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3754Y1 - 마늘주아선별장치 - Google Patents

마늘주아선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3754Y1
KR200383754Y1 KR20-2004-0036534U KR20040036534U KR200383754Y1 KR 200383754 Y1 KR200383754 Y1 KR 200383754Y1 KR 20040036534 U KR20040036534 U KR 20040036534U KR 200383754 Y1 KR200383754 Y1 KR 2003837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rlic
gun
frame
roller pair
ch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65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혁주
조남홍
양길모
박종률
김재규
이영희
안용균
Original Assignee
(주)진영산업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진영산업,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filed Critical (주)진영산업
Priority to KR20-2004-00365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375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37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375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28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2Drive mechanisms, regulating or controlling devices, or balanc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6Feed or discharge arrangements

Landscapes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마늘주아를 크기별로 선별하는 마늘주아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총포분해기(10)에 마늘총포가 공급되도록 프레임(F)상의 호퍼(1)에 마늘총포를 투입한다. 그러면, 총포분해기(10)는 공급받는 마늘총포를 총포껍질 및 마늘주아로 분해한 후, 이 분해된 마늘총포를 적출기(20)로 공급한다. 그리고, 적출기(20)는 분해된 마늘총포에서 마늘주아만을 따로 적출한 다음, 바이브레이터(40)에 의하여 요동하는 선별기(30)에 공급한다. 이어서, 요동하는 선별기(30)는 공급된 마늘주아를 이동시키면서 크기별로 선별하여 분리 배출시킨다. 따라서, 본 고안은 총포분해기(10)와 적출기(20) 및, 바이브레이터(40)에 의하여 요동하는 선별기(30)가, 마늘주아를 자동으로 적출 및 선별한다. 이러한, 본 고안은 마늘 줄기의 하단에 통으로 열리는 씨마늘도 정선할 수 있다. 즉, 전술한 호퍼(1)에 통으로된 씨마늘을 투입할 경우, 씨마늘이 전술한 마늘주아와 같이 크기별로 선별된다.

Description

마늘주아선별장치{GARLIC BULB GRADER}
본 고안은 건조된 통마늘이나 마늘총포에서 제공되는 마늘 또는 마늘주아를, 크기별로 선별하는 마늘주아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늘을 파종하여 육성하면, 줄기의 하단에는 뿌리가 되는 통으로된 씨마늘이 열리고, 줄기의 상단에는 마늘주아를 갖는 마늘총포가 열리게 된다. 농부는 이러한 마늘총포를 수확하여 건조한 후, 이 건조된 마늘총포의 마늘주아를 종자로 파종한다. 이러한, 건조된 마늘총포에서 파종을 위한 마늘주아를 적출하려면, 여러명의 작업인력이 마늘총포의 총포껍질을 벗긴 후, 통으로 이루어진 마늘주아를 수작업으로 일일이 분해한다. 그리고, 마늘주아가 쪽단위의 마늘주아로 분해되면, 이 쪽단위의 마늘주아를 파종에 적합하도록 크기별로 구분한다.
이때, 작업인력은 마늘주아쪽을 크기별로 구분하기 위하여, 수제작된 선별체를 이용한다. 작업인력은 이 선별체에 쪽단위로 구성된 마늘주아를 투입한 후, 선별체를 흔들어서, 작은 크기의 마늘주아를 선별체의 망으로 통과시킨다. 따라서, 마늘주아는 크기별로 선별된다. 물론, 마늘주아를 좀더 세밀하게 구분하기 위해서는, 메쉬의 크기가 다른 여러개의 선별체를 번갈아 가면서 사용하여야 한다. 이렇게, 쪽단위의 마늘주아가 크기별로 선별되어야, 비로소 마늘생산을 위한 마늘주아를 파종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일반적인 방법은, 많은 인원의 작업인력을 동원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작업인력이 수작업으로 마늘주아를 적출하므로, 생산성이 매우 낮은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마늘총포를 분해하여 마늘주아만를 따로 적출하고, 이 적출된 마늘주아를 크기별로 선별하는 일련의 작업을 자동으로 실시하는 마늘주아선별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이와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마늘총포를 공급하는 호퍼가 마련된 프레임과; 전술한 프레임의 호퍼로부터 공급되는 마늘총포를, 총포껍질 및 마늘주아로 분해하는 총포분해기와; 이 총포분해기에서 분해된 마늘총포로부터, 마늘주아만을 따로 적출하는 적출기와; 이 적출기에서 분리된 마늘주아를 이동시키면서, 크기별로 선별하여 배출시키는 선별기 및; 이 선별기상의 마늘주아가 이동하도록, 선별기를 요동시키는 바이브레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주아선별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이러한, 본 고안의 마늘주아선별장치는, 총포분해기에 마늘총포가 공급되도록 호퍼에 마늘총포를 투입한다. 그러면, 총포분해기는 공급받는 마늘총포를 총포껍질 및 마늘주아로 분해한 후, 이 분해된 마늘총포를 적출기로 공급한다. 그리고, 적출기는 분해된 마늘총포에서 마늘주아만을 따로 적출한 다음, 바이브레이터에 의하여 요동하는 선별기에 공급한다. 이어서, 요동하는 선별기는 공급된 마늘주아를 이동시키면서 크기별로 선별하여 분리 배출시킨다.
여기서, 본 고안의 총포분해기는 예컨대, 전술한 적출기의 상부에 위치한 프레임에 적어도 하나의 층을 이루면서 설치되고,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한쌍의 롤러를 가지며, 회전시 전술한 호퍼로부터 한쌍의 롤러 사이로 마늘총포를 공급받아서 가압하여 분해하는 동시에, 분해된 마늘총포를 낙하시켜서 적출기에 공급하는 롤러패어 및; 이 롤러패어의 롤러를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부;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총포분해기의 롤러패어는 예컨대, 두개의 층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하게 되면, 롤러패어가 마늘총포를 단계적으로 연속해서 분해할 수 있다. 즉, 롤러패어가 마늘총포를 2단계로 분리할 수 있다. 이때, 1단계는 마늘총포를 총포껍질 및 마늘주아로 분리하고, 2단계는 분리된 마늘주아를 낱개의 쪽단위로 세분한다. 이러한, 롤러패어는 표면에 EVA스폰지(Ethylene Vinyl Acetate Sponge)나 고무재를 코팅하여, 약간의 탄성력이 확보되도록 구성할 필요가 있다. 그러면, 롤러패어의 가압력으로부터 마늘총포의 마늘주아를 보호될 수 있다.
이때, 롤러패어가 전술한 바와 같이 두개의 층으로 구성될 경우, 총포분해기의 회전부는 예컨대, 전술한 롤러패어를 구성하는 각각의 롤러에 제각각으로 마련되는 더블타입의 서브스프로킷과; 메인스프로킷을 제각각으로 갖는 한쌍의 드라이브모터와; 이 서브 및 메인스프로킷에 제각각으로 와인딩되는 복수개의 구동체인과; 전술한 하부롤러패어를 구성하는 각각의 롤러에 제각각으로 마련되는 피동스프로킷 및; 전술한 상·하부롤러패어에 제각각으로 마련된 서브스프로킷 및 피동스프로킷에 제각각으로 와인딩되고, 서브스프로킷의 회전력을 피동스프로킷으로 전달하여, 피동스프로킷을 회전시키는 복수개의 피동체인;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롤러패어가 전술한 바와 달리 하나의 층으로 구성될 경우, 즉, 하부의 롤러패어가 생략된 경우, 총포분해기의 회전부는, 전술한 롤러패어의 더블타입 스프로킷을 싱글타입 스프로킷으로 적용하고, 피동체인을 생략하여 구성한다.
한편, 본 고안에 의한 적출기는 예컨대, 전술한 총포분해기로부터 분해된 마늘총포를 공급받으며, 이 공급되는 마늘총포의 마늘주아는 통과시키면서 총포껍질은 잔존시키는 망으로된 네트바닥을 갖는 버킷 및; 이 버킷으로부터 마늘주아를 공급받아서 저장하는 저장함;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버킷 및 저장함은 전술한 총포분해기로부터 분해된 마늘총포를 용이하게 공급받도록, 오목한 모양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프레임에서 착탈되도록 서랍모양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버킷의 네트바닥은 크기에 상관 없이 모든 마늘주아가 통과할 수 있는 메쉬로 형성하여야 한다. 그래야, 총포껍질로부터 마늘주아를 분리시킬 수 있다.
이와 달리, 본 고안에 의한 적출기는 예컨대, 전술한 총포분해기의 하부에 직립상태로 마련되어 전술한 선별기의 상부에 위치하는 동시에, 전술한 바이브레이터에 의하여 요동하고, 상측에는 총포분해기로부터 분해된 마늘총포를 공급받는 동시에, 요동하면서 공급되는 마늘총포의 마늘주아 및 총포껍질을 자체 경사를 따라 이동시켜서, 선별기로 낙하시키는 경사판을 갖는 요동프레임 및; 이 요동프레임의 경사판 하부에 바람을 송풍하여, 경사판에서 낙하되는 총포껍질을 요동프레임의 외부로 배출시키면서, 총포껍질에서 마늘주아만을 적출하여, 전술한 선별기로 공급하는 브로워;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요동프레임은 전술한 바이브레이터에 의하여 요동하는 전술한 선별기에 일체로 고정할 필요가 있다. 이렇게, 선별기에 요동프레임을 고정할 경우, 요동프레임은 바이브레이터의 진동시, 선별기와 함께 요동한다. 이와 달리, 요동프레임을 바이브레이터에 직결시켜서, 바이브레이터가 직접적으로 요동프레임을 요동시키도록 구성할 필요도 있다. 그리고, 브로워는 경사판에 대한 송풍이 가능하도록, 프레임이나 전술한 선별기상에 경사상태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한편, 본 고안에 의한 선별기는 예컨대, 서로 다른 크기의 메쉬를 가지면서 분리가능하게 적층되어, 전술한 적출기에서 공급되는 마늘주아를 이동시키면서 크기별로 선별하는 동시에, 배출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선별스크린과; 이 선별스크린의 하부에 일체로 설치되어, 선별스크린을 투과하는 마늘주아를 공급받아서 배출시키는 오목한 형태의 하부판과; 이 하부판과 일체를 이루면서 경사를 제공하여, 하부판 및 선별스크린상의 마늘주아에 관성을 부여하며, 전술한 바이브레이터에 의하여 요동하는 경사프레임 및; 이 경사프레임을 전술한 프레임상에 유동가능하게 장착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선별스크린은 두 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메쉬 크기가 제일 큰것 부터 차례로 적층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선별스크린은 필요에 따라 두 개 이상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렇게, 적층되는 선별스크린은 집게나, 볼트 등의 클램프에 의하여 분리가능하게 적층시킬 수 있다. 하지만, 클램프로써 볼트를 이용하여 적층시키는 것이 편리하다. 물론, 클램프는 열거한 집게나 볼트만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복수개의 선별스크린을 한꺼번에 고정 및 분리시킬 수 있는, 열거되지 않은 모든 클램프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물론, 클램프는 복수개의 선별스크린을 하부판에 분리가능하게 고정한다. 즉, 선별스크린은 클램프에 의하여 하부판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선별스크린은 필요에 따라 하부판에 하나, 또는 복수개로 설치할 수 있다.
이때, 하부판에 경사를 제공하는 경사프레임은, 앵글을 이용하여 막대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철판을 이용하여 판상으로 제조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사프레임은 측면상 일측의 높이가 타측 보다 높다. 따라서, 하부판은 선별스크린과 함께 경사를 취한다.
그리고, 고정부재는 경사프레임의 하부에 가이드블럭을 마련하고, 이러한 가이드블럭을 관통하는 가이드봉을 전술한 프레임에 수평으로 고정하여, 이 가이드봉을 따라서 가이드블럭이 유동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달리, 경사프레임의 하부에 롤러를 마련하고, 전술한 프레임에 가이드레일을 마련하여, 이 가이드레일을 따라서 롤러가 유동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본 고안의 전술한 바이브레이터는 예컨대, 전술한 선별기에 일측이 연결되는 로드와; 이 로드의 타측이 편심 연결되고, 전술한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캠 및; 이 캠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캠은 원형의 원판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로드의 타측을 용이하게 연결시킬 수 있도록, 사각의 원판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구동수단은 예컨대, 캠의 축에 일체로 마련되는 종동스프로킷과; 구동스프로킷을 갖는 구동모터 및; 이 종동 및 구동스프로킷에 와인딩되는 체인;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구동수단의 종동 및 구동스프로킷은, 미도시된 기어로 대처할 수 있다. 즉, 기어트레인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렇게, 기어트레인으로 구성할 경우, 체인을 생략할 수 있다.
이와 달리, 구동수단은 예컨대, 외주면에 레크가 형성된 신축로드를 갖는 미도시된 실린더 및; 이 실린더의 신축로드에 형성된 레크와 교합하고, 전술한 캠의 외주면에 동일체로 형성되는 피니언;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이렇게 구성할 경우, 신축로드가 신축하게 되면, 캠은 레크 및 피니언에 의하여 회전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마늘주아선별장치는, 건조된 마늘총포를 가공하여 마늘주아를 선별하는데만 사용될 뿐만 아니라, 건조된 통마늘을 가공하여 씨마늘을 선별하는데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마늘총포는 줄기의 상단에 열리는 종구이고, 통마늘은 줄기의 하단에 형성되는 미늘줄기, 즉 뿌리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마늘주아선별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본 고안의 설명에 있어서 씨마늘의 선별은 마늘주아의 선별과 동일하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마늘주아의 선별만을 설명한다. 즉, 씨마늘의 선별에 대해서는 후술되는 마늘주아의 선별에 대한 설명으로 갈음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의한 마늘주아선별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마늘주아선별장치의 총포분해기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A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마늘주아선별장치는, 사각틀 모양을 취하는 프레임(F)의 상측에 마늘총포가 투입되는 호퍼(1)를 설치하고, 이 호퍼(1)의 하부측에, 총포분해기(10)와; 적출기(20)와; 선별기(30) 및; 바이브레이터(40)를 설치하여 구성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구성요소를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총포분해기(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쌍의 롤러(R)가 한조를 이루는 롤러패어(12)로 구성한다. 여기서, 롤러패어(12)는 호퍼(1)로부터 마늘총포를 공급받아서 분해한 후, 적출기에 분해된 마늘총포를 공급하도록 호퍼(1)의 하측 및 적출기(20)의 상측에 위치한 프레임(F)에 설치한다. 물론, 프레임(F)에는 롤러패어(12)의 롤러(R)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롤러패어(1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과 하측에서 적층상태를 이루도록, 상부롤러패어(12a)와 하부롤러패어(12b)로 구성한다. 즉, 2개의 층으로 구성한다.
이러한, 롤러패어(12)의 일측에는, 롤러패어(12)의 롤러(R)를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부(14)를 마련한다. 이때 회전부(14)는 전술한 상·하부롤러패어(12a, 12b)를 동시에 회전시키도록 구성한다.
이에 따른 회전부(1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상부롤러패어(12a)를 구성하는 각각의 롤러(R)에 제각각으로 마련되는 더블타입의 서브스프로킷(14a)과; 메인스프로킷(14b)을 제각각으로 갖는 한쌍의 드라이브모터(14M)와; 이 서브 및 메인스프로킷(14a, 14b)에 제각각으로 와인딩되는 복수개의 구동체인(14c)과; 전술한 하부롤러패어(12b)를 구성하는 각각의 롤러(R)에 제각각으로 마련되는 피동스프로킷(14a') 및; 이 상·하부롤러패어(12a, 12b)에 제각각으로 마련된 상기 서브스프로킷(14a) 및 피동스프로킷(14a')에 제각각으로 와인딩되는 한쌍의 피동체인(14c');을 포함한다. 여기서, 도 2에 확대도시된 도면은, 롤러패어(12) 및 회전부(14)의 구성을 보다 명확히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여기서, 한쌍의 드라이브모터(14M)는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롤러패어(12a)의 양측에 각각 설치한다. 이때, 드라이브모터(14M)는 메인스프로킷(14b)이, 상부롤러패어(12a)의 서브스프로킷(14a)과 동위상을 취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한쌍의 드라이브모터(14M)는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드라이브모터(14M)가 회전하게 되면, 상부롤러패어(12a)를 구성하는 한쌍의 롤러(R)는 메인스프로킷(14b)과 서브스프로킷(14a) 및 구동체인(14c)에 의하여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확대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부롤러패어(12a, 12b)의 서브 및 피동스프로킷(14a, 14a')에 제각각으로 와인딩된 한쌍의 피동체인(14c')은, 서브스프로킷(14a)의 회전력을 피동스프로킷(14a')으로 전달하여, 각각의 피동스프로킷(14a')을 회전시킨다. 따라서, 하부롤러패어(12b)를 구성하는 한쌍의 롤러(R)는 피동스프로킷(14a')의 연동에 의하여, 상부롤러패어(12a)의 롤러(R)와 함께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러한, 롤러패어(12)에 전술한 호퍼(1)로부터 마늘총포가 공급되게 되면, 도 2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패어(12)의 롤러(R)는 회전하면서 공급된 마늘총포(B)를 가압하여 검불형태의 총포껍질(T) 및 마늘주아(MB, EB)로 분해한다. 이때, 상부롤러패어(12a)는 마늘총포(B)를 총포껍질(T) 및 덩어리 단위의 마늘주아(MB)로 분해한다. 이렇게, 분리된 총포껍질(T) 및 덩어리 단위 마늘주아(MB)는 하부롤러패어(12b)로 낙하되어 공급된다. 그러면, 하부롤러패어(12b)는 이 덩어리 단위의 마늘주아(MB)를 가압하여, 낱개의 쪽단위 마늘주아(EB)로 세분한다. 물론, 총포껍질(T)은 쪽단위의 마늘주아(EB)와 함께 하부롤러패어(12b)의 롤러(R) 틈사이로 배출되면서, 하부에 위치한 적출기(20)에 공급된다.
한편, 롤러패어(12)에는 롤러(R)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러한, 간격조절수단은 도 1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패어(12)의 롤러(R) 축이 관통하여 볼팅고정되는 장공(H)을 프레임(F)에 형성하여, 이 장공(H)을 따라서 롤러패어(12)의 롤러(R) 축이 이동하도록 구성한다.
이렇게, 간격조절수단을 구성하게 되면, 롤러(R)의 축에 볼팅되는 볼트(너트일 수도 있음)를 해제할 경우, 롤러(R)가 장공(H)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한쌍의 롤러(R)는 이격된 간격이 조절된다.
이러한, 간격조절수단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F)상에 수평방향으로 체결되어, 롤러패어(12)의 롤러(R)를 수평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부재(16);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가압부재(16)는 도시된 바와 같은 롱볼트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가압부재(16)는 프레임(F)에 나사결합하여 체결된다. 이에 따라, 가압부재(16)는 정방향 회전시 롤러(R)를 가압한다. 이때, 롤러패어(12)의 롤러(R) 축은, 가압부재(16)의 가압력에 의하여 장공(H)을 따라 이동한다. 그러므로, 한쌍의 롤러(R)는 이격된 간격이 용이하게 조절된다.
다음, 적출기(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패어(12)의 하부에 위치하는 프레임(F)에 설치되는 버킷(22) 및; 이 버킷(22)의 하부에 설치되어 마늘주아를 저장하는 저장함(24);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여기서, 버킷(22)은 마늘주아가 통과하는 망으로된 네트바닥(22a)을 갖는다. 따라서, 상부의 롤러패어(12)로부터 쪽단위의 마늘주아 및 총포껍질이 버킷(22)에 공급될 경우, 쪽단위의 마늘주아는 네트바닥(22a)을 통과하여 저장함(24)에 저장되고, 총포껍질은 버킷(22)의 네트바닥(22a)상에 걸러져서 잔존한다.
이때, 버킷(22) 및 저장함(24)은 도시된 바와 같이 서랍 처럼 구성하여, 필요시 수시로 뺐다 끼웠다 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버킷(22) 및 저장함(24)에 총포껍질 및 마늘주아가 쌓이면, 버킷(22) 및 저장함(24)을 꺼내서 비워준다.
그 다음, 선별기(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F)의 일측 상부에 상·하부선별스크린(32a, 32b), 그리고 하부선별스크린(32b)의 하부에 이격되는 오목한 형태의 하부판(33)을 적층시켜서 구성한다. 이때, 상·하부선별스크린(32a, 32b) 및 하부판(33)은 필요에 따라 적층되거나 분리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하부선별스크린(32a, 32b) 및 하부판(33)의 양측에는, 도 1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B)가 관통되는 링(34)을 부착한다. 따라서, 볼트(B)가 이 링(34)을 관통한 후 너트(N)와 결합하게 되면, 상·하부선별스크린(32a, 32b) 및 하부판(33)은 서로 일체가 된다. 하지만, 볼트(B) 및 너트(N)를 분해하면, 상·하부선별스크린(32a, 32b) 및 하부판(33)은 따로 분리된다. 이렇게, 상·하부선별스크린(32a, 32b) 및 하부판(33)이 분리될 경우, 상부나 하부선별스크린(32a, 32b) 중 어느 하나를 제거할 수 있다. 즉, 복수개로 구성된 선별스크린(32)을 하나로 구성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미도시된 또 다른 선별스크린을 상·하부선별스크린(32a, 32b)에 부가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즉, 선별스크린(32)을 3 개 이상으로 적층시켜서 구성할 수도 있다.
상·하부선별스크린(32a, 32b)은, 상부선별스크린(32a)의 메쉬가 하부선별스크린(32c)의 메쉬 보다 크다. 따라서, 적출기(20)의 저장함(24)에 모아진 마늘주아를 선별기(30)에 공급할 경우, 마늘주아는 상·하부선별스크린(32a, 32b)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크고 작은 마늘주아로 선별된다.
이때, 상·하부선별스크린(32a, 32b) 및 하부판(33)은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를 개방시켜서 선별된 마늘주아의 배출이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이에 따라, 상·하부선별스크린(32a, 32b) 및 하부판(33)에서 크기별로 선별된 마늘주아는, 상·하부선별스크린(32a, 32b) 및 하부판(33)의 일단부로 배출된다.
이러한, 하부판(33)의 하부에는 도시된 바와 같은, 경사프레임(36)을 설치한다. 경사프레임(36)은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F)상에 유동가능하게 배치된다. 이에 따라, 하부판(33) 및 상·하부선별스크린(32a, 32b)은 경사를 갖는다. 따라서, 하부판(33) 및 상·하부선별스크린(32a, 32b)상의 마늘주아는 경사에 의한 관성으로 인하여, 하부판(33) 및 상·하부선별스크린(32a, 32b)을 따라서 이동하면서 배출된다.
경사프레임(36)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상부로 절곡된 앵글이다. 이러한, 경사프레임(36)은 고정부재(38)에 의하여 프레임(F)상에 유동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경사프레임(36)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되는 바이브레이터(40)의 로드(42)에 일측이 연결된다. 따라서, 경사프레임(36)은 바이브레이터(40)가 진동하게 되면, 고정부재(38)에 의하여 프레임(F)상에서 유동하면서 선별스크린(32)을 요동시킨다.
이렇게, 경사프레임(36)을 프레임(F)상에 장착시키는 고정부재(38)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프레임(36)의 하부에 가이드블럭(38a)을 일체로 마련하고, 이 가이드블럭(38a)에 가이드봉(38b)을 수평으로 관통시킨 다음, 이 가이드봉(38b)을 프레임(F)에 부착된 마운팅앵글(MA)에 고정시켜서 구성한다.
이에 따라, 바이브레이터(40)가 경사프레임(36)을 흔들게 되면, 경사프레임(36)의 가이드블럭(38a)은 가이드봉(38b)을 따라서 수평으로 유동한다. 물론, 가이드블럭(36a)과 일체를 이루는 경사프레임(36)은, 가이드블럭(36a)의 유동에 의하여 흔들리면서, 선별기(30)의 상·하부선별스크린(32a, 32b) 및 하부판(33)을 요동시킨다. 즉, 선별기(30)는 바이브레이터(40)에 의하여 요동한다. 그러나, 요동하는 선별기(30)는 고정부재(38)에 의하여, 프레임(F)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여기서, 전술한 바이브레이터(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별기(30)의 경사프레임(36)에 일단부가 연결되는 로드(42)와; 이 로드(42)의 타측이 편심 연결되고, 프레임(F)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캠(44) 및; 이 캠(44)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한다. 이러한, 로드(42) 및 캠(44)은 슬라이드 크랭크로 불리일 수 있다.
이때, 로드(42)의 일단부는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프레임(36)의 절곡측에 고정하고, 타단부는 캠(44)에 편심고정한다. 그리고, 캠(44)은 그 축을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F)에 고정된 고정구(44a)에 수평으로 회전가능하게 고정하여,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고정구(44a)는 베어링이 내장된 브래킷이다.
따라서, 구동수단에 의하여 캠(44)이 회전하게 되면, 로드(42)의 타단부는 캠(44)의 원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수직방향 운동을 실시하고, 로드(42)의 일단부는 수평방향 행정을 실시한다. 그러므로, 선별기(30)는 로드(42)의 수평방향 행정에 의하여 요동한다.
이렇게, 캠(44)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은 예컨대,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44)의 축에 일체로 마련되는 종동스프로킷(S)과; 프레임(F)의 하부에 설치되고, 구동스프로킷(M)을 갖는 구동모터(46) 및; 이 종동 및 구동스프로킷(S, M)에 와인딩되는 체인(C);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러한, 구동수단은 구동모터(46)에 의하여 구동스프로킷(M)이 회전하게 되면, 체인(C)에 의하여 종동스프로킷(S)이 회전하면서 캠(44)을 회전시킨다. 따라서, 캠(44)은 로드(42)를 요동시킨다.
한편, 본 고안은 전술한 바이브레이터(40)의 요동이 심할 경우, 이 요동을 감쇠시키는 감쇠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감쇠수단은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44)의 축에 별개의 종동캠(44')을 고정하고, 이 종동캠(44')의 테두리측에 종동로드(42')의 타단부를 고정한 후, 이 종동로드(42')의 일단부를 선별기(30)의 경사프레임(36) 중간부분(도 4 참조)에 고정하여 구성한다. 즉, 종동로드(42')는 로드(42)와 이격되어 설치된다.
이때, 종동로드(42')의 타단부는 도시된 바와 같이, 캠(44)에 고정된 로드(42)의 타단부 고정위치와 상반되는 위치의 종동캠(44') 테두리에 고정한다. 즉, 로드(42)의 타단부가 도시된 바와 같이 캠(44)의 상단부에 고정된 경우, 종동로드(42')의 타단부는 종동캠(44')의 하단부에 고정한다. 다시 말하면, 로드(42) 및 종동로드(42')의 타단부는,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상반된 위치에 고정된다.
따라서, 구동수단에 의한 캠(44) 및 종동캠(44')의 회전시, 로드(42)와 종동로드(42')는 서로 반대되는 행정을 취한다. 다시 말하면, 로드(42)가 전방측으로 수평이동할 경우, 종동로드(42')는 후방측으로 수평이동한다. 이에 따라, 로드(42)의 요동은 상이한 행정을 하는 종동로드(42')에 의하여 감쇠된다.
그러나, 로드(42)의 요동은 완전하게 감쇠되지 않고, 약간만 감쇠된다. 그 이유는, 종동로드(42')의 일단부가 선별기(30)의 경사프레임(36) 중간부분에 고정될 뿐만 아니라, 로드(42)와 이격되어 설치되기 때문이다. 만약, 종동로드(42')를 로드(42)와 같이 선별기(30)의 경사프레임(36) 절곡측에 고정할 경우, 로드(42)의 요동은 종동로드(42')의 요동에 의하여 상쇄된다. 이에 따라, 선별기(30)는 요동할 수 없다. 따라서, 로드(42) 및 종동로드(42')는 서로 이격설치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마늘주아선별장치는, 미도시된 가동스위치를 조작하여, 총포분해기(10)의 회전부(14) 및 바이브레이터(40)를 작동시킨다. 그리고, 호퍼(1)에 수확한 마늘총포를 투입한다. 그러면, 호퍼(1)는 투입된 마늘총포를 총포분해기(10)로 공급한다.
이에 따라, 회전부(14)에 의하여 회전하는 총포분해기(10)의 상부롤러패어(12a)는 도 2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마늘총포(B)를 가압하여, 마늘총포(B)를 총포껍질(T) 및 덩어리 단위의 마늘주아(MB)로 분해한다. 이때, 건조된 박막의 총포껍질(T)은 상부롤러패어(12a)의 가압력에 의하여, 마늘총포(B)에서 박리되면서 분해된다. 이러한, 상부롤러패어(12a)는 분해된 총포껍질(T) 및 덩어리 단위의 마늘주아(MB)를 회전하면서 낙하시킴으로써, 하부롤러패어(12b)에 공급한다.
이어서, 하부롤러패어(12b)는 공급되는 덩어리 단위의 마늘주아(MB)를 가압하여 쪽단위의 마늘주아(EB)로 세분한다. 그리고, 총포껍질(T)은 하부로 투과시킨다. 이때, 덩어리 단위의 마늘주아(MB)는 하부롤러패어(12b)에 의하여 또 한번 가압되므로, 쪽단위의 마늘주아(EB)로 세분된다. 물론, 하부롤러패어(12b)가 덩어리 단위의 마늘주아(MB)를 용이하게 세분하도록, 간격조절수단 및 가압부재(16)를 이용하여, 하부롤러패어(12b)의 로러(R) 간격을, 상부롤러패어(12a)의 롤러(R) 간격 보다 좁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속해서, 하부롤러패어(12b)는 세분한 쪽단위 마늘주아(EB) 및 박리된 총포껍질(T)을 낙하시켜서 하부의 적출기(20)로 공급한다. 이에 따라, 적출기(20)의 버킷(22)에는 총포껍질(T) 및 쪽단위의 마늘주아(EB)가 낙하된다. 이때, 총포껍질(T)은 검불형태의 박막(얇고 넓게 형성됨)으로 형성됨에 따라 네트바닥(22a)을 통과하지 못하고, 네트바닥(22a)상에 잔존한다. 하지만, 낙하되는 쪽단위의 마늘주아(EB)는 버킷(22)의 망으로된 네트바닥(22a)을 관통하여, 하부의 저장함(24)에 적층되면서 저장된다.
이렇게, 저장함(24)에 다량의 쪽단위 마늘주아(EB)가 저장되면, 본 고안의 사용자는 프레임(F)에서 저장함(24)을 꺼내어, 경사를 갖는 선별기(30)의 선별스크린(32)에 쪽단위의 마늘주아(EB)를 공급한다. 이때, 선별스크린(32)은 바이브레이터(40)에 의하여 요동한다. 따라서, 선별스크린(32)에 공급되는 쪽단위의 마늘주아(EB)는, 선별스크린(32)의 경사 및 요동에 의하여, 선별스크린(32)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이동한다.
이러한, 선별스크린(32)은 상이한 크기의 메쉬를 갖는 상·하부선별스크린(32a, 32b)에 의하여, 크기별로 쪽단위의 마늘주아(EB)를 선별한다. 물론, 크기가 제일 작은 쪽단위의 마늘주아(EB)는 상·하부선별스크린(32a, 32b)을 투과하여 하부판(33)에 모인다. 이렇게, 크기별로 분리된 쪽단위의 마늘주아(EB)는 상·하부선별스크린(32a, 32b) 및 하부판(33)을 따라 이동한 후, 상·하부선별스크린(32a, 32b) 및 하부판(33)의 개방된 단부로 배출된다. 이때, 상·하부선별스크린(32a, 32b) 및 하부판(33)의 개방된 단부에는, 크기별로 선별된 쪽단위의 마늘주아(EB)를 제각각으로 수거하는 미도시된 수거함을 미리 설치한다. 따라서, 크기별로 선별된 쪽단위의 마늘주아(EB)는 이 수거함에 따로 따로 수거된다.
한편, 첨부된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마늘주아선별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마늘주아선별장치는, 적출기(20)를 전술한 마늘주아선별장치와 달리 구성한 것이 커다란 차이점이다. 즉,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마늘주아선별장치는, 상부에 경사판(25a)을 갖는 요동프레임(25) 및; 브로워(26);를 포함하여 적출기(20)를 구성한 것이 큰 차이점이다. 이러한, 적출기(20)에 대하여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요동프레임(25)은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총포분해기(10)의 하부에 위치한 선별기(30)의 상부 양측에 용접이나 볼팅으로 고정설치되는 한쌍의 판이다. 경사판(25a)은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상태를 취하면서 요동프레임(25)의 상측에 용접으로 고정된다. 따라서, 요동프레임(25)의 하부에는 개방구(OP)가 형성된다.
브로워(26)는 도시된 바와 같이 선별기(30)상에 장착되어, 요동프레임(25)과 이격되면서 측면상 병렬상태를 취한다. 이때, 브로워(26)의 토출구는 도시된 바와 같이, 요동프레임(25)에 형성된 개방구(OP)를 향한다. 즉, 브로워(26)의 토출구는 경사판(25a)의 하부를 향한다.
이러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마늘주아선별장치는, 경사판(25a)을 갖는 요동프레임(25)이 바이브레이터(40)에 의하여 선별기(30)가 요동할 경우 함께 요동한다. 그리고, 브로워(26)는 경사판(25a)의 하부로 바람을 송풍(도면상 색칠이 안된 굵은 화살표)한다. 경사판(25a)에는 총포분해기(10)로부터 총포껍질 및 쪽단위 마늘주아가 공급된다. 이렇게 공급되는 총포껍질 및 쪽단위 마늘주아는 요동프레임(25)과 함께 요동하는 경사판(25a)의 진동으로 인하여, 경사판(25a)을 따라서 이동한다. 그리고, 경사판(25a)의 단부를 통하여 선별기(30)로 낙하(도면상 검은색의 굵은 화살표)된다.
이때, 경사판(25a)에서 낙하되는 총포껍질은 브로워(26)의 송풍력에 의하여 비산되면서 요동프레임(25)의 개방구(OP)를 통하여, 적출기(20)의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경사판(25a)에서 낙하되는 쪽단위 마늘주아는 브로워(26)의 바람에 영향을 받지 않고, 곧장 선별기(30)로 공급된다. 물론, 브로워(26)의 풍량은 총포껍질만을 비산시킬 정도의 풍량이어야 함은 자명하다.
이러한, 요동프레임(25)의 개방구(OP) 외측에는, 비산되어 배출되는 총포껍질을 수용하는 미도시된 집진부재를 설치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집진부재는 주머니형태의 망이 적당하다. 이렇게, 집진부재를 설치할 경우, 총포껍질을 한꺼번에 모아서 폐기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다른 실시예에 의한 마늘주아선별장치는, 경사판(25a)을 갖는 요동프레임(25) 및 브로워(26)가 마늘주아 및 총포껍질을 자동으로 분리한다. 따라서, 다른 실시예에 의한 마늘주아선별장치는, 버킷(22) 및 저장함(24)에 총포껍질 및 마늘주아가 적체될 경우 주기적으로 비워주어야 하는, 전술한 일 실시예에 의한 마늘주아선별장치의 번거로움을 개선시킬 수 있다. 즉, 다른 실시예에 의한 마늘주아선별장치는 모든 작업을 자동으로 일괄처리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고안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은 첨부된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마늘주아선별장치는, 총포분해기가 건조된 마늘총포를 분해하고, 적출기가 이 분해된 마늘총포에서 마늘주아를 적출하며, 선별기가 마늘주아를 크기별로 선별하여 배출하므로, 마늘총포에서 마늘주아를 자동으로 적출 및 선별할 수 있는 편의성 향상의 효과가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마늘주아선별장치 및 다른 실시예에 의한 마늘주아선별장치는, 종래의 수작업 보다 각각 3.6배 및 5.5배의 효율을 갖는다. 또한, 효율이 향상됨에 따라 각각 36% 및 21%의 작업비용이 절감된다. 이는 본 고안의 출원인이, 본 고안을 실험하여 획득한 결과값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마늘주아선별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마늘주아선별장치의 총포분해기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도 1의 A부분 확대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마늘주아선별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호퍼 10 : 총포분해기
12 : 롤러패어 12a : 상부롤러패어
12b : 하부롤러패어 14 : 회전부
16 : 가압부재 20 : 적출기
22 : 버킷 22a : 네트바닥
24 : 저장함 25a : 경사판
26 : 브로워 30 : 선별기
32 : 선별스크린 36 : 경사프레임
38 : 고정부재 40 : 바이브레이터
42 : 로드 44 : 캠
46 : 구동모터 F : 프레임
H : 장공

Claims (11)

  1. 마늘총포를 분해해서 마늘주아를 분리하고, 이 마늘주아를 크기별로 선별하는 마늘주아선별장치에 있어서,
    마늘총포를 공급하는 호퍼(1)가 마련된 프레임(F)과;
    상기 프레임(F)의 호퍼(1)로부터 공급되는 마늘총포를, 총포껍질 및 마늘주아로 분해하는 총포분해기(10)와;
    상기 총포분해기(10)에서 분해된 마늘총포로부터, 마늘주아만을 따로 적출하는 적출기(20)와;
    상기 적출기(20)에서 분리된 마늘주아를 이동시키면서, 크기별로 선별하여 배출시키는 선별기(30) 및;
    상기 선별기(30)상의 마늘주아가 이동하도록, 선별기(30)를 요동시키는 바이브레이터(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주아선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총포분해기(10)는,
    상기 적출기(20)의 상부에 위치한 상기 프레임(F)에, 적어도 하나의 층을 이루면서 설치되고, 프레임(F)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한쌍의 롤러(R)를 가지며, 회전시 상기 호퍼(1)로부터 한쌍의 롤러(R) 사이로 마늘총포를 공급받아서 가압하여 분해하는 동시에, 분해된 마늘총포를 낙하시켜서 적출기(20)에 공급하는 롤러패어(12) 및;
    상기 롤러패어(12)의 롤러(R)를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부(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주아선별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패어(12)는,
    상기 프레임(F)의 호퍼(1)에서 공급되는 마늘총포를, 총포껍질 및 마늘주아로 양분하는 상부롤러패어(12a) 및;
    상기 상부롤러패어(12a)로부터 분리된 마늘주아를 공급받아서, 이 마늘주아를 낱개의 쪽단위로 세분하는 하부롤러패어(12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주아선별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패어(12)는 롤러(R)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간격조절수단은 상기 롤러패어(12)의 롤러(R) 축이 관통하여 볼팅고정되는 장공(H)을 상기 프레임(F)에 형성하여, 이 장공(H)을 따라서 롤러패어(12)의 롤러(R) 축이 이동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주아선별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수단은,
    상기 프레임(F)상에 수평방향으로 체결되어, 상기 롤러패어(12)의 롤러(R) 축이 상기 장공(H)을 따라 이동하도록, 롤러패어(12)의 롤러(R)를 수평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부재(1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주아선별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패어(12)는, 상기 프레임(F)의 호퍼(1)에서 공급되는 마늘총포를, 총포껍질 및 마늘주아로 양분하는 상부롤러패어(12a) 및;
    상기 상부롤러패어(12a)로부터 분리된 마늘주아를 공급받아서, 이 마늘주아를 낱개의 쪽단위로 세분하는 하부롤러패어(12b);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부(14)는, 상기 상부롤러패어(12a)를 구성하는 각각의 롤러(R)에 제각각으로 마련되는 더블타입의 서브스프로킷(14a)과;
    메인스프로킷(14b)을 제각각으로 갖는 한쌍의 드라이브모터(14M)와;
    상기 서브 및 메인스프로킷(14a, 14b)에 제각각으로 와인딩되는 복수개의 구동체인(14c)과;
    상기 하부롤러패어(12b)를 구성하는 각각의 롤러(R)에 제각각으로 마련되는 피동스프로킷(14a') 및;
    상기 상·하부롤러패어(12a, 12b)에 제각각으로 마련된 상기 서브스프로킷(14a) 및 피동스프로킷(14a')에 제각각으로 와인딩되고, 서브스프로킷(14a)의 회전력을 피동스프로킷(14a')으로 전달하여, 피동스프로킷(14a')을 회전시키는 복수개의 피동체인(14c');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주아선별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출기(20)는,
    상기 총포분해기(10)로부터 분해된 마늘총포를 공급받으며, 이 공급되는 마늘총포의 마늘주아는 통과시키면서 총포껍질은 잔존시키는 망으로된 네트바닥(22a)을 갖는 버킷(22) 및;
    상기 버킷(22)으로부터 마늘주아를 공급받아서 저장하는 저장함(2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주아선별장치.
  8. 제 1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출기(20)는,
    상기 총포분해기(10)의 하부에 직립상태로 마련되어 상기 선별기(30)의 상부에 위치하는 동시에, 상기 바이브레이터(40)에 의하여 요동하며, 상측에는 총포분해기(10)로부터 분해된 마늘총포를 공급받는 동시에, 요동하면서 공급되는 마늘총포의 마늘주아 및 총포껍질을 자체 경사를 따라 이동시켜서, 선별기(30)로 낙하시키는 경사판(25a)을 갖는 요동프레임(25) 및;
    상기 요동프레임(25)의 경사판(25a)의 하부에 바람을 송풍하여, 경사판(25a)에서 낙하되는 총포껍질을 요동프레임(25)의 외부로 배출시키면서, 총포껍질에서 마늘주아만을 적출하여, 상기 선별기(30)로 공급하는 브로워(2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주아선별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기(30)는,
    서로 다른 크기의 메쉬를 가지면서 분리가능하게 적층되어, 상기 적출기(20)에서 공급되는 마늘주아를 이동시키면서 크기별로 선별하는 동시에, 배출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선별스크린(32)과;
    상기 선별스크린(32)의 하부에 일체로 설치되어, 선별스크린(32)을 투과하는 마늘주아를 공급받아서 배출시키는 오목한 형태의 하부판(33)과;
    상기 하부판(33)과 일체를 이루면서 경사를 제공하여, 하부판(33) 및 상기 선별스크린(32) 상의 마늘에 관성을 부여하며, 상기 바이브레이터(40)에 의하여 요동하는 경사프레임(36) 및;
    상기 경사프레임(36)을 상기 프레임(F)상에 유동가능하게 장착시키는 고정부재(3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주아선별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브레터(40)는,
    상기 선별기(30)에 일측이 연결되는 로드(42)와;
    상기 로드(42)의 타측이 편심 연결되고, 상기 프레임(F)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캠(44) 및;
    상기 캠(44)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주아선별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캠(44)의 축에 일체로 마련되는 종동스프로킷(S)과;
    구동스프로킷(M)을 갖는 구동모터(46) 및;
    상기 종동 및 구동스프로킷(S, M)에 와인딩되는 체인(C);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주아선별장치.
KR20-2004-0036534U 2004-12-23 2004-12-23 마늘주아선별장치 KR2003837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6534U KR200383754Y1 (ko) 2004-12-23 2004-12-23 마늘주아선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6534U KR200383754Y1 (ko) 2004-12-23 2004-12-23 마늘주아선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3754Y1 true KR200383754Y1 (ko) 2005-05-09

Family

ID=43685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6534U KR200383754Y1 (ko) 2004-12-23 2004-12-23 마늘주아선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375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7387B1 (ko) 2012-07-24 2014-03-21 정성욱 다중 진동기능을 갖는 농산물 선별기
KR20200017619A (ko) * 2018-08-08 2020-02-19 (주)아산이엔지 식품 펠렛의 선별장치
KR102624870B1 (ko) * 2023-05-22 2024-01-15 충청남도 홍성군 (농업기술센터장) 마늘 주아밥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7387B1 (ko) 2012-07-24 2014-03-21 정성욱 다중 진동기능을 갖는 농산물 선별기
KR20200017619A (ko) * 2018-08-08 2020-02-19 (주)아산이엔지 식품 펠렛의 선별장치
KR102092666B1 (ko) * 2018-08-08 2020-03-26 (주)아산이엔지 식품 펠렛의 선별장치
KR102624870B1 (ko) * 2023-05-22 2024-01-15 충청남도 홍성군 (농업기술센터장) 마늘 주아밥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179945B (zh) 一种洋葱清洗分选切割一体化加工生产线
CN207857323U (zh) 草莓分级筛选机
KR200383754Y1 (ko) 마늘주아선별장치
CN108212556A (zh) 一种离心分离型沙石筛分装置
CN207188218U (zh) 一种高效花椒籽筛选装置
CN109894369A (zh) 一种泥沙筛分装置及其使用方法
CN207682483U (zh) 干辣椒切段机
CN112756034A (zh) 一种燕麦加工用分级碾皮装置、燕麦片制备方法
CN112958240A (zh) 一种化肥破碎装置
CN209597659U (zh) 一种土豆分选系统
CN113083422B (zh) 一种园林绿化枯叶粉碎装置及其实施方法
CN207899606U (zh) 一种离心分离型沙石筛分装置
CN110292966A (zh) 一种受灾小麦分级加工工艺
CN104996557B (zh) 坚果灭虫筛选方法及其生产系统
CN202396184U (zh) 多用脱粒机
CN111656967B (zh) 智能谷物脱粒一体化装置
CN210253063U (zh) 一种粮食机械振动筛
CN204350681U (zh) 一种沙棘脱粒筛选机
CN208370320U (zh) 一种高效的葵花脱粒储存装置
CN209255202U (zh) 一种高效振动筛分装置
CN208162040U (zh) 一种用于果实分级筛选的装置
CN105284302A (zh) 一种新型打谷机
KR200344538Y1 (ko) 콩 정선이 가능한 콩 탈곡기
CN207857325U (zh) 螺旋分级筛选机
CN201131155Y (zh) 多功能花生联合收获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