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7755Y1 - 전기압력밥솥의 압력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전기압력밥솥의 압력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7755Y1
KR200157755Y1 KR2019950026695U KR19950026695U KR200157755Y1 KR 200157755 Y1 KR200157755 Y1 KR 200157755Y1 KR 2019950026695 U KR2019950026695 U KR 2019950026695U KR 19950026695 U KR19950026695 U KR 19950026695U KR 200157755 Y1 KR200157755 Y1 KR 2001577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lid
pressure
discharge hole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266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2033U (ko
Inventor
박기순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500266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7755Y1/ko
Publication of KR97001203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203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77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775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9Safety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용기 내부에 설정된 압력상태를 뚜껑 외부에서 판별할 수 있도록함으로서, 최적의 취사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전기압력 밥솥의 압력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용기 내부에 히터로 가열되는 내통이 설치되고 용기 상단에 형성된 걸림턱과 뚜껑 저면에 형성된 돌기에 의해 용기 상부가 뚜껑으로 밀폐됨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일측 저면으로부터 상부로 직경이 점차 커지도록 단계적으로 형성된 제1, 2, 3배출공과, 상기 제3배출공의 상단에 결합되고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되며 중앙으로 통로를 갖는 마개와, 하단에 볼마개가 형성되어 상기 제1배출공의 상단에 놓이고 상단이 상기 통로에 끼워지는 표시봉과, 그리고 상기 제2배출공의 상단에 놓인 상태에서 상기 표시봉의 외주면에 끼워져 승강되는 무게추가 구비된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전기압력밥솥의 압력표시장치
제1도는 일반적인 전기압력밥솥의 단면도.
제2(a),(b)도는 본 고안의 압력표시장치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용기 11 : 내통
13 : 히터 15 : 걸림턱
20 : 뚜껑 24 : 돌기
30, 31, 32 : 제1, 2, 3배출공 33 : 표시봉
33a : 볼마개 33b : 압력표시선
34 : 마개 34a : 구멍
34b : 통로 35 : 무게추
본 고안은 전기압력밥솥의 압력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 내부에 압력이 존재할 때 그 압력에 비례하여 표시봉이 뚜껑 외부로 상승되도록 함으로서, 용기 내부의 압력 상태를 식별하기 편리하도록한 전기압력밥솥의 압력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압력밥솥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통(11)을 갖는 용기(100와 용기(10)의 상부를 여닫는 뚜껑(20)으로 구성된다. 이때 용기(10)내부에는 내통(11)의 저면을 가열하는 히터(13)가 매설된 열판(12)이 설치되고 뚜껑(20)에는 내통(11)의 상부를 밀폐하는 덮개(21)가 마련된다. 또한 용기(10)의 상부에는 내통(11)을 가열하여 보온하는 보온히터(14)가 설치된다. 한편 뚜껑(20)의 외주면 하측으로 다수개의 돌기(24)가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용기(10)상부의 외주면에는 돌기(24)에 걸리는 걸림턱(15)이 형성된다. 한편 뚜껑(20)에는 용기(10) 내부에 일정 압력이 설정되면 이를 배출하는 중기배출구(22)가 형성되고 한편 용기(10)내부의 압력을 강제적으로 배출시키는 안전밸브(23)가 형성된다.
이처럼 구성된 종래의 전기압력밥솥은 내통(11)내부에 물을 포함하는 쌀을 담은 상태에서 뚜껑(20)을 닫는다. 이때 뚜껑(20)을 회전시키면 돌기(24)가 걸림턱(15)에 걸린 상태에서 덮개(21)가 용기(10)의 상부를 밀폐하게 된다. 이런 상태에서 히터(13)가 작동되면 열판(12)이 가열되면서 내통(11)의 저면이 가열됨과 동시에 취사가 진행된다. 이때 용기(10)내부는 밀폐된 상태이므로 일정의 압력이 설정되면 수증기가 중기배출구(22)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면서 취사가 진행된다. 또한 취사 완료후 안전밸브(23)를 개방시키면 용기(10)내부의 수증기가 전부 배출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뚜껑(20)을 용기(10)에서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밥이 된 상태에서 보온할 때 용기(10)상부에 마련된 보온히터(14)가 작동되면 밥이 일정의 온도를 유지한 상태로 보온된다.
그러나 취사가 진행되는 동안 용기(10)내부의 압력상태를 확인 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즉 용기(10)내부에 일정한 압력이 설정되면 수증기가 중기배출구(22)를 통하여 단순히 외부로 배출되므로 용기(10)내부에 설정된 압력상태를 확인할 수 없다. 따라서 중기배출구(22)를 통하여 중기가 배출되는 시점부터 일정 시간이 경과한 다음 취사를 중단해야 하므로 사용이 미숙한 취사 중단시점을 결정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용기 내부에 설정된 압력상태를 뚜껑 외부에서 판별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최적의 취사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전기압력밥솥의 압력표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용기 내부에 히터로 가열되는 내통이 설치되고 용기 상단에 형성된 걸림턱과 뚜껑 저면에 형성된 돌기에 의해 용기 상부가 뚜껑으로 밀폐됨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일측 저면으로부터 상부로 직경이 점차 커지도록 단계적으로 형성된 제1, 2, 3배출공과, 상기 제3배출공이 상단에 결합되고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되며 중앙으로 통로를 갖는 마개와, 하단에 볼마개가 형성되어 상기 제1배출공의 상단에 놓이고 상단이 상기 통로에 끼워지는 표시봉과, 그리고 상기 제2배출공의 상단에 놓인 상태에서 상기 표시봉이 외주면에 끼워져 승강되는 무게추가 구비된 특징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고안 압력표시장치의 단면도로서, 제1도와 동일 구성요소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여 본 고안을 설명한다. 즉 용기(10)상부를 밀폐하는 뚜껑(20)의 일측 저면으로부터 상부로 그 직경이 단계적으로 커지는 제1, 2, 3배출공(30)(31)(32)이 형성된다. 한편 제3배출공(32)의 상단에 다수개의 구멍(34a)을 갖는 마개(34)가 설치되고 중앙으로 통로(34b)가 형성된다. 한편 하단에 볼마개(33a)가 형성되어 제1배출공(30)의 상단을 막는 표시봉(33)이 구비된다.
이때 표시봉(33)은 상단이 통로(34b)에 끼워져 설치되고 외주면에 다단으로 압력표시선(33b)이 형성된다. 한편 표시봉(33)의 외주면에 끼워져 승강되는 압력추(35)가 구비된다. 이때 압력추(35)는 용기(10)내부에 압력이 존재하지 않을 때 제2배출공(31)이 상단에 놓여 이를 밀폐한다.
이처럼 구성된 본 고안은 내통(11)내부에 물과 쌀이 담긴 상태에서 뚜껑(20)이 닫힌다. 즉 뚜껑(20)을 올려 놓은 다음 일측으로 회전시키면 돌기(24)가 걸림턱(15)에 걸리면서 덮개(21)가 내통(11) 상부를 밀폐하게 된다. 이런 상태에서 히터(13)가 가열되면서 물이 끊으면서 수증기가 발생되고 용기(10)내부가 일정의 압력을 유지하게 된다. 또한 일정 압력 이상이면 수증기가 제1배출공(30)으로 유입된 다음 볼마개(33a)와 표시봉(33)을 상승시킴과 동시에 무게추(35)를 상승시킨다.
이때 무게추(35)가 상승되면 제2, 3배출공(31)(32)이 개방되면서 수증기가 마개(34)에 형성된 구멍(34a)을 통하여 뚜껑(20)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내통(11)내부에 발생된 수증기가 포화상태로서 압력이 점차 증가되면 표시봉(33)이 서서히 상승하게 된다. 이때 표시봉(33)외주면에 단계적으로 형성된 압력표시선(33b)이 점차 뚜껑(20) 외부로 노출되고 사용자는 압력표시선(33b)의 노출 정도에 따라 내통(11)내부의 취사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취사가 완료되면 안전밸브(23)를 개방시켜 용기(10)내부의 수증기를 전부 배출시킨 다음 뚜껑(20)을 개방하면 된다.
이상에서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용기 내부에 압력이 증가되면 이에 비례하여 뚜껑에 형성된 표시봉이 단계적으로 상승된다. 따라서 표시봉이 상승 정도에 따라 취사상태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용기 내부에 히터로 가열되는 내통이 설치되고 용기 상단에 형성된 걸림턱과 뚜껑 저면에 형성된 돌기에 의해 용기 상부가 뚜껑으로 밀폐됨에 있어서, 상기 뚜껑(20)의 일측 저면으로부터 상부로 직경이 점차 커지도록 단계적으로 형성된 제1, 2, 3배출공(30)(31)(32)과 상기 제3배출공(32)의 상단에 결합되고 다수개의 구멍(34a)이 형성되며 중앙으로 통로(34b)를 갖는 마개(34)와, 하단에 볼마개(33a)가 형성되어 상기 제1배출공(30)의 상단에 놓이고 상단이 상기 통로(34b)에 끼워지는 표시봉(33)과, 그리고 상기 제2배출공(31)의 상단에 놓인 상태에서 상기 표시봉(33)이 외주면에 끼워져 승강되는 무게추(35)를 구비하는 전기압력밥솥의 압력표시장치.
KR2019950026695U 1995-09-28 1995-09-28 전기압력밥솥의 압력표시장치 KR2001577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6695U KR200157755Y1 (ko) 1995-09-28 1995-09-28 전기압력밥솥의 압력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6695U KR200157755Y1 (ko) 1995-09-28 1995-09-28 전기압력밥솥의 압력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2033U KR970012033U (ko) 1997-04-25
KR200157755Y1 true KR200157755Y1 (ko) 1999-10-01

Family

ID=19424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26695U KR200157755Y1 (ko) 1995-09-28 1995-09-28 전기압력밥솥의 압력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775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6784B1 (ko) 2021-03-17 2022-08-26 주식회사델키 압력밥솥의 스팀배출장치
KR20220129748A (ko) 2021-03-17 2022-09-26 주식회사 델키 압력밥솥의 스팀배출 제어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6784B1 (ko) 2021-03-17 2022-08-26 주식회사델키 압력밥솥의 스팀배출장치
KR20220129748A (ko) 2021-03-17 2022-09-26 주식회사 델키 압력밥솥의 스팀배출 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2033U (ko) 1997-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70125B1 (ko) 전기압력밥솥의 증기배출장치
KR101377930B1 (ko) 친환경 조리기구
US20140326733A1 (en) Eco green cookware
JPS624261Y2 (ko)
KR200157755Y1 (ko) 전기압력밥솥의 압력표시장치
KR101343151B1 (ko) 넘침방지 기능을 갖춘 조리 용기 뚜껑
JPS5937141Y2 (ja) 電気湯沸かし器
JPS6121000Y2 (ko)
JP3828456B2 (ja) 炊飯器における蒸気逃がし構造
KR200157496Y1 (ko) 전기압력밥솥의 안전장치
KR200149699Y1 (ko) 전기보온밥솥용 보습캡
KR0120608Y1 (ko) 전기압력밥솥의 증기배출장치
JPS597855Y2 (ja) 保温式ガス炊飯器
JPS5942989Y2 (ja) 湯沸し型エア−ポット
KR20180026167A (ko) 전기압력밥솥의 보온 커버 어셈블리
JPS6310111Y2 (ko)
KR0120609Y1 (ko) 전기압력밥솥의 증기배출장치
JPS5934406Y2 (ja) 電気調理器
JPS5855856Y2 (ja) 懸垂式二重クツカ−
JPH06189850A (ja) 電気ポット
JP3821649B2 (ja) 炊飯器における保湿機構
KR0128167Y1 (ko) 전기압력밥솥의 증기배출장치
JPH0423500Y2 (ko)
KR200157758Y1 (ko) 전기압력밥솥의 증기배출장치
JPS5934424Y2 (ja) 空気圧利用の電気ポツ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