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2419B1 - 일괄투입식 소각로 - Google Patents

일괄투입식 소각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2419B1
KR101372419B1 KR1020140010230A KR20140010230A KR101372419B1 KR 101372419 B1 KR101372419 B1 KR 101372419B1 KR 1020140010230 A KR1020140010230 A KR 1020140010230A KR 20140010230 A KR20140010230 A KR 20140010230A KR 101372419 B1 KR101372419 B1 KR 1013724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gas
dust collector
combustion chamber
steel sheet
ba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0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학상
박학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경에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경에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경에스코
Priority to KR1020140010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24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24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24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38Multi-hearth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5/00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 F23J15/02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of purifiers, e.g. for removing noxious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MCASINGS, LININGS, WALLS OR DOORS SPECIALLY ADAPTED FOR COMBUSTION CHAMBERS, e.g. FIREBRIDGES; DEVICES FOR DEFLECTING AIR, FLAMES OR COMBUSTION PRODUCTS IN COMBUSTION CHAMBERS; SAFETY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USTION APPARATUS; DETAILS OF COMBUSTION CHAMB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3M5/00Casings; Linings; Walls
    • F23M5/02Casings; Linings; Wal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bricks or blocks us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2/00Combustion
    • F23G2202/10Combustion in two or more st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2217/00Intercepting solids
    • F23J2217/40Intercepting solids by cyclo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2217/00Intercepting solids
    • F23J2217/50Intercepting solids by cleaning fluids (washers or scrub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imneys And Flu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호댐퍼를 통해 서로 연결된 제1, 2연소실을 이용하여 소각을 연속적으로 이루는 일괄투입식 소각로에 관한 것으로, 내벽에 설치홈을 형성하여 상기 설치홈에 부정형내화물부를 보강구성하고, 바닥면에는 보강돌출부가 상측으로 돌출형성된 조립강판을 안착설치하며, 상기 조립강판에는 단턱이 형성된 결합홈이 구성되어 상기 결합홈에 공기공급노즐이 결합되도록 구성되되, 상기 공기공급노즐의 상단부분이 조립강판의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한 한 쌍의 제1연소실; 교호댐퍼를 통해 상기 제1연소실에 연결되어 제1연소실에서 발생한 배기가스를 2차로 연소시키는 제2연소실; 상기 제2연소실에서 발생한 배기가스를 유입 및 배출하기 위한 입구와 출구를 형성하되, 상기 입구와 출구 사이에는 하측이 개구된 격벽이 형성되어 내부를 제1, 2챔버로 구성하고, 상기 제1, 2챔버의 상부에는 살수연결구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격벽의 하부에는 집진연결구가 형성된 세정식집진기; 상기 세정식집진기의 출구에 연결되어 배기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원심집진기; 상기 원심집진기에 연결되는 연돌과, 상기 연돌에 연결설치되는 송풍관의 내주에 가이드베인을 형성하여 연돌로 유입된 배기가스를 배기시키는 배기팬으로 구성된 배기부;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일괄투입식 소각로{A batch input type incinerator}
본 발명은 일괄투입식 소각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한 쌍의 제1연소실을 교대로 운영함으로써 버너가동시간의 증대 없이도 후 연소를 용이하게 이룰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벽에 설치되는 부정형내화물부를 통해 내벽을 보강할 수 있어 내벽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음은 물론, 조립강판의 내구성 증대와 상기 조립강판 및 공기공급노즐의 부분교체를 통해 유지보수에 따른 폐기물의 소각지연을 막을 수 있고, 상기 공기공급노즐의 막힘방지와 가이드베인을 통한 연돌에서의 통풍속도 향상으로 연소실의 원활한 소각을 이룰 수 있으며, 배기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중력과 살수를 통한 이중처리로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청정도를 높일 수 있는 일괄투입식 소각로에 관한 것이다.
사회가 산업화되는 과정에서 대기나 토양 및 수질의 오염이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 되고 있고, 각종 산업현장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형태의 폐기물들로 인하여 이들을 분리 수거하여 매립하는 과정에서 이들 폐기물들이 토양과 수질 및 대기환경을 급속히 오염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근래에 들어서는 도마다 쓰레기 소각장을 설치하여 폐기물을 소각처리하는 추세로 바뀌곤 있으나, 폐기물을 소각처리하는 과정에서는 다이옥신과 같은 오염 및 유해물질이 발생하기 때문에 대기오염은 물론, 인체에 각종 암을 일으키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폐기물을 소각로에 연속적으로 투입하는 경우, 최초 투입된 폐기물과 나중에 투입된 폐기물의 소각시간이 서로 다를 뿐만 아니라, 내부 청소작업시 소각처리를 이룰 수 없다는 점에서 소각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으며, 이로 인해 법적기준 유지를 위해 버너 가동시간을 증대시켜야 하는 문제가 야기 되었다.
한편, 최근 들어서는 교호댐퍼를 이용하여 2대의 소각로를 서로 연동설치함으로써 연속 소각이 아닌 일괄 소각할 수 있는 일괄투입식교호방식 소각처리시설이 등록특허 "제10-0428059호"와 같이 개발되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428059호 (2001.04.08) 미래환경(주)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일괄투입식교호방식 소각처리장치는 내벽이 내화벽돌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열충격 또는 열변화 등에 의해 쉽게 무너지는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소각로의 바닥에 형성되는 노즐구멍이 바닥재나 미세먼지 등에 의해 막혀 소각을 위한 공기의 공급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으며, 투입되는 폐기물에 의해 소각로의 바닥면이 쉽게 파손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배기가스의 배출속도에 변화를 주기 어려우므로, 소각이 이루어지는 소각로 내부를 원활하게 컨트롤하기 어려웠으며, 배기가스에 포함된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한 쌍의 제1연소실을 교대로 운영함으로써 버너가동시간의 증대 없이도 후 연소를 용이하게 이룰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벽에 설치되는 부정형내화물부를 통해 내벽을 보강할 수 있어 내벽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일괄투입식 소각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립강판에 형성된 보강돌출부를 통해 조립강판의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충격에 의해 조립강판이 파손되었을 때에는 파손된 부분만 부분교체할 수 있어 유지보수에 따른 폐기물의 소각지연을 방지할 수 있는 일괄투입식 소각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공기공급노즐의 상단부분이 조립강판의 상측으로 돌출형성된 것에 의해 공기가 공급되는 노즐이 막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노즐의 파손 발생시에는 노즐헤드와 나사결합된 너트를 분리하는 것을 통해 노즐헤드를 손쉽게 교체하는 것을 통해 유지보수에 따른 폐기물의 소각지연을 방지할 수 있는 일괄투입식 소각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하측이 개구되도록 형성된 제1, 2챔버로 구분하는 격벽에 의해 세정식집진기 내부에서의 배기가스 이동속도를 변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배기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중력 및 살수에 의해 이중처리할 수 있으며, 송풍관에 형성된 가이드베인에 의해 연돌에서의 통풍속도를 향상시킴으로써 소각이 이루어지는 연소실의 원활한 컨트롤을 할 수 있는 일괄투입식 소각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벽에 설치홈을 형성하여 상기 설치홈에 부정형내화물부를 보강구성하고, 바닥면에는 보강돌출부가 상측으로 돌출형성된 조립강판을 안착설치하며, 상기 조립강판에는 단턱이 형성된 결합홈이 구성되어 상기 결합홈에 공기공급노즐이 결합되도록 구성되되, 상기 공기공급노즐의 상단부분이 조립강판의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한 한 쌍의 제1연소실; 교호댐퍼를 통해 상기 제1연소실에 연결되어 제1연소실에서 발생한 배기가스를 2차로 연소시키는 제2연소실; 상기 제2연소실에서 발생한 배기가스를 유입 및 배출하기 위한 입구와 출구를 형성하되, 상기 입구와 출구 사이에는 하측이 개구된 격벽이 형성되어 내부를 제1, 2챔버로 구성하고, 상기 제1, 2챔버의 상부에는 살수연결구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격벽의 하부에는 집진연결구가 형성된 세정식집진기; 상기 세정식집진기의 출구에 연결되어 배기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원심집진기; 상기 원심집진기에 연결되는 연돌과, 상기 연돌에 연결설치되는 송풍관의 내주에 가이드베인을 형성하여 연돌로 유입된 배기가스를 배기시키는 배기팬으로 구성된 배기부;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일괄투입식 소각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괄투입식 소각로를 이용하면, 한 쌍의 제1연소실을 교대로 운영함으로써 버너가동시간의 증대 없이도 후 연소를 용이하게 이룰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벽에 설치되는 부정형내화물부를 통해 내벽을 보강할 수 있어 내벽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립강판에 형성된 보강돌출부를 통해 조립강판의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충격에 의해 조립강판이 파손되었을 때에는 파손된 부분만 부분교체할 수 있어 유지보수에 따른 폐기물의 소각지연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공기공급노즐의 상단부분이 조립강판의 상측으로 돌출형성된 것에 의해 공기가 공급되는 노즐이 막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노즐의 파손 발생시에는 노즐헤드와 나사결합된 너트를 분리하는 것을 통해 노즐헤드를 손쉽게 교체할 수 있으므로 유지보수에 따른 폐기물의 소각지연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하측이 개구되도록 형성된 제1, 2챔버로 구분하는 격벽에 의해 세정식집진기 내부에서의 배기가스 이동속도를 변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배기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중력 및 살수에 의해 이중처리할 수 있으며, 송풍관에 형성된 가이드베인에 의해 연돌에서의 통풍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소각이 이루어지는 연소실을 원활하게 컨트롤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괄투입식 소각로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연소실을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개폐덮개가 개방된 제1연소실을 단면하여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도 3의 A부분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조립강판이 복수 개로 구성되어 서로 밀착조립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닥면의 안착홈에 안착된 조립강판에 공기공급노즐이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세정식집진기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배기부를 도시한 상태도.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교호댐퍼(61)를 통해 서로 연결된 제1, 2연소실(50, 60)을 이용하여 소각을 연속적으로 이루는 일괄투입식 소각로(100)에 관한 것으로, 한 쌍으로 구성된 제1연소실(50)과, 제2연소실(60)과, 세정식집진기(70)와, 원심집진기(80)와, 배기부(90)로 이루어진다.
첫째, 제1연소실(50)은 통상의 개폐덮개(51)를 통해 투입된 폐기물을 1차 소각하기 위한 구성으로, 내측 전,후,좌,우면에 각각 내벽(10)을 형성하고, 바닥면(53)에는 조립강판(30)이 안착되는 안착홈(55)을 형성하며, 상면에는 통상의 실린더와 같은 구동수단(미도시)에 의해 자동개폐되는 개폐덮개(51)를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바닥면(53)에는 공기공급을 통한 공급홀(57)이 등 간격으로 구성되어 복수 개로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1연소실(50)의 내벽(10)에는 부정형내화물부(20)가 보강구성되어 열충격 또는 열변화에 의한 내벽의 무너짐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지는데, 상기 부정형내화물부(20)은 내벽(10)에 설치홈(19)이 형성되도록 내벽(10)을 형성한 후, 설치할 수 있다.
즉, 상기 내벽(10)은 외벽으로 형성되는 철판(11)의 내면에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형성되는 실리카보드(12)와, 단열재(13)와, 내화벽돌(14)로 구성되는데, 상기 내벽(10)을 쌓을 시 설치홈(19)이 형성되도록 내벽(10)을 형성하여 상기 설치홈(19)을 통해 철판(11)의 내면이 보이도록 한 후, 부정형내화물부(20)를 상기 설치홈(19)에 설치하는 것을 통해 이룰 수 있다.
그리고, 설치홈(19)에 설치되는 부정형내화물부(20)는 앙카볼트(21)와, 상기 앙카볼트(21)에 일체로 형성되어 고온단열재로 사용되는 통상의 캐스터블(23)로 이루어지며, 상기 부정형내화물부(20)의 설치는 상기 앙카볼트(21)를 철판(11)의 내면에 용접하여 고정시킨 다음, 상기 설치홈(19)에 캐스터블(23)을 타설함으로써 상기 캐스터블(23)이 앙카볼트(21)에 일체로 형성된 상태로 설치홈(19)을 메우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부정형내화물부(20)의 앙카볼트(21)는 철판(11)에 용접설치되는 용접부(21a)와, 상기 용접부(21a)에 일체로 형성되는 고정부(21b)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고정부(21b)는 설치홈(19)에 타설되는 캐스터블(23)이 앙카볼트(21)에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2개 이상의 복수 개로 분할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설치홈(19)에 타설되는 캐스터블(23)은 내벽(10)과의 접촉되는 단면적이 넓어지도록 열십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1연소실(50)의 안착홈(55)에 안착되는 조립강판(30)에 보강돌출부(31)가 상측으로 돌출형성되는 구성을 지니고 있으며, 상기 보강돌출부(31)를 기준으로 하여 양측에는 바닥면(53)의 공급홀(57)에 대응되는 결합홈(35)이 구성되어 상기 결합홈(35)에 결합되는 공기공급노즐(40)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홈(35)의 내주에는 공기공급노즐(40)을 안착시켜 고정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단턱(33)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조립강판(30)은 개폐덮개(51)를 통해 투입되는 폐기물에 의한 충격에 의해 파손이 발생했을 시 용이한 교체가 가능하도록 복수 개로 분할형성되어 조립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하여 상기 조립강판(30)의 양측 면에는 서로 대응되는 경사면(37)이 각각 형성된다.
또한, 상기 조립강판(30)의 결합홈(35)에 결합되는 공기공급노즐(40)은 미세한 바닥재나 미세먼지 등에 의해 노즐이 막히지 않도록 공기공급노즐(40)의 상단부분이 조립강판(30)의 상측으로 돌출되게 결합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파손 발생시 교체 및 보수가 용이하도록 분리결합형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공기공급노즐(40)은 중공형상으로 형성되어 조립강판(30)의 결합홈(35)에 삽입되는 볼트축(41)과 상기 볼트축(41)에 일체로 형성되어 조립강판(30)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헤드(43)로 이루어진 노즐헤드(45)와, 상기 볼트축(41)에 나사결합된 상태로 조립강판(30)의 하면에 밀착되는 너트(49)를 구성하며, 상기 노즐헤드(45)와 너트(49)의 견고한 결합설치를 위하여 단턱(33)과 상기 단턱(33)에 지지되는 헤드(43) 사이에는 와셔(47)가 추가 구성된다.
더불어, 상기 공기공급노즐(40)에 구성된 노즐헤드(45)가 낙하하는 폐기물에 의해 쉽게 파손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노즐헤드(45)의 상단은 조립강판(30)에 구성된 보강돌출부(31)의 상단보다 낮게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노즐헤드(45)에 구성된 헤드(43)의 상단은 조립강판(30)의 상면보다는 높게 위치하고 보강돌출부(31)의 상단보다는 낮게 위치됨으로써 미세한 바닥재 등에 의한 노즐헤드(45)의 막힘 방지는 물론, 폐기물에 의한 낙하 충격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 제2연소실(60)은 교호댐퍼(61)를 통해 상기 제1연소실(50)에 연결되어 제1연소실(50)에서 발생한 배기가스를 2차로 연소시키는 구성으로, 종래에 공지된 바와 같은 구성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셋째, 세정식집진기(70)는 통상의 연결배관(미도시)을 통해 제2연소실(60)에 연결설치됨으로써, 상기 제2연소실(60)에서 유입되는 배기가스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구성으로, 배기가스의 유입 및 배출을 위한 입구(71)와 출구(72)를 각각 형성한다.
또한, 상기 세정식집진기(70)의 입구(71)와 출구(72) 사이에는 내부를 제1, 2챔버(74, 75)로 구분하는 격벽(73)이 형성되는데, 상기 격벽(73)은 배기가스의 흐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측이 개구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격벽(73)의 하부에는 배기가스에 포함된 이물질을 집진부(미도시)로 집진시키기 위한 진집연결구(79)가 관통형성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상기 격벽(73)의 하부가 개구되어 형성되면, 제1챔버(74)에서 배기가스의 이동속도가 저하되는 과정에서 배기가스에 포함된 이물질이 중력에 의해 침강하는 작용이 이루어져 이물질이 집진연결구(79)로 배출되는 작용이 이루어진 후, 격벽을 통과할 때 배기가스의 이동속도가 다시 빨라지므로 연소실에서의 컨트롤 효율 저하 없이도 배기가스에 포함된 이물질의 제거를 효과적으로 이룰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세정식집진기(70)에 구성된 제1, 2챔버(74, 75)의 상부에는 살수를 위한 물이 분무되어 공급되는 살수연결구(77)가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배기가스의 이동속도 저하시 입자가 큰 이물질은 중력에 의한 제거를 이룰 수 있고, 제1, 2챔버(74, 75)를 통과하는 미세한 입자는 물에 의해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즉, 배기가스에 포함된 이물질을 중력과 살수를 통한 이중처리함으로써 이물질의 처리효율이 높아지게 된다.
넷째, 원심집진기(80)는 상기 세정식집진기(70)의 출구(72)에 연결되어 배기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회전력을 통해 제거하는 구성이며, 상기 원심집진기(80)는 종래에 공지된 바와 같은 구성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섯째, 배기부(90)는 상기 원심집진기(80)에 연결되는 연돌(91)과, 상기 연돌(91)에 연결설치되어 연돌(91)로 유입된 배기가스를 강제 배기시키는 배기팬(75)으로 구성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배기팬(75)에 연결되어 연돌(91)의 내부에 설치되는 송풍관(93)의 내주에 가이드베인(92)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연돌(71)을 통해 배기되는 배기가스를 회전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를 통하면, 상기 연돌(91)을 통해 배기되는 배기가스의 통풍속도가 향상되게 되므로 연소실의 컨트롤을 원활하게 이룰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개폐덮개(51)를 개방시켜 하나의 제1연소실(50)에 폐기물이 일괄투입되면, 투입되는 폐기물은 조립강판(30)의 상면에 충격을 가하면서 떨어져 배치되는데, 상기 조립강판(30)에는 상측으로 돌출형성된 보강돌출부(31)가 구성되어 있으므로, 폐기물이 떨어지는 충격에도 쉽게 파손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조립강판(30)에 결합되어 상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공기공급노즐(40)은 보강돌출부(40) 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공기공급노즐(40)이 낙하하는 폐기물에 직접 충격을 받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지속적인 폐기물의 투입과 반복사용에 따라 상기 조립강판(30) 및 공기공급노즐(40)이 파손되었을 때에는 파손이 발생한 조립강판(30) 또는 공기공급노즐(40)의 노즐헤드(45)만을 손쉽게 교체할 수 있으므로, 교체 및 유지보수에 따른 비용 및 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제1연소실(50)에 폐기물 투입이 완료된 후에는, 개폐덮개()의 폐쇄를 이룬 다음, 통상의 버너(미도시)를 통해 폐기물의 일괄 소각이 이루어지는데, 이때, 하부에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노즐(40)이 조립강판(30)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폐기물 소각시 발생하는 미세한 바닥재 또는 먼지와 같은 이물질 등에 의해 공기 공급이 이루어지는 노즐헤드(45)가 막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제1연소실(50)에서의 소각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또한, 제1연소실(50)의 내벽(10)에는 부정형내화물부(20)가 설치되어 내벽(10)을 견고하게 보강하고 있으므로, 지속적인 소각에 의한 열충격이나 열변화에도 내벽(10)이 쉽게 무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유지보수를 보다 손쉽게 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더불어, 상기와 같이 제1연소실(50)을 통해 폐기물의 1차 소각이 이루어지면, 제1연소실(50)에서는 배기가스가 발생하는데, 이와 같이 발생된 배기가스는 교호댐퍼(61)를 통해 제2연소실(60)로 이동되어 배기가스의 2차 연소가 이루어진 후, 세정식집진기(70)를 거쳐 배기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걸러내는 과정을 거친다.
그리고, 상기 세정식집진기(70)를 거치는 과정에서 제1챔버(74)에 통과하는 배기가스의 속도는 현저히 저감되어 중력에 의한 큰 입자의 이물질이 침강하는 작용이 이루어지고, 제1, 2챔버(74, 75)의 상부에 각각 살수되는 물에 의해 배기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작은 입자의 이물질이 제거된다. 즉, 상기 세정식집진기(70)를 거치는 과정에서 중력 및 살수에 의한 이물질의 이중제거를 통해 배기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오염물질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챔버를(74) 통과하는 도중 느려졌던 배기가스의 유속은 좁게 형성된 격벽(73)을 통과하면서 다시 빨라지므로 제1, 2연소실(50, 60)의 원활한 컨트롤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세정식집진기(70)를 거쳐 출구(72)를 배출된 배기가스는 원심집진기(80)를 통과하는 도중 다시 한번 오염물질이 걸러지게 되고, 이 후, 배기부(90)의 연돌(91)을 통해 외부로 강제 배기되는데, 상기 연돌(91)에는 배기팬(95)의 송풍을 연돌(91)의 상측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전달하는 가이드베인(92)이 형성된 송풍관(93)이 구성되므로, 외부로 배기되는 배기가스의 통풍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1, 2연소실(50, 60)을 보다 원활하게 컨트롤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러한 과정을 통해 하나의 제1연소실(50)에서 폐기물의 일괄소각을 완료한 다음에는, 다른 하나의 제1연소실(50)에 폐기물을 일괄 투입한 후, 교호댐퍼(61)를 조절하여 폐기물을 전술한 바와 동일한 방법으로 일괄소각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폐기물을 소각처리하는데 지연시간 발생 없이 배기가스의 후 연소를 완전히 이룰 수 있게 된다.
10 : 내벽 11 : 철판 12 : 실리카보드 13 : 단열재 14 : 내화벽돌
20 : 부정형내화물부 21 : 앙카볼트 21a : 용접부 21b : 고정부 23 : 캐스터블
30 : 조립강판 31 : 보강돌출부 33 : 단턱 35 : 결합홈 37 : 경사면
40 : 공기공급노즐 41 : 볼트축 43 : 헤드 45 : 노즐헤드 47 : 와셔 49 : 너트
50, 60 : 제1, 2연소실 51 : 개폐덮개 53 : 바닥면 55 : 안착홈 57 : 공급홀
70 : 세정식집진기 71, 72 : 입, 출구 73 : 격벽 74, 75 : 제1, 2챔버 77 : 살수연결구
80 : 원심집진기
90 : 배기부 91 : 연돌 92 : 가이드베인 93 : 송풍관 95 : 배기팬
100 : 일괄투입식 소각로

Claims (5)

  1. 교호댐퍼를 통해 서로 연결된 제1, 2연소실을 이용하여 소각을 연속적으로 이루는 일괄투입식 소각로에 있어서,
    내벽(10)에 설치홈(19)을 형성하여 상기 설치홈(19)에 부정형내화물부(20)를 보강구성하고, 바닥면(53)에는 보강돌출부(31)가 상측으로 돌출형성된 조립강판(30)을 안착설치하며, 상기 조립강판(30)에는 단턱(33)이 형성된 결합홈(35)이 구성되어 상기 결합홈(35)에 공기공급노즐(40)이 결합되도록 구성되되, 상기 공기공급노즐(40)의 상단부분이 조립강판(30)의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한 한 쌍의 제1연소실(50);
    교호댐퍼(61)를 통해 상기 제1연소실(50)에 연결되어 제1연소실(50)에서 발생한 배기가스를 2차로 연소시키는 제2연소실(60);
    상기 제2연소실(60)에서 발생한 배기가스를 유입 및 배출하기 위한 입구(71)와 출구(72)를 형성하되, 상기 입구(71)와 출구(72) 사이에는 하측이 개구된 격벽(73)이 형성되어 내부를 제1, 2챔버(74, 75)로 구성하고, 상기 제1, 2챔버(74, 75)의 상부에는 살수연결구(77)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격벽(73)의 하부에는 집진연결구(79)가 형성된 세정식집진기(70);
    상기 세정식집진기(70)의 출구(72)에 연결되어 배기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원심집진기(80);
    상기 원심집진기(80)에 연결되는 연돌(91)과, 상기 연돌(91)에 연결설치되는 송풍관(93)의 내주에 가이드베인(92)을 형성하여 연돌(91)로 유입된 배기가스를 배기시키는 배기팬(95)으로 구성된 배기부(90);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일괄투입식 소각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소실(50)의 내벽(10)은 철판(11)의 내면에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형성되는 실리카보드(12)와, 단열재(13)와, 내화벽돌(14)로 이루어지고,
    상기 부정형내화물부(20)는 설치홈(19)에 의해 노출된 철판(11)의 내면에 용접되는 앙카볼트(21)와, 상기 설치홈(19)에 타설되어 앙카볼트(21)에 일체로 형성되는 캐스터블(23)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일괄투입식 소각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부정형내화물부(20)의 앙카볼트(21)는 철판(11)에 용접되는 용접부(21a)와, 상기 용접부(21a)에 일체로 형성되어 복수 개로 분할형성되는 고정부(21b)로 이루어지고,
    상기 캐스터블(23)은 내벽(10)과의 접촉되는 단면적이 넓어지도록 열십자 형상으로 형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일괄투입식 소각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공급노즐(40)은 조립강판(30)의 결합홈(35)에 삽입되는 볼트축(41)과 상기 볼트축(41)에 일체로 형성되어 조립강판(30)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헤드(43)를 구성한 노즐헤드(45)와, 상기 헤드(43)와 단턱(33) 사이에 끼워지는 와셔(47)와, 상기 볼트축(41)에 나사결합되어 조립강판(30)의 하면에 밀착되는 너트(49)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일괄투입식 소각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공급노즐(40)에 구성된 노즐헤드(45)의 상단은 조립강판(30)의 상면보다는 높게 위치하고, 조립강판(30)에 구성된 보강돌출부(31)의 상단보다는 낮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괄투입식 소각로.
KR1020140010230A 2014-01-28 2014-01-28 일괄투입식 소각로 KR1013724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0230A KR101372419B1 (ko) 2014-01-28 2014-01-28 일괄투입식 소각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0230A KR101372419B1 (ko) 2014-01-28 2014-01-28 일괄투입식 소각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2419B1 true KR101372419B1 (ko) 2014-03-10

Family

ID=50648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0230A KR101372419B1 (ko) 2014-01-28 2014-01-28 일괄투입식 소각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24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1119B1 (ko) * 2014-05-14 2014-09-18 대구환경공단 소각로 내벽 지지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8863A (ja) * 1994-07-19 1996-02-02 Shinagawa Refract Co Ltd 不定形耐火物施工用アンカスタッド
KR100428059B1 (ko) 2001-03-30 2004-04-27 미래환경(주) 일괄투입교호방식 소각처리장치
KR100715694B1 (ko) 2006-03-22 2007-05-09 피티엘중공업 주식회사 폐기물 열분해 기화장치 및 그 기화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8863A (ja) * 1994-07-19 1996-02-02 Shinagawa Refract Co Ltd 不定形耐火物施工用アンカスタッド
KR100428059B1 (ko) 2001-03-30 2004-04-27 미래환경(주) 일괄투입교호방식 소각처리장치
KR100715694B1 (ko) 2006-03-22 2007-05-09 피티엘중공업 주식회사 폐기물 열분해 기화장치 및 그 기화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1119B1 (ko) * 2014-05-14 2014-09-18 대구환경공단 소각로 내벽 지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5900B1 (ko) 폐기물의 가스화 용융시스템
CN114729747B (zh) 用于生物质加热系统的具有清洁装置的旋转炉排
WO2009154331A1 (en) Combustion gas cleaning system
KR200412814Y1 (ko) 소각로용 에어노즐 라이너 및 이를 이용한 클링커 부착방지 장치
KR101372419B1 (ko) 일괄투입식 소각로
KR101224267B1 (ko) 소각로 수직 병합형 폐열 보일러장치
KR101360945B1 (ko) 연소로
KR100638338B1 (ko) 가연성 폐기물 소각보일러
KR200452693Y1 (ko) 소각로용 에어노즐 라이너
KR100989703B1 (ko) 폐열 회수효율 및 유지관리성이 향상된 소각보일러
KR200429909Y1 (ko) 소각로용 라이너
KR100249104B1 (ko) 산업폐기물 소각방법 및 그 장치
JP3002694B2 (ja) 高分子系廃棄物の焼却装置
CN205867874U (zh) 水雾冲击除尘器及湿法除尘脱硫装置
CN220250023U (zh) 一种VOCs处理蓄热式催化燃烧装置
KR102198134B1 (ko) 수소 소각로의 연소부 구조
KR102077820B1 (ko) 연소효율이 향상된 수소 소각로
JP2525105B2 (ja) 溶解焼却炉
CN215637216U (zh) 一种具有废气处理功能的环保型垃圾焚烧处理装置
CN219797226U (zh) 蓄热式氧化焚烧系统
CN215175095U (zh) 带有高效焚化机的焚化系统
JP2005083724A (ja) 溶融炉二次燃焼室ダスト排出機の腐食防止方法及び装置
KR200495325Y1 (ko) 유동제어 촉매장치
JP4079612B2 (ja) 廃棄物熱処理システム
KR100849930B1 (ko) 가연성 폐자원 재활용 연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