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7387B1 - 다중 진동기능을 갖는 농산물 선별기 - Google Patents

다중 진동기능을 갖는 농산물 선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7387B1
KR101377387B1 KR1020120080441A KR20120080441A KR101377387B1 KR 101377387 B1 KR101377387 B1 KR 101377387B1 KR 1020120080441 A KR1020120080441 A KR 1020120080441A KR 20120080441 A KR20120080441 A KR 20120080441A KR 101377387 B1 KR101377387 B1 KR 1013773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frame
generating unit
sorting
gene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04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0854A (ko
Inventor
정성욱
Original Assignee
정성욱
윤태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성욱, 윤태일 filed Critical 정성욱
Priority to KR10201200804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7387B1/ko
Publication of KR201201008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08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73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73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28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 B07B1/30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jigging or moving to-and-fro within their own plane in or approximately in or transverse to the direction of convey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2Drive mechanisms, regulating or controlling devices, or balanc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6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6Feed or discharge arrangements

Landscapes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산물 선별기의 진동 발생부에서 발생 되어 선별 채로 전달되는 진동(흔들림)이 선별 채에서 한번 더 발생 되도록 함으로써 농작물을 크기별로 선별하는 작업이 신속하게 처리될 수 있도록 하고, 이에 따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중 진동기능을 갖는 농산물 선별기에 관한 것으로,
캠(140)의 구동에 의해 전, 후 방향으로 작동하는 종동절(130)과, 상기 종동절(130)을 전, 후 방향으로 작동시키는 복수 개의 캠(140)과, 상기 캠이 축 삽입 고정됨과 동시에 하나 이상의 베어링(170)이 삽입 고정되며, 구동모터(160)와 벨트(161)로 연결되어 회전되는 캠 축(150)과, 상기 캠 축(150)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160)로 구성되는 진동발생부(100)와, 상기 진동 발생부(100)에서 발생 된 진동을 선별 채로 전달해주는 연결링크(200)와, 상기 진동발생부(100)에서 발생 된 전, 후 진동에 의해 발생 된 진동에 의해 농산물을 크기별로 선별이 되도록 다각형의 형상을 갖는 프레임(310)이 구비되며, 그 프레임의 내측에는 농산물이 크기별로 선별 낙하 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선별홈(320)이 구비됨과 동시에 그 선별홈(320)의 일측 끝단에는 배출가이드(330)가 구비되어 다단 적층구조를 갖는 선별 채(300)와, 상기 진동발생부(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500)가 상호 유기적으로 결합구성된 농산물 선별기(S)에 있어서,
상기 선별 채(300)의 프레임(310) 내측에는 진동 발생부(100)로부터 발생 된 진동이 선별 채(300)에 전달될 때 프레임(310)의 내측에 구비되는 채반(350)이 한번 더 진동이 될 수 있도록 채반(350)이 안착 되는 프레임의 좌,우 내측에는 반동수단(400)이 하나 이상 고정되며, 상기 채반(350)은 프레임(310)의 내측에서 전, 후 방향으로 일정구간 자유 유동 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다중 진동기능을 갖는 농산물 선별기{Agricultural multi-vibration device sorter}
본 발명은 다중 진동기능을 갖는 농산물 선별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농산물 선별기의 진동 발생부에서 발생 되어 선별 채로 전달되는 진동(흔들림)이 선별 채에서 한번 더 발생 되도록 함으로써 농작물을 크기별로 선별하는 작업이 신속하게 처리될 수 있도록 하고, 이에 따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중 진동기능을 갖는 농산물 선별기에 관한 것이다.
본원 출원인이 2012년 6월 11일에 출원한 특허출원 제10-2012-0061972호 '농산물 선별기'는 선별 채가 전, 후진방향으로 무한 진동(흔들림)이 전달되게 하여 농산물이 크기별로 선별되도록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나, 선별 채에 전, 후 방향으로 무한 진동(흔들림)이 전달된다고 하더라도 많은 양의 농산물을 신속하게 선별함에 있어 효율적인 선별작업이 되지 못하였을 뿐만 아니라, 생산성도 하락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원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일소키 위해 안출 한 것으로 진동발생부에서 발생 된 진동(흔들림) 뿐만 아니라, 그 진동에 의해 선별 채에 한번 더 진동이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농산물 선별 작업이 다중 진동에 의해 더욱더 신속하게 진행되도록 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다중 진동기능을 갖는 농산물 선별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다중 진동기능을 갖는 농산물 선별기는,
캠(140)의 구동에 의해 전, 후 방향으로 작동하는 종동절(130)과, 상기 종동절(130)을 전, 후 방향으로 작동시키는 복수 개의 캠(140)과, 상기 캠이 축 삽입 고정됨과 동시에 하나 이상의 베어링(170)이 삽입 고정되며, 구동모터(160)와 벨트(161)로 연결되어 회전되는 캠 축(150)과, 상기 캠 축(150)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160)로 구성되는 진동발생부(100)와, 상기 진동 발생부(100)에서 발생 된 진동을 선별 채로 전달해주는 연결링크(200)와, 상기 진동발생부(100)에서 발생 된 전, 후 진동에 의해 발생 된 진동에 의해 농산물을 크기별로 선별이 되도록 다각형의 형상을 갖는 프레임(310)이 구비되며, 그 프레임의 내측에는 농산물이 크기별로 선별 낙하 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선별홈(320)이 구비됨과 동시에 그 선별홈(320)의 일측 끝단에는 배출가이드(330)가 구비되어 다단 적층구조를 갖는 선별 채(300)와, 상기 진동발생부(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500)가 상호 유기적으로 결합구성된 농산물 선별기(S)에 있어서,
상기 선별 채(300)의 프레임(310) 내측에는 진동 발생부(100)로부터 발생 된 진동이 선별 채(300)에 전달될 때 프레임(310)의 내측에 구비되는 채반(350)이 한번 더 진동이 될 수 있도록 채반(350)이 안착 되는 프레임의 좌,우 내측에는 반동수단(400)이 하나 이상 고정되며, 상기 채반(350)은 프레임(310)의 내측에서 전, 후 방향으로 일정구간 자유 유동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반동수단(400)은 탄성력이 좋은 우레탄, 고무, 스프링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채반(350)은 농작물이 낙하 될 수 있도록 바닥판(390)에는 다수 개의 선별홈(320)이 형성되며, 그 선별홈(320)의 일측에는 한 방향이 개방된 구조를 갖는 이탈방지 가이드(370)가 수직 방향으로 돌출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가이드(370)와 연결되는 측면 일측에는 채반(350)이 롤러에 거치 된 상태로 자유 유동이 용이하도록 하는 거치대(380)가 절곡 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바닥판(390)의 저면에는 반동 가이드(360)가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는 채반(350)이 안착 된 상태에서 유연한 유동이 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유동 롤러(311)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반동가이드(360)는 채반(350)의 끝단보다 일정거리 내측 방향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다중 진동기능을 갖는 농산물 선별기는 진동발생부에서 발생 된 진동(흔들림) 뿐만 아니라, 그 진동에 의해 선별 채의 채반에 한번 더 진동이 전달되기 때문에 농산물 선별 작업이 더욱더 신속하게 진행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농산물 선별기를 도시한 결합사시도
도 2는 종래 농산물 선별기의 요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종래 농산물 선별기 중 진동발생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사용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다중 진동기능을 갖는 농산물 선별기는, 도 4 및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캠(140)의 구동에 의해 전, 후 방향으로 작동하는 종동절(130)과, 상기 종동절(130)을 전, 후 방향으로 작동시키는 복수 개의 캠(140)과, 상기 캠이 축 삽입 고정됨과 동시에 하나 이상의 베어링(170)이 삽입 고정되며, 구동모터(160)와 벨트(161)로 연결되어 회전되는 캠 축(150)과, 상기 캠 축(150)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160)로 구성되는 진동발생부(100)와, 상기 진동 발생부(100)에서 발생 된 진동을 선별 채로 전달해주는 연결링크(200)와, 상기 진동발생부(100)에서 발생 된 전, 후 진동에 의해 발생 된 진동에 의해 농산물을 크기별로 선별이 되도록 다각형의 형상을 갖는 프레임(310)이 구비되며, 그 프레임의 내측에는 농산물이 크기별로 선별 낙하 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선별홈(320)이 구비됨과 동시에 그 선별홈(320)의 일측 끝단에는 배출가이드(330)가 구비되어 다단 적층구조를 갖는 선별 채(300)와, 상기 진동발생부(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500)가 상호 유기적으로 결합구성된 농산물 선별기(S)에 있어서,
상기 선별 채(300)의 프레임(310) 내측에는 진동 발생부(100)로부터 발생 된 진동이 선별 채(300)에 전달될 때 프레임(310)의 내측에 구비되는 채반(350)이 한번 더 진동이 될 수 있도록 채반(350)이 안착 되는 프레임의 좌,우 내측에는 반동수단(400)이 하나 이상 고정되며, 상기 채반(350)은 프레임(310)의 내측에서 전, 후 방향으로 일정구간 자유 유동 되도록 한 것이 본원 발명의 핵심이다.
이에 따라 상기 반동수단(400)은 탄성력이 좋은 우레탄, 고무, 스프링 중 어느 하나를 채택하여 적용하면 되지만, 반드시 쿠션기능을 갖는 제품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채반(350)은 농작물이 낙하 될 수 있도록 바닥판(390)에는 다수 개의 선별홈(320)이 형성되며, 그 선별홈(320)의 일측에는 한 방향이 개방된 구조를 갖는 이탈방지 가이드(370)가 수직 방향으로 돌출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가이드(370)와 연결되는 측면 일측에는 채반(350)이 롤러에 거치 된 상태로 자유 유동이 용이하도록 하는 거치대(380)가 절곡 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바닥판(390)의 저면에는 반동 가이드(360)가 일체형으로 구성된다.
즉, 도 5 내지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채반(350)은 프레임의 내측에 구비된 유동롤러(311)의 상측에 거치 된 상태로 구성되는바, 이때 거치대(380)가 유동롤러(311)에 거치 되는 것이다. 또한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채반이 유동 롤러(311)에 거치 되면, 채반을 기준으로 프레임의 좌,우 내측 방향에는 반동수단(400)이 고정되며,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발생부(100)의 종동절(130)에서 선별 채(300)를 한 번씩 움직일 때마다 자유 유동이 되는 채반은 프레임의 내부에서 한번 더 유동을 하는 것이며, 이를 구동모터(160)가 빠른 속도로 반복작동시키면 엄청난 진동(흔들림)이 채반에 전달되어 보다 신속한 선별작업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채반이 좌, 우측 방향으로 자유 유동을 할 수 있는 것은 반동 수단에 의해 용이한 것으로 반드시 반동수단은 강성과, 내구성, 쿠션기능을 수반하여야 하며, 실제 채반의 2차 진동은 상기 반동수단의 반동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반동수단에 의해 채반이 프레임의 내측에서 좌, 우측 방향으로 유동되는 거리는 저면에 구성되는 반동가이드(360)에 의해 결정되는바, 반동가이드(360)는 도 5 내지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채반의 끝단보다 일정거리 내측 방향으로 진입된 위치에서 형성됨이 바람직하나, 사용자가 임의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는 채반(350)이 안착 된 상태에서 유연한 유동이 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유동 롤러(311)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동롤러(311)는 채반이 거치 되어 자유 유동이 되게 하는 것으로, 채반이 수평의 균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채반은 선별 채가 다단 적층 되는 것과 같이 채반 역시 동일하게 다단 적층 되며, 그에 따른 선별 홈(320)은 하측 방향으로 갈수록 지름이 작아지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과 특징으로 갖는 본원 발명 다중 진동기능을 갖는 농산물 선별기의 핵심은 선별 채의 프레임 내측에서 채반이 외부(진동발생부) 진동에 의해 자유 유동이 되게 하되, 쿠션기능을 갖는 우레탄, 스프링, 고무에 의해 지속적이고 반복적으로 채반이 유동 되도록 함으로써 농산물 선별기(S)는 다중 진동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며, 이에 따라 신속한 선별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S: 농산물 선별기 100:진동발생부
110:베이스플레이트 130:종동절
140:캠 150:캠 축
160:구동모터 161:벨트
170:베어링 200:연결링크
300:선별 채 310:프레임
311:유동롤러 320:선별 홈
330:배출가이드 340:롤러
350:채반 360:반동가이드
370:이탈방지 가이드 380:거치대
390:바닥판 400:반동수단
500:제어부 600:보호케이스
610:지지플레이트 620:투입구

Claims (5)

  1. 캠(140)의 구동에 의해 전, 후 방향으로 작동하는 종동절(130)과, 상기 종동절(130)을 전, 후 방향으로 작동시키는 복수 개의 캠(140)과, 상기 캠이 축 삽입 고정됨과 동시에 하나 이상의 베어링(170)이 삽입 고정되며, 구동모터(160)와 벨트(161)로 연결되어 회전되는 캠 축(150)과, 상기 캠 축(150)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160)로 구성되는 진동발생부(100)와, 상기 진동 발생부(100)에서 발생 된 진동을 선별 채로 전달해주는 연결링크(200)와, 상기 진동발생부(100)에서 발생 된 전, 후 진동에 의해 발생 된 진동에 의해 농산물을 크기별로 선별이 되도록 다각형의 형상을 갖는 프레임(310)이 구비되며, 그 프레임의 내측에는 농산물이 크기별로 선별 낙하 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선별홈(320)이 구비됨과 동시에 그 선별홈(320)의 일측 끝단에는 배출가이드(330)가 구비되어 다단 적층구조를 갖는 선별 채(300)와, 상기 진동발생부(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500)가 상호 유기적으로 결합구성된 농산물 선별기(S)에 있어서,
    상기 선별 채(300)의 프레임(310) 내측에는 진동 발생부(100)로부터 발생 된 진동이 선별 채(300)에 전달될 때 프레임(310)의 내측에 구비되는 채반(350)이 한번 더 진동이 될 수 있도록 채반(350)이 안착 되는 프레임의 좌,우 내측에는 반동수단(400)이 하나 이상 고정되며, 상기 채반(350)은 프레임(310)의 내측에서 전, 후 방향으로 일정구간 자유 유동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진동기능을 갖는 농산물 선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동수단(400)은 탄성력이 좋은 우레탄, 고무, 스프링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진동기능을 갖는 농산물 선별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반(350)은 농작물이 낙하 될 수 있도록 바닥판(390)에는 다수 개의 선별홈(320)이 형성되며, 그 선별홈(320)의 일측에는 한 방향이 개방된 구조를 갖는 이탈방지 가이드(370)가 수직 방향으로 돌출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가이드(370)와 연결되는 측면 일측에는 채반(350)이 롤러에 거치 된 상태로 자유 유동이 용이하도록 하는 거치대(380)가 절곡 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바닥판(390)의 저면에는 반동 가이드(360)가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진동기능을 갖는 농산물 선별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는 채반(350)이 안착 된 상태에서 유연한 유동이 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유동 롤러(311)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진동기능을 갖는 농산물 선별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반동가이드(360)는 채반(350)의 끝단보다 일정거리 내측 방향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진동기능을 갖는 농산물 선별기.
KR1020120080441A 2012-07-24 2012-07-24 다중 진동기능을 갖는 농산물 선별기 KR1013773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0441A KR101377387B1 (ko) 2012-07-24 2012-07-24 다중 진동기능을 갖는 농산물 선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0441A KR101377387B1 (ko) 2012-07-24 2012-07-24 다중 진동기능을 갖는 농산물 선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0854A KR20120100854A (ko) 2012-09-12
KR101377387B1 true KR101377387B1 (ko) 2014-03-21

Family

ID=47110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0441A KR101377387B1 (ko) 2012-07-24 2012-07-24 다중 진동기능을 갖는 농산물 선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73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79946A (zh) * 2016-07-11 2016-12-07 铜陵亚通牡丹产业发展有限公司 牡丹籽除杂振动筛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21898A (zh) * 2019-10-10 2020-01-24 李恬 一种环保型药物加工用药材原料多级分选装置
CN115138443B (zh) * 2022-06-30 2023-10-13 西安石油大学 一种石油勘探岩屑粒度分离装置
CN115999894A (zh) * 2022-12-18 2023-04-25 连云港市三联化工有限公司 带有多级筛选功能的bit粉末杂质筛除装置及筛选方法
CN117181395B (zh) * 2023-09-15 2024-04-02 浙江尚尼莱科技有限公司 一种磨粉机及其操作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1908Y1 (ko) 2003-07-31 2003-11-01 서재호 진동스크린
KR200383754Y1 (ko) 2004-12-23 2005-05-09 (주)진영산업 마늘주아선별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1908Y1 (ko) 2003-07-31 2003-11-01 서재호 진동스크린
KR200383754Y1 (ko) 2004-12-23 2005-05-09 (주)진영산업 마늘주아선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79946A (zh) * 2016-07-11 2016-12-07 铜陵亚通牡丹产业发展有限公司 牡丹籽除杂振动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0854A (ko) 2012-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7387B1 (ko) 다중 진동기능을 갖는 농산물 선별기
KR101377380B1 (ko) 농산물 선별기
JP6284929B2 (ja) 物を分別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JP5777560B2 (ja) 養殖貝の自動選別装置
US20170164649A1 (en) Method for separating the shell from seeds or fruit, sifting device, and selection device
KR20200076166A (ko) 선별기
US20170238595A1 (en) Features to improve 3d print and assembly machines
JP6341476B2 (ja) 農作物拾い上げ機
JP2020028820A (ja) 養殖貝の選別装置 以上
JP5659779B2 (ja) 根菜類収穫機
JP6551916B2 (ja) 回転篩装置
CA2549611A1 (en) Apparatus for use to check potatoes or similar items
KR101506462B1 (ko) 농산물 선별기의 흔들림 감쇠 장치
JP5322627B2 (ja) ベルト搬送装置
JP2011217686A (ja) 根菜類収穫機
KR200425092Y1 (ko) 김치 제조용 야채류의 이물질 선별 장치
KR20200014960A (ko) 선별장치
KR20140142687A (ko) 역 진동수단이 부가된 라운드벨트 컨베이어 선별기
JP6893829B2 (ja) 分別機構及びそれを使用した異物選別装置
JP2008212876A (ja) 青果物選別装置
KR101613181B1 (ko) 이물 제거기
JP6765955B2 (ja) 植付装置
JP6840534B2 (ja) 植付装置
KR20150122978A (ko) 조립식 판형 선별기
KR200419190Y1 (ko) 고추 배열 및 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