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2710B1 - 타이어 장착용 미끄럼 방지 패드 - Google Patents

타이어 장착용 미끄럼 방지 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2710B1
KR100752710B1 KR1020060029097A KR20060029097A KR100752710B1 KR 100752710 B1 KR100752710 B1 KR 100752710B1 KR 1020060029097 A KR1020060029097 A KR 1020060029097A KR 20060029097 A KR20060029097 A KR 20060029097A KR 100752710 B1 KR100752710 B1 KR 1007527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friction contact
tire
arm
contact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9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재춘
Original Assignee
조재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재춘 filed Critical 조재춘
Priority to KR10200600290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27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27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27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7/00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 B60C27/003Mounting aids, e.g. auxiliary tensioning tools, slotted r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1/00Ri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7/00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 B60C27/006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provided with protective parts, e.g. rubber elements to protect the rim por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7/00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 B60C27/02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extending over restricted arcuate part of tread
    • B60C27/023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extending over restricted arcuate part of tread provided with radial arms for supporting the ground engaging parts on the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7/00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 B60C27/02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extending over restricted arcuate part of tread
    • B60C27/0261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extending over restricted arcuate part of tread provided with fastening means
    • B60C27/0269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extending over restricted arcuate part of tread provided with fastening means acting on the wheel, e.g. on the rim or wheel bo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7/00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 B60C27/20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having ground-engaging plate-like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 Tools For Fitting Together And Separating, Or Other Hand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절기 눈길이나 빙판길에서의 자동차 미끄럼 방지를 목적으로 자동차의 타이어에 부착 사용하는 미끄럼 방지 패드에 관한 것이며, 상세히는 내 외면에 마찰을 위한 돌기가 형성되는 원호형의 마찰접촉패드와 상기 마찰접촉패드를 탄력구조로 휠에 고정하는 고정장치로 이루어져 상기 마찰접촉패드를 타이어에 대고 고정장치로 고정하는 부착 방법에 의해 동절기 눈길이나 빙판길에서 간단하게 부착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미끄럼 방지 패드를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를 위하여 타이어의 접지면에 접촉되고 외 측으로 돌출되는 돌기가 형성되는 호형의 패드와, 상기 패드와 일체성이 유지하도록 일 측에 돌출 형성되는 암(arm)으로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마찰접촉패드와; 상기한 각 마찰접촉패드의 암에 연결되고,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각 마찰접촉패드를 휠축으로 당겨줌으로써 각 마찰접촉패드를 고정하는 고정장치;로 이루어지는 타이어 장착용 미끄럼 방지 패드를 제시한다.
미끄럼, 스노우 체인, 스노우 패드

Description

타이어 장착용 미끄럼 방지 패드 { NON-SLIP SNOW PAD }
도 1은 본 발명의 기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을 타이어에 장착한 단면 상태도
도 3은 텐션연결구의 다른 실시 예도
도 4 는 마찰접촉패드를 3개로 구성한 실시 예도
도 5 및 도 6은 마찰접촉패드의 고정장치의 다른 실시 예도
도 7 및 도 8은 마찰접촉패드를 하나로 구성한 실시 예도
*. 주요부호의 설명
10. 마찰접촉패드 11. 패드 12. 암
13. 힌지
20. 고정장치 21. 고정구 22. 텐션연결구
22a.실린더 22b. 스프링 22c. 와이어
22d. 레칫휠 22e. 나사봉 22f. 핸들삽입구
22g. 레크 22h. 피니언
23.홀더 24. 스프링 25. 나사봉
26. 로드 30. 타이어
40. 핸들
본 발명은 동절기 눈길이나 빙판길에서의 자동차 미끄럼 방지를 목적으로 자동차의 타이어에 부착 사용하는 미끄럼 방지 패드에 관한 것이며, 상세히는 내 외면에 마찰을 위한 돌기가 형성되는 원호형의 마찰접촉패드와 상기 마찰접촉패드를 탄력구조로 휠에 고정하는 고정장치로 이루어져 상기 마찰접촉패드를 타이어에 대고 고정장치로 고정하는 부착 방법에 의해 동절기 눈길이나 빙판길에서 간단하게 부착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미끄럼 방지 패드에 관한 것이다.
눈길이나 빙판길에서는 타이어의 마찰저항이 매우 작기 때문에 쉽게 미끄러지며, 그에 따른 교통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이와 같은 동절기 미끄럼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스노우타이어나 스노우체인의 사용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으나 장착이 불편하거나 또는 가격이 높아 많은 사람이 외면하고 있는 실정이다.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스노우체인을 예로 들면, 체인을 바퀴에 감싼 후 바퀴의 양측에서 와이어 또는 고무로프로 고정하는 방법으로 장착하기 때문에 탈부착 시간이 오래 걸리고 매우 불편하며, 여성이나 노약자 또는 숙달되지 않은 운전자의 경우에 체결부 고정이 느슨하거나 불확실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주행중 체인의 이탈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고급 사양의 경우 기본 고정장치만 휠에 부착한 상태에서 운행하다가 빙판길 상황에서 스노우 체인만 부착할 수 있는 구조도 제시되어 있으며, 이것은 휠에 부착된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스노우체인 만 조립하는 설치 방법을 사용함으로 탈착이 간편한 장점이 있으나 휠에 부착되는 고정장치의 구조가 복잡하고 구입가격이 매우 높은 단점이 있다.
한편 체인 구조는 경제적으로 제조 가능한 장점이 있으나 주행충격이 커서 승차감이 좋지 않고, 반복적인 충격에 의해 휠 밸런스가 틀어지는 등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남녀노소를 포함하여 누구나 쉽고 간편하게 탈부착이 가능하고, 패드구조에 의해 타이어에 밀착 지지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주행 충격을 감소시켜 승차감 저하를 방지하며, 타이어에 부착하는 마찰접촉패드와 고정장치로 구성함으로써 경제적으로 구성할 수 있는 미끄럼 방지 장비를 제시할 목적을 갖는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타이어의 접지면에 접촉되고 외 측으로 돌출되는 돌기가 형성되는 호형의 패드와, 상기 패드와 일체성이 유지하도록 일 측에 돌출 형 성되는 암(arm)으로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마찰접촉패드와; 상기한 각 마찰접촉패드의 암에 연결되고,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각 마찰접촉패드를 휠축으로 당겨줌으로써 각 마찰접촉패드를 고정하는 고정장치;로 이루어지는 타이어 장착용 미끄럼 방지 패드를 제시한다.
상기 마찰접촉패드는 타이어의 접지면에 밀착된 상태로 표면에 형성되는 돌기에 의해 빙판 또는 적설층과의 마찰이 발생하는 원리에 의해 미끄럼을 방지하고, 고정장치는 상기한 각 마찰접촉패드를 타이어에 밀착시켜 타이어와 일체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마찰접촉패드에 작용하는 마찰력을 타이어에 균일하게 전달하는 작용을 갖는다.
상기한 마찰접촉패드를 구성하는 패드는 타이어의 접지면 중심에 밀착 접촉되는 원호형으로 이루어지며, 견고한 접촉력이 유지될 수 있도록 경강선 또는 엔지니어링플라스틱으로 코어가 형성되고 상기 코어에는 타이어 및 노면과의 마찰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일정간격으로 외부돌기와 내부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코어의 표면에 고무 또는 합성고무를 돌기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코팅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코어는 일 측에 형성된 암을 통하여 압착력을 가하더라도 내부돌기의 작용에 의해 타이어의 접지면과 강하게 압착되도록 구성하기 위한 것으로 경강선이나 폴리카보네이트에 유리섬유를 강화 충진시킨 staren PC, 폴리염화비닐(PVC), 폴리프로필렌 등 고강도 내마모성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이 사용된다.
마찰접촉패드의 원호형은 타이어의 둘레 일부만 제외하고 전부를 감싸는 단일 원호형으로 구성할 수 있고, 원형을 2 ~ 4 개의 호로 분리하여 각각의 마찰접촉 패드를 조합해 전체적으로 원호형을 이루도록 한 구조로 구성할 수 있다.
코어에 형성되는 암은 마찰접촉패드를 단일 원호형으로 구성할 경우에는 상기한 코어에 대하여 힌지 결합구조로 구성하고, 2 ~ 4 개로 분리 구성할 경우에는 각 코어의 일 측 중심에 코어와 일체형으로 돌출형성하는 구조로 실시된다.
고정장치는 타이어에 상기한 마찰접촉패드를 끼운 상태에서 마찰접촉패드를 타이어표면에 견고하게 고정하는 작용을 하며, 타이어의 신축운동을 수용하여 일정한 고정력이 유지되도록 각 마찰접촉패드에 형성되는 2개 이상의 암을 연결하여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와, 상기 고정구를 중심으로 각 마찰접촉패드를 당겨 긴장력을 가하기 위한 텐션연결구와 상기 텐션연결구에 의해 가해지는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작용하는 스프링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고정구는 마찰접촉패드의 수에 따라 휠 중심에 위치하는 원형으로 구성할 수 있고, 휠의 한쪽으로 치우쳐 2개 이상의 암을 고정하는 힌지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텐션연결구는 레칫에 의해 고정되는 와이어로 구성할 수 있고, 래크와 피니언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한 실시 예에 의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마찰접촉패드를 2개로 구성한 본 발명의 기본 실시 예이고, 도 2는 설치상태의 단면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실시 예에 의하면, 본 발명은 마찰접촉패드(10)와 고정장치(20)로 구성된다. 마찰접촉패드는 패드(11)와 암(12)으로 이루어지고, 패드(11)는 타이어(30)의 원호형과 일치되는 원호형으로 구성한 경강선 또는 엔지니어링플라스틱 코어(11a)가 형성되고, 상기 코어에는 일정간격으로 마찰과 이탈방지를 위해 형성한 내외부돌기(11b)(11c)가 형성되며, 상기 코어의 외 측에 고무 또는 합성고무(11d)를 돌기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코팅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암은 상기 패드에 접지력을 가하기 위한 것으로 내부 코어와 동일 재질이며, 2 개중 하나의 암(12)은 내부 코어와 일체로 형성하고, 다른 하나의 암(12')은 코어(11a)에 대하여 힌지(13)로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고정장치(20)는 휠의 중심에 형성되는 고정구(21)와, 상기 고정구와 각 마찰패드의 암을 연결하는 텐션연결구(22)로 구성된다.
텐션연결구(22)는 고정구 쪽으로 각 마찰접촉패드를 당겨 긴장력을 가하고 타이어 신축 시에도 장력을 일정하게 가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양한 구조로 실시될 수 있다.
텐션연결구(22)는 다양한 구조로 실시될 수 있으며, 도시된 실시 예는 고정구(21)에 각 마찰접촉패드(10)의 암(12)(12')으로 향하도록 내부 실린더(22a)를 형성하고, 그 중 하나의 실린더에는 스프링(22b) 및 그에 연결된 와이어(22c)를 삽입하여 와이어의 끝은 고정구 중심에 형성한 레칫휠(22d)에 감고 스프링의 끝은 일 마찰접촉패드의 암에 연결하며, 타 마찰접촉패드의 암은 대응 실린더에 대하여 나사봉(22e)으로 결합한 구조이다.
상기 구조는 일 측 마찰접촉패드(10)가 고정구(21)에 대하여 나사봉(22e)으로 결합되어 제한된 범위 내에서 길이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고, 다른 일 측 마찰접촉패드는 스프링(22b)과 와이어(22c)에 의해 탄성을 받도록 결합되고 그 탄성력은 레칫휠(22d)의 중심에 형성한 핸들삽입구(22f)에 핸들(40)을 꽂고 와이어를 감거나 풀어줌으로써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구조는 양쪽 마찰접촉패드를 타이어에 끼운 상태에서 핸들을 사용하여 레칫휠을 돌려줌으로써 양 마찰접촉패드가 중심의 고정구를 향하여 당겨져 강하게 접착되어 탈부착이 용이하고, 접착된 상태에서 돌출된 돌기의 작용에 의해 미끄럼 방지기능이 발휘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텐션연결구의 다른 실시 예로써 상기한 와이어와 레칫휠 대신에 스프링(22b)에 연결한 레크(22g)와 고정구 중심에 형성한 피니언(22h)에 의해 텐션을 가하도록 구성한 것이며, 피니언의 중심에 형성한 핸들삽입구(22i)에 핸들(40)을 끼워 돌림으로써 간편하게 탈부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써 마찰접촉패드(10)를 3개로 구성한 실시 예이며, 3개의 마찰접촉패드 중 하나는 중심의 고정구(21)에 대하여 나사봉(22e)에 의해 결합되고, 다른 두 개는 상기한 텐션연결구(22)에 의해 결합되는 구조로 실시함으로써 탈부착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도 5은 2부분으로 마찰접촉패드(10)가 구성된 고정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으로 마찰접촉패드로부터 연장된 암(12)의 단부에 나사봉을 결합할 수 있는 홀더(23)를 형성하고, 상기 홀더 사이에 스프링(24)을 끼우고 나사봉(25)으로 연결한 구조를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상기에서 암을 두 줄로 형성하여 단부에 나사봉을 결합할 수 있는 홀더(23)를 형성하고, 상기 홀더 사이에 스프링(24)을 끼우고 나사봉(25)으로 연결한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한 각 구조는 나사봉(25)을 어느 정도 푼 상태에서 마찰접촉패드를 타이어에 끼운 후 나사봉을 조이는 간단한 방법에 의해 탈부착이 이루어지고, 나사봉은 스프링을 어느정도 압축한 상태로 조여짐으로써 스프링의 완충작용에 의해 주행 충격 등을 완화시킬 수 있다.
도 7은 마찰접촉패드를 하나로 구성한 실시예로서, 마찰접촉패드(10)에 형성되는 암을 패드의 양단(12a)과 패드의 중심(12)에 형성하고, 중심에 형성한 암(12)에 대하여 양단에 형성된 암(12a)은 각 단부에서 힌지(13)로 결합하고, 상기 힌지 결합된 양 암(12a)은 나사봉(25)을 끼울 수 있도록 홀더(23)를 형성하고, 상기 홀더 사이에 스프링(24)을 끼우고 나사봉(25)으로 연결한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마찰접촉패드의 양단에만 암(12)를 형성하고, 두 암의 단부 사이에 로드(26)를 삽입하여 연결하고 두 암의 단부를 힌지(13)를 사용하여 로드(26)와 연결하며, 상기한 양 암(12)에는 나사봉(25)을 끼울 수 있도록 홀더(23)를 형성하고, 상기 홀더 사이에 스프링(24)을 끼우고 나사봉(25)으로 연결한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구조는 나사봉을 풀어 마찰접촉패드를 이완시킨 후 타이어에 끼우고, 타이어에 끼운 상태에서 나사봉을 조여 마찰접촉패드를 타이어에 밀착시키는 방법으로 부착 사용한다. 상기에서 나사봉은 마찰접촉패드에 일정한 고정압력을 제공하고, 스프링은 타이어의 신축 작용에 의한 고정압력을 신축적으로 조절하는 작용을 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마찰접촉패드와 이를 타이어에 고정하는 간단 한 구조의 고정장치로 이루어짐으로써 경제적으로 구성할 수 있고, 핸들 또는 나사봉의 조임에 의해 탈부착이 이루어 짐으로써 남녀노소 누구나 쉽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패드구조에 의해 타이어에 밀착 지지 됨으로써 주행 충격시의 충격이 감소 되고 승차감이 좋은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6)

  1. 타이어의 접지면에 접촉되고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기가 형성되는 호형의 패드와, 상기 패드와 일체성이 유지하도록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암(arm)으로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마찰접촉패드와; 상기 각 마찰접촉패드의 암에 연결되고,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각 마찰접촉패드를 휠축으로 당겨줌으로써 각 마찰접촉패드를 고정하는 고정장치;로 이루어지는 타이어 장착용 미끄럼 방지 패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접촉패드는 패드와 암으로 이루어지고, 패드는 타이어의 원호형과 일치되는 원호형의 코어와 상기 코어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내외부 돌기와 상기 코어의 외측으로 돌기가 노출되도록 코팅되는 고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장착용 미끄럼 방지 패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는 휠의 중심에 형성되는 고정구와, 상기 고정구와 각 마찰패드의 암을 연결하는 텐션연결구로 구성되고, 상기 텐션연결구는 고정구에 각 마찰접촉패드의 암으로 향하도록 내부 실린더를 형성하고 그 중 일 실린더에는 스프링 및 그에 연결된 와이어를 삽입하여 와이어의 끝을 고정구 중심에 형성한 레칫휠에 감고 스프링의 끝은 일 마찰접촉패드의 암에 연결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장착용 미끄럼 방지 패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접촉패드는 2개로 구성되고, 각 마찰접촉패드는 각 암을 연결하는 나사봉과 그 내부에 결합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고정장치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장착용 미끄럼 방지 패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접촉패드는 하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마찰접촉패드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장치를 구성하기 위하여 패드의 양단과 패드의 중심으로부터 암이 형성되어 패드 중심으로부터 형성된 암과 패드의 양단으로부터 형성된 암이 서로 만나도록 구성되되, 상기 패드 중심으로부터 형성된 암과 패드 양단으로부터 형성된 암이 만나는 단부에서 서로 힌지로 결합되며, 상기 패드 양단으로부터 형성된 두 암에는 나사봉을 끼울 수 있도록 홀더가 형성되어 상기 홀더 사이에 스프링을 끼우고 나사봉으로 연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장착용 미끄럼 방지 패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접촉패드는 하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마찰접촉패드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장치를 구성하기 위하여 패드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암이 형성되고, 상기 패드로부터 형성된 두 암의 단부는 그 사이에 삽입되어 연결되는 로드에 힌지 결합되며, 두 암에는 나사봉을 끼울 수 있도록 홀더가 형성되고, 상기 홀더 사이에 스프링을 끼운 나사봉이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장착용 미끄럼 방지 패드.
KR1020060029097A 2006-03-30 2006-03-30 타이어 장착용 미끄럼 방지 패드 KR1007527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9097A KR100752710B1 (ko) 2006-03-30 2006-03-30 타이어 장착용 미끄럼 방지 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9097A KR100752710B1 (ko) 2006-03-30 2006-03-30 타이어 장착용 미끄럼 방지 패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2710B1 true KR100752710B1 (ko) 2007-08-29

Family

ID=38615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9097A KR100752710B1 (ko) 2006-03-30 2006-03-30 타이어 장착용 미끄럼 방지 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271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7523B1 (ko) 2010-08-27 2011-04-07 양인석 스노우 체인
KR101102232B1 (ko) * 2009-06-29 2012-01-03 양인석 스노우 체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54005U (ko) * 1985-09-25 1987-04-03
KR970016640U (ko) * 1995-10-23 1997-05-23 정호송 자동차용 체인
KR200233376Y1 (ko) * 2001-03-22 2001-10-08 정금수 자동차 휠부 체결형 스노우체인
KR20040031992A (ko) * 2002-10-08 2004-04-14 배인환 아이젠을 갖는 스노우 체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54005U (ko) * 1985-09-25 1987-04-03
KR970016640U (ko) * 1995-10-23 1997-05-23 정호송 자동차용 체인
KR200233376Y1 (ko) * 2001-03-22 2001-10-08 정금수 자동차 휠부 체결형 스노우체인
KR20040031992A (ko) * 2002-10-08 2004-04-14 배인환 아이젠을 갖는 스노우 체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2232B1 (ko) * 2009-06-29 2012-01-03 양인석 스노우 체인
KR101027523B1 (ko) 2010-08-27 2011-04-07 양인석 스노우 체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07665B2 (en) Vehicle wheel lifting block apparatus for climbing out of depression in viscous surfaces
US20120125502A1 (en) Tire mounted anti-skid apparatus
CA2580263A1 (en) Anti-slipping device for dual tires
EA014032B1 (ru) Средство натяжения для устройств противоскольжения и улучшения силы сцепления
KR100752710B1 (ko) 타이어 장착용 미끄럼 방지 패드
KR101557940B1 (ko) 스노우 체인
CN211764733U (zh) 一种汽车轮胎的防滑带
US7712497B2 (en) Anti-slipping device for dual tires
JP5358127B2 (ja) スノーチェーン用のホイールリムのアンチスクラッチ装置
KR101376899B1 (ko) 벨트타입 스노 체인과 그 장착장치
KR200474032Y1 (ko) 자동차용 스노우 체인
KR200297703Y1 (ko)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
KR101725466B1 (ko) 탈착식 스노우 타이어 조립체
KR200270504Y1 (ko)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의 결합부
KR200276438Y1 (ko)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의 마찰패드
KR200274276Y1 (ko) 자동차타이어의 미끄럼 방지장치
RU2081005C1 (ru) Элемент противоскольжения плясова "двухстержневой"
RU2073616C1 (ru) Упругогибкий элемент противоскольжения плясова "сибиряк" для шины колеса
KR200330022Y1 (ko) 차량용 미끄럼 방지장치
KR101596468B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접착식 패브릭 스노우체인
KR20150051950A (ko) 차량용 스노우 체인
KR200293581Y1 (ko)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의 마찰패드
KR20200035799A (ko) 링부재에 장착되는 체인 어셈블리가 구비된 스노우체인
KR100406263B1 (ko) 타이어의 미끄럼방지구 결합구조
KR200270036Y1 (ko) 커버식 스노우체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