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1961B1 - 차량의 시트래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시트래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1961B1
KR101371961B1 KR1020080035048A KR20080035048A KR101371961B1 KR 101371961 B1 KR101371961 B1 KR 101371961B1 KR 1020080035048 A KR1020080035048 A KR 1020080035048A KR 20080035048 A KR20080035048 A KR 20080035048A KR 101371961 B1 KR101371961 B1 KR 1013719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fork
locked
striker
latch f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5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9682A (ko
Inventor
요시히사 코미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다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다스
Priority to KR1020080035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1961B1/ko
Publication of KR20090109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96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19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19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4Stepwise movement mechanisms, e.g. ratch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90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919Positioning and locking mechanisms
    • B60N2002/952Positioning and loc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locking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트래치를 스트라이커에 잠그거나 해제할 때 그 조작성능이 향상되고, 시트래치가 스트라이커에 잠긴 상태에서는 충분한 탄성력으로 시트래치와 스트라이커 사이의 유격을 제거하여 소음을 발생을 방지하도록 한다.
시트래치, 스트라이커, 유격

Description

차량의 시트래치{Seat latch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시트래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시트백 또는 시트쿠션을 차체에 고정하는 시트래치가 차체에 고정된 스트라이커에 잠긴 상태에서 유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종래의 시트백(500)을 도시하고 있는 바, 시트백(500)의 측면에는 시트래치(502)가 장착되며, 상기 시트래치(502)에 상응하는 차체의 위치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스트라이커가 고정되어 있어서, 상기 시트백(500)을 상기 시트래치(502)를 통해 상기 스트라이커에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시트백(500)은 주로 2열 이후의 시트에 적용되어 별도의 리클라이너를 장착하지 않고도 시트백(500)을 승객의 착좌 가능상태와 폴딩상태 사이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해 준다.
도 2는 종래의 시트래치(502)가 스트라이커(504)에 잠긴 상태를 도시하고 있는 바, 상기 시트래치(502)에는 댐퍼부재(506)가 설치되어, 상기 시트래치(502)와 스트라이커(504) 사이의 유격발생을 억제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구조에서는 상기 댐퍼부재(506)의 반력이 크게 설정되면, 상기 시트래치(502)를 잠그거나 해제할 때 작동하중이 크게 되어 조작성능이 나빠지게 되고, 반면에 상기 댐퍼부재(506)의 반력이 작게 설정되면 작동하중이 저감되어 조작성능은 좋아지지만 차량의 주행 중 유격에 의한 소음 발생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시트래치를 스트라이커에 잠그거나 해제할 때 그 조작성능이 향상되고, 시트래치가 스트라이커에 잠긴 상태에서 시트래치와 스트라이커 사이의 유격 발생을 억제하여 소음의 발생을 방지하도록 한 차량의 시트래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 차량의 시트래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회동됨에 의해 차체에 고정되어 있는 스트라이커에 잠기거나 열리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래치포크와;
상기 래치포크의 걸림턱에 걸리는 상태가 전환되어 상기 래치포크가 상기 스트라이커에 잠긴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 된 록플레이트와;
상기 록플레이트와 회동력을 전달하도록 상기 록플레이트와 동심축을 이루어 설치된 작동레버와;
상기 록플레이트가 상기 래치포크의 걸림턱에 걸리는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도록 설치된 텐션스프링과;
상기 작동레버와 래치포크 사이에서 상기 작동레버 및 래치포크의 회동평면과 동일한 회동평면을 가지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래치포크가 상기 스트라이커에 정상적으로 잠긴 상태에서 상기 래치포크와 맞물려서 래치포크가 더 이상 잠기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억제하도록 된 캠레버;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캠레버는 상기 래치포크가 잠기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대하여 탄성지지되고;
상기 작동레버에는 상기 캠레버의 일단이 접촉하여, 상기 작동레버의 회동상태에 따라 상기 캠레버의 회동상태가 함께 변화하도록 하는 조절캠부가 형성된 구조로 할 수 있다.
상기 작동레버의 조절캠부는 상기 래치포크가 상기 스트라이커에 잠기는 방향으로 회동할 때, 상기 래치포크가 상기 스트라이커에 정상적으로 잠긴 상태를 이루는 회동각도에 이르는 동안은 상기 캠레버가 상기 래치포크에 접촉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래치포크가 상기 스트라이커에 정상적으로 잠긴 상태를 넘는 오버트래블 구간 이후에 상기 캠레버가 상기 래치포크에 접촉되도록 형성된 구조로 할 수 있다.
상기 캠레버는 상기 래치포크가 잠기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대하여 탄성지지되고;
상기 록플레이트에는 상기 캠레버의 일단이 접촉하여, 상기 록플레이트의 회동상태에 따라 상기 캠레버의 회동상태가 함께 변화하도록 하는 조절캠부가 형성된 구조로 할 수 있다.
상기 록플레이트의 조절캠부는 상기 래치포크가 상기 스트라이커에 잠기는 방향으로 회동할 때, 상기 래치포크가 상기 스트라이커에 정상적으로 잠긴 상태를 이루는 회동각도에 이르는 동안은 상기 캠레버가 상기 래치포크에 접촉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래치포크가 상기 스트라이커에 정상적으로 잠긴 상태를 넘는 오버트래블 구간 이후에 상기 캠레버가 상기 래치포크에 접촉되도록 형성된 구조로 할 수 있다.
상기 캠레버와 베이스플레이트 사이에는 토션스프링이 장착되어, 상기 캠레버가 상기 래치포크가 잠기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대하여 탄성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시트래치를 스트라이커에 잠그거나 해제할 때 그 조작성능이 향상되고, 시트래치가 스트라이커에 잠긴 상태에서는 충분한 탄성력으로 시트래치와 스트라이커 사이의 유격을 제거하여 소음을 발생을 방지하도록 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 실시예는 베이스플레이트(1)와; 회동됨에 의해 차체에 고정되어 있는 스트라이커(3)에 잠기거나 열리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래치포크(5)와; 상기 래치포크(5)의 걸림턱(7)에 걸리는 상태가 전환되어 상기 래치포크(5)가 상기 스트라이커(3)에 잠긴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록플레이트(9)와; 상기 록플레이트(9)와 회동력을 전달하도록 상기 록플레이트(9)와 동심축을 이루어 설치된 작동레버(11)와; 상기 록플레이트(9)가 상기 래치포크(5)의 걸림턱(7)에 걸리는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도록 설치된 텐션스프링(13)과; 상기 작동레버(11)와 래치포크(5) 사이에서 상기 작동레버(11) 및 래치포크(5)의 회동평면과 동일한 회동평면을 가지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래치포크(5)가 상기 스트라이커(3)에 정상적으로 잠긴 상태에서 상기 래치포크(5)와 맞물려서 래치포크(5)가 더 이상 잠기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억제하도록 된 캠레버(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록플레이트(9)에는 연결돌기(17)가 구비되고, 상기 작동레버(11)에는 상기 연결돌기(17)가 삽입되는 연결구멍(19)이 구비되어, 서로 결 합됨으로써, 상호간의 회전력 전달이 가능한 상태로 되어 있으며, 상기 텐션스프링(13)은 상기 작동레버(11)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 사이에 설치된 구조로 하여, 상기 작동레버(11)에 작용하는 탄성력이 상기 록플레이트(9)로 전달되도록 하였다.
상기 캠레버(15)는 상기 래치포크(5)가 잠기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에 대하여 탄성지지되고, 상기 작동레버(11)에는 상기 캠레버(15)의 일단이 접촉하여, 상기 작동레버(11)의 회동상태에 따라 상기 캠레버(15)의 회동상태가 함께 변화하도록 하는 조절캠부(21)가 형성된다.
상기 작동레버(11)의 조절캠부(21)는 상기 래치포크(5)가 상기 스트라이커(3)에 잠기는 방향으로 회동할 때, 상기 래치포크(5)가 상기 스트라이커(3)에 정상적으로 잠긴 상태를 이루는 회동각도에 이르는 동안은 상기 캠레버(15)가 상기 래치포크(5)에 접촉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래치포크(5)가 상기 스트라이커(3)에 정상적으로 잠긴 상태를 넘는 오버트래블 구간 이후에 상기 캠레버(15)가 상기 래치포크(5)에 접촉되도록 형성된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래치포크(5)가 상기 스트라이커(3)에 정상적으로 잠긴 상태란, 도 3의 상태와 같이, 래치포크(5)가 스트라이커(3)에 걸린 상태를 상기 록플레이트(9)가 상기 래치포크(5)의 걸림턱(7)에 걸려서 일정하게 유지하고 있는 상태를 말하며, 상기 오버트래블 구간이란 도 5의 4번째 도면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시트백의 관성력에 의해 상기 래치포크(5)가 스트라이커(3)에 정상적으로 잠긴 상태의 회동각을 넘어서 회동되는 동안을 말하며, 이 오버트래블 구간에 의해 상기 록플레이트(9)가 상기 걸림턱(7)에 제대로 걸릴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작동레버(11)와 록플레이트(9)는 일체로 회동하는 부품들이므로, 상기 조절캠부(21)를 상기 작동레버(11)가 아니라 상기 록플레이트(9)에 형성하여, 상기 록플레이트(9)의 회동상태에 따라 상기 캠레버(15)의 회동상태가 함께 변화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캠레버(15)와 베이스플레이트(1) 사이에는 토션스프링(23)이 장착되어, 상기 캠레버(15)가 상기 래치포크(5)가 잠기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에 대하여 탄성지지되도록 하였다.
본 발명은 종래의 댐퍼부재(25)를 사용하는 구조에 추가로 적용할 수 있는 구조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댐퍼부재(25)가 함께 적용되어 있다.
도 5를 통해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 실시예의 작용을 살펴본다.
시트백를 펼쳐서 시트래치(27)가 스트라이커(3)로 진입하도록 하면, 처음의 열린상태로부터 잠기는 상태 및 정상잠김위치 직전의 상태를 경유하게 된다.
이 동안, 상기 캠레버(15)는 상기 토션스프링(23)에 의해 일단이 상기 작동레버(11)의 조절캠부(21)에 밀착한 상태이지만, 타단은 상기 래치포크(5)와 접촉하지 않는 상태이다.
시트백의 관성력에 의해 상기 래치포크(5)는 오버트래블구간까지 회동되며, 이때 상기 록플레이트(9)는 텐션스프링(13)으로부터 전달된 탄성력으로 회동되어 상기 래치포크(5)의 걸림턱(7)에 걸리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작동레버(11)가 회동되므로, 상기 조절캠부(21)가 회동되 면서 상기 캠레버(15)도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어 타단이 상기 래치포크(5)와 접촉하기 시작하여, 상기 래치포크(5)가 스트라이커(3)에 정상적으로 잠긴상태가 되면 상기 래치포크(5)와 캠레버(15)는 서로 끼인 상태가 되어, 상기 래치포크(5)는 상기 록플레이트(9)에 의해 반시계방향의 운동이 억제되고, 상기 캠레버(15)에 의해 시계방향의 운동이 억제되어 완전히 고정된 상태를 가지게 된다.
물론, 상기와 같은 과정에서, 댐퍼부재(25)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상기 스트라이커(3)와의 충격을 완충하고, 스트라이커(3)와의 사이에 발생하는 틈새를 제거하는 역할을 하는데, 불필요하게 큰 탄성력을 공급하는 것을 사용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시트래치(27)가 스트라이커(3)에 잠긴 상태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캠레버(15)에 의해 상기 래치포크(5)가 완전히 고정되고 상기 댐퍼부재(25)가 적절한 탄성력으로 상기 스트라이커(3)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상태를 가지게 되면, 상기 스트라이커(3)와 래치포크(5) 사이의 유격발생에 따른 소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댐퍼부재(25)의 탄성력을 지나치게 크게 설정하지 않아도 되므로, 시트래치(27)를 스트라이커(3)에 잠그거나 해제할 때, 상대적으로 적은 작동력으로 조작이 가능하여 그 조작성능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종래의 시트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시트래치가 스트라이커에 잠긴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시트래치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의 시트래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 베이스플레이트 3; 스트라이커
5; 래치포크    7; 걸림턱
9; 록플레이트   11; 작동레버
13; 텐션스프링 15; 캠레버
17; 연결돌기 19; 연결구멍
21; 조절캠부 23; 토션스프링
25; 댐퍼부재 27; 시트래치

Claims (6)

  1. 베이스플레이트와;
    회동됨에 의해 차체에 고정되어 있는 스트라이커에 잠기거나 열리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래치포크와;
    상기 래치포크의 걸림턱에 걸리는 상태가 전환되어 상기 래치포크가 상기 스트라이커에 잠긴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록플레이트와;
    상기 록플레이트와 회동력을 전달하도록 상기 록플레이트와 동심축을 이루어 설치된 작동레버와;
    상기 록플레이트가 상기 래치포크의 걸림턱에 걸리는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도록 설치된 텐션스프링과;
    상기 작동레버와 래치포크 사이에서 상기 작동레버 및 래치포크의 회동평면과 동일한 회동평면을 가지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래치포크가 상기 스트라이커에 정상적으로 잠긴 상태에서 상기 래치포크와 맞물려서 래치포크가 더 이상 잠기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억제하도록 된 캠레버;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트래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캠레버는 상기 래치포크가 잠기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상 기 베이스플레이트에 대하여 탄성지지되고;
    상기 작동레버에는 상기 캠레버의 일단이 접촉하여, 상기 작동레버의 회동상태에 따라 상기 캠레버의 회동상태가 함께 변화하도록 하는 조절캠부가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트래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작동레버의 조절캠부는 상기 래치포크가 상기 스트라이커에 잠기는 방향으로 회동할 때, 상기 래치포크가 상기 스트라이커에 정상적으로 잠긴 상태를 이루는 회동각도에 이르는 동안은 상기 캠레버가 상기 래치포크에 접촉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래치포크가 상기 스트라이커에 정상적으로 잠긴 상태를 넘는 오버트래블 구간 이후에 상기 캠레버가 상기 래치포크에 접촉되도록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트래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캠레버는 상기 래치포크가 잠기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대하여 탄성지지되고;
    상기 록플레이트에는 상기 캠레버의 일단이 접촉하여, 상기 록플레이트의 회동상태에 따라 상기 캠레버의 회동상태가 함께 변화하도록 하는 조절캠부가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트래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록플레이트의 조절캠부는 상기 래치포크가 상기 스트라이커에 잠기는 방향으로 회동할 때, 상기 래치포크가 상기 스트라이커에 정상적으로 잠긴 상태를 이루는 회동각도에 이르는 동안은 상기 캠레버가 상기 래치포크에 접촉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래치포크가 상기 스트라이커에 정상적으로 잠긴 상태를 넘는 오버트래블 구간 이후에 상기 캠레버가 상기 래치포크에 접촉되도록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트래치.
  6. 청구항 1 내지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캠레버와 베이스플레이트 사이에는 토션스프링이 장착되어, 상기 캠레버가 상기 래치포크가 잠기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대하여 탄성지지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트래치.
KR1020080035048A 2008-04-16 2008-04-16 차량의 시트래치 KR1013719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5048A KR101371961B1 (ko) 2008-04-16 2008-04-16 차량의 시트래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5048A KR101371961B1 (ko) 2008-04-16 2008-04-16 차량의 시트래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9682A KR20090109682A (ko) 2009-10-21
KR101371961B1 true KR101371961B1 (ko) 2014-03-07

Family

ID=41537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5048A KR101371961B1 (ko) 2008-04-16 2008-04-16 차량의 시트래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19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4803B1 (ko) 2010-09-30 2012-06-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시트 래치 구조
KR101863768B1 (ko) 2011-11-04 2018-06-04 주식회사다스 비접촉식 시트백 래치유닛
ITTO20120822A1 (it) * 2012-09-21 2014-03-22 Magna Closures Spa Serratura per un sedile di un autoveicolo
KR101586949B1 (ko) * 2014-09-01 2016-01-20 주식회사다스 시트백 래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2228A (ko) * 2000-09-19 2002-03-27 이계안 자동차의 후드래치 구조
KR20030041563A (ko) * 2001-11-20 2003-05-2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후드 개폐 장치
JP2005161987A (ja) 2003-12-02 2005-06-23 T S Tec Kk 車両用シートのロック装置
JP2006015892A (ja) 2004-07-02 2006-01-19 Toyo Seat Co Ltd 車両用シートのロック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2228A (ko) * 2000-09-19 2002-03-27 이계안 자동차의 후드래치 구조
KR20030041563A (ko) * 2001-11-20 2003-05-2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후드 개폐 장치
JP2005161987A (ja) 2003-12-02 2005-06-23 T S Tec Kk 車両用シートのロック装置
JP2006015892A (ja) 2004-07-02 2006-01-19 Toyo Seat Co Ltd 車両用シートのロック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9682A (ko) 2009-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19143B2 (ja) 車両用ドアラッチ装置
US8833812B2 (en) Door lock release mechanism for automobile door
JP5532543B2 (ja) 車両用シートのロック装置
JP4625889B2 (ja) 車両用ラッチ装置
JP5039015B2 (ja) 車両のドアハンドル装置
JP5333212B2 (ja) ロック装置
JP2005036608A (ja) 自動車のアウトサイドハンドル装置
JPWO2006132018A1 (ja) ロック装置
US20160290019A1 (en) Door handle device for vehicle
KR101371961B1 (ko) 차량의 시트래치
WO2007037004A1 (ja) 車両シートのラッチ装置
JP6618861B2 (ja) ドアロック装置
JP6308031B2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JP2014121910A (ja) 車両用シートロック装置
JP5383067B2 (ja) 車両用ロック装置
JP4973297B2 (ja) ロック装置
JP5050733B2 (ja) ロック装置
US20140217751A1 (en) Latch mechanism
KR101417066B1 (ko) 차량 시트래치의 유격저감 구조
JP2018188840A (ja) 車両ドアラッチ装置
WO2018225205A1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及び車両用ドアロックセット
JP4455157B2 (ja) 車両用ロック装置
JP2011068262A (ja) ラッチ装置及びシート装置
KR101641917B1 (ko) 차량 시트용 무유격 셀프 로킹형 래치
JP4294974B2 (ja) 自動車用ドアラッ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