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6899B1 - 벨트타입 스노 체인과 그 장착장치 - Google Patents

벨트타입 스노 체인과 그 장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6899B1
KR101376899B1 KR1020140008385A KR20140008385A KR101376899B1 KR 101376899 B1 KR101376899 B1 KR 101376899B1 KR 1020140008385 A KR1020140008385 A KR 1020140008385A KR 20140008385 A KR20140008385 A KR 20140008385A KR 101376899 B1 KR101376899 B1 KR 1013768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steel
steel sheet
snow chain
hole
t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8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상필
Original Assignee
노상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상필 filed Critical 노상필
Priority to KR10201400083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68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68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68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7/00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 B60C27/003Mounting aids, e.g. auxiliary tensioning tools, slotted r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7/00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 B60C27/06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extending over the complete circumference of the tread, e.g. made of chains or cables
    • B60C27/062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extending over the complete circumference of the tread, e.g. made of chains or cables provided with fastening means
    • B60C27/065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extending over the complete circumference of the tread, e.g. made of chains or cables provided with fastening means acting on the tread portion, e.g. special fixing agents, fastened in the groove of the ty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성 강판과 스파이크와 삽입구와 연결핀을 포함하는 벨트타입 스노 체인과 그 장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탄성 강판은 길이방향을 따라 굴곡이 가능하다. 스파이크는 탄성 강판의 일측면에서 돌출하며, 삽입구는 탄성 강판의 타측면에서 돌출하여 타이어의 외주면에 형성된 트레드 홈에 삽입된다. 연결핀은 탄성 강판의 길이방향 일단부에 두께 방향으로 삽입 고정되어 탄성 강판을 연속적으로 연결한다. 탄성 강판의 길이방향 타단부에는 인접하는 탄성 강판에 고정된 연결핀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복수의 연결 구멍이 탄성 강판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탄성 강판의 중간에는 스노체인을 타이어에 장착할 시에 탄성 강판을 견인하여 결속시키기 위한 견인 구멍이 형성된다. 벨트타입 스노 체인의 장착장치는 가고정구와 견인 홀딩수단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밴드 스프링을 사용하지 않으면서 탄성 강판의 개수와 이 탄성 강판에 형성된 복수의 연결 구멍에 의해 다양한 크기의 타이어에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으며 탄성 강판의 탄성력에 의해 체인의 탈착을 더욱 용이하게 하며 임의의 손상부분을 손쉽게 교체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벨트타입 스노 체인과 그 장착장치{Snow chain of belt type and Mounting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벨트타입 스노 체인과 그 장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탄성 강판의 개수와 이 탄성 강판에 형성된 복수의 연결 구멍에 의해 다양한 크기의 타이어에 간편하게 장착 및 탈착 가능하며 임의의 손상부분을 손쉽게 교체 가능한 벨트타입 스노 체인과 그 장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영하의 기온으로 내려가는 겨울철에는 눈이 내리면서 도로 위에 쌓이는 경우가 자주 발생되고, 눈이 쌓인 도로는 차량들이 주행하면서 눈이 다져지게 되므로 매우 미끄러운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미끄러운 도로에서는 일반 타이어를 사용한 자동차는 주행 중 브레이크를 밟아도 제동이 안 될 뿐만 아니라 브레이크를 밟으면 자동차가 정지하지 않고 오히려 회전하면서 큰 사고로 이어지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겨울철 주행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하여 눈길에서의 주행 안정성을 높인 스노 타이어를 사용하거나 일반 타이어에 체인을 설치하여 눈길 미끄럼 사고를 방지하게 된다. 눈길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제품들 중에서 스노 타이어의 경우에는 일반 타이어의 교체시기에 관계없이 눈이 오는 겨울철이 되면 최소한 4개의 타이어를 바꾸어야 하므로 비용 부담이 많아진다. 따라서 필요할 때에만 일반 타이어에 체인을 장착하여 눈길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다양한 스노 체인이 개발되어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종래 스노 체인으로 한국공개특허 제2002-0021444호, 한국공개특허 제2002-0047083호 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 스노 체인은 장착과 탈착이 복잡하므로 편의성이 떨어지고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스파이크의 간격이 멀고 높이가 일정하지 않아 스노 체인의 본래 기능을 상실하게 되며 스파이크에 의한 상하 충격으로 인해 자체의 흔들림이 심해서 조향 안정성이 낮고 터널 등 눈이 없는 도로에서는 도로면과 스노 체인이 마찰을 일으켜 스노 체인이 쉽게 마모되고 파손되며 부분적으로 마모되더라도 스노 체인을 전체적으로 교체해야 하거나 스노 체인의 교체가 용이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에 의해 안출된 다관절 벨트타입 스노체인이 한국등록특허 제10-1324833호로 개시되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24833호는 스파이크의 갯수와 밴드 스프링의 긴장 및 이완작용에 의해 다양한 크기의 타이어에 간편하게 장착 및 탈착 가능하며 독립된 고정핀에 의해 임의의 손상부분을 손쉽게 교체가능하게 함으로써 교체 비용을 줄이는 다관절 벨트타입 스노체인을 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종래 다관절 벨트타입 스노체인의 구성을 더욱 간단히 하여 밴드 스프링을 사용하지 않으면서 탄성 강판의 개수와 이 탄성 강판에 형성된 복수의 연결 구멍에 의해 다양한 크기의 타이어에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으며 탄성 강판의 탄성력에 의해 체인의 탈착을 더욱 용이하게 하며 임의의 손상부분을 손쉽게 교체 가능한 벨트타입 스노 체인과 그 장착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벨트타입 스노 체인은 길이방향을 따라 굴곡이 가능한 탄성 강판과, 탄성 강판의 일측면에서 돌출하여 고정된 다수의 스파이크와, 탄성 강판의 타측면에서 돌출하여 타이어의 외주면에 형성된 트레드 홈에 삽입되는 삽입구와, 탄성 강판의 길이방향 일단부에 두께 방향으로 삽입 고정되어 탄성 강판을 연속적으로 연결하는 연결핀을 포함하며, 탄성 강판의 길이방향 타단부에는 인접하는 탄성 강판에 고정된 연결핀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복수의 연결 구멍이 탄성 강판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탄성 강판의 중간에는 스노 체인을 타이어에 장착할 시에 탄성 강판을 견인하여 결속시키기 위한 견인 구멍이 형성된다.
연결핀에는 인접하는 탄성 강판이 이어져 타이어의 외주면을 따라 절곡됨에 따른 여유공간과 유연성을 확보하기 위한 신축링이 끼워진다.
연결핀에는 인접하는 탄성 강판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냅링이 끼워지거나, 인접하는 탄성 강판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 와셔를 고정하여 탄성 강판을 연결하는 연결볼트가 체결된다.
본 발명에 의한 벨트타입 스노 체인의 장착장치는, 길이방향을 따라 굴곡이 가능한 탄성 강판과, 탄성 강판의 일측면에서 돌출하여 고정된 다수의 스파이크와, 탄성 강판의 타측면에서 돌출하여 타이어의 외주면에 형성된 트레드 홈에 삽입되는 삽입구와, 탄성 강판의 길이방향 일단부에 두께 방향으로 삽입 고정되어 탄성 강판을 연속적으로 연결하는 연결핀을 포함하며, 탄성 강판의 길이방향 타단부에는 인접하는 탄성 강판에 고정된 연결핀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복수의 연결 구멍이 탄성 강판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탄성 강판의 중간에는 스노 체인을 타이어에 장착할 시에 탄성 강판을 견인하여 결속시키기 위한 견인 구멍이 형성된 한 쌍의 제1스노 체인 및 제2스노 체인을 타이어의 외주면에 장착하는 장치로서, 제1스노 체인의 양단부를 타이어에 가고정하는 가고정구와, 제2스노 체인의 일단부를 제1스노 체인의 일단부에 연결시킨 다음 제2스노 체인의 타단부와 제1스노 체인의 타단부를 서로 견인하여 결속하도록 홀딩하는 견인 홀딩수단을 포함하며; 견인 홀딩수단은 하우징과, 하우징에 의해 안내되어 이동하는 이동 프레임과, 하우징에 고정되어 제1스노 체인의 견인 구멍에 걸리는 제1걸림구와, 이동 프레임에 고정되어 제2스노 체인의 견인 구멍에 걸리는 제2걸림구와, 이동 프레임을 이동시켜 제1걸림구와 제2걸림 구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는 조정구를 포함한다.
제1걸림구와 제2걸림구에는 견인구멍에 끼워져 움직이지 않게 하는 요철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벨트타입 스노 체인과 그 장착장치에 의하면, 밴드 스프링을 사용하지 않으면서 탄성 강판의 개수와 이 탄성 강판에 형성된 복수의 연결 구멍에 의해 다양한 크기의 타이어에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으며 탄성 강판의 탄성력에 의해 체인의 탈착을 더욱 용이하게 하며 임의의 손상부분을 손쉽게 교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벨트타입 스노 체인과 그 장착장치에 의하면, 탄성 강판에 일정 간격과 크기로 배치된 스파이크에 의해 상하 충격으로 인한 자체의 흔들림을 줄이는 한편 마모를 줄이고 차량의 정숙성과 조향 안정성을 높여 차량의 안전운행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벨트타입 스노 체인은 스테인레스 강재의 탄성 강판과 특수강을 열처리하여 제조된 스파이크에 의해 내구성과 내마모성을 높여 사용수명이 길어지고 사용자의 경제적 부담을 줄이고, 전체적으로 폐기시에는 고철로서 재활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벨트타입 스노 체인을 나타내는 입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벨트타입 스노 체인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벨트타입 스노 체인에서 탄성 강판을 연결하는 연결핀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벨트타입 스노 체인을 타이어에 장착하기 위한 견인 홀딩수단을 나타내는 입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견인 홀딩수단의 평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벨트타입 스노 체인을 타이어에 장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벨트타입 스노 체인을 나타내는 입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벨트타입 스노 체인의 평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벨트타입 스노 체인(100)은 탄성 강판(110)과, 스파이크(120)와, 삽입구(130)와, 연결핀(140)을 포함한다.
탄성 강판(110)는 굴곡 탄성력이 뛰어난 스테인레스 박판재으로 제조되며, 길이방향 양단 모서리가 절단되어 대체로 삼각형태의 돌출부를 이룬다. 탄성 강판(110)의 길이방향 일단부에는 구멍이 형성되고 이 구멍에 연결핀(140)이 끼워져 스폿 용접으로 고정된다. 탄성 강판(110)의 길이방향 타단부에는 인접하는 탄성 강판(110)에 고정된 연결핀(140)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복수(2개)의 연결구멍(111)이 탄성 강판(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C)으로 배열 형성된다.
탄성 강판(110)의 중앙에는 스노 체인을 타이어에 장착할 시에 탄성 강판(110)을 견인하여 결속시키기 위한 견인 구멍(112)이 형성된다. 탄성 강판(110)의 중간부에는 4개의 스파이크(120)가 견인 구멍(112)을 중심으로 탄성 강판(110)의 폭방향 및 길이방향 양측에 배치되어 고정되는 한편, 2개의 삽입구(130)가 견인 구멍(112)을 중심으로 탄성 강판(110)의 길이방향 양측에 배치되어 고정된다. 탄성 강판(110)은 소정의 곡률반경으로 구부려져 있을 수도 있다. 탄성 강판(110)의 두께가 두꺼운 경우에는 후술하는 견인 홀딩수단(400)의 제1걸림구(430) 또는 제2걸림구(440)의 요철부가 끼워져 움직이지 않게 하도록 견인 구멍(112)의 내면에는 나사홈 등의 요철부가 형성될 수 있다.
스파이크(120)는 원통형 몸체(121)의 중앙에 고정 홈(121a)이 형성되고, 이 고정 홈(121a)에 리벳(122)이 삽입되어 탄성 강판(110)에 리벳 결합으로 고정된다. 스파이크(120)는 열처리된 특수강이 사용되며, 원통형 몸체(121)가 탄성 강판(110)의 외측면(타이어에 장착된 상태를 기준)에서 외측으로 돌출된다. 스파이크(120)는 레일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고, 탄성 강판(110)에서 절곡되어 탄성 강판(110)과 일체로 형성된 플랜지 형태로 되어 있을 수도 있다.
삽입구(130)는 타이어의 외주면에 형성된 트레드 홈에 삽입되며, 탄성 강판(110)의 내측면(타이어에 장착된 상태를 기준)에서 내측으로 돌출되게 끼워져 스폿 용접으로 고정된 가이드 핀 형태로 되어 있다. 삽입구(130)에는 탄성 강판(110)의 구멍에 끼워져 걸리는 걸림 플랜지부(131)가 형성된다. 삽입구(130)는 탄성 강판의 길이방향으로 고정된 안내 레일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안내 레일은 탄성 강판(110)에 용접으로 고정되거나 안내 레일과 일체로 된 리벳팅용 돌기에 의해 탄성 강판(110)에 끼워져 리벳팅 작업에 의해 고정된다.
연결핀(140)은 탄성 강판(110)의 길이방향 일단부에 두께 방향으로 삽입 고정되어 탄성 강판(110)을 연속적으로 연결하는 핀으로서, 내부에 나사구멍(141a)이 형성된 보스부(141)를 가지는 부시 형태의 핀으로 되어 있다. 연결핀(140)에는 탄성 강판(110)의 구멍에 끼워져 걸리는 걸림 플랜지부(142)가 형성된다. 보스부(141)는 스파이크(120)의 돌출방향으로 돌출된다.
연결핀(140)의 보스부(141)에는 인접하는 탄성 강판(110)이 이어져 타이어의 외주면을 따라 절곡됨에 따른 여유공간과 유연성을 확보하기 위한 신축링(150)이 끼워진다. 보스부(141)에는 인접하는 탄성 강판(110)의 연결구멍(111)이 맞추어져 끼워진 후, 보스부(141)에 신축링(150)이 끼워지고, 신축링(150) 및 인접하는 탄성 강판(110)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 와셔(160)가 삽입된 다음, 연결볼트(165)가 보스부(141)의 나사구멍(141a)에 체결되어 탄성 강판(110)을 연결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벨트타입 스노 체인에서 탄성 강판을 연결하는 연결핀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연결핀(240)은 탄성 강판(110)의 길이방향 일단부에 두께 방향으로 삽입 고정되어 탄성 강판(110)을 연속적으로 연결하는 핀으로서, 보스부(241)을 가지는 핀 형태로 되어있으며, 보스부(241)의 외면에 형성된 홈에 스냅링(265)이 끼워져 탄성 강판(110)의 이탈을 방지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연결핀(240)에는 탄성 강판(110)의 구멍에 끼워져 걸리는 걸림 플랜지부(242)가 형성되고, 보스부(241)는 스파이크(120)의 돌출방향으로 돌출되며, 연결핀(240)의 보스부(241)에는 인접하는 탄성 강판(110)이 이어져 타이어의 외주면을 따라 절곡됨에 따른 여유공간과 유연성을 확보하기 위한 신축링(250)이 끼워진다. 상기 보스부(241)에 신축링(250)이 끼워진 후, 보스부(241)에는 인접하는 탄성 강판(110)의 연결구멍(111)이 맞추어져 끼워지고, 이 인접하는 탄성 강판(110)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냅링(260)이 삽입되어 탄성 강판(110)을 고정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벨트타입 스노체인은 제1스노 체인(100A)과 제2스노 체인(100B)을 한 쌍으로 하여 가고정구(300) 및 견인 홀딩수단(400)을 사용하여 타이어에 장착한다(도 6a 내지 도 6d 참조).
가고정구(300)는 도 6b 및 도 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스노 체인(100A)의 양단부를 타이어(T)에 가고정하며, 벨크로 테이프나 다각으로 구부려진 밴드 스프링 등을 사용한다. 별도의 가고정구가 없이 타이어(T)의 트레드 홈에 삽입되는 삽입구(130) 또는 안내 레일이 가고정구의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다양한 고정구가 사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벨트타입 스노 체인을 타이어에 장착하기 위한 견인 홀딩수단을 나타내는 입면도(하우징의 일부를 절단한 상태)이고, 도 5는 도 4의 견인 홀딩수단의 평면도(하우징의 일부를 절단한 상태)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견인 홀딩수단(400)은 하우징(410)과, 이동 프레임(420)과, 제1걸림구(430)와, 제2걸림구(440)와, 조정구(450)를 포함한다.
견인 홀딩수단(400)은 도 6c 및 도 6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스노 체인(100B)의 일단부를 타이어(T)에 가고정된 제1스노 체인(100A)의 일단부에 연결시킨 다음, 제2스노 체인(100B)의 타단부와 제1스노 체인(100A)의 타단부를 서로 견인하여 결속하도록 홀딩한다.
하우징(410)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사각 단면형의 통체로서, 일측단은 상기 이동 프레임(420)이 삽입되도록 트이고, 타측단은 조정구(450)가 설치되는 좌대(411)에 의해 막혀 있다.
이동 프레임(420)은 하우징(410)에 의해 안내되어 조정구(450)에 의해 이동하는 프레임으로서, 2개의 플레이트(421)가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그 양단이 제1연결부재(422) 및 제2연결부재(423)에 의해 연결되어 프레임을 이룬 형태이다. 제1연결부재(422)에는 제1걸림구(430)가 고정되고, 제2연결부재(423)에는 조정구(450)의 후술하는 고정핀이 고정된다.
제1걸림구(430)는 제1로드(431)가 제1고정너트(432)에 의해 제1연결부재(422)에 고정된 구조로서, 제1로드(431)의 외주면에는 견인구멍(112)에 끼워져 움직이지 않게 하는 요철부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로드(431)가 나사봉 형태로서, 제1연결부재(422)에 나사결합되는 한편 제1고정너트(432)에 의해 고정되므로 나사산이 요철부의 역할을 한다.
제2걸림구(440)는 제2로드(441)가 제2고정너트(442)에 의해 하우징(410)에 고정된 구조로서, 제2로드(441)의 외주면에는 견인구멍(112)에 끼워져 움직이지 않게 하는 요철부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로드(441)가 나사봉 형태로서, 하우징(410)에 나사결합되는 한편 제2고정너트(442)에 의해 고정되므로 나사산이 요철부의 역할을 한다.
조정구(450)는 나사봉(451)의 일단이 고정핀(452)에 의해 제2연결부재(423)에 고정되고, 나사봉(451)의 타단부가 좌대(411)를 통하여 하우징(410)에 나사결합되어 조정너트(453)에 의해 이동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조정너트(453)를 조우고 푸는 조정에 의해 나사봉(451)과 함께 이동 프레임(420)이 하우징(410) 내에서 이동함에 따라 제1걸림구(430)와 제2걸림구(440) 사이의 간격이 조정된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벨트타입 스노 체인과 그 장착장치(가고정구 및 견인 홀딩수단)에 의해 스노 체인을 장착하는 방법을 도 6a 내지 도 6d에 따라 설명한다.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스노 체인(100A)의 삽입구(130)를 타이어(T)의 외주면에 형성된 트레드 홈에 삽입하면서 타이어(T)의 절반을 감싼다. 이어서 제1스노 체인(110A)의 양단부를 벨크로 테이프 등의 가고정구(300)를 사용하여 타이어(T)에 가고정한 다음, 차를 조금 이동시킨다(도 6b). 이때, 제1스노 체인(100A)의 일단부를 가고정부(300)로 타이어(T)에 가고정한 다음, 타이어(T)를 회전시키면서 삽입구(130)가 타이어의 트레드 홈에 삽입되게 하여 제1스노 체인(100A)을 정위치시키면서 타이어(T)의 절반을 감싸서 밀착시키는 한편 제1스노 체인(110A)의 타단부를 가고정부(300)로 타이어(T)에 가고정할 수도 있다.
다음에, 도 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스노 체인(100B)을 사용하여 타이어(T)의 나머지 절반을 감싸게 되는데, 제2스노 체인(100B)의 일단부를 타이어(T)에 가고정된 제1스노 체인(100A)의 일단부에 연결핀(140)으로 연결시킨 다음, 도 6d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견인 홀딩수단(400)을 사용하여 제2스노 체인(100B)의 타단부와 제1스노 체인(100A)의 타단부를 서로 견인하여 결속하도록 홀딩하고, 제2스노 체인(100B)을 제1스노 체인(100A)에 연결하여 고정한다.
제1스노 체인(100A)과 제2스노 체인(100B)으로 타이어(T)를 감쌀 때에는 신축링(150 : 도 1 참조)(250 : 도 3 참조)에 의해 탄성 강판(110)의 연결부(연결핀 및 연결구멍)가 관절식으로 쉽게 구부려져 여유공간과 유연성이 확보되므로 제1스노 체인(100A)과 제2스노 체인(100B)을 타이어(T)에 밀착시키기가 용이하다.
제1스노 체인(100A)과 제2스노 체인(100B)의 연결 및 고정은 도 1에 도시시한 바와 같이 연결핀(140)과 신축링(150)과 이탈방지 와셔(160) 및 연결볼트(165)에 의해 이루어지거나,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핀(240)과 신축링(250)과 스냅링(260)에 의해 이루어진다.
타이어(T)의 크기에 따른 제1스노 체인(100A)과 제2스노 체인(100B)의 길이 조정은 탄성 강판(110)의 갯수와 인접하는 탄성 강판(110)을 연결하는 연결 구멍(111)의 연결 위치에 따라 다양하게 조정할 수 있다. 연결 구멍(111)의 연결 위치에 따라 하나의 탄성 강판(110)이 연결될 때 그 길이는 2개의 연결 구멍(111)의 간격(C) 만큼 조정될 수 있다.
도 6d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견인 홀딩수단(400)을 사용하여 제2스노 체인(100B)의 타단부와 제1스노 체인(100A)의 타단부를 서로 견인할 때에는, 제2스노 체인(100B)의 타단부에 형성된 견인구멍(112)에 제1걸림구(430)를 삽입하여 거는 한편 제1스노 체인(100A)의 타단부에 형성된 견인구멍(112)에 제2걸림구(440)를 삽입하여 걸어, 조정볼트(453)을 조우면 이동 프레임(420)이 이동된다(도 4 및 도 5 참조). 따라서 제1스노 체인(100A)과 제2스노 체인(100B)이 서로 견인되어 탄성 강판(110)의 연결구멍(111)과 연결핀(140)(240)을 맞추고 연결볼트(165) 또는 스냅링(260)으로 결속하면, 스노 체인의 장착이 완료된다. 제1걸림구(430)와 제2걸림구(440)의 요철부(나사부)는 견인구멍(112)의 내면에 끼워져 걸리므로 미끄러지지 않고 움직이지 않게 되므로 견인 작업이 용이하다. 스노 체인을 장착한 후에는 가고정구(300) 및 견인 홀딩 수단(400)을 제거한다.
스노 체인(100)을 탈착할 때에는 별도의 견인 홀딩수단(400)이 없이 임의의 위치에서 연결볼트(165)와 스냅링(260)을 제거하고 탄성 강판(110)을 연결핀(140)(240)에서 이탈시키면, 탄성 강판(110)의 탄성력에 의해 스노체인(100)은 손쉽게 타이어(T)에서 이탈되므로 차량을 이동시켜 스노 체인(100)을 빼낼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 스노 체인
110 : 탄성 강판 111 : 연결구멍
112 : 견인구멍 120 : 스파이크
121 : 원통형 몸체 130 : 삽입구
140 : 연결핀 141 : 보스부
142 : 걸림 플랜지부 150 : 신축링
160 : 이탈 방지 와셔 165 : 연결볼트
300 : 가고정구
400 : 견인 홀딩수단
410 : 하우징 411 : 좌대
420 : 이동 프레임 421 : 플레이트
422 : 제1연결부재 423 : 제2연결부재
430 : 제1걸림구 431 : 제1로드
432 : 제1고정너트 440 : 제2걸림구
441 : 제2로드 442 : 제2고정너트
450 : 조정구 451 : 나사봉
452 : 고정핀 453 : 조정너트

Claims (6)

  1. 길이방향을 따라 굴곡이 가능한 탄성 강판과, 상기 탄성 강판의 일측면에서 돌출하여 고정된 복수의 스파이크와, 상기 탄성 강판의 타측면에서 돌출하여 타이어의 외주면에 형성된 트레드 홈에 삽입되는 삽입구와, 상기 탄성 강판의 길이방향 일단부에 두께 방향으로 삽입 고정되어 탄성 강판을 연속적으로 연결하는 연결핀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 강판의 길이방향 타단부에는 인접하는 탄성 강판에 고정된 연결핀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복수의 연결 구멍이 상기 탄성 강판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상기 탄성 강판의 중간에는 스노체인을 타이어에 장착할 시에 상기 탄성 강판을 견인하여 결속시키기 위한 견인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핀에는 인접하는 탄성 강판이 이어져 타이어의 외주면을 따라 절곡됨에 따른 여유공간과 유연성을 확보하기 위한 신축링이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타입 스노체인.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핀에는 인접하는 탄성 강판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냅링이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타입 스노체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핀에는 인접하는 탄성 강판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 와셔를 고정하여 탄성 강판을 연결하는 연결볼트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타입 스노체인.
  5. 청구항 1의 스노 체인을 타이어의 외주면에 장착하는 장치로서,
    상기 스노 체인의 단부를 타이어에 가고정하는 가고정구와, 상기 스노 체인의 단부를 견인하여 결속하도록 홀딩하는 견인 홀딩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견인 홀딩수단은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의해 안내되어 이동하는 이동 프레임과,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어 스노 체인의 견인 구멍에 걸리는 제1걸림구와, 상기 이동 프레임에 고정되어 스노 체인의 다른 견인 구멍에 걸리는 제2걸림구와, 상기 이동 프레임을 이동시켜 제1걸림구와 제2걸림구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는 조정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타입 스노체인의 장착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걸림구와 상기 제2걸림구에는 상기 견인구멍에 끼워져 움직이지 않게 하는 요철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타입 스노체인의 장착장치.
KR1020140008385A 2014-01-23 2014-01-23 벨트타입 스노 체인과 그 장착장치 KR1013768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8385A KR101376899B1 (ko) 2014-01-23 2014-01-23 벨트타입 스노 체인과 그 장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8385A KR101376899B1 (ko) 2014-01-23 2014-01-23 벨트타입 스노 체인과 그 장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6899B1 true KR101376899B1 (ko) 2014-03-25

Family

ID=50649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8385A KR101376899B1 (ko) 2014-01-23 2014-01-23 벨트타입 스노 체인과 그 장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689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8743B1 (ko) 2014-11-10 2015-01-02 노상필 스파이크 연결형 스노체인과 그 장착장치
KR20160061288A (ko) * 2016-01-26 2016-05-31 정연희 타이어 원주 방향의 단계별 균등 분할 스노우 체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6236Y1 (ko) 2005-03-04 2005-06-08 최대광 타이어 미끄럼 방지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6236Y1 (ko) 2005-03-04 2005-06-08 최대광 타이어 미끄럼 방지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8743B1 (ko) 2014-11-10 2015-01-02 노상필 스파이크 연결형 스노체인과 그 장착장치
WO2016076571A1 (ko) * 2014-11-10 2016-05-19 노상필 스파이크 연결형 스노체인과 그 장착장치
KR20160061288A (ko) * 2016-01-26 2016-05-31 정연희 타이어 원주 방향의 단계별 균등 분할 스노우 체인
KR101661537B1 (ko) 2016-01-26 2016-09-30 정연희 타이어 원주 방향의 단계별 균등 분할 스노우 체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9125B1 (ko) 복륜 타이어용 미끄럼 방지장치
US9409456B1 (en) Vehicle tire chain apparatus
US20150306926A1 (en) Tire Traction Devices
JP5663113B1 (ja) 車両用タイヤチェーン
KR101376899B1 (ko) 벨트타입 스노 체인과 그 장착장치
KR101416445B1 (ko) 타이어 체인
US11059335B2 (en) Tire traction devices
KR101324833B1 (ko) 다관절 벨트타입 스노 체인과 그 장착장치 및 장착시스템
KR101478743B1 (ko) 스파이크 연결형 스노체인과 그 장착장치
KR100573319B1 (ko) 차량의 클립 타입 스노우 체인
US4155388A (en) Traction device assembly for mounting on a vehicle tire
KR200466265Y1 (ko) 분리형 구조를 가진 차량용 스노우체인
EP2050593B1 (en) Anti-skid device with chain length adjustment system
KR100752710B1 (ko) 타이어 장착용 미끄럼 방지 패드
US1587313A (en) Antiskid device
KR101181945B1 (ko) 타이어 밀림방지장치
KR200293581Y1 (ko)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의 마찰패드
KR20160003345U (ko) 차량용 타이어 체인
KR200393274Y1 (ko)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
KR200216183Y1 (ko) 자동차 타이어용 스노우 체인
KR101778262B1 (ko) 스노우 타이어 커버
KR200276438Y1 (ko)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의 마찰패드
KR101231224B1 (ko) 스노우체인
US1420778A (en) Attaching device for nonskid chains
KR100350240B1 (ko) 차량용 미끄럼 방지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