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7485B1 - 도로 표지병 - Google Patents

도로 표지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7485B1
KR101377485B1 KR1020120036026A KR20120036026A KR101377485B1 KR 101377485 B1 KR101377485 B1 KR 101377485B1 KR 1020120036026 A KR1020120036026 A KR 1020120036026A KR 20120036026 A KR20120036026 A KR 20120036026A KR 101377485 B1 KR101377485 B1 KR 1013774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exible member
light
road
light emitting
emitting di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6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3667A (ko
Inventor
정형두
김선종
Original Assignee
정형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형두 filed Critical 정형두
Priority to KR1020120036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7485B1/ko
Publication of KR201301136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36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74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74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72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in street ligh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Abstract

하부에는 지면에 삽입 가능한 돌출부(3)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태양빛을 조사받는 셀(4)이 설치되는 몸체(5), 상기 몸체(5)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셀(4)로부터 발생된 전류를 충전받는 축전지(4'), 상기 축전지(4')로부터 전류를 인가 받도록 설치되는 기판(6), 빛을 상기 몸체(5) 외부로 조사시키는 발광다이오드(7), 상기 몸체(5)의 상부에 돌출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발광다이오드(7)의 조사되는 빛을 받는 빛 조사부(8)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로 표지병{Road Display Means}
본 발명은 도로 표지병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야간이나 우천시에도 노면표시가 잘 보일 뿐만 아니라, 반사판이 흙먼지로 덮이고, 깨지고, 도로 지면에 파묻히더라도 운전자가 식별할 수 있는 도로 표지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 표지병은 도로의 중앙선, 차선 경계선, 길 가장자리 구역선, 전용차선, 노상장애물, 안전지대 등 잘 보이지 않을 가능성이 있는 곳에 설치되는 것으로, 직사각형이나 정사각형의 본체 일측면에 파동이 하나의 매질 속을 진행해서 다른 매질과 경계면에 달했을 때 진행 방향이 바뀌어 다시 원래의 매질 속을 진행하는 반사지를 부착하여 도로에 설치된다. 이러한 도로 표지병은 야간이나 기상조건이 나쁜 악천후에서 차량의 전조등이 도로의 소정 위치에 장착된 도로 표지병에 비춰지면, 빛을 도로 표지병의 반사판에서 반사시켜 운전자가 용이하게 차선을 식별하도록 도와주는 작용을 한다.
이러한 도로 표지병은 대부분이 도로면에 노출되는 몸체와, 이런 몸체의 저면으로 돌출되는 지지돌기와, 몸체에 설치되어 빛을 반사하는 반사판으로 구성되며, 도로의 바닥에 설치공을 형성한 후 상기한 지지돌기를 이런 설치공에 박아 고정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차량의 이동과 바람에 의해 반사판이 흙먼지로 덮이거나, 여름철과 겨울철의 주기적인 노면의 온도 변화에 의해 반사판이 깨지거나, 차량 바퀴의 압력에 의해 지면에 파묻혀 버리는 경우가 많아, 차로 이탈 및 도로 구조물 충돌 등으로 인명 피해를 야기하는 등 실질적으로 도로 표지병의 역할을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에는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0398245호와 같이 외주부에 다수의 톱니형 돌기를 갖는 지주와, 상기 지주의 상부에 위치하며 윗면에 앵커부가 형성된 플랜지를 포함하는 코어부와, 상기 앵커부에 삽입되며 내부에 반사 테잎이 삽입되는 홈을 갖는 원뿔대 형상의 반사판 거치부와, 상기 플랜지의 저면 및 외주부 일부와 상기 반사판 거치부의 상부 및 하부에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 몸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반사판을 몸체부의 특정한 부분이 아닌 몸체의 외주부 전체에 걸쳐서 위치하는 내용이 개시되어 있으나, 여전히 흙먼지등이 덮여 보이지 않게 되거나, 차량 바퀴의 압박에 의해 지면에 파묻혀 버려 운전자가 차선을 식별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태양전지 셀에 의해 전원을 인가받아 야간이나 우천시에도 용이하게 차선을 식별할 수 있는 도로 표지병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자동차의 전조등에 의해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판이 흙먼지로 덮여 조도가 현격히 낮아지거나, 파손되거나, 지면에 파묻혀 보이지 않게 되더라도 용이하게 차선을 식별할 수 있는 도로 표지병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차량의 바퀴에 의해 압박을 받더라도 파손되지 않으면서, 발광다이오드에 의해 빛이 조사되어 차선의 용이한 식별이 가능한 도로 표지병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도로 표지병에 협착물이 유입되더라도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하여, 용이하게 차선을 식별할 수 있는 도로 표지병을 제공함에 있다.
하부에는 지면에 삽입 가능한 돌출부(3)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태양빛을 조사받는 셀(4)이 설치되는 몸체(5), 상기 몸체(5)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셀(4)로부터 발생된 전류를 충전받는 축전지(4'), 상기 축전지(4')로부터 전류를 인가 받도록 설치되는 기판(6), 빛을 상기 몸체(5) 외부로 조사시키는 발광다이오드(7),
일측은 몸체(5)에 형성된 결합부(5')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부로 길게 돌출되되, 차량바퀴에 압박을 받게 되면 휘어지는 연성부재(11),
상기 연성부재(11)에 빛이 흡수되도록 상기 몸체(5) 내측에서 발광 다이오드(7)에 빛을 상기 연성부재(11)에 조사시키는 구성이다.
삭제
상기 몸체(5) 상측 평면에 연성부재(11) 일측이 고정되고, 상기 연성부재(11) 주변에 상기 몸체(5)에 고정된 연성부재(11)가 차량 바퀴에 의해 휘어지면 잠입되도록 상기 몸체(5)에는 상기 연성부재(11)가 잠입되는 오목부(14)를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태양전지 셀에 의해 전원을 인가받아 야간이나 우천시에도 용이하게 차선을 식별할 수 있는 도로 표지병이 제공된다.
또한, 자동차의 전조등에 의해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판이 흙먼지로 덮여 조도가 현격히 낮아지거나, 파손되거나, 지면에 파묻혀 보이지 않게 되더라도 용이하게 차선을 식별할 수 있는 도로 표지병이 제공된다.
또한, 차량의 바퀴에 의해 압박을 받더라도 파손되지 않으면서, 발광다이오드에 의해 빛이 조사되어 차선의 용이한 식별이 가능한 도로 표지병이 제공된다.
또한, 도로 표지병에 협착물이 유입되더라도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하여, 용이하게 차선을 식별할 수 있는 도로 표지병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로 표지병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로 표지병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로 표지병을 나타낸 부분 단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로 표지병의 빛 조사부가 몸체 내부에 잡입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로 표지병이 자동자 바퀴에 의해 압박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로 표지병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도면 중 도 1은 본 발명 도로 표지병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도로 표지병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도로 표지병의 부분 단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도로 표지병의 빛 조사부가 도로 표지병의 몸체 내부에 잡입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 도로 표지병이 자동차 바퀴에 의해 압박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단에 지면에 삽입할 수 있는 돌출부(3)가 있고, 상부면에 태양빛을 조사받는 셀(4)이 설치된 몸체(5)가 있다.
그리고, 몸체(5)의 내부에 설치되고, 셀(4)로부터 발생된 전류를 충전받는 축전지(4')가 있다.
그리고, 상기 축전지로부터 전류를 인가받고, 기판(6)에 설치되면, 빛을 몸체(5)외부로 조사시키는 발광다이오드(7)가 있다.
그리고 상기 발광다이오드(7)의 빛을 조사받도록 몸체(5) 외부로 돌출되되 몸체의 상부에 위치되고, 몸체(5)에 설치되는 빛 조사부(8)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은 청구항 1항에 해당되는 구성이므로 이 구성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함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셀(4)은 태양빛을 조사받아 충전지에 전류를 충전하고, 충전지는 전류를 발광다이오드(7)에 인가하여 발광다이오드(7)가 그 빛을 몸체(5) 외부로 조사하도록 발광한다.
이 때 발광다이오드(7)의 빛은, 빛 조사부(8)가 흡수하게 되는 것이다. 그래서 외부에서 차량운전자가 불 빛을 보고 중앙선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빛 조사부(8) 일측은 몸체(5)에 형성된 결합부(5')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부로 길게 돌출되되 차량바퀴에 압박을 받게되면 휘여지는 연성부재(11)로 형성한다.
여기서 실시예를 설명하면, 연성부재(11)가 차량바퀴에 압박을 받아 휘여져야만 연성부재(11)가 파손되지 않는다. 만약 휘여지지 않을 경우 파손되어 본원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게 되는 무용지물의 발명이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몸체(5) 상측 평면에 연성부재(11) 일측이 고정되고, 상기 연성부재(11) 주변에 상기 몸체(5)에 고정된 연성부재(11)가 차량 바퀴에 압박을 받아 휘여지면 잠입되도록 상기 몸체(5)에는 상기 연성부재(11)가 잠입되는 오목부를 형성하였다.
이와 같이 오목부를 형성함으로써 도시한 5도와 같이 연성부재(11)가 차량 바퀴에 압박을 받아 휘어지면 오목부(14)에 잠입되는 구성임으로 연성부재를 보호할 수 있는 것이다. 만약 오목부(14)가 없게 되면 차량바퀴에 짓눌려 쉽게 파손되는 결과를 갖게 된다.
도면의 부호 중 15는 협착물이 오목부에 유입될 경우 빗물 내지는 청소차량에 의해 협착물이 배출되는 배출공이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살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3 : 돌출부, 4 : 셀
4' : 축전지 5 : 몸체
5' : 결합부 6 : 기판
7 : 발광다이오드 8 : 빛 조사부
11 : 연성부재 15 : 배출공

Claims (3)

  1. 하부에는 지면에 삽입 가능한 돌출부(3)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태양빛을 조사받는 셀(4)이 설치되는 몸체(5), 상기 몸체(5)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셀(4)로부터 발생된 전류를 충전받는 축전지(4'), 상기 축전지(4')로부터 전류를 인가 받도록 설치되는 기판(6), 빛을 상기 몸체(5) 외부로 조사시키는 발광다이오드(7),
    일측은 몸체(5)에 형성된 결합부(5')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부로 길게 돌출되되, 차량바퀴에 압박을 받게 되면 휘어지는 연성부재(11),
    상기 연성부재(11)에 빛이 흡수되도록 상기 몸체(5) 내측에서 발광 다이오드(7)에 빛을 상기 연성부재(11)에 조사시키는 구성에 있어서,
    상기 몸체(5)의 상측면에는 연성부재(11) 일측이 고정되고, 상기 몸체(5)에 결합된 연성부재(11)가 차량 바퀴에 압박을 받아 휘어지면 잠입되도록 상기 몸체(5)에는 상기 연성부재(11)가 잠입되는 오목부(1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표지병.
  2. 삭제
  3. 삭제
KR1020120036026A 2012-04-06 2012-04-06 도로 표지병 KR1013774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6026A KR101377485B1 (ko) 2012-04-06 2012-04-06 도로 표지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6026A KR101377485B1 (ko) 2012-04-06 2012-04-06 도로 표지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3667A KR20130113667A (ko) 2013-10-16
KR101377485B1 true KR101377485B1 (ko) 2014-03-25

Family

ID=49634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6026A KR101377485B1 (ko) 2012-04-06 2012-04-06 도로 표지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748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5736Y1 (ko) * 2000-04-03 2000-09-15 원백희 차선 표시 점등기
KR200249074Y1 (ko) * 2001-06-12 2001-10-17 최지호 반사판이 좌우측으로 절첩되는 도로 표지병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5736Y1 (ko) * 2000-04-03 2000-09-15 원백희 차선 표시 점등기
KR200249074Y1 (ko) * 2001-06-12 2001-10-17 최지호 반사판이 좌우측으로 절첩되는 도로 표지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3667A (ko) 2013-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94955Y1 (ko) 안전성 및 시공성을 향상시킨 볼라드
KR101184301B1 (ko) 태양전지를 이용한 도로표지병
KR101675377B1 (ko) 반사 겸용 태양열 축광식 도로표지병
KR100895722B1 (ko) 솔라 시선유도봉
KR101812163B1 (ko) 도로표지병
KR101377485B1 (ko) 도로 표지병
KR20120059158A (ko) 도로 표지병
KR20110112521A (ko) 도로경계석용 발광 보호커버
AU2009100558A4 (en) Photo-luminescent guideposts
KR20140081306A (ko) 도로 표지병
US20200370254A1 (en) Power-generating and rotating road marker using magnet
CN206052586U (zh) 一种具有自发光和反光功能的路面突起标识
KR20110082817A (ko) 도로의 차선식별장치
KR101589647B1 (ko) 1차 전지를 이용한 지중매입형 발광부재를 갖는 시선유도봉
JP2011214361A (ja) 発光機能付きコンクリート二次製品
KR20200002069U (ko) 차량 진입방지용 볼라드
KR20120001121U (ko) 도로경계석에 장착되는 led 표지장치
TWM552510U (zh) 道路凸起指示照明裝置
KR20140040467A (ko) 도로 경계석 표지병
KR20160000336U (ko) 재반사 발광구조를 갖는 시선유도봉
KR102616794B1 (ko) 태양광 충전식 발광시스템을 구비하는 부착식 도로 표지병
KR200394498Y1 (ko) 석재 볼라드
JP5986459B2 (ja) 内照式標示体
JP2014227689A (ja) 発光標識柱
KR200316229Y1 (ko) 쏠라셀을 이용한 표지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