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0336U - 재반사 발광구조를 갖는 시선유도봉 - Google Patents
재반사 발광구조를 갖는 시선유도봉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00336U KR20160000336U KR2020140005442U KR20140005442U KR20160000336U KR 20160000336 U KR20160000336 U KR 20160000336U KR 2020140005442 U KR2020140005442 U KR 2020140005442U KR 20140005442 U KR20140005442 U KR 20140005442U KR 20160000336 U KR20160000336 U KR 20160000336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ght
- light emitting
- reflective
- emitting member
- led lamp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03—Individual devices arranged in spaced relationship, e.g. buffer bollard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5—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illuminated
- E01F9/617—Illuminated or wired-up posts, bollards, pillars or like upstanding bodies or structures for traffic guidance, warning or control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21K9/68—Details of reflectors forming part of the light sourc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3—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surface-mounted type
- F21S8/032—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surface-mounted type the surface being a floor or like ground surface, e.g. pavemen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3—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 F21V23/0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arranged on a substrate, e.g. a printed circuit boar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6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sensing the level of ambient illumination, e.g. dawn or dusk senso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4—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 F21V5/045—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the lens having discontinuous faces, e.g. Fresnel lense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05B47/11—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brightness or colour temperature of ambient ligh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고안 재반사 발광구조를 갖는 시선유도봉은 상,하측이 개방된 중공관으로 이루어지고, 투명 또는 반투명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빛확산부재; 상기 빛확산부재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측으로 빛을 조사하도록 1차 전지 배터리 및 제어회로부에 의해 구동하는 발광부재; 상기 빛확산부재의 상측개방부에 조립되는 마감캡; 및 상기 마감캡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발광부재의 빛을 상기 빛확산부재 내주면으로 재반사시키는 반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시선유도봉 하부에 구비되는 발광부재와 상측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다양한 형태의 재반사 마감캡에 의해 시선유도봉의 외면 전체는 물론 특히 상부에 시선 유도를 위한 고휘도 조명이 선택적으로 가능해지므로 시선 유도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으므로 야간은 물론 안개, 비 등의 악천후에도 운전자가 시선유도봉을 보다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야간은 물론 안개, 비 등의 악천후에도 운전자가 시선유도봉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으며, 시선유도봉을을 도로에 설치 시 내장된 배터리에 의해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고, 배선이 불필요하며, 시공이 간단해진다. 또한, 제품을 만든 상태에서 출하 대기시 불필요하게 배터리 전원이 소모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시선유도봉 하부에 구비되는 발광부재와 상측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다양한 형태의 재반사 마감캡에 의해 시선유도봉의 외면 전체는 물론 특히 상부에 시선 유도를 위한 고휘도 조명이 선택적으로 가능해지므로 시선 유도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으므로 야간은 물론 안개, 비 등의 악천후에도 운전자가 시선유도봉을 보다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야간은 물론 안개, 비 등의 악천후에도 운전자가 시선유도봉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으며, 시선유도봉을을 도로에 설치 시 내장된 배터리에 의해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고, 배선이 불필요하며, 시공이 간단해진다. 또한, 제품을 만든 상태에서 출하 대기시 불필요하게 배터리 전원이 소모되는 것을 방지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시선유도봉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도로 등에 설치되는 1차 전지 배터리를 활용한 발광부재에 의하여 야간에 주행 중인 차량의 차선 유도 시인성을 극대화시키도록 하고, 특히 발광부재의 빛을 재반사시켜 발광부재의 빛 손실을 최소화함으로써 시선 유도를 위한 고휘도 발광이 가능하고 원가가 저렴한재반사 발광구조를 갖는 시선유도봉에 관한 것이다.
'도로법 제3조' 및 '도로의 구조/시설기준에 관한 규정' 제30조에 따른 도로부속물로서 '도로표지병(road sign)'과 '시선유도봉'이 있다.
이러한 '도로표지병(road sign)'과 '시선유도봉'은 특히 야간이나 우천 시(侍) 심각한 시인성(視認性) 저하가 뒤따르는 도료형 노면표지의 선형을 보완하고 운전자의 시선을 명확하게 유도하여 교통안전과 원활한 소통을 도모하기 위한 시선유도시설에 해당된다.
일반적인 시선유도봉은 도로면에 앵커볼트에 의해 고정설치되며, 봉외면에 반사지가 밴드형으로 부착된 구성이다. 이에 따라 야간에 차량의 전조등에 의한 반사지 반사빛에 의존하는 구성이므로 도로 표지병과 같이 엘이디 점등 방식의 도로표지병 보다 시인성이 매우 낮은 문제가 내재되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 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39867호(2012.04.18) "시선유도봉"이 개시되어 있다.
선행기술은 태양전지판이 시선유도봉 상부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단가가 매우 높아 실제 도로에 적용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태양전지판 위로 먼지나 차량 매연 등으로 인해 이물질이 부착이 되면 태양전지판의 기능을 상실하게 충전 기능을 수행할 수 없어 주기적으로 청소를 해야하는 부가적인 유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태양전지판의 충전에 의해 작동하는 엘이디 파이프는 시선유도봉 외면 전체를 발광시키기 위하여 다수의 엘이디와 바(bar) 형태의 PCB가 구비되지만 전체적인 균일한 휘도를 유지하여 발광시키는데 한계가 있었다.
그리고, 태양전지판 및 배터리가 시선유도봉의 상부에 위치되고, 엘이디 파이프가 수직으로 내장되어 있는 구성이므로 차량에 의해 파손거나 전기 회로의 작동 불량이 발생하는 경우 시선유도봉의 시선 유도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함으로써 시선 유도봉을 교체 및 수리하는 동안 교통 사고 발생 우려가 매우 높은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재반사 발광구조를 갖는 시선유도봉은 다음과 같은 과제의 해결을 목적으로 한다.
첫째, 야간은 물론 안개, 비 등의 악천후에도 운전자의 식별이 용이한 시인성이 매우 높은 1차 전지를 이용한 저전력 소비가 가능하고 제조 원가가 저렴하며, 시선유도봉 상측면에 구비되는 다양한 형태의 재반사 기능을 갖는 마감캡에 의한 고휘도의 조명이 가능하도록 하여 시선 유도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재반사 발광구조를 갖는 시선유도봉을 제공하고자 한다.
둘째, 1차 전지 배터리를 내장하여 주로 야간에만 점등되도록 하여 배터리 소모를 줄임으로써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고, 배선이 불필요하며, 시공이 간단한 재반사 발광구조를 갖는 시선유도봉을 제공하고자 한다.
셋째, 차량과 충돌 직후에 시선유도봉이 파손되더라도 지중에 매입된 발광부재에 의하여 점등 방식의 시선 유도 기능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재반사 발광구조를 갖는 시선유도봉을 제공하고자 한다.
넷째, 제품을 만든 상태에서 출하대기시 불필요하게 배터리 전원이 소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어기능을 갖는 재반사 발광구조를 갖는 시선유도봉을 제공하고자 한다.
다섯째, 엘이디 주변으로 확산되는 빛을 상방으로 집중시킬 수 있어 엘이디발광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재반사 발광구조를 갖는 시선유도봉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재반사 발광구조를 갖는 시선유도봉은, 상,하측이 개방된 중공관으로 이루어지고, 투명 또는 반투명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빛확산부재; 상기 빛확산부재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측으로 빛을 조사하도록 1차 전지 배터리 및 제어회로부에 의해 구동하는 발광부재; 상기 빛확산부재의 상측개방부에 조립되는 마감캡; 및 상기 마감캡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발광부재의 빛을 상기 빛확산부재 내주면으로 재반사시키는 반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반사부재는 거울 또는 반사필름 또는 반사시트로 이루어지고, 이면에 상기 마감캡에 저면에 부착하기 위한 접착층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반사부재는 마감캡 저면에 도금 또는 코팅(아노다이징) 가공처리에 의해 형성되는 고조도반사층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반사부재는 상기 마감캡 저면 정중앙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45°이내의 경사면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반사부재는 구면 또는 비구면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반사부재는 표면에 난반사를 위한 다수의 반사돌기 또는 반사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발광부재는 도로의 설치공에 매입 설치되는 것으로, 상면이 개구된 함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도로면에 안착되는 발광본체와, 상기 발광본체 하부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상기 설치공에 매입 설치되고, 내부에 1차전지 배터리가 수용되는 매입포스트와, 상기 배터리 위로 적층되어 전기 회로적으로 접속되며 저전력구동회로와, 조도센서 및 기울기 센서를 포함하는 제어회로부와, 상기 제어회로부의 PCB기판 상에 실장되어 상기 빛확산부재 내주면을 향해 빛을 조사하는 엘이디램프와, 상기 발광본체 개구부에 밀폐되게 조립되며, 상기 엘이디램프에서 조사되는 빛을 상기 빛 확산부재 내주면으로 투광시키는 커버렌즈와, 상기 엘이디램프 주변에 상기 엘이디램프의 빛을 상방으로 집중시키기 위한 오목한 구면을 가진 반사갓(8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발광부재 상부 전체를 감싸도록 이루어지고, 가장자리에는 체결부재에 의해 지면에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체결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면 중앙에 상기 발광부재의 조사 영역에 대응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베이스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빛확산부재는 합성수지 또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지고, 내주면에는 다수의 빛확산돌기가 배열 형성되어 있으며, 빛확산부재의 하측 개방부는 상기 관통공에 연통되게 장착되어 상기 발광부재에서 방출되는 빛을 외부로 확산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발광부재의 내부 일측에는 상기 발광부재 외면에 구비되는 센싱부재에 의해 상기 발광부재의 작동을 온/오프시키는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기로 상기 센싱부재는 자석으로 되고, 상기 감지센서는 자석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재반사 발광구조를 갖는 시선유도봉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시선유도봉 하부에 구비되는 발광부재와 상측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다양한 형태의 재반사 마감캡에 의해 시선유도봉의 외면 전체는 물론 특히 상부에 시선 유도를 위한 고휘도 조명이 선택적으로 가능해지므로 시선 유도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으므로 야간은 물론 안개, 비 등의 악천후에도 운전자가 시선유도봉을 보다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게 된다.
둘째, 시선유도봉에 배터리를 내장하여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고, 배선이 불필요하며, 시공이 간단하다.
셋째, 제품을 만든 상태에서 출하 대기시 불필요하게 배터리 전원이 소모되는 것을 방지한다.
넷째, 엘이디 주변으로 확산되는 빛을 상방으로 집중시킬 수 있으므로 마감캡 하부에 구비된 반사부재를 통해 빛확산부재를 통한 고휘도 조명이 가능해져 저전력 엘이디를 적용하더라도 시선 유도를 위한 발광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배터리 사용시간을 늘리는 효과를 함께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 재반사 발광구조를 갖는 시선유도봉을 나타낸 개략 정면도,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재반사 발광구조를 갖는 시선유도봉의 일체형 구성을 나타낸 설치상태 종단면도,
도 4는 본 고안 재반사 발광구조를 갖는 시선유도봉의 착탈형 구성을 나타낸 설치상태 종단면도,
도 5 내지 도 9는 본 고안 재반사 발광구조를 갖는 시선유도봉의 반사부재의 실시예들을 나타낸 요부확대단면도들,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발광부재의 전원 소모 저감 기능이 구비된 제어회로부의 일례를 나타낸 회로도,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발광부재의 제어 장치의 동작을 순서대로 도시한 순서도,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재반사 발광구조를 갖는 시선유도봉의 일체형 구성을 나타낸 설치상태 종단면도,
도 4는 본 고안 재반사 발광구조를 갖는 시선유도봉의 착탈형 구성을 나타낸 설치상태 종단면도,
도 5 내지 도 9는 본 고안 재반사 발광구조를 갖는 시선유도봉의 반사부재의 실시예들을 나타낸 요부확대단면도들,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발광부재의 전원 소모 저감 기능이 구비된 제어회로부의 일례를 나타낸 회로도,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발광부재의 제어 장치의 동작을 순서대로 도시한 순서도,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 재반사 발광구조를 갖는 시선유도봉을 나타낸 개략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 재반사 발광구조를 갖는 시선유도봉의 일체형 구성을 나타낸 설치상태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 재반사 발광구조를 갖는 시선유도봉의 착탈형 구성을 나타낸 설치상태 종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재반사 발광구조를 갖는 시선유도봉(100)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부재(10)와, 빛 확산부재(40)와, 마감캡(60) 및 반사부재(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빛확산부재(40)는 상,하측이 개방된 중공관으로 이루어지고, 투명 또는 반투명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빛 확산부재(40)는 후술된 베이스부재(30)의 빛 조사 영역 위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거나 일체형으로 이루어져 시선유도봉(100)을 구성할 수 있다.
즉, 본 고안에서 상기 빛 확산부재(40)는 상기 발광부재(10)에서 방출되는 빛을 외부로 확산시키도록 투명체 또는 반투명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빛 확산부재(40)는, 투명체 또는 반투명체로 이루어지는 합성수지 또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빛확산부재(40) 외형 구성은 상부가 폐쇄된 관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하측이 모두 개방된 중공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처럼 빛확산부재(40)는 후술된 베이스부재(30)의 조사 영역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관통공(32)과 연통되게 장착되어 상기 발광부재(10)에서 방출되는 빛을 외부로 확산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빛 확산부재(40) 내주면에는 다수의 빛 확산돌기(41)가 배열 형성되어 엘이디램프(105)에서 수직 방향으로 조사된 빛이 빛 확산부재(40) 내주면 전체에 고르게 확산되어 외면 전체로 투영되는 발광 휘도가 균일한 면 발광 휘도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빛 확산돌기(41)는 다수의 미세한 돌기 또는 홈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빛 확산부재(40) 내주면에 방사 형태로 배열되거나 또는 일정한 무늬 또는 난반사무늬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빛 확산부재(40) 외면에는 반사지(R)가 부착되어 상기 반사지(R) 이외의 영역으로 상기 발광부재(10)의 빛이 외부로 발광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반사지(R)를 밴드형상으로 간격을 두고 상하로 배열하여 구성하는 경우에 반사지(R)가 형성된 부위는 빛이 투과되지 않게 되고 그 사이 영역으로 후술된 바와 같이 발광부재(10)의 엘이디램프(23) 빛이 투영됨으로써 엘이디 조명에 의한 확실한 시선 유도 기능을 발휘하게 된다. 그리고, 주간에는 반사지(R)에 의한 시선 유도기능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발광부재(10)는 상기 빛확산부재(4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측으로 빛을 조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 의하면 상기 발광부재(10)는 도로(1)의 설치공(2)에 매입되어 충진접착제(3)에 의해 고정 설치되고, 상측으로 빛을 조사하도록 1차 전지형 배터리(22)와 엘이디램프(105) 및 제어회로부(2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발광부재(10)는, 상면이 개구된 함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도로(1)에 안착되는 발광본체(11)를 포함한다.
상기 발광본체(11)는 원형 또는 사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가장자리는 경사지게 이루어져 기존의 도로표지병과 같이 도로(1) 지면에서 심하게 돌출되지 않는 슬림한 디자인을 갖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발광본체(11) 위로 상기 베이스부재(30)가 위로 조립되었을 때 빛 확산부재(40)가 파손된 직후 차량 바퀴가 빛 확산부재(40)위를 감싸고 있는 베이스부재(30) 위를 충분히 지나갈 수 있도록 베이스부재(30)의 외형은 최대한 납작한 디자인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발광본체(11) 하부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상기 설치공(2)에 매입 설치되고, 내부에 상기 배터리(22)가 수용되는 매입포스트(12)를 포함한다.
상기 매입포스트(12)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배터리(22)가 수용될 수 있는 배터리 수납부(12a)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매입포스트(12)의 외면에는 설치공(2)에 주입되는 에폭시수지와 같은 충진접착제(3)와 접착력을 높이도록 돌기 또는 홈 형태 무늬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매입포스트(12)의 저면에는 상기 충진접착제(3)가 경화되어 일체로 결속되기 위한 복수의 결속공(16)이 측방향으로 형성된 결속부(17)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충진접착제(3)가 도포되고 경화되면서 설치공(2)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는 결속력을 보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처럼 에폭시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발광부재(10)를 도로(1)의 설치공(2)에 매립하게 되는데, 상기 결속부는 발광부재(10)의 회전을 방지하고 설치공(2)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설치공(2)에는 에폭시 접착제를 채움으로써 상기 발광부재(10)가 더욱 견고하게 도로(1)에 시공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발광본체(11)의 상단 외측으로 연장부가 돌출 형성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연장부는 발광본체(11)의 외형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로(1)에 발광부재(10)를 설치하는 경우 발광본체(11)의 수평을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연장부는 사각형 또는 원형 등으로 이루어져 상기 발광본체(11)를 둘러싸고 있는 형태로 형성되며 도로(1)의 수평면에 접하면서 발광부재(10)의 전체적인 수평을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부재(10)는 상기 배터리(22) 위로 적층되어 전기적으로 회로적으로 접속되는 상기 제어회로부(20)와, 상기 제어회로부(20)의 PCB기판(21) 상에 실장되어 상기 빛 확산부재(40) 내주면을 향하도록 빛을 조사하는 상기 엘이디램프(105)와, 상기 발광본체(11) 개구부(11a)를 폐쇄하도록 조립되며, 상기 엘이디램프(105)에서 조사되는 빛을 상기 빛 확산부재(40) 내주면으로 투광시키는 커버렌즈(1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회로부(20)는 PCB기판(21)상에 배터리 전원에 의해 구동하여 엘이디램프(23)를 점등 또는 점멸 방식으로 구동하기 위한 구동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특히 엘이디램프(23)는 PCB기판(21) 정중앙에 한 개의 엘이디램프(23)를 실장하거나 또는 복수 개의 엘이디램프(23)를 PCB기판(21) 상에 일정 간격을 방사 형태로 실장시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엘이디램프(23)는 시선 유도를 위하여 적색 또는 단색 발광 엘이디칩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다색 발광 엘이디칩으로 구성되는 경우 도로(1) 상황에 대응하여 무선 방식으로 다양한 형태의 경고를 하도록 제어회로부(20)를 통해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발광본체(11) 개구부(11a)에 상기 커버렌즈(13)가 장착되는 안착부(14)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14)에는 실링부재(15)가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수분이나 오염물질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으므로 발광본체(11) 내부에 수용된 배터리(22)와 제어회로부(20)의 부품 및 엘이디램프(23)의 습기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장기간 보관이 가능해지며 또는 침수가 잦은 도로(1)에 설치하여 사용 가능한 장점을 제공한다.
상기 실링부재(15)는 탄성을 가진 고무, 실리콘 등의 소재가 적합하며, 실링부재(15)는 방수기능 및 발광본체(11)와 커버렌즈(13) 사이의 충격을 흡수하여 파손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 다른 구성으로서,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1차 전지형 배터리(22)와 엘이디램프(105) 및 제어회로부(20) 외면 전체에는 상기 발광본체(11) 내부로 충진되는 투명실리콘 등의 투명방수부재(19)에 의해 방수 처리한 후 상기 발광본체(11) 개구부(11a)에 상기 커버렌즈(13)가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한 실링부재(15)가 추가로 더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처럼 여러 단계의 방수처리에 의해 겨울철의 결로나 장마철의 방수 문제에 대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실링부재(15)에 의한 방수 기능보다 탁월한 방수 성능을 발휘하게 되므로 특히 빈번한 침수 구간의 도로(1)에 설치할 때 매우 유용하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발광부재(10) 상부 전체를 감싸도록 이루어진 베이스부재(3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부재(30)는 상기 발광부재(10) 외면 전체를 감싸도록 이루어지고, 가장자리에는 체결부재(B)에 의해 지면에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체결구멍(3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면 중앙에 상기 지중 매입형 발광부재(10)의 조사 영역에 대응되는 관통공(32)이 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처럼 상기 베이스부재(30)는 상기 발광부재(10)의 빛 조사 영역을 제외한 상부 전체를 감싸면서 체결부재(B)에 의해 상기 도로(1) 지면에 박힌 앵커부재(A)에 체결되어 고정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부재(30)는 저부에 상기 발광부재(10) 외형에 대응되게 형성된 수용부(33)가 형성되어 있고, 외면은 도로(1) 지면에서 최대한 돌출되지 않은 높이를 유지하는 원반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빛확산부재(4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합성수지 또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지고, 내주면에는 다수의 상기 빛확산돌기(41)가 배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빛확산부재(40)의 하측 개방부는 상기 관통공(32)에 연통되게 장착되어 상기 발광부재(10)에서 방출되는 빛을 외부로 균일하게 확산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재(30)는 알루미늄과 같이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거나 강화 플라스틱재질로 이루어져 차량과 충돌시 쉽게 파손되지 않도록 구성됨으로써 후술된 바와 같이 빛 확산부재(40)가 교체형으로 이루어진 경우 빛 확산부재(40)만 부분 교체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만 도 3과 같이 빛 확산부재(40)와 베이스부재(30)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빛 확산부재(40)와 동일한 연질의 합성수지 또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져 발광부재(10)를 제외한 빛확산부재(40)와 베이스부재(30)를 전체 교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고안에 의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빛 확산부재(40)와 상기 베이스부재(30)는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빛 확산부재(40)와 베이스부재(30)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빛 확산부재(40)가 파손되더라도 베이스부재(30)가 발광부재(10)와 별개로 도로(1) 지면에 체결부재(B)에 의해 고정 설치되어 있으므로 체결부재(B)를 풀기만 하면 간편하게 전체 교체가 가능해진다.
또 다른 구성으로서, 도면에는 본 고안에 의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빛 확산부재(40)와 상기 베이스부재(30)는 착탈 가능한 분리형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빛 확산부재(40) 외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베이스부재(30)의 관통공(32) 내주면과 나사 체결되는 체결링(50)에 의해 상기 빛 확산부재(40)를 상기 베이스부재(30)로부터 교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체결링(50)은 도면에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외형이 다각형상으로 이루어지거나 외주면에 미끄럼방지돌기나 패턴이 형성되어 체결이 용이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재(30)는 알루미늄과 같은 경량 금속 또는 강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빛 확산부재(40)는 연질의 합성수지 또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빛 확산부재(40)가 차량 충돌에 의해 부서지거나 찢어지는 경우 체결링(50)을 분리하면 빛 확산부재(40)만 간편하게 부분 교체 가능해지므로 교체 비용이 전술한 전체 교체 비용보다 절감되는 장점이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마감캡(60)은 상기 빛확산부재의 상측개방부에 조립되며, 상기 마감캡(60)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발광부재의 빛을 상기 빛확산부재 내주면으로 재반사시키는 반사부재(160)를 포함하는 점이 본 고안의 가장 큰 특징적인 구성이다.
먼저 도 5와 같이 상기 반사부재(160)는 이면에 상기 마감캡(60)에 저면에 부착하기 위한 접착층(161)을 가진 거울 또는 반사필름 또는 반사시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마감캡(60)은 상기 빛 확산부재(40)의 상부에 형성된 상측개구부(42)에 ㅁ마감(60) 조립을 위해 마감캡(60) 하부 외주면과 개구부 내주면에 나사부(미도시)가 형성되어 나사 조립식으로 체결될 수 있으며, 체결돌기(미도시)와 체결홈(미도시)을 형성하여 스냅식 또는 억지끼움식으로 조립할 수 있고, 접착 방식으로 조립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거울이나 반사필름 반사시트는 공지의 구성으로서 직진성이 강한 엘이디램프가 빛확산부재의 하부에서부터 상측까지 조사될 때 엘이디램프에 가까운 쪽은 휘도가 양호하지만 멀리 떨어진 빛확산부재의 상단부분은 하부에 비해 휘도가 낮을 수 밖에 없다.
따라서, 마감캡(60) 저면에 거울이나 반사필름 또는 반사시트를 점착층에 의해 부착하게 되면 엘이디램프의 빛이 전반사되어 빛확산부재의 상단부위 휘도가 증대됨으로써 시선유도봉(100) 전체에 균일한 빛이 방출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반사부재(160)는 다른 구성으로서 도 6과 같이 마감캡(60) 저면에 도금 또는 코팅(아노다이징) 가공처리에 의해 형성되는 고조도반사층(16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마감캡(60)을 사출 성형 또는 알루미늄 다이캐스팅 성형 또는 금속재질을 판재를 프레스 가공하여 제작한 후 후공정으로서 표면 조도가 고조도가 나올 수 있는 크롬 도금이나 아노다이징 처리를 하여 마감캡(60) 저면 또는 마감캡(60) 외면 전체에 고조도반사층(162)을 형성시킨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엘이디램프의 빛을 반사시키는 거울이나 반사필름 또는 반사시트를 부착하지 않고 마감캡(60) 저면에 고조도반사층(162)을 형성시킬 수 있다.
따라서, 마감캡(60)의 저면을 단순한 평면으로 구성하면 거울이나 반사필름 반사시트를 부착할 수 있겠지만 마감캡(60)의 저면을 곡면이나 3차적적 반사 패턴 형상 등을 적용이 불가능하다.
하지만 상기 고조도반사층(162)은 1차 성형된 마감캡(60)의 저면의 외면에 도금 또는 아노다이징 처리를 하는 방식이므로 다양한 형태의 고조도반사층(162)을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도금 방식은 마감캡(60)이 합성수지 또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아노다이징은 마감캡(60)이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경징 아노다이징 처리하여 표면 조도가 높은 고조도코팅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반사부재(160)는 또 다른 구성으로서 도 7a 및 도 7b와 같이 상기 마감캡(60) 저면 정중앙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45°이내의 경사면(16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7a와 같이 경사면(163)이 마감캡(60)의 저면 정중앙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된 원추형 45°이내의 경사면(163)을 이루어 오목한 원추형을 이루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엘이디램프의 빛은 오목한 원추형 경사면(163)에 반사되어 내측으로 확산되면서 반대쪽의 빛확산부재의 상단부 내주면 전체에 고르게 확산됨으로서 시선유도봉(100) 전체에 균일한 발광이 가능해지므로 시선 유도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또한 도 7b와 같이 경사면(163)이 마감캡(60) 저면 정중앙으로부터 외측으로 45°이내의 경사면(163)을 이루어 볼록한 원추형을 이루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엘이디램프의 빛은 볼록한 원추형 경사면(163)에 반사되어 곧바로 외측으로 확산됨으로서 빛확산부재의 상단부 내주면 전체에 고르게 확산됨으로써 시선유도봉(100) 전체에 균일한 발광이 가능해지므로 시선 유도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반사부재(160)는 또 다른 구성으로서 도 8a 및 도 8b와 같이 구면(164) 또는 비구면(16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구면(164)은 일정한 곡률값으로 이루어진 것을 말하며, 비구면(165)은 여러 크기의 곡률들이 연속하여 이루어진 것을 의미한다.
예컨대 도 8a와 같이 상기 마감캡(60) 저면 정 중앙부를 향하여 볼록하게 형성되거나 도 8b와 같이 오목한 형태로 구면(164) 또는 비구면(165)이 형성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구면(164) 또는 비구면(165)의 곡률에 따라 빛확산부재의 상단부의 발광 조도를 곡률값에 의해 자유자재로 변화시킬 있게 된다.
즉, 도로의 상황에 따라 시선유도봉(100)의 상단부 조도를 마감캡(60)의 선택적인 적용에 의해 다양한 시선 유도를 위한 상부 조명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한편, 상기 반사부재(160)는 또 다른 구성으로서 도 9a 및 도 9b와 같이 표면에 난반사를 위한 다수의 반사돌기(166) 또는 반사홈(167)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반사돌기(166)와 반사홈(167)의 형상은 원형, 사각형, 삼각형, 오각형 등의 다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외에도 난반사를 위한 다양한 패턴 형태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마감캡(60)의 저면에 부착되는 거울이나 반사필름 반사시트와 경사면(163) 그리고 구면(164) 또는 비구면(165)의 표면에 반사돌기(166)와 반사홈(167)이 함께 선택적으로 적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엘이디램프의 빛을 더욱 산란시킬 수 있으므로 빛확산부재의 상단부 시선 유도 조명효과를 보다 다양한 형태로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이처럼 본 고안의 시선유도봉(100)은 엘이디램프 빛 반사 작용을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는 마감캡(60)과 반사부재(160)를 제공함으로써 시선유도봉(100)의 상단부에서 도로 상황에 적합한 다양한 형태의 시선 유도 효과를 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엘이디램프(23) 주변에는 상기 엘이디램프(23)의 빛을 전방으로 집중시키기 위한 오목한 구면을 가진 반사갓(8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표면 조도가 양호한 금속판을 프레스 가공 성형하여 오목한 구면을 구성하고 그 표면은 연마 처리하여 빛이 상측으로 재 반사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다른 구성으로서 사출 금형에 의해 오목한 구면을 가진 반사갓(80)을 1차 사출 성형한 후 표면 전체를 도금 처리함으로써 빛을 반사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반사갓(80) 중앙은 관통구멍(미도시)이 형성되어 PCB기판(21) 중앙에 배치되는 엘이디램프(23)가 수용하도록 하여 엘이디램프(23)의 빛이 상방으로 조사되면서 그 주변으로 확산되거나 되돌아오는 빛이 반사갓(80)에 의해 상방향으로 재반사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다른 형태로서 PCB기판(21)에 엘이디램프(23)가 반사갓(80) 전체 면적에 대응되게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경우에는 반사갓(80)를 투명도가 양호한 PP 또는 PC 재질로 사출 성형하여 방사형으로 배치된 엘이디램프(23)의 빛이 반사갓(80)를 투과하여 빛이 전면적으로 조사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반사갓(80)의 오목한 구면에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난반사를 위한 다수의 돌기 또는 홈이 패턴형태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상기 반사갓(80)의 양측에는 체결구멍(81)이 각각 형성되어 체결나사(S)에 의해 조립되어 발광본체(11) 개구부(11a)를 폐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반사갓(80) 일측에는 투명방수부재(19)를 충진하기 위한 주입홀(82)이 수직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반사갓(80)를 상기 발광본체(11)와 조립하여 밀폐되도록 한 후 반사갓(80)의 내측으로 배터리와 제어회로부(20) 전체를 감싸도록 투명방수부재(19)를 주입함으로써 완벽한 방수가 가능해진다.
그리고, 전술한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반사갓(80)와 상기 커버렌즈(13)사이에 엘이디램프(23)를 포함하여 방수 처리가 되도록 투명실리콘과 같은 투명방수부재(19)를 도포하여 보다 완벽한 방수 구조를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지중 매입형 발광부재(10)는 외부의 빛을 감지하여 주간모드와 야간모드를 식별하는 조도센서(101)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외부 빛은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지는 빛 확산부재(40) 내부로 유입되는 조도를 감안하여 조도센서(101)의 감지 상태를 조절하여 주간 및 야간모드에 따라 엘이디 모듈을 발광할 수 있도록 제어회로부(20)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지중 매입형 발광부재(10)는 지중 매입형 발광부재(10)의 기울어진 정도를 감지하여 지중 매입형 발광부재(10)의 기울어진 정도가 설정 값 이상인 경우 온 신호를 출력하고, 지중 매입형 발광부재(10)의 기울어진 정도가 설정 값 미만인 경우 오프 신호를 출력하는 기울기센서(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기울기센서(7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회로부(20)와 연동하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상기 발광부재(10)의 기울어진 정도를 감지하여 상기 발광부재(10)의 기울어진 정도가 설정 값 이상인 경우 온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발광부재(10)의 기울어진 정도가 설정 값 미만인 경우 오프 신호를 출력하도록 기울기센서(70)를 구성한다.
또한, 상기 발광부재(10) 주변의 밝기를 감지하는 CDS 센서(101), 밝기 기준전압을 발생하는 기준전압 발생부(102), 발광부재(10)의 엘이디램프(105), 와치 독(watch dog) 모드와 슬립(sleep) 모드를 주기적으로 반복 수행하고, 상기 와치 독 모드 수행시, 상기 기울기센서(70)의 출력 신호 체크 동작과 상기 조도센서(101)의 감지 전압과 밝기 기준전압 간의 비교 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기울기센서(70)의 출력 신호가 온 신호이거나 상기 조도센서(101)의 감지 전압이 상기 밝기 기준전압 이상인 경우 배터리(22) 전원이 발광부로 공급되지 않도록 하여 발광부가 오프되도록 하고 슬립 모드를 개시시키고, 상기 기울기센서(70)의 출력 신호가 오프 신호이면서 상기 조도센서(101)의 감지 전압이 상기 밝기 기준전압 미만인 경우 배터리(22) 전원이 발광부로 공급되도록 하여 발광부가 온 되도록 하고 상기 온 상태가 설정 시간 동안 유지되도록 한 후 발광부가 오프되도록 하고 슬립 모드를 개시시키는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10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조이다.
여기서, 기울기센서(70)는 발광부재(10)의 기울어진 정도를 감지하여 발광부재(10)의 기울어진 정도가 설정 값 이상인 경우 예를 들어, 발광부재(10)가 뒤집어진 경우(제품 만든 상태에서 출하대기시 뒤집어서 보관하게 되는데 이 경우에 해당됨) 온 신호를 출력하고, 발광부재(10)의 기울어진 정도가 설정 값 미만인 경우 즉, 정상 상태인 경우 오프 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다.
참고적으로 상기한 조도센서(101)는 발광부재(10) 주변의 밝기를 감지하는 것이다. 그래서, 발광부재(10) 주변의 밝기가 설정 밝기 이상인 경우 발광부재(10)의 엘이디램프(105)가 발광되지 않도록 하고, 발광부재(10) 주변의 밝기가 설정 밝기 미만인 경우(즉, 어두운 경우) 발광부재(10)의 엘이디램프(105)가 발광되도록 한다.
기준전압 발생부(102)는 밝기 기준전압을 발생하는 것이다.
발광부재(10)의 엘이디램프(105)는 다수의 LED 램프로 구성되며, 배터리(22)로부터 전원이 공급된 경우 발광하고, 배터리(22)로부터 전원이 공급되지 않은 경우 발광하지 않는다.
제어부는 와치 독(watch dog) 모드와 슬립(sleep) 모드를 주기적으로 반복 수행하고, 상기 와치 독 모드 수행시, 상기 기울기센서(70)의 출력 신호 체크 동작과 상기 조도센서(101)의 감지 전압과 밝기 기준전압 간의 비교 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기울기센서(70)의 출력 신호가 온 신호이거나 상기 조도센서(101)의 감지 전압이 상기 밝기 기준전압 이상인 경우 배터리(22) 전원이 발광부재(10)로 공급되지 않도록 하여 발광부재(10)가 오프되도록 하고 슬립 모드를 개시시킨다.
그리고, 상기 기울기센서(70)의 출력 신호가 오프 신호이면서 상기 조도센서(101)의 감지 전압이 상기 밝기 기준전압 미만인 경우 배터리(22) 전원이 발광부로 공급되도록 하여 발광부재(10)가 온 되도록 하고 상기 온 상태가 설정 시간 동안 유지되도록 한 후 발광부재(10)가 오프되도록 하면서 슬립 모드를 개시시키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제어회로부(20)는 와치 독 모드 개시시 측정부 전원이 온 되도록 하고, 발광부 오프시 측정부 전원이 오프되도록 한다.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발광부재의 제어 장치의 동작을 순서대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먼저, 와치 독 모드가 수행된 경우(S201), 측정부 전원이 온 되도록 하고 기울기센서(70)를 체크한다.
상기 체크 결과, 기울기센서(70)의 출력 신호가 온 신호인 경우 배터리(22) 전원이 발광부재(10)의 엘이디램프(105)로 공급되지 않도록 하여 엘이디램프(105)가 오프되도록 하고 슬립 모드를 개시시킨다.
반면, 상기 체크 결과, 기울기센서(70)의 출력 신호가 오프 신호인 경우, 조도센서(101)의 감지 전압과 밝기 기준전압을 비교한다(S203).
상기 기울기센서(70)의 기울어진 정도를 감지하여 발광부재(10)의 기울어진 정도가 설정 값 이상인 경우 예를 들어, 발광부재(10)가 뒤집어진 경우(제품 만든 상태에서 출하대기시 뒤집어서 보관하게 되는데 이 경우에 해당됨) 온 신호를 출력하고, 발광부재(10)의 기울어진 정도가 설정 값 미만인 경우 즉, 정상 상태인 경우 오프 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비교 결과, 조도센서(101)의 감지 전압이 밝기 기준전압 미만인 경우, 배터리(22) 전원이 발광부로 공급되도록 하여 발광부가 온 되도록 하고, 상기 온 상태가 설정 시간 동안 유지되도록 한 후 엘이디램프(105)가 오프되도록 하고(더불어, 측정부 전원이 오프되도록 하고) 슬립 모드를 개시시키는 동작을 수행한다.
반면, 상기 비교 결과, 조도센서(101)의 감지 전압이 밝기 기준전압 이상인 경우, 배터리(22) 전원이 발광부로 공급되지 않도록 하여 엘이디램프(105)가 오프되도록 하고(더불어, 측정부 전원이 오프되도록 하고) 슬립 모드를 개시시키는 동작을 수행한다(S205).
한편, 본 고안에 의하면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광부재(10)의 매입포스트(12) 내부 일측에는 상기 매입포스트(12) 외면에 구비되는 센싱부재(90)에 의해 상기 발광부재(10)의 작동을 온/오프시키는 감지센서(91)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있다.
전술한 기울기 센서(103)는 발광본체(10)의 자세가 거꾸로 뒤집은 상태인지를 체크하여 발광부재(10)를 온/오프시키는 구성이라면 본 실시예에 따른 센싱부재(90)와 감지센서(91)는 비접촉식 센싱 방식에 의해 발광부재(10)를 온/오프시키는 구성이다.
예컨대, 상기 센싱부재(90)는 자석으로 되고, 상기 감지센서(91)는 자석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매입포스트(12) 내부 일측에 제어회로부(20)와 연결되도록 내장된 자석센서 외측으로 상기 매입포스트(12) 외면에 자석이 부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자석센서가 오프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상기 발광부재가 점등하지 않는 소등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출하 전 보관 기간 동안 배터리(22)가 소모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도로에 설치할 때에는 자석을 제거하면 자석센서가 온 상태가 됨으로써 배터리(22) 전원에 의해 발광부재(10)가 제어회로부(20)에 의해 주,야간을 구분하여 스스로 점등 또는 점멸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센싱부재(90)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매입포스트(12)에 접착제로 임시 부착하거나 접착테이프와 같은 고정밴드 등으로 감아 임시로 고정시킴으로써 제품 출하 전 보관 과정에서 자석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한 발광부재(1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선 방향의 양쪽 상단 일부분에 측면커버렌즈(18)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발광본체(11)를 감싸면서 도로(1) 지면에 설치되는 상기 베이스부재(30)의 측면에도 상기 측면커버렌즈(18) 외형에 해당하는 관통구멍이나 홈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발광부재(10)의 엘이디램프(105)의 빛이 상기 측면커버렌즈(18)를 통해서 베이스부재(30) 측면 외부로 비춰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시선유도봉(100)의 상단부가 마감캡(60)과 반사부재(160)에 의하여 저전력 엘이디램프를 적용하면서도 고휘도로 발광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베이스부재(30)의 측면에서도 도로표지병과 같은 기능을 하는 빛이 조사됨으로써 도로(1)를 주행하는 차량의 운전자가 확실히 인식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빛 확산부재(40)가 파손되는 경우 측면커버렌즈(18)를 통해 차선 방향으로 빛이 조사되기 때문에 시선 유도 기능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장점도 함께제공한다.
그리고, 측면커버렌즈(18)를 구비하는 발광부재(10)는 단독적으로 도로표지병과 같이 도로(1) 지면에 설치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발광부재(10)의 상측으로 빛이 조사됨은 물론 양측면에서도 동시에 엘이디 빛이 조사됨으로써 기존의 점등식 도로표지병 보다 확실한 시선 유도 기능도 함께 발휘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한 커버렌즈(13) 및 측면커버렌즈(18)는 외부로 노출되는 표면에 자동차의 매연, 도로(1) 바닥포장자재의 알카리성분에 의한 부식을 방지하고 일정한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코팅을 형성하여 내구성 및 내식성을 확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실용신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도로
2: 설치공
3: 충진접착제
10: 발광부재 11: 발광본체
11a: 개구부 12: 매입포스트
12a: 배터리 수납부 13: 커버렌즈
14: 안착부 15: 실링부재
16: 결속공 17: 결속부
18: 측면커버렌즈 19: 투명방수부재
20: 제어회로부 21: PCB기판
22: 배터리 23: 엘이디램프
30: 베이스부재 31: 체결구멍
32: 관통공
40: 빛 확산부재 41: 빛 확산돌기
42: 상측개구부
50: 체결링
60: 마감캡
160: 반사부재 161: 접착층
162: 고조도반사층 163: 경사면
164: 구면 165: 비구면
166: 반사돌기 167: 반사홈
70: 기울기센서
80: 반사갓 81: 체결구멍
82: 주입홀
90: 센싱부재 91: 감지센서
100: 시선유도봉 101: 조도센서
102: 기준전압 발생부
B: 체결부재 A: 앵커부재
S: 체결나사 R: 반사지
3: 충진접착제
10: 발광부재 11: 발광본체
11a: 개구부 12: 매입포스트
12a: 배터리 수납부 13: 커버렌즈
14: 안착부 15: 실링부재
16: 결속공 17: 결속부
18: 측면커버렌즈 19: 투명방수부재
20: 제어회로부 21: PCB기판
22: 배터리 23: 엘이디램프
30: 베이스부재 31: 체결구멍
32: 관통공
40: 빛 확산부재 41: 빛 확산돌기
42: 상측개구부
50: 체결링
60: 마감캡
160: 반사부재 161: 접착층
162: 고조도반사층 163: 경사면
164: 구면 165: 비구면
166: 반사돌기 167: 반사홈
70: 기울기센서
80: 반사갓 81: 체결구멍
82: 주입홀
90: 센싱부재 91: 감지센서
100: 시선유도봉 101: 조도센서
102: 기준전압 발생부
B: 체결부재 A: 앵커부재
S: 체결나사 R: 반사지
Claims (9)
- 상,하측이 개방된 중공관으로 이루어지고, 투명 또는 반투명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빛확산부재;
상기 빛확산부재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측으로 빛을 조사하도록 1차 전지 배터리 및 제어회로부에 의해 구동하는 발광부재;
상기 빛확산부재의 상측개방부에 조립되는 마감캡; 및
상기 마감캡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발광부재의 빛을 상기 빛확산부재 내주면으로 재반사시키는 반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반사 발광구조를 갖는 시선유도봉.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재는 이면에 상기 마감캡에 저면에 부착하기 위한 접착층을 가진 거울 또는 반사필름 또는 반사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반사 발광구조를 갖는 시선유도봉.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재는 마감캡 저면에 도금 또는 코팅(아노다이징) 가공처리에 의해 형성되는 고조도반사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반사 발광구조를 갖는 시선유도봉.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재는 상기 마감캡 저면 정중앙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45°이내의 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반사 발광구조를 갖는 시선유도봉.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재는 구면 또는 비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반사 발광구조를 갖는 시선유도봉.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재는 표면에 난반사를 위한 다수의 반사돌기 또는 반사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반사 발광구조를 갖는 시선유도봉. -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재는 도로의 설치공에 매입 설치되는 것으로,
상면이 개구된 함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도로면에 안착되는 발광본체와,
상기 발광본체 하부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상기 설치공에 매입 설치되고, 내부에 1차전지 배터리가 수용되는 매입포스트와,
상기 배터리 위로 적층되어 전기 회로적으로 접속되며 저전력구동회로와, 조도센서 및 기울기 센서를 포함하는 제어회로부와,
상기 제어회로부의 PCB기판 상에 실장되어 상기 빛확산부재 내주면을 향해 빛을 조사하는 엘이디램프와,
상기 발광본체 개구부에 밀폐되게 조립되며, 상기 엘이디램프에서 조사되는 빛을 상기 빛 확산부재 내주면으로 투광시키는 커버렌즈와,
상기 엘이디램프 주변에 상기 엘이디램프의 빛을 상방으로 집중시키기 위한 오목한 구면을 가진 반사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반사 발광구조를 갖는 시선유도봉. -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재 상부 전체를 감싸도록 이루어지고, 가장자리에는 체결부재에 의해 지면에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체결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면 중앙에 상기 발광부재의 조사 영역에 대응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베이스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빛확산부재는 합성수지 또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지고, 내주면에는 다수의 빛확산돌기가 배열 형성되어 있으며, 빛확산부재의 하측 개방부는 상기 관통공에 연통되게 장착되어 상기 발광부재에서 방출되는 빛을 외부로 확산시키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반사 발광구조를 갖는 시선유도봉. -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재의 내부 일측에는 상기 발광부재 외면에 구비되는 센싱부재에 의해 상기 발광부재의 작동을 온/오프시키는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재반사 발광구조를 갖는 시선유도봉.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40005442U KR20160000336U (ko) | 2014-07-21 | 2014-07-21 | 재반사 발광구조를 갖는 시선유도봉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40005442U KR20160000336U (ko) | 2014-07-21 | 2014-07-21 | 재반사 발광구조를 갖는 시선유도봉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00336U true KR20160000336U (ko) | 2016-01-29 |
Family
ID=55310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40005442U KR20160000336U (ko) | 2014-07-21 | 2014-07-21 | 재반사 발광구조를 갖는 시선유도봉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60000336U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34193A (ko) * | 2018-09-21 | 2020-03-31 | 한국도로공사 | 시선 유도봉 및 그 시공방법 |
KR102642482B1 (ko) * | 2023-07-17 | 2024-02-29 | 장영환 | 다목적 기능의 led 조명 장치 |
-
2014
- 2014-07-21 KR KR2020140005442U patent/KR20160000336U/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34193A (ko) * | 2018-09-21 | 2020-03-31 | 한국도로공사 | 시선 유도봉 및 그 시공방법 |
KR102642482B1 (ko) * | 2023-07-17 | 2024-02-29 | 장영환 | 다목적 기능의 led 조명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29910B1 (ko) | 일체형 솔라 델리네이터 | |
US20050244225A1 (en) | Long life intelligent illuminated road marker | |
JP2007066828A (ja) | 発光タイル、発光ユニットおよび発光装置 | |
US20080286043A1 (en) | Light Emitting Road Boundary Stone Using Solar Cell | |
KR101251071B1 (ko) | 매립형 차선 표시 장치 | |
KR101783391B1 (ko) | 조명식 교통안전표지 | |
KR101589647B1 (ko) | 1차 전지를 이용한 지중매입형 발광부재를 갖는 시선유도봉 | |
KR20160000336U (ko) | 재반사 발광구조를 갖는 시선유도봉 | |
KR101564902B1 (ko) | 전원 소모 저감 기능이 구비된 도로표지병 | |
KR101257662B1 (ko) | 발광형 도로표지병 | |
KR20080096216A (ko) | 솔라 시선유도봉 | |
JP4099403B2 (ja) | 自発光視線誘導標 | |
US10851502B2 (en) | Solar powered illuminated safety marker and improved housing therefor | |
KR101654046B1 (ko) | 차단봉 | |
KR20100000567U (ko) | Led발광체가 구비된 트래픽콘 | |
JP4191618B2 (ja) | 自発光式道路鋲 | |
KR200403556Y1 (ko) | 일체식 하우징을 갖는 도로 표지병 | |
JP5094249B2 (ja) | 道路標識柱 | |
KR20070035666A (ko) | 일체식 하우징을 갖는 도로 표지병 | |
KR101031192B1 (ko) | 엘이디를 이용한 표지판 | |
JP2000200502A (ja) | 保安用表示具の発光体 | |
KR20140081306A (ko) | 도로 표지병 | |
KR200201507Y1 (ko) | 공사장용 보안등 | |
KR200484189Y1 (ko) | Led 발광장치가 결합된 트래픽콘 | |
KR20110009745U (ko) | 무기이엘 발광체를 이용한 솔라 볼라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