테두리는 적어도 1 회, 약 360 도 각도로 말리고, 상부 플랜지와 서로 맞물리며 실질적으로 납작해져서 맞물린 말린 이음새(16)를 형성한다.
말린 상부 및 하부 플랜지 사이에 배치된 실리콘 링(18) 때문에, 말린 이음새(16)의 밀봉 기능이 실질적으로 개선되어 액체가 내부 공간(40)으로 들어갈 수 없다. 따라서, 조리 용기(100)의 폭발 위험이 현저하게 줄어든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묘사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첨부되는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그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형태, 세부사항, 구성 및 작동에서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용기 16: 말린 이음새
20: 내판 30: 외판
40: 벽 공간 42: 하부 공간
50: 열 전도 매체 60: 제 1 열 전도 플레이트
62: 제 2 열 전도 플레이트 70: 융기부
90: 덮개 92: 온도 측정 수단
94: 내부 뚜껑 100: 조리 용기

Claims (24)

  1. 이중 구조의 벽 구조물을 가지는 조리 용기로서,
    상기 조리 용기는,
    개구부를 가지는 내판으로서, 상기 내판의 하부 표면은 위로 연장되어, 내부 림과 외부 림을 형성하는 상부 플랜지의 부분에서 종료되며, 상기 내부 림은 상기 외부 림의 반지름 보다 작은 반지름을 가지는 것인 내판;
    위로 연장되어 하부 플랜지에서 종료되는 하부 표면을 가지는 외판으로서, 상기 하부 플랜지는 상기 상부 플랜지의 길이 보다 작은 길이를 가지는 것인 외판;
    상기 내판과 외판 사이의 구역 내에 형성되며, 적어도 부분적으로 열 전도 매체를 포함하는 내부 공간; 및
    상기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 사이에 배치된 실리콘 링을 포함하며,
    상기 내판에 의해 정의되는 개구부를 덮기 위해 전체적으로 상기 내판 플랜지에 꼭 맞는(fit) 덮개를 더 포함하며,
    상기 덮개의 손잡이에 설치된 온도 측정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온도 측정 수단은 바이메탈 온도 센서이며, 하우징, 바이메탈 헬릭스 및 지시 바늘(needle)을 포함하며,
    상기 바이메탈 헬릭스의 일단은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바이메탈 헬릭스의 타단은 상기 조리 용기 내부의 온도를 지시하기 위한 지시 바늘을 구동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덮개에 상기 손잡이를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나사를 통해 상기 조리 용기의 내부에 노출되는 것인 이중 구조의 벽 구조물을 가지는 조리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랜지의 외부 테두리는 상기 하부 플랜지의 외부 테두리에 용접되고 말리어, 맞물린 이음새를 형성하도록 납작해지며, 상기 실리콘 링은 상기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 사이의 용접 지점 내에 배치되는 것인 이중 구조의 벽 구조물을 가지는 조리 용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랜지의 외부 테두리는 무봉 용접(seamless welding)에 의해 상기 하부 플랜지의 외부 테두리에 용접되는 것인 이중 구조의 벽 구조물을 가지는 조리 용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는 360 도의 각도로 적어도 4 회 함께 동그랗게 말려(curled) 말린 이음새를 형성하고, 상기 말린 이음새는 상기 벽 공간을 밀봉하도록 압축되는 것인 이중 구조의 벽 구조물을 가지는 조리 용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플랜지의 외부 테두리는 적어도 1 회 360 도의 각도로 말리어 상기 상부 플랜지와 서로 맞물리며, 맞물린 이음새를 형성하도록 납작해지는 것인 이중 구조의 벽 구조물을 가지는 조리 용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손잡이가 상기 덮개의 중심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덮개는 복층으로 된 벽 구조(a double-layered wall structure)를 가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인 이중 구조의 벽 구조물을 가지는 조리 용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내판에 의해 정의되는 개구부를 덮는 내부 뚜껑을 더 포함하며, 2 개의 증기 구멍이 상기 내부 뚜껑 상에 형성되어 있는 것인 이중 구조의 벽 구조물을 가지는 조리 용기.
  8. 삭제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압력이 소정의 압력 수준에 도달할 때 상기 내부 공간의 내부의 압력을 완화하기 위한 압력 완화 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압력 완화 장치는,
    스프링 장치 구멍 및 압력 조절 구멍을 정의하는 스프링 하우징으로서, 상기 압력 조절 구멍의 일단은 상기 내부 공간에 개방되어 있고 상기 압력 조절 구멍의 타단은 상기 스프링 장치 구멍에 연결되어 있는 것인 스프링 하우징;
    상기 압력 조절 구멍을 폐쇄하기 위한 상기 스프링 장치 구멍 내에 배치된 압력 조절 밸브;
    상기 압력 조절 구멍에 대하여 상기 압력 조절 밸브를 가압하기 위한 상기 스프링 장치 구멍 내에 배치된 스프링으로서, 상기 스프링 장치 구멍은 상기 압력 조절 구멍 보다 큰 지름을 가지는 것인 스프링;
    상기 스프링 장치 구멍 내에 배치된 복수의 제 1 배출 구멍; 및
    상기 스프링 하우징을 덮기 위해 상기 외판에 고정된 브라켓으로서, 상기 브라켓은 복수의 제 2 배출 구멍을 포함하는 것인 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압력 조절 밸브가 개방될 때 상기 내부 공간 내의 압력은 상기 압력 조절 구멍, 상기 스프링 장치 구멍, 상기 제 1 배출 구멍 및 상기 제 2 배출 구멍을 통해 완화되는 것인 이중 구조의 벽 구조물을 가지는 조리 용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하우징의 일단은 홈(groove)을 포함하여 탄성 부재가 상기 홈에 배치되어서 상기 스프링 하우징과 상기 외판 내의 관통 구멍 사이의 간격을 밀봉하며, 상기 관통 구멍을 통해 상기 압력 완화 장치를 설치하기 위해 상기 외판에 상기 관통 구멍이 배치되는 것인 이중 구조의 벽 구조물을 가지는 조리 용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공간은 부분적으로 공기를 포함하며, 상기 관통 구멍은 상기 외판에 위치되는 것인 이중 구조의 벽 구조물을 가지는 조리 용기.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실리콘 링이며, 상기 스프링 하우징은 알루미늄, 브라스(brass), 또는 스테인리스 스틸로 만들어지며, 상기 브라켓은 스테인리스 스틸로 만들어지는 것인 이중 구조의 벽 구조물을 가지는 조리 용기.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 전도 매체는 실리콘 오일인 것인 이중 구조의 벽 구조물을 가지는 조리 용기.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판은 3-ply 스테인리스 스틸로 만들어지며, 상기 3-ply 스테인리스 스틸은 AISI 304, 알루미늄, 및 AISI 304 인 3 개의 층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인 이중 구조의 벽 구조물을 가지는 조리 용기.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 용기의 온도를 지시하기 위해 상기 외판의 외부 표면에 부착된 열반응 도료(thermochromic paint)를 더 포함하는 이중 구조의 벽 구조물을 가지는 조리 용기.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판의 하부 표면 상에 복수의 융기부가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융기부는 소용돌이 형상(whirlpool shape)인 이중 구조의 벽 구조물을 가지는 조리 용기.
  18. 개구부를 가지는 내판;
    외판으로서, 벽 공간과 하부 공간이 상기 내판과 외판 상에 제공되고, 상기 벽 공간은 상기 내판의 높이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벽 공간과 하부 공간은 부분적으로 열 전도 매체로 채워져 있는 것인 외판;
    상기 내판의 하부 표면에 부착되어 접촉하고 있는 제 1 열 전도 플레이트; 및
    상기 외판의 하부 표면에 부착되어 접촉하고 있는 제 2 열 전도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외판의 하부 표면은 위로 세워진 융기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2 열 전도 플레이트는 상기 융기부의 형태에 부합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융기부는 환형(annular)이며, 상기 외판의 하부 표면의 중심에 대해서 공통 축을 가지며 위치하는 것인 이중 구조의 벽 구조물을 가지는 조리 용기.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융기부는 상기 외판의 하부 표면의 테두리(edge)로부터 떨어져서 상기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것인 이중 구조의 벽 구조물을 가지는 조리 용기.
  20. 삭제
  21. 개구부를 가지는 내판;
    외판으로서, 벽 공간과 하부 공간이 상기 내판과 외판 상에 제공되고, 상기 벽 공간은 상기 내판의 높이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벽 공간과 하부 공간은 부분적으로 열 전도 매체로 채워져 있는 것인 외판;
    상기 내판의 하부 표면에 부착되어 접촉하고 있는 제 1 열 전도 플레이트; 및
    상기 외판의 하부 표면에 부착되어 접촉하고 있는 제 2 열 전도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복수의 융기부가 상기 외판의 하부 표면 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 2 열 전도 플레이트는 상기 복수의 융기부의 형태에 부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융기부는 위로 기립하여 상기 외판의 하부 표면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외판의 하부 표면의 테두리로 연장되고,
    상기 복수의 융기부는 길이 방향으로 곡률을 가지며, 동일한 방향으로 굽어있는 것인 이중 구조의 벽 구조물을 가지는 조리 용기.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내판에 의해 정의되는 개구부를 덮기 위해 전체적으로 상기 내판에 꼭 맞는 덮개를 더 포함하며, 복수의 도드라진 돌출부가 상기 덮개의 내부 표면 내에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도드라진 돌출부는 아래로 기립하여 상기 덮개의 내부 표면의 중심 근처로부터 상기 덮개의 내부 표면의 테두리로 연장되며, 상기 복수의 도드라진 돌출부는 길이 방향으로 곡률을 가지며 동일한 방향으로 굽어있는 것인 이중 구조의 벽 구조물을 가지는 조리 용기.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융기부는 소용돌이 형상(whirlpool shape)인 이중 구조의 벽 구조물을 가지는 조리 용기.
  24. 이중 구조의 벽 구조물을 가지는 조리 용기로서,
    상기 조리 용기는,
    개구부를 가지는 내판;
    외판으로서, 벽 공간과 하부 공간이 상기 내판과 외판 상에 제공되고, 상기 벽 공간은 상기 내판의 높이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벽 공간과 하부 공간은 부분적으로 열 전도 매체로 채워져 있는 것인 외판;
    상기 외판의 하부 표면에 부착되어 접촉된 열 전도 플레이트; 및
    상기 내판에 의해 정의된 상기 개구부를 덮기 위해 전체적으로 상기 내판에 꼭 맞는 덮개를 포함하며,
    복수의 돌기부가 상기 덮개의 하부 표면 상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덮개의 손잡이에 설치된 온도 측정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온도 측정 수단은 바이메탈 온도 센서이며, 하우징, 바이메탈 헬릭스 및 지시 바늘(needle)을 포함하며,
    상기 바이메탈 헬릭스의 일단은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바이메탈 헬릭스의 타단은 상기 조리 용기 내부의 온도를 지시하기 위한 지시 바늘을 구동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덮개에 상기 손잡이를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나사를 통해 상기 조리 용기의 내부에 노출되는 것인 이중 구조의 벽 구조물을 가지는 조리 용기.
KR20130075476A 2013-06-28 2013-06-28 친환경 조리기구 KR1013779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5476A KR101377930B1 (ko) 2013-06-28 2013-06-28 친환경 조리기구
JP2014095311A JP6017493B2 (ja) 2013-06-28 2014-05-02 エコ調理器具
EP20140167690 EP2818083A3 (en) 2013-06-28 2014-05-09 Eco green cookware
CN201410213979.0A CN104248328B (zh) 2013-06-28 2014-05-20 生态环保炊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5476A KR101377930B1 (ko) 2013-06-28 2013-06-28 친환경 조리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7930B1 true KR101377930B1 (ko) 2014-03-24

Family

ID=50649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75476A KR101377930B1 (ko) 2013-06-28 2013-06-28 친환경 조리기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2818083A3 (ko)
JP (1) JP6017493B2 (ko)
KR (1) KR101377930B1 (ko)
CN (1) CN104248328B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2131B1 (ko) * 2014-08-08 2015-02-10 신육용 온도조절밸브가 부착된 이중판 조리용기
KR101892656B1 (ko) * 2016-07-28 2018-08-28 종 피터 박 다용도 조리기구
KR20180003632U (ko) * 2018-03-13 2018-12-26 광동순더디타이롱전기유한공사 회전형 조리기
KR102157527B1 (ko) * 2020-04-10 2020-09-18 안동호 써모사이폰 조리용기 및 그 제작방법
KR20210001578U (ko) * 2019-12-31 2021-07-08 최을용 열효율이 높은 제빵 기구
KR20230089048A (ko) 2021-12-13 2023-06-20 종 피터 박 요리정보와 불조절타이밍을 음성으로 안내하는 스마트 이중냄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50235A (zh) * 2017-08-28 2018-01-09 广东天际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功夫汤盅及其使用方法
CN107440487A (zh) * 2017-09-18 2017-12-08 青岛海士豪塑胶有限公司 一种新型蒸饭保温电饭煲
CN107898306B (zh) * 2017-11-20 2020-03-31 四川大学 一种冬季加热水果的方法
CN110403481B (zh) * 2018-04-26 2021-07-20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一种真空烹饪器具的温度控制方法、装置和真空烹饪器具
CN110332352A (zh) * 2019-07-25 2019-10-15 路达(厦门)工业有限公司 一种水龙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45628A (ja) * 2001-05-24 2002-12-03 Aihou:Kk 保温鍋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220087B1 (ko) * 2010-10-07 2013-01-11 박종도 친환경 조리용기
KR200465233Y1 (ko) * 2009-11-16 2013-02-07 제지앙 아이쉬다 일렉트로닉 컴퍼니 리미티드 일종의 온도 감지 기능을 갖는 냄비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6336Y2 (ja) 1980-05-19 1983-04-02 株式会社日立ホームテック 加熱容器
FR2490475A1 (fr) * 1980-09-24 1982-03-26 Cousances Aux Forges Haut Four Recipient pour la cuisson des aliments avec couvercle a refroidissement
JPS57179324U (ko) * 1981-05-08 1982-11-13
JPS6348526U (ko) 1986-09-17 1988-04-01
JPH088891B2 (ja) * 1988-03-11 1996-01-31 富士電機株式会社 ヒートパイプ式調理容器
JPH02305518A (ja) * 1989-05-19 1990-12-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調理器
JP3204612B2 (ja) * 1996-03-29 2001-09-04 株式会社玄
JPH10179404A (ja) * 1996-12-24 1998-07-07 Masami Tawara 保温調理用器具および保温調理方法
JPH1110010A (ja) * 1997-06-18 1999-01-19 Ngk Spark Plug Co Ltd 蒸発容器用蓋
US6191393B1 (en) * 1999-01-16 2001-02-20 Jong Do Peter Park Cooking utensi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US7571675B1 (en) * 1999-10-22 2009-08-11 Carico International, Inc. Lid for cooking pan
KR200199996Y1 (ko) * 2000-05-09 2000-10-16 주식회사광해물산 압력조절수단을 갖는 오일남비
KR20030080947A (ko) * 2002-04-12 2003-10-17 박종도 유체통로가 형성된 적층 바닥판을 가진 이중냄비
KR20030095517A (ko) * 2002-06-12 2003-12-24 박종도 보온 냄비 뚜껑
US20030209154A1 (en) * 2002-05-13 2003-11-13 Park Jong Peter Fluid path in a double layered cooking apparatus
JP2004187889A (ja) * 2002-12-11 2004-07-08 Sytecs Corp 容器の温度表示方法、及び温度表示装置
JP4072067B2 (ja) * 2003-01-24 2008-04-02 パロマ工業株式会社 炊飯器
US6942383B2 (en) * 2003-03-19 2005-09-13 Man-Hyun Kwon Cooking pan
CN2754525Y (zh) * 2004-12-13 2006-02-01 刘行 具有测量液体温度的容器及电热水壶
KR20110118227A (ko) * 2010-04-23 2011-10-31 최을용 개선된 냄비뚜껑
KR200474083Y1 (ko) * 2012-04-27 2014-08-21 주식회사 로이첸 조리시 발생되는 증기가 대류시 응축되는 물방울의 낙하가 용이토록 된 조리용 냄비뚜껑
CN202619414U (zh) * 2012-05-03 2012-12-26 成都理工大学 防滴水锅盖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45628A (ja) * 2001-05-24 2002-12-03 Aihou:Kk 保温鍋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465233Y1 (ko) * 2009-11-16 2013-02-07 제지앙 아이쉬다 일렉트로닉 컴퍼니 리미티드 일종의 온도 감지 기능을 갖는 냄비
KR101220087B1 (ko) * 2010-10-07 2013-01-11 박종도 친환경 조리용기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2131B1 (ko) * 2014-08-08 2015-02-10 신육용 온도조절밸브가 부착된 이중판 조리용기
KR101892656B1 (ko) * 2016-07-28 2018-08-28 종 피터 박 다용도 조리기구
KR20180003632U (ko) * 2018-03-13 2018-12-26 광동순더디타이롱전기유한공사 회전형 조리기
KR200492281Y1 (ko) * 2018-03-13 2020-10-07 자이글주식회사 회전형 조리기
KR20210001578U (ko) * 2019-12-31 2021-07-08 최을용 열효율이 높은 제빵 기구
KR200494997Y1 (ko) * 2019-12-31 2022-02-14 최을용 열효율이 높은 제빵 기구
KR102157527B1 (ko) * 2020-04-10 2020-09-18 안동호 써모사이폰 조리용기 및 그 제작방법
KR20230089048A (ko) 2021-12-13 2023-06-20 종 피터 박 요리정보와 불조절타이밍을 음성으로 안내하는 스마트 이중냄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248328B (zh) 2017-04-12
CN104248328A (zh) 2014-12-31
JP2015009149A (ja) 2015-01-19
EP2818083A3 (en) 2015-01-21
EP2818083A2 (en) 2014-12-31
JP6017493B2 (ja) 2016-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7930B1 (ko) 친환경 조리기구
US20140326733A1 (en) Eco green cookware
US20110056957A1 (en) Combination Multiple Vessel Cookware
CN102438491B (zh) 用于烹制食品所用容器的经改进的有孔盖
US20160045052A1 (en) High efficiency hybrid eco-friendly cooking container
CN105768846A (zh) 用于微波炉的真空锅及微波炉
KR200417908Y1 (ko) 기름배출구를 갖춘 다목적 조리기기
KR101461167B1 (ko) 전기 오일 코어 스킬렛
CN201044714Y (zh) 一种防干涸回流高压两用锅
CN213248361U (zh) 盖体和烹饪器具
CN105342447A (zh) 防护节能高压锅
KR200157755Y1 (ko) 전기압력밥솥의 압력표시장치
KR200299303Y1 (ko) 조리용 가열용기
KR101435178B1 (ko) 다용도 조리 기능을 갖는 용기 뚜껑 및 이를 갖는 조리 기구
KR101137599B1 (ko) 입체가열식 조리기구
TWM557078U (zh) 蒸籠
GB2315324A (en) Thermo-syph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